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462A -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462A
KR20230141462A KR1020230022674A KR20230022674A KR20230141462A KR 20230141462 A KR20230141462 A KR 20230141462A KR 1020230022674 A KR1020230022674 A KR 1020230022674A KR 20230022674 A KR20230022674 A KR 20230022674A KR 20230141462 A KR20230141462 A KR 2023014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unit
image
work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타카 스즈키
마사아키 무라야마
유지 야마구치
야스토 니시이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automatic stee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B60K2360/166
    • B60K35/28
    • B60K35/81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1/00Application
    • G05D2201/02Control of position of land vehicles
    • G05D2201/0201Agriculture or harvesting machine

Abstract

(과제) 포장 내 및 포장 외에 있어서의 각종 영역을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인한다.
(해결 수단) 제어부(80)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와, 포장 윤곽 설정부(83)와, 영역 설정부(84)와, 표시 처리부(86)를 구비한다. 차량 위치 취득부(85)는 포장(98)을 주행하는 콤바인(1)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99)를 취득한다.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복수의 위치 정보(99)에 근거하여 포장(98)의 윤곽(981P)을 설정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에 근거하여 콤바인(1)에 의한 작업의 대상 외의 영역을 나타내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포장(98)의 내부 또는 포장(98)의 외부에 설정한다. 표시 처리부(86)는 포장(98)을 나타내는 포장 화상(98P)과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화상(94)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CONTROL DEVICE AND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은 포장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얻어지는 복수 포장의 각각의 위치와, 작업 차량 또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어 측위 장치에 의해 측위된 위치 사이의 각 거리에 근거하여 복수 포장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해서 포장 정보를 표시한다.
일본특허공개 2019-024383호 공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포장 정보의 종류, 휴대 단말의 표시 형식, 및 작업자의 상황 등에 의해, 작업자가 휴대 단말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포장 내 및 포장 외에 있어서의 각종 영역을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차량 위치 취득부와, 포장 윤곽 설정부와, 영역 설정부와, 표시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 위치 취득부는 포장을 주행하는 작업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상기 포장 윤곽 설정부는 복수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포장의 윤곽을 설정한다.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윤곽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한 작업의 대상 외의 영역을 나타내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상기 포장의 내부 또는 상기 포장의 외부에 설정한다.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포장을 나타내는 포장 화상과, 상기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은 제어 장치와, 주행 기체와, 주행 장치와, 예취 장치와, 탈곡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 기체에는 상기 제어 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주행 장치는 상기 주행 기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행 기체를 지지하고, 포장을 주행한다. 상기 예취 장치는 상기 주행 기체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한다.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서 예취된 예취 곡간을 탈곡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 상기 예취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내 및 포장 외에 있어서의 각종 영역을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작물 수확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통신 단말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이 주행하는 포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표시부에 표시된 각종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식별 화상이 표시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작물 수확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작물 수확 시스템(100)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1)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통신 단말(7)의 블록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운전 공간(2a)(도 1 참조)에 배치된 운전 좌석(도시하지 않음)에 착석한 운전자(작업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정의한 것에 지나치지 않고, 이것들의 방향의 정의에 의해,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사용 시 및 조립 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농작물 수확 시스템(100)은 작업 차량인 자탈형의 콤바인(1)과 휴대 통신 단말(7)을 포함한다. 농작물 수확 시스템(100)은 작업자가 휴대 통신 단말(7) 등을 사용해서 지시를 행함으로써 콤바인(1)에 자동 주행시키면서, 콤바인(1)에 농작물의 수확 작업 등을 행하게 하는 것이며, 자동 주행 시스템의 일례이다. 또한, 자동 주행의 지시는 휴대 통신 단말(7)이 아니고, 콤바인(1)에 설치된 조작 부재를 조작해서 행해도 된다. 콤바인(1)은 작업 차량의 일례이다. 작업 차량은 콤바인(1)에 한정되지 않고, 포장 내를 자동 주행 가능한 차량이면 된다. 작업 차량으로서는 종자를 포장에 파종하면서 주행하는 파종기, 비료를 포장에 시비하면서 주행하는 시비기, 약제를 포장에 산포하면서 주행하는 약제 산포기, 모종의 식부 작업 등을 행하면서 주행하는 전식기, 경운기, 및 트랙터 등이 있다. 수확 작업, 파종, 시비, 약제 산포 및 식부 작업은 작업 차량에 의한 작업의 일례이다.
