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245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245B1
KR900006245B1 KR1019860002760A KR860002760A KR900006245B1 KR 900006245 B1 KR900006245 B1 KR 900006245B1 KR 1019860002760 A KR1019860002760 A KR 1019860002760A KR 860002760 A KR860002760 A KR 860002760A KR 900006245 B1 KR900006245 B1 KR 90000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heat exchanger
air flow
heat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434A (ko
Inventor
히로요시 다나까
마사아키 아다치
요시유키 쯔다
토시아키 안도
후미도시 니시와키
시게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레이끼 가부시기가이샤
아오끼 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8383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32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44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59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레이끼 가부시기가이샤, 아오끼 후시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454Heat exchange having side-by-side conduits structure or conduit section
    • Y10S165/50Side-by-side conduits with fins
    • Y10S165/501Plate fins penetrated by plural conduits
    • Y10S165/502Lanced
    • Y10S165/503Angled lou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기
제1도는 열교환기의 종래예의 사시도.
제2도는 편평핀 일교환기의 종래예의 구성도.
제3도는 슬릿핀 열교환기의 종래예의 구성도.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릿이 없을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동작설명도.
제9도, 제10도는 슬릿이 있을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31 : 동파이프 2, 12, 33 : 핀
34, 40 : 베어서세운돌기부
본 발명은, 공조, 냉동등에 사용되고, 냉매와 냉기등의 유체사이에서 열을 주고받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열교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굽힘에 의해 서로 하나로 접속된 동파이프(1)와 알루미늄등을 재료로 하는 핀(2)으로 이루어지고, 동파이프(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핀(2) 사이를 흐르는 공기(3)가 열교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같은 열교환기는 최근, 소형,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소음등의 문제로 핀사이의 공기유속은 낮게 억제되어있기 때문에, 파이프안쪽의 열저항에 비해서 공기쪽의 열저항은 높다. 그래서 현재는 공기쪽의 전열면적을 확대함으로서 파이프안쪽의 열저항과의 차를 감소시키도록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열면적을 확대하는 것은 물리적인 한계가 존재함과 동시에, 경제성 등의 점으로 부터의 문제도 있어, 공기쪽의 열저항을 저하시키는 일이, 이와같은 종류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또 최근, 보다나은 성능향상을 이루기 위하여, 핀 표면에 슬릿(Slit), 루우버(louver)등의 가공을 처리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히이트펌프 실외부기계장치용의 열교환기로서 사용하면, 겨울철에 서리부착이 현저하여, 편평핀(flat firr)의 경우보다 빈번하게 제상(除霜)처리를 해야한다. 이때문에 실내의 온도변화가 현저하게 되어, 쾌적성이 악화한다. 또 경제적으로도 제상모우드 절환시의 에너지손실에 의한 계절간의 효율의 저하를 볼수있다. 이 때문에 히이트펌프냉난방기의 실내기계장치는 슬릿, 루우버 등의 가공을 실시한 핀을 사용하지만, 실외기계장치용의 열교환기에는 편평핀이 사용되고 있다. 편평핀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실외기계장치가 커지며 원가적으로도 비싸지므로 어떠한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제2도는 종래의 슬릿을 갖지 않은 열교환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a)는 평편도, 제2도(b)는 측면도이다. 동파이프(4)의 내부는 프레온등의 냉매가 순환하고 있으며, 그 냉매의 열이 동파이프(4)로 부터 핀칼라(5)에 전달되어서, 핀(6)에 전달된다. 핀(6)의 전방으로 부터는 공기(7)가 흘러서 핀(6)사이를 통과하나, 그때에 온도가 다른 핀(6)의 표면으로부터 냉매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것이다. 이 작용에 의해서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이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이와같은 핀은 성능적으로는 낮으나, 착상성능이 양호하고, 다시말하면 착상에 의한 성능의 저하정도가 작기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히이트펌프냉난방기의 실외기계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가공을 하지않은 편평핀으로 구성되는 열교환기와 핀에 가공을 실시한 열교환기를 비교하면, 전자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위능력당의 중량 혹은 용적이 매우 커진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여러가지 연구에 의해서 착상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있으나 착상성능 및 능력의 양자가 동시에 뛰어난 핀구성을 발견해내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제3도는 베어서세운돌기부를 가진 형식의 열교환기의 종래예이다. 제3도(a)는 평면도, 제3도(b)는 CC선핀단면도이다. 동파이프(5)의 내부는 프레온등의 냉매가 순환하고 있으며, 그 열은 동파이프(5)로부터 핀칼라(6)에 전달되어서 핀(7) 및 베어서세운돌기부(8)에 전달된다. 한편 화살표(9)방향으로부터 팬등에 의해 보내어지는 공기는 핀(7)사이를 통과하나, 그때 온도가 다른 핀면과 열의 수수를 행한다.
