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860A -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860A
KR20230143860A KR1020220043026A KR20220043026A KR20230143860A KR 20230143860 A KR20230143860 A KR 20230143860A KR 1020220043026 A KR1020220043026 A KR 1020220043026A KR 20220043026 A KR20220043026 A KR 20220043026A KR 20230143860 A KR20230143860 A KR 2023014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optical fiber
screw thread
electronic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승
Original Assignee
박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승 filed Critical 박민승
Priority to KR102022004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860A/ko
Publication of KR2023014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찌톱이 광섬유 및 커버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를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수직입수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전자찌가 균일한 빛을 방출하게 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Electronic Float With Enhanced Visibility}
본 발명은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둘러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도구를 말한다.
나아가, 전자찌는 기존의 낚시찌가 야간에 잘 보이지 않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여 불이 들어오게 하는 도구를 말한다. 전자찌는 야광기능을 갖는 찌보다 빛의 밝기가 강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에는 전자찌의 구성으로 광섬유를 활용한 것이 있다. 광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찌톱이 쉽게 휘어져 직진성이 없고, 표면장력에 의해 물에 붙는 현상이 발생하며, 수직 입수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낚시용 전자찌는 제 10-1555309 호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광섬유캡과 광섬유를 찌캡에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광섬유 및 광섬유캡의 이중구조에서 나타나는 전자찌의 시인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번호 제 10-1555309 호 등록특허공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찌톱이 광섬유 및 커버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를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수직입수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전자찌가 균일한 빛을 방출하게 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는, 수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빛을 방출하는 찌톱; 상기 찌톱의 하부에 연결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찌몸통; 및 상기 찌몸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낚싯줄과 이어지는 찌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찌톱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방출홈이 형성된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둘러싸고 상기 광섬유보다 약한 가요성을 가진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톱은, 상기 찌톱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여 배터리의 일측 또는 타측과 억지끼움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찌톱과 상기 배터리의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찌톱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톱은, 상기 관통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톱은 하부에 제1-1나사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찌몸통은 상부에 제1-2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1나사산 및 상기 제1-2나사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톱 및 상기 찌몸통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톱은, 하부에 상기 찌톱을 고정하는 제1테이퍼부 및 상기 제1테이퍼부로부터 상기 찌몸통까지 연장되는 제2테이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유색빛을 발하는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차단부는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찌몸통은 하부에 제2-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찌다리는 상부에 제2-2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2-1나사산 및 상기 제2-2나사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몸통 및 상기 찌다리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는 커버부재를 통해 휘어짐을 줄여 수직입수가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게 하며, 균일하게 빛을 방출하여 눈의 피로감을 줄이고 전자찌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한 가요성을 갖는 찌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종래의 찌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통전상태의 찌톱과 배터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비통전상태의 찌톱과 배터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관통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나사산을 통한 찌톱, 찌몸통 및 찌다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나사산을 통한 찌톱, 찌몸통 및 찌다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방출부 및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의 찌에서 유색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찌에서 유색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이하 '전자찌')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처럼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및 상태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막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나아가, 이미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한 가요성을 갖는 찌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종래의 찌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는, 수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빛을 방출하는 찌톱(100); 상기 찌톱(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찌몸통(200); 및 상기 찌몸통(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낚싯줄과 이어지는 찌다리(300);를 포함하고, 상기 찌톱(100)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방출홈(111)이 형성된 광섬유(110) 및 상기 광섬유(110)를 둘러싸고 상기 광섬유(110)보다 약한 가요성을 가진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찌는 찌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찌톱(100)은 전자찌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찌톱(100)은 빛을 방출하여 사용자가 전자찌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찌톱(100)은 수면 상에 노출된 길이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물고기의 입질을 알릴 수 있다.