자동 주행이란 콤바인(1)이 구비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주행에 관한 장치가 제어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르도록 적어도 조타가 자율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타에 더해, 차속 또는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 등이 자율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자동 주행에는 콤바인(1)에 사람이 타고 있을 경우와, 콤바인(1)에 사람이 타고 있지 않을 경우가 포함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1)은 주행 기체(101)와, 주행 장치(102)와, 예취 장치(200)와, 탈곡 장치(300)와, 그레인 탱크(400)와, 제어부(50)와, 기억부(55)와, 통신 장치(16)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102)는 주행 기체(101)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주행 기체(101)를 지지한다. 예취 장치(200)는 주행 기체(101)의 전방에 배치된다.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는 농작업 장치의 일례이다. 통신 장치(16)는 주행 기체(101)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어부(50)는 주행 기체(101) 내부에 배치된다. 기억부(55)는 주행 기체(101) 내부에 배치된다.
주행 기체(101)(콤바인(1))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엔진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이다.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켜서 얻은 열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동력)로 변환한다.
주행 장치(102)는 콤바인(1)을 주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장치(102)는 엔진에 있어서 생성된 동력(운동 에너지)에 근거해서 주행한다. 주행 장치(102)는, 예를 들면,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 장치를 포함한다.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 장치는 콤바인(1)을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킨다. 또한,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 장치는 콤바인(1)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예취 장치(200)는 엔진에 있어서 생성된 동력(운동 에너지)에 근거해서 구동한다. 예취 장치(200)는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취 장치(200)는 예취 프레임(201)과, 곡간 반송 장치(204)를 구비한다.
예취 프레임(201)은 주행 기체(101)의 전방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취 프레임(201)의 하방에는 예취 칼날이 배치된다. 예취 장치(200)는 포장의 미예취 곡간의 주원(株元)을 절단하기 위해 예취 칼날을 왕복 이동시킨다.
곡간 반송 장치(204)는 예취 칼날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300)까지 반송한다.
콤바인(1)은 주행 장치(102)를 구동해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200)를 구동해서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할 수 있다.
탈곡 장치(300)는 엔진에 있어서 생성된 동력(운동 에너지)에 근거해서 구동한다. 탈곡 장치(300)는 곡간 반송 장치(204)에 의해 주행 기체(101)에 반송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작업을 행한다. 예취 작업은 수확 작업에 포함된다. 그레인 탱크(400)는 탈곡 장치(300)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한다. 구체적으로는 탈곡 장치(300)는 풍구 팬(303)과 배진 팬(305)을 구비한다. 탈곡 장치(300)는 주행 기체(101)에 반송된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탈곡한다. 탈곡 장치(300)는 탈곡한 이삭 끝측(탈곡물)을 요동 선별(비중 선별)한다.
풍구 팬(303)은 탈곡 후의 예취 곡간을 향해서 선별풍을 공급한다. 이 결과, 곡립(탈곡물) 중의 짚 부스러기나 협잡물이 제거된다. 짚 부스러기나 협잡물이 제거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400)로 운반되어 저류된다. 배진 팬(305)은 곡간 반송 장치(204)의 후방부의 배진을 기 외로 배출한다.
주행 기체(101)(콤바인(1))는 캐빈(2)을 더 구비한다. 캐빈(2)은 상자 형상이고, 캐빈(2)의 내부에는 콤바인(1)의 운전자(작업자)를 위한 운전 공간(2a)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 공간(2a)에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 좌석, 조타 핸들 및 주변속 레버 등의 콤바인(1)의 운전에 요하는 기기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조타 핸들은 운전 좌석의 전방에 배치된다. 조타 핸들은 운전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주행 장치(102)가 주행하는 방향을 변화시킨다. 콤바인(1)의 모드가 수동 주행 모드일 때, 운전자(작업자)는 조타 핸들을 조작해서 콤바인(1)을 선회시킬 수 있다. 선회에는 예를 들면, 90도 턴(α턴), U자 턴, 및 피쉬 테일 턴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주변속 레버는 운전 좌석의 좌방에 배치된다. 주변속 레버는 운전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주행 장치(10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는 각종 스위치를 갖는다. 주변속 레버의 각종 스위치에는 예를 들면, 탈곡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예취 장치(2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스위치, 예취 장치(200)를 하강시키기 위한 스위치, 예취 장치(20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 및 엔진에 있어서 생성된 동력을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에 전달할지의 여부를 스위칭하는 스위치가 포함된다. 조타 핸들, 주변속 레버 및 각종의 스위치는 운전자(작업자)에 의한 조작에 따른 지시 내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16)는 측위 안테나(61), 관성 계측 장치(62), 및 통신 안테나(63)를 갖는다.
측위 안테나(61)는 위성 측위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구성하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측위 신호)를 수신한다. 관성 계측 장치(62)는 3축의 각속도 센서와 3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통신 안테나(63)는 휴대 통신 단말(7)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무선 통신에는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이 채용된다. 또한, 콤바인(1)에는 휴대 전화 회선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휴대 통신용의 안테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50)는 주행 장치(102),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장치이다.
