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388A -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388A
KR20230153388A KR1020237029929A KR20237029929A KR20230153388A KR 20230153388 A KR20230153388 A KR 20230153388A KR 1020237029929 A KR1020237029929 A KR 1020237029929A KR 20237029929 A KR20237029929 A KR 20237029929A KR 20230153388 A KR20230153388 A KR 2023015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ductor
wall
boundary wal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뢰쓸
Original Assignee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에에스-이마고탁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5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전자 장치(20)를 기계적으로 고정,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하는 지지 장치(1)로서, 바람직하게는 선반 레일로서 실현되는 지지 장치(1)에 있어서, 제1 경계벽(2), 특히 상기 지지 장치(1)에서 기준 평면 또는 위치결정 평면을 정의하는 기준벽(2)으로서, 전자 장치가 특히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벽(2)이 상기 제1 경계벽에 또는 제1 경계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경계벽(2), 및 제1 경계벽(2)에 대해 각도(8)로 배향된 제2 경계벽(3)으로서, 상기 제1 경계벽(2) 및 제2 경계벽(3)은, 특히 두 면에서만, 상기 전자 장치(20)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4)을 한정하는, 제2 경계벽(2), 및 상기 전자 장치(20)의 전기 공급을 위한 컨덕터 트랙(6)을 지지하는 컨덕터 지지부(5)를 포함하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상기 제 2 경계벽(3)으로부터 시작하여, 특히 상기 제 1 경계벽(2)에 평행하게 상기 제 1 경계벽(2)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수용 영역(4)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Description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장치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정하는 경계벽을 포함한다.
WO 2017/153481 A1는 선반 레일(선반 엣지 스트라이프라고도 부름) 형태의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이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현된 전자 장치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반 레일은 U 형상으로 배열된 세 개의 측벽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 영역의 경계를 정한다. 수용 영역은 따라서 세 개의 측면에서 경계가 정해지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선반 레일 안으로 삽입되거나 선반 레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는 자유롭게 되어 있는 U 형상의 측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1의 중앙 측벽은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 플레이트는 기준평면 또는 위치조정평면의 기능을 하고, 이 평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선반 레일의 후방벽에 의해 놓여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격자로 배열된 통로를 갖는다. 이 통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기적으로 공급을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접촉 핀에 의해 전기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컨덕터 트랙은 컨덕터 지지부에 배열되어 있고, 지지부는 제1 측벽 쪽에 위치하는데, 이는 수용 영역의 반대편에 있다.
선반 레일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측벽은 제2의 상부 측벽과 제3의 하부 측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하부 측벽은 고정 엣지를 갖고, 고정 엣지는 선반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고 디스플레이 수단의 고정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선반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측벽은 구멍 같은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오목부에 디스플레이 수단의 신축자재의 고정 핀이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가 선반 레일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 선반 레일은 작동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구멍 같은 오목부의 격자에 의해 선반 레일을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을 정확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며, 나아가 연장되어 상부측벽과 결합하는 핀과 함께 제2 및 제3 측벽에 의해서, 파괴력 없이 의도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 그리고 의도하지 않았거나 의도적으로 선반 레일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반 레일을 유지관리 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중앙 플레이트와 고정 엣지 사이의 하부측벽에 의해 형성된 챔퍼 내에 그리고 컨덕터 트랙 쪽으로 중앙 플레이트의 통로 내에 오염물질이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오염물질은 선반 레일의 시각적 외관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또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기 공급에 해를 끼치고 그 기능적인 신뢰도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지지장치와 이에 대응하여 맞춰진 전자장치를 제공하여 위에서 논의된 문제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에 따른 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은, 전자 장치를 기계적으로 고정,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하는 지지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선반 레일(선반 엣지 스트라이프라고도 부름)로서 실현되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제1 경계벽, 특히 상기 지지 장치에서 기준 평면 또는 위치결정 평면을 정의하는 기준벽으로서, 전자 장치가 특히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벽이 상기 제1 경계벽에 또는 제1 경계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경계벽 및 제1 경계벽에 대해 각도로 배향된 제2 경계벽으로서, 상기 제1 경계벽 및 제2 경계벽은, 특히 두 면에서만, 상기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을 한정하는, 제2 경계벽,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기 공급을 위한 컨덕터 트랙을 지지하는 컨덕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는 상기 제 2 경계벽으로부터 시작하여, 특히 상기 제 1 경계벽에 평행하게 상기 제 1 경계벽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수용 영역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이다.
이 목적은 또한, 제16항에 따른 공급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용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전자 장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 공급을 위한, 특히 선반 레일로 구현되는 지지 장치용 공급 수단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지지 장치의 측면 또는 단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또는 단부 부분은 공급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거나 제공되고, 상기 공급 수단은, 공급 전자기기, 및 상기 지지 장치의 컨덕터 지지부에 배치된 컨덕터 트랙과 전기 전도성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공급 전자기기에 연결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제1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로 구현되고, 각 접촉 밴드는 공급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제1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과, 컨덕터 지지부의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기 위한 제2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을 가지며, 각각의 접촉 밴드는 곡선 또는 각진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L-형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C-형상 또는 U-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수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19항의 전자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내용은 전자 장치,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후방벽을 갖는 하우징, 특히 스크린을 갖는 전방벽, 및 상기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은, 상기 후방벽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지지 장치의 컨덕터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컨덕터 지지 홈을 갖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는 전자 장치, 특히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기를 공급하는 컨덕터 트랙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29항의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와, 이에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수단 및 상기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은 훨씬 더 쉽게 전자 장치를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과 관련이 있다. 공지의 선반 레일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과 관련된 하부 측벽의 고정 엣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를 기울이는 이동 없이 지지 장치 안으로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를 기준벽의 역할도 하는 제1 경계벽을 따라 제2 경계벽 쪽으로 삽입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특히, 삽입될 전자 장치를 제1 경계벽으로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동등한 방식으로 전자장치를 제거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종래 기술의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따라서 (하부) 고정 엣지(이 경우 선반 레일의 수평 장착)과 챔퍼를 제거하기 때문에, 이는 추가적으로 고체나 액체 형태의 먼지가 이 포인트에 더 이상 쌓일 수 없다는 장점과 결부된다. 시각적인 손상과 이로부터 초래되는 기능적인 혼선을 실제로 배제할 수 있다.
결국 두 개의 경계벽에 의해 갇히거나 경계가 형성되는 수용 영역 내의 한 영역으로 컨덕터 지지부의 컨덕터 트랙을 이동시킴으로써, 컨덕터 트랙이 거의 또는 전혀 그 곳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동일한 내용이 전자 장치의 컨덕터 지지 홈에도 비슷하게 적용되는데, 이는 컨덕터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여기에 전자 장치의 접촉부가 위치된다. 이것은, 장치를 지지 장치 안으로 삽입할 때 지지 장치의 제2 경계벽에 의해 컨덕터 지지 홈이 덮히고, 따라서 보호되기 때문에 그렇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을 이용하여 특히 선반 레일로 구현된 지지 장치의 또는 전체 시스템의 유지관리하는 강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먼지와 관련된 중요 지점이 양쪽에 있거나 또는 가능하면 오염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배열되고 형성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더 쉬워지고 청소를 빈번하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바람직한 경우, 제1 경계벽에 대한 컨덕터 지지부의 배향은 제1 경계벽에 평행한다. 그러나, 다른 배향도 제공할 수 있다. 컨덕터 지지부는 또한, 예를 들어 제2 경계벽에서 시작해서 바라봤을 때 제1 경계벽으로부터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수용 영역에서, 컨덕터 지지부는 수용 영역의 개방된 쪽(따라서 경계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지 않음)의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배향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그에 따라 전자 장치의 후방벽에 대한 컨덕터 지지 홈의 배향이 맞춰질 수 있고, 따라서 전자 장치가 수용 영역에 삽입되어 제1 경계벽 쪽으로 컨덕터 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경계벽의 경우, 제1 경계벽의 후방측은 제1 경계벽의 전방측에 반드시 평행할 필요는 없다. 반대로, 제2 경계벽 쪽으로 향하여 바라보는 방향에서 제1 경계벽의 전방측과 후방측은 웨지 형상으로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도록 배향되는 것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경계벽의 단면은 본질적으로 웨지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경계벽의 후방측과 경계벽의 전방측 사이에 차이를 둘 수 있고(예를 들어, 기준측으로 칭함), 이는 상대적으로 경사진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 경우에 컨덕터 지지부의 배향은 경계벽의 전방측에 평행하게 하거나, 멀어지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컨덕터 지지 홈의 배향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다시 그에 따라 맞춰져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컨덕터 지지 홈의 배향을 맞춤 변형(adapt)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자 장치의 전방측에 평행한 상태로 만들거나 전자 장치의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의 중앙에 이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지지 장치에 삽입되는 전자 장치의 포지티브 핏(positive fit)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후방벽의 배향을 맞춤 변형(adapt)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선반 레일에서, 예를 들어 수평으로 이어지는 선반 레일에서 바닥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전반적인 핸들링이 더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지지 장치가 더 컴팩트해지고, 지지 장치 뒤에 위치하는 물체 특히 상품에 대한 시야가 확대되는 장점과 더욱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지지 장치, 예를 들어 선반 레일로 디자인된 지지 장치의 경우, 고객은 예를 들어 선반 레일 밑의 선반에 있는 제품을 쉽게 검사할 수 있고, 아래쪽으로 튀어나온 선반 레일의 구조 요소에 의해 쉽게 검사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수단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외관을, 구체적으로는 지지 장치와 지지 장치에 고정된 전자 장치,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관을 더 자유롭고 가볍게 하고, 따라서 제품의 프리젠테이션을 더 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 및 관련된 하부 고정 엣지의 제거는 추가적으로, 제1 경계벽(기준벽)에 평행하게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공하며, 전자 장치는 제1 경계벽을 약간 초과하는, 선택적으로는 많이 초과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과 비교하여, 이와 같은 선반 레일은 더 얇게 할 수 있고, 이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쪽으로 관심을 끌게 되고, 선반 레일은 크게 시각적으로 주의를 빼았는 요소로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부 고정 엣지를 제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에 평행하는 치수(dimension)를 갖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거의 모든 전자 장치는 이러한 지지 장치를 가지고 사용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특히, 아주 특별하고 다양한 스크린 크기 및 큰 전자 인터랙션 미디어,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등등을 갖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보는 사람에게 지지 장치에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장치들이 예를 들어 하부측에서 지지 장치를 넘어 돌출하기 때문이다.
