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427A -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 Google Patents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427A
KR20230152427A KR1020220052173A KR20220052173A KR20230152427A KR 20230152427 A KR20230152427 A KR 20230152427A KR 1020220052173 A KR1020220052173 A KR 1020220052173A KR 20220052173 A KR20220052173 A KR 20220052173A KR 20230152427 A KR20230152427 A KR 2023015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coupling
evacu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희
Original Assignee
이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희 filed Critical 이운희
Priority to KR102022005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427A/ko
Publication of KR2023015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42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마다 연결되는 비상계단에 마련되어 화재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상계단의 경계부 위치에 화재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고,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나 가스 등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도록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홈(30)이 구비된 건물벽체(200)와 상기 건물벽체의 내측부에 형성된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 형태의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부(104)와; 상기 도어부(10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102)에 설치되는 센서부(108)와; 상기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벽체(200)의 환기공과 연결되어 내기순환모드와 외기순환모드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연기 또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재난 시 저상이나 옥상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이동 경로인 비상계단에 각 층에 구비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로 대피하여 인명피해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연기나 화재의 전이를 중간에서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대피용 공간부스{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booth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 발생시에 화재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내에 있는 비상계단의 경계부 위치에 설치하여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나 가스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물들은 내부 공간을 확대하고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점차 고층화 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 건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만, 내부에서 생활하는 인원수가 많은 만큼 상대적으로 저층 건물에 비해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고층 건물의 경우 지상으로 연결된 통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화재 발생 시 지상으로 대피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대피 도중 대피 경로가 화재로 인해 차단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화재발생 시 저층 건물에 비해 큰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고층 건물에 화재대피시설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법안 등이 마련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 인원이 지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안전하게 대피하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화재대피시설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146호 (고안의 명칭: 화재대피시설)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구조를 감안하여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 인원이 지상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장시간 안전하게 대피하기에 적합한 화재대피시설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화재대피시설은 고층 건물의 중간 정도에 설치되거나 15층 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건물의 모든 인원을 수용하기에 부족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층을 활용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져 실질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화재 시 각 층에서 대피시설까지 비상계단으로 이동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비상계단으로 연기가 유입되어 질식을 유발하여 미처 저층으로 피난하지 못하고 중상 또는 사망으로까지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규한 건물이나 빌딩 등을 짓는 경우에는 시공시 추가제작이 가능하였으나 기존에 있는 건물이나 빌딩의 경우에는 대피공간을 마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기존의 건물이나 빌딩에서도 시공 및 설치가 가능하고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착안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146호(고안의 명칭: 화재대피시설)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재난 시 저상이나 옥상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이동 경로인 비상계단에 각 층별로 기존의 건물 내부에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설치하여 화재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건물이나 빌딩에서도 시공 및 설치가 가능하고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부터 연기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계단에 설치가 가능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상계단으로 통하는 방화문에서 1차 차단하고 대피공간인 공간부스에서 2차 차단을하도록 도어의 밀폐구조를 요철형으로 형성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나 가스를 차단하여 질식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접어서 보관하여 비상계단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화재 또는 긴급재난 시에는 신속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이루어진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홈(30)이 구비된 건물벽체(200)와 상기 건물벽체의 내측부에 형성된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 형태의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부(104)와; 상기 도어부(10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102)에 설치되는 센서부(108)와; 상기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벽체(200)의 환기공과 연결되어 내기순환모드와 외기순환모드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연기 또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 후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부(112)와;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 후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힌지축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부에 고정 쐐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축부(114)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몸체부(102)가 상기 건물벽체(200)와 밀착되도록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2)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에는 요형상의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4)에는 연기 또는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기 위한 결합패킹(16)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킹(16)의 좌측부에는 막음돌부(18)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104)에는 도어 결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우측단부에는 외측 막음돌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상부에는 도어돌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에는 결합패킹(17)이 밀착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의 좌측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의 결합패킹(17)이 상기 결합홈(14)의 결합패킹(16)과 맞물려서 연기 또는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고 상기 외측막음돌부(22)가 몸체(1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재난 시 저상이나 옥상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이동 경로인 비상계단에 각 층에 구비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로 대피하여 인명피해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연기나 화재의 전이를 중간에서 차단이 가능하고 화재시 빠르게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사고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에 