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713A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9713A KR20230149713A KR1020230023930A KR20230023930A KR20230149713A KR 20230149713 A KR20230149713 A KR 20230149713A KR 1020230023930 A KR1020230023930 A KR 1020230023930A KR 20230023930 A KR20230023930 A KR 20230023930A KR 20230149713 A KR20230149713 A KR 20230149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protrus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을 지지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외부 지그가 접촉될 수 있는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외부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부품의 일 종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는 전자 부품 또는 센서 등의 많은 전기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전기 부품들은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기 부품 또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우징을 메인 바디에 체결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인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홀딩 포인트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바디 케이스; 및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및 메인 바디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고, 결합 바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 케이스에 연결되는 하우징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에 걸림 가능한 결합 하우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바디 돌기 및 결합 하우징 돌기는 면접촉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 및 결합 하우징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및 메인 바디가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 바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에 걸림 가능한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 및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는 면접촉하고,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 및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축 방향 바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축 방향 바디 돌기를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메인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 지그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지그는 상기 홀딩 포인트에 접촉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이너 전도체; 상기 이너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케이블 쉴드; 및 상기 케이블 쉴드를 둘러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은, 상기 절연체를 절삭하고 상기 이너 전도체에 접촉하는 전도체 터미널; 및 상기 외부 재킷을 절삭하고 상기 케이블 쉴드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는 바디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 암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바디 암은,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이너 전도체와, 상기 이너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케이블 쉴드와, 상기 케이블 쉴드를 둘러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인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홀딩 포인트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인 바디 중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마주하는 표면 상에 홀딩 포인트(holding point)를 마련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 및 하우징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지그는 인쇄회로기판 및 하우징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메인 바디는 지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메인 바디가 지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을 향한 방향으로 하우징에 힘이 인가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은 감지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이 메인 바디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 V-V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개선 VI-VI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개선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은 절개선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 및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커버 쉴드가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쉴드 및 베이스 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일부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이 메인 바디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 V-V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개선 VI-VI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개선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은 절개선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 및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커버 쉴드가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쉴드 및 베이스 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일부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이 메인 바디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 V-V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개선 VI-VI를 따라 절개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인쇄회로기판(190), 케이블(140)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190) 및 케이블(140)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가 케이블(140)을 수용한 상태일 때, 작업자는 하우징(130)의 상면에 하방으로 힘을 인가하여, 하우징(130) 및 메인 바디(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케이블(140)은 하우징(130) 및 메인 바디(120)에 의해 상하측에서 가압될 수 있다. 케이블(140)은,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방은, 메인 바디(120)를 기준으로 인쇄회로기판(190)이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 상에서, 상방은 +z 방향이고, 하방은 -z 방향일 수 있다. 하우징(130) 및 메인 바디(1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케이블(140)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40)은 그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140)은, 신호를 전송하는 이너 전도체(141)와, 이너 전도체(141)를 둘러싸는 절연체(142)와, 절연체(142)를 둘러싸고 노이즈 발생을 감소시키는 케이블 쉴드(143)와, 케이블 쉴드(143)를 둘러싸는 외부 재킷(144)(outer 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142)는 이너 전도체(141)보다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재킷(144)은 케이블 쉴드(143)보다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142) 및 외부 재킷(144)은 예를 들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142) 및 외부 재킷(144)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전도체(141) 및 절연체(142)는, 케이블 쉴드(143) 및 외부 재킷(144)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140)의 전방 단부에는, 이너 전도체(141) 및 절연체(142)만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절연체(142)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블 쉴드(143) 및/또는 외부 재킷(144)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는 메인 바디(120)의 하측면을 별도의 지그(9)로 지지한 상태로, 하우징(13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인쇄회로기판(19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30)이 이동하는 동안,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케이블(140)의 외피 부분을 절삭시키고, 케이블(140)의 금속 부분에 파고들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케이블(140)의 금속 부분에 접촉할 수 있다.
지그(9)는, 지그 바디(91)와, 지그 바디(9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지그 암(92)과, 지그 바디(9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9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한 쌍의 지그 암(93)은 메인 바디(120)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93)는 하우징(130)을 가압할 수 있다.
