KR20230153397A - 검란 장치 - Google Patents

검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397A
KR20230153397A KR1020237030537A KR20237030537A KR20230153397A KR 20230153397 A KR20230153397 A KR 20230153397A KR 1020237030537 A KR1020237030537 A KR 1020237030537A KR 20237030537 A KR20237030537 A KR 20237030537A KR 20230153397 A KR20230153397 A KR 2023015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inspected
eggs
imaging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후미 나카니시
유다이 오쿠다
야스토미 가와타
쇼지 마쓰오카
Original Assignee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코쿠 케이소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8Eggs, e.g. by candling
    • G01N33/085Eggs, e.g. by candling by cand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2X, Y scan, i.e. object moving in X, beam in 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과제: 검사대상란을 보다 적절하게 검사할 수 있는검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61)와, 조명장치(61)에 의해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62)와, 촬상장치(62)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22)와, 조명장치(61)로부터 검사대상란까지의 광로 상, 또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촬상장치(62)까지의 광로 상에 설치되는 리플렉터(63)를 가지고, 조명장치(61)와 촬상장치(62)가 병렬로 배치되는, 검란 장치.

Description

검란 장치
본 발명은, 검란(檢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용란(무정란)의 검사방법에 대해서는, 다수의 특허출원이 되어 있지만, 알 내부에서의 특정 파장의 광의 흡수 정도에 의해 출혈이나 이물질의 유무, 또는, 투과광 화상의 농도분포에 의해 난각의 균열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유정란의 혈관의 분포상태나 발육 상태를 검출할 수는 없었다.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계란을 사용한 백신 생산에 있어서, 유정란에 광을 조사하여 알 내부를 비춘 상태의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검사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검사영역 내의 혈관정보를 계측하고, 일정한 굵기 이상의 혈관의 총혈관길이에 기초하여 정상란을 자동판정하는 검란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또한, 알의 화상을 교사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딥러닝에 의해 기계학습시킴으로써, 무정란을 포함하여, 불량란의 요인을 높은 정밀도로 특정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본특허 3998184호 국제공개 제2020/262557호
종래 기술에서는, 검사대상란을 자동으로, 소정의 검사위치까지 반송(搬送)하고, 소정의 검사위치에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최근, 백신 생산의 고품질화, 대량생산화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고, 장치의 공간절약화, 처리속도의 고속화, 검사대상란의 판정정밀도의 향상, 장치의 범용성이나 확장성의 향상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란을 보다 적절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검란 장치는,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와,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검사대상란까지의 광로 상, 또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상기 촬상장치까지의 광로 상에 설치되는 리플렉터를 가지고, 상기 조명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검사대상란에 위쪽으로부터 조명광을 조사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위쪽으로부터 촬상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상기 촬상장치까지의 광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장치에 의해 조명광이 조사된 검사대상란의 상(像)을 반사하여 상기 촬상장치에 입사하고, 검사대상란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병렬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 광축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다발 중, 상기 제1 광축방향과는 상이한 제2 광축방향으로부터 사출되는 광다발을, 상기 제1 광축방향과 대략 평행한 제3 광축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리플렉터에 반사된 제3 광축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다발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에 수용된 검사대상란을 지지하고,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제1 광축방향의 광의 광축과,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상기 제2 광축방향의 광의 광축이 교차하는 검사위치까지, 검사대상란을 이동시키는 지지 기구를 더욱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검사대상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멍부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구멍부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는 커버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검사대상란의 형상에 따른 내면을 가지는, 검사대상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지지대는, 최대내경과 최대외경의 차가 5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위치를 2차원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기구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2개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촬상하도록 화각 및/또는 촬상거리가 조정되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1장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2개의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정장치는, 교정 기능을 가지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워크의 촬상 화상을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조건 또는 화상조정조건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전체광다발값 600lm 이상의 백색광을 방사하는 LED 램프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검란 장치는,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에 검사대상란을 수용한 트레이를 반송하는 반송부(搬送部)와,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반송부는, 한 쌍의 클로우부를 가지는 한 쌍의 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의 상기 한 쌍의 클로우부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4점에서 파지(把持)하여, 상기 검사부에 반송한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복수의 수용부에 검사대상란을 각각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검사부는,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하기 