비상등과 재난박스 및 소화기 그리고 보조도어를 구성함에 따라 대피 인원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대피공간에 구호품과 소화기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진압과 인명사고에 대한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함께 지진과 같이 건물의 변형에서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디피용 공간부스마다 외부로 연통되는 환기통로를 구비함으로써 피난인들에게 공기를 공급해주는 것은 물론, 공간부스마다 설치된 통풍덕트가 자동으로 화재발생 층으로부터 공기의 순환을 차단시킴에 따라 구조 시 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의 일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의 구조로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통풍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통풍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화문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의 일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화재대피용 공간부스의 구조로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통풍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통풍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빌딩이나 건물의 각 층에는 상층과 하층이 연결되는 비상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비상계단에 마련되어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을 유도하는 대피구조로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에는 도어부(104)와 환기시스템(10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스(100)는 그 두께를 5-10mm 정도로 형성하고 PVC, PP, PE, ABS 와 징크판넬, EPS 판넬, MDF 판넬, 샌드위치 판넬, 외장재 판넬, 플라스틱 판넬 알루미늄 복합판넬 등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ㄱ고,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는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재난 시 저상이나 옥상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이동 경로인 비상계단에 각 층별로 대피소를 마련함에 따라 전반적인 건물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긴급 화재시 빠른 이동과 안전한 장소로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물내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벽체(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건물벽체(200)의 내측부에는 비상대피계단(4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대피계단(400)에는 상층과 하층을 오갈 수 있도록 대피공간(30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대피공간(300)에는 본 발명의 공간부스(100)가 설치된다.
한편, 빌딩이나 건물 내에는 방화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방화도어는 도 2처럼 건물의 내부 공간과 비상계단의 경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방화도어는 기본적으로 건축법시행령 내화조건에 만족하는 구조와 성능을 가지고, 개방 시 자동으로 신속히 폐쇄시키는 도어 클로즈(도면 미 도시)가 장착된다.
여기서 방화도어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비상계단으로 진입만을 허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건물의 주거지역인 내부 공간에서는 방화도어를 개방시켜 비상계단으로 진입이 가능하지만, 비상계단에서는 방화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처럼 방화도어는 화재재난 시 모든 층의 인원들이 다른 층으로 드나들며 대피하는 과정을 억제시켜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연기나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는, 도 1 및 도2 에서와 같이, 건물의 각 층 사이마다 위치한 대피공간(300)과 비상대피계단(400)에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원을 수용하는 대피 공간을 가져 재난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는 내화 및 내진조건을 충족하는 구조로 구축되고, 내부에 비상전력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조명등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와 조명등은 별도의 스위치로 점등될 수 있으나, 비상전력망과 연결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카메라와 조명등을 단속하는 것은 물론, 위급시에는 관리소에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대피 상황을 실시간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소와 연결 설치되고, 이와 함께 상기 관리소는 관내 소방시설 및 경찰시설과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는 관리소 또는 인근 구조센터로 긴급 호출할 수 있는 무선장치가 설치되고, 각종 구호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과 함께 긴급 대피한 인원이 산소부족으로 사고당하지 않도록 산소공급기가 비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1에 도시된바와 같이, 건물벽체(200)가 형성되고 상기 건물벽체(200)의 내측부에는 비상대피계단(4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대피계단(400)에는 소정의 대피공간(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가 상기 대피공간(3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스(100)는 몸체부(102)와, 도어부(104)와, 힌지부(106)와, 센서부(108)와, 환풍시스템(110)과, 고정축부(112) 및 힌지축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104)는 미닫이 도어와 여닫이 도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의 실시예는 당업자로서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 공간부스(100)는 건물벽체(200)의 내측면부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비상대피계단(400)과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긴급 대피시 대피인들이 비상대피계단(400)과 공간부스(100)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간부스(100)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부(102)로 이루어지고, 전면부에는 도어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부(104)는 오픈/클로즈로 이루어지고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나 가스에 질식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열리도록 즉, 벽면 방향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어 비상계단의 이동시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부(106)의 일측부에는 상단과 하단부에 각각 힌지부(10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106)는 상기 도어부(106)를 열고 닫을 때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연기나 가스가 힌지부를 통해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부(106)의 외측 표면부에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밀폐커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104)의 전면 상단에는 센서부(10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108)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와, 연기나 가스를 검지하는 스모그 센서(32)와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스모그 센서(32)의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의 관리실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화재의 대피시 공간부스(100)의 내부에 인원이 모두 채워져 있는지 또는 아직 자리가 남아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인원점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스모그 센서(32)에 의해 검지된 연기나 가스가 치사량 이하인 경우와 제거된 경우를 각각 확인하여 상기 공간부스(100)내로 대피한 대피원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람 및 점멸신호단계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108)는 후술되는 센서부(502)와 연동 동작되도록 전기전자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502)에 의해서 연기나 유해가스를 1차 검지하여 검지신호를 관리센터 또는 비상 소방센터로 송수신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502)가 상기 센서부(108)로 송신하여 상기 공간부스의 센서부(108)가 동작되도록 연동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동 설치된 센서부(108)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센서부(108)가 환기 시스템(110) 및 스모그 센서(32)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모그 센서(32)는 외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 및 각종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한 성분을 감지해서 검지신호를 상기 공간부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 시스템(110)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작시키고 제어한다. 즉, 화재시 발생한 유해가스의 농도가 심한 경우에는 상기 환기 시스템(110)을 동작시켜서 외기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공간부스(100)내에 대피한 사람들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스(100)의 외측 주변부 또는 대피공간(300)에 가득차 유해가스를 외기로 송풍하도록 내기순환모드 또는 외기순환모드로 구분하여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2)는 사각 박스형태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부(104)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의 도어(12)가 설치된다.
