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558A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558A
KR20230152558A KR1020230024891A KR20230024891A KR20230152558A KR 20230152558 A KR20230152558 A KR 20230152558A KR 1020230024891 A KR1020230024891 A KR 1020230024891A KR 20230024891 A KR20230024891 A KR 20230024891A KR 20230152558 A KR20230152558 A KR 20230152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ing force
return
stat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마츠노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1Reengageable responsive to drive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A01K89/01907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between drive shaft and ge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한다.
클러치 기구(20)는 클러치 레버(21)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여,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갖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40)는, 전동 모터(6)의 모터축 상에 마련된 복귀용 기어(41)와, 복귀용 기어(41)에 맞물려 회전하는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42)와, 클러치 작동 부재(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42)에 결합 분리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킥 부재(43)를 구비한다.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42) 및 킥 부재(43)는 스풀축과 모터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ELECTRICALLY DRIVEN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전동 릴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전동 릴은, 스풀에 대한 동력 전달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가 릴 본체의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이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 전달 상태인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구동력 차단 상태인 클러치 오프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낚시용 전동 릴은,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력 차단 상태의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는,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맞닿음편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복귀 기구는, 전동 모터의 역회전으로 구동되는 복귀용 기어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맞닿음편에 맞닿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면,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그 이동의 과정에서 맞닿음편이 복귀용 기어의 돌기부에 맞닿는 위치로 들어간다. 이러한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전동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클러치 복귀용 기어의 돌기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맞닿음편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복귀되어,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95445호 공보
특허문헌 1은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조이며, 게다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맞닿음편이 클러치 복귀용 기어의 돌기부에 직접 맞닿는 구조였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스페이스를 릴 본체의 프레임에 넓게 확보할 필요가 있어,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었다. 특히, 낚시용 전동 릴은, 전동 모터를 갖지 않는 낚시용 릴에 비해 구성 부품이 많으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스페이스를 확보함으로써 릴 본체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이며,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의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스풀과, 핸들축이 설치되는 한쪽의 상기 프레임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력 전달 상태와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와, 한쪽의 상기 프레임측에 마련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여,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축 상에 마련된 복귀용 기어와, 상기 복귀용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기어 B)와,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에 결합 분리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킥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 및 상기 킥 부재는,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과, 상기 모터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킥 부재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에 결합 분리되므로, 종래와 같은, 직선적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복귀용 부재가 결합 분리되는 구성에 비해,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 및 킥 부재를, 스풀축과 모터축 사이에 스페이스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는, 상기 킥 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 갈고리와,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가,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축 주위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위치와,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걸림 결합 갈고리가 이동 가능하므로, 킥 부재의 걸림 결합 시에 킥 부재가 걸림 결합 갈고리에 간섭하여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걸림 결합 갈고리를 누르도록 걸림 결합해도, 걸림 결합 갈고리가 킥 부재에 눌려 역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한다. 이에 의해, 킥 부재와 걸림 결합 갈고리의 걸림 결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클러치 기구를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어, 복귀 기구의 응답성이 우수하다.
또한, 킥 부재의 걸림 결합 시에 킥 부재가 걸림 결합 갈고리에 간섭해도 걸림 결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므로, 다음 번의 복귀를 향하여 걸림 결합 갈고리의 정지 위치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져, 걸림 결합 갈고리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의 설치나 걸림 결합 갈고리의 위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릴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핸들 조작 복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핸들 조작 복귀 기구는, 상기 핸들축에 설치된 래칫과, 상기 래칫에 결합 분리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핸들 연동 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좋고, 낚시 조작성이 우수한 낚시용 전동 릴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낚싯줄의 조출에 수반되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산출 및 낚싯줄의 조출량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전 속도 판정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출량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 되고, 또한, 상기 회전 속도 판정부에 의해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혹은 상기 조출량 판정부에 의해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여,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를 상기 킥 부재에 맞닿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고, 또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 혹은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좋고, 낚시 조작성이 우수한 낚시용 전동 릴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 본체의 대형화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낚시용 전동 릴의 우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구동력 전달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b는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구동력 전달 상태에 있어서의 제2 킥 부재의 가이드 돌기부와 가이드 구멍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걸림 결합 기어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걸림 결합 기어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걸림 결합 기어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주요부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d는 걸림 결합 기어에 있어서의 갈고리부의 회동 범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b)는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클러치 작동 부재의 전단부 주위의 구조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제2 킥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제2 킥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구멍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설명도이다.