전에,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트레이를 촬상하고,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 검사대상란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를 특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 있어서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 한 후에, 불량란으로 판정된 검사대상란을 배제하기 위한 배제 기구를 더욱 가지고, 상기 배제 기구는, 상기 트레이에 수용 가능한 검사대상란과 동일한 개수 또는 그 이상의 개수가 설치된, 상기 검사대상란과 맞닿고 불량란으로 판정된 검사대상란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복수의 흡착 부재를 동시에 구동하여 검사대상란에 각각 맞닿게 하는 단일 구동부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송부를 가지는 유닛을, 자유자재로 증설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검란 장치는,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가지고, 상기 촬상장치는, RGB표색계의 화상을 상기 판정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RGB표색계의 화상을 HSV표색계의 화상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상기 HSV표색계의 화상에서의 색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란은, 유정란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대상란을 보다 적절하게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부 및 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부의 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전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부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검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플렉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는 종래의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샤프트 및 커버의 주변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치조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후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개폐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신 등의 제조에 제공되는 계란(유정란)을 검사하기 위한 검란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검사 대상으로 하는 알은, 닭 등의 유정란이며, 알 표면의 색은 백색·갈색 등 무엇이든지 된다. 인플루엔자 등의 바이러스의 종류나 기타 약품 등의 주입물의 종류, 이들의 주입의 유무는 상관없으나, 성장과 함께 태아의 혈관이 알 내부에서 넓게 분포되는 유정란에 있어서, 그 생사 및 발육 상황을 비파괴적으로 검사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는 큰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의 반송부(3) 및 검사부(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와, 반송부(3)와, 검사부(4)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전용 트레이(8)에 검사대상란을 수용한 상태에서, 반송부(3)에 의해 검사대상란을 검사부(4)까지 반송하고, 검사대상란의 상태(불량란인지 정상란인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형태 전용 트레이(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 트레이(8)는, 검사대상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81)를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6×6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 가능한 전용 트레이(8)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전용 트레이(8)에 수용할 수 있는 검사대상란의 개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6×7개의 검사대상란이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수용부(81)에는, 검사대상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부(82) 내에 검사대상란을 삽입해 둠으로써, 구멍부(82)의 에지에 검사대상란이 걸려, 검사대상란을 유지하고 수용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컴퓨터 등의 연산 장치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장치(21)와, 기억 장치(2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반송부(3) 및 검사부(4)의 동작을 제어하여 검사대상란을 검사하는검란 처리를 행하는 연산 장치(22)를 가진다. 연산 장치(22)는, 검사부(4)에 있어서 촬상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정상란인지 불량란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연산 장치(22)에 의한 검사대상란의 판정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검사대상란 화상으로부터, 전체의 색조, 기실(氣室)과 융모막강의 경계부근의 상태, 혈관의 상태, 기실의 유무나 형상, 균열의 유무 등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정상란인지 불량란인지, 또한 불량란인 경우에는, 무정란, 중지란, 기실불량란, 역란, 발육불량란, 균열란 등의 불량의 요인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검사대상란의 컬러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었지만, 혈관이 충분히 존재하는 검사대상란 중, 출혈로 알전체의 적색이 강해진 알이나, 태아가 쇠약하여 알전체의 황색이 강해진 알을 불량란으로서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산 장치(22)는, RGB표색계로 출력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을 HSV표색계로 변환하고, HSV성분 중 H(색상)의 값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전체의 색조를 판정함으로써, 출혈로 알전체의 적색이 강해진 알이나, 태아가 쇠약하여 알전체의 황색이 강해진 알을 불량란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산 장치(22)는, 종래는 판별이 곤란했던 이하의 불량란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연산 장치(22)는, 컬러 화상에서의 검사대상란 혈관의 색정보(RGB표색계)에 기초하여, 정상란과 굵은 혈관(예를 들면, 1mm 이상의 폭의 혈관)이 남아있는 사란(死卵)을 판별함으로써, 굵은 혈관이 남아있는 사란을 불량란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연산 장치(22)는, 컬러 화상에서의 검사대상란의 기실의 형상이나 기실의 윤곽의 선명함에 기초하여, 기실에 이상이 있는 검사대상란을 불량란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가하여, 연산 장치(22)는, 컬러 화상에서의 검사대상란의 기실의 색정보(RGB표색계)에 기초하여, 기실에 적색의 반점을 검출함으로써, 항원의 접종 구멍에 피가 부착된 출혈란을 불량란으로서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2)는, 촬상 화상의 진단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는, 촬상장치(62)가 촬상한 진단용 워크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의 밝기나 콘트라스트 등이,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기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초기가동 시에나 유지보수 시 등에,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조건(예를 들면, 촬상장치(62)의 컬러밸런스나 조명장치(61)의 조명정도)이나, 화상조정조건(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컬러밸런스나 휘도)을, 검사대상란의 검사에 적합한 조건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가,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조건이나 촬상한 화상의 수정 등을 자동으로 교정하는 교정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송부(3)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부(3)은, 제어부(2)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용 트레이(8)에 수용된 복수의 검사대상란을, 전용 트레이(8)째로 검사부(4)까지 반송한다. 