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421A - 거푸집 박리필름 - Google Patents

거푸집 박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421A
KR20230152421A KR1020220052158A KR20220052158A KR20230152421A KR 20230152421 A KR20230152421 A KR 20230152421A KR 1020220052158 A KR1020220052158 A KR 1020220052158A KR 20220052158 A KR20220052158 A KR 20220052158A KR 20230152421 A KR20230152421 A KR 2023015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films
formwork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돈
Original Assignee
이호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돈 filed Critical 이호돈
Priority to KR102022005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421A/ko
Publication of KR2023015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박리필름에 관한 것으로,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120)이 적층되면서 필름세트(100)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세트(100)를 거푸집(200) 표면에 부착하여 상기 거푸집(2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120)을 제거하며 사용하게 되되, 상기 적층되는 필름(120)에는 점착제(122)가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도포되어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한 장씩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박리필름{Concrete form releasing film}
본 발명은 복수의 층을 이루어 거푸집에 부착되고 오염되거나 손상된 것을 순차적으로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제가 도포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코팅제를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른 거푸집의 단가 상승 및 코팅층의 손상시 거푸집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한 것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보호필름은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반복 재사용에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048호(2006.6.7.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 표면을 보호하는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거푸집의 반복 재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 거푸집 표면에 부착되고, 사용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되면 해당 필름만을 순차적으로 떼어내게 되어 거푸집의 반복 사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되, 적층되는 필름 간에 점착제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되는 박리필름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박리필름에 따르면, 필름세트를 거푸집 표면에 부착하여 두고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만을 필요한 만큼 떼어내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거푸집의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적층되는 필름 간에 점착제가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됨으로써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구현하면서 필름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에 형성되는 박리수단의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필름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면서 필름세트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세트를 거푸집 표면에 부착하여 상기 거푸집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름세트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을 제거하며 사용하게 되되, 상기 적층되는 필름에는 점착제가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도포되어 상기 필름세트에서 한 장씩 필름을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박리필름은 필름(12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필름세트(100)를 포함한다. 필름(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는 것으로 일정한 면적으로 재단되어 형성된다.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쉽게 꺾일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필름(120)의 형상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200)의 형상에 맞게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게 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120)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다. 필름(120)의 적층은 점착제(122)에 의할 수 있는데, 점착제(122)는 붙였다가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성질을 가진 것인바, 필름(120)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필름(120)들을 적층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상황에서 필름세트(100)에서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점착제(122)는 적층된 필름(120) 중 상층에 배치되는 필름(120)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층 필름(120)을 떼어내면 드러나는 그 아래층 필름(120) 표면에 점착제(122)가 남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이 필름세트(100)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세트(100)는 거푸집(200) 표면에 부착된다. 접착제에 의해 거푸집(200)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거푸집(200)에 필름세트(100)가 부착되면 거푸집(200)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필름(120)의 재질 특성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200)의 분리할 때 콘크리트에서 거푸집(200)이 쉽게 분리되게 되다.
한편, 필름세트(100)가 거푸집(200)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거푸집(200)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거푸집(200)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름세트(100)에서 콘크리트에 접촉되어 있던 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120)을 필름세트(100)에서 떼어내게 된다. 필름(120)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필름세트(100)로 형성됨에 따라 손상될 필름(120)만을 제거하게 되면 필름세트(100)의 성능이 그대로 유지되게 되므로, 거푸집(200)을 재사용 하는 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을 차례로 제거하면서 거푸집(200)을 반복 재사용하게 된다.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에 형성되는 박리수단의 예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필름세트(100)에는 적층된 필름(120)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박리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박리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20)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띠(130)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띠(13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접혀서 필름(120)에 포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세트(100)에서 적층된 필름(120) 사이에 수용되는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손잡이띠(130)는 필름(120)에 접하는 면 일부에 점착제가 도포된다. 끝 부분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음으로써 비점착면(132)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필름(120)을 떼어낼 때에는 비점착면(132)을 손으로 잡고 당겨서 적층된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손잡이띠(130)는 필름(120)에 포개진 상태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필름(120)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된 필름(120) 내부에 손잡이띠(130)가 완전히 내포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손잡이띠(130)는 별도로 마련되어 필름(120)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손잡이띠(130)는 일단이 필름(120)의 뒷면에 부착되고, 그 상태에서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접혀 필름(120) 앞면에 포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리수단은 적층되는 필름(120)들 간에 그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리수단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게 되면 필름(120)이 적층될수록 그 지점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꺼워지게 되므로 상기 박리수단의 위치를 적절하게 어긋나게 형성함으로써 어느 한 지점의 두께가 급격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리수단은 손잡이띠(130) 외에도 얇은 실을 적층되는 필름(120)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실을 당기는 방법으로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구성하는 필요에 따라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필름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필름(120)을 적층하기 위해 도포되는 점착제(122)는 다양한 패턴을 이루며 도포될 수 있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122)가 선형(직선 또는 곡선)으로 교차되며 도포될수 있다. 필름(120) 표면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되는 패턴,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며 도포되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필름(120) 표면에 점착제(122)가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점착제(122)가 도포된 부분으로 구휙되어 소정의 크기를 이루는 공간(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124)은 필름(120)이 적층된 상태에서 필름(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바, 상기 공기층에 의해 단열 효과가 구현되게 된다. 이 구성에서 필름(120) 가장자리를 따라서 점착제(122)가 도포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필름(12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122)가 선형으로 교차되며 도포되는 구성에서 필름(120)의 가장자리에는 점착제(122)가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되는 필름(120) 간에 가장자리는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필름(120)이 쉽게 분리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122)는 필름(120) 표면에서 도트 패턴을 이루게 도포될 수 있다. 필름(120) 표면에 점착제가 점점이 도포되되, 오와 열을 맞추며 도포되는 패턴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필름(120)이 적층된 상태에서 필름(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므로 단열 효과가 구현되는 반면, 점착제(122)의 양을 최소로 하면서 필름(120)을 적층할 수 있게 되므로 필름(120)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도트 패턴을 이루며 점착제(122)가 도포되는 구성에서도 필름(120) 가장자리를 따라 점착제(122)가 도포될 수 있고, 달리 필름(120) 가장자리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100 : 필름세트, 120 : 필름,
122 : 점착제, 124 : 공간,
130 : 손잡이띠, 132 : 비점착면,
200 : 거푸집.

