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440A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440A
KR20230145440A KR1020237031381A KR20237031381A KR20230145440A KR 20230145440 A KR20230145440 A KR 20230145440A KR 1020237031381 A KR1020237031381 A KR 1020237031381A KR 20237031381 A KR20237031381 A KR 20237031381A KR 20230145440 A KR20230145440 A KR 2023014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on system
aerosol generation
electrical insula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4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organic material, e.g. plas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7Heaters with zones of different power den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과제] 기재(基材)를 보다 적절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1개 이상의 노치를 가지는 막상(膜狀)의 전기 절연부와, 상기 전기 절연부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담배 및 네뷸라이저 등의,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 등을 포함하는기재(基材)를 사용하여,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유저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동작을, 이하에서는 퍼프 또는 퍼프 동작이라고도 칭한다.
전형적으로는,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기재를 둘러싸도록 관상(管狀)으로 감겨진 1매(枚)의 필름 히터에 의해, 기재를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6210610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기재를 수용하는 통상체(筒狀體)의 외측에 필름 히터가 감긴다. 필름 히터와 통상체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기재를 적절히 가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기재를 보다 적절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1개 이상의 노치를 가지는 막상(膜狀)의 전기 절연부와, 상기 전기 절연부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번갈아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를 가져도 된다.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揷拔)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제1 부분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의 단부(端部)를 접속하는 1개 이상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離隔)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3개 이상의 상기 제1 부분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지고, 동일한 상기 제1 부분에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격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모든 단면(斷面)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면의 50% 미만을 피복(被覆)해도 된다.
상기 가열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를 가지고, 상기 전기 저항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에 의해 끼워져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열(熱)을 확산하는 열 확산층을 가지고, 상기 열 확산층은,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덮어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열 확산층은, 구리,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단열층에 의해 덮인 상태로, 열 수축 튜브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도 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에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전기 저항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절연부는, 바니시여도 된다.
상기 전기 저항부는, SUS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기 저항부는, 도전성 트랙이어도 된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를 보다 적절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된다.
[도 1]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를 평면 전개(展開)한 도면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가열부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를 평면 전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흡인 장치는,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이, 에어로졸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 밖에,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은, 기체(氣體)여도 된다.
도 1은, 흡인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전원부(111), 센서부(112), 통지부(113), 기억부(114), 통신부(115), 제어부(116), 가열부(121), 수용부(140), 및 단열부(144)를 포함한다.
전원부(111)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는, 제어부(116)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흡인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2)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값을 취득한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지부(113)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통지부(113)는, 예를 들면, 발광하는 발광 장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音) 출력 장치, 또는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5)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연산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가지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保持, 보유 지지)한다.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連通)하는 개구(開口)(142)를 가지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수용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底部)(143)를 저면(底面)으로 하는 통상체이며, 주상(柱狀)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劃定)한다. 수용부(140)는, 스틱형 기재(15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유로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吸口部)(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또한, 본 구성예에 있어서, 에어로졸원은 액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여도 된다. 스틱형 기재(150)가 수용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141)에 수용되고,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된 흡구부(152)를 유저가 입에 물고 흡인하면, 도시하지 않는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열부(121)는, 필름상으로 구성되고, 수용부(140)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열부(121)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가 외주(外周)로부터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는, 전원부(111)로부터 급전(給電)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유저가 흡인을 개시한 것, 및/또는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되어도 된다. 그리고, 유저가 흡인을 종료한 것, 및/또는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이, 센서부(112)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단열부(144)는, 가열부(121)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로의 전열(轉熱)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단열부(144)는, 진공 단열재, 또는 에어로겔 단열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 흡인 장치(100)의 구성예를 설명했다. 물론 흡인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예시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수용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형성하는 외각(外殼)의 일부를 개폐하는, 힌지 등의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수용부(140)는, 외각을 개폐함으로써,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협지(挾持)해도 된다. 그 경우,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에 있어서의 해당 협지 개소(箇所)에 설치되고,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押壓)하면서 가열해도 된다.