또한, 반송부(3)은, 제어부(2)의 제어에 기초하여, 검사부(4)에서 검사된 검사대상란을, 전용 트레이(8)째로 후방으로도 반송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부(3)은, 검사대상란을 전용 트레이(8)째로 반송하므로, 한 쌍의 암(3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암(3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암(31)은, 각각 한 쌍의 클로우부(32)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각 암(31)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우부(32)는, 전용 트레이(8)의 1변의 길이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암(31)은, 실린더(33)를 가지고 있고, 한 쌍의 암(31)을 전용 트레이(8)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암(31)의 4개의 클로우부(32)로 전용 트레이(8)를 양 측면으로부터 끼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용 트레이(8)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암(31)은, 도시하지 않은 플런저(plunger)를 가지고, 전용 트레이(8)의 불균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검사부(4)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사부(4)는, 제어부(2)의 제어에 의해 검사대상란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며, 사전검사부(5)와, 본검사부(6)와, 사후검사부(7)를 가진다. 반송부(3)에 의해 검사부(4)에 반송된 검사대상란은, 사전검사부(5), 본검사부(6), 사후검사부(7)의 순서로 각 검사가 행해진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전검사부(5)의 사시부이다. 사전검사부(5)는, 전용 트레이(8)에, 검사대상란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81)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전검사부(5)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51)와 조명장치(52)를 가지고 있고, 조명장치(52)에 의해 전용 트레이(8)에 광을 조사하면서, 촬상장치(51)에 의해, 본검사부(6)로 반송되기 전의 전용 트레이(8)를 위쪽으로부터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의 연산 장치(22)에 송신한다. 이로써, 연산 장치(22)는, 전용 트레이(8)를 촬상한 화상을 화상해석함으로써, 전용 트레이(8)에 있어서 검사대상란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81)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억 장치(21)에 기억한다. 사전검사부(5)의 검출 결과는, 제어부(2)에 있어서,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할 때, 검사대상란의 유무를 나타낸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검사를 행한 검사대상란의 개수나, 불량란의 개수를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전용 트레이(8)에 공석(空席)의 수용부(81)가 있어도, 검사대상란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검사가 행해지고, 불량란으로서 처리가 행해지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용 트레이(8)의 공석을 파악함으로써, 검사를 행한 검사대상란의 수나, 불량란의 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예에서는, 연산 장치(22)가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전용 트레이(8)의 공석을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촬상장치(51)로서 측장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촬상장치(51)에 있어서 전용 트레이(8)의 공석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검사부(6)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장치(61)와, 촬상장치(62)와, 리플렉터(63)와, 지지 기구(64)과, 암실(暗室)(65)과, 모터(67)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검사부(6)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검사부(6)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 있어서는, 지지 기구(64), 암실(65), 모터(67)의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장치(61)는, 직육면체형의 LED 램프(611)와, 통형 부재(612)와, 히트싱크(61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명장치(6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대상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구(64)의 위쪽에 배치되고, 지지 기구(64)에 의해 검사위치까지 상승시킨 검사대상란을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도 7에 있어서는, LED 램프(611)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광축을 L1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LED 램프(61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메라의 성능이나 감도에 의한 영향을 적게 하여 많은 카메라로 검사대상란을 고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도록, 백색광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광다발값 600lm 이상의 광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LED 램프(611)는, 검사대상란을 고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도록, 이하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ED 램프(611)로서, 600lm 이상의 광, 예를 들면, 전류값에 따라 600∼1000lm 광을 방사가능한 백색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 램프(611)는, 검사대상란에 조도가 높은 광을 조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통형 부재(612)를 검사대상란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검사대상란에 대한 조도가 40만lx 이상이 되는 광을 조사가능한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61)의 실시예(시작기)에 있어서는, 전류 500mA에 있어서 전체광다발값이 794lm이 되고, 500mA에 있어서 조도가 493014lx가 되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명장치(61)는, 동시에 검사가능한 알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통형 부재(612)를 가지고 있다. 통형 부재(612)는, 검사대상란의 촬상 시에, 소정의 검사위치까지 상승시킨 검사대상란과 맞닿고, LED 램프(611)로부터 방사한 광을 집중적으로 검사대상란에 입사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통형 부재(612)는, 크기가 상이한 검사대상란과 맞닿아 변형되도록, 부드러운 탄성재질로 구성되어서 있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명장치(61)는, LED 램프(611)에 의해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613)도 가지고 있다.
