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607A -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607A
KR20230152607A KR1020230055693A KR20230055693A KR20230152607A KR 20230152607 A KR20230152607 A KR 20230152607A KR 1020230055693 A KR1020230055693 A KR 1020230055693A KR 20230055693 A KR20230055693 A KR 20230055693A KR 20230152607 A KR20230152607 A KR 2023015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dram
semiconductor memory
memory structure
acces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춘 루
Original Assignee
인벤션 앤드 콜라보레이션 라보라토리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션 앤드 콜라보레이션 라보라토리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인벤션 앤드 콜라보레이션 라보라토리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5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5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with the capacitor higher than a bit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5Bit line conta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50Peripheral circuit reg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80/0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memory device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4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비트 라인 및 감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되는 제1 단자를 갖고,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20×10-3fF 이하이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SEMICONDUCTOR MEMORY STRUCTURE}
본 출원은 2022년 4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335,231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비트 라인에 관련된 총 커패시턴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구조를 도시한 도 1a를 참조하면, 데이터 XIO(예를 들어, 신호 ONE(전압 VCCA(예를 들어, 1.1V)에 대응함) 또는 신호 하이(High))는 데이터 입력 회로 DI를 따라 글로벌 I/O 경로(global I/O path, GIO), 데이터 라인 감지 증폭기(70), 데이터 라인(DL 및 DLB), 그리고 비트 라인(BL 및 BLB)으로 전달될 것이며, 여기서 DLB는 상보 데이터 라인을 나타내고 BLB는 상보 비트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데이터 XIO는 비트 라인(BL)을 통해 메모리 어레이(75)의 해당 저장 노드에 저장될 것이다. 메모리 어레이(75)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증폭기(80)는 비트 라인 스위치(BS100)를 통해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는 비트 라인(BL)에 연결된다. 또한, 감지 증폭기(80)는 비트 라인 스위치(BS100)를 통해 데이터 라인(DLB)에 연결되는 비트 라인(BLB)에도 연결된다. 복수의 DRAM 셀(256, 512, 1024 DRAM 셀 등)은 하나의 비트 라인(BL)에 연결된다. 비트 라인(BL)은 복수의 DRAM 셀 중 첫 번째 DRAM 셀에 연결된 제1 단자 단부(E1) 및 복수의 DRAM 셀 중 마지막 DRAM 셀에 연결된 제2 단자 단부(E2)를 갖는다. 또한, 감지 증폭기(80)는 신호 EN2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를 통해 전압 VCCSA에 연결되고 신호 EN1에 의해 제어되는 또 다른 스위치를 통해 전압 VSS(예를 들어, 0V)에 연결된다. 도 1c에서, 액세스 트랜지스터(11) 및 저장 커패시터(12)를 포함하는 하나의 DRAM 셀을 예로 사용하면, 액세스 트랜지스터(11)의 게이트는 워드 라인(WL)에 연결되고 감지 증폭기(22)는 비트 라인(BL)을 통해 액세스 트랜지스터(11)에 연결되며, 저장 커패시터(12)의 하나의 플레이트(plate)는 플레이트 전압(Vpl)에 연결된다. DRAM 셀은 WRITE 모드에서 비트 라인(BL)으로부터 커패시터로 저장되거나 READ 모드에서 비트 라인으로 전송될 전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액세스 트랜지스터(11)를 사용한다.
요약하면, (1) 도 1a, 1b, 1c에 도시된 DRAM 셀 어레이 설계는, 하나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일반적으로 공칭 약 0.7V인 임계 전압 Vth를 가짐) 및 하나의 저장 커패시터(커패시턴스 Cstorage(일반적으로 17fF)를 가짐)를 포함하는 가장 인기 있는 1T1C 셀과 같은 많은 DRAM 셀을 포함하고, (2) 이러한 많은 1T1C 셀은 비트 라인(BL)으로 명명된 상호 연결에 각각 연결될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가지며, (3) 이러한 1T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또한 워드 라인(WL)으로 명명된 상호 연결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비트 라인(BL)은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교차 커플 회로인 감지 증폭기(22)에 연결된다. 이에 상응하게, 비트 라인으로 상보적인 신호를 운반하고 동일한 감지 증폭기(22)에도 연결되는 비트 라인 바(bit line bar, BLB)로 명명된 또 다른 비트 라인이 있다. 이러한 비트 라인(BL) 및 비트 라인 바(BLB) 상호 연결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전압 전위를 균등화하기 위한 비트 라인 균등화 장치 및 비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비트 스위치 장치와 같이 작동에서 완전한 비트 라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되는 다른 장치가 있다.
도 1d는 대부분의 최신 DRAM의 액세스(READ 또는 WRITE) 작동 동안 관련 신호 파형을 도시한다. READ 명령에 대한 기본 셀 액세스 작동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1) 시작 단계에서 비트 라인(BL) 및 비트 라인 바(BLB)가 일반적으로 이들 비트 라인 균등화 장치를 통해 Half-VCC 레벨에서 균등화되고, (2) 활성 READ 작동이 시작되는 경우, 워드 라인(WL)의 전압이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완전히 턴온(turn on)시키기 위해 VPP와 같은 고전압 레벨로 상승되며, (3) 그런 다음, 저장 커패시터의 DRAM 셀 저장 전하는 전압을 변경하기 위해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비트 라인(BL)으로 전송될 것이고 ― 즉, Half-VCC 레벨 이상에서 가산되거나(초기 감지 신호 ONE이라고 함) 또는 Half-VCC 레벨 아래에서 감산되는(초기 감지 신호 ZERO라고 함) 약 100mV의 작은 감지 전압 ΔV가 나타남 ―, (4) 작은 감지 전압(ΔV)의 크기는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ΔV = 1/2 × VCC × [Cstorage/(Cstorage + Cbitline + Csenseamp + Cbitswitch + Ceq]
(5) 대부분의 전하가 저장 커패시터에서 비트 라인(BL)으로 전송된 후, 교차 커플 감지 증폭기는 작은 감지 전압(ΔV)을 더 큰 신호로 증폭 시작하도록 잘 설계된 래치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DRAM 셀 어레이에 최첨단 설계를 제공하기 위해, Cstorage ~ 17fF, Cbitline ~ 27.5fF(셀 당 각각의 비트 라인 커패시턴스 ~ 0.04fF, 따라서 688개의 셀과 연결되는 비트 라인(BL)의 비트 라인 커패시턴스), (Csenseamp + Cbitswich + Ceq) ~ 11fF, VCC ~ 1.1 V, 결과적으로 ΔV ~ 168 mV이며, 이들은 성공적인 감지 및 증폭에 충분하다. Cstorage 또는 VCC의 설계에 대해 다른 관점을 취하면, 최소 ΔV가 100mV여야 하는 경우, 최소 Cstorage는 10fF이거나 VCC가 0.67V일 수 있다.