여기서, 전원부(111)는, 가열부(12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의 일례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에어로졸원을 함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례이다.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는 협동하여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 때문에, 흡인 장치(100)와 스틱형 기재(150)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으로서 인식되어도 된다.
<2. 가열부의 상세한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를 평면 전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부(121)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의 가열부(121)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전기 저항부(10) 및 전기 절연부(20)를 가진다. 도 2에는, 전기 저항부(10) 및 전기 절연부(20)의 치수가 도시되어 있으며, 단위는 밀리미터(mm)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의 주위에 배치된다. 수용부(140)는, 예를 들면 SUS(Steel Use Stainless) 등의, 소정의 전열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그 때문에, 가열부(121)가 발한 열은, 수용부(140)를 통하여, 수용부(140)의 내부 공간(141)에 수용된 스틱형 기재(150)를 가열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수용부(140)의 측면에는, 전기 절연부(20A), 전기 저항부(10), 전기 절연부(20B), 열 확산층(30), 단열층(40), 및 열 수축 튜브(50)가 적층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를, 동일한 부호의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붙여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전기 절연부(20A 및 20B)와 같이 구별한다. 다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붙인다. 예를 들면, 전기 절연부(20A 및 20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전기 절연부(20)라고 칭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가열부(121)에 대하여 스틱형 기재(150)가 삽입되는 방향을 하(下)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가열부(121)로부터 스틱형 기재(150)가 발거(拔去)되는 방향을 상(上)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즉, 상하 방향은, 스틱형 기재(150)가 삽발되는 방향이다. 상하 방향은, 수용부(14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수용부(14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외주를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수용부(14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우 방향은, 수용부(14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원형 단면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에 대응한다.
이하, 가열부(121)에 관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저항부(10)는, 전원부(1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한다. 상세하게는, 전기 저항부(10)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줄(joule) 열을 발한다. 전기 저항부(10)는, 예를 들면 SUS(Steel Use Stainless)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경우, 전기 저항부(10)는, 높은 내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 전기 저항부(10)는, 도전성 트랙이어도 된다. 도전성 트랙은, 수용부(140)의 주위를 굴곡하면서 둘러진다. 수용부(140)의 주위에 있어서의 도전성 트랙의 분포에 따라, 수용부(140)의 측면을 임의의 열 분포로 가열 가능해진다.
전기 절연부(2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막상의 부재이다. 전기 절연부(20)는, 필름이어도 된다. 그 밖에, 전기 절연부(20)로서의 막(膜)은, 바니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전기 절연부(2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기 절연부(20)는, 폴리이미드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절연부(20)는, 높은 내열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 저항부(10)는, 전기 절연부(20) 상에 배치된다. 특히, 가열부(121)는, 2개의 전기 절연부(20)(20A 및 20B)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전기 저항부(10)는, 2개의 전기 절연부(20)에 의해 끼워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저항부(10)가 다른 도전체와 접촉하여 단락(短絡)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절연부(20)는, 노치(90)(90A~90C)를 가진다. 그 때문에, 가열부(121)는, 노치(90)를 제외하고 수용부(140)의 측면을 피복한다. 한편, 노치(90)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측면이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140)의 측면에 요철이 있었을 경우, 수용부(140)의 측면의 요철을 노치(90)에 의해 피하면서, 가열부(121)가 수용부(140)의 측면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치(90)가 없는 경우, 수용부(140)의 측면의 요철 부분에 있어서 가열부(121)가 떠 버리고, 이러한 뜬 부분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가열부(121)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가 수용부(140)의 측면에 밀착하므로, 가열부(12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틱형 기재(150)의 적절한 가열이 실현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절연부(20)는, 번갈아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노치(90)를 가진다. 전기 저항부(10)는, 전기 절연부(20) 상에 배치되고, 노치(90)에는 배치되지 않으므로, 노치(90)가 치우친 방향으로 배치되면, 그만큼 전기 저항부(10)의 분포가 치우치게 된다. 이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치(90)를 설치한 것에 기인하는, 전기 저항부(10)의 분포의 편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다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2개 이상의 노치(9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된다. 