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17596A1 -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17596A1
WO2024117596A1 PCT/KR2023/017880 KR2023017880W WO2024117596A1 WO 2024117596 A1 WO2024117596 A1 WO 2024117596A1 KR 2023017880 W KR2023017880 W KR 2023017880W WO 2024117596 A1 WO2024117596 A1 WO 20241175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peeling
edge
laminated
film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78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호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filed Critical
Publication of WO20241175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17596A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단(320)을 구비하는 박리도구(300)를 마련하여, 상기 박리도구(30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상기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를 필름세트(100) 가장자리에 대어 준 다음 상기 필름세트(100) 중심부를 향해 밀어줌으로써 상기 필름세트(100) 가장자리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이 밀리면서 들뜨도록 하여 파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지점을 잡고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을 떼어내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본 발명은 필름이 적층되어 필름세트로 형성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최상층부터 필름을 한 장씩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제가 도포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코팅제를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른 거푸집의 단가 상승 및 코팅층의 손상시 거푸집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한 것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보호필름은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반복 재사용에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거푸집 박리필름이 제안된 바 있다. 거푸집 박리필름은 필름을 적층하여 필름세트로 형성하고, 이를 거푸집에 부착한 다음 사용에 따라 최상층에 드러난 필름이 손상되면 손상된 필름을 한 장씩 떼어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필름이 적층되어 필름세트로 형성된 거푸집 박리필름이 거푸집에 부착된 상태에서 손상된 필름을 떼어내고자 한다면 떼어낼 필름 한 장만을 손으로 잡고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적층된 필름은 비교적 점착력이 강한 점착제로 점착되어 있는 상태여서 적층된 필름 간에 틈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 장씩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 박리필름이 거푸집에 부착된 상태에서 손상된 필름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끝단에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도구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를 필름세트 가장자리에 대고 밀어줌으로써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이 들뜨도록 하고, 들뜬 지점을 손으로 잡고 당겨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거푸집에 부착된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손상된 필름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거푸집 박리필름을 거푸집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도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도구로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일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단이 구비된 박리도구를 마련하여, 상기 박리도구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상기 박리단에 형성된 모서리를 필름세트 가장자리에 대어 준 다음 상기 필름세트 중심부를 향해 밀어줌으로써 상기 필름세트 가장자리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이 밀리면서 들뜨도록 하여 파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지점을 잡고 상기 필름세트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을 떼어내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리필름을 거푸집에 부착한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박리필름은 필름(12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필름세트(100)를 포함한다. 필름(120)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는 것으로 일정한 면적으로 재단되어 형성된다.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쉽게 꺾일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필름(120)의 형상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의 형상에 맞게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게 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120)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다. 필름(120)의 적층은 점착제에 의할 수 있는데, 점착제는 붙였다가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성질을 가진 것인바, 필름(120)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필름(120)들을 적층 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상황에서 필름세트(100)에서 개별 필름(120)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착제는 적층된 필름(120) 중 상층에 배치되는 필름(120)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층 필름(120)을 떼어내면 드러나는 그 아래층 필름(120) 표면에 점착제가 남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이 필름세트(100)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세트(100)는 거푸집 표면에 부착된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거푸집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거푸집에 필름세트(100)가 부착되면 거푸집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필름(120)의 재질 특성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분리할 때 콘크리트에서 거푸집이 쉽게 분리되게 되다.
한편, 필름세트(100)가 거푸집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거쳐 거푸집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름세트(100)에서 콘크리트에 접촉되어 있던 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120)을 필름세트(100)에서 떼어내게 된다. 필름(120)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필름세트(100)로 형성됨에 따라 손상될 필름(120)만을 제거하게 되면 필름세트(100)의 성능이 그대로 유지되게 되므로, 거푸집을 재사용 하는 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손상된 필름을 차례로 제거하면서 거푸집을 반복 재사용하게 된다.
도 3,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도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박리도구로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박리도구(300)를 이용해 거푸집(200)에 부착된 필름세트(100)에서 필름(120)을 떼어낸다.
박리도구(300)는 일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단(320)을 한다. 필요에 다라 타측으로는 손잡이(360)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손잡이(360)가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360)를 제외한 부분이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지만,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단(320)을 형성하는 구조라면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는 두 개의 면이 이어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두 개의 면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45~10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도 또는 그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것이다.
