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64B1 -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64B1
KR101438564B1 KR1020110097298A KR20110097298A KR101438564B1 KR 101438564 B1 KR101438564 B1 KR 101438564B1 KR 1020110097298 A KR1020110097298 A KR 1020110097298A KR 20110097298 A KR20110097298 A KR 20110097298A KR 101438564 B1 KR101438564 B1 KR 10143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ening
reinforcing plate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991A (ko
Inventor
기요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판자모양 케이블을 용이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고,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할 수 있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하우징(102)은 상면부(111)와 제1측부(112)와 제2측부(113)를 구비하여 중공(中空)을 이룬다. 상면 개구부(121)는 상면부(111)로 개구하고, FPC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한다. 선단측 개구부(122)는 상면 개구부(121)에 연속하여 제1측부(112)로 개구하고, 보강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한다. 연장측 개구부(123)는 상면 개구부(121)에 연속하여 제2측부(113)로 개구하고, 케이블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한다. 제1이탈방지부(103)는 하우징(102)에 설치되고, 제2측부(113)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보강판의 날개부의 단면에 간섭한다. 제2이탈방지부(104)는 하우징(102)에 있어서 제1이탈방지부(103)보다도 제1측부(112) 측에 설치되고, 하우징(102) 내에 위치하여 상면부(111)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보강판(304)에 간섭한다.

Description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A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프린트회로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FPC cable) 등의 판자모양 케이블의 접속에 사용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인슐레이터(1)의 상면 및 FPC케이블(4) 연장측의 측면부를 개구(開口)하고, 인슐레이터(1)의 개구부 양단측에 FPC케이블(4)을 개구부 내에 결합하기 위한 훅(hook)(3)을 설치한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따르면,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개구부 안으로 FPC케이블(4)을 위로부터 아래로 넣으면, FPC케이블(4)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보강판의 양단이 훅(3)을 가압하여 넓혀서 FPC케이블(4)이 통과함으로써 FPC케이블(4)이 개구부 내에 수용되어서 콘택트(2)에 접속되고, 탄성에 의해 복귀한 훅(3)이 FPC케이블(4)과 콘택트(2)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71826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에서는, 상면으로 개구부가 설치되고 개구부 양단측에 훅이 설치되어, FPC케이블(4)을 수직방향으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FPC케이블(4)의 수직방향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는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높이를 낮게 하는 것)가 요구된다. 이 점에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는, 훅(3)이 케이블(4)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저배화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판자모양 케이블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는, 판자모양의 케이블본체(cable 本體)와, 상기 케이블본체의 면영역(面領域)에 설치되는 단자부(端子部)와, 상기 케이블본체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본체의 단부영역(端部領域)에 설치되는 보강판(補强板)을 구비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을 장착하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여기서 '평행'이라 함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평행한 것 뿐만 아니라 대략적으로 평행한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방향지어진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대향(對向)하는 두 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 및 제2측부를 구비하여 중공(中空)을 이루는 하우징(housing)으로서, 상기 상면부로 개구(開口)하여 상기 판자모양 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면 개구부(上面開口部)와, 상기 상면 개구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측부로 개구하여 상기 보강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선단측 개구부(先端側開口部)와, 상기 상면 개구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2측부로 개구하여 상기 케이블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연장측 개구부(延長側開口部)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안쪽 바닥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2측부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상기 보강판의 날개부의 단면(端面)에 간섭(干涉)하는 제1이탈방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보다도 상기 제1측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상면부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상기 보강판에 간섭하는 제2이탈방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에 의하면, 제1측부 측에 보강판을 위치시키고 판자모양 케이블을 상면 개구부에 통과시켜 판자모양 케이블을 제2측부 측으로 잡아당기면, 보강판의 날개부가 제1이탈방지부에 걸리고, 보강판이 제2이탈방지부와 콘택트에 끼워진다. 따라서 판자모양 케이블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이 제2이탈방지부와 콘택트에 끼워져 있으므로, 특허문헌1에 기재된 훅(3)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FPC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3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FPC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 있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1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1에 보이는 측과는 다른 측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6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7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8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9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6의 P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11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FPC케이블을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2와는 다른 형상의 FPC케이블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13은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실시의 일 형태를 도1 내지 도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형태를 제1실시형태라고 칭한다.