지지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테이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이는 카운터에 설치되거나 카운터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구조체를 의류에 고정될 수 있는 의류 태그로 형성하여, 옷을 걸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는 관점에서, 아래에서는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선반 레일만 참고로 할 것이다.
지지장치의 배향과 지지장치에 고정된 장치의 배향은 임의로 할 수 있다.
조건에 따라 탈착가능하게 또는 탈착불가능하게, 특히, 물질-물질 접합(substance-to-substance bond)에 의해, 예를 들어 납땜 연결에 의해, 공급수단과 지지장치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연결을 다시 쉽게 분리할수 있을 때 여러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연결은 탈착식 연결을 통해 실현될 수 있고, 특히 예를 들면 플러그 연결이나 나사 연결 등등이 있다.
전기 전도성 연결은 바람직하게 탈착식 연결로 실현되며, 이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에 의하면, 연결되는 요소 부분들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에도 전기 접촉은 특정 범위 내에서 최소의 힘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위치 변화는, 예를 들어 제조상의 공차, 열팽창, 마모와 관련된 변형, 부품의 부정확한 조립, 또는 시스템 요소의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거나 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공급수단은 바람직하게 제1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를 포함하고, 따라서 전기 전도성 금속 접촉 밴드를 포함한다. 이 접촉 밴드는 전기 전도성 연결에 지지 장치 또는 지지 장치의 컨덕터 트랙을 각각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 밴드는 예를 들어 물질-물질 접합과 같은 비-탈착식 접촉을 구현하기 위해 또는 탈착식 접촉을 구현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연결에 의한 접촉에 대한 실시예의 경우, 공급 수단이 지지장치에 삽입될 때, 접촉 밴드가 컨덕터 트랙 쪽으로 가이드되도록 접촉 밴드가 구현된다. 이를 위해, 컨덕터 트랙의 주위 영역은 접촉밴드를 컨덕터 트랙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견고한 접촉은 탄성 영역 내의 국부적인 변형에 기인한다.
특히, 물질-물질 접합에 의해 비-탈착식 접촉을 실현하기 위해, 접촉 밴드는 지지장치를 삽입했을 때, 접촉 밴드가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고 그 결과 예를 들어 납땜 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탈착식 스프링 기반의 연결이 사용되고, 따라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이 사용된다. 이 경우, 접촉밴드는, 공급수단이 지지장치에 삽입될 때 접촉 밴드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컨덕터 트랙에 대항하여 밀리도록 구현된다. 플러그 연결과 비교하여, 접촉을 보장하는 힘은 국부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또는 접촉 지점에서의 변형에 의한 국부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특히 변형에 의해, 예를 들어 접촉 지점이 아닌 지점에서의 굽힘 또는 접촉 밴드를 따라 발생하는 굽힘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접촉 밴드는 그 자체가 특히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를 형성한다. 접촉 밴드는 따라서 공급 스프링 접촉 요소로 구현된다.
설명하였듯이, 접촉 밴드는 제1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이는 공급 전자기기에 연결된다. 접촉 밴드는 제2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이는 각각 전기 전도성 연결 또는 접촉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접촉 밴드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부분의 배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접촉 밴드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부분은 기본적으로 막대 표면을 따라 하나의 평면 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두 부분이 약간 오프셋되도록,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이는 각각 하나의 계단부 또는 다수의 계단부, 또는 Z 형상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 L 형상 또는 V 형상이 생성되도록 두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각각 C 형상이나 U 형상, 또는 W 형상이 생성되도록 두 부분을 서로 거의 평행하게, 그러나 몇몇 경사진 부분이 사이에 있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언급한 실시예에 더하여, 부분들의 추가 멀티-스텝 실시예도 가능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휘어진 형상의 접촉 밴드가 생성된다.
경사지고 멀티-스텝의 실시예들은 스프링 편향은 더 크게 하면서도 동시에 재료 응력은 더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고, 이 때문에 이 실시예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금속 접촉 밴드의 휘어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촉 밴드의 밴드 형상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적으로 접촉 밴드를 가이드하거나 형성할 수 있어서, 접촉 밴드가 연결된 전자기기와 컨덕터 트랙의 평면 사이의 높이 차이를 문제없이 극복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정해진 최소힘으로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효과와 관련이 있고(또한 최대힘, 따라서 나타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이는 각각 접촉 밴드 재료의 탄성과 형상에 의해 설정되거나 정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식방지 강철 밴드도 사용된다.
접촉 표면 또는 접촉 영역의 이동성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개별 기계 요소, 특히 서로 이동가능한 요소들이 선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디자인과 추가적인 개발사항이 종속항과 아래의 설명을 통해 이어진다.
전자장치에 대해 빠진 예들을 열거하면, 모션센서, 온도센서, 광센서와 같은 센서 유닛이나 센서, 카메라, 버튼, 터치센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 조명, 스피커, 프린터, 예를 들어 열프린터, 또는 예를 들어 액정(LCD) 스크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스크린 등등으로 구현되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가 있다.
공급수단은 전자장치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공급하여, 전자장치를 작동시키고 통신기술의 조건에서도 작동시킨다. 전력공급(전압 및 전류 공급)에 더하여, 공급수단은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장치나 전자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공급이나 신호기술도 수행한다. 전력공급을 위해, (충전) 배터리 구성을 포함하는 파워서플라이유닛에 의해 공급수단이 공급될 수 있고, 아니면 "와이파이 오버 파워(power over WIFI)"에 의해 공급 수단이 공급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의 경우, 또는 축전기의 경우, 에너지 저장부는 바람직하게 자석의 도움으로 지지장치 또는 공급수단 근처에 있는 인접하는 요소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이는 신속하고 복잡하지 않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장치에는 또한 충전 배터리에서 저장을 위해 에너지를 모으는데 사용되는 광전지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공급수단 또는 공급수단의 공급 전자기기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준비하도록, 따라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전자장치를 통해서 판독하거나 처리할 수 있는 신호나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는 관련(어드레스) 장치에 원본데이터로서 단순히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또한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버로 출력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와 공급수단 사이의 이러한 전송은 유선이나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급수단은 지지장치와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아니면 지지장치 뒤에 아니면 지지장치의 한쪽에서 지지장치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장치의 컨덕터 지지부의 컨덕터 트랙에 전기 전도성이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지장치가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 이 측면 부분은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전기공급을 위해 공급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거나 제공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공급수단은 지지장치의 측면 부분에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매우 컴팩트한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습기나 기계적인 응력과 같은 외부 영향에 대하여 보호받도록 공급수단은 지지장치의 구조 내에 동시에 수용된다.
따라서, 공급수단과 지지장치 사이의 느슨한 케이블링은 접근될수도 없고 조종될수도 없다.
별도의 공급수단을 레일에 완전히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이 경우 공급수단의 하우징이 지지장치의 형상에 맞추어져서, 둘이 함께 동일한 몰드에서 제작된 것 같은 인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촉 밴드가 제2 부분에, 컨덕터 트랙 중 하나와 직접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치(arc) 형상을 포함하면 더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이 아치 형상은 공급수단을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동안 접촉 밴드의 제2 부분이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거나 붙들리는 것을 막아준다. 부주의하게 삽입하거나 빠르게 삽입하는 경우, 이렇게 끼워져서 움직이지 못하거나 붙들리게 되면 요소에 손상이 초래되고, 예를 들어 접촉 밴드가 변형되거나 컨덕터 트랙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아치 형상을 통해 더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조립을 할 수 있고 앞에서 언급한 위험없이 시스템을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된다.
개선된 접촉은 또한 이 형상과 연관되는데, 금속 밴드를 따라 정해진 접촉 표면이나 접촉 영역이 아치 형상의 곡률 반경에 의해 생성된다.
컨덕터 트랙과 접촉 밴드 사이의 접촉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2 부분의 아치 형상은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컨덕터 트랙의 형상에 맞추어진다. 원형 컨덕터 트랙의 단면인 경우, 아치 형상의 표면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반원형 노치나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컨덕터 트랙에 맞추어지고, 따라서 접촉 표면이나 접촉 영역은 컨덕터 트랙의 곡률을 따라 확대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급 수단은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컨덕터 지지부가 하우징의 개방된 쪽에서 삽입될 수 있고, 접촉 밴드의 제2 부분과 이와 접촉될 수 있는 컨덕터 트랙의 부분, 따라서 컨덕터 지지부의 영향을 받는 부분이 둘러싸이도록 하우징 부분의 형상이 만들어진다.