필름세트(100)에서 필름(120)을 떼어내고자 하는 경우 박리도구(300) 손잡이(360)를 손으로 잡고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를 필름세트(100) 가장자리에서 필름세트(100) 표면에 대어 준다(도 5). 박리도구(300)를 대주는 지점은 필름세트(100)의 모서리 부근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박리도구(300)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필름세트(100) 표면에 대주게 된다. 이를 통해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가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을 파고드는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절한 지점에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를 대준 상태에서 필름세트(100) 중심부를 향해 박리도구(300)를 밀어준다. 그에 따라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가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박히면서(도 6)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을 밀어주게 된다. 그 결과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이 그 아래 적층된 필름(120)에서 밀려 들뜨게 된다(도 7, 8). 이와 같이 들뜬 부분이 파지지점이 된다.
여기서,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의 각도가 과도하게 작을 경우 마치 칼날과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박리단(320)이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에 과도한 깊이로 박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최상층에 형성된 필름(120)이 밀리지 못하여 들뜨지 않고 절단됨으로써 파지지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의 각도가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가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 표면에 적절한 깊이로 박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120) 표면과의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어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을 밀어주지 못하게 된다. 결국, 파지지점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파지지점이 형성되면 손가락으로 파지지점을 잡고 당겨준다. 그에 따라 필름세트(100)에서 최상층에 적층되어 있는 필름(120)이 그 아래층에 적층되어 있는 필름(120)에서 떼어지며 박리되게 된다. 필름세트(100)에서 필름(120)을 한 장씩 떼어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거푸집(200)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세트(100)에서 손상된 필름(120)을 쉽게 제거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거푸집(200)을 원활하게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0 : 필름세트, 120 : 필름,
200 : 거푸집,
300 : 박리도구, 320 : 박리단,
360 : 손잡이,

Claims (2)

  1. 일측으로 모서리가 형성된 박리단(320)을 구비하는 박리도구(300)를 마련하여,
    상기 박리도구(30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상기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를 필름세트(100) 가장자리에 대어 준 다음 상기 필름세트(100) 중심부를 향해 밀어줌으로써 상기 필름세트(100) 가장자리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이 밀리면서 들뜨도록 하여 파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지점을 잡고 상기 필름세트(100)에서 최상층에 적층된 필름(120)을 떼어내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도구(300)는 상기 박리단(320)에 형성된 모서리를 상기 필름세트(100) 모서리 부근에 대고 밀어주게 되는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PCT/KR2023/017880 2022-12-02 2023-11-08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WO20241175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714 2022-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596A1 true WO2024117596A1 (ko) 2024-06-0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1815U (ja) 粘着セパレータ付き保護フィルム
JP2888845B2 (ja) 剥離補助構造及びその使用法
WO2022025419A1 (ko) 거푸집 박리필름
KR20070015849A (ko)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JP4398629B2 (ja) 粘着シート
WO2024117596A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KR102612971B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TW201336689A (zh) 保護膜及其製造方法
JP6170678B2 (ja) 半導体ウエハ加工用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45192B1 (ko) 거푸집 박리필름에서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WO2015122591A1 (ko) 네일젤 제거용 필름 및 네일젤 제거필름 유닛
KR20240003280A (ko) 거푸집 박리필름
KR102633081B1 (ko) 박리필름을 거푸집에 부착하는 방법
KR101609177B1 (ko) 네일젤 제거용 필름
KR20230152421A (ko) 거푸집 박리필름
JP6179029B2 (ja) 内装パネル
KR101138022B1 (ko) 유리 파손 방지를 위한 보호 패드
JP6035411B2 (ja) セパレータ付き粘着材付保護フィルム
KR20230152420A (ko) 박리띠로 떼어내는 거푸집 박리필름
KR100997089B1 (ko)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DK296181A (da) Fremgangsmaade til binding af gulvbelaegninger
KR20210004292A (ko) 효율적인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JP2014152287A (ja) 粘着シートの貼着方法
JP6741307B2 (ja) 点字タイルの施工方法
JP6310338B2 (ja) 保護材付保護フィルム、保護材、及び保護フィルムの粘着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