도1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는 기판(201)(도3참조)에 배치되어, 홀드다운부(hold down 部)(102A)가 리플로우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는, 판자모양 케이블로서의 FPC케이블(301)(도2참조)을 장착할 수 있고, FPC케이블(301) 내의 플렉시블 배선(302)(도2참조)과 기판(201) 상의 프린트배선(202)(도3참조)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2는 FPC케이블(301)의 사시도이다. FPC케이블(301)은 케이블본체(303)를 구비한다. 케이블본체(303)는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판자모양을 하고 있다. 케이블본체(303)의 단부(端部)에는 광폭부(廣幅部)(303A)가 형성되어 있다. 광폭부(303A)는 케이블본체(303)의 폭방향의 양쪽 부분에 있어서 바깥측으로 돌출한다. 케이블본체(303)에는 복수개의 플렉시블 배선(3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렉시블 배선(302)은 케이블본체(303)의 폭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어느 것이든 모두 케이블본체(30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플렉시블 배선(302)의 단부에는 사각형모양의 단자부(端子部)(302A)가 설치된다. 단자부(302A)는 광폭부(303A)의 내부 혹은 그 근방에 배치되고, 케이블본체(303)의 일방의 면(제1면(303B))으로 노출하고 있다. 이 제1면(303B)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케이블 본체의 면영역」에 상당하다. 또 도2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것은 케이블본체(303)의 타방의 면(제2면(303C))으로서, 제1면(303B)은 도2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케이블본체(303)의 타방의 면(제2면(303C))의 단부영역(端部領域)에는 보강판(補强板)(304)을 부착할 수 있다. 보강판(304)은 케이블본체(303)보다 딱딱하고, 이 케이블본체(303)와 동등하거나 더 두꺼운 판자모양의 소재로 형성된다. 보강판(304)은 그 평면측을 바라볼 때 케이블본체(303)의 일부와 광폭부(303A)를 합친, 폭이 넓은 철(凸)형상으로 보인다. 보강판(304)은 날개부(304A)를 포함한다. 날개부(304A)는 케이블본체(303)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고, 그 평면측을 바라볼 때 케이블본체(303)의 광폭부(303A)에 일치하게 보인다. 또 보강판(304)을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외래 전자노이즈(外來電磁noise)에 대한 이 부분의 실드성(shield 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FPC케이블(301)이 장착된 상태에 있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하우징(102)은 편평(扁平)하고 대략 직육면체모양을 이루고 있어서, 그 평면측을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모양으로 보이고 가운데가 비어있다. 하우징(102)에는, 상면과 도3의 지면(紙面) 아래측에 보이는 단면과 이와는 반대측에 있는 또다른 일방의 단면에 걸쳐서 연속하고 있는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FPC케이블(301)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는 FPC케이블(301)의 보강판(304)을 도3의 지면 아래측에 보이는 단면측에 위치시키고 FPC케이블(301)을 하우징(102)의 개구에 통과시킨 후, FPC케이블(301)을 케이블본체(303)의 연장방향(도3에 도시된 화살표(K)의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보강판(304)은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102) 내에 삽입되어 하우징(102)에 설치된 제1이탈방지부(103)에 걸리고, 보강판(304)이 하우징(102)에 설치된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 때 콘택트(105)가 FPC케이블(301)의 단자부(302A)(도2참조)에 접촉하여 FPC케이블(301) 내의 플렉시블 배선(302)(도2참조)과 기판(201) 상의 프린트배선(20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FPC케이블(301)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로부터 떼어낼 경우, 작업자는 보강판(304)을 도3의 지면 아래측에 보이는 단면측(화살표(K)와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
도4는 도1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에 보이는 측과는 다른 측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도6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평면도이다. 도7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저면도이다. 도8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정면도이다. 도9는 도6의 P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배면도이다. 도1, 도4, 도5, 도6, 도7, 도8, 도9 및 도10을 참조해서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는 하우징(102)과 콘택트(105)를 구비한다. 하우징(102)은 홀드다운부(hold down 部)(102A)와 수지부(樹脂部)(102B)로 구성된다. 홀드다운부(102A)는 판금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홀드다운부(102A)의 절곡장소(102Aa)는 둥근형상을 띠고 있어 FPC케이블(301)을 유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수지부(102B)는 병렬로 나란히 늘어선 콘택트(105)의 일부를 수지에 의하여 매설하고 홀드다운부(102A)와 함께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1 등에 도시된 형상의 홀드다운부(102A)와는 상이한 형상으로, 판금을 사용하여 형성된 홀드다운부를 사용하여 수지성형을 하고, 판금부분과 수지부분을 합쳐서 도1 등에 도시된 하우징(102)을 성형하더라도 좋다.