Claims (5)

  1.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120)이 적층되면서 필름세트(100)가 형성되고,
    상기 필름세트(100)를 거푸집(200) 표면에 부착하여 상기 거푸집(2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120)을 제거하며 사용하게 되되,
    상기 적층되는 필름(120)에는 점착제(122)가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도포되어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한 장씩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122)는 상기 필름(120) 표면에 구휙된 공간(124)을 형성하며 도포되는 거푸집 박리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122)는 상기 필름(120) 표면에 도트 패턴으로 도포되는 거푸집 박리필름.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122)는 적층된 필름(120) 중 상층에 배치되는 필름(120) 저면에 도포되어 필름(120)을 떼어내면 남아있는 필름(120) 표면에 점착제(122)가 남지 않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20) 가장자리에는 박리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120)을 한 장씩 떼어낼 수 있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
KR1020220052158A 2022-04-27 2022-04-27 거푸집 박리필름 KR20230152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58A KR20230152421A (ko) 2022-04-27 2022-04-27 거푸집 박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58A KR20230152421A (ko) 2022-04-27 2022-04-27 거푸집 박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421A true KR20230152421A (ko) 2023-11-03

Family

ID=8874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58A KR20230152421A (ko) 2022-04-27 2022-04-27 거푸집 박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4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8Y1 (ko) 2006-03-16 2006-06-07 김종익 유로폼 합판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8Y1 (ko) 2006-03-16 2006-06-07 김종익 유로폼 합판 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3545B1 (en) Multilayer masking tape
KR101147420B1 (ko)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KR102252387B1 (ko) 거푸집 박리필름
US20060096220A1 (en) Wall patch systems and methods
KR20230152421A (ko) 거푸집 박리필름
SE441001B (sv) Elastband med armerande kerna samt forfaranden for framstellning och skarvning av bandet
KR20230152420A (ko) 박리띠로 떼어내는 거푸집 박리필름
KR102545192B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KR20240003280A (ko) 거푸집 박리필름
KR102633081B1 (ko) 박리필름을 거푸집에 부착하는 방법
KR102612971B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KR20230152419A (ko) 거푸집 박리필름
JP4619236B2 (ja) 車両保護用フィルム積層体
JP2562182B2 (ja) 離型シート仮接着フレキシブル回路の製法およびその離型シート仮接着フレキシブル回路
JP2015140384A (ja) テープロール体およびテープロール体の製造方法
KR102149795B1 (ko) 레지스트 필름 및 패턴 형성 방법
WO2024117596A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JP6179029B2 (ja) 内装パネル
JP5924839B2 (ja) 内壁補修具、内壁補修キット及び内壁補修方法
CN210654444U (zh) 一种用于加强蜂窝纸箱提手处强度的纸护角提手扣
JP7019890B2 (ja) マスキングシート及び該マスキングシートの使用方法
JP3073915U (ja) 発泡ポリエチレン製保護シート
JP2013036210A (ja) 化粧シート付棒材
JP2000186425A (ja) 変形保持性に優れた養生シート
JP2019031588A (ja) ウェブ材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及び両面セパレータ付き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