전형적인 설계 흐름은 셀 설계, 예를 들어 액세스 트랜지스터 위의 적층 커패시터(적층 커패시터 설계) 또는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트렌치 커패시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정의된 프로세스 통합에 기초하여, 셀 토포그래피(topography)가 잘 정의될 수 있으며, 그 후, 셀 당 비트 라인 커패시턴스가 셀 토포그래피로부터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전체 Cbitline이 결과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존 DRAM에서, 수십 nm 기술 노드(예: 15~28nm 기술 노드)에 의해 제조된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of the bit line, Cbl)는 비트 라인에 688개 또는 512개 셀을 연결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약 40×10-3fF이며, [표 1]은 셀 당 비트 라인과 관련된 커패시턴스의 전형적인 예를 보여준다. 기술 노드는 그러한 기술 노드 프로세스의 최소 피처(feature) 크기 또는 그러한 기술 노드 프로세스의 파운드리(foundry) 제조업자가 주장하는 치수일 수 있다.
컴포넌트 ×10-3fF
비트 라인 대 비트 라인 ~2
비트 라인 대 S-SN (자기 저장 노드) ~13
비트 라인 대 O-SN (기타 저장 노드) ~12
비트 라인 대 워드 라인 ~12
비트 라인 대 기판 ~1
전체 40
비트 라인과 관련된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가 클수록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DRAM 셀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비트 라인과 관련된 전체 커패시턴스를 줄이는 방법이 DRAM 셀 설계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셀, 비트 라인 및 감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된 제1 단자를 갖고,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20×10-3fF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약 10×10-3fF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10×10-3~20×10-3fF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되고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비트 라인 및 감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된 제1 단자를 갖고,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of the bit line, Cbitline)는 14fF보다 낮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4~10fF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더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된다. 비트 라인의 제1 측면은 제1 절연 물질에 의해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되고, 제1 측면에 대향하는 비트 라인의 제2 측면은 제2 절연 물질에 의해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되며, 제1 절연 물질은 제2 절연 물질과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절연 물질은 SiO2이고, 제2 절연 물질은 SiOCN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중 제1 DRAM 셀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영역에 연결된 워드 라인을 더 포함한다. 워드 라인은 비트 라인 위로 교차하고, 게이트 영역의 바닥면은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비트 라인 및 감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된 제1 단자를 갖고,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복수의 DRAM 셀은 1032개보다 많은 DRAM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DRAM 셀은 약 1240~9370개의 DRAM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DRAM 셀은 약 1300~3900개의 DRAM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더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비트 라인, 감지 증폭기 및 전압원을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전압원은 감지 증폭기와 비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원은 감지 증폭기에게 0.85V 이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압원은 감지 증폭기에게 약 0.4V~0.8V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압원은 감지 증폭기에게 약 0.38V~0.6V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와 구조적으로 상이한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는 복수의 DRAM 셀, 비트 라인 및 감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비트 라인은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의 것의 1/2보다 낮으며, 여기서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는 수십 nm 기술 노드이거나 또는 10nm 이하의 기술 노드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의 것의 1/4보다 낮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다양한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특허 또는 출원 파일은 컬러로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한다. 컬러 도면(들)이 포함된 본 특허 또는 특허 출원 공개 공보의 사본은 요청 및 필요한 수수료 지불 시 특허청에서 제공될 것이다.
도 1a는 종래 저전력 DRAM에 대한 기록 작동 동안 데이터 경로 상의 전압 스윙을 도시한다.
도 1b는 DRAM 셀의 WRITE 작동 동안 2개의 개별 전압원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감지 증폭기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다.
도 1c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RAM 셀의 설계를 도시한다.
도 1d는 가장 최신의 DRAM의 액세스(READ 또는 WRITE) 작동 동안 관련된 신호 파형을 도시한다.
도 2a는 DRAM 셀과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b, 도 2c는 저장 노드(SN)에 대한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 워드 라인(WL)에 대한 UGBL, 및 기판에 대한 UGBL의 커패시턴스에 대응하는 TCAD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d, 도 2e, 도 2f, 도 2g, 도 2h, 도 2i는 비트 라인(UGBL) 대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에 대응하는 TCAD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낮은 커패시턴스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은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위에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9는 U자형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된 저장 커패시터(또는 저장 노드(SN))를 도시한다.
미리 선택된 셀 설계 구조로부터 값을 정의하는 상기 방식을 조사함으로써, 셀 당 Cbitline(Cbitline per cell, Cbl)이 셀 토포그래피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계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다. 즉, 셀 당 Cbitline이 기존의 셀 당 Cbitline의 적어도 1/4 이상이 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본 발명은 훨씬 더 낮은 Cbitline을 달성하기 위해 셀 구성을 검색하거나 최적으로 설계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십 nm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셀 당 Cbitline("Cbl")은 기존 DRAM 구조의 경우 약 40×10-3fF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새로운 DRAM 셀 구조의 셀 당 Cbitline은 10×10-3fF ~ 20×10-3fF와 같이 30×10-3fF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10×10-3fF(예를 들어, 기존 DRAM 구조에서 Cbl의 1/4)를 예로 사용하면, Cbitline은 각각 ~5.12fF(512 DRAM 셀의 경우) 및 ~6.88fF(688 DRAM 셀의 경우)가 될 것이다. [표 1]에 나타낸 비트 라인 설계와 대조적으로, Cbitline이 각각 20.48fF(비트 라인의 512 DRAM 셀의 경우) 및 27.52fF(비트 라인의 688 DRAM 셀의 경우)가 될 것이다.