상기 환풍시스템(106)은 상기 공간부스(100)의 내측 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벽체(200)에 형성된 환기공(도면부호 도시안함)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건물벽체(200)와 건물벽체(200) 사이에 비상대피계단(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상대피계단(400)의 일측부에는 대피공간(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대피공간(300)에는 공간부스(100)가 각 층마다 각각 설치되어 화재 또는 지진 등으로 인한 긴급 대피시에 대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상부에는 방화문(5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화문(500)에는 센서부재(5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화문(500)의 외곽부에는 방화문틀(50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센서부재(502)는 화재 현장으로부터 발생한 연기나 유해가스의 양을 검지하여 방화문(500)을 닫도록 연결 설치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건물벽체(200)에는 환기공(2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공(202)에는 환기 시스템(11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물벽체(200)의 내측면부에는 공간부스(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스(100)의 후면부에는 환기 시스템(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2)의 몸체(10) 좌측 모서리부에는 고정축부(112)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우측 모서리부에는 힌지축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힌지축부(114)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수직하게 형성된 축부가 상기 건물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축부(11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우측면부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쐐기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면부에는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 쐐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쇄기부(28)는 건물벽체(200)에 형성된 고정홈(30)과 결합 고정되어 상기 공간부스(100)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몸체부(102)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몸체(10)의 일변부에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의 전면부에는 요(凹)형상의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4)에는 결합패킹(16)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결합패킹(16)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고 두께는 1-5mm를 사용하며 상기 결합홈(14)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부(104)에는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부(12)와 맞물려서 연기 또는 가스가 공간부스(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하여 도어 결합부(20)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 결합부(20)는 전술된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부(12)와 서로 맞물려서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우측 끝단부에는 외측 막음돌부(22)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와 맞물려서 결합 설치된다.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홈(14)과 맞물려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철(凸)형상의 도어돌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돌부(24)에는 결합패킹(17)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결합패킹(17)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고 두께는 1-3mm를 사용하며 상기 도어돌부(24)와 동일한 형상인 철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4)의 결합패킹(17)과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도어부(104)와 몸체부(102)의 외곽 전체 둘레를 따라서 서로 결합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공간부스(100)는 방화도어와 마찬가지로 건축법시행령 내화조건에 만족하는 구조와 성능을 가지고, 개방 시 자동으로 신속히 폐쇄시키도록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에는 기준 실내외 모두 비상등이 장착될 수 있다. 비상등은 평상시나 재난 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하여 대피 인원의 시야를 확보해준다.