하우징(102)은 상면부(111)와, 제1측부(112)와, 제2측부(113)와, 저면부(114)를 구비하여 중공(中空)을 이루고 있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를 기판(201)(도3 참조)에 고정하기 위한 납땜이나 접착제의 도포는, 저면부(114)의 저면측에 있어서 홀드다운부(102A)에 의하여 구성되는 영역(도7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가 기판(201)에 고정되면, 상면부(111)는 기판(20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제1측부(112)와 제2측부(113)는, 상면부(11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두개의 장변(111A, 111B)(도1에만 나타나 있다)의 각각으로부터 기판(201)에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3참조).
하우징(102)에는 상면 개구부(121)와, 선단측 개구부(122)와, 연장측 개구부(123)가 형성된다.
상면 개구부(121)는 상면부(111)로 개구하여,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상하방향의 통과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면 개구부(121)의 폭치수는, 적어도 케이블본체(303)의 폭치수와 동등하거나 더 크다(도3 및 도11참조).
선단측 개구부(122)는 상면 개구부(121)에 연속하고, 제1측부(112)로 개구하고 있다. 선단측 개구부(122)는, 제1측부(112)와 제2측부(113)를 연결하는 방향을 향하여 저면부(114)와 대략 평행하게 움직이는 보강판(304)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선단측 개구부(122)의 폭치수는 보강판(304)의 폭치수와 동등하거나 더 크고, 선단측 개구부(122)의 높이치수는 보강판(304)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더 크다. 또한 선단측 개구부(122)의 주위부분(122A)은 베벨링(beveling)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강판(304)을 선단측 개구부(122)에 유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연장측 개구부(123)는 상면 개구부(121)에 연속하고, 제2측부(113)로 개구하고 있다. 연장측 개구부(123)는, 제1측부(112)와 제2측부(113)를 연결하는 방향을 향하여 저면부(114)와 대략 평행하게 움직이는 케이블본체(303)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연장측 개구부(123)의 폭치수는 케이블본체(303)의 폭치수와 동등하거나 더 크고, 연장측 개구부(123)의 높이치수는 케이블본체(303)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더 크다.
하우징(102)의 저면부(114)에는 중앙 개구부(124)와 사이드 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개구부(124) 및 사이드 개구부(125)는 모두 수지의 일체성형을 수행할 때에 언더컷(undercut)에의 대응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수지성형을 할 때, 중앙 개구부(124)와 사이드 개구부(125) 사이에는 보강체 지지부(127)가 형성된다. 보강체 지지부(127)는 제1측부(112) 측과 제2측부(113) 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저면부(114)의 상면(上面)과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콘택트(105)는 하우징(102)의 안쪽 바닥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02)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된다. 어느 콘택트(105)이든 모두, 중턱의 일부분(도6에서 부호 105A로 나타내는 부분)이 수지부(102B)의 제1측부(112) 측의 영역에 매설되어 있다. 콘택트(105)의 개수 및 위치는, FPC케이블(301)에 설치되는 단자부(302A)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한다. 콘택트(105)는 수지부(102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면부(114)보다 제1측부(112) 측으로 돌출하여 기판(201)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05B)와, 저면부(114)보다 상측이면서 제2측부(113) 측으로 돌출하여 중앙 개구부(124)의 상측에 위치하는 탄성변형부(105C)를 구비한다. 탄성변형부(105C)에는, 보강판(304)을 선단측 개구부(122)로부터 슬라이드 삽입시킴으로써 하우징(102) 내에 위치하게 되는 FPC케이블(301)의 단자부(302A)(도2참조)가 접촉한다.