다음은 매우 낮은 커패시턴스를 갖는 비트 라인을 갖는 새로운 DRAM 셀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DRAM 셀의 액세스 트랜지스터는 리세스 게이트(201), 드레인(216) 및 소스(213)를 포함한다. 리세스 게이트(예를 들어, 텅스텐(W), 기타 금속, 또는 폴리 실리콘으로 제조됨)(201)는 반도체(실리콘과 같음) 기판(200)의 상단면 또는 수평 실리콘 표면(horizontal silicon surface, HSS)은 아래에 있을 수 있으며 30nm보다 작고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리세스 게이트(201)에 연결된 워드 라인(텅스텐 또는 기타 금속으로 제조됨)은 Z 방향을 따라 전파된다. 리세스 게이트(201)를 둘러싸는 게이트 유전체층으로서 ~2nm 하이-k(high-k, Hi-K) 절연체층(또는 5nm 산화물층)(203)이 있다. 리세스 게이트(201) 위에, ~16nm의 폭을 갖는 복합 캡층으로서 ~25nm 질화물층(205) 및 ~25nm 산화물층(207)이 있다. 캡층의 측벽 주위에는 스페이서로서 ~1nm 질화물층(209) 및 ~2nm 산화물층(212)이 있다. 폭이 ~9nm인 소스(213)와 폭이 ~9nm인 드레인(216)은 리세스 게이트(201)의 양측(X 방향)에 위치한다.
드레인(216) 옆에는 폭이 약 18nm이고 높이가 약 110nm~120nm인 제1 홀(220)이 있다. 산화물층(222)은 제1 홀(220)의 바닥 및 측벽을 덮고, 연결 플러그(텅스텐 또는 기타 금속,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음)(224)가 제1 홀(220) 내에 증착되고 산화물층(22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 홀(220)의 측벽을 덮는 산화물층(222)의 두께는 4nm와 같이 2~6nm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200)의 상단면 HSS와 연결 플러그(224) 사이에는 연결 플러그(224)를 덮는 (n+ 실리콘과 같은) 고농도 도핑 물질(226)이 존재하며, 고농도 도핑 물질(226)은 연결 플러그(224) 및 드레인(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농도 도핑 물질(226)의 상단에는 저장 커패시터(도 19에서 소개될 것임)로부터 드레인(216)을 절연하기 위한 산화물층(228)이 있다.
반도체 기판(200)의 상단면 HSS로부터 ~70nm 아래에,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nderground bit line, "UGBL")이 형성되어 연결 플러그(224)에 연결된다. 비트 라인(UGBL)의 높이는 ~40nm이며, 도 2a에서 도시된 점선 직사각형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X 방향을 따라 전파된다. 비트 라인(UGBL)은 반도체 기판(200)으로부터 완전히 절연되고, 비트 라인(UGBL)의 제1 측면은 (SiO2와 같은) 제1 절연 물질에 의해 반도체 기판(200)으로부터 절연되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비트 라인(UGBL)의 제2 측면은 (SiOCN 또는 Si3N4와 같은) 제2 절연 물질에 의해 반도체 기판(200)으로부터 절연된다. 또한, AQ1, AQ2, AQ3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도 2b의 기술 컴퓨터 지원 설계(Technology Computer-Aided Design, TCAD) 시뮬레이션 결과는, 워드 라인 전압=0V; 비트 라인(UGBL)에 연결된 텅스텐으로 제조된 연결 플러그(231)의 전압=0V; 텅스텐으로 제조된 연결 플러그(231)를 덮는 스페이서(도 2a에 도시된 산화물층(222)으로 지칭될 수 있음)의 두께는 4nm; SN(230)의 전압=0V; P-기판의 전압=-0.5V; 저장 커패시터로부터 고농도 도핑 물질(도 2a에 도시된 고농도 도핑 물질(226)로 지칭될 수 있음)을 절연하기 위한 산화물층(232)의 두께는 20nm; P-기판의 도핑 농도=5×1018/cm3; SN(230)의 전극은 소스 위의 선택적 성장 물질(예를 들어, 도핑 농도가 2×1020/cm3인 n+ 도핑된 실리콘)로 제조되고(이러한 도핑된 실리콘 전극은 도 6에서 소개될 것임), 저장 커패시터의 상단 플레이트(234)는 텅스텐으로 제조되는 조건 하에서, DRAM 셀 당 자기 저장 노드(self storage node, S-SN)(230)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가 ~3.8×10-4fF이고, DRAM 셀 당 P-기판(도 2a의 반도체 기판(200)으로 지칭될 수 있음)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는 약 5×10-3fF이며, DRAM 셀 당 워드 라인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는 약 1.7×10-3fF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기판에서 점선 곡선으로 표시된 공핍 영역의 증가로 인해, 본 발명에서 DRAM 셀 당 비트 라인 대 워드 라인 커패시턴스는 종래의 DRAM 구조에서의 것([표 1]에서 12×10-3fF)과 비교하여 극적으로 감소된다(예를 들어, 1.7×10-3fF).
또한, 도 2b에서, S-SN(자기 저장 노드)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도 기존 DRAM 구조에서의 것([표 1]에서 13×10-3fF)과 비교하여 ~3.8×10-4fF로 극적으로 감소되었다. DRAM 어레이의 대칭으로 인해, DRAM 셀 당 O-SN(다른 저장 노드)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는 본 발명에서 DRAM 셀 당 S-SN(자기 저장 노드)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c는 또 다른 TCAD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며, 도 2b와 도 2c 사이의 구조 차이가 텅스텐으로 제조된 연결 플러그를 덮는 스페이서의 두께가 4nm에서 6nm로 증가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DRAM 셀 당 P-기판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는 5×10-3fF에서 3.5×10-3fF로 감소되고, DRAM 셀 당 워드 라인(WL)에 대한 비트 라인(UGBL)의 커패시턴스는 1.7×10-3fF에서 1.5×10-3fF로 감소된다.