도 10은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핸들축의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구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클러치 레버를 눌러 내렸을 때의 제2 킥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상태로부터 클러치 레버를 더욱 눌러 내려서 제2 킥 부재의 걸림 결합 돌기부가 세워진 상태로 되었을 때의 제2 킥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c는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되었을 때의 제2 킥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d는 제2 복귀 기구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를 향하여 제2 킥 부재가 이동했을 때의 제2 킥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e는 도 11d의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를 향하여 제2 킥 부재가 더욱 이동했을 때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2 킥 부재의 걸림 결합 돌기부가 걸림 결합 갈고리에 간섭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 「상하」를 말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전동 릴(100)은, 좌우의 프레임(2, 2)과, 좌우의 프레임(2, 2)을 덮도록 배치되는 좌우의 측판(3, 3)(우측판만 도시)을 구비한 릴 본체(1)를 갖고 있다. 릴 본체(1)의 상면 전방부에는, 표시 수단으로서의 카운터 케이스(4)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는, 전동 모터(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내부에 갖고 있다.
좌우의 프레임(2, 2)은, 릴 본체(1)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며, 지주를 통해 좌우 일체화되어 있다. 하방의 지주에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의 릴 시트에 장착되는 릴 다리(2a)가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프레임(2, 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프레임(2, 2)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5)의 전방에 있어서, 좌우의 프레임(2, 2)에는 전동 모터(6)가 지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6)는, 좌우의 프레임(2, 2)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프레임(2)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동축에는, 전동 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스풀(5)측에 전달하는 구동용 감속 기구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구동축에는, 전동 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후기하는 제2 복귀 기구(40)에 전달하는 복귀용 감속 기구(6a)가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측판(3, 3)은, 낚시꾼의 손에 의해 파지되거나, 보유 지지되거나 하는 부분(낚시꾼의 손이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좌우의 측판(3, 3)은, 개개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프레임(2, 2)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우측판(3)에는, 수동 핸들이 설치되는 핸들축(7)이 마련되어 있다. 스풀(5)은 수동 핸들의 권취 조작에 의한 구동력 및 전동 모터(6)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동 모터(6)에 의한 구동력 전달 기구는, 좌측 프레임(2)측에 마련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2)에는, 도 2, 도 3a,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핸들에 의한 구동력을 스풀(5)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10)와, 스풀(5)을 구동력 전달 상태와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20)와,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중, 복귀 기구는, 핸들(핸들축(7))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제1 복귀 기구(30)와, 전동 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 복귀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00)은, 수동 및 전동에 의한 2개의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복귀 기구(30)와 제2 복귀 기구(40)의 상세는 후기한다.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7)에 지지된 드라이브 기어(11)와, 드라이브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12)을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11)는 핸들축(7)과 일체로 회전하고, 수동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피니언(12)에 전달한다. 피니언(12)은, 우측판(3)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축에 마련되어 있다. 피니언축은, 도시하지 않은 스풀축과 동축적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피니언(12)에는, 클러치 기구(20)의 후기하는 요크(24)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피니언(12)은, 요크(24)의 후기하는 작용에 의해 피니언축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12)은, 스풀축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를 갖고 있고, 요크(24)에 의해 스풀(5)측으로 이동되면, 끼워 맞춤부가 스풀축에 끼워 맞추어져 드라이브 기어(11)의 구동력을 스풀축(스풀(5))에 전달하는 상태(구동력 전달 상태(낚싯줄 권취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피니언(12)은, 요크(24)에 의해 우측판(3)측으로 이동되면, 끼워 맞춤부가 스풀축으로부터 빠져서 드라이브 기어(11)의 구동력을 스풀축(스풀(5))에 전달하지 않는 상태(구동력 차단 상태(낚싯줄 방출 가능 상태))로 한다.