도1, 도2, 도3, 도8 및 도9를 참조한다. 하우징(102)에 설치되는 제1이탈방지부(103)는, 하우징(102) 내에 위치하고 거기에서부터 제2측부(113)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보강판(304)의 날개부(304A)의 제2측부(113) 측의 단면(304B)에 간섭(干涉)하여, 보강판(304)이 연장측 개구부(12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02)에 설치되는 제2이탈방지부(104)는 제1이탈방지부(103)보다도 제1측부(112) 측으로 설치되고, 상면부(111)와 평행하게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내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부(111)의 상면과 하나의 면을 이루고 있다. 제2이탈방지부(104)는 하우징(102) 내에 위치하는 보강판(304)의 상면(304C)에 간섭(干涉)하여 보강판(304)이 상면부(111)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02)의 저면부(114)의 상면에는 가이드 마크(guide mark)(126)가 형성된다. 가이드 마크(126)는 보강판(304)의 위치결정을 눈으로 확인하는 데에 사용된다. 가이드 마크(126)는 하우징(102)에 있어서 제2이탈방지부(104)보다도 제1측부(112) 측에 위치하고, 콘택트(105)보다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폭방향의 바깥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마크(126)는 콘택트(105)와 홀드다운부(102A)를 일체로 성형할 때에 하우징(102)의 수지부분의 상면측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상측 금형(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수지부(102B)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움푹 패인 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11은 상면 개구부(121)로부터 FPC케이블(301)을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도11에서 FPC케이블(301)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FPC케이블(301)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는 FPC케이블(301)의 보강판(304)과 케이블본체(303)를 가지고서, 이 보강판(304)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제1측부(112) 측에 위치시킨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FPC케이블(301)을 제1측부(112)로부터 제2측부(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케이블본체(303)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상면 개구부(121)에 통과시켜, 케이블본체(303)를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저면부(114)(도5, 도8 등 참조)에 따라 이동시킨다. 이 때 케이블본체(303)는 하우징(102)의 내부로부터 연장측 개구부(123)를 통과하여 제2측부(113) 측으로 연장한다.
도3을 참조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보강판(304)과 케이블본체(303)를 함께 화살표(K)의 방향(제1측부(112)로부터 제2측부(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보강판(304)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선단측 개구부(122)에 통과시켜, 보강판(304)을 제2이탈방지부(104)의 하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 때 보강판(304)의 하면(下面)은, 콘택트(105)의 탄성변형부(105C)에 있어서의 탄성이 시작되는 부분에 접촉하고, 그 후에 콘택트(105)의 탄성변형부(105C)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서, 보강판(304)이 콘택트(105)와 제2이탈방지부(104)에 끼워진다.
