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773A -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773A
KR20230149773A KR1020230135854A KR20230135854A KR20230149773A KR 20230149773 A KR20230149773 A KR 20230149773A KR 1020230135854 A KR1020230135854 A KR 1020230135854A KR 20230135854 A KR20230135854 A KR 20230135854A KR 20230149773 A KR20230149773 A KR 2023014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ultraviolet rays
extract
improving
damage ca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동욱
강성훈
전동욱
Original Assignee
전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15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3843B1/ko
Application filed by 전동욱 filed Critical 전동욱
Publication of KR2023014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7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6Selen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Carotene, caroten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6Vitamin B3 ni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Oral composition for protec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against UV-induced skin damages and method for protecting skin}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증상 및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위해 요인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피부에 직접 전달되는 위해 요인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90-320 nm), 및 UVC (200-290 nm)로 구분된다. UVA와 UVB는 DNA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활성산소종을 생성시켜 피부의 탄력 저하, 주름 생성 등의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특히, 피부 표피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수분을 세포 내로 수송하는 아쿠아포린(aquaporin) 3 단백질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생성하는 효소인 HAS2 (hyaluronan synthase 2)의 발현이 감소되어 피부 건조가 야기된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뿐만 아니라, 피부 질환을 유발하거나, 기존의 피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하는 환경 요소이다. 심지어 자외선의 강도는 해가 갈수록 점차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피부 문제와 보건 지출 역시 매해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피부 질환은 편평세포암, 기저세포암 등의 피부암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르는 자외선차단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자외선차단제를 2시간 내지 3시간마다 자외선이 노출되는 신체 모든 부위에 바르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로 인해 먹어서 자외선을 보호하자는 여러 연구들을 해왔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 공개 EP0712630 A2(JBC Cosmetics)는 카로티노이드,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및 셀렌을 함유하는 경구 투여 조제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 조제물은 피부의 갈색화 및 햇빛 알레르기(광 피부병)의 방지를 의도하는 것이다. α-카로틴, β-카로틴 및 리코펜이 카로티노이드로서 60 내지 150 mg의 1 일용량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헌은 피부 자체의 햇빛 보호 인자의 증가를 상정한 많은 경구 조제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이들 조제물의 상당수는, α-또는β-카로틴에 기반하고 있으나, β-카로틴의 보충은 폐암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연구에 의해 나타나고 있으므로, 기존 경구 햇빛 보호 조제물 중의β-카로틴의 대체물 또는 부분적 대체물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하며, 부작용이 없는 먹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가 개발되는 경우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자외선 노출 전, 자외선 노출 중 및 자외선 노출 후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경구 및 비경구 경로로 적용되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및 개선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질병의 치료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피부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IGA(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EI (Erythema index)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MI (Melasma index)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피부 수분량(Skin hydration)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측정 사진을 것이고, 관련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궁극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피부 문제들이 감소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녹차 추출물은 물을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녹차 잎을 추출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건조 후 분말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은 상온에서 진행되거나 또는 열수 추출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단계를 수행한 후 필터링한 결과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추출물을 건조하여 건조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의 전식물 부분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줄기, 잎을 건조시킨 후, 100 내지 150℃, 보다 상세하게는 110 내지 130℃, 예를 들어 121℃에서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추출 시간은 1 시간 내지 12 시간, 예를 들어 2 시간 내지 8 시간, 또는 4 시간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단계를 수행한 후 필터링한 결과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추출물을 건조하여 건조 후 분말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포도씨 추출물을 포도씨를 분쇄하여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상기 알코올은 예를 들어 에탄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농축 단계를 수행한 후 필터링한 결과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추출물을 건조하여 건조 후 분말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는 상기 유효 성분에 기초한 것으로, 상기 추출 혼합물은 추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 비수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포도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수리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및 녹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의 혼합물 75 내지 8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 혼합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비수리 추출물 1 중량부 당 녹차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및 포도씨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1~3 중량부: 1 중량부 : 1 내지 3 중량부, 예를 들어 2:1:1, 3:1:1, 또는 1: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혼합물의 혼합 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항산화 효능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및 셀레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C, 비타민 D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D 및 셀레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비타민 C 및 E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2000mg의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녹차 추출물 150 내지 250 mg, 비수리 추출물 50 내지 150 mg, 포도씨 추출물 50 내지 150 mg, 니코틴산아미드 3 내지 20 mgNE, 베타 카로틴 0.1 내지 10mg, 비타민 D 50 s내지 1500 IU 및 셀레늄 15 내지 60 cmg, 비타민 C 50 내지 150 mg 및 비타민 E 2 내지 15 mg와 