그리고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의 실내에는 구호물품과 의료용품이 내장되는 재난박스와,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환기 시스템(100)은 도 1 및 도2에서와 같이 건물상에 외부로부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주고 유해가스를 배출하도록 내기 순환모드 및 외기 순환모드를 구비하고 이는 전기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환기 시스템(110)은 각 층 사이에 위치하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마다 통풍덕트가 개재되어 상기 스모그 센서(32)와 연동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재난 여부에 따라 내·외기를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에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즉, 평상 시 통풍덕트는 폐쇄상태로 유지하다가 화재 시에는 환기 시스템의 동작과 함께 동작되어 통풍덕트를 개방시켜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내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열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공간부스(100)가 건물벽체 내부에 설치되되 절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스(100)의 좌측 후면 모서리부에 고정축부(112)가 형성되고 우측 후면 모서리부에는 힌지축부(114)가 형성되어 상기 건물벽체(200)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스(100)의 전부 좌측면과 전부 우측면에는 다수의 고정 쐐기부(28)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건물벽체(200)에는 상기 고정 쐐기부(28)와 결합 고정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고정홈(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부스(100)는 평상시에는 전면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측면의 고정 쐐기부(28)가 건물벽체(200)의 우측에 형성된 고정홈(30)에 끼워져서 위치됨으로써 이동시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접혀져서 설치되어 있고, 화재시에는 우측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30)에서 고정 쐐기부(28)를 분리시키고 상기 공간부스(100)의 좌측부에 형성된 고정 쐐기부(28)를 건물벽체(200)의 좌측부에 형성된 고정홈(30)에 끼움 고정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스(100)가 사각형의 박스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피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통풍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화재 발생 시 스모그 센서(32)(42)가 연기를 감지하는 순간 동일 위치에 있는 조절모터(44)가 동작하여 통풍덕트(32)를 폐쇄시킨다.
상기 통풍덕트(3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풍덕트(32)의 일측부에는 통풍 브라켓 몸체(34)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통풍 브라켓 몸체(34)의 양측변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브라켓 윙(36)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윙(36)의 좌우측변부에는 상기 통풍덕트(32)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는 반원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 윙 고정부(3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윙 고정부(38)는 고정볼트(40)에 의해 상기 통풍덕트(32)에 외주면을 감싸면서 견고하게 안착 고정된다.
상기 통풍 브라켓 몸체(34)의 전면부에는 모터 설치공(35)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설치공은 밑변은 직사각형상이고 상변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풍 브라켓 몸체(34)에는 센서 설치공(40)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설치공(40)에는 전술된 스모그 센서(32)(42)가 설치되어 연기 또는 유해가스를 검지한다.
한편, 상기 모터 설치공(35)에는 조절모터(44)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조절모터(44)에는 댐퍼(46)가 통풍덕트(32)의 내측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조절모터(44)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댐퍼(46)가 회전 이동하면서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통풍덕트(32)내에 위치하여 통풍덕트(32)를 개방시키고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46)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46)의 중간부 후방향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댐퍼축(48)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댐퍼축(48)은 사각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모터(44)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절모터(44)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이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댐퍼축(48)은 상기 댐퍼(46)에 연결 고정되어서 상기 댐퍼(46)를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댐퍼(46)의 전부와 후부 양쪽 외주변부에는 댐퍼 고정구(5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댐퍼 고정구(50)에 상기 댐퍼축(48)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댐퍼축(48)과 댐퍼(46)가 연동하여 회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 고정구(50)는 상기 댐퍼축(48)의 끝단부에 고정되되 원형의 판형상으로 전후부에 한쌍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사각 고정(도면부호 도시안함)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댐퍼축(48)이 끼워져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마다 개재된 통풍덕트(32)가 자동으로 화재발생 층으로부터 공기의 순환을 차단시킴에 따라 구조 시 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환기공(202)에는 상기 화재대피용 공간부스(100)마다 공기가 순환되는 통풍덕트(32)가 설치되고, 통풍덕트(32)내에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팬(FAN)이 내장된다. 여기서 순환팬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교체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화문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방화문(500)과 방화문틀(504)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방화문 몸체(52)의 일변부에 몸체결합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결합부(54)의 전면부에는 반원형상, 아치형상 또는 파형상의 결합홈(5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6)에는 결합패킹(58)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결합패킹(58)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고 두께는 1-5mm를 사용하며 상기 결합홈(56)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화문(500)에는 상기 방화문틀 몸체(52)의 몸체결합부(54)와 맞물려서 연기 또는 가스가 비상계단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하여 방화문 몸체(61)에 방화문 결합부(62)를 형성한다.
상기 방화문 결합부(62)는 전술된 상기 방화문틀 몸체(52)의 몸체결합부(54)와 서로 맞물려서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화문 결합부(62)의 우측 끝단부에는 외측 막음돌부(64)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방화문 몸체(52)의 전면부와 맞물려서 결합 설치된다.