제어부(50)는 조타 핸들, 주변속 레버 및 각종 스위치 등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신호가 나타내는 지시 내용에 따라 주행 장치(102),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1개의 하드웨어이어도 되고,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하드웨어이어도 된다.
기억부(55)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주기억 장치이다. 기억부(55)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더 포함해도 된다. 기억부(55)에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50)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부(55)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50)에는 상기의 관성 계측 장치(62)에 더해, 위치 취득부(64), 통신 처리부(65), 차속 센서(66), 타각 센서(67), 예취 센서(68), 및 수확량 센서(69)가 접속되어 있다.
위치 취득부(64)는 측위 안테나(61)가 측위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측위 신호를 사용하고, 콤바인(1) 위치를 예를 들면, 위도 및 경도의 정보로서 취득한다. 위치 취득부(64)는 도시하지 않는 기준국으로부터의 측위 신호를 적당한 방법으로 수신한 후에, 공지의 RTK-GNSS(Real Time Kinematic GNSS)법을 이용해서 측위를 행해도 된다. 기준국은 포장 주변의 기지 위치에 설치된다. 또는 위치 취득부(64)는 DGNSS(Differential GNSS)법을 이용해서 측위를 행해도 된다. 또는 위치 취득부(64)는 무선 LAN 등의 전파 강도에 근거한 위치 취득, 또는 관성 계측 장치(62)의 계측 결과를 사용한 관성항법에 의한 위치 취득 등을 행해도 된다.
통신 처리부(65)는 통신 안테나(63)를 개재하여 휴대 통신 단말(7)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차속 센서(66)는 콤바인(1)의 차속을 검출한다. 차속 센서(66)는 주행 장치(102)에 배치된 차축 등에 설치된다. 차속 센서(66)가 주행 장치(102)의 차축에 설치된 경우, 차속 센서(66)는 차축의 회전에 따른 펄스를 발생시킨다. 차속 센서(66)로 얻어진 검출 결과의 데이터는 제어부(50)에 출력된다.
타각 센서(67)는 예를 들면, 조타 핸들에 설치되고, 조타 핸들의 타각을 검출한다. 타각 센서(67)로 얻어진 검출 결과의 데이터는 제어부(50)에 출력된다.
예취 센서(68)는 예취 장치(200)의 높이 및 예취 장치(200)의 구동 상태를 검출한다. 예취 센서(68)로 얻어진 검출 결과의 데이터는 제어부(50)에 출력된다. 제어부(50)는 예취 센서(68)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예취 장치(200)가 예취 작업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특정할 수 있다. 예취 작업은 수확 작업에 포함된다.
수확량 센서(69)는 콤바인(1)에 의해 수확된 곡립의 양을 검출한다. 수확량센서(69)는 검출한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50)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수확량 센서(69)는 그레인 탱크(400)에 설치된다. 수확량 센서(69)는 곡립이 그레인 탱크(400)에 운반될 때, 곡립이 수확량 센서(69)에 충돌할 때의 충격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50)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수확량 센서(69)의 측정 결과를 취득해서 곡립의 중량 또는 체적으로 변환하고, 콤바인(1)에 의해 수확된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수확량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50)는 수확량 센서(69)의 측정 결과의 변환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수확량 정보는 수확량 센서(69)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수확량 센서(69)는 농작물 수확 시스템(100)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 요소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차속 제어 및 조타 제어라고 한 콤바인(1)의 자동 주행에 관한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콤바인(1)은 전진, 후진, 및 선회 등을 자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조타를 자율적으로 행함과 아울러, 차속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하는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차속을 자율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차속 센서(66)가 검출하는 현재의 차속을 목표의 차속에 가깝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차속의 제어는 예를 들면,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내의 변속 장치의 변속비 또는 엔진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차속의 제어는 콤바인(1)이 정지하도록 차속을 제로로 하는 제어도 포함한다.
조타를 자율적으로 행하는 경우, 제어부(50)는 타각 센서(67)가 검출하는 현재의 타각을 목표의 타각에 가깝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타각의 제어는 예를 들면, 조타 핸들의 회전축에 설치된 조타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조타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대신하여 주행 장치(102)의 좌우의 주행 크롤러 장치의 각각의 회전을 직접 조정해서 주행 장치(102)의 선회각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근거하여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0)는 예취 장치(200)의 높이의 조정 및 예취 작업, 및 탈곡 장치(300)에 의한 탈곡 작업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각종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 주행에 관한 제어,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의 동작의 제어 및 수확 작업의 계속의 판정을 행하는 것 이외에, 휴대 통신 단말(7)을 사용한 작업자의 원격 조작에 따라서 콤바인(1)을 주행시키는 제어, 예취 장치(200) 및 탈곡 장치(300)의 동작의 제어 및 수확 작업의 계속의 판정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휴대 통신 단말(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휴대 통신 단말(7)은 통신 안테나(71), 통신 처리부(72), 표시부(73), 조작부(74), 및 제어부(80)를 구비한다. 휴대 통신 단말(7)은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등이다. 휴대 통신 단말(7)은 후술과 같이 콤바인(1)의 자동 주행에 관한 다양한 처리를 행하지만, 이것들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콤바인(1)의 제어부(50)가 행할 수도 있다. 반대로, 콤바인(1)의 제어부(50)가 행하는 자동 주행에 관한 다양한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휴대 통신 단말(7)이 행할 수도 있다.