작업자는 보강판(304)의 단면(304B)이 제1이탈방지부(103)에 맞부딪칠 때까지 보강판(304)을 제2측부(113) 측으로 움직인다. 이 때 작업자는, 보강판(304)에 있어서의 제1측부(112) 측의 단면(304D)을 위치정렬할 때 가이드 마크(126)를 눈으로 확인하여 위치정렬함으로써 FPC케이블(301)이 불완전한 삽입상태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택트(105)의 탄성변형부(105C)가 FPC케이블(301)의 단자부(302A)에 접촉하고, 보강판(304)이 제1이탈방지부(103)와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접촉하여 안정된다. 여기서 이 때, 보강판(304)은 보강체 지지부(127)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강판(304)을 하측으로 압입하여도 보강판(304)은 보강체 지지부(127)에 막혀서, 콘택트(105)가 변형할 정도의 힘이 콘택트(10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는, FPC케이블(301)을 용이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304)이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끼워져서 안정되므로, 저배화(低背化)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서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PC케이블(301) 내의 플렉시블 배선(302)과 기판(201)상의 프린트배선(202)이 대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배선(302)과 프린트배선(202)을 따라 전기신호가 흐를 때에, 이들의 외주(外周)에 발생하는 자계(磁界)가 전기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히 높은 주파수의 전기신호의 경우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도12는, 도2와 상이한 형상의 FPC케이블(351)을 장착한 모양을 나타내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는, 단부(端部)에 광폭부(303A)(도2참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평면측을 바라볼 때 단부의 두개의 모서리가 사각형모양으로 절단된 것 같은 철(凸)형상으로 보이는 단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단부에 보강판(352)이 부착된 FPC케이블(351)을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FPC케이블(351)의 케이블본체(353)의 폭치수는, 하우징(102)의 제1측부(112) 측에 설치된 선단측 개구부(122)의 폭과 대략 일치한다. 또한 보강판(352)의 선단부분의 폭치수는, 하우징(102)의 제2측부(113) 측에 설치된 연장측 개구부(123)의 폭에 대략 일치한다. FPC케이블(351)의 보강판(352)이 선단측 개구부(122)로부터 슬라이드 삽입되면, 보강판(352)은 제2이탈방지부(104)의 하측으로 들어가고 보강판(352)의 절단된 영역의 단면(352A)이 제1이탈방지부(103)에 맞부딪쳐서, 보강판(352)이 제1이탈방지부(103)와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접촉하여 안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형태를 제2실시형태라고 칭한다. 이 경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3은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105)가 제1실시형태와는 역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어느 콘택트(105)이든 모두 중턱의 일부분이 수지부(102B)의 제2측부(113) 측의 영역에 매설되어 있어서, 기판접속부(105B)가 수지부(102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면부(114)보다 제2측부(113) 측으로 돌출하여 기판(201)에 접속되어 있고, 탄성변형부(105C)가 저면부(114)보다 상측이면서 제1측부(112) 측으로 돌출하여 중앙 개구부(124)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FPC케이블(301)(도2 등 참조)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11에 의거하여 설명한 것 과 마찬가지로, FPC케이블(301)의 보강판(304)(도2 등 참조)을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제1측부(112) 측에 위치시키고, 케이블본체(303)(도2 등 참조)를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상면 개구부(121)에 통과시켜, 케이블본체(303)를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의 저면부(114)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 때 케이블본체(303)는, 하우징(102)의 내부로부터 연장측 개구부(123)를 통과하여 제2측부(113) 측으로 연장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보강판(304)과 케이블본체(303)를 함께 제1측부(112)로부터 제2측부(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보강판(304)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선단측 개구부(122)에 통과시켜, 보강판(304)을 제2이탈방지부(104)의 하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 때 보강판(304)의 하면(下面)은, 콘택트(105)의 탄성변형부(105C)의 선단부분에 접촉한 후에 콘택트(105)를 밀어내린다. 작업자는 보강판(304)의 단면(304B)(도2 등 참조)이 제1이탈방지부(103)에 맞부딪칠 때까지 제2측부(113) 측으로 이동시켜서, 콘택트(105)의 탄성변형부(105C)를 FPC케이블(301)의 단자부(302A)에 접촉시키고 보강판(304)을 제1이탈방지부(103)와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접촉시켜서 안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 있어서도, FPC케이블(301)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304)이 제2이탈방지부(104)와 콘택트(105)에 끼워져서 안정되고, 저배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101)에도, 도12에 나타낸 FPC케이블(351)을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1 :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102 : 하우징
103 : 제1이탈방지부
104 : 제2이탈방지부
105 : 콘택트
111 : 상면부
111A, 111B : 장변(상면부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두 변)
112 : 제1측부
113 : 제2측부
121 : 상면 개구부
122 : 선단측 개구부
123 : 연장측 개구부
126 : 가이드 마크
201 : 기판
301 : FPC케이블(판자모양 케이블)
302A : 단자부
303 : 케이블본체
303B : 케이블본체의 제1면(케이블본체의 면영역)
304 : 보강판
304A : 날개부
353 : 케이블본체

Claims (3)

  1. 판자모양의 케이블본체(cable 本體)와,
    상기 케이블본체의 면영역(面領域)에 설치되는 단자부(端子部)와,
    상기 케이블본체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본체의 단부영역(端部領域)에 설치되는 보강판(補强板)을