또한, 도 2d에서의 TCAD 시뮬레이션 결과는 DRAM 셀 당 비트 라인 대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가, 워드 라인의 전압=0V; 하나의 주요 비트 라인의 전압=0.5V 및 다른 비트 라인의 전압=0V; P-기판의 전압=-0.5V; 비트 라인의 제2 측면을 덮는 SiOCN(예를 들어, 유전 상수 K~4.0)의 두께가 6nm; P-기판의 도핑 농도=5×1018/cm3인 조건 하에서, 1.91×10-3fF임을 설명한다. [표 2]는 도 2e, 2f, 2g, 2h, 2i에서의 TCAD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워드 라인 전압 및 주요 비트 라인 전압에서 DRAM 셀 당 비트 라인 대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VWL (volt) VBL(volt) fF/cell
CBL-CBL 1 0 5.5Х10-4(도 2g)
1 0.5 1.96Х10-3(도 2h)
1 1 2.6Х10-3(도 2i)
CBL-CBL 0 0 5.5Х10-4(도 2e)
0 0.5 1.91Х10-3(도 2d)
0 1 2.6Х10-3(도 2f)
전술한 토포그래피와 계산에 따르면, 커패시턴스가 매우 낮은 비트 라인을 갖는 제안된 DRAM 구조에서, [표 3]의 다음 컴포넌트를 갖는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약 ~10.06×10-3fF이며, 이는 기존 DRAM 구조(40×10-3fF)에서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의 약 1/4이다. 본 발명에 따른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제안된 DRAM 구조의 추가 수정에 의해 훨씬 더 낮아질 수 있다.
컴포넌트 ×10-3fF
비트 라인 대 비트 라인 ~2.6
(표 2에서 가장 큰 것)
비트 라인 대 S-SN (자기 저장 노드) ~0.38(도 2b)
비트 라인 대 O-SN (다른 저장 노드) ~0.38(도 2b)
비트 라인 대 워드 라인 ~1.7(도 2b)
비트 라인 대 기판 ~5(도 2b)
전체 10.06
도 3을 참조하며,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턴스가 낮은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0: 시작한다.
단계 20: 언드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을 형성한다.
단계 30: DRAM 셀의 워드 라인 및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단계 40: 액세스 트랜지스터 위에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단계 50: 종료한다.
단계 20: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을 형성한다:
전술한 제조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p형 실리콘 웨이퍼(즉, p형 기판(202))로 시작한다.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산화물층(204)은 수평 표면(208)(즉, 수평 실리콘 표면(HSS) 또는 원래 반도체 표면(original semiconductor surface, OSS)으로 명명됨) 위에 형성되고, 그 다음에 패드-질화물층(206)이 패드 산화물층(204) 위에 증착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M 셀 어레이의 활성 영역은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 기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활성 영역 패턴 외부의 수평 실리콘 표면(208)이 노출되기 때문에, 활성 영역 패턴 외부의 수평 실리콘 표면(208)에 대응하는 실리콘 물질의 일부가 트렌치(또는 커넬(canal))(210)를 생성하기 위해 이방성 식각 기술로 제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를 들어, 트렌치(210)는 HSS 아래에서 250nm 깊이일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층(214)은 트렌치(210)를 완전히 채우도록 증착된 다음, 트렌치(210) 내부의 얕은 트렌치 절연(shallow trench isolation, STI)이 HSS 아래에 형성되도록 산화물층(214)이 에치백(etch back)된다. 또한,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도 4의 (a)는 도 4의 (b)에 도시된 X 방향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STI는 약 50nm의 두께를 갖고, 트렌치(210)가 HSS 아래 250nm 깊이이면 STI의 상단은 HSS 아래 약 200nm 깊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를 사용하여 트렌치(210)의 2개의 대칭 에지에 비대칭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비대칭 스페이서의 질화물-1(또는 SiOCN과 같은 다른 낮은 K 유전체 물질) 스페이서(예를 들어 3nm)가 먼저 트렌치(210)의 2개의 대칭 에지 중 하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 후, 비대칭 스페이서의 산화물-1 스페이서(예를 들어, 4nm)는 트렌치(210)의 2개의 대칭 에지 중 상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1 스페이서 및 산화물-1 스페이서는 트렌치(210)의 하부 에지 및 상부 에지를 각각 덮는다. 비대칭 스페이서의 구조(도 5에 도시됨)는 트렌치의 2개의 대칭 에지 상의 비대칭 스페이서로 명명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I는 그 위에 추가된 훨씬 더 얇은 산화물층(산화물-1/STI층(504)이라고 함)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는 Y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그 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210)에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902)을 형성하기 위해 후속 공정 조건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금속층(또는 전도성 물질)이 증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902)은 W로 약칭되는 텅스텐일 수 있으며, 여기서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902)의 상단은 HSS보다 훨씬 낮다(예를 들어,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902)의 두께는 약 40nm임). 또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902)은 STI 상단에 위치하며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902)의 양 측벽은 비대칭 스페이서, 즉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 및 산화물-1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 경계를 이룬다. 또한,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며, 여기서 도 6의 (a)는 도 6의 (b)에서 Y 방향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902)이 패드-질화물층(206)에 의해 커버되는 2개의 활성 영역 사이의 캐널 또는 트렌치(210)를 따라 연장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 다음, 도 7(도 6의 (b)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2층(1002)(CVD-STIoxide2라고 함)은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902)위의 트렌치(210)를 채울 만큼 충분히 두꺼울 필요가 있고, 그 후 산화물-2층(1002)은 패드-질화물층(206)의 상단만큼 높게 평평해진 일부 부분을 남겨두기 위해 재연마되며, 여기서 산화물-2층(1002)은 패드 질화물층(206)/패드 산화물층(204)에 의해 경계를 이루며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 및 산화물-1 스페이서 모두를 덮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902)(즉, 상호 연결 라인)은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UGBL)으로 명명되는 트렌치(210) 내부의 모든 절연체(즉, 절연 영역)에 의해 매립되고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그리고 나중에 언더그라운드 비트 라인(902)은 DRAM 셀 어레이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될 것임).