예를 들면, 노치(90A)는 하측(下側)에 형성되고, 노치(90B)는 상측(上側)에 형성되고, 노치(90C)는 하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의 측면을 좌우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피복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절연부(20)는, 3개의 노치(90) 및 3개의 폴딩(즉, 제2 부분(22A)~22C))을 가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기 절연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제1 부분(21)(21A~21D)와, 좌우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제1 부분(21)의 단부를 접속하는 3개의 제2 부분(22)(22A~22C)를 가진다. 그리고, 제2 부분(22)에 의해 접속되는 2개의 제1 부분(2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노치(90)를 사이에 두고 이격한다. 상세하게는, 제2 부분(22A)은, 제1 부분(21A) 및 제1 부분(21B)의 상단(上端)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분(21A)과 제1 부분(21B)은 노치(90A)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고 있다. 제2 부분(22B)은, 제1 부분(21B) 및 제1 부분(21C)의 하단(下端)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분(21B)과 제1 부분(21C)은 노치(90B)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고 있다. 제2 부분(22C)은, 제1 부분(21C) 및 제1 부분(21D)의 상단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분(21C)과 제1 부분(21D)은 노치(90C)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제1 부분(21)에 접속되는 2개의 제2 부분(22)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격한다. 상세하게는, 제1 부분(21B)에 접속되는 제2 부분(22A) 및 제2 부분(22B)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고 있다. 제1 부분(21C)에 접속되는 제2 부분(22B) 및 제2 부분(22C)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고 있다.
전기 절연부(20)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모든 단면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측면의 50% 미만을 피복한다. 도 2에 나타낸 A-A 절단선에 있어서의 단면에서는, 전기 절연부(20)는, 수용부(140)의 측면 전체 길이 23.7mm의 50% 미만인, 11.8mm((1.5mm+2.9mm+1.5mm)×2)를 피복하고 있다. B-B 절단선에 있어서의 단면에서는, 전기 절연부(20)는, 수용부(140)의 측면의 전체 길이 23.7mm의 50% 미만인, 11.6mm(2.9mm×4)를 피복하고 있다. C-C 절단선에 있어서의 단면에서는, 전기 절연부(20)는, 수용부(140)의 측면의 전체 길이 23.7mm의 50% 미만인, 11.7mm((1.5mm+2.9mm+1.5mm)+2.9mm×2)를 피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저항부(10)도 또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모든 단면에 있어서, 수용부(140)의 측면의 50% 미만을 피복하게 된다. 따라서, 스틱형 기재(150)의 과도한 가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전기 저항부(10)는, 전기 절연부(20)의 형상에 따라, 전기 절연부(20)의 폴딩과 함께 되접혀져 설치된다. 즉, 전기 저항부(10)는, 3개의 노치(90) 및 3개의 폴딩을 가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21)에 있어서는, 2개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140)의 측면의 보다 많은 부분에 전기 저항부(10)가 배치되므로,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열 확산층(30)이, 가열부(121)의 외측을 덮어 배치된다. 열 확산층(30)은, 열을 확산하는 부재이다. 열 확산층(30)은, 예를 들면, 구리,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열 확산층(30)은, 막상으로 형성되고, 수용부(140) 및 수용부(140)의 주위에 배치된 가열부(121)의 외측을 덮고, 가열부(121)의 외측 또는 노치(90)에 대응하는 수용부(140)의 외측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로부터 발생한 열을, 수용부(140)의 측면 전역에 확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40)의 측면 중 가열부(121)가 설치되는 부분과 노치(90)가 설치되는 부분의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차를 경감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의 주위에 배치되고, 열 확산층(30) 및 단열층(40)에 의해 덮인 상태로, 열 수축 튜브(50)에 의해 수용부(140)에 고정된다. 단열층(40)은, 소정의 단열성을 가지는, 막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면, 단열층(40)은, 진공 단열재, 또는 에어로겔 단열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열 확산층(30)이 단열층(40)에 의해 덮이므로, 열 확산층(30)에 의해 확산된 가열부(121)로부터의 열이, 단열층(40)보다도 외측에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 수축 튜브(50)는,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관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면, 열 수축 튜브(50)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수용부(140)에, 가열부(121), 열 확산층(30), 단열층(40), 및 열 수축 튜브(50)를 순서대로 휘감은 상태로, 열 수축 튜브(50)를 가열함으로써, 이들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열층(40)은, 도 1에 나타낸 단열부(144)에 대응한다. 물론, 단열층(40)은, 도 1에 나타낸 단열부(144)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열부(12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에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가열부(121)는, 고온에서 발열하는 고가열 영역과 저온에서 발열하는 저가열 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틱형 기재(150)를 최적인 온도 분포에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 저항부(1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해도 된다. 일례로서, 전기 저항부(10)는, 고가열 영역과 저가열 영역에서, 상이한 밀도로 분포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부(121)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에서 발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3. 