이러한 종래예는, 핀(7)에 베어서 세운돌기부(8)를 가진 슬릿핀(slit fin)이라고 불리어지는 것으로서, 핀표면에 가동이 없는 편평핀과 실험적으로 비교하면 표면의 열저항은 40-50%저하하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이와같이 베어서세운돌기부를 핀면에 형성하였을 경우, 층류(層流)의 조주구간(助走區間)의 열전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핀 표면의 열저항치는 50%이상 낮은 열저항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론치와 실험치의 차는 여러가지 생각할 수 있으나, 그들중에서 중요한 이유로서 들수 있는 것은, ① 베어서세운돌기부(8)를 통과하는 공기루의 통풍저항이 높고, 베어서세운돌기부(8)이외의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량이 증가하므로 베어서 세운돌기부(8)에서의 공기량이 감소하여 열적성능을 충분히 살릴수 없다. ② 지수(止水)영역이 넓게 존재하기 때문에 유효한 전열면적이 저하한다. 특히 공기류(9)의 상류쪽에 있는 동 파이프(5) 후류(後流)의 지수영역은, 그 후부의 베어서세운돌기부(8)를 덮기 때문에 이들 베어서세운돌기부(8)의 열저항이 증대하고 핀의 평균열저항을 증대시킨다. ③ 동파이프(5)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고, 동파이프(5)의 전방 또는 후방에 베어서세운돌기부(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파이프(5)로부터의 열흐름을 방해하여 핀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 슬릿이 있는 핀의 성능은 편평핀과 비교하면 충분히 성능이 높다는 이유때문에, 히이트펌프 냉난방기의 실내용 혹은 냉방전용기용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것은 상술한바와 같이, 이와같은 슬릿을 가지는 핀은, 성능적으로는 높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착상성능은 나빴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핀과 전열파이프의 위치관계의 연구에 의해서, 첫째로는 슬릿을 가진 핀에 대해서는 착상이 없는 상태로 종래에 없었던 매우 높은 성능을 가진 핀 구성을 발견해내고, 둘째로는, 착상성능이 매우 양호하고 또한, 성능도 높은 핀구성도 발견해낸 것이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은, ① 전열파이프 사이의 흐름을 균일화하고, 베어서세운돌기부의 통과공기량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여, 평행평판 사이의 흐름을 실현시켜 이론치에 가까운 열전도율을 얻는다. ② 지수영역으로 유체의 부착현상을 이용하므로서 흐름을 유도하여 지수영역을 감소시킨다. ③ 전열파이프사이의 열류를 방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전열파이프 및 전열면구성을 채용함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핀의 열저항을 저하시키며, 콤팩트하고 또한 고성능의 핀부착열교환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발명의 열교환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를 공기가 유동하는 평판핀과, 이 평판핀과 직각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전열파이프를 갖추고, 인접하는 전열파이프를 연결하는 선이, 공기류의 흐름방향과 교차하도록 전열파이프를 배치함과 동시에, 공기류의 상류쪽에 위치하는 전열파이프의 어느것인가의 전열파이프의 공기류방향의 투영면이 하류쪽에 위치하는 전열파이프에 일부중첩시킴과 동시에 전열파이프 상호의 간격을 공기유입방향으로부터 공기류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게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열교환기이며, 제4도(a)는 평면도, 제4도(b)는 측면도이다. (10a)(10b)는 동파이프이며, 이 동파이프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고 있다. 열은 동파이프(10)로 부터 핀칼라(11), 핀(12)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전방에서 불어오는 공기(13)와 열의 수수를 행한다. 동파이프(10)의 배치는 동파이프(10a)와 (10b)의 관계와 같이 상류쪽의 동파이프(10a)의 투영면(14)에 부분적으로 동파이프(10b)가 겹치도록 구성되며 또한 동파이프군사이의 피치(b)는 인접동파이프 상호간의 거리(C)보다도 크다. 다시말하면 항상 상류쪽의 어느 동파이프(10)의 투영면과 하류쪽의 동파이프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동파이프의 중심거리(a)와 열전달율 및 압력손실의 관계는 제8도와 같이 된다. 압력손실은 b/c가 작아지면 증대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b>c로 하고 있다. 또 한편 중심거리가 핀칼라직경의 1/2근처에서 열전달율은 최대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a)를 핀칼라 직경의 1/2로 하고 있으나, 직경의 2/5-5/8근처에서는 대체로 동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압력손실은 지그재그배열보다 작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동파이프거리가 공기류와 비스듬하게 되어 바둑판의 눈금배열과 비교해서 넓어지기 때문에 결로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또 지수영역도 바둑판의 눈금배열로하면 대체로 동파이프 후류전체영역에 걸쳐서 나타나지만, 이 실시예와 같은 동파이프배열에서는 현저히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착 열교환기에 한정되어, 핀을 사용하지 않는 파이프만으로 구성되는 열교환기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a)는 평면도, 제5도(b)는 측면도이다 .