이 실시예는 케이싱된 접촉 밴드와 컨덕터 트랙을 보호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접촉, 습기, 기계적인 스트레스, 열응력 및 원치않게 요소를 보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시각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하우징 부분은 추가적으로 컨덕터 트랙에 대하여 접촉 밴드가 정해진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은 하우징 부분이 지지 장치와 협력하고 그에 따라 위치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은 동시에 공급 수단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목표로 하는 위치에 공급 수단의 모든 요소들을 유지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우징 부분은 초기에 컨덕터 지지부의 일부를 커버하거나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 수단은 추가적으로 시스템의 전자 요소들에 대하여 인가되지 않은 조종을 더 어렵게 만든다. 하우징이 또한 컨덕터 지지부와 접촉하면, 이 수단은 그 지점에서 기계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며, 여기에서 금속 접촉 밴드는 스프링 효과로 유발되는 힘으로 컨덕터 트랙에 대항하여 밀게 되고, 그 결과 컨덕터 지지부에 대항하여 밀게 된다.
지지장치의 컨덕터 지지부는 하나의 부품으로 또는 여러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컨덕터 트랙은 하나의 평면 또는 여러 평면에 놓여 있을 수 있고, 공급수단의 접촉 밴드는 그에 따라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도록 설계되거나 배열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그러나 지지 장치의 컨덕터 지지부가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때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공간을 매우 잘 절약하고, 얇고, 동시에 안정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컨덕터 트랙에 대하여 충분한 공간을 남겨준다.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에서, 컨덕터 트랙은 플레이트의 한 쪽에 또는 다른 쪽에 위치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는 컨덕터 트랙이 예를 들어 서로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하나의 평면에서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를 따라 이어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시스템을 적당하게 사용하는 경우,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는 전자 장치에 정해진 접촉 포인트 또는 접촉 영역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컨덕터 지지부나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는 전자 장치와 접촉한다. 특히, 장치의 컨덕터 지지 홈에 완전히 삽입될 때, 장치의 위치는 정확하게 정해지는데, 이는 특히 신뢰할 수 있게 전자적으로 접촉하는 형태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한다.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치수를 포함하는데, 제1 치수는 지지 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측정되고, 또한 제2 치수를 포함하는데, 이는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제1 치수에서 수직 방향으로 측정되고,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치수는 제1 경계벽의 대응하는 치수의 20% 내지 40%에 해당한다.
컨덕터 트랙들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동시에 보장되면서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비율은 추가적으로 간단히 전자 장치를 지지 장치에서 제거하도록 하며, 지지 장치 내에 전자 장치를 삽입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간단하게 하는데, 이는 지지 장치 내로 삽입하는 동안 또는 지지 장치로부터 빼내는 동안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크기에 의해 장치의 이동을 위한 공간적인 가이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일반 재료와 재료의 두께를 사용할 때의 이러한 치수의 경우에 충분한 안전성과 강성이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제1 경계벽에 대한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부정확한 위치를 확실하게 피할 수 있고, 이로써 전파방해(jamming)없이 지지장치를 따라 전자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오프셋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치수는 지지장치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여, 장치는 전체 길이를 따라 공급될 수 있다.
컨덕터 지지부는 신호기술의 관점에서 공급용 컨덕터 트랙을 다수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특히 두 개의 전원공급용 컨덕터 트랙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쌍의 컨덕터 트랙은 전기 전원 공급용의 역할을 하고, 추가적인, 예를 들어 열개의 컨덕터 트랙은 양방향 병렬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 버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컨덕터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정확하게 3개의 컨덕터 트랙을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컨덕터 지지부의 단일 측면에 형성되고, 및/또는 지지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이 실시예는 신호기술의 관점에서 공급을 허용하며,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적은 개수로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특히,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접촉 밴드와 같은 접촉 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컴팩트하고 공간을 절약하는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작동에 덜 영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작동상의 안전성이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유지보수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이는 또한 비용적으로 효율적인 생산과 관련된다.
컨덕터 트랙 중 하나를 나타내는 신호 또는 데이터 공급라인과 추가적인 컨덕터 트랙을 나타내는 전원공급라인이 동일한 기준전위를 사용하는 점에서 정확하게 3개의 컨덕터 트랙을 갖는 컨덕터 지지부를 실현할 수 있고, 제3의 컨덕터 트랙은 기준전위를 갖고, 여기에서는 또한 기준전위라인이라고 부를 수 있다.
전자장치의 삽입방향과 관련하여, 특히 첫번째로 접지라인, 그 다음에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라인,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원공급라인이 배열되도록, 컨덕터 트랙이 배열될 수 있다. 전원공급라인과 접지라인 사이의 회로는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단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단락을 피하고 전자요소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지지장치의 컨덕터 트랙은 상이한 형상 또는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컨덕터 트랙은 평평할 수 있고, 아니면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스프링-기반 연결의 경우 접촉지점에서 큰 라인 단면을 보장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평평한 컨덕트 트랙은 지지 플레이트 상의 트랙으로서 쉽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프린트 회로 보드의 경우와 비슷하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덕터 트랙은 와이어로 구현되며, 이는 컨덕터 지지부의 외측면을 넘어 부분적으로 튀어나온다.
생산과 관련된 장점에 더하여, 이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대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이 컨덕터 지지부의 컨덕터 트랙과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형성하도록 접촉부를 포함할 때 효과가 있고, 여기서 컨덕터 지지 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분이 제1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접촉부가 하우징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컨덕터 지지 홈은 컨덕터 트랙에 대하여 전자 장치와 그 접촉부가 명확하게 정해진 위치에 놓여지도록 하고, 그로써 장치가 지지장치에 결합되자 마자, 따라서 컨덕터 지지부가 컨덕터 지지 홈 내의 타겟 위치에 놓여지자마자, 신뢰성 있게 그리고 추가적인 조정없이 접촉부는 자동으로 컨덕트 트랙과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형성한다.
컨덕터 트랙으로서 와이어는 기본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고, 이는 컨덕터 지지부의 표면을 넘어 튀어나와 융기된 상태가 된다. 컨덕터 지지부의 표면과 기본적으로 평면을 이루는 평평한 단면과 비교하여, 이 단면은 전자 장치를 삽입하는 동안 전자 장치의 접촉부가 와이어들 중 하나와 접촉하자마자 촉각적인 반응을 가능케 한다. 사용자는 따라서 장치의 각각의 접촉부가 컨덕터 지지부에 이미 도달했는지 또는 지나갔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평한 컨덕터 트랙과 비교하여, 컨덕터 트랙으로서의 와이어는 와이어의 강건성(robustness) 때문에 추가적으로 전압을 가한다(impress).와이어는 바람직하게 단면의 적어도 50%가 컨덕터 지지부 내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컨덕터 지지부에서 견고한 지지를 얻을 수 있고, 이는 컨덕터 지지부가 각각의 와이어를 적어도 원주 상에서 180°를 살짝 넘는 정도로 둘러싸기 때문이다. 컨덕터 트랙은 컨덕터 지지부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는 것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컨덕터 트랙이 컨덕터 지지부의 한쪽에, 즉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의 반대쪽에 배열되도록, 컨덕터 트랙이 컨덕터 지지부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컨덕터 트랙이 컨덕터 지지부의 한쪽에, 즉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 쪽으로 향하는 쪽에 배열되도록, 지지장치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개구가 컨덕터 지지 홈의 한 쪽에, 즉 후방벽에 가장 가까운 쪽에 구현되도록, 전자 장치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단은 조금은 아니더라도 단지 컨덕터 트랙에 어렵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과 관련이 있고, 또한 부주의하거나 고의적인 접촉, 특히 전도성 물체와의 접촉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과 관련이 있다. 그 결과, 단락이나 전송장애가 발생할 위험도 줄이고, 아니면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컨덕터 트랙의 배열은, 지지장치(예를 들어 선반 레일)를 관측하는 사람의 시야로부터 숨겨져 있는데, 더 나아가서 오염으로부터 광범위하게 보호를 할 수 있고, 이로써 이에 따른 유지보수의 노력을 무시할 수 있다.
추가 특징에 따르면, 컨덕터 지지부가 의도한 대로 컨덕터 지지 홈에 삽입될 때, 전자장치는 각각의 경우 하우징 개구 중 하나가 컨덕터 트랙 중 정확히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장치를 지지장치와 조립할 때, 정확하게 정해진 접촉영역이 항상 존재하게 되고, 이로써 목표 위치 또는 타겟 위치에 컨덕터 트랙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를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것이 끝나면, 불가피하게 두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재조정하거나 수정할 필요 없이 정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추가 특징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접촉이 제2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로서 실현된다. 각각의 접촉 밴드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장치 전자기기에 연결되고, 또한 제2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며, 이 제2 부분은 컨덕터 지지부의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제2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는 스프링 요소로서 구현되며, 각각의 접촉 밴드는 바람직하게 휘어지게 또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가압된 접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프링 기반의 전기 전도성 연결의 실시예의 경우 제1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의 관점에서 언급했던 장점은, 여기에서도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접촉 표면의 각도상의 에러와 오프셋은 여기에서도 상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접촉부는, 그 경우 나선 스프링이 선형 움직임으로 카운터 접촉부에 대하여 핀 형상의 접촉부를 미는데, 다수의 요소들 때문에 그리고 특히 오염의 경우 쉽게 고장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절첩식 스프링 접촉부의 단점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부품) 스프링 요소로서 제2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의 실시예에 의해 극복된다. 먼지 입자, 예를 들어 알갱이나 먼지와 같은, 또는 점착성 액체는, 기존의 시스템의 경우 오작동을 일으키기에 충분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접촉 밴드가 휘어지게 또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특히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면, 스프링 편향이 더 증가되고, 이는 먼지나 마모에 의해 끼어들거나 막혀서 고장나는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 감소시킨다.