보충>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이상의 노치(90)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노치(90)는, 상하 방향 등의 다른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여도, 가열부(121)는 수용부(140)의 측면을 균일하게 피복하여, 스틱형 기재(15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절연부(20)가 3개의 노치(90)를 가지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절연부(20)는, 1개 이상의 노치(90)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즉, 전기 절연부(20)는, 2개 이상의 제1 부분(21)을 가지고, 1개 이상의 제2 부분(22)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노치(90)의 수는, 수용부(140)의 형상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절연부(20)가 3개의 노치(90) 및 3개의 폴딩을 가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 절연부(2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의 지그재그 형상이란, 4개 이상의 노치(90) 및 4개 이상의 폴딩을 가지는 형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저항부(10)가, 전기 절연부(20)의 형상에 따라, 전기 절연부(20)의 폴딩과 함께 되접혀져 배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기 저항부(10)의 폴딩 수와 전기 절연부(20)의 폴딩 수는 상이해도 된다. 이러한 예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를 평면 전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전기 절연부(20)는, 1개의 노치(90) 및 1개의 폴딩(즉, 제2 부분(22))을 가진다. 즉, 전기 절연부(20)는, 2개의 제1 부분(21) 및 1개의 제2 부분(22)을 가진다. 이에 대해, 전기 저항부(10)는, 제1 부분(21A) 및 제1 부분(21B)의 각각에 있어서, 5회 되접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저항부(10)의 폴딩 수는, 전기 절연부(20)의 폴딩 수보다 많아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 확산층(30)이 가열부(121)의 외측을 덮어 배치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열부(121)와 수용부(140)의 사이에, 열 확산층(30)이 배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단열층(40)이 가열부(121)의 외측을 덮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도, 가열부(121)로부터 발생한 열을, 수용부(140)의 측면 전역에 확산시켜, 스틱형 기재(150)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부(121), 열 확산층(30), 및 단열층(40)이 열 수축 튜브(50)에 의해 수용부(140)에 고정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열부(121), 열 확산층(30), 및 단열층(40)은, 클립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여기서의 클립이란, 대상물을 협지하는 부재이며, 예를 들면 수용부(140)를 전후로부터 협지한다. 혹은, 열 확산층(30) 또는 단열층(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립으로서 구성되고, 수용부(140)를 협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140)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부(140)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이어도 되고,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1개 이상의 노치를 가지는 막상의 전기 절연부와,
상기 전기 절연부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부
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상기 전기 절연부는, 번갈아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를 가지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제1 부분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를 접속하는 1개 이상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상기 전기 절연부는, 3개 이상의 상기 제1 부분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지고,
동일한 상기 제1 부분에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상기 전기 절연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상기 전기 절연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모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면의 50% 미만을 피복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상기 가열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를 가지고,
상기 전기 저항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에 의해 끼워지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열을 확산하는 열 확산층을 가지고,
상기 열 확산층은,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덮어 배치되는,
상기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상기 열 확산층은, 구리,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0)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상기 가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열 확산층 및 단열층에 의해 덮인 상태로, 열 수축 튜브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에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상기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상기 전기 저항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하는,
상기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상기 전기 절연부는,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상기 전기 절연부는, 필름인,
상기 (1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상기 전기 절연부는, 바니시인,
상기 (15)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상기 전기 저항부는, SUS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상기 전기 저항부는, 도전성 트랙인,
상기 (1)~(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상기 (1)~(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1 가열부
140 수용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44 단열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0 전기 저항부
20 전기 절연부
21 제1 부분
22 제2 부분
30 열 확산층
40 단열층
50 열 수축 튜브
90 노치

Claims (20)

  1.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1개 이상의 노치를 가지는 막상(膜狀)의 전기 절연부와,
    상기 전기 절연부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저항부
    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번갈아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노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제1 부분과,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를 접속하는 1개 이상의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3개 이상의 상기 제1 부분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 부분을 가지고,