함께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베타 카로틴은 부작용의 예방을 위해 10mg 초과의 함량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은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경구 투여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또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용,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용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에 의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피부 질환 치료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은 햇빛 알레르기기, 광과민성 피부염, 피부암, 루푸스, 기미, 아토피 피부염, 모낭염, 습진 및 색소 이상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질환일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형 제제로 제형화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형 제제 또는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상 제제의 경구 제형으로 경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비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는 전체 고형 제제 중량을 기준으로 유효 성분을 10 내지 40 중량%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대하여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 또는 적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식품 조성물로써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식품 조성물의 형태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 고체상, 기타 유동상 등의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진 식품이라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기능성 음료 등의 식품 조성물인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 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외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외용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는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 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독성 이상의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품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한 구체적인 적용 부위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추가의 성분으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색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자외선 노출 전, 자외선 노출 중 및 자외선 노출 후 경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외선 노출 전 12 시간 내, 예를 들어 6 시간, 3시간, 1시간 및 30분 이내에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자외선 노출 중, 및/또는 자외선 노출 후 12 시간 내, 예를 들어 6 시간, 3시간, 1시간 및 30분 이내에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는 상기 조성물을 1일 1회 내지 3회 경구 투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경구 제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외선에 의해 유발 또는 악화되는 다양한 피부 질환을 앓거나 앓을 위험이 있는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피부 건강을 지향하는 일반적인 현대인들에게도 자외선에 의한 피부 건강 유지 및 예방을 위해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특히 국소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외선에 대하여 피부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구 투여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제조
(1) 추출물의 마련
포도씨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비수리(야관문) 추출물을 각각 Shaanxi Jiahe Phytochem co., Ltd, Anhui Redstar Pharmaceutical Co., Ltd 및 (주)하람으로부터 각각 상업적으로 구매하여 획득하였다.
(2) 경구 투여 조성물 시료의 제조
경구 투여 조성물 시료는 5개로 하기와 같은 중량비로 총 중량이 0.1g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시료 1: 녹차:비수리:포도씨 = 1:1:1
시료 2: 녹차:비수리:포도씨 = 2:1:1
시료 3: 녹차:비수리:포도씨 = 1:2:1
시료 4: 녹차:비수리:포도씨 = 3:1:1
시료 5: 녹차:비수리:포도씨 = 1:1:3
이렇게 획득된 각 시료를 0.1g씩 측량하여 10mL DMSO로 녹여 10㎍/mL으로 만든 후 농도 별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항산화 능력 평가
시료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제거 능력(radical scavenging activity)과 ABTS 라디칼 제거 능력(radical scavenging activity) 확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안정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는 517 nm에서 최대 파장 흡수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DPPH가 환원되어 짙은 보라색에서 옅은 노란색으로 변하고 일반적으로 자유 라디칼과 반응력이 큰 분자일수록 DPPH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소거한다. DPPH 시료를 메탄올(methanol)에 용해하여 0.2 mM 용액으로 제조하고 각각의 단일 시료들과 혼합 시료들을 DMSO를 이용해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메탄올에 녹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각 시료 50 μL와 DPPH 용액 150 μL를 혼합한 후 25 ℃에서 30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517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DPPH 소거 활성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흡광도 차를 대조군의 흡광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아래의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D - C) - (B - A) / C × 100
A : 실험군의 반응 전 흡광도
B : 실험군의 반응 후 흡광도
C : 대조군의 반응 전 흡광도
D : 대조군의 반응 후 흡광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는 진한 보라색 화합물로서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정도로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을 메탄올에 녹여 농도 50 - 3.125 ㎍/mL로 실험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2)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시약은 짙은 청록색을 띄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투명한 흰색으로 바뀐다, ABTS 시료를 PBS에 녹여 7.4 mM로 제조하고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PBS로 녹여 5 mM 과황산칼륨을 제조한 후에 두 용액을 1:1 비율로 섞었다. 이후 호일로 감싸 상온에서 24 h 반응시켜 ABTS+를 제조하였다. 24 h 반응시킨 시료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732 nm에서 흡광도가 0.7 ~ 0.75가 되도록 PBS를 이용해 희석해주었다. 각각의 시료들을 DMSO를 이용해 희석해주었으며 DMSO로 녹인 아스코르브산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각 시료 20 μL와 ABTS+ 용액 180 μL를 혼합한 후 25 ℃에서 10 분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732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ABTS+ 소거 활성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흡광도 차를 대조군의 흡광도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아래의 식과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ABTS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D - C) - (B - A) / C × 100
A : 실험군의 반응 전 흡광도
B : 실험군의 반응 후 흡광도
C : 대조군의 반응 전 흡광도
D : 대조군의 반응 후 흡광도
ABTS는 진한 청록색 화합물로서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투명한 흰색으로 변하는 정도로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을 DMSO에 녹여 농도 50 - 1.5625 ㎍/mL로 실험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3. 경구 투여 조성물의 경구 복용 후 자외선 노출에 대한 반응 평가
(1) 경구 투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부형제로 결정셀룰로스 847mg, 해조칼슘 14mg, 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14mg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고,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mg, 이산화규소 2mg을 후 혼합한 후 타정 및 코팅을 통해 정제 제형의 경구 투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정제'라고 지칭한다.