검사대상란의 촬상이 행해지는 검사 위치에 있는 검사대상란의 수평 방향(측방)에는, 리플렉터(6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플렉터(6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플렉터(63)는,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연직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약 45°의 경사각도로 설치되어 있고,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의 검사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대상란으로의 광을, 위쪽으로 반사한다. 리플렉터(63)의 위쪽에는, 촬상장치(62)가 배치되어 있고, 리플렉터(6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촬상장치(62)에 의해 수광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되고, 리플렉터(63)에 입사되는 광의 광축을 L2로 나타내고, 리플렉터(63)에 의해 반사되고 촬상장치(62)에 입사되는 광의 광축을 L3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리플렉터(63)의 경사각도는 45°로 한정되지 않고,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반사하여 촬상장치(62)에 입사할 수 있는 각도이면 된다. 그리고, 리플렉터(63)는, 반사면을 거울 또는 경면마무리한 스테인레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면마무리한 스테인레스로 할 경우에는 800번 이상의 입도(粒度)의 버프로 경면마무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장치(62)는, 검사대상란을 촬상하고,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컬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컬러CMOS카메라를 가진다. 촬상장치(62)는, 리플렉터(63)의 위쪽에 위치하고, 검사 위치에 있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되고, 리플렉터(63)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검사대상란의 상을 촬상한다. 촬상장치(62)에 의해 촬상된 검사대상란의 컬러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2)의 연산 장치(22)에 송신된다. 그리고, 촬상장치(62)가 가지는 카메라는, 컬러CMOS카메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컬러CCD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장치(62)는, 2개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촬상장치(62)는, 2개의 검사대상란이 촬상 범위 내로 되도록, 화각이나, 검사대상란(검사위치)까지의 촬영거리가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6×6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 가능한 전용 트레이(8)를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하고 있고, 이 경우에, 본검사부(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촬상장치(62)를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촬상장치(62)에 의해 2개씩, 합계 6개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촬상한다. 그 결과, 촬상장치(62)의 수를 억제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검사대상란을 검사하는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는, 조명장치(61)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축(L1)과, 촬상장치(62)에 입사되는 광의 광축(L3)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리플렉터(63) 및 지지 기구(64)의 위쪽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병렬」이란, 조명장치(61)와 촬상장치(62)가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에 대하여 동일 방향 측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가 인접하여 배열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가 일정거리 떨어져서 배열된 구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의 측방에 리플렉터(63)를 설치하고,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리플렉터(63)에서 반사시킴으로써,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를 병렬로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검란 장치(1) 전체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검사부(6)는, 검사대상란의 촬상 시에, 검사대상란을 지지하고, 소정의 검사위치까지 검사대상란을 이동시키는 지지 기구(64)를 가진다. 지지 기구(6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641)와, 샤프트(642)와, 커버(643)를 가진다. 여기서, 도 9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의 사시도이며, 도 9의 (C)는 종래의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641)는, 검사대상란의 형상에 따른 반구형(半球形)의 내면(645)을 가지고 있고, 내면(645)에 있어서 검사대상란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641)가 검사대상란을 지지한 상태에서, 모터(67)에 의해 샤프트(642)를 상승시킴으로써, 지지대(641)로 지지된 검사대상란을 암실(65) 내의 검사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암실(65) 내에 있어서, 조명장치(61)에 의한 검사대상란의 조사와, 촬상장치(62)에 의한 검사대상란의 촬상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용 트레이(8)의 수용부(81)에 검사대상란이 수용되어 있고, 검사대상란이 수용된 전용 트레이(8)가 반송부(3)에 의해 본검사부(6)까지 반송되고, 본검사부(6)의 반송 테이블(34) 위에 놓여진다. 본검사부(6)의 반송 테이블(34)에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3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341) 내에 지지대(641)가 수용되어 있다. 제어부(2)는, 검사를 행하는 검사대상란의 바로 아래에 지지대(641)가 위치하도록, 반송부(3)에, 전용 트레이(8)의 위치를 조정시키고, 그 후, 모터(67)를 동작시켜, 구멍(341)에 수용되어 있는 샤프트(642)를 위쪽으로 신장시킨다. 