    동일한 상기 제1 부분에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이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M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모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면의 50% 미만을 피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를 가지고,
    상기 전기 저항부는, 2개의 상기 전기 절연부에 의해 끼워지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열을 확산하는 열 확산층을 가지고,
    상기 열 확산층은, 상기 가열부의 외측을 덮어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열 확산층은, 구리,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열 확산층 및 단열층에 의해 덮인 상태로, 열 수축 튜브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온도에서 발열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발되는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분포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필름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부는, 바니시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부는, SUS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부는, 도전성 트랙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37031381A 2021-06-16 2021-06-1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30145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2864 WO2022264312A1 (ja) 2021-06-16 2021-06-16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440A true KR20230145440A (ko) 2023-10-17

Family

ID=8452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381A KR20230145440A (ko) 2021-06-16 2021-06-16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117A1 (ko)
EP (1) EP4305984A1 (ko)
JP (1) JPWO2022264312A1 (ko)
KR (1) KR20230145440A (ko)
CN (1) CN117295419A (ko)
WO (1) WO20222643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0U (ko) 1985-07-05 1987-01-22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830Y2 (ko) * 1972-08-28 1977-12-12
AR002035A1 (es) * 1995-04-20 1998-01-07 Philip Morris Prod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JPH1187023A (ja) * 1997-09-11 1999-03-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面状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4131A (ja) * 2004-08-13 2006-02-23 Susumu Kiyokawa 電気抵抗体
EP2316286A1 (en)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EP2327318A1 (en) * 2009-11-27 2011-06-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nternal or external heater
KR101635340B1 (ko) * 2016-02-19 2016-06-30 전병철 전자담배용 기화장치
TW201740827A (zh) * 2016-05-13 2017-12-01 英美煙草(投資)有限公司 用於加熱可吸菸材料的裝置及方法
EP3995015B1 (en) * 2019-07-01 2023-11-08 Japan Tobacco Inc. Heating assembly and flavor inha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10U (ko) 1985-07-05 1987-01-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95419A (zh) 2023-12-26
JPWO2022264312A1 (ko) 2022-12-22
EP4305984A1 (en) 2024-01-17
WO2022264312A1 (ja) 2022-12-22
US20240041117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2687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JP7059325B2 (ja) 吸入器デバイスのための加熱システムおよび加熱方法
KR102190810B1 (ko) 전자식 증기 제공 시스템
EP3471807B1 (en) Vaporiser assembly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ES2836687T3 (es) Sistema electrónico de suministro de vapor
RU2665613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JP6701332B2 (ja) エアロゾル吸引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ロゾル吸引器、並びにエアロゾル吸引器用発熱シート
BR112017028538B1 (pt)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cartucho para uso em um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meios de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e método de geração de um aerossol
KR20200069311A (ko) 흡입기용, 특히 전자 담배 제품용 증발기 유닛
GB222369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umidifying apparatus
JP6871954B2 (ja) 液体の供給方法
KR20230145440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1245581B1 (ko) 전자담배의 니코틴 용액 기화 구조
WO2022176063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の加熱ユニットおよ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
JP2023533995A (ja) エアロゾル発生デバイスのための加熱装置
US20240023619A1 (en) Flavour inhaler, and heater manufacturing method
EP3838013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US20230292833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System
JP7498865B2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275949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05782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フィルムヒータ
CN118102912A (zh) 气溶胶生成系统
KR20160080460A (ko) 전자담배의 니코틴 용액 기화를 위한 가열체 구조
KR20230169225A (ko) 향미 흡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