클러치 기구(20)는 클러치 레버(21)와, 클러치 프레임(22)과, 클러치 작동 부재(23)와, 요크(24)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레버(21)는 스풀(5)을 서밍하면서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스풀(5)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의 프레임(2, 2)의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21)는 엄지손가락을 올려놓고 하방으로 눌러 내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부재이다.
클러치 프레임(22)은, 클러치 레버(21)를 지지하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클러치 프레임(22)은,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우측면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23b)(도 4 참조)에 끼워 맞추어져, 클러치 작동 부재(2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프레임(22)의 후단부에는, 클러치 레버(21)를 지지하는 암부(23a)가 마련되어 있다. 암부(23a)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의 후단부에 형성된 연통 구멍(2b)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작동 부재(23)는, 스풀축(피니언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환상의 회동체이다. 클러치 작동 부재(23)는 높은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M)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작동 부재(23)는, 요크(24)와 걸림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캠부(23k, 23k)(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캠부(23k, 23k)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수반하여 요크(24)에 결합 분리되고, 요크(24)를 피니언축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후방부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7)에는, 우측 프레임(2)에 돌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보스부(핀)가 걸림 결합되어 있고, 이 보스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보스부에는, 클러치 프레임(22)의 우측방으로부터 나사 부재(27a)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작동 부재(23)는 우측 프레임(2)과의 사이에 개재 설치된 분배 스프링 부재(28)에 의해, 클러치 온 위치인 구동력 전달 상태와 클러치 오프 위치인 구동력 차단 상태로 탄성적으로 분배되어 있다. 분배 스프링 부재(28)로서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요크(24)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피니언축을 따르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요크(24)는, 피니언(12)의 도시하지 않은 원주 홈에 대략 180°에 걸쳐서 끼워 맞추어짐과 함께, 직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암부(24a, 24a)를 갖고 있다. 요크(24)는, 우측 프레임(2)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25, 25)에 의해 각 암부(24a, 24a)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각 지지 핀(25, 25)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향하여 상시 가압되어 있다.
제1 복귀 기구(30)는, 상기와 같이, 핸들(핸들축(7))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핸들 조작 복귀 기구이다.
제1 복귀 기구(30)는 래칫(31)과, 핸들 연동 킥 부재로서의 제1 킥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31)은 핸들축(7)에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고, 핸들축(7)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1 킥 부재(32)는, 측면에서 보아 피니언(12)(피니언축)의 하방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킥 부재(32)는 한쪽의 지지 핀(25)이 삽입 관통되는 긴 구멍(32a)과, 우측 프레임(2)의 측면에 마련된 규제 돌기(33)가 삽입 관통되는 네모난 규제 구멍(32b)과, 래칫(31)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32c)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부(32c)의 근방 부위에는, 래칫(31)을 향하여 걸림 결합부(32c)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4)(도 3a, 도 3b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도 4, 도 11a 내지 도 11e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코일 스프링(34)을 생략하고 있다.
제1 킥 부재(32)는, 도 3a에 도시한 구동력 전달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의해 압박되어, 지지 핀(25)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구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2c)가 래칫(31)으로부터 이탈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1 킥 부재(32)는, 구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2c)가 래칫(31)의 회전 궤도 내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어서 핸들을 회전 조작하면, 제1 킥 부재(32)는 래칫(31)에 맞닿아(킥되어) 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제1 킥 부재(32)의 선단부(32e)가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오목부(23j)(도 4 참조)에 맞닿고,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20)의 복귀는, 클러치 레버(21)를 밀어 올림 조작함으로써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복귀 기구(40)는, 상기와 같이, 전동 모터(6)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구이다.