전자찌는 찌몸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찌몸통(200)은 전자찌의 중앙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찌톱(1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찌몸통(200)은 주로 전자찌에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부피가 클수록 강한 부력을 제공하고, 부피가 작을수록 약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찌몸통(200)은 부력을 담당하므로 주로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며 오동, 갈대, 부들, 발사, 스기목, 플라스틱 및 코르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찌몸통(200)의 소재는 나열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찌는 찌다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찌다리(300)는 전자찌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찌몸통(2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찌다리(300)는 하부가 낚싯줄과 연결될 수 있다. 찌다리(300)는 전자찌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안정적인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찌다리(300)는 주로 침력을 담당하므로 주로 무거운 소재로 구성되며 카본, 글라스 및 대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찌다리(300)의 소재는 나열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찌다리(300)는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부는 찌다리(300)의 최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는 찌다리의 타 부분보다 굵기가 더 굵게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는 하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직경이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는 찌홀더 및/또는 낚싯줄과 연결되는 수단일 수 있다.
나아가, 찌톱(100)은 광섬유(1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110)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110)는 빛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섬유(110)는 발광체(LED 등)로부터 발생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광섬유(110)는 외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방출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출홈(111)은 광섬유(110)의 외부를 따라 형성되어 광섬유(110)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는 홈을 의미한다. 방출홈(111)은 칼집 또는 스크래치 형태로 형성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방출홈(111)은 광섬유(110)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의 형태로 단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광섬유(110)의 둘레를 따라 원의 형태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출홈(111)은 광섬유(110)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방출홈(111)의 형태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섬유(110)는 전체에서 빛을 방출할 수 있으나, 방출홈(111)을 통해 더 강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광섬유(110)는 전체에서 빛을 방출할 수 없고, 방출홈(1110)을 통해서만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방출홈(11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나, 간격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찌톱(100)은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소재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0)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중공을 통해 광섬유(110)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를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보다 약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보다 휨 성질이 적고, 강도가 높을 수 있다. 광섬유(110)는 가요성이 커서 휘어지기 쉬우므로, 광섬유(110)보다 약한 가요성을 가진 커버부재(120)를 통해 광섬유(110)의 휘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의 휘어짐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자찌가 표면장력에 의해 수면 상에 눕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0)는 전자찌의 수직입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를 감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광섬유(1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로서, 커버부재(120)가 광섬유(110)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직진성이 강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자찌는 수면 상에 눕지 않고 수직으로 서 있을 수 있고,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반면, 도 2(b)는 종래의 찌로서, 광섬유(110)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강한 가요성을 가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종래의 찌는 표면장력에 의해 수면상에 수평으로 눕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찌의 관통부(130)가 배터리(10)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통전상태의 찌톱과 배터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비통전상태의 찌톱과 배터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찌톱(100)은, 상기 찌톱(100)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여 배터리(1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억지끼움되는 관통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찌톱(100)과 상기 배터리(10)의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찌톱(100)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찌톱(100)은 관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30)는 찌톱(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30)는 배터리(1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자찌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관통부(130)가 배터리(10)의 일측과 결합하는 경우 전자찌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0)가 발광체(미도시)와 접촉하여 통전 상태가 되면서 전자찌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관통부(130)가 배터리(10)의 타측과 결합하는 경우 전자찌는 빛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0)가 발광체와 비접촉하여 비통전 상태가 되면서 전자찌는 빛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찌를 낮에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3(b)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자찌는 배터리(10)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배터리(1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의 고정부(14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는 관통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찌톱(100)은 상기 관통부(13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찌톱(100)은 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관통부(130)와 배터리(10)가 억찌끼움될 때 배터리(10)를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관통부(13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A-A' 단면을 보여주며, 도 4(b)는 찌톱(100) 외부를 투명하게 하여 관통부(130) 내부의 고정부(140)를 보여준다.
고정부(140)는 도 4(a)와 같이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140)는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40)는 도 4와 같이 관통부(13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140)는 관통부(130) 내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찌톱(100)과 찌몸통(20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는 나사산을 통한 찌톱, 찌몸통 및 찌다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나사산을 통한 찌톱, 찌몸통 및 찌다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찌톱(100)은 하부에 제1-1나사산(4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찌몸통(200)은 상부에 제1-2나사산(4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1나사산(411) 및 상기 제1-2나사산(41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톱(100) 및 상기 찌몸통(200)이 결합할 수 있다.
찌톱(100)은 하부에 형성된 제1-1나사산(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찌몸통(200)은 상부에 형성된 제1-2나사산(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나사산(411)은 수나사산 또는 암나사산일 수 있고, 제1-2나사산(412)은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일 수 있다.