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그 효과는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다른점은 동파이프(15)의 배치, 및 돌기(18)의 유무이다. 동 파이프(15b)는 동파이프(15a)의 투영면(20)과 부분적으로 겹치게 된다. 또 핀(17)에 가공된 돌기(18)도 어느 것인가의 동파이프의 투영면과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돌기(18)를 형성함으로서 상류쪽의 파이프와 핀과의 사이로 부터 발생하는 말발굽형상의 와류가 동파이프(15a)(15b)(15c)(15d)로 구성되는 동파이프군의 내부로 들어가서, 동파이프군의 내부의 열전달이 현저하게 향상됨과 동시에 동파이프후부에까지 흐름이 부착하기 때문에 지수영역이 감소하고, 유효한 전열면적도 증가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제6도(a)는 평면도, 제6도(b)는 제6도(a)의 AA 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도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대체로 같으나, 다른점은 동파이프군에 길게늘어선 직선 형상의 돌기가지(24)를 형성한 점이다. 이 돌기가지(24)는 이슬이 부착된 상태에서 운전할때에 물방울의 낙하를 촉진하고, 수막(水膜)에 의한 열전달율의 악화 및 압력손실 증대를 억제하고, 낮은 압력손실이고 또한 높은 열전달율의 증발기용 핀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상의 돌기가지(24)는 동파이프(21a)와 (21c)처럼, 인접한 동파이프군의 하나의 상류쪽의 동파이프를 연결하는 것과같이 구성되어 있으나, 이 돌기가지(24)는, 동파이프(21a)와 (21d)를 연결하는 것과 같이, 즉 다시말하면 공기류(25)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이 돌기가지(24)는 공기가 흩어지게 하는 동시에 지수영역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어, 높은 열전달율과 넓은 유효전열면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① 각 전열파이프군내의 전열파이프가 약간씩 기류와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상류쪽의 파이프와 핀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말발굽형상의 와류가 하류쪽의 파이프에 충돌하여, 파이프 표면에 높은 열전달영역을 발생하게 한다. ② 상기의 상류쪽으로부터 발생하는 말발굽형상의 와류가 파이프표면에 충돌하여, 파이프 양쪽으로 분기해서, 파이프에 부착하여 파이프후부로 돌아들어가기때문에 지수영역이 적어저서 유효한 전열면적이 증가한다. ③ 전열파이프군 사이의 거리가 전열파이프군내의 전열파이프사이의 거리보다 넓으므로 압력손실이 적다. ④ 전열파이프군내의 전열파이프가 기류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류방향으로 파이프를 일렬로 늘어놓았을 경우보다 전열파이프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서, 물방울이 부착하였을 경우에 낙하하기 쉬워서 결로시의 전열성능이 높다는 등의 작용이 있으며, 이와같은 작용에 의해 설령 핀에 가공을 실시하지 않았을 경우, 다시말하면 편평형을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전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때문에, 히이트펌프 난방기의 실외열교환기에 본 발명을 사용하였을 경우, 서리부착시간이 길며, 또한 콤팩트한 실외기계장치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7도(a)는 평면도, 제7도(b)는 BB선단면도이다. (26)은 동파이프,(27)은 핀칼라,(28)은 핀, 이 핀(28)은 도면과 같이 공기류(29)쪽의 단부(30)를 후단부로 보다 더 길게 구성하고 있다. 또 핀(28)은 단면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살형상으로 구성되어있다. 동파이프(26)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류 상류쪽의 어느 파이프의 투영면의 일부가 후류쪽의 파이프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효과에 더해서 ① 핀 선단부를 연장하였기 때문에 선단부의 핀효율이 나빠지며, 선단에서의 서리부착량을 떨어뜨릴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에서의 서리에 의한 폐색시간을 현저히 길게 취할 수 있다. ② 핀표면이 주름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쪽의 파이프에의해 발생된 말발굽 형상의 와류가 핀의 블록부를 통과할 경우에, 블록부의 위쪽으로 방출하면서 하류쪽의 파이프와 충돌하기 때문에, 와류가 확산되어 열전달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지수영역도 감소한다. ③ 동파이프 주위의 편평부에 주름살 형상의 요철부로부터 흐름이 유입하여 주름살부의 동파이프근처에 2차흐름을 방생시켜서 열전달율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서리부착성능, 능력모두 현저하게 향상된 열교환기를 얻을수 있다. 