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050A - 핀튜브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핀튜브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050A
KR20230150050A KR1020220049521A KR20220049521A KR20230150050A KR 20230150050 A KR20230150050 A KR 20230150050A KR 1020220049521 A KR1020220049521 A KR 1020220049521A KR 20220049521 A KR20220049521 A KR 20220049521A KR 20230150050 A KR20230150050 A KR 20230150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lates
slit
plat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원
박태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050A/ko
Publication of KR2023015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열교환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개구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가 관통하며, 복수의 행과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홀; 및 상기 복수의 열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핀튜브 열교환기{FIN TUB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핀튜브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효율이 증대되고 공기에 대한 압력 손실이 적은 핀 형상을 가진 핀튜브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응축기나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차량이나 냉장고 또는 공기조화기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열교환플레이트와 냉매와 같은 열전달매체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는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열교환플레이트에 열을 전달하고, 공기는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를 통과하며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플레이트의 경우, 튜브는 행방향으로 복수의 열(C)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전열 측으로부터 후열 측을 항해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이때, 종래기술의 경우, 후열 측과 전열 측의 열교환플레이트의 온도가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이웃한 열 간에 열전도가 발생하며 서로 간섭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47027호(공개일자 2015년05월0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열교환플레이트의 열교환성능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서로 다른 열(C) 사이에 열(heat) 간섭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열교환플레이트는,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개구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가 관통되는 튜브홀; 으로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에 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홀; 및 서로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단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은, 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은,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차단슬릿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 형성되어, 상기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과 상기 브릿지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서, 열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폭(W1)과 상기 브릿지의 폭(W1)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길이(L1)는, 상기 브릿지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은, 행방향으로 소정의 폭(W2)으로 벤딩되어 복수의 골과 마루를 형성하는 코르게이트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플레이트가 벤딩되는 상기 소정의 폭(W2)보다 짧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며, 행방향으로 개구되는 슬릿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슬릿핀의 폭(W3)보다 짧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루버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루버핀의 폭(W4)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이웃한 플레이트에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튜브홀은, 상기 행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패널 및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열교환플레이트의 열교환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서로 다른 열(C) 사이에 열(heat)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일 측에서 바라본 열교환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플레이트(10)를 y축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열교환플레이트(10)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플레이트(10)를 y축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플레이트(10)를 y축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패널 및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좌표계에 대하여 정의한다. x축 방향은 전후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x축 방향은 공기의 유동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좌우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y축 방향은 열교환플레이트(10)의 배열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튜브(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x축 방향은 행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Z축 방향은 열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0)는 x축 방향으로 행(row)을 형성할 수 있다. 튜브(20)가 형성하는 행은, z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0)는 z축 방향으로 열(column)을 형성할 수 있다. 튜브(20)가 형성하는 열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z축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x축 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1)는 열교환플레이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플레이트(1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는, 열교환플레이트(10)의 두께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플레이트(1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는 튜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2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를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0)는 열교환플레이트(10)를 복수회 관통하여 행과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0)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0)는 z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열을 형성할 수 있다. 튜브(2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 교환 매체는 튜브(20)의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 매체는, 냉매일 수 있다. 튜브(20)의 유입구(20a)로 유입된 열 교환 매체는, 튜브(20) 내부를 통과한 뒤 배출구(2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열 교환 매체는, 튜브(20) 내부를 통과하며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튜브(20)는 리턴밴드(2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를 관통한 어느 튜브(20)는,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의 외측에서 리턴밴드(20c)에 의해 다른 튜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리턴밴드(20c)는 벤딩될 수 있다. 리턴밴드(20c)는 튜브(20)의 단부에 용접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10)와 복수의 튜브(20)의 사이에 형성된 유동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유동공간을 통과하며, 열교환플레이트(10) 및 튜브(20)를 통해 열 교환 매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공기는 x축 방향으로 열교환플레이트(1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튜브(20)가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열교환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11)는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플레이트(10)는 튜브홀(14)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홀(14)은 복수의 플레이트(11) 각각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튜브(20, 도 1 및 도 2 참조)는 튜브홀(14)을 관통할 수 있다. 튜브홀(14)은 튜브(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칼라(121)는 튜브홀(14)을 둘러쌀 수 있다. 칼라(121)는 플레이트(11)로부터 튜브가 연장되는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pill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칼라(121)는 튜브홀(14)에 삽입된 튜브(20)를 둘러쌀 수 있다.