지그(9)가 메인 바디(12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30)에 인가되는 힘은, 직접적으로 인쇄회로기판(190)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바디(120) 중 지그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홀딩 포인트(HP, holding point)로 지칭될 수 있다. 홀딩 포인트(HP)는 평면일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하면은 적어도 일부가 인쇄회로기판(19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홀딩 포인트(HP)는 인쇄회로기판(190)의 상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우징(130)의 하면이 인쇄회로기판(19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2)는, 홀딩 포인트(HP)가 인쇄회로기판(19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d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동안, 하우징(130)이 지그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120) 중 일부는 인쇄회로기판(190)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인쇄회로기판(19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케이블(14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140)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케이블(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절연체(142)를 절삭 가능하고 이너 전도체(141)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전도체 터미널(111)과, 외부 재킷(144)을 절삭 가능하고 케이블 쉴드(143)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쉴드 터미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 터미널(111)은 쉴드 터미널(112)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은 y축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메인 바디(1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는 복수 개의 터미널(110)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그루브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도체 터미널(111)의 상단은 절연체(14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체 터미널(111)은, 인쇄회로기판(190)에 고정되는 전도체 터미널 바디(1111)와, 전도체 터미널 바디(1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전도체 터미널 암(1112)과, 한 쌍의 전도체 터미널 암(1112) 사이에 형성되는 전도체 터미널 그루브(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 터미널 그루브(1113)의 폭은, 이너 전도체(14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동안, 절연체(142)는 한 쌍의 전도체 터미널 암(1112)에 의해 절삭되고, 이너 전도체(141)는 전도체 터미널 그루브(1113)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도체 터미널 암(1112)은 측방으로 벌어질 수 있다.
쉴드 터미널(112)은, 인쇄회로기판(190)에 고정되는 쉴드 터미널 바디(1121)와, 쉴드 터미널 바디(112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쉴드 터미널 암(1122)과, 한 쌍의 쉴드 터미널 암(1122) 사이에 마련되고, 쉴드 터미널 바디(11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 돌기(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동안, 외부 재킷(144)은 한 쌍의 쉴드 터미널 암(1122)에 의해 절삭되고,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 돌기(1123)는 케이블 쉴드(143)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 돌기(1123) 및/또는 한 쌍의 쉴드 터미널 암(1122)은 케이블 쉴드(143)에 접촉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0)는 인쇄회로기판(190)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하면에는 홀딩 포인트(HP)가 마련될 수 있다. 홀딩 포인트(HP)는 그 길이 방향이 케이블(14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는 인쇄회로기판(19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그(129)들을 구비할 수 있다. 지그는 복수 개의 레그(129)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홀딩 포인트(HP)를 지지할 수 있다. 홀딩 포인트(HP)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홀딩 포인트(HP)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저면은 y축 방향으로 폭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폭 중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의 폭(w1)의 길이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 중 상대적으로 큰 부분의 폭(w2)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바디(120)의 폭은 복수 개의 터미널(110)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메인 바디(120) 중 복수 개의 터미널(110)이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 홀딩 포인트(HP)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저면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메인 바디(12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메인 바디(120)의 중심 축선을 따라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 축선은, 메인 바디(120)의 저면의 중심을 따라 x축 방향으로 마련된 선을 의미한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 각각의 중심은 메인 바디(120)의 중심 축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110) 각각의 양 테두리부로부터 메인 바디(120)의 측 테두리까지 간격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30)은 메인 바디(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메인 바디(120)를 커버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메인 바디(1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개선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은 절개선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케이블(140)을 수용하는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은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은 임시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메인 바디(120)로부터 하우징(130)이 의도하지 않게 상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은,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의 제 1 걸림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의 결합 해제는,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의 제 2 걸림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측벽부에 마련되고 하우징(130)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들(1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슬롯(135)은, 하우징(130)의 하단부로부터 +z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롯들(135)은 케이블(14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롯들(135)에 의해, 하우징(130)의 측벽부는 메인 바디(120)에 걸리는 순간에 바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측벽부는 메인 바디(120)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는, 바디 케이스(121),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 결합 바디 돌기(123) 및 축 방향 바디 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하우징 케이스(131),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 결합 하우징 돌기(133) 및 하우징 수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와, 하우징(130)의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는 제 1 걸림부로 지칭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결합 바디 돌기(123)와, 하우징(130)의 결합 하우징 돌기(133)는 제 2 