다음에 슬릿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9도에 있어서, 제9도(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슬릿을 가진것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평면도, 제9도(b)는 제9도(a)의 BB선단면도이다. 또(31a)(31b)(31c)는 동파이프이며, 그 주위에 버어링 가공된 핀칼라(32)가 끼워맞춤결합되어 있다. (33)은 핀이며 (34)는 다리 형상의 베어서세운돌기부이다. 동파이프(31a)(31b)(31c)의 내부는 냉매가 흐르고 있으며, 그 냉매가 가지는 열은, 동파이프(31), 핀칼라(32), 핀(33)및 베어서세운돌기부(34)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한편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류(35)는, 핀사이를 통과할때에 냉매로 부터 전달된 열을, 공기가 접하는 면을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교환한다.
동파이프(31b)(31c)는 공기류의 상류쪽에 설치된 동파이프(31a)의 사선으로 나타낸 투영면(36)에 반만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동파이프(31b)(31c)에 의해서 동파이프(31a)의 후류는, 투영면(36)으로 깊숙히 들어가도록 흐르므로, 지수영역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동파이프(31c)의 위치는 동파이프(31b)의 하류쪽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와 모순되지 않으나, 이 경우는 지수영역의 감소효과는 본 실시예보다 약간적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동파이프(31b)(31c)의 투영면(36)과의 겹침을 정확히 동파이프직경의 1/2로하고 있으나, 슬릿이 없는것과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겹쳐있으면 효과는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파이프(31)가 3개일 경우이나, 3개이상 또는 그 이하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서세운돌기부(34)가 동파이프(31a)(31b)(31c)를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또한 그 핀(33)과 접속하는 다리부를 공기류(35)의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리부는 공기의 흐름을 동파이프(31)군내에 인도하도록 작용하여 지수영역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 이 다리부가 동파이프(31a)(31b)의 후류에 깊숙히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파이프군 사이에서 일부분만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일이없고, 균일한 공기유속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베어서세운돌기부(34)의 전연성능이 공기유속의 저하에 의해서 손실되는 일이 없다. 그 외에, 동파이프군(31a)(31b)(31c)은 대체로 일렬로 되어있기 때문에 동파이프군 사이의 열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핀효율도 높아진다. 그때문에 전체적인 핀의 전열성능은 현저히 향상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하나를 도시한 것이며, 제10도(a)는 평면도 제10도(b)는 AA선단면도이다. (37a)(37b)(37c)(37d)는 동파이프이며, 동파이프(37a)의 투영면에 동파이프(37b)가 부분적으로 겹치며, 마찬가지로 동파이프(37b)의 투영면과동파이프(37c), 동파이프(37c)의 투영면과 동파이프(37d)가 부분적으로 겹쳐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겹침이 동파이프직경의 1/2이나, 이 값에 관해서든, 제8도의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값의 범위와 대체로 동등한 범위에서 가장 효과가 높다. 한편(38)은 핀칼라이며 핀(39)을 버어링가공해서 일으켜 세운 것이다.(40)은 핀(39)표면을 다리형상으로 베어서 세운돌기부이다. 동파이프(37)의 사이에는 공기류(43)를 뒤섞기 위하여 동파이프군을 횡당하도록 산형상의 돌출부(41)가 형성되고 그 일부의 산형상의 돌출부(41)의 꼭대기에는 복수개의 오목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형상의 돌출부(41)의 저부는 기류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기류의 혼합이 일어나고, 경계층이 뒤섞여서 열전달율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산형상의 돌출부(41)는, 이 열교환기를 증발기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기류의 뒤섞임뿐만 아니라, 응축수(凝縮水)를 모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응축수의 낙하가 신속하게 행해지게 되어 전열성능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①전열파이프군 사이를 흐르는 공기유속이 균일화 되어, 베어서세운돌기부의 열저항을 충분히 저하기킬 수 있다. ②상류에 있는 전열파이프의 후류가 하류의 전열파이프에 의해서 흐름방향을 바꾸어, 지수영역쪽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지수영역이 감소하고, 유효한 열전달면적이 증가한다. ③각 전열파이프가 기류방향에서 봐서 현저하게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열파이프로부터 핀 및 베어서세운돌기부에의 일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고, 핀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4)