튜브홀(14) 및 칼라(12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홀(14)은 플레이트(11) 각각에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홀(14)은 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열되어 튜브홀(14)의 열(C)을 형성할 수 있다. 튜브홀(14)은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C)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튜브홀(14)은 제1 열(C1), 제2 열(C2), 제3 열(C3), ... , 제n 열(Cn)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열(C1), 제2 열(C2), 제3 열(C3), ... , 제n 열(Cn)은 행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공기는 행방향으로 유동하며 복수의 플레이트(11) 및 칼라(121)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열(C1), 제2 열(C2), 제3 열(C3), ... , 제n 열(Cn)을 차례대로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1)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측 열(C)으로부터 후측 열(C)으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열교환플레이트(10) 및 튜브(20)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행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튜브홀(14)은 서로 어긋나거나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홀수열에 형성된 복수의 튜브홀(14)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짝수열에 형성된 복수의 튜브홀(14)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C1)에 배열된 복수의 튜브홀(14)들과 제2 열(C2)에 배열된 복수의 튜브홀(14)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열(C1)에 배열된 복수의 튜브홀(14)들과 제3 열(C3)열에 배열된 복수의 튜브홀(14)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행방향으로 유동하며, 칼라(121) 및 튜브(20, 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저항을 받으며 유동하고, 공기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이 칼라(121) 및 튜브(20)에 의해 분리되고 섞이면서 유동하여, 공기와 열 교환 매체 간 열교환이 균일하게 되고, 열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열교환플레이트(10)는 행방향으로 소정의 폭(W2)으로 벤딩되어 복수의 골(131)과 마루(132)를 형성하는 코르게이트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11)는 주름진(corrugated)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11)는 평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11)는 내측경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11)는 외측경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122)는 칼라(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칼라(121)는 평탄부(12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평탄부(122)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탄부(122)는 칼라(121)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탄부(122)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탄부(122)의 내주단은 칼라(12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경사부(123)는 칼라(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탄부(122)의 외주단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경사부(123)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경사부(123)는 평탄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외측경사부(13)는 내측경사부(123)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경사부(123)를 둘러쌀 수 있다. 외측경사부(13)는 내측경사부(123)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외측경사부(13)는 행방향으로 복수회 벤딩될 수 있다. 외측경사부(13)는 복수회 벤딩되어 복수의 골(131)과 복수의 마루(132)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경사부(123)는 마루(132)에 인접한 외측경사부(13) 부분에서 경계선(141a)을 형성할 수 있다.
골(131) 및 마루(132)는 각각 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골(131) 및 마루(132)는 공기의 유동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플레이트(10)는 차단슬릿(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서로 이웃한 플레이트(11) 사이마다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서로 이웃한 열(C)과 열(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슬릿(151)은 제1 열(C1)과 제2 열(C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열(C) 사이에 형성된 차단슬릿(151)은 열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플레이트(11) 간에 열이 전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1)의 열(C)과 열(C) 사이에 열(heat)이 전도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플레이트 열(C)이 독립적으로 열교환하며, 열교환 성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브릿지(152)는 서로 이웃한 플레이트(11)의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52)는 서로 이웃한 열(C) 사이에 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단슬릿(15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52)는 복수의 차단슬릿(151)의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52)는 서로 이웃한 플레이트(11)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152)는 플레이트(11)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52)는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과 브릿지(152)는 열교환플레이트(10)의 열(C) 사이마다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과 브릿지(152)는 열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복수의 열(C) 사이마다 형성되어, 행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행방향으로 이웃한 차단슬릿(151)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152)는 복수의 열(C) 사이마다 형성되어, 각각의 열(C)을 연결할 수 있다. 행방향으로 이웃한 브릿지(152)들은, 행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과 브릿지(152)는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단일의 차단슬릿(151)의 길이(L1)는 단일의 브릿지(152)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슬릿(151)의 길이(L1)는 21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152)의 길이(L2)는 3mm일 수 있다.