접촉 밴드의 밴드 형상의 구성을 통해, 추가적으로, 접촉 밴드가 연결된 전자장치와 접촉되는 컨덕터 트랙의 평면 사이의 레벨 차이가 아무런 문제 없이 극복되도록 접촉 밴드를 가이드하거나 형상을 만들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접촉 밴드의 재료의 탄성과 형상에 의해 설정되거나 정해질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최소의 힘으로(또한, 최대의 힘, 나타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 효과와 관련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식-저항 강철 밴드를 사용한다.
접촉 표면 또는 접촉 영역의 이동성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개별 기계요소는, 특히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계요소는 배제된다.
본 전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에 따라, 제2 그룹의 각각의 접촉밴드는 제2부분에 융기된 형상부를 포함하며, 이는 컨덕터 트랙 중 하나와 직접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적어도 접촉밴드의 융기된 형상부는 하우징 개구에서 하우징으로부터 튀어나와서 컨덕터 지지 홈이 경계를 정하는 공간 영역 안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융기된 형상부에 의해, 각각의 경우 융기된 형상부의 지점에서 정확하게 각각의 접촉 밴드가 오직 하나의 컨덕터 트랙과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고, 컨덕터 밴드의 인접하는 영역들은 동시에 컨덕터 트랙 또는 컨덕터 트랙들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컨덕터 트랙 또는 컨덕터 트랙들에 접촉없이 형성된다.
융기된 형상부는 바람직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컨덕터 트랙과 접촉하는 측이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융기된 형상부에 의하면, 끼이지 않고 거의 마모없이 전자장치가 지지장치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하는 동안, 접촉 밴드의 제2 부분은 컨덕터 트랙에 도달할 때까지 처음에 컨덕터 지지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일단 도착하면, 컨덕터 밴드의 제2 부분은 추가적으로 삽입하는 동안 끼이거나 컨덕터 트랙을 긁지 않고 컨덕터 트랙의 단면 형상을 따라간다.
이러한 융기된 형상부는 예를 들어 접촉 밴드가 각각의 포인트에서 아치형태인 점에서, 예를 들어 아치형상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아치형상은 융기된 형상부를 나타낸다. 그러나 융기된 형상부는 예를 들어 추가 물질을 접촉 밴드의 다른 선형의 제2 부분에 적용함으로써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성형 방법으로 원하는 형상을 만들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면 펀치에 의해 시트 금속으로 구성되는 제2 부분에 힘을 가하여 러그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접촉 밴드의 성형은 전자장치 뿐만 아니라 공급수단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지지장치의 컨덕터 지지부는 물질-물질 접합에 의해 지지장치의 제2 경계벽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따라서 예를 들어 함께 용접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함께, 컨덕터 지지부와 제2 경계벽은 하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조 부품일 수 있다.
컨덕터 지지부와 제2 경계벽은 추가적으로 나사나 리벳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컨덕터 지지부는 또한 플러그 연결에 의해, 특히 돌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지지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장치의 제2 경계벽이 컨덕터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특히 측면에서 삽입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수용 샤프트를 포함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컨덕터 지지부는 수용 샤프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특히 T 형상 또는 뒤집힌 L 형상 등등을 포함하고 수용 샤프트에 삽입된다. 이것은 동시에 컨덕터 지지부와 지지 구조체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우수한 안정성도 제공한다. 컨덕터 지지부는 따라서 유지관리나 청소를 위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컨덕터 지지부는 교체부품과 같이 모듈식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손상된 경우, 전체 지지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장치의 제2 경계벽은 지지웹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컨덕터 지지부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뻗어나가고, 이를 기계적으로 지지한다.
지지웹에 의해, 컨덕터 지지부를 덜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데, 이로써 한편으로는 좀더 비용면에서 합리적인 재료에 의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컨덕터 지지부의 좀 더 좁은 외관을 실현하거나 컨덕터 지지부를 좀 더 재료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길이가 더 긴 지지장치의 대체수단이 기계적인 보강부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지지웹은 장착중에 또는 작동중에 컨덕터 지지부에 대한 손상을 추가적으로 상쇄한다. 컨덕터 지지부를 보호하는 것은 또한 컨덕터 밴드를 더 잘 보호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왜냐하면 컨덕터 지지부는 굽힘 모멘트의 영향 하에서, 선택적으로 좀 더 적게 네거티브 영향을 받거나 좀 더 적게 변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지웹은 플라스틱 또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웹은 제2 경계벽의 수용 샤프트 내에 컨덕터 지지부 옆에서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경계벽은 따라서 컨덕터 지지부와 지지웹을 함께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지지웹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단부에 T 형상부를 갖고, 이는 수용 샤프트에 삽입되고, 컨덕터 지지부는 L 형상부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수용 샤프트 내의 지지웹의 T 형상부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컨덕터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절연층 없이 컨덕터 트랙의 실시예, 특히 와이어로 구현된 컨덕터 트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컨덕터 지지부 자체는 절연체이다. 생산하는데 좀 더 비용이 싸고 무게는 가볍다. 여기에서 플라스틱은 고분자에 대한 동의어로 이해할 수 있고, 따라서 천연 고분자 물질도 포함된다. 컨덕터 지지부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하드 페이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 그리고 제2 경계벽은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부품들은 개별적으로 제조될수 있고 미리 논의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 그리고 제2 경계벽, 특히 지지웹이 하나의 부품으로, 특히 강철로 형성되는 경우 매우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지지장치에 대한 최적의 강성을 얻을 수 있고, 이는 또한 응력을 받거나 특히 지지장치의 상대적으로 긴 길이방향 연장부의 경우에 결과적으로 명확하게 정해진 접촉 위치를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지지웹이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 그리고 제2 경계벽과 함께 하나의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체 길이에 대하여 컨덕터 지지부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컨덕터 트랙에 의해, 손상과 접촉에 의한 손실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은 요소들이 강철로 만들어지고, 특히 휘어지고 나아가 용접도 가능한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특히 좋다. 이 실시예는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경우, 원치않게 빠져나가거나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자장치는 지지장치에 결합되어야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지지장치의 치수와 전자장치의 치수가 조립된 상태에서 논-포지티브(non-positive)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선택되는 관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덕터 지지부와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의 치수를 각각 예를 들어 압력을 삽입된 전자장치에 인가하도록 정할 수 있고, 이는 마찰에 의한 결과로 원하는 위치에 전자장치를 고정하게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장치의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은 각각 격자 형태로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배열된 오목부, 특히 개구를 포함하고, 이는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을 통과하며, 전자장치의 고정수단과 논-포지티브(non-positive) 및/또는 포지티브(positive) 결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전자장치가 고정 하우징 개구를 후방벽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적어도 두 개의 이동가능한 고정 후크 또는 러그를 포함하고, 이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 하우징 개구를 통해 밖으로 튀어나와 있고 고정 메커니즘이 작동시에는 위치를 변경한다.
따라서 오목부는 고정 후크나 러그 보다 훨씬 더 넓고, 이로써 넓은 영역에서 지지장치를 따라 전자장치를 연속적으로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대략 고정 후크 또는 고정 러그 만큼 넓다. 이로써 격자 치수로 지지장치를 따라 전자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지지장치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전자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을 단순화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스플레이를 갖는 선반과 다른 전자장치를 더 빨리 장착할 수 있는데, 장치들이 균일하게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다시 측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정밀한 격자는 정밀하게 계단이 형성된 위치조정을 가능게 하고, 따라서 번갈아가면서 연속하는 것처럼 유사한 정도의 설계 자유도를 제공하며, 다시 측정하지 않고 동시에 정해진 최소 간격을 유지하면서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정밀하고 실질적으로 지지장치 길이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격자는, 특히 거기에 고정된 장치가 지지장치를 따라 의도치 않게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오목부의 격자 또는 치수가 각각 고정 후크 또는 러그의 치수나 배열상태에 맞추어 크기가 정해질 때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고, 이로써 폭이 다른 장치들(지지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의 방향에서 측정)이 지지장치에 대하여 가능한한 가까이 위치될 수 있어서, 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착 영역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자장치의,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정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 수동식 조정 버튼을 포함하며, 이는 고정 후크 또는 러그에 결합되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 고정 후크 또는 러그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 지지 홈의 반대편에 위치한 측벽에서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 의해 전자장치를 간단히 조작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를 빠르고 간단하게 유지관리하거나 지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특별한 도구 없이 제거할 수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튼의 조작에 의해, 고정 후크 또는 러그는 전자장치 안으로 접혀들어가고,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며, 또는 둘다 가능하다. 모든 경우에, 버튼의 작동과 이에 관련된 고정 후크 또는 러그의 이동에 의해, 전자장치는 지지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장치의 고정수단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하는 것은 고정 후크 또는 러그와 버튼을 결합하며, 고정 후크 또는 러그는 오목부와 직접 결합한다.