  1. 소정간격을 두고 겹치게한 복수개의 핀과, 상기 핀에 직교하는 복수개의 전열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핀면에서 공기류 방향에 인접하는 전열파이프를 연결하는 선이 공기류방향과 교차하도록 전열파이프를 배열시키고, 상기 공기류에 대해서 상류쪽에 위치하는 어느 전열파이프의 상기 공기류 방향의 투영면을 하류쪽에 위치하는 어느 전열파이프에 부분적으로 겹치게함과 동시에, 상기 인접하는 전열파이프 상호간의 간격을 상기 공기류방향보다도 상기 공기류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작게한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전열파이프의 투영면을 인접하는 전열파이프에 부분적으로 겹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열파이프를 연결하는 선이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열파이프를 연결하는 선이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핀을 공기류방향으로 주름살형상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핀의 골(谷)부분을 전열파이프 상호의 간격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공기류방향으로 늘어놓은 전열파이프열을 핀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착설하고, 상기 다른 열의 임의의 전열파이프 상호간에 돌기가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돌기가지는 상기 핀길이 방향에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핀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열파이프 상호간에 핀길이 방향의 베어서 세운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1항에 있어서, 핀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복수매의 핀에 기류방향에 대해 비직선형상으로 늘어 놓은 3개 이상의 전열파이프열을 핀 길이 방향으로 복수열 설치하고, 상기 핀의 상기 전열파이프 열사이에 상기 공기류 방향으로 개구한 복수개의 베어서 세운돌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각 전열파이프열에 있어서 전열파이프는, 상기 공기류의 상류쪽에 있는 어느 상기 전열파이프의 하류쪽에의 투영면이 하류쪽에 위치하는 어느 전열파이프에 부분적으로 겹쳐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베어서세운돌기부의 핀과 접합하는 다리부를 상기 공기류 방향에 대해서 경사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전열파이프 열방향의 전열파이프 상호간에 있어서 각 전열파이프 열에 대해서 공통의 볼록형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볼록형상은 산형상이며, 그 정상부에 복수개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19860002760A 1985-04-19 1986-04-11 열교환기 KR900006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83833 1985-04-19
JP60083833A JPS61243292A (ja) 1985-04-19 1985-04-19 フイン付熱交換器
JP83833 1985-04-19
JP11244585A JPH0227597B2 (ja) 1985-05-24 1985-05-24 Fuintsukinetsukokanki
JP60-112445 1985-05-24
JP112445 1985-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434A KR860008434A (ko) 1986-11-15
KR900006245B1 true KR900006245B1 (ko) 1990-08-27

Family

ID=2642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760A KR900006245B1 (ko) 1985-04-19 1986-04-11 열교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15437A (ko)
KR (1) KR900006245B1 (ko)
CN (1) CN1014632B (ko)
AU (1) AU585970B2 (ko)
CA (1) CA1269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810B1 (ko) * 2016-06-07 2017-02-03 신경재 열교환 장치용 물결형 냉각 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0076C1 (ko) * 1989-09-09 1991-02-14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360060A (en) * 1992-12-08 1994-11-01 Hitachi, Ltd. Fin-tube type heat exchanger
US5628362A (en) * 1993-12-22 1997-05-13 Goldstar Co., Ltd. Fin-tube type heat exchanger
CN1095065C (zh) * 1994-12-27 2002-11-27 Lg电子株式会社 热交换器的结构