어느 이웃한 열(C)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차단슬릿(151)의 총 길이는, 플레이트(11)의 열방향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차단슬릿(151)의 총 길이는, 플레이트(11)의 길이의 85%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브릿지(152)의 총 길이는, 플레이트(11)의 길이의 15%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플레이트(10)의 구조적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차단슬릿(151)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과 브릿지(152)의 폭(W1)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폭(W1)은 행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은 차단슬릿(151)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브릿지(152)의 폭(W1)은 브릿지(152)의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은, 플레이트(11)가 벤딩되는 폭(W2) 또는 외측경사부(13)간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슬릿(151) 및 브릿지(152)의 폭(W1)은 1mm이하일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은 행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열교환플레이트(10)는 열교환을 위한 슬릿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릿핀(16)은 플레이트(11)가 y축 방향 또는 튜브(2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핀(16)과 플레이트(11)의 사이에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핀(16)은 각각의 플레이트(11)의 열(C)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핀(16)은 각각의 플레이트(11)에서, 열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튜브(20)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핀(16)은 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슬릿핀(16)은 공기 저항을 줄이도록, x축 방향 또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핀(16)은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는 슬릿핀(16)을 통과할 수 있다. 슬릿핀(16)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1)와 슬릿핀(16)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x축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공기는 x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는 슬릿핀(16)에 의해 감싸여져 열교환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길이(L1)는 슬릿핀(16)의 길이(L31, L32)보다 길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은 슬릿핀(16)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y축으로 개구되며, 차단슬릿(151)의 폭(W1)은 공기가 통과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릿핀(16)은 각 열(C)에 형성되나, 차단슬릿(151)은 서로 이웃한 열(C)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슬릿(151)과 슬릿핀(16)은 서로 목적이나 효과가 구분될 수 있다. 슬릿핀(16)은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져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차단슬릿(151)은 행방향으로 이웃한 열(C) 간에 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열교환플레이트(10)는 열교환을 위한 루버핀(17)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루버핀(17)은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루버핀(17)은 사이에는, 플레이트(11)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루버핀(17)을 통과할 수 있다. 루버핀(17)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 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루버핀(17)은 각각의 플레이트(11) 열(C)마다 형성될 수 있다. 루버핀(17)은 각각의 열(C)에서, 열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튜브(20)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루버핀(17)은 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길이(L1)는 루버핀(17)의 길이(L4)보다 길 수 있다. 차단슬릿(151)의 폭(W1)은 루버핀(17)의 폭(W4)보다 작을 수 있다. 차단슬릿(151)은 y축으로 개구되며, 차단슬릿(151)의 폭(W1)은 공기가 통과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루버핀(17)은 각 열(C)에 형성되나, 차단슬릿(151)은 서로 이웃한 열(C)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슬릿(151)과 루버핀(17)은 서로 목적이나 효과가 구분될 수 있다. 루버핀(17)은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되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져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차단슬릿(151)은 행방향으로 이웃한 열(C) 간에 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열교환플레이트
11: 플레이트
14: 튜브홀
20: 튜브
151: 차단슬릿
152: 브릿지

Claims (13)

  1.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행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가 개구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가 관통되는 튜브홀; 으로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에 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홀; 및
    서로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단슬릿을 포함하는 열교환플레이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은,
    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열교환플레이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은,
    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열교환플레이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차단슬릿의 길이(L1)보다 짧은 열교환플레이트.
  5.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 형성되어, 상기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플레이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과 상기 브릿지는,
    이웃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에서, 열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열교환플레이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의 폭(W1)과 상기 브릿지의 폭(W1)은 서로 동일한 열교환플레이트.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릿의 길이(L1)는,
    상기 브릿지의 길이(L2)보다 긴 열교환플레이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은,
    행방향으로 소정의 폭(W2)으로 벤딩되어 복수의 골과 마루를 형성하는 코르게이트 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플레이트가 벤딩되는 상기 소정의 폭(W2)보다 짧은 열교환플레이트.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며, 행방향으로 개구되는 슬릿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슬릿핀의 폭(W3)보다 짧은 열교환플레이트.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루버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슬릿의 폭(W1)은,
    상기 루버핀의 폭(W4)보다 짧은 열교환플레이트.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플레이트에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튜브홀은,
    상기 행방향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열교환플레이트.
  13. 제1 항의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열교환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열교환기.
KR1020220049521A 2022-04-21 2022-04-21 핀튜브 열교환기 KR20230150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21A KR20230150050A (ko) 2022-04-21 2022-04-21 핀튜브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21A KR20230150050A (ko) 2022-04-21 2022-04-21 핀튜브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050A true KR20230150050A (ko) 2023-10-30

Family

ID=8855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521A KR20230150050A (ko) 2022-04-21 2022-04-21 핀튜브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0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027A (ko)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027A (ko)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639B1 (ko) 열교환기
US8037929B2 (en) Evaporator
EP2857785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4122578B2 (ja) 熱交換器
AU2004241397B2 (en) Plate fin tube-type heat exchanger
US20050247444A1 (en) Tube for heat exchanger
EP3091322B1 (en) Fin and tube-typ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provided therewith
US20100263847A1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KR900006245B1 (ko) 열교환기
EP3124905B1 (en) Heat exchanger
JP2005512013A (ja) 熱交換器用の分割フィン
US20090173477A1 (en) Heat exchanger fin
KR100740180B1 (ko) 핀이 부착된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2027098A2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fin
US5667006A (en) Fin tube heat exchanger
US20050224219A1 (en) Heat exchanger uni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unit
JP4122670B2 (ja) 熱交換器
KR20230150050A (ko) 핀튜브 열교환기
US20090145587A1 (en) Fin pack,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1664656B1 (en) Heat exchanger with cooling fin
KR20220101401A (ko) 핀튜브 열교환기
JPH10132480A (ja) 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KR100606332B1 (ko) 공조기기의 열교환기용 납작튜브
KR102660499B1 (ko) 열관리장치의 튜브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H05340680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