이로써, 지지대(641)가, 전용 트레이(8)의 구멍부(82)를 통과하고, 검사대상란을 아래로부터 들어올려서 지지하고, 암실(65) 내의 소정의 검사위치까지 검사대상란을 상승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6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 가능한 전용 트레이(8)를 사용하고 있고, 전용 트레이(8)에 수용된 1렬분(검사대상란 6개분)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에, 6개의 지지대(6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대(641)는, 종래와 비교하여, 전용 트레이(8)의 구멍부(82)의 직경이 작은 경우라도, 구멍부(8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대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9의 (B)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도, 도 9의 (C)에 나타낸 종래의 지지대도, 지지하는 검사대상란의 형상이나 크기는 거의 바뀌지 않으므로, 내면의 형상이나 크기는 바뀌지 않고, 최대내경은 R1이 되어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는, 최대외경이 R2로 되어 있고, 도 9의 (C)에 나타낸 종래의 지지대의 최대외경 R3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외경 R2와 최대내경 R1의 차가 5mm 이하가 되도록, 지지대(6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에서는, 종래와 비교하여, 구멍부(82)가 작은 전용 트레이(8)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용 트레이(8)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전용 트레이(8)는, 6×6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이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641)를 사용함으로써, 6×7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하는 전용 트레이(8)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은, 샤프트(642) 및 커버(643)의 주변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642)에는, 커버(643)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643)는, 지지대(641)로 지지하는 검사대상란이 깨진 경우나, 파손된 경우에,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누출된 액체가 샤프트(642)를 따라 이동하여, 샤프트(642)가 삽입되어 샤프트(62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멍부(644)(도 11에 도시)에 들어가, 샤프트(624) 밑에 내장되어 있는 리니어 푸시 등의 각종 기계의 동작불량이나 파손 등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커버(643)는, 샤프트(642)와 간극없이 접하는 구조라면, 우산형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형상이나 소재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검사부(6)는, 반송 테이블(34)의 아래쪽에, 위치조정기구(66)를 가지고 있다. 도 11은, 위치조정기구(6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샤프트(642)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위치조정기구(66)는, 샤프트(642)(혹은 지지대(641))의 좌우 전후 방향(도 11의 X1 방향 및 X2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조정부재(661)와, 제2 위치조정부재(662)를 가지고 있다.
제1 위치조정부재(661)는, 샤프트(624)의 X1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며, 도 11에 있어서는, 샤프트(6427∼64212)의 X1 방향의 위치를 각각 조정하는 제1 위치조정부재(6611∼6616)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위치조정부재(661)는, 제2 위치조정부재(662)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제2 위치조정부재(6622)의 아래쪽에도, 샤프트(6421∼6426)의 X1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조정부재(6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조정부재(662)는, 샤프트(642)의 X2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며, 도 11에 있어서는, 샤프트(6421∼6426)의 X2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조정부재(6621, 6622)와, 샤프트(6427∼64212)의 X2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조정부재(6623)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위치조정부재(662)는, 한 쌍의 제2 위치조정부재(662)로 샤프트(642)를 끼움으로써, X2 방향에서의 샤프트(62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위치조정기구(66)는, 제2 위치조정부재(6623)와 쌍을 이루는 제2 위치조정부재(622)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치조정기구(66)에 의해, 샤프트(642)(혹은 지지대(641))의 위치를 2차원 방향(X1 방향 및 X2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6×6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하는 전용 트레이(8)나, 6×7개의 검사대상란을 수용하는 전용 트레이(8) 등의, 구멍부(82)의 위치나 배열이 상이한 다양한 전용 트레이(8)를 사용할 수 있어, 전용 트레이(8)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검사부(6)는, 불량란으로서 판정된 검사대상란을 배제하기 위한 배제 기구(68)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제 기구(6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배제 기구(68)는, 제어부(2)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용 트레이(8)로부터 불량란을 배제하기 위한 기구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검사대상란을 흡착하여 배제하기 위한 복수의 흡착 부재(681)와, 단일 실린더(682)를 가진다. 그리고, 전용 트레이(8)에 수용된 각 검사대상란을 흡착하고 배제할 수 있도록, 배제 기구(68)에는, 전용 트레이(8)에 수용 가능한 검사대상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이상의 흡착 부재(681)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용 트레이(8)에 수용된 검사대상란의 상태가 판정된 후, 반송부(3)에 의해, 전용 트레이(8)가, 흡착 부재(681)의 바로 아래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제어부(2)는, 실린더(682)에, 복수의 흡착 부재(681)를 동시에 하강시켜, 흡착 부재(681)의 흡착구를 검사대상란과 맞닿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2)는, 불량란으로 판정된 검사대상란에 대응하는 흡착 부재(681)에 진공 흡인을 행하게 하여, 불량란을 흡착시킨 채, 흡착한 불량란을 폐기 장소까지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부(2)는, 흡착 부재(681)로 흡착한 불량란을 불량란용 컨베이어에 옮겨싣고, 불량란용 컨베이어에 의해 파기 장소까지 반송하여 폐기하거나, 불량란용 트레이에 다시 담아 폐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불량란이 배제된 전용 트레이(8)는, 반송부(3)에 의해, 후방의 사후검사부(7)에 반송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후검사부(7)의 사시부이다. 