대조적으로, 후방 하우징 벽이 오목부의 격자(또는 멀티플 격자 치수)로 배열되어 있는 고정 후크 또는 러그를 포함하도록, 장치의 고정수단을 두 개의 부품 또는 여러 개의 부품으로 하는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 벽은 (격자 거리로 배열된 또는 복수의 격자 거리에 따라 배열된) 고정 후크 또는 러그(특히 두 개의 부품)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고정 하우징 개구는 따라서 U 형상의 갭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하우징 벽 웹으로 형성되는 고정 후크 또는 러그의 경계를 정한다.
힘의 조건에서 릴랙스된 정지(rest) 위치에서, 고정 후크 또는 러그는 장치가 고정될 정도로 지지장치의 오목부 안으로 튀어나와 있다. 두 개의 고정 후크 또는 러그는 바람직하게 제공되는데, 이는 후방 하우징 벽의 중심에 대하여 한편으로는 후방 하우징 벽의 좌측으로 또 한편으로는 우측으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전자장치를 지지장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버튼은 다수의 작동 부속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그 위치에 대응하도록 놓여 있는 고정 후크 또는 러그의 개수에 대응한다. 이 작동 부속물은 버튼의 작동시, 고정 후크 또는 러그를 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방향으로 피봇회전시켜 장치를 지지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튼을 해제하자 마자, 고정 후크 또는 러그는 하우징 재료의 탄성에 기초하여, 및/또는 고정 후크 또는 고정 러그 재료의 탄성에 기초하여, 및/또는 대응하여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에 기초하여, 피봇하여 원래의 정지 위치로 돌아간다.
고정 후크 또는 러그와 작동 부속물의 협동을 촉구하기 위해, 비스듬한 베벨 단부를 포함하고, 따라서 그 단부들이 경사면을 따라 사실상 서로를 지나쳐 슬라이딩하여 서로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이로써 고정 후크 또는 러그가 움직이게 만든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메커니즘은 고정 메커니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이는 작동안하는 상태에 있을 때 제1 위치에 버튼을 유지한다.
따라서, 비작동 상태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가 지지장치에 안착된 상태로서 바로 그 순간에 삽입되거나 제거되지 않은 상태상태를 지칭한다. 버튼과 관련하여, 비작동 상태는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 고정 메커니즘 스프링 요소는 간단한 동작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장치를 지지장치에서 제거할 목적으로 버튼에 대하여 목표로하는 힘이 존재해야만 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이 힘은 스프링 힘을, 선택적으로는 마찰력 성분과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아주 강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버튼에 대한 힘이 아니라, 하우징에 대한 측방향 힘에 의해, 장치가 지지장치로부터 의도치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수용영역 쪽으로 향하는 제1 경계벽의 측부에 대하여 예각, 특히 35°내지 85°의 각도가 제1 경계벽(또는 기준벽 내지 기준측부)과 제2 경계벽 사이에 형성되도록, 지지장치가 형성된다.
전자장치가 고정 메커니즘에 의해 지지장치에 떠받쳐져 고정되자 마자 장치가 지지장치로부터 밖으로 앞이나 뒤로 넘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예각에 의해 보장된다.
제2 경계벽은 바람직하게 엣지영역을 포함하는데, 이는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이어지고 수용영역 쪽을 향하여 배향되며, 바람직하게는 러그 형상 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제2 경계벽이 엣지 영역을 포함하고, 의도한 대로 사용하는 경우, 엣지 영역은 전자장치의 엣지를 지지하고, 전자장치의 엣지는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쪽으로 제2 경계벽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방으로"라는 용어는 제1 경계벽으로부터 전자장치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엣지 영역은 전방 하우징 엣지에서 전자장치를 붙잡아서 제2 경계벽 아래에서 보호되는 방식으로 유지한다.
예각에 의해, 장치의 최외각 상단 엣지를 붙잡을 수 있고, 고정 후크 또는 러그의 영향 하에서 제1 경계벽에 대하여 장치를 붙들어 유지시킬 수 있다.
장치에 대하여 맞물리는 엣지 영역은 또한 선반에 놓여 있거나 선반의 전방 엣지를 통해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물체에 대하여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전자장치가 전방벽 상에서 또는 전방벽에서 지지장치의 엣지 영역과 견고하게 접촉되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2 경계벽의 각도와 치수가 바람직하게 선택되거나 서로 맞춰진다.
제2 경계벽은 전반적으로 선형으로 이어질 필요가 없고, 일정한 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다. 제2 경계벽의 형상이 좀 더 복잡한 실시예의 경우에, 각도는 제1 경계벽이 걸쳐있는 평면과 제1 경계벽과 제2 경계벽의 교차라인과 제2 경계벽의 엣지 영역 사이의 평면사이의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동안 전자장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특히 컨덕터 지지부가 걸쳐 있는 영역 내의 지지장치의 제1 경계벽은 경계벽 리브들과 이들 사이에 있는 경계벽 협곡의 구조체를 포함하고, 이는 의도대로 전자장치를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경우 전자장치의 타겟 배향을 설정하기 위해 장치의 하우징의 하우징 리브들과 이들 사이에 있는 하우징 협곡의 구조체와 협력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에서, 전자장치는 또한 하우징 리브들과 이들 사이에 있는 하우징 협곡의 구조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의도대로 전자장치를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경우 전자장치의 타겟 배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경계벽의 경계벽 리브들과 이들 사이에 있는 경계벽 협곡과 협력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구조체는 직선으로 이어지고, 한편으로는 지지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컨덕터 지지 홈의 코스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다.
전자장치를 지지장치에 삽입하는 동안, 서로 맞춰진 이러한 구조체는 지지장치에서 전자장치의 타겟 배향을 설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컨덕터 트랙의 접촉이 잘못되면 선택적으로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거나 심지어는 컨덕터 트랙들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잘못 접촉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피할 수 있다.
구조체의 길이는 삽입 이동을 따라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에서 시작하여 타겟 방향이 설정된다. 컨덕터 트랙이 컨덕터 지지부를 따라 연장되는 사실 때문에, 컨덕터 지지부의 치수로 측정 측정했을 때 구조체의 길이가 컨덕터 지지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그리고 제1 경계벽의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이것은 최소 치수로 제공되며, 이는 전자장치를 컨덕터 지지부 가까이에 가져올 때 또는 전자장치가 최초로 컨덕터 지지부와 접촉할 때 타겟 배향을 미리 설정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구조체의 폭은 지지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오목부의 격자 치수에 거의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목부 및 오목부 사이에 위치한 지지 장치의 물질 웹은 폭이 동일하고, 이는 격자 크기에 정확하게 대응하고, 따라서 오목부와 물질 웹의 주기적인 시퀀스가 지지 장치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발생된다.
지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선반 베이스의 전방이나 제품의 전방에서 좀 더 작은 뷰 영역을 커버하도록 보다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좁은 외형은 시스템의 품질이 높게 보이게 만들 뿐만 아니라, 지지 장치 뒤에 놓여 있는 제품을 더 잘 볼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추가 특징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으로부터 계속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된다. 개략적으로:
도 1은 단면도로 선반 레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지지 장치와, 그 위에 놓여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선반 레일에 고정된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다.
도 3은 격자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선반 레일의 영역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선반 레일의 와이어와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접점의 전기적 접촉을 나타낸다.
도 6b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의 금속 접촉 밴드를 나타낸다.
도 7은 지지 웹을 포함하는 선반 레일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지지 웹을 포함하는 선반 레일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대부분 노출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선반 레일에 측면에서 삽입된 공급 수단을 나타낸다.
도 10은 하우징이 없는 도면으로서 공급 수단과 선반 레일 사이의 전자 접속을 나타낸다.
도 11은 선반 레일의 전자기기를 공급하기 위해 자성에 의해 선반에 부착된 배터리 유닛을 나타낸다.
도 12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반 레일이 결합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삽입된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선반 레일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3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7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선반 레일(1)로 구현된 지지 장치와, 선반 레일(1)과 호환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보는 방향에서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으로 구현되는 장치를 나타내고, 선반 레일(1)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인접하여 섹션 표면을 따라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선반 레일(1)은 제1 경계벽(2)(기준벽(2))을 포함하고, 이 벽은 도면에서 수직으로 그려져 있다.
상단부에서,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2)이, 제2 경계벽(3)와 합쳐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2 경계벽(3)과 기준벽(2)은 강철로 이루어져 일체로 구성된다.