성분 함량
히알루론산 240mg
녹차추출물 200mg
비수리추출물 100mg
포도씨추출물 100mg
베타카로틴 0.12mg
비타민C 100mg
비타민D 100IU
비타민E 2.73mg
니코틴산아미드 3.76mgNE
셀레늄 20mcg
(2)임상 연구본 연구는 2가지 광원(Excimer laser, Narrowband UVB)을 활용하여 18세 이상의 피험자(Fitzpatrick skin type III, IV에 해당하는 자) 20명의 등에 자외선을 노출시키고, Day 0에 피험자의 좌측 상부 등에 308 nm-excimer laser(Xtrac, Photomedex, Montgomeryville, PA)를 150, 200, 250, 300, 350, 400 (mJ/cm2)으로 6군데 조사하고, 좌측 하부 등에 Narrowband UVB를 150, 200, 250, 300, 350, 400 (mJ/cm2) 6군데 조사한다. 24시간 (Day 1) 후에 각 평가 항목을 평가한다. 이 평가 결과를 'Pre-MI'로 지칭한다.
평가가 끝난 다음 날부터 4주간 본 발명의 정제를 하루 2알씩 지속 섭취한다(Day 2-29). Day 29에 피험자의 우측 상부 등에 308nm excimer laser를 150, 200, 250, 300, 350, 400 (mJ/cm2) 6군데 조사하고, 우측 하부 등에 Narrowband UVB를 150, 200, 250, 300, 350, 400 (mJ/cm2) 6군데 조사한다. 24시간 (Day 16) 후에 각 평가 항목을 평가한다. 이 평가 결과를 'Post-MI'로 지칭한다.
각 평가 항목은 ①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IGA) 평가, ②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평가, ③Erythema Index (EI), Melanin Index (MI) 평가, ④ Skin hydration 평가, ⑤Minimal erythema dose (MED) 평가 및 ⑥안전성 평가이며, 상세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IGA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평가 - 주관적 평가
하기 표 2의 기준에 따라 IGA를 평가하였다. 일차 유효성 평가 항목으로 IGA의 평균값(mean value)(12개 구역의 IGA 값을 모두 더하여 12로 나눈 값)를 확인한다.
이차 유효성 평가 항목으로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이용하여 좌우측 등 MI, EI, TEWL (12개 구역의 값을 모두 더하여 12로 나눈 값), 및 MED 값의 유의한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단, 분산 동일성 검정에서 분산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사용한다. IGA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평가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IGA severity Features
0 Clear of erythema
1 Trace erythema
2 Visible, not confluent erythema, no sharp borders
3 Confluent erythema with 4 sharp borders
4 Intense erythema
② TEWL 측정 (Transepidermal water loss) - 피부 장벽온도(20~24℃)와 습도(28~38%)가 일정한 방에서 Tewameter®를 등에 밀착시켜 2회 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고 피부 표면을 통한 수분 소실(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③ EI (Erythema index) 및 MI (Melasma index) 측정 - 홍반 및 색소
온도(20~24℃)와 습도(28~38%)가 일정한 방에서 Mexameter®를 등에 밀착시켜 2회 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 도 5 및 도 6은 Mexameter®로 멜라닌과 혈색소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3종의 파장대(green 568㎚, red 660㎚, infrared 880㎚) 광원 16개가 원형으로 배치된 센서 탐침(probe)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그 결과 측정된 홍반지수(Erythema index, EI) 및 색소지수인 멜라닌지수(melanin index, MI)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이때 단위는 임의단위 aribiturary unit (AU)이다.