사후검사부(7)는, 배제 기구(68)에 의해 배제되어야할 불량란이 전용 트레이(8)에 남아있지 않은지 검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사후검사부(7)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71)와 조명장치(72)를 가지고, 조명장치(72)에 의해 전용 트레이(8)에 광을 조사하면서, 촬상장치(71)에 의해, 본검사부(6)로부터 반송된 전용 트레이(8)를 위쪽으로부터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의 연산 장치(22)에 송신한다. 이로써, 연산 장치(22)는, 검사대상란의 검사결과와, 사후검사부(7)로부터 수신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불량란이 전용 트레이(8)로부터 적절하게 배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연산 장치(22)는, 불량란이 전용 트레이(8)로부터 배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경고 등을 출력해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불량란을 자동으로 배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촬상장치(71)에 의해 전용 트레이(8)의 모든 검사대상란에 대하여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압력 스위치나 거리 센서 등을 검사대상란의 개수만큼 설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구조가 간소화되어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예에서는, 연산 장치(22)가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전용 트레이(8)에 불량란이 남아있는지를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촬상장치(71)로서 측장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촬상장치(71)에 있어서 전용 트레이(8)에 불량란이 남아있는지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검사부(6)에 있어서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를 병렬로 일체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부(4)에 있어서,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사부(4)의 측방에, 스페이스(S)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폐 도어(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9)는, 검사부(4)의 측방의 일면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검사부(4)의 2면 이상에 2개 이상의 개폐 도어(9)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개폐 도어(9)를 설치함으로써, 검란 장치(1)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에서는, 본검사부(6)에 있어서, 조명장치(61)의 LED 램프(611)가, 전체광다발값 600lm 이상 및/또는 조도 40만lx의 광을 검사대상란에 조사함으로써, 종래보다, 검사대상란의 혈관 등이 판별하기 용이하게 되어, 검사대상란의 판정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휘도의 LED 램프(611)를 사용함으로써, 노광시간의 단축이나 정보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고, 검사대상란의 판정처리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장치(62)가 2개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촬상장치(62)의 수를 억제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검사대상란을 검사하는 처리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에서는, 사전검사부(5)를 가지고, 전용 트레이(8)에 공석의 수용부(81)를 검출함으로써, 검사를 행한 검사대상란의 개수나, 불량란의 개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란 장치(1)에서는, 사후검사부(7)가 촬상장치(71)와 조명장치(72)를 가지고, 촬상장치(71)가 전용 트레이(8)를 위쪽으로부터 촬상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량란이 전용 트레이(8)로부터 적절하게 배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불량란을 적절하게 배제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대(641)는, 종래와 비교하여, 최대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구멍부(82)가 작은 전용 트레이(8)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용 트레이(8)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조정기구(66)에 의해, 샤프트(642)(혹은 지지대(641))의 위치를 2차원 방향(X1 방향 및 X2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구멍부(82)의 위치나 배열이 상이한 다양한 전용 트레이(8)를 사용할 수 있어, 전용 트레이(8)의 범용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예에는 다양한 변경·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 더하여, 반송부(3) 및 검사부(4)를 유닛화하고, 상기 유닛 단위로 검란 장치(1)를 증설하고, 검사능력을 증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검란 장치(1)에, 반송부(3) 및 검사부(4)를 가지는 유닛을 1개 증설한 경우, 검사대상란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검사부(4)가 2개 나란히 배치되게 되어, 검사대상란의 검사처리능력을 2배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를,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의 위쪽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명장치(61) 및 촬상장치(62)를,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의 측방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조명장치(61)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로 상이면서,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리플렉터(63)를 설치한다. 또한, 리플렉터(63)는, 조명장치(6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된 조명광을 연직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약45°의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이로써, 조명장치(61)에 의해 검사대상란의 측방으로부터 조명광을 조사하면, 조명장치(61)로부터 조사된 조명광이, 리플렉터(63)에서 반사되어, 검사대상란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검사대상란에 입사된다. 촬상장치(62)는, 검사대상란의 검사위치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조명광에 의해 조사된 검사대상란의 상을 측방으로부터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검사대상란을 촬상장치(62)에 의해 일방향만으로부터 촬상하고, 상기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터(67)로 의해 검사대상란의 지지대(641)와 연결하는 샤프트(642)를 회전시킴으로써, 검사대상란을 복수의 방향(예를 들면, 지지대(641)를 90도씩 회전시켜 4방향)으로부터 촬상하고,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촬상한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검사대상란의 판정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RGB표색계로 출력된 검사대상란의 컬러 화상에 기초하여, 불량란을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Lab표색계, 또는 HSV표색계로 출력된 컬러 화상에 기초하여, 불량란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검란 장치