찌톱(100)과 찌몸통(200)은 서로 제1-1나사산(411)과 제1-2나사산(412)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찌톱(100)이 수나사산인 제1-1나사산(411)을 포함하는 경우, 찌톱(100)의 하부 외벽은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내벽은 관통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1나사산(411) 및 제1-2나사산(412)을 통해 찌톱(100)과 찌몸통(200)을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배터리(10)를 교체하거나, 배터리(10)의 일측 결합과 타측 결합을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찌톱(100)은, 하부에 상기 찌톱(100)을 고정하는 제1테이퍼부(150) 및 상기 제1테이퍼부(150)로부터 상기 찌몸통(200)까지 연장되는 제2테이퍼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찌톱(100)은 하부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50) 및/또는 제2테이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50)는 광섬유(110) 및 커버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테이퍼부(150)는 커버부재(120)의 일단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50)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광섬유(110) 및 커버부재(120)의 휨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테이퍼부(150)는 전자찌가 휘는 경우에도, 광섬유(110) 및 커버부재(120)를 고정하여 전자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60)는 제1테이퍼부(15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60)는 제1테이퍼부(150)를 시작으로 하여 찌몸통(200)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60)는 양측이 제1테이퍼부(150) 및 찌몸통(200)과 이어짐으로써, 제1페이퍼부와의 단차를 줄일 수 있고, 찌몸통(200)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찌톱(100)은 광섬유(110) 및 광섬유(110)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하며, 광섬유(110) 및 커버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된 제1테이퍼부(150)를 포함하고, 제1테이퍼부(150)의 하부에 형성된 제2테이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찌톱(100)은 제2테이퍼부(160)의 하부에 형성된 제1-1나사산(4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테이퍼부(160)의 하단과 제1-1나사산(411)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1나사산(411)이 제1-2나사산(412)과 체결될 때 제1-1나사산(411)이 찌몸통(20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테이퍼부(160)는 찌톱(100)과 찌몸통(200)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제1테이퍼부(150) 및 제2테이퍼부(160)는 상호간 단차를 제거함과 동시에 테이퍼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정적으로 광섬유(110) 및 커버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테이퍼부(150) 및 제2테이퍼부(160)는 전자찌가 휘는 경우에도 전자찌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20)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도 6은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120)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유색빛을 발하는 방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방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출부(121)는 커버부재(120)의 외주면에 형광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방출부(121)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반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출부(121)는 커버부재(120)에서 형광 물질이 도포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방출부(121)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유색빛을 발할 수 있다.
방출부(121)는 광섬유(110)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유색으로 전환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부(121)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방출부(121)는 커버부재(12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출부(121)는 유색빛을 발하여 사용자에게 전자찌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방출부(121)는 광섬유(110)에서 방출되는 빛을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섬유(110)는 방출홈(111)에서 빛을 강하게 방출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즉, 방출부(121)는 광섬유(110)에서 불균일하게 나오는 빛이 균일하게 보이도록 빛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부(121) 및 상기 차단부(122)는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차단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22)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부(122)는 방출부(121)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차단부, 제1방출부, 제2차단부, 제2방출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차단부(122) 및 방출부(12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부(122)는 검은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어두운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는 교대로 형성되어, 방출부(121)는 빛을 방출하고, 차단부(122)는 빛을 차단하여 사용자는 수면 상에 노출되는 찌톱(100)의 길이를 직감할 수 있다.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는 커버부재(120) 상에 형성되는 층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는 매우 얇은 층이므로 별도로 층상 구조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때, 방출부(121)는 복수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출부는 연두색, 제2방출부는 주황색, 제3방출부는 분홍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방출부(1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더 쉽게 수면 상에 노출되는 찌톱(100)의 길이를 직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출부(121)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도 7(a)는 종래의 찌에서 유색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찌에서 유색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전자찌가 균일하게 유색빛을 방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a)는 종래의 찌로서, 찌톱(100)이 광섬유(110) 단독으로 이루어지고, 광섬유(110) 자체에 방출홈(111)이 형성되며, 광섬유(110) 자체에 형광 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찌톱(100)이 