④ 피부 수분량(Skin hydration) 측정
온도(20~24℃)와 습도(28~38%)가 일정한 방에서 Corneometer®를 등에 밀착시켜 2회 측정 후 평균값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 Corneometer®는 각질층 30 내지 40㎛ 깊이 이내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는 기기로 그 결과 '수분함유량(water content)'을 도 7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단위는 임의단위 aribiturary unit (AU) 이다.
⑤ MED (Minimal erythema dose) 평가 - 최소 홍반량
최소홍반량 (Minimum Erythema Dose, MED)이라 함은 UVB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한 후 16∼24시간의 범위내에, 조사영역의 전 영역에 홍반을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자외선 조사량을 말하며, IGA severity 1 (trace erythema)으로 정의한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고, 관련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⑥ 이상 반응 확인
연구기간 동안 발생하는 모든 비정상적인 신체반응을 관찰한다.
(3)임상 연구 결과
상기 3.(2)의 6가지 지표 모두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세 최소홍반량은 10.3% 상승하였고, 홍반은 14.7% 감소하였고, 색소는 15.2% 감소하였고, 피부 장벽은 21.6% 개선되었고, 피부 수분량은 24.3% 증가하였으며, 주관적 평가에서도 23.2% 개선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셀레늄; 히알루론산; 및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 혼합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2:1:1, 3:1:1, 또는 1: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수분 손실 억제 및 홍반 억제에 의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물은 추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 비수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 및 포도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C, 비타민 D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경구 투여용 조성물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용,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에 의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피부 질환 치료용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햇빛 알레르기기, 광과민성 피부염, 및 기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질환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형 제제로 제형화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는 전체 고형 제제 중량을 기준으로 유효 성분을 10 내지 40 중량% 함량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외용 조성물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11.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셀레늄; 히알루론산; 및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 혼합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2:1:1, 3:1:1, 또는 1: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수분 손실 억제 및 홍반 억제에 의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12.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셀레늄; 히알루론산; 및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 혼합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2:1:1, 3:1:1, 또는 1: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수분 손실 억제 및 홍반 억제에 의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니코틴산아미드; 베타 카로틴; 비타민; 셀레늄; 히알루론산; 및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 혼합물은 녹차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2:1:1, 3:1:1, 또는 1: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수분 손실 억제 및 홍반 억제에 의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20230135854A 2022-02-07 2023-10-12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KR20230149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5221 2022-02-07
KR1020220015221 2022-02-07
KR1020230015633A KR102593843B1 (ko) 2022-02-07 2023-02-06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633A Division KR102593843B1 (ko) 2022-02-07 2023-02-06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773A true KR20230149773A (ko) 2023-10-27

Family

ID=875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854A KR20230149773A (ko) 2022-02-07 2023-10-12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9773A (ko)
WO (1) WO20231497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587B1 (ko) * 2007-10-02 2010-06-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543461B1 (ko) * 2013-04-12 2015-08-11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야관문lpc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광노화 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18517786A (ja) * 2015-06-19 2018-07-05 グローバル ヘル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カチオン性殺生物剤を含むペトロラタム系組成物
TWI667036B (zh) * 2017-04-03 2019-08-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於調控pdgfc、fgf2、igf1r、ptgis、nos3、edn1、plat、proc、vwf、f3、serpine1、il-8、icam1、vcam1及casp8基因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769A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93480B (zh) 一种抗氧化组合物及其应用
KR102161179B1 (ko) 홍차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593843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0708B1 (ko)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47007B1 (ko) 디프테로카퍼스 옵터시포리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230149773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보호 방법
KR102639155B1 (ko) 발레클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20110074194A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8990B1 (ko)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0604244B1 (ko) 토마토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Marnewick Antioxidant properties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in vitro and in vivo evidence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0997442B1 (ko) 달뿌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114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62257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5307B1 (ko) 아세틸시미게놀 아라비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