제2 복귀 기구(4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용 기어(41)와,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로서 기능하는 걸림 결합 기어(42)와, 제2 킥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결합 기어(42) 및 제2 킥 부재(43)는 스풀축(피니언축)과, 복귀용 감속 기구(6a)의 출력축(6b)(도 3a 참조, 모터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복귀 기구(4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부(6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61)와, 산출부(62)와, 회전 속도 판정부(63)와, 조출량 판정부(64)와, 구동 제어부(65)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61)는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을 때, 이것을 검출한다. 검출부(61)에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66)가 접속되어 있다. 검출부(61)는 위치 센서(66)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구동 제어부(65)에 출력한다. 위치 센서(66)는, 예를 들어, 우측 프레임(2)측에 마련되는 자기 센서와, 클러치 작동 부재(23)측에 마련되는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산출부(62)는 낚싯줄의 조출에 수반되는 스풀(5)의 회전 속도를 산출함과 함께, 낚싯줄의 조출량을 산출한다. 산출부(62)에는, 스풀(5)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센서(67)가 접속되어 있다. 산출부(62)는, 회전 검출 센서(67)로부터 입력된 스풀(5)의 회전 신호에 기초하여 스풀(5)의 회전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값을 회전 속도 판정부(63)에 출력한다. 또한, 산출부(62)는 산출한 스풀(5)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낚싯줄의 조출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값을 조출량 판정부(64)에 출력한다.
회전 속도 판정부(63)는, 산출부(62)에 의해 산출된 스풀(5)의 회전 속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회전 속도 판정부(63)는, 스풀(5)의 회전 속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판정 결과를 구동 제어부(65)에 출력한다. 또한, 스풀(5)의 회전 속도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건은, 카운터 케이스(4)(도 1 참조)에 구비되는 기능을 선택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출량 판정부(64)는, 산출부(62)에 의해 산출된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조출량 판정부(64)는, 산출된 낚싯줄의 조출량의 값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판정 결과를 구동 제어부(65)에 출력한다. 또한, 낚싯줄의 조출량의 설정(예를 들어, 스풀(5)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소정의 유영층(수심)에서 채비를 정지시키는 설정 등)은, 카운터 케이스(4)(도 1 참조)에 구비되는 기능을 선택하여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제어부(65)는, 전동 모터(6)를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한다. 구동 제어부(65)는, 검출부(61)에 의해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회전 속도 판정부(63)에 의해 스풀(5)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혹은 조출량 판정부(64)에 의해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 모터(6)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한다. 즉, 구동 제어부(65)는 통상의 권취 제어 외에,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제2 복귀 기구(40)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복귀 기구(40)의 복귀용 기어(41)는, 도 3a,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6)에 접속된 복귀용 감속 기구(6a)의 출력축(6b)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6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전동 모터(6)가 역회전으로 구동되었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귀용 기어(41)는 복귀용 감속 기구(6a)나, 이것과는 다른 구성으로 내장된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걸림 결합 기어(42)는 복귀용 기어(41)에 맞물려 있고, 복귀용 기어(41)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서 제2 킥 부재(43)를 하방으로 누르는(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이룬다. 제2 킥 부재(43)는,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2 킥 부재(43)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걸림 결합 기어(42)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킥 부재(43)는, 핸들축(7)을 우측 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50)에 빠짐 방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2 킥 부재(43)는 강도를 갖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기어(42)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본체(421)와, 기어 본체(42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 장착된 갈고리부(426)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본체(421)는,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의 기부(422)와, 기부(422)의 우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부(423)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422)는 복귀용 감속 기구(6a)의 출력축(6b)(도 3a 참조)에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기부(422)의 내측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부(426)의 삽입부(427)가 삽입되는 단차식 원통상의 내면부(4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422)의 내측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22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22b)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기부(422)의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90도의 간격을 두고, 계 4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출부(422b)끼리의 사이에는, 갈고리부(426)의 회동을 확보하기 위한 회동 공간부(422e)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422b)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각면(422c)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422d)을 구비하고, 각 정점 부분에서 갈고리부(426)의 삽입부(42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갈고리부(426)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422)의 내면부(422a)에 삽입되는 원통상의 삽입부(427)와, 삽입부(427)의 좌측에 연속되는 대략 원통상의 대경부(428)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부(428)의 우측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기부(422)의 좌측부 사이에는, 간극부(424)가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425)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425)는, 기부(422)에 대하여 갈고리부(426)를 반시계 방향(도 5c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대경부(428)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을 두고 2개의 걸림 결합 갈고리(429, 429)(한쪽만 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결합 갈고리(429)는, 직경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세워지는 걸림 결합면(429a)을 구비하고 있다(도 12 참조).