단계 30: DRAM 셀의 워드 라인 및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다음 설명은 DRAM 셀(1T1C 셀)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워드 라인은 자기체 정렬 방법에 의해 동시에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모든 연관된 게이트 구조를 연결하므로, 게이트 구조와 워드라인은 모두 텅스텐(W)과 같은 금속의 일체로서 연결된다.
그런 다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두꺼운 산화물-3층(1102), 두꺼운 질화물-2층(1104) 및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1106)가 증착된다. 그 후, 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의 불필요한 부분이 식각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트랜지스터/워드 라인 패턴은 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의 복합층에 의해 정의될 것이며, 여기서 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의 복합층은 활성 영역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중 스트라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워드 라인을 정의하기 위한 세로(Y 방향) 스트라이프(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가 형성되며, 여기서 활성 영역은 세로 스트라이프 사이의 교차점 사각형에 위치하고, 도 8의 (a)는 도 8의 (b)에 도시된 X 방향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는 패드-질화물층(206) 및 패드-산화물층(204) 위의 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의 세로 스트라이프를 갖는 직물형 체커보드(fabric-like checkerboard) 패턴을 나타내고, 활성 영역 및 STI는 모두 수평 방향(즉, 도 8의 (b)에 도시된 X 방향)에 있다. 활성 영역은 일종의 자기 정렬 기술로 액세스 트랜지스터가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점 사각형에서 노출된 HSS는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어 (U자형과 같은) 오목부를 생성하며, 여기서 U자형 오목부는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U자형 채널(1302)을 위한 것이고, 예를 들어 수평 실리콘 표면(HSS)으로부터 U자형 오목부의 수직 두께는 약 30~60nm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로서 고유전율 절연체층(1304)의 층을 형성하고, 워드 라인/게이트에 적합한 적절한 게이트 전도성 물질(텅스텐, W)(1306)을 선택하며,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워드 라인 및 리세스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세로 스트라이프(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 사이의 공극에 이러한 물질을 증착한다. 일 예에서, 게이트 물질(1306)의 상단은 p형 기판(202)의 HSS보다 낮다. 또한, 게이트 물질(1306) 상에 SiOCN층(1308) 및 산화물층(1310)(또는 다른 복합 유전체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게이트 캡층을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채널(1302)을 갖는 새로 제안된 액세스 트랜지스터(이하 U-트랜지스터라 칭함)는 최신 매립형 워드 라인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세스된 트랜지스터와 다르다. U-트랜지스터는 Y 방향(즉, 채널 폭 방향)을 따라 두 면이 CVD-STI-oxide2(1002)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본체와 U-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대응하는 측면 상에 U자형 채널(1302)의 하나의 에지의 깊이를 포함하는 채널 길이, U자형 채널(1302)의 바닥의 길이, 및 U-트랜지스터의 소스에 대응하는 측면 상에 U자형 채널(1302)의 다른 에지의 깊이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3층(1402)(즉, 유전체 캡)이 증착되고 산화물-4층(1404)이 이어서 증착되며, 여기서 질화물-3층(1402) 및 산화물-4층(1404)은 2개의 인접한 세로 스트라이프(산화물-3층(1102) 및 질화물-2층(1104)) 사이의 공극을 채우기에 충분히 큰 전체 두께로 적층된다. 그 다음, 산화물-4층(1404)은 워드 라인(즉, 게이트 물질(1306)) 바로 위의 산화물-4층(1402) 및 질화물-3층(1402)으로 구성된 복합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질화물-2층(1104)의 상단까지 평탄화되도록 에치백(또는 재연마)된다.
그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물-2층(1104)은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고 산화물-4층(1404)/질화물-3층(1402)이 워드 라인 위에 남는다. 그 후, 산화물-3층(1102)이 또한 이방성 식각에 의해 식각되어 패드-질화물층(206)을 노출시킨다. 게이트 구조(예: 산화물-4층(1404)/질화물-3층(1402)/게이트 물질(1306))는 U자형 오목부 내부의 U-트랜지스터 게이트와 세로 방향(즉, Y 방향)의 워드 라인 모두에 대해 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질화물층(206)은 패드-산화물층(204)을 남기기 위해 모든 곳에서 제거된다. CVD-STI-oxide2(즉, 산화물-2층(1002))는 패드-산화물층(204)의 상단만큼 높도록 평탄화하기 위해 에치백된다. 그 다음, 질화물-4층(1602)이 증착되고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어 잘 설계된 적절한 두께를 갖는 질화물-4 스페이서를 생성한다. 그 후, 산화물-5층(1604)이 증착되고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어 산화물-5 스페이서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폴리실리콘-1층(1606)(즉, 진성 및 도핑되지 않음)이 전체 표면 위에 증착되고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어 워드 라인(예를 들어, 워드 라인-1, 워드 라인-2, 워드 라인-3)을 둘러싸도록 폴리실리콘-1 스페이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요약하면, 산화물-5 스페이서 및 질화물-4 스페이서 외부에 폴리실리콘-1 스페이서가 있고, 전술한 모든 스페이서는 게이트 구조의 측벽을 따라 둘러싸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 라인과 비트 라인을 갖는 DRAM 셀 어레이를 설명하는 편의 및 명료성을 위해, 중앙에 위치한 워드 라인은 워드 라인-1(액세스 트랜지스터 AQ1에 대응함)로 라벨링되고, 워드 라인-1의 좌측면에 있는 워드 라인은 워드 라인-2(액세스 트랜지스터 AQ1의 좌측면에 있는 액세스 트랜지스터 AQ2에 대응함)로 라벨링되며, 패드-산화물층(204)에 의해 여전히 덮여있는 워드 라인-1과 워드 라인-2 사이의 드레인 영역(드레인-1 및 드레인- 2)은 액세스 트랜지스터(AQ1)의 드레인 및 액세스 트랜지스터(AQ2)의 드레인을 위해 예약된다. 워드 라인-1의 우측면에 있는 워드 라인은 워드 라인-3(액세스 트랜지스터 AQ1의 우측면에 있는 액세스 트랜지스터 AQ3에 대응함)로 라벨링되고, 패드-산화물(204)에 의해 여전히 덮여 있는 워드 라인-1과 워드 라인-3 사이의 소스 영역(소스-1 및 소스-3)은 액세스 트랜지스터(AQ1)의 소스 및 우측 액세스 트랜지스터(AQ3)의 소스를 위해 예약된다.