2…제어부
21…기억 장치
22…연산 장치
3…반송부
31…암
32…클로우부
33…실린더
34…반송 테이블
341…구멍
4…검사부
5…사전검사부
51…촬상장치
52…조명장치
6…본검사부
61…조명장치
611…LED 램프
612…통형 부재
613…히트싱크
62…촬상장치
63…리플렉터
64…지지 기구
641…지지대
642…샤프트
643…커버
644…구멍부
645…내면
65…암실
66…위치조정기구
661…제1 위치조정부재
662…제2 위치조정부재
67…모터
68…배제 기구
681…흡착 부재
682…실린더
7…사후검사부
71…촬상장치
72…조명장치
8…전용 트레이
81…수용부
82…구멍부
9…개폐 도어

Claims (17)

  1.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照射)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검사대상란까지의 광로 상, 또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상기 촬상장치까지의 광로 상에 설치되는 리플렉터;를 가지고,
    상기 조명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병렬로 배치되는, 검란(檢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검사대상란에 위쪽으로부터 조명광을 조사하고,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위쪽으로부터 촬상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상기 촬상장치까지의 광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장치에 의해 조명광이 조사된 검사대상란의 상(像)을 반사하여 상기 촬상장치에 입사하고,
    검사대상란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와 상기 촬상장치가 병렬로 배치되는, 검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 광축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는, 검사대상란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다발 중, 상기 제1 광축방향과는 상이한 제2 광축방향으로부터 사출되는 광다발을, 상기 제1 광축방향과 대략 평행한 제3 광축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리플렉터에 반사된 제3 광축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다발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는, 검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트레이에 수용된 검사대상란을 지지하여,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제1 광축방향의 광의 광축과,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상기 제2 광축방향의 광의 광축이 교차하는 검사위치까지, 검사대상란을 이동시키는 지지 기구(機構)를 더욱 가지는, 검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검사대상란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멍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구멍부 사이의 간극을 피복하는 커버;를 가지는, 검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검사대상란의 형상에 따른 내면을 가지는, 검사대상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지지대는, 최대내경과 최대외경의 차가 5mm 이하로 되어 있는, 검란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지지대의 위치를 2차원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기구를 가지는, 검란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2개의 검사대상란을 동시에 촬상하도록, 화각 및/또는 촬상거리가 조정되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촬상장치에 의해 촬상된 1장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2개의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각각 판정하는, 검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장치는, 교정 기능을 가지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워크의 촬상 화상을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조건 또는 화상조정조건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검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전체광다발값 600lm 이상의 백색광을 방사하는 LED 램프를 가지는, 검란 장치.
  11.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 검사대상란을 수용한 트레이를 반송(搬送)하는 반송부; 및
    상기 검사부 및 상기 반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반송부는, 한 쌍의 클로우부를 가지는 한 쌍의 암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의 상기 한 쌍의 클로우부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4점에서 파지(把持)하여, 상기 검사부에 반송하는, 검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복수의 수용부에 검사대상란을 각각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검사부는,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하기 전에,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트레이를 촬상하고,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이에 검사대상란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를 특정하는, 검란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 있어서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검사한 후에, 불량란으로 판정된 검사대상란을 배제하기 위한 배제 기구를 더욱 가지고,
    상기 배제 기구는,
    상기 트레이에 수용 가능한 검사대상란과 동일한 개수 또는 그 이상의개수가 설치된, 상기 검사대상란과 맞닿고 불량란으로 판정된 검사대상란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복수의 상기 흡착 부재를 동시에 구동하여 검사대상란에 각각 맞닿게 하는 단일 구동부를 가지는, 검란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송부를 가지는 유닛을, 자유자재로 증설 가능한, 검란 장치.