기준벽(2)과 제2 경계벽(3) 사이에, 수용 영역(4)이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수용하도록 벽(2, 3)에 의해 두 면의 경계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측면에서 측정하여, 따라서 수용 영역(4)의 공간 영역에서 측정했을 때, 대략 53°의 예각(8)이 기준벽(2)과 제2 경계벽(3)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경계벽(3)은 수용 샤프트(7)를 포함하고, 수용 샤프트안으로 컨덕터 지지부(5)가 삽입되고, 이는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로 구현된다. 수용 샤프트(7) 안으로 삽입되는 쪽에서, 컨덕터 지지부(5)는 수용 샤프트(7)의 형상에 맞추어지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T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 샤프트(7)에서, 컨덕터 지지부(5)는 도 1의 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도면으로부터 밖으로 아니면 도면안쪽으로 이동(shift)될 수 있는데, 이는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를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덕터 지지부(5)는 3개의 컨덕터 트랙(6)을 지지한다. 컨덕터 트랙(6)은 각각의 경우 단일-코어 구리 와이어(6)로 만들어져 있고, 절연 레이어-프리(insulation layer-free) 방식으로 구현된다. 와이어(6)의 단면의 50% 이상이, 대략 반경의 2/3가 컨덕터 지지부(5) 내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경계벽(3)에 가장 가까이 있는 와이어(6)는 파워 공급 라인이고, 중앙의 컨덕터 트랙(6)은 신호 공급 라인이고, 제2 경계벽에서 가장 멀리 있는 컨덕터 트랙(6)은 기준 전위 라인이다. 와이어(6)는 컨덕터 지지부(5)의 측면으로서 기준벽(2) 쪽으로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컨덕터 지지부(5)와 기준벽(2)은 각각의 경우 제1 치수(길이방향 연장부)를 갖고, 이는 도면 밖으로 또는 도면 안쪽으로 측정한 직선 측정값을 의미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둘다 동일하고, 예를 들어 대략 1.5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하지만, 선반 레일(1)에 대해서 다른 길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컨덕터 지지부(5)는 제2 치수(9)(높이)를 갖고, 이는 도 1에서 컨덕터 지지부(5)의 수직 연장부를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여 기준벽(2)은 제3 치수(10)(높이)를 갖고, 이는 도 1에서 기준벽(2)의 수직 연장부를 특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컨덕터 지지부(5)의 제2 치수(9)는 기준벽(2)의 제3 치수(10)의 대략 40% 정도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제2 치수(9)는 예를 들어 대략 3cm 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컨덕터 지지부(5)는 사출성형가공에 의해 절연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와이어(6)는 이미 컨덕터 지지부(5)를 생산할때 이미 매립되었다.
이 경우, 컨덕터 지지부(5)는 독립적으로 세워져 있는 방식으로(freestanding manner) 배열되어 있다. 이와 달리, 지지웹(11)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지지웹(11)은 물질-물질 접합(substance-to-substance bond)에 의해 제2 경계벽(3)에 연결되어 있고, 기준벽(2), 제2 경계벽(3) 및 지지웹(11)은 함께 하나의 요소 부품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에서, 지지웹(11)은 독립 부품으로 구현되어, 컨덕터 지지부(5)와 함께 수용 샤프트(7) 내에 수용되거나 밀려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경계벽(3)은, 단부측에, 엣지 영역(12)을 포함하고, 이는 러그 형상 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삽입될 때, 기준벽(2)에 기초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준벽(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준벽(2)은 격자식으로 배열된 오목부(13)를 포함하고,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 유닛(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은 기준벽(2)에 평행하는 직선 이동으로 제2 경계벽(3)의 방향에서 아래로부터 선반 레일(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후방벽(22)을 포함하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후방벽(22)은 따라서 하우징(21)의 일부를 나타내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반 레일(1)에 삽입될 때 기준벽(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전방벽(23)은 스크린(24)을 포함하는데 후방벽(22)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상단부에서, 전방벽(23)은 계단부(step)를 포함하고, 계단부는 선반 레일(1)의 엣지 영역(12)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23)과 후방벽(22) 사이에서, 하우징(21)은 측벽(25)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25)은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상부측을 따라 이어지는데 컨덕터 지지 홈(26)을 포함하고, 홈의 수직벽은 후방벽(22)에 거의 평행하게 이어진다. 컨덕터 지지 홈(26)은 컨덕터 지지부(5)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그 치수에 맞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컨덕터 지지 홈(26)에서, 하우징(21)은 후방벽 측에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를 통해 접촉부(27)가 하우징(21)으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와 컨덕터 지지 홈(26)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27)는 그룹으로 이루어진 금속 접촉 밴드(27)로 구현된다.
금속 접촉 밴드(27)는 도 6a 및 도 6b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b는 접촉 밴드(27)의 셋업 또는 형상을 보여주며, 제1 단부 부분(28)을 포함하는데, 이는 장치 전자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29)에 납땜되어 있는데, 단지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접촉 밴드(27)는 제2 단부 부분(30)을 포함하는데, 이는 와이어(6) 중 하나와 접촉되도록 형성되거나 형상을 갖고,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단부 부분(30)은 접촉 영역으로서 융기된 형상부(31)를 포함한다. 융기된 형상부(31)는 또한 금속 접촉 밴드(27)의 부분이고, 이는 도 1 및 도 2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면도로 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단부 부분(28, 30)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오프셋 되어 있어서, 접촉 밴드(27)는 계단부를 형성한다. 이 계단부는 스프링 편향(deflection)을 더 크게 제공할 수 있고, 탄성 재료에 굽힘 응력을 분배할 수 있다. 동시에, 계단부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29)의 평면과 접촉 평면 사이의 거리(레벨 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이 거리는 와이어(6)에 의해 재어지는 거리이다.
명확하게 하도록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여러 요소들은 도 6a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데, 이는 고정 메커니즘(32)에서의 시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고정 메커니즘(32)은 일체로 구현되어 있고, 두 개의 고정 후크(33)와 여기에 연결된 버튼(34)을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32)은 또한 스프링 요소(35)와 접촉하고 있고, 스프링 요소는 헬리컬 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후방벽(22)은 고정 하우징 개구를 포함하고, 이 개구를 통해 고정 후크(33)가 돌출된다.
도 6a는 각각 플러그 연결 또는 클램프 연결을 통해 하우징의 두 반쪽(하우징(21)의 전방 하우징 반쪽과 후방 하우징 반쪽)을 서로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 요소(36)를 더 보여준다.
스프링 요소(35)는 도 6a에서 자유롭게 도시된 측부가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지고 하우징(21)에 안착한다. 스프링 요소(35)는 따라서 고정 메커니즘(32)과 하우징(21) 사이에서 작용한다. 스프링 요소는 고정 메커니즘(32)을 밀고, 따라서 도 6a의 배향에서 컨덕터 지지 홈(2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고정 후크(33)와 버튼(34)을 후방벽(22)에 팽행하게 아래쪽으로 민다.
도 1에 도시된 배열상태에서 출발해서,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2)이 제2 경계벽(3)의 방향으로 기준벽(2)에 평행하게 밀려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유닛(22)이 최종적으로 위치되어 선반 레일(1) 내에 고정되면, 접촉 밴드(27)의 단부 부분(30)은 와이어(6)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해야할 것은, 자유 단부에서, 컨덕터 지지부(5)는 베젤을 포함하는데, 베젤은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2)을 향하여 배향되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유닛(22)이 아래쪽으로부터 선반 레일(1)에 있는 타겟 위치로 삽입될 때 접촉 밴드(27)의 융기된 형상부(31)가 아무런 문제 없이 와이어(6)의 평면에 대하여 올라가게 된다. 각각의 접촉 밴드(27)는 따라서 압축응력(prestress)을 받게 된다. 선반 레일(1) 안으로 좀 더 삽입하는 동안, 올라간 접촉 영역을 갖는 세 개의 접촉부 중 적어도 두 개가 와이어(6) 중 두개를 넘어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는 올라간 접촉 영역을 갖는 세 개의 접촉부 모두가 최종적으로 각각의 접촉될 와이어(6)에 도달해서 거기에서 컨덕터 지지부(5)에 들어올려 질때까지 진행된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가 강화되어, 와이어(6)의 전기적인 접촉을 최적화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선반 레일(1)에 삽입하는 동안, 고정 후크(33)는 자동으로 맞물리게 되는 기준벽(2)의 오목부(13)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벽(2)을 따라 슬라이딩한다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고정 후크(33)가 오목부(13)의 하부 엣지와 살짝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어떻게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선반 레일(1)에 현재 삽입되고 있는지 아니면 어떻게 선반 레일로부터 제거되는지를 도 3에서 볼 수 있다.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후크는 오목부(13)의 하부 엣지에 접촉하고, 따라서 제2 경계벽(3)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엣지와 접촉한다. 도 3에 도시된 오목부(13)는 고정 후크(33)와 넓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살짝 더 넓다. 이로써 정교한, 하지만 잘-형성된 격자(grid)가 생성되어,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선반 레일(1)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될 수 없고, 명확하게 정해진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유닛(1)의 내부에서, 스프링 요소(35)가 한편으로는 하우징(21)에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메커니즘(32)에 작용하여, 고정 후크(33)는 후방벽(2)의 오목부(13)의 하부 엣지에 대하여 눌러지고,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제2 경계벽(3)의 방향으로 위를 향해 눌러진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컨덕터 지지부(5)의 하부 엣지 또는 하부측은, 다시 말하면 제2 경계벽(3)에서 제일 멀리 떨어져 있는 컨덕터 지지부(5)의 부분은, 컨덕터 지지 홈(26) 내의 가장 낮은 지점에 안착하고, 따라서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과 선반 레일(1) 사이에 명확하게 정의된 기계적 접촉 지점이 생성된다. 이렇게 정의된 접촉 지점 중에서 두 개의 추가 지점이 엣지 영역(12)과 전방벽(23)의 상부 엣지 사이에 그리고 기준벽(2)과 후방벽(22)의 영역 사이에 위치되고, 이는 와이어(6)의 영역에서 이어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렇게 정의된 접촉 지점은 선반 레일(1)에 대한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바디-고정 지점의 명확한 스펙과 그 반대 경우의 스펙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선반 레일(1)에 삽입하는 동안, 스프링 요소(35)의 탄성효과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20)은 항상 동일한 방법으로 아니면 항상 최적의 방법으로, 반복가능하고 자동으로 선반 레일(1)에 수용되고 정렬된다.