걸림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21)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21)는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는 바디 케이스(1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21)의 측면은, 법선이 y축 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된 표면을 의미한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는 바디 케이스(121)의 상단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는, 하우징(130)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30)이 의도하지 않게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는 하우징(130)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디 케이스(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는 바디 케이스(1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는, 하우징(130)이 메인 바디(120)에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바디(120)에 걸릴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는,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는, 케이블(14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 x축 방향으로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는 하우징(130)에 면접촉할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바디 돌기(123)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디 케이스(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는 바디 케이스(12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21)의 후면은, 법선이 -x 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된 표면을 의미한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는 하우징(130)에 삽입될 수 있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는 하우징(130)에 면접촉할 수 있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130)의 접촉 표면은, 바디 케이스(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케이스(131)는 메인 바디(12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는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는 하우징 케이스(131)의 하단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는, 메인 바디(120)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30)이 의도하지 않게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는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 및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 및 이탈 방지 바디 돌기(122)의 접촉 표면은,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결합 하우징 돌기(133)는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하우징 돌기(133)는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132)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하우징 돌기(133)는, 하우징(130)에 걸릴 수 있다. 결합 하우징 돌기(133)는 결합 바디 돌기(123)에 면접촉할 수 있다. 결합 하우징 돌기(133) 및 결합 바디 돌기(123)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하우징 돌기(133) 및 결합 바디 돌기(123)의 접촉 표면은,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134)는 축 방향 바디 돌기(124)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134)는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홈, 또는 하우징 케이스(131)에 관통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134) 및 축 방향 바디 돌기(124)의 접촉 표면은,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수용부(134) 및 축 방향 바디 돌기(124)의 접촉 표면은, 하우징 케이스(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 수용부(134)는, 제 2 걸림부(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의 결합력에 더하여,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걸림부는 +y 측 및/또는 -y측에서,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을 고정시키고,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 수용부(134)는 -x측에서, 메인 바디(120) 및 하우징(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2 걸림부 뿐만 아니라,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 수용부(134)을 통해서, 이중 걸림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40)이 z축 방향으로 리프팅되는 동안, 축 방향 바디 돌기(124) 및 하우징 수용부(134)는 하우징(130)이 z축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들어올려지는 현상이 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 및 하우징이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커버 쉴드가 생략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200)는, 인쇄회로기판(290), 케이블(240)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290) 및 케이블(240)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복수 개의 터미널(210), 메인 바디(220), 하우징(230), 커버 쉴드(250) 및 베이스 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미널들(210)은, 전도체 터미널(211) 및 쉴드 터미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터미널(212)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220)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및 베이스 쉴드(260)를 수용할 수 있다. 메인 바디(220)는, 바디 케이스(221) 및 바디 암(229)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암(229)은 바디 케이스(221)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암(229)은 하우징(130)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 암(229)은 복수 개의 홀딩 포인트(HP)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 암(229)의 바깥 표면은 하우징(230)의 바깥 표면과 나란할 수 있다. 하우징(230)은 바디 암(229)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30)은 메인 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30)은 커버 쉴드(250)를 수용할 수 있다.
바디 암(229)이 하우징(230)에 삽입되어 바깥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 암(229)의 바닥면은 하우징(230)의 바닥면보다 인쇄회로기판(290)으로부터 더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외부 지그(예: 도 1b의 지그(9))의 삽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지그가 메인 바디(220)를 정상적으로 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바디 암(229)의 바닥면은, 바디 케이스(221)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암(229)의 바닥면은, 바디 케이스(221)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 암(229)의 바닥면이 인쇄회로기판(290)으로부터 이격된 길이는, 바디 케이스(221)의 바닥면이 인쇄회로기판(290)으로부터 이격된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바디 케이스(221)에 홀딩 포인트(HP)가 형성된 상태보다, 바디 암(229)에 홀딩 포인트(HP)가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 지그가 보다 용이하게 홀딩 포인트(HP)에 접근할 수 있고 커넥터 전체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쉴드(250) 및 베이스 쉴드(260)는 케이블(240)의 전방 단부를 둘러쌈으로써, 노이즈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커버 쉴드(250)는 하우징(230)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인쇄회로기판(290)에 배치되고, 커버 쉴드(25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쉴드(250) 및 베이스 쉴드(260)에 의하면, 케이블(240) 중 케이블 쉴드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노출 부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차폐될 수 있다. 