  15.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 및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가지고,
    상기 촬상장치는, RGB표색계의 화상을 상기 판정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RGB표색계의 화상을 HSV표색계의 화상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상기 HSV표색계의 화상에서의 색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검란 장치.
  16. 검사대상란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에 조사된 검사대상란을 촬상하는 촬상장치; 및
    상기 촬상장치가 촬상한 검사대상란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검사대상란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가지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취득한 검사대상란의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 폭 이상의 혈관이 있는 사란(死卵), 또는, 항원의 접종 구멍으로부터 출혈하고 있는 출혈란을 불량란으로서 판정하는, 검란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란은 유정란인, 검란 장치.
KR1020237030537A 2021-03-04 2022-03-03 검란 장치 KR20230153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4714 2021-03-04
JPJP-P-2021-034714 2021-03-04
PCT/JP2022/009149 WO2022186339A1 (ja) 2021-03-04 2022-03-03 検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397A true KR20230153397A (ko) 2023-11-06

Family

ID=8315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537A KR20230153397A (ko) 2021-03-04 2022-03-03 검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186339A1 (ko)
KR (1) KR20230153397A (ko)
CN (1) CN116964430A (ko)
TW (1) TW202241258A (ko)
WO (1) WO2022186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6383B (zh) * 2018-11-02 2024-05-24 陕西科技大学 一种野山鸡蛋自动分拣装置及方法
WO2024181244A1 (ja) * 2023-03-01 2024-09-06 株式会社ナベル 卵検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8184B2 (ja) 2002-09-04 2007-10-24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有精卵の検査法および装置
WO2020262557A1 (ja) 2019-06-28 2020-12-30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検卵装置、検卵プログラム、および検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0515A1 (en) * 2002-08-30 2004-03-04 Kabusiki Kaisya Horiuchi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ex of a fertilized egg
JP4353766B2 (ja) * 2003-10-21 2009-10-28 共和機械株式会社 自動汚卵検出機構とこれを備えた鶏卵選別包装システム
JP2007232445A (ja) * 2006-02-28 2007-09-13 Web Tec Kk ラインセンサ検査装置
JP2011169629A (ja) * 2010-02-16 2011-09-01 Joichiro Tsuboi 有精卵検査装置
JP2011215015A (ja) * 2010-03-31 2011-10-27 Naberu:Kk 卵の気室位置検査方法および装置
EP3474661A4 (en) * 2016-06-28 2020-07-29 Egg Waves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POULTRY HUMIDIF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8184B2 (ja) 2002-09-04 2007-10-24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有精卵の検査法および装置
WO2020262557A1 (ja) 2019-06-28 2020-12-30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検卵装置、検卵プログラム、および検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1258A (zh) 2022-11-01
JPWO2022186339A1 (ko) 2022-09-09
CN116964430A (zh) 2023-10-27
WO2022186339A1 (ja)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3397A (ko) 검란 장치
WO2016121878A1 (ja) 光学式外観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式外観検査システム
US8724098B2 (en) Method for candling fertilized eggs with green or blue light and corresponding device
JP5896840B2 (ja) 卵を詰めたパック商品の検査装置
JP2007064801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外観検査装置
US20200378899A1 (en) Glas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012633B1 (ko) 듀얼 카메라 비전검사 장치
JPWO2022186339A5 (ko)
JP2021193383A (ja) 卵の検査装置
JP2015094644A (ja) 卵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7307520B2 (ja) 環状製品の外観検査装置
JP2010048602A (ja) 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10261837A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用の光学装置
KR20130130567A (ko) Led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led 검사방법
JP2019203701A (ja) パック詰めされた卵の検査装置
JPH11508039A (ja) 物体の表面検査
JP2020115110A (ja) 検査装置
KR102646891B1 (ko) 렌즈유닛 검사장치
JP2007127467A (ja) 画像処理による自動検卵装置
KR101012634B1 (ko) 듀얼 조명 비전검사 장치
JPH04118546A (ja) 瓶検査装置
KR102181637B1 (ko) 검사 대상물 에지 결함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94659B2 (ja) 樹脂製容器検査装置
JP2012013586A (ja) 画像処理による自動検卵機構
JP2001255276A (ja) 紙カップ外観検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