버튼(34)을 누르면, 고정 후크(33)와 기준벽(2)의 연결이 해제되고,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선반 레일(1)의 밖으로 아래쪽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선반 레일(1)로부터 아래쪽으로 제거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컨덕터 지지부(5)의 크기만큼 내려간 후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버튼(34)을 작동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고정 후크(33)는 한편으로는 상부로 이동하고, 따라서 제2 경계벽(3)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 내로 이동하여 기준벽(2)으로부터 멀어지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선반 레일(1)로부터 밖으로 제거되도록 해제될 수 있다.
도 4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후방에서 보는 것으로서, 후방벽(2)을 바라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금속 접촉 밴드(27)의 융기된 형상부(31)의 위치는 후방벽(2)의 하우징 개구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들은 전자적으로 그곳에서 접촉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을 선반 레일(1)의 밖에서 작동하거나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후방벽(22)은 융기된 하우징 리브(54)를 포함하고, 리브는 격자 내에 배열되어 있고, 후방벽은 리브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 협곡(55)을 포함하는 것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54, 55)는 폭이 동일하고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컨덕터 지지 홈(2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기초하여, 상부 측벽(25)으로부터 하부 측벽(25)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엄격하게 90°의 각도로 이어진다. 컨덕터 지지부(5)에 평행하는 영역에서, 선반 레일(1)은 또한 제1 경계벽 또는 기준벽(2)에서 경계벽 리브(56)를 포함하고, 경계벽 리브는 그 사이에 경계벽 협곡(5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체(56, 57)는 폭이 동일하고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선반 레일(1)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기초하여 엄격하게 90°의 각도로 이어진다.
하우징(25)의 구조체(54, 56)와 비교하여, 선반 레일(1)의 구조체(56, 57)는 각각의 경우 하나의 격자 유닛에 의해 오프셋되어 있어서, 하우징 리브(54)가 경계벽 협곡(57)에 삽입될 수 있고, 경계벽 리브(57)는 하우징 협곡(55)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후크 또는 러그(33)용 하우징 개구의 위치는 항상 하우징 리브(54)의 위치에 위치한다.
구조체(54-57)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선반 레일(1)에 삽입하는 것에 대하여 초기 단계에 컨덕터 지지부(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직각(90°)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는 와이어(6) 사이에서 접촉 에러를, 선택적으로는 단락(short-circuit)을 피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에러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도 5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1 및 도 2와 비교하여, 선반 레일(1) 없이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표시하였고, 따라서 고정 후크(33)도 볼 수 있다.
도 9는 선반 레일(1)의 측면 단부 부분에 삽입되어 선반 레일(1)에 연결되는 공급 수단(40)을 나타낸다.
공급 수단(40)은 하우징 부분(41)을 포함하고, 하우징 부분(41)은 이 도면에서 크게 확대된 방식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내부에 위치된 요소들에 대한 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공급 수단(40)은 공급 전자기기(42)를 포함하고, 공급 전자기기는 또한 안테나(43)를 포함하고, 공급 전자기기(42)는 안테나(43)의 도움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기반 데이터를 교환하고 처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반 레일(1)에서 장치들과 유선 방식으로 통신하거나, 장치를 제어하고 조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급 전자기기(42)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이는 디스플레이 수단(20)의 접촉부와 유사한데, 제2 그룹의 금속 접촉부 밴드(44)로 구현된다. 접촉 밴드(44)는 각각 공급 전자기기(42)에 납땜되어 있는 제1 접촉 단부 부분(45)와, 접촉 영역으로서 아치 형상부(47)를 갖는 제2 단부 부분(46)을 갖는다.
제1 단부 부분(45)과 제2 단부 부분(46)은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접촉 밴드(44)가 C 형상 또는 U 형상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선반 레일(1)의 옆면 엣지는 둘러싸이고, 즉, 원하는 접촉 영역의 밖에서 접촉되는 것 없이 둘러싸인다.
접촉 밴드(44)는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프리스트레스를 가지고 와이어(6)에 대하여 아치 형상부(47)로 누르고, 이로써 정해진 접촉력을 보장하게 되며, 각각의 접촉 밴드(44)는 정확하게 하나의 와이어(6)에 할당된다.
하우징 부분(41)은 한 쪽이 개방되어 있어서(도 9의 사시도의 좌측), 공급 수단(40)이 선반 레일(1)에 삽입될 수 있고(도 9의 사시도에서 우측으로부터), 접촉 밴드(44)는 아치 형상부(47)에 의해 와이어(6)를 따라 슬라이딩 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을 설립할 수 있다. 공급 전자기기(42)는 선반 레일(1)의 기준벽(2) 뒤에서 눌러지고, 선반 레일(1)의 부분들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된다. 하우징 부분(41)은 정해진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에 의해 선반 레일(1)과 기계적으로 접촉하고, 이는 선반 레일(1)에 대하여 공급 수단(40)이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선반 레일(1)에 삽입되는 공급 수단(40)을 나타내며, 여기서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요소, 즉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41)과 안테나(43)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1은 충전식 축전기 유닛(50)을 나타내며, 이는 축전기(51)(또는 충전 배터리)와 고정 요소(52)를 포함하고, 케이블(도시 안됨)에 의해 공급 수단(40)에 연결된다.
고정 요소(52)는 세 개의 자석에 의해 구현되는데, 자석은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고, 강철로 만들어진 선반의 측면 선반 부분(53)에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축전기 유닛(50)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선반에서 선반 베이스를 제거하였다.
선반 레일(1)은 직각으로 측면 선반 부분(53)에 장착된다.
유지관리 하는 동안, 전체 축전기 유닛(50)은 자기력에 의한 연결에 의해 쉽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
도 14에서, 선반 레일(1)의 섹션과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후방측에서 볼 수 있다. 이 두 요소(1, 20)는 도 15에서 서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21)을 후방벽에서 노출되도록 도시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의 내부를 명확하게 볼 수 있게 하였다. 도 16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삽입된 선반 레일(1)을 후방측에서 볼 수 있고, 도 17은 도 16의 단면 라인 B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부호의 일부를 이 도면에 넣지 않았다는 것도 언급한다.
앞의 도면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20)과 비교하여, 여기에서는 멀티-피스 형태의 고정 수단을 사용한다. 이 경우, 하우징(21)은 두 개의 고정 후크 또는 러그(58)를 포함하고, 이는 하우징(21)의 일부로 구현된다. 이러한 고정 후크 또는 러그(58)는 선반 레일(1)의 오목부(13)와 결합하고, 이는 도 14, 도 16, 도 17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15에서, 버튼(34)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고 두 개의 작동부속(59)을 갖는데, 작동부속은 두 개의 고정 후크 또는 러그(58)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나아가 도 17에서, 작동부속(59)이 고정 후크 또는 러그(58)와 어떻게 협력하여 작동하는지, 즉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향된 평면(60)을 통해서, 따라서 경사면(도 17에서도 볼 수 있음)을 통해서, 어떻게 협력하여 작동하는지를 볼 수 있고, 경사면은 각각의 요소 부분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요소 부분 단부들은 버튼(34)을 작동시킬 때 서로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버튼(34)의 작동시, 작동부속(59)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두 개의 고정 후크 또는 러그(58)는 하우징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선반 레일(1)과 디스플레이 유닛(2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최종으로, 구체적으로 위에 설명된 도면이 단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관한 것임이 한번 더 지적된다. 완전함을 위해, 부정 관사 "a" 또는 "an"의 사용이 관련 특징이 여러 번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도 지적된다.