갈고리부(426)의 삽입부(427)의 외주면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규제 돌기부(426a)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기부(426a)는 단면 대략 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삽입부(427)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90도의 간격을 두고, 계 4개 형성되어 있다. 각 규제 돌기부(426a)는 기부(422)의 각 회동 공간부(422e)에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돌출부(422b, 422b)의 직각면(422c)과 경사면(422d)으로 둘레 방향으로 칸막이되는 범위 내(회동 공간부(422e)의 둘레 방향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스프링 부재(4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도 5d의 화살표 X2 참조)으로 회동 가능하다. 즉, 갈고리부(426)의 걸림 결합 갈고리(429)는, 걸림 결합 기어(42)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위치(도 5c에 도시하는 위치)와,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도 5d에 도시하는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425)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가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규제 돌기부(426a)의 회동 각도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422d)과, 이것에 대향하는 규제 돌기부(426a)의 대향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도 θ1로 표시된다. 각도 θ1은, 제2 킥 부재(43)가 걸림 결합 기어(42)의 대경부(428)에 맞닿을 때의 후기하는 미끄럼 이동 거리 L1(도 12 참조)을 허용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제2 킥 부재(43)는,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지지부(431)와, 회동 지지부(4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걸림부(437)와, 회동 지지부(4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걸림 결합 돌기부(433)와, 회동 지지부(431)로부터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435)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 지지부(431)의 중앙부에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 지지축(23d)(도 7 참조)이 삽입 관통되는 지지 구멍(432)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걸림부(437)의 후단부에는, 걸림 구멍(438)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걸림 결합 기어(42)의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맞닿는 부분이며, 선단부에 맞닿음부(434)를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부(434)는, 걸림 결합 돌기부(433)의 상단부를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434)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구멍(432)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어느 정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35)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후방 하방으로 선단부가 향하고 있다. 가이드부(435)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돌기부(436)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부(436)는, 가이드부(435)의 선단부를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2 킥 부재(4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단부(23c)에 설치되어 있다. 전단부(23c)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평판상을 나타내고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전단부(23c)의 전방측 하부에는, 제2 킥 부재(43)가 배치되는 설치 시트(23e)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시트(23e)의 외곽은, 제2 킥 부재(43)의 회동 지지부(431)의 원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 시트(23e)에는, 제2 킥 부재(43)의 지지 구멍(432)에 삽입 관통되는 회동 지지축(23d)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단부(23c)의 전방측 상부에는, 제2 킥 부재(43)를 직립한 자세(맞닿음부(434)가 바로 위를 향하는 자세)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돌기부(23f)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돌기부(23f)는 전단부(23c)의 우측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의 후방부에 맞닿아 제2 킥 부재(43)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전단부(23c)의 후방부에는, 걸림 구멍(23g)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구멍(23g)에는, 제2 킥 부재(43)에 접속되는 스프링 부재(29)의 후단부가 걸려 있다. 스프링 부재(29)의 후단부는, 우측방으로부터 걸림 구멍(23g)에 대하여 삽입되어 있고, 우측방으로부터 고정 플레이트(50)의 후방부(52)의 상부(52a)에 덮여, 빠짐 방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9)는, 걸림 결합 기어(42)에 대한 제2 킥 부재(43)의 결합 분리를 탄성적으로 분배하는 분배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부재(29)로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제2 킥 부재(43)는 클러치 기구(20)의 구동력 전달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29)에 의해, 보유 지지 돌기부(23f)에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맞닿은 비걸림 결합 상태로 분배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제2 킥 부재(43)는 클러치 기구(20)의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29)에 의해, 걸림 결합 기어(42)의 갈고리부(426)에 맞닿아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걸림 결합 가능해지는 걸림 결합 상태로 분배 보유 지지된다.