커버 쉴드(250)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블(240)의 외부 재킷 중 상부 부분을 절삭하고, 케이블 쉴드에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블(240)의 외부 재킷 중 하부 부분과 양측 부분을 절삭하고, 케이블 쉴드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쉴드 및 베이스 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일부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커버 쉴드(250)는, 커버 베이스(251),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 커버 암(253),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 커버 전방 홀(258) 및 커버 상측 홀(259)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251)는 케이블(2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251)는 예를 들어 케이블(240)의 전방 단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베이스(251)는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는 커버 베이스(2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 쉴드(26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는 케이블(24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는 노이즈가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 암(253)은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암(253)은 예를 들어,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의 테두리부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암(253)은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 및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일정 부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는 커버 베이스(2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 쉴드(26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는 케이블(240)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는 노이즈가 측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는 커버 베이스(2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는 케이블(240)의 외부 재킷(244)의 상부 부분을 절삭하고, 케이블(240)의 케이블 쉴드(243)에 접촉할 수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는 케이블 쉴드(243)에 접촉하여, 케이블 쉴드(243)와 함께 노이즈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가 케이블 쉴드(243)를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함을 밝혀 둔다. 메인 바디(220) 및 하우징(230)이 결합되는 동안,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는 케이블 쉴드(243)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의 단부는 변형될 수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가 생략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커버 베이스(251)로부터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 및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는 연장 형성되되,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가 마련될 경우, 노이즈 차폐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커버 후방 플레이트(255)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커버 베이스(251),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 및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을 통해, 노이즈 차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커버 전방 홀(258)은 커버 전방 플레이트(252)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전방 홀(258)은 후술하는 쉴드 체결부(267)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 상측 홀(259)은 커버 베이스(25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상측 홀(259)은 케이블(240)의 전방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커버 상측 홀(259)을 통해서, 케이블(240)이 하우징(230)에 정상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커버 쉴드(25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쉴드 바디(261), 쉴드 레그(262), 쉴드 전방 암(263), 쉴드 측방 암(264), 쉴드 후방 암(265), 쉴드 돌기(266) 및 쉴드 체결부(26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쉴드 터미널(예: 도 4의 쉴드 터미널(112))를 설계 변경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쉴드(260)의 쉴드 후방 암(265)은, 쉴드 터미널(예: 도 4의 쉴드 터미널(112))에 대응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본 명세서에서 쉴드 터미널로 지칭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커버 쉴드(250)는, 하우징(230)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들 중 어느 하나의 쉴드 터미널에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 쉴드(260)는, 쉴드 후방 암(265) 및 쉴드 측방 암(264)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베이스 쉴드(260)는 쉴드 후방 암(265) 및 쉴드 측방 암(264)만으로 구성되고, 커버 쉴드(250)는, 커버 베이스(251)와, 커버 베이스(251)로부터 연장되고 쉴드 측방 암(264)에 접촉하는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쉴드 바디(261)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바디(2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된 후, 4회 절곡되어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쉴드 바디(261)의 양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은 쉴드 체결부(267)일 수 있다. 쉴드 바디(261)의 일 단부에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쉴드 바디(261)의 타 단부에는 걸쇠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돌기 및 걸쇠는 쉴드 체결부(267)로 지칭될 수 있다.
쉴드 레그(262)는 쉴드 바디(26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90)에 연결될 수 있다. 쉴드 레그(262)는 인쇄회로기판(290)에 삽입될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은 쉴드 바디(26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은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의 단부는 쉴드 바디(261) 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은 구조적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은 커버 쉴드(25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쉴드 전방 암(263)은 쉴드 바디(261)의 전방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은 쉴드 바디(26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은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의 단부는 쉴드 바디(261) 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은 구조적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은 커버 쉴드(250)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쉴드 측방 암(264)은 쉴드 바디(261)의 측방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쉴드 후방 암(265)은 쉴드 바디(26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쉴드 후방 암(265)은 케이블(240)의 외부 재킷(244)의 하부 및 측부를 절삭하고, 케이블(240)의 케이블 쉴드(243)에 접촉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쉴드 후방 암(265)이 케이블 쉴드(243)를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함을 밝혀 둔다. 메인 바디(220) 및 하우징(230)이 결합되는 동안, 쉴드 후방 암(265)은 케이블 쉴드(243)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후방 암(265)의 단부는 변형될 수 있다.