그런 다음, 워드 라인 사이의 공극(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에 대응함)을 채울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꺼운 스핀온 유전체(spin-on dielectrics, SOD)를 증착하고, 그 후 CMP 기술에 의해 산화물-4층(1404)의 상단을 사용하여 SOD를 평평한 수준으로 재연마한다. 이후, 폴리실리콘-1 스페이서의 상부 일부가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된다. 그 다음, 캡-산화물-1층(1704)이 폴리실리콘-1 스페이서 상단의 공극을 채우기 위해 증착된 후, CMP 기술로 평탄화되어 산화물-4층(1404)의 상단 높이로 맞춰진다.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D가 식각되며, 여기서 SOD는 이들이 잘 유지되도록 증착되거나 열적으로 성장된 산화물층보다 훨씬 더 높은 식각률을 갖는다. 그 후, 질화물-5층(1802)이 도 12에 도시된 전체 표면 위에 증착된다.
그런 다음, 모든 워드 라인 사이의 공극을 채울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꺼운 SOD(1902)를 증착한 다음, SOD(1902)를 질화물-5층(1802)의 상단과 함께 평평한 레벨로 재연마한다. 그 후, 드레인 영역(즉, 드레인-1 및 드레인-2)을 위해 예약된 영역을 덮고 소스 영역(즉, 소스-1 및 소스-3)을 위해 예약된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해 평평한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도포한다. 그런 다음, 모든 워드 라인을 둘러싸는 질화물-5층(1802)을 자기 정렬 마스크로 활용하여 소스 영역에 대해 예약된 영역에 대응하는 SOD(1902)를 제거한다.
그 후, 2개의 워드 라인(워드 라인-1 및 워드 라인-3) 사이의 소스 영역 중앙에 노출된 질화물-5층(1802) 및 패드-산화물층(204)이 식각되어 HSS를 노출시킨다. 노출된 HSS는 액세스 트랜지스터(AQ1)의 소스-1과 액세스 트랜지스터(AQ3)의 소스-3 사이에 위치하므로, 소스-1과 소스-3 사이의 노출된 HSS가 HSS-1/3로 지칭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방성 식각 기술을 활용하여 HSS-1/3 아래의 실리콘 재료(소스 영역의 중심에 대응함)를 파서 제거하여,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하부 에지 질화물-1과 산화물-1 스페이서(도 13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리고 다른 2개의 대향 측면 상의 p형 기판(202)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 홀-1/3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산화물-7층(2102)을 열적으로 성장시켜서 홀-1/3을 채우고(또는 적절한 유전 재료를 증착하고), 산화물-7층(2102)은 또한 캡-산화물-1층(1704)의 상단에서 부분적으로 성장될 수 있지만 질화물-5층(1802) 상의 산화물 성장이 없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않다. 홀-1/3을 채우는 산화물-7층(2102)은 패드 산화물층(204)의 상단만큼 높도록 평탄화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산화물-7 플러그로 불린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SOD층(2202)을 증착하며, 여기서 다른 SOD 층(2202)은 홀-1/3에서 산화물-7층(2102)의 상단에 있는 공극을 채울 만큼 충분히 두껍고, 또 다른 SOD층(2202)의 상단 물질은 또 다른 SOD층(2202)의 상단이 질화물-5층(1802)의 상단만큼 높게 평평해질 때까지 CMP 기술에 의해 제거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기술을 사용하여 소스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하고 드레인 영역을 위해 예약된 영역을 노출시키며, 여기서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기술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는 임계 마스크가 아니며 유일한 기능은 HSS-1/3을 통한 처리와 별도로 HSS-1/2에 대한 처리를 허용하는 것이다. 그 다음, HSS(즉, HSS-1/2)를 노출시키기 위해 노출된 SOD(1902), 노출된 질화물-5층(1802) 및 노출된 패드-산화물층(204)이 제거된다. 그 후, HSS-1/2에 대응하는 실리콘 재료는 홀-1/2을 생성하기 위해 이방성 식각에 의해 파져서 제거되며, 여기서 홀-1/2은 p형 기판(202)의 2개의 대향면, 즉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에 의한 제3 측면, 및 산화물-1 스페이서에 의한 제4 측면 각각에 의해 물리적으로 둘러싸여 있고, 제3 측면 및 제4 측면 모두는 CVD-STI-oxide2에 의해 외부 경계가 추가된다.
그런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산화물-8층(2402)이 열적으로 성장되어 산화물-8 스페이서를 생성하여 홀-1/2의 4개의 측벽 중 3개의 내측벽과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로 덮인 제3 측벽을 제외한 홀-1/2의 바닥을 덮는다. 또한, 산화물-8층(2402)은 캡-산화물-1층(1704)의 상단에서 부분적으로 성장된다. 도 15는 홀-1/2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고 X 방향에 수직인 Y2 방향에 따른 DRAM 셀 어레이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영역은 CVD-STI-oxide2(1002), 비트 라인(UGBL), 산화물-1 스페이서 및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에 의해 샌드위치된다.