상기 방화문 결합부(62)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홈(56)과 맞물려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대칭으로 반원형상, 아치형상 또는 파형상의 방화문 돌부(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화문 돌부(66)에는 결합패킹(59)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결합패킹(59)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고 두께는 1-3mm를 사용하며 상기 방화문 돌부(66)와 동일한 형상인 철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56)의 결합패킹(58)과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화문틀 몸체(52) 및 방화문 몸체(61)의 외곽 전체 둘레를 따라서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진이나 화재와 같은 긴급재난 시 저상이나 옥상과 같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이동 경로인 비상계단에 각 층별로 화재대피용 공간부스를 마련함에 따라 전반적인 건물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하면서도 이동 경로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에서 비상계단으로의 진입만을 허용하는 방화도어를 구성하여 재난 시 모든 층의 인원들이 다른 층으로 드나들며 대피하는 과정을 억제시켜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연기나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외부로부터 공간부스와 연통되는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피 인원들에게 안전하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공간부스마다 구비된 통풍덕트가 자동으로 화재발생 층으로부터 공기의 순환을 차단시킴에 따라 구조 시 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10 : 부스 몸체 12 : 몸체 결합부
14 : 결합홈 16 : 결합패킹
18 : 막음돌부 20 : 도어 결합부
22 : 외측 막음돌부 24 : 도어돌부
26 : 결합홈 28 : 고정쐐기부
30 : 고정홈 32 : 통풍덕트
34 : 통풍 브라켓 몸체 36 : 브라켓 윙
38 : 브라켓 윙 고정부 40 : 센서 설치공
42 : 스모그 센서 44 : 조절모터
46 : 댐퍼 48 : 댐퍼축
50 : 댐퍼 고정구 52 : 방화문틀 몸체
54 : 몸체 결합부 56 : 결합홈
58,59 : 결합패킹 60 : 막음돌부
61 : 방화문 몸체 62 : 방화문 결합부
64 : 외측 막음돌부 66 : 방화문 돌부
68 : 결합홈
100 : 공간부스 102 : 몸체부
104 : 도어부 106 : 힌지부
108 : 센서부 110 : 환기 시스템
112 : 고정축부 114 : 힌지축부
200 : 건물벽체 202 : 환기공
500 : 방화문 502 : 센서부
504 : 방화문틀

Claims (3)

  1.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홈(30)이 구비된 건물벽체(200)와 상기 건물벽체의 내측부에 형성된 대피공간에 설치되는 사각 박스 형태의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부(104)와;
    상기 도어부(10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102)에 설치되는 센서부(108)와;
    상기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물벽체(200)의 환기공과 연결되어 내기순환모드와 외기순환모드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연기 또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시스템(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 후면부에 설치되는 고정축부(112)와;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 후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힌지축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부에 고정 쐐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축부(114)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몸체부(102)가 상기 건물벽체(200)와 밀착되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2)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에는 요형상의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4)에는 연기 또는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기 위한 결합패킹(16)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킹(16)의 좌측부에는 막음돌부(18)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104)에는 도어 결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우측단부에는 외측 막음돌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결합부(20)의 상부에는 도어돌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에는 결합패킹(17)이 밀착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의 좌측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돌부(24)의 결합패킹(17)이 상기 결합홈(14)의 결합패킹(16)과 맞물려서 연기 또는 유해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고 상기 외측막음돌부(22)가 몸체(1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KR1020220052173A 2022-04-27 2022-04-27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KR20230152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73A KR20230152427A (ko) 2022-04-27 2022-04-27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73A KR20230152427A (ko) 2022-04-27 2022-04-27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427A true KR20230152427A (ko) 2023-11-03

Family

ID=8874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73A KR20230152427A (ko) 2022-04-27 2022-04-27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4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6Y1 (ko) 2011-07-04 2013-04-03 전기홍 화재대피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6Y1 (ko) 2011-07-04 2013-04-03 전기홍 화재대피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US7137881B2 (en) Protective bed unit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576614B1 (ko) 건축물의 연기 차단구조를 갖는 방화문
CN102091389B (zh) 楼房防火防震救生舱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932622B1 (ko) 방화문
JP3178338U (ja) 火災時緊急避難シェルター
KR102035835B1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20230152427A (ko) 화재대피용 공간부스
KR20170027206A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US6874284B1 (en) Fire safety unit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2259133B1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JPH0648695U (ja) 耐火避難室
KR101893348B1 (ko)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1893347B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