쉴드 돌기(266)는 쉴드 바디(26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쉴드(250) 및 베이스 쉴드(2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쉴드 돌기(266)는 커버 암(253) 및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쉴드 돌기(266)는 커버 암(253) 및 커버 측방 플레이트(254)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300)는, 인쇄회로기판(390), 케이블(340)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390) 및 케이블(340)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복수 개의 터미널(예: 도 14의 복수 개의 터미널(210)), 메인 바디(320), 하우징(330), 커버 쉴드(350) 및 베이스 쉴드(예: 도 14의 베이스 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320)는 하우징(330)에 삽입되는 바디 암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 암(329)은, 케이블(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400)는, 인쇄회로기판(490), 케이블(440)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490) 및 케이블(440)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복수 개의 터미널(예: 도 14의 복수 개의 터미널(210)), 메인 바디(420) 및 하우징(4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420)는 하우징(430)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 암(429)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 외부 지그에 의해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을 지지하고, 상기 외부 지그가 접촉될 수 있는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외부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포인트는 상기 메인 바디 중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마주하는 표면 상에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바디 케이스; 및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및 메인 바디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고, 결합 바디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 케이스에 연결되는 하우징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에 걸림 가능한 결합 하우징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바디 돌기 및 결합 하우징 돌기는 면접촉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 및 결합 하우징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및 메인 바디가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림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 바디 돌기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 바디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에 걸림 가능한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 및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는 면접촉하고, 상기 이탈 방지 바디 돌기 및 이탈 방지 하우징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축 방향 바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축 방향 바디 돌기를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이너 전도체;
상기 이너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케이블 쉴드; 및
상기 케이블 쉴드를 둘러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은,
상기 절연체를 절삭하고 상기 이너 전도체에 접촉하는 전도체 터미널; 및
상기 외부 재킷을 절삭하고 상기 케이블 쉴드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쉴드 터미널들 중 어느 하나의 쉴드 터미널에 접촉하는 커버 쉴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바디 케이스; 및
상기 바디 케이스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는 바디 암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암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바디 암은,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 이너 전도체와, 상기 이너 전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둘러싸는 케이블 쉴드와, 상기 케이블 쉴드를 둘러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들;
상기 복수 개의 터미널들을 지지하고, 외부 지그가 접촉될 수 있는 홀딩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커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외부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320891211.3U CN220291166U (zh) | 2022-04-20 | 2023-04-19 | 连接器和由外部夹具联接的连接器组件 |
JP2023068634A JP2023159884A (ja) | 2022-04-20 | 2023-04-19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を含むコネクタ・アセンブリ |
US18/303,654 US20230344158A1 (en) | 2022-04-20 | 2023-04-20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48902 | 2022-04-20 | ||
KR1020220048900 | 2022-04-20 | ||
KR20220048900 | 2022-04-20 | ||
KR1020220048902 | 2022-04-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9713A true KR20230149713A (ko) | 2023-10-27 |
Family
ID=885141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3930A KR20230149713A (ko) | 2022-04-20 | 2023-02-22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0230027084A KR20230149716A (ko) | 2022-04-20 | 2023-02-28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7084A KR20230149716A (ko) | 2022-04-20 | 2023-02-28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30149713A (ko) |
-
2023
- 2023-02-22 KR KR1020230023930A patent/KR20230149713A/ko unknown
- 2023-02-28 KR KR1020230027084A patent/KR20230149716A/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9716A (ko) | 2023-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3704B1 (ko) |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 |
EP2019453B1 (en) | 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062041B2 (en) | Connector | |
US7513786B2 (en) | Connector,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0883950B1 (ko) |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커넥터 | |
KR101413845B1 (ko) | 방수 커넥터 | |
JP2007180008A (ja) | コネクタプラグ | |
KR20090012085A (ko) |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
US11735848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etallic cover and a coupling piece grounding the metallic cover to a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 |
EP331640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 |
KR20100052431A (ko) | 전기커넥터 | |
KR100621392B1 (ko) |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 |
JP2005141930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 |
JP2764687B2 (ja) | 高速伝送用コネクタ | |
KR101588262B1 (ko) | 전기 커넥터 | |
KR20210054449A (ko) | 기판 커넥터 | |
KR20230149713A (ko)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3991373A (zh) | 同轴连接器 | |
US20230344158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US5538448A (en) | Gang modular jack | |
CN210111175U (zh) | 电连接器 | |
EP4266505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CN220291166U (zh) | 连接器和由外部夹具联接的连接器组件 | |
JP6260643B2 (ja) | 同軸コネクタ | |
CN216312257U (zh) | 同轴连接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