US5797448A (en) * 1996-10-22 1998-08-25 Modine Manufacturing Co. Humped plate fin heat exchanger
KR100220723B1 (ko) * 1996-12-30 1999-09-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503407B1 (ko) * 1999-03-09 2005-07-2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핀 튜브형 열교환기
US6321833B1 (en) 1999-10-15 2001-11-27 H-Tech, Inc. Sinusoidal fin heat exchanger
DE10296722B4 (de) * 2002-02-28 2012-07-26 Lg Electronics Inc. Wärmetauscher für ein Kühlgerät
WO2003100340A1 (en) * 2002-05-29 2003-12-04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nufacturing refrigerant tube of the same
KR100506610B1 (ko) * 2003-12-12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동장치 및 그 냉동장치를 갖는 냉장고
KR20050105335A (ko)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US6997248B2 (en) * 2004-05-19 2006-02-14 Outokumpu Oyj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charge air cooler
US20080041559A1 (en) * 2006-08-16 2008-02-21 Halla Climate Control Corp. Heat exchanger for vehicle
EP2235467A4 (en) * 2007-12-18 2013-10-23 Carrier Corp HEAT EXCHANGER FOR EXTRACTING WATER
US20100212876A1 (en) * 2009-02-23 2010-08-26 Trane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WO2012098914A1 (ja) * 2011-01-21 2012-07-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US9677828B2 (en) * 2014-06-05 2017-06-13 Zoneflow Reactor Technologies, Llp Engineered packing for heat exchange and systems and methods constructing the same
US11225807B2 (en) 2018-07-25 2022-01-18 Hayward Industries, Inc. Compact universal gas pool heater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9672A (en) * 1926-12-13 1929-12-17 Long Mfg Co Inc Fin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810B1 (ko) * 2016-06-07 2017-02-03 신경재 열교환 장치용 물결형 냉각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6102670A (zh) 1986-12-24
CA1269975A (en) 1990-06-05
US4715437A (en) 1987-12-29
AU585970B2 (en) 1989-06-29
AU5613186A (en) 1986-10-23
KR860008434A (ko) 1986-11-15
CN1014632B (zh) 199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245B1 (ko) 열교환기
EP3279598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WO2015004720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S58217195A (ja) 熱交換器
JP3068761B2 (ja) 熱交換器
KR100220723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H0829016A (ja) ヒートポンプ用室外熱交換器
US11573056B2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0256402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3215587B2 (ja) 熱交換器
JP200408513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10132480A (ja) 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JP3918284B2 (ja) 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H06300474A (ja) フィン付熱交換器
KR200144768Y1 (ko) 냉동시스템용 열교환기
JP7150157B2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4322105B (zh) 换热器和空调系统
JPH11264629A (ja) クロスフィンコイル型熱交換器
WO2018040034A1 (zh) 微通道换热器及风冷冰箱
CN113124492B (zh) 空调室内机
JP7006376B2 (ja) 熱交換器
KR20040037684A (ko) 열교환기의 물빠짐 장치
KR100492576B1 (ko) 열교환기
JPH073203Y2 (ja) 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JPH09196585A (ja) フィン付き形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