고정 플레이트(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핸들축(7)을 우측 프레임(2)에 고정하는 기능 및 제2 킥 부재(43)를 빠짐 방지 보유 지지하는 기능의 2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50)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방부측의 일부를 덮고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방부측을 보유 지지하는 기능도 아울러 구비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50)는, 제2 킥 부재(43)와 마찬가지로, 강도를 갖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50)는,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51)와, 중앙부(51)의 후방측에 연속되는 후방부(52)와, 중앙부(51)의 전방측에 연속되는 전방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부(52)와 전방부(53)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7)은 홈부(56)의 하단부를 통하여 고정 플레이트(50)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고, 우측 프레임(2)(도 2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축(7)에는, 도시하지 않은 일방향 클러치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지된 드래그 기구(7a)가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7a)는, 낚시 시에 스풀(5)로부터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에 스풀(5)의 회전에 드래그력을 부여한다. 또한, 릴 본체(1)와 핸들 사이에는, 드래그 기구(7a)에 의한 드래그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별형의 드래그 조정 노브(스타 드래그)가 마련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7a)는, 드라이브 기어(11)의 오목부(11b)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동 부재(마찰판, 와셔 등)(7b)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7a)는, 드래그 조정 노브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동 부재(7b)에 대한 압박 부재(7c)의 압박력이 조정되고, 핸들축(7)과의 사이에서 드라이브 기어(11)의 회전 마찰력(드래그력)이 조정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50)의 후방부(52)는, 도 4,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방부의 일부를 덮고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방부를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다. 후방부(52)의 상부(52a)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단부(23c)의 걸림 구멍(23g)을 덮도록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 전반에 걸쳐서 스프링 부재(29)의 후단부를 빠짐 방지 보유 지지하고 있다. 후방부(52)의 하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52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킥 부재(32)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있고, 우측방으로부터 제1 킥 부재(32)에 맞닿아 제1 킥 부재(32)를 지지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50)의 전방부(53)는, 도 4,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56)를 사이에 두고 후방부(52)에 대향하고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대략 삼각 형상의 가이드 구멍(55)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구멍(55)은, 걸림 결합 기어(42)의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대한 제2 킥 부재(43)의 회동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가이드 구멍(55) 내에는,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가 삽입되어 있다. 전방부(53)의 상부(53a)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수반되는 제2 킥 부재(43)의 이동 전반에 걸쳐서, 회동 지지축(23d)(제2 킥 부재(43)의 회동 지지부(431))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전방부(53)의 하부에는, 코일 스프링(34)(도 3a 참조)의 전단부가 설치되는 설치부(54)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55)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테두리부(55a)와, 상부 테두리부(55a)의 전방측에 연속되는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와,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의 하측에 연속되는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와,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의 하측에 연속되는 하부 테두리부(55d)와, 하부 테두리부(55d)의 후방측에 연속되는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와,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의 상측에 연속되고 상부 테두리부(55a)의 후방측에 접속되는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55f)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부(55a)와 하부 테두리부(55d)는, 서로 대략 평행하다.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는 상부 테두리부(55a)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는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의 하단부로부터 후방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전체가 전방을 향하여 완만한 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는, 하부 테두리부(55d)의 후단부로부터 전방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55f)는,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부 테두리부(55a)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와 가이드 구멍(55)의 각 테두리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도 4,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20)가 클러치 온 위치(구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부(436)가 가이드 구멍(55)의 하부 영역이 되는,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와 하부 테두리부(55d)와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가 되는 제1 위치 P1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20)의 클러치 레버(21)를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면, 클러치 작동 부재(23)가 회동축 O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킥 부재(43)가 도 4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는, 가이드 구멍(55)의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의 하단 위치로부터 전방측 하부 테두리부(55c)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의 하단부 근방에 맞닿는 제2 위치 P2로 이동한다. 또한,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단부(23c)의 보유 지지 돌기부(23f)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클러치 레버(21)를 계속해서 눌러 내리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20)가 분배 스프링 부재(28)의 데트 포인트를 초과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는, 제2 위치 P2로부터 전방측 상부 테두리부(55b)의 상단부 근방의 제3 위치 P3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제2 킥 부재(43)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지지축(23d)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프링 부재(29)에 의한 데드 포인트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보유 지지 돌기부(23f)로부터 이격되어 직립한 자세를 취한다.