상기 광섬유(110)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하고 있으나,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다르게,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또는 찌톱(100)으로서, 찌톱(100)이 방출홈(111)이 형성된 광섬유(110)를 포함하며,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의 종래의 찌는 광섬유(110)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형광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커버부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방출홈(111)에서 강한 빛이 방출되며, 이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찌는 불균일한 유색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주고 사용자가 전자찌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인식하는 것에 방해를 줄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찌가 광섬유(110)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방출홈이 형성된 광섬유(110) 및 광섬유(110)를 둘러싸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커버부재(120)로 구성될 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광섬유(110)의 방출홈(111)에서 방출되는 강한 빛은 광섬유(110)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 물질을 만나 강한 유색빛으로 전환되지만, 방출홈(111)이외의 부분에서 방출되는 약한 빛은 약한 유색빛으로 전환된다. 나아가, 불균일한 유색빛이 형광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커버부재(120)를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커버부재(120)의 외부면에서 방출시 유색빛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도 7(a)에서 나타나는 커버부재(120)에서 사선으로 통과하는 빛에 의해 색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반대로, 도 7(b) 본 발명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는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여 내부의 방출홈(111)에서 방출되는 강한 빛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커버부재(120)의 형광 물질은 방출홈(111)을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 편안함을 주고 사용자가 전자찌의 상승 또는 하강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광섬유(110)의 방출홈(111)에서 방출되는 강한 빛은 커버부재(120)를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커버부재(120)의 외부면에서 세기가 균일한 유색빛으로 방출된다. 커버부재(120)의 외부 둘레에 도포된 형광 물질이 균일한 유색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유색빛의 경계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또한, 도 7(b)에서 나타나는 커버부재(120)의 차단부(122)가 빛이 사선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므로, 방출부(121)는 수평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여 색의 경계가 선명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찌몸통(200)과 찌다리(30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찌몸통(200)은 하부에 제2-1나사산(421)을 포함하고, 상기 찌다리(300)는 상부에 제2-2나사산(422)을 포함하며, 상기 제2-1나사산(421) 및 상기 제2-2나사산(422)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몸통(200) 및 상기 찌다리(300)가 결합할 수 있다.
찌몸통(200)은 하부에 형성된 제2-1나사산(4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찌다리(300)는 상부에 형성된 제2-2나사산(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나사산(421)은 수나사산 또는 암나사산일 수 있고, 제2-2나사산(422)은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일 수 있다.
찌몸통(200)과 찌다리(300)는 서로 제2-1나사산(421)과 제2-2나사산(422)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찌몸통(200)과 찌다리(300)는 각각 제2-1나사산(421)과 제2-2나사산(422)을 포함하여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찌몸통(200) 및 찌다리(300)는 나사산을 통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단, 찌몸통(200) 및 찌다리(300)의 구조는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찌몸통(200)과 찌다리(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찌톱(100)의 추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찌톱(100)은 탑방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탑방출부(170)는 찌톱(100)의 가장 상단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탑방출부(170)는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보다 굵게 형성될 수 있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탑방출부(170) 굵고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수면 상에 노출된 길이를 더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특히, 탑방출부(170)는 가장 상부에 위치하므로 1목낚시를 하는 사용자에게 더 명확하게 물고기의 입질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탑방출부(170)는 케미 등의 다른 부품과 결합할 수 있다.
탑방출부(170)는 종차단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종차단부(171)는 광섬유(110)의 종단에서 종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종차단부(171)는 종방향의 빛을 차단하고 횡방향으로만 빛을 방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더 명확한 입질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종차단부(171)는 찌톱(100)이 수면 상에 노출된 길이를 더 명확하게 알릴 수 있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찌톱(100)은 미처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처리부(180)는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미처리부(180)는 전부 검은색으로 구성되어 빛을 차단할 수도 있다. 미처리부(180)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검은색으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방출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찌톱(100)의 상부는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의 반복된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는 미처리부(180)로 형성될 수 있다.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가 계속 반복되어 형성되고 찌톱(100)이 수면 상에 많이 노출되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가 찌톱(100)이 수면 상에 노출된 길이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미처리부(180)는 찌톱(100)이 수면 상에 기준치 이상 노출됨을 알릴 수 있다.