그 후, 등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홀-1/2 내부의 제3 측벽 상의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질화물-5층(1802)이 동시에 제거된다(등방성 식각 기술이 HSS 위의 다른 구조체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고 홀-1/2 내부의 산화물-8층(2402)을 제거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가 너무 얇기 때문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층(예: 폴리실리콘, 또는 텅스텐과 같은 금속층)(2802)을 증착하며, 여기서 전도성층 또는 금속층(2802)은 홀-1/2를 채울 만큼 충분히 두껍고, 그 후 HSS 위의 모든 금속층(2802)이 등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에치백되어 홀-1/2 내부에 전도성 또는 텅스텐 플러그를 남기고, 전도성 또는 텅스텐 플러그는 원래 하부 에지 질화물-1 스페이서에 의해 덮여 있는 홀-1/2의 제3 측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UGBL과 연결된다. 그런 다음, 질화물-6층(2804)이 증착되고 이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식각되어 예약된 드레인 영역에 대응하는 폴리실리콘-1 스페이서를 둘러싸는 질화물-6 스페이서를 생성한다.
그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S 아래의 텅스텐 플러그의 일부 상부를 에치백하며,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스텐 플러그는 텅스텐 플러그의 측벽에서 홀-1/2 내부의 UGBL의 측벽까지 UGBL에 연결된다.
그런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방성 식각 기술을 이용하여 홀-1/2에서 산화물-8층(2402)의 상부를 잘 설계된 양만큼 제거함으로써 그에 따라 홀-1/2 내부의 산화물-8 스페이서가 텅스텐 플러그의 높이보다 더 낮아진다. 캡-산화물-1층(1704)의 일부가 또한 식각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에피택시 성장 기술을 이용하여 2개의 노출된 실리콘 에지(산화물-8층(2402) 및 텅스텐 플러그 위 및 인접)로부터 n+ 인-시츄(in-situ) 도핑된 실리콘층을 측면 성장시킴으로써, 각각 액세스 트랜지스터(AQ1, AQ2)의 드레인-1 및 드레인-2로서, 그리고 또한 UGBL과 액세스 트랜지스터(AQ1, AQ2) 사이의 전도성 브리지(즉, 브리지 컨택)로서 홀-1/2의 2개의 측면 상에서 HSS에 연결되는 목걸이형 전도성 n+ 실리콘 드레인(n+ 실리콘 드레인-칼라(collar)로 명명됨)을 생성한다.
그 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 설계된 두께를 갖는 산화물-9층(3302)이 HSS-1/2를 캡핑(cap)하기 위해 n+ 실리콘 드레인-칼라 위에 국부적으로 열적 성장된다(그리고 이러한 산화물-9층(3302)은 캡-산화물-1층(1704)을 덮을 수 있음). 또한, LDD 영역 및/또는 다른 고농도 도핑 영역이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워드라인, UGBL, U자형 트랜지스터가 완전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 공정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실리콘 드레인 칼라를 덮는 산화물-9층(3302)의 일부를 패드-산화물(204)과 같은 높이를 갖는 두께로 에치백하고, 캡-산화물-1층(1704)을 덮는 산화물-9층(3302)이 식각된다. 그 다음, 홀-1/2 위에 있는 산화물-9층(3302) 위의 공극 내부에 두꺼운 진성 폴리실리콘-a층(3402)을 증착하고 폴리실리콘-a층(3402)을 에치백한다. 등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질화물-6 스페이서(질화물-6층(28004))를 제거한다. 진성 폴리실리콘-b층(3502)을 증착한 다음, 이방성 식각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실리콘-b층(3502)을 에치백하여 폴리실리콘-a층(3402)의 우측으로 인접한 공극을 채우기 위한 일부 잔류물을 남겨서 폴리실리콘-a층(3402) 및 폴리실리콘-b층(2502) 모두의 거의 동일한 두께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모든 SOD(즉, SOD층(1902) 및 다른 SOD층(2202))가 제거되고 질화물-5층(1802)이 등방성 식각 기술에 의해 제거된다.
단계 40: 액세스 트랜지스터 위에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커패시터(또는 저장 노드(SN))는 U자형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실리콘/고도로 도핑된 실리콘으로 제조된 저장 커패시터의 한 전극은 소스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텅스텐(또는 다른 전도성 물질)으로 제조된 저장 커패시터의 다른 전극은 모든 저장 커패시터에 의해 공유되는 상대 전극이다. Hi-K 유전 절연체가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저장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공정인 도 19는 2021년 6월 2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특허 제17/337,391호(제목: 메모리 셀 구조체)를 참조할 수 있으며,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포함된다.
요약하면, DRAM 셀 어레이 설계의 비트 라인 커패시턴스 감소가 제공되며, 여기서 본 발명의 셀 당 Cbitline은 ~10×10-3fF(실제로 기존 DRAM 구조의 셀 당 Cbitline의 약 1/4임) 또는 그 이하와 같이 기존의 DRAM 구조의 셀 당 Cbitline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학식에 따라 셀 당 Cbitline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DRAM 어레이 설계 파라미터의 다른 선택 사항이 있다. 예를 들면, (1) Cbitline이 기존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ΔV는 여전히 감지에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나의 비트 라인에 더 많은 DRAM 셀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2) VCC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ΔV는 여전히 감지를 위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 당 Cbitline이 0.04fF에서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셀의 개수는 688개에서 1376개, 2752개 및 3922개로 각각 증가될 수 있지만, ΔV는 여전히 ~0.168V로 유지된다.
ΔV (v) 셀 당 Cbitline
(fF)
비트 라인 당 셀 Cbitline (fF) VCC (v) Cstorage (fF) Csenseamp +기타
(fF)
0.168 0.04 688 27.5 1.1 17 11
0.168 0.02 1376 27.5 1.1 17 11
0.168 0.01 2752 27.5 1.1 17 11
0.168 0.007 3922 27.5 1.1 17 11
다음의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ΔV가 0.1V로 감소될 수 있고, Cstorage가 17fF이며, 셀 당 Cbitline이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셀의 개수는 각각 3280, 6550 및 9371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ΔV가 0.1V로 감소되고, Cstorage가 17fF에서 8fF로 감쇠되며, 셀 당 Cbitline이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셀의 개수는 각각 1240, 2480 및 3542으로 증가될 수 있다.