그 후, 클러치 레버(21)를 더욱 눌러 내리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는, 제3 위치 P3으로부터 상부 테두리부(55a)를 따라서 이동하고, 그 후, 상부 테두리부(55a)와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55f)의 구석부(모퉁이부) 근방이 되는 제4 위치 P4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제2 킥 부재(43)는,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드 포인트를 초과하여 시계 방향으로 빠르게 회동한다. 이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어서,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복귀용 기어(41)의 대경부(428)의 외주면에 맞닿는 상태(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걸림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2 킥 부재(43)는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 결합 기어(42)를 향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기어(42)의 대경부(428)에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맞닿을 때에는, 대경부(428)의 외주면 상을 상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접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의 복귀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6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전동 모터(6)가 역회전으로 구동되면, 복귀용 기어(41)를 통해 걸림 결합 기어(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용 기어(41)의 대경부(428) 상에 있는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에 대하여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맞닿고, 그 후,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제2 킥 부재(43)를 눌러 내린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킥 부재(43)의 가이드 돌기부(436)는, 제4 위치 P4로부터 후방측 상부 테두리부(55f) 및 후방측 하부 테두리부(55e)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 위치 P1로 복귀된다. 이 이동에 의해, 제2 킥 부재(43)가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전단부(23c)를 하방으로 눌러, 클러치 작동 부재(23)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클러치 작동 부재(23)의 회동에 의해,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대경부(428)에 맞닿을 때의 미끄럼 이동 시에,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걸림 결합 돌기부(433)에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PT1은,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걸림 결합 기어(42)의 대경부(428)에 맞닿은 초기 맞닿음 위치를 나타내고, 부호 PT2는,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대경부(428)의 외주면 상을 미끄럼 이동한 후의 미끄럼 이동 후 위치를 나타내고, 부호 L1은, 그 미끄럼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기어(42)의 걸림 결합 갈고리(429)는 둘레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도록 되어 있고, 정지 위치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걸림 결합 돌기부(433)의 초기 맞닿음 위치 PT1의 미끄럼 이동 방향의 측방에, 파선으로 나타낸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대경부(428)의 외주면의 초기 맞닿음 위치 PT1에 있어서 대경부(428)의 외주면에 맞닿고, 그 후, 미끄럼 이동 거리 L1을 이동하여 미끄럼 이동 후 위치 PT2에 이른다. 이 이동의 과정에 있어서, 걸림 결합 돌기부(433)는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맞닿고, 걸림 결합 갈고리(429)를 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대경부(428)가 스프링 부재(4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 결합 돌기부(433)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방향으로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져,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대하여 걸림 결합 돌기부(433)가 적합하게 걸림 결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킥 부재(43)가 우측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 작동 부재(23)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걸림 결합 기어(42)에 결합 분리되므로, 종래와 같은, 직선적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복귀용 부재가 결합 분리되는 구성에 비해,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1)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기어(42) 및 제2 킥 부재(43)를, 스풀축과 모터축 사이에 스페이스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릴 본체(1)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4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 결합 기어(42)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이동 가능하므로,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시에 제2 킥 부재(43)가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간섭하여 걸림 결합 기어(42)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걸림 결합 갈고리(429)를 누르도록 걸림 결합해도, 걸림 결합 갈고리(429)가 제2 킥 부재(43)에 눌려 역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킥 부재(43)와 걸림 결합 갈고리(429)의 걸림 결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구동력 차단 상태로부터 구동력 전달 상태로 클러치 기구(20)를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어, 복귀 기구의 응답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2 킥 부재(43)의 걸림 결합 시에 제2 킥 부재(43)가 걸림 결합 갈고리(429)에 간섭해도 걸림 결합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므로, 다음 번의 복귀를 향하여 걸림 결합 갈고리(429)의 정지 위치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져, 걸림 결합 갈고리(429)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의 설치나 걸림 결합 갈고리(429)의 위치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릴 본체(1)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귀 기구(30)에 의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좋고, 낚시 조작성이 우수한 낚시용 전동 릴(100)이 얻어진다.
또한,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클러치 기구(20)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고, 또한, 스풀(5)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 혹은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한 경우에,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클러치 기구(20)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좋고, 낚시 조작성이 우수한 낚시용 전동 릴(100)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 기어(42) 및 제2 킥 부재(43)를, 스풀축과 모터축 사이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2)의 상측의 영역에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풀축과 모터축 사이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2)의 하측의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핸들축(7)의 드라이브 기어(11) 등에 겹치는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플레이트(50)에 마련한 가이드 구멍(55)에 의해 규제부를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플레이트(50)의 테두리부 등을 이용하여 제2 킥 부재(43)를 가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50)는 1매의 판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복수매의 판을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2 킥 부재(43)는, 우측 프레임(2)과 고정 플레이트(50) 사이에 배치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플레이트(5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50)는, 분배 스프링 부재(28)를 빠짐 방지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배 스프링 부재(28)를 노출시켜서 소형화를 도모해도 된다.