즉, 미처리부(180)는 방출부(121) 및 차단부(122)가 반복되는 구조의 끝을 알려 전자찌가 기준치 이상의 노출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5(a)를 다시 참조하면, 찌톱(100)은 방수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찌다리(300)는 방수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부(190)는 제1-1나사산(4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2나사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방수부(19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부(19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190)는 오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부(190)는 찌톱(100)과 찌몸통(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찌톱(100) 및/또는 찌몸통(200) 내부로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방수부(190)는 찌몸통(200)과 찌다리(30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찌몸통(200) 및/또는 찌다리(300) 내부로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는, 커버부재(120)에 의해 내부에 위치하는 광섬유(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0)는 광섬유(110)보다 낮은 가요성을 가져 광섬유(110)의 휘어짐을 방지하며 전자찌의 수직입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커버부재(120)에 형광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광섬유(110)의 방출홈(111)에서 불균일하게 방출되는 빛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균일한 유색빛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전자찌의 커버부재(120)는 사용자의 눈에 편안함 및 안정감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수면 상에 노출되는 찌의 길이를 명확하게 전달하여 전자찌 및/또는 찌톱(1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배터리
100 : 찌톱
110 : 광섬유
111 : 방출홈
120 : 커버부재
121 : 방출부
122 : 차단부
130 : 관통부
140 : 고정부
150 : 제1테이퍼부
160 : 제2테이퍼부
170 : 탑방출부
171 : 종차단부
180 : 미처리부
190 : 방수부
200 : 찌몸통
300 : 찌다리
411 : 제1-1나사산
412 : 제1-2나사산
421 : 제2-1나사산
422 : 제2-2나사산

Claims (8)

  1. 수면 상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빛을 방출하는 찌톱;
    상기 찌톱의 하부에 연결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찌몸통; 및
    상기 찌몸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낚싯줄과 이어지는 찌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찌톱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방출홈이 형성된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둘러싸고 상기 광섬유보다 약한 가요성을 가진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은,
    상기 찌톱의 하부 중심에 위치하여 배터리의 일측 또는 타측과 억지끼움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찌톱과 상기 배터리의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에만 상기 찌톱이 빛을 방출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은,
    상기 관통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은 하부에 제1-1나사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찌몸통은 상부에 제1-2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1-1나사산 및 상기 제1-2나사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톱 및 상기 찌몸통이 결합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은, 하부에 상기 찌톱을 고정하는 제1테이퍼부 및 상기 제1테이퍼부로부터 상기 찌몸통까지 연장되는 제2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형광 물질이 도포되어 유색빛을 발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차단부는 교대로 형성된,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은 하부에 제2-1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찌다리는 상부에 제2-2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제2-1나사산 및 상기 제2-2나사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찌몸통 및 상기 찌다리가 결합하는,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KR1020220043026A 2022-04-06 2022-04-06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KR20230143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026A KR20230143860A (ko) 2022-04-06 2022-04-06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026A KR20230143860A (ko) 2022-04-06 2022-04-06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860A true KR20230143860A (ko) 2023-10-13

Family

ID=8828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026A KR20230143860A (ko) 2022-04-06 2022-04-06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8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09B1 (ko) 2013-12-04 2015-09-23 오건부 낚시용 전자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09B1 (ko) 2013-12-04 2015-09-23 오건부 낚시용 전자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230143860A (ko) 시인성이 강화된 전자찌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101801709B1 (ko) 에어포켓 타입의 어구용 축광부자
KR102159785B1 (ko) 연승 어장용 피싱 라이트
KR200396324Y1 (ko) 낚시찌 조명구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24607Y1 (ko)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KR20210127498A (ko)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JP5229841B1 (ja) 電気浮き
KR20026040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200488828Y1 (ko) 시인성 및 강도 강화를 위한 찌 보강부재
KR100787558B1 (ko) 광색 변환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자찌
KR200207858Y1 (ko) 어신 감지용 낚시찌의 발광체
KR100352914B1 (ko) 어신 감지용 낚시찌의 발광체
KR102148501B1 (ko) 전자발광 기능을 갖춘 낚시찌
JP2009129546A (ja) 発光装置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100574285B1 (ko) 낚시용 발광 집어기
JPH11169040A (ja) 釣用浮子および釣用浮子の発光体収納筒
KR200496573Y1 (ko) 낚시용 광섬유 전자찌
CN212813702U (zh) 一种日夜双用电子浮漂
KR102088615B1 (ko) 전자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