ΔV (v) 셀 당 Cbitline
(fF)
비트 라인 당 셀 Cbitline (fF) VCC (v) Cstorage (fF) Csenseamp + 기타
(fF)
0.100 0.02 3280 65.6 1.1 17 11
0.100 0.01 6550 65.6 1.1 17 11
0.100 0.007 9371 65.6 1.1 17 11
0.100 0.02 1240 24.8 1.1 8 11
0.100 0.01 2480 24.8 1.1 8 11
0.100 0.007 3542 24.8 1.1 8 11
또한,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 당 Cbitline이 0.04fF에서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는 경우, VCC 값이 1.1V에서 0.8V, 0.65V 및 0.65V로 각각 감소될 수 있지만, ΔV는 여전히 0.168V~0.155V의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ΔV (v) 셀 당 Cbitline
(fF)
Cbitline (비트 라인 당 688 셀 fF) VCC (v) Cstorage (fF) Csenseamp + 기타
(fF)
0.168 0.04 27.5 1.1 17 11
0.163 0.02 13.8 0.8 17 11
0.158 0.01 6.9 0.65 17 11
0.155 0.007 4.8 0.6 17 11
다음의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ΔV가 0.1V로 감소될 수 있고, Cstorage가 17fF이며,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셀이 688개이고, 셀 당 Cbitline이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면, VCC의 값은 각각 0.49V, 0.41V 및 0.385V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ΔV가 0.1V로 감소될 수 있고, Cstorage가 17fF에서 8fF로 감소되며, 하나의 비트 라인에 688개의 셀이 연결되고, 셀 당 Cbitline이 0.02fF, 0.01fF 및 0.007fF로 감소되면, VCC의 값은 각각 0.82V, 0.65V 및 0.6V로 감소될 수 있다.
ΔV (v) 셀 당 Cbitline
(fF)
Cbitline (비트 라인 당 688 셀 fF) VCC (v) Cstorage (fF) Csenseamp + 기타 (fF)
0.100 0.02 13.8 0.49 17 11
0.100 0.01 6.9 0.41 17 11
0.100 0.007 4.8 0.385 17 11
0.100 0.02 13.8 0.82 8 11
0.100 0.01 6.9 0.65 8 11
0.100 0.007 4.8 0.6 8 11
요약하면, [표 2] 내지 [표 7]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비트 라인에 관련된 전체 커패시턴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더 많은 DRAM 셀을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할 수 있음이 매우 자명하다.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균등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로서,
    복수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셀 ―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함 ―;
    상기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되는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비트 라인; 및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며,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20×10-3fF보다 낮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약 10×10-3fF인,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10×10-3 ~ 20×10-3fF보다 적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5.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로서,
    복수의 DRAM 셀 ―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함 ―;
    상기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비트 라인; 및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의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of the bit line, Cbitline)는 14fF보다 낮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의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4 ~ 10fF에 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측면은 제1 절연 물질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비트 라인의 제2 측면은 제2 절연 물질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절연되며, 상기 제1 절연 물질은 상기 제2 절연 물질과 다른,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몰질은 SiO2이고, 상기 제2 절연 물질은 SiOCN인,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RAM 셀 중 제1 DRAM 셀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영역에 연결된 워드 라인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워드 라인은 상기 비트 라인 위로 교차하고, 상기 게이트 영역의 바닥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0.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로서,
    복수의 DRAM 셀 ―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함 ―;
    상기 복수의 DRAM 셀을 따라 제2 단자로 연장된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비트 라인; 및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DRAM 셀은 1032개보다 많은 DRAM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RAM 셀은 약 1240 ~ 9370개의 DRAM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RAM 셀은 약 1300 ~ 3900개의 DRAM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단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단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비트 라인은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4.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로서,
    복수의 DRAM 셀 ―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함 ―;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비트 라인;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 및
    상기 감지 증폭기 및 상기 비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원
    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원은 상기 감지 증폭기에게 0.85V 이하를 공급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은 상기 감지 증폭기에게 약 0.4V ~ 0.8V를 공급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은 상기 감지 증폭기에게 약 0.38V ~ 0.6V를 공급하는,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7.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와 구조적으로 상이한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로서,
    복수의 DRAM 셀 ― 각 DRAM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함 ―;
    상기 복수의 DRAM 셀의 각각의 액세스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비트 라인; 및
    상기 비트 라인의 제1 단자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의 1/2보다 낮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는 수십 nm 기술 노드이거나 또는 10nm 이하의 기술 노드인,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는 미리 결정된 기술 노드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DRAM 구조체의 DRAM 셀 당 비트 라인의 커패시턴스의 1/4보다 낮은,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KR1020230055693A 2022-04-27 2023-04-27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KR20230152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35231P 2022-04-27 2022-04-27
US63/335,231 2022-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607A true KR20230152607A (ko) 2023-11-03

Family

ID=8851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693A KR20230152607A (ko) 2022-04-27 2023-04-27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52079A1 (ko)
KR (1) KR20230152607A (ko)
TW (1) TW20234375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3751A (zh) 2023-11-01
US20230352079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028B2 (en) Independently controlled, double gate nanowire memory cell with self-aligned contacts
KR10109581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6483136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RE46890E1 (en)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ontact pad on source/drain region in peripheral circuit area
US2002007688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09574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789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998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6378B1 (ko) 반도체 장치 구조체
JPH029165A (ja) 半導体メモリ
KR10109580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20020877A1 (en) Pair of FETs including a shared SOI body contact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FETs
US7256441B2 (en) Partially recessed DRAM cell structure
JP4058403B2 (ja) 半導体装置
JP3093575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353745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ertical channel
KR20230152607A (ko) 반도체 메모리 구조체
KR20120027700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023323A1 (en) Semiconductor memory structure
US20240079048A1 (en) Memory array circuit
JPH0827427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4714A (ja) 半導体装置
KR2009012549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