1: 릴 본체
2: 프레임
3: 측판
5: 스풀
6: 전동 모터
7: 핸들축
20: 클러치 기구
21: 클러치 레버
23: 클러치 작동 부재
31: 래칫
32: 제1 킥 부재(핸들 연동 킥 부재)
30: 제1 복귀 기구(핸들 조작 복귀 기구)
40: 제2 복귀 기구(복귀 기구)
41: 복귀용 기어
42: 걸림 결합 기어(클러치 복귀용 회전체)
43: 제2 킥 부재(킥 부재)
61: 검출부
62: 산출부
63: 회전 속도 판정부
64: 조출량 판정부
65: 구동 제어부
100: 낚시용 전동 릴
425: 스프링 부재(가압 부재)
429: 걸림 결합 갈고리

Claims (4)

  1. 릴 본체의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스풀과,
    핸들축이 설치되는 한쪽의 상기 프레임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풀을 구동력 전달 상태와 구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와,
    한쪽의 상기 프레임측에 마련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이며,
    상기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여,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되는 클러치 작동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축 상에 마련된 복귀용 기어와,
    상기 복귀용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와,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에 결합 분리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 및 상기 킥 부재는,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과, 상기 모터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는, 상기 킥 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 갈고리와,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는,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축 주위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 제1 위치와,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기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핸들 조작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조작 복귀 기구는,
    상기 핸들축에 설치된 래칫과,
    상기 래칫에 결합 분리되고, 구동력 차단 상태로 된 상기 클러치 작동 부재를 구동력 전달 상태로 복귀시키는 핸들 연동 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를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낚싯줄의 조출에 수반되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산출 및 낚싯줄의 조출량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전 속도 판정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출량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클러치 기구가 구동력 차단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 되고, 또한, 상기 회전 속도 판정부에 의해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혹은 상기 조출량 판정부에 의해 낚싯줄의 조출량이 미리 설정된 낚싯줄의 조출량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전동 모터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여, 상기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의 상기 걸림 결합 갈고리를 상기 킥 부재에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KR1020230024891A 2022-04-27 2023-02-24 낚시용 전동 릴 KR20230152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73883 2022-04-27
JP2022073883A JP2023163071A (ja) 2022-04-27 2022-04-27 魚釣用電動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58A true KR20230152558A (ko) 2023-11-03

Family

ID=8844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891A KR20230152558A (ko) 2022-04-27 2023-02-24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45923A1 (ko)
JP (1) JP2023163071A (ko)
KR (1) KR20230152558A (ko)
CN (1) CN116941587A (ko)
TW (1) TWI83562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45A (ja) 1999-09-30 2001-04-10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7049799B2 (ja) * 2017-10-10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45A (ja) 1999-09-30 2001-04-10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41587A (zh) 2023-10-27
JP2023163071A (ja) 2023-11-09
TWI835622B (zh) 2024-03-11
TW202341861A (zh) 2023-11-01
US20230345923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304B1 (ko) 듀얼 베어링 릴
EP0639328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6133677B2 (ja) 電動リール
JP6153714B2 (ja) 電動リール
JP2014100078A5 (ko)
JP2014100078A (ja) 両軸受リール
JP2014217278A5 (ko)
JP6326169B2 (ja) 電動リール
JP2014100079A5 (ko)
TWI363597B (ko)
KR20140064605A (ko) 전동 릴
JP6396697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42218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KR20230152558A (ko) 낚시용 전동 릴
JP2014113142A5 (ko)
KR20230152559A (ko) 낚시용 릴
JP59981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132894B2 (ja) 電動リール
JP628430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TWI844315B (zh) 釣魚用捲線器
JP2015002689A5 (ko)
JP2965237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7123873A (ja) 電動リール
JP2021185887A (ja) 魚釣用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