    구비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을 장착하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방향지어진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상면부에 있어서의 대향(對向)하는 두 변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부 및 제2측부를 구비하여 중공(中空)을 이루고, 상기 상면부로 개구(開口)하여 상기 판자모양 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면 개구부(上面開口部)와, 상기 상면 개구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1측부로 개구하여 상기 보강판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선단측 개구부(先端側開口部)와, 상기 상면 개구부에 연속하고 상기 제2측부로 개구하여 상기 케이블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연장측 개구부(延長側開口部)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안쪽 바닥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2측부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상기 보강판의 날개부의 단면(端面)에 간섭(干涉)하는 제1이탈방지부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보다도 상기 제1측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상면부 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상기 보강판에 간섭하는 제2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상기 제2이탈방지부는 판금을 프레스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부로부터 상기 제1이탈방지부에 이르는 절곡장소는 둥근형상을 띠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측부 측에서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2이탈방지부보다도 상기 제1측부 측에, 상기 보강판의 위치결정을 눈으로 보아서 확인하기 위한 가이드 마크(guide mark)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10097298A 2011-06-02 2011-09-27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KR101438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4174A JP5181399B2 (ja) 2011-06-02 2011-06-02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11-124174 2011-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91A KR20120134991A (ko) 2012-12-12
KR101438564B1 true KR101438564B1 (ko) 2014-09-05

Family

ID=4723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98A KR101438564B1 (ko) 2011-06-02 2011-09-27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81399B2 (ko)
KR (1) KR101438564B1 (ko)
CN (1) CN102810775B (ko)
TW (1) TWI5014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0725B2 (ja) * 2013-05-10 2017-10-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5747950B2 (ja) 2013-06-20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94074B1 (en) 2018-10-30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ielded magnetic electronic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3531A (ja) * 1993-11-30 1995-06-16 Amp Japan Ltd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621392B1 (ko) 2003-07-30 2006-09-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20110014270A (ko) * 2009-07-27 2011-02-1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편평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826Y2 (ja) * 1992-06-04 1998-05-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10134907A (ja) * 1996-10-31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4146167A (ja) * 2002-10-23 2004-05-20 Jst Mfg Co Ltd 挿入機構付きコネクタ
CN101505015B (zh) * 2009-03-26 2011-06-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连接装置
TWM377761U (en) * 2009-11-27 2010-04-0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ing structure
TWM397048U (en) * 2010-07-06 2011-01-21 P Two Ind Inc The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3531A (ja) * 1993-11-30 1995-06-16 Amp Japan Ltd 平形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621392B1 (ko) 2003-07-30 2006-09-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20110014270A (ko) * 2009-07-27 2011-02-1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편평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51214A (en) 2012-12-16
KR20120134991A (ko) 2012-12-12
TWI501475B (zh) 2015-09-21
CN102810775B (zh) 2015-02-11
CN102810775A (zh) 2012-12-05
JP5181399B2 (ja) 2013-04-10
JP2012252864A (ja)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141B1 (ko) 커넥터
US10651581B1 (en) Connector
US20210194169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730768B1 (ko) 커넥터
US9728882B1 (en) Connector
JP6404248B2 (ja) コネクタ
CN203521677U (zh) 连接器
US931261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detection switch
US8821174B2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KR101202637B1 (ko)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305052B2 (ja)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813621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KR101438564B1 (ko) 판자모양 케이블용 커넥터
JP6279989B2 (ja) コネクタ
US1056673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sliding lock
JP7021293B2 (ja) コネクタ
JP5459266B2 (ja)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H062259U (ja) クリップ式中継コネクタ
JP2021052010A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