Claims (29)

  1. 전자 장치(20)를 기계적으로 고정,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선반 레일로 실현되는 지지 장치(1)에 있어서,
    - 제1 경계벽(2), 특히 상기 지지 장치(1)에서 기준 평면 또는 위치결정 평면을 정의하는 기준벽(2)으로서, 전자 장치가 특히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벽(2)이 상기 제1 경계벽에 또는 제1 경계벽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경계벽(2),
    - 상기 제1 경계벽(2)에 대해 각도(8)로 배향된 제2 경계벽(3)으로서, 상기 제1 경계벽(2) 및 제2 경계벽(3)은, 특히 두 면에서만, 상기 전자 장치(20)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4)을 한정하는, 제2 경계벽(2), 및
    - 상기 전자 장치(20)의 전기 공급을 위한 컨덕터 트랙(6)을 지지하는 컨덕터 지지부(5)를 포함하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상기 제 2 경계벽(3)으로부터 시작하여, 특히 상기 제 1 경계벽(2)에 평행하게 상기 제 1 경계벽(2)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수용 영역(4)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장치(1)의 종방향 연장선을 따라 측정된 제1 치수와,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상기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제1 치수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 제2 치수(9)를 가지고, 상기 컨덕터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치수는 상기 제1 경계벽(2)의 대응하는 치수(10)의 20% 내지 4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상기 컨덕터 트랙(6)을 3개 포함하며, 상기 컨덕터 트랙(6)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덕터 지지부(5)의 단일 측면 표면에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지지 장치(1)의 종방향 연장선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트랙(6)은 상기 컨덕터 지지부(5)의 외부 표면을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트랙(6)은 상기 컨덕터 지지부(5)의 측면에서 상기 제1 경계벽(2)으로 향하는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벽(3)은 컨덕터 지지부(5)를 수용, 특히 측면으로 삽입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수용 샤프트(7)를 구비하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상기 수용 샤프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특히 T자형 또는 거꾸로 된 L자형을 가지며 상기 수용 샤프트(7)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벽(3)은, 상기 컨덕터 지지부(5)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웹(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벽(2) 및 제2 경계벽(3), 그리고 특히 제7항에 따른 상기 지지 웹(1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벽(2)은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격자형으로 배열된 홈(13)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특히 제1 경계벽(2)을 관통하는 개구부이고, 전자 장치의 고정 수단과의 포지티브 및/또는 논-포지티브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4) 쪽으로 향하는 제1 경계벽(2)의 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1 경계벽(2)과 상기 제2 경계벽(3) 사이에 예각(8), 특히 65° 내지 85°의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벽(3)은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고 수용 영역(4)을 향해 배향되는 엣지 영역(12)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러그 또는 후크 형상으로 구성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전자 장치(20)의 전기 공급을 위한 공급 수단(40)을 수용하도록 구성 또는 제공되는 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벽(2)은, 특히 컨덕터 지지부(5)에 의해 걸쳐진 영역에서, 경계벽 리브(56) 및 경계벽 리브 사이에 있는 경계벽 협곡(57)의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20)가 의도대로 상기 지지 장치(1)에 삽입될 때 상기 전자 장치(20)의 타겟 방향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경계벽 리브와 경계벽 협곡은 상기 전자 장치(20)의 하우징(21)의 하우징 리브(54) 및 하우징 리브 사이에 있는 하우징 협곡(55)의 구조와 협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장치.
  16. 지지 장치(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전자 장치(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기 공급을 위한, 특히 선반 레일로 구현되는 지지 장치(1)용 공급 수단(40)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40)은 지지 장치(1)의 측면 또는 단부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또는 단부 부분은 공급 수단(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거나 제공되고,
    상기 공급 수단(40)은,
    - 공급 전자기기(42), 및
    - 상기 지지 장치(1)의 컨덕터 지지부(5)에 배치된 컨덕터 트랙(6)과 전기 전도성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공급 전자기기(42)에 연결된 접촉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44)는 제1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44)로 구현되고, 각 접촉 밴드(44)는 공급 전자기기(42)에 연결되는 제1 부분(45),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45)과, 컨덕터 지지부(5)의 컨덕터 트랙(6)과 접촉하기 위한 제2 부분(46),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46)을 가지며, 각각의 접촉 밴드(44)는 곡선 또는 각진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L-형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U-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수단.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접촉 밴드(44)는 제 2 부분(46)에, 컨덕터 트랙(6) 중 하나와 직접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는 아치형 형상(4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수단.
  18.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부(5)가 개방된 하우징 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쪽 면이 개방된 하우징 부분(4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분(41)은 상기 접촉 밴드(44)의 제2 부분(46)과 이에 접촉될 수 있는 컨덕터 트랙(6)의 일부가 밀폐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수단.
  19. 전자 장치(20),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20)로서, 후방벽(22)을 갖는 하우징(21), 특히 스크린(24)을 갖는 전방벽(23), 및 상기 후방벽(22)과 상기 전방벽(23)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25)을 갖고, 상기 측벽(25)은, 상기 후방 벽(22)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고 지지 장치(1)의 컨덕터 지지부(5)를 수용하기 위한 컨덕터 지지 홈(26)을 갖고, 상기 컨덕터 지지부(5)는 전자 장치(20), 특히 디스플레이 유닛(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컨덕터 트랙(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지지부(5)의 컨덕터 트랙(6)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접촉부(27)를 가지며, 상기 컨덕터 지지 홈(26)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분은 제1 하우징 개구를 갖고, 상기 접촉부(27)는 상기 제1 하우징 개구를 통해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개구는 상기 후방 벽(22)에 가장 가까운 컨덕터 지지 홈(26)의 측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2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개구는 각각, 컨덕터 지지부(5)가 의도대로 컨덕터 지지 홈(26)에 삽입될 때의 컨덕터 트랙(6)의 위치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20)는 장치 전자기기(29)를 가지고, 접촉부(27)는 제2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27)로 구현되고, 각각의 접촉 밴드(27)는 장치 전자기기(29)에 연결되는 제1 부분(28),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부분(28) 및 컨덕터 지지부(5)의 컨덕터 트랙(6)과 접촉하기 위한 제2 부분(30), 바람직하게는 제2 단부 부분(30)을 가지며, 제2 그룹의 금속 접촉 밴드(27)는 스프링 요소로 구현되고, 바람직하게 각 접촉 밴드(27)는 곡선 또는 각진 방식으로, 특히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밴드(27)는 제2 부분(30)에서 컨덕터 트랙(6) 중 하나와 직접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융기된 형상부(31)를 가지며, 적어도 접촉 밴드(27)의 융기된 형상부(31)는 관련 하우징 개구에서 하우징(21)으로부터 나와 컨덕터 지지 홈(2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공간 영역안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22)에 고정 하우징 개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고정 메커니즘(32)을 가지며, 상기 고정 메커니즘(32)은 적어도 2개의 움직일 수 있는 고정 후크 또는 러그(33)를 가지며, 상기 고정 메커니즘(32)은 미작동 상태에서 고정 하우징 개구를 통해 돌출되고 고정 메커니즘(32)이 작동되면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32)은 수동식 작동 버튼(34)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식 작동 버튼은 상기 고정 후크 또는 러그(33)에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후크 또는 러그(3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지지 홈(26)의 반대쪽 측벽(25)에서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32)은 버튼(34)을 비작동 상태에서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메커니즘 스프링 요소(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리브(54) 및 하우징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협곡(55)의 구조체가 하우징(21)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리브(54) 및 하우징 협곡(55)은 전자 장치(20)를 상기 지지 장치(1) 내에 의도적으로 삽입할 때 상기 전자 장치(20)의 타겟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1 경계벽(2)의 경계벽 리브(56) 및 리브 사이에 있는 경계벽 협곡(57)과 협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1항 내지 제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장치(1)와, 이에 결합된 제16항 내지 제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 수단(40) 및 상기 지지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20), 특히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37029929A 2021-03-09 2021-03-09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KR20230153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1/055914 WO2022188955A1 (de) 2021-03-09 2021-03-09 Tragevorrichtung, insbesondere regalschiene, zum trag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bevorzugt einer elektronischen anzeigeeinhe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388A true KR20230153388A (ko) 2023-11-06

Family

ID=7494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929A KR20230153388A (ko) 2021-03-09 2021-03-09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64034A1 (ko)
EP (1) EP4305614A1 (ko)
JP (1) JP2024513289A (ko)
KR (1) KR20230153388A (ko)
CN (1) CN117063220A (ko)
AU (2) AU2021432549A1 (ko)
CA (1) CA3205820A1 (ko)
WO (1) WO20221889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4815A (en) * 1993-03-15 1994-12-20 Electronic Retailing Systems Int'l Inc. Technique for locating electronic labels in an electronic price display system
US6550673B2 (en) * 2000-09-19 2003-04-22 Michael J. Massaro Electronic display for store shelves
FI124853B (fi) * 2005-02-17 2015-02-13 Marisense Oy Järjestely tiedon esittämiseksi ja päivittämiseksi
FI120066B (fi) * 2006-09-01 2009-06-15 Marisense Oy Järjestely tietoa esittävän näytön yhteydessä
JP2016047113A (ja) * 2014-08-27 2016-04-07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および大型表示パネル
FR3048806B1 (fr) 2016-03-08 2019-07-05 Store Electronic Systems Systeme d'affichage d'information dans une surface de v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05820A1 (en) 2022-09-15
CN117063220A (zh) 2023-11-14
EP4305614A1 (de) 2024-01-17
JP2024513289A (ja) 2024-03-25
AU2021432549A1 (en) 2023-08-24
AU2023100090A4 (en) 2023-11-16
WO2022188955A1 (de) 2022-09-15
US20240164034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8746B1 (en) Busbar connection system
JP5475952B2 (ja) 誘導ホブの構成方法及び誘導ホブ
KR20170065786A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17648B2 (en)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and methods of populating same
EP3149809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20130341083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JP5309208B2 (ja) 点字ディスプレイ
US20150155643A1 (en) Shelf Lighting Connector Assembly
JP2014517789A (ja) データ導体用取付具、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9167713B2 (en) Box-frame hous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e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US6428352B1 (en) Fastenerless circuit board support
KR20230153388A (ko)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 특히 선반 레일
CN103178369B (zh) 电子模块及其接触元件
KR101438564B1 (ko)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US10404003B2 (en) Interface module
JP5345434B2 (ja) 分電盤のブレーカ取外装置
EP1012926B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for rail mounted display
CN104160715A (zh) 用于形成模块化配电板的系统以及用于组装所述模块化配电板的方法
US7871276B2 (en) Electrical connection bar and adapted connection device
JP6302697B2 (ja) 導電バーの支持構造
JP4458466B2 (ja) プラグインアダプタ
KR20060127965A (ko) 2개 성분의 다수의 신호 라인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위한 시스템
CN107422784B (zh) 用于计算设备机架的引导器
CN102915099B (zh) 电源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