통신 안테나(71)는 콤바인(1)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통신 처리부(72)는 통신 안테나(71)를 개재해서 콤바인(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0)는 통신 처리부(72) 및 통신 안테나(71)를 개재하여 콤바인(1)에 설치된 각 센서의 검출 결과 등을 수신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콤바인(1)은 휴대 전화 회선에 접속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7)은 콤바인(1)을 개재해서 휴대 전화 회선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콤바인(1)이 갖는 기억부(55) 또는 제어부(80)가 갖는 기억부(81)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부를 외부의 서버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또한, 휴대 통신용의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는 콤바인(1)이 아니고, 휴대 통신 단말(7)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부(73)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이다. 표시부(73)는 예를 들면, 포장에 관한 정보, 자동 주행에 관한 정보, 콤바인(1)의 설정에 관한 정보, 각종 센서의 검출 결과, 및 경고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조작부(74)는 터치 패널 또는 하드웨어 키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73)에 포개어 배치되어 있고,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조작을 검출 가능하다. 하드웨어 키는 휴대 통신 단말(7)의 하우징의 측면 또는 표시부(73)의 주위 등에 배치되어 있고,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압압을 검출 가능하다.
제어부(80)는 도시하지 않은 연산 장치 및 입출력부 등, 및 기억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80)는 제어 장치의 일례이다. 연산 장치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다. 기억부(81)는 ROM 및 RAM과 같은 주기억 장치이다. 기억부(81)는 HDD 또는 SSD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더 포함해도 된다. 기억부(81)에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연산 장치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부(81)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한다. 상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제어부(80)를 포장 윤곽 설정부(83), 영역 설정부(84), 차량 위치 취득부(85), 표시 처리부(86), 수확 정보 취득부(87), 산출부(88)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포장 윤곽 설정부(83), 영역 설정부(84), 차량 위치 취득부(85), 표시 처리부(86), 수확 정보 취득부(87) 및 산출부(88)가 행하는 처리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1)의 자동 주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1)이 주행하는 포장(9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부(7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73)에는 포장(98)의 주위를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이 표시된다. 지도 화상(MP)은 포장(98)을 나타내는 포장 화상(98P)을 포함한다. 지도 화상(MP)은 예를 들면, 기억부(81)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휴대 전화 회선 및 인터넷을 개재해서 휴대 통신 단말(7) 외부로부터 취득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통신 단말(7)의 표시 처리부(86)는 포장 화상(98P)을 포함하는 지도 화상(MP)을 취득하고, 지도 화상(MP)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콤바인(1)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C1)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콤바인(1)의 위치 취득부(64) 또는 관성 계측 장치(62) 등은 콤바인(1)의 위치 정보(99)를 검출한다. 통신 처리부(65)는 위치 취득부(64) 또는 관성 계측 장치(62) 등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99)를 휴대 통신 단말(7)에 송신한다. 휴대 통신 단말(7)의 통신 처리부(72)는 콤바인(1)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99)를 수신한다. 차량 위치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72)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99)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99)에 근거하여 콤바인(1)의 위치를 특정하고, 콤바인(1)을 나타내는 아이콘(C1)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콤바인(1)을 자동 주행시키는 경우, 우선, 운전자(작업자)는 실제의 포장(98)의 윤곽(981)을 따라, 콤바인(1)을 수동 주행시킨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운전자(작업자)는 포장(98)의 입구(EX1)로부터, 윤곽(981)을 따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콤바인(1)을 수동 주행시키고 있다. 콤바인(1)은 윤곽(981)을 따라 주행하면서, 주행 경로 상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98) 내에, 윤곽(981)을 따라 장해물(SA)이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작업자)는 장해물(SA)을 피해서 콤바인(1)을 수동 주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콤바인(1)은 장해물(SA)을 따라, 윤곽(981)으로부터 내측으로 우회한다.
위치 취득부(64) 또는 관성 계측 장치(62) 등은 수동 주행 중에 콤바인(1)의 위치 정보(99)를 정기적으로 검출한다. 위치 취득부(64) 또는 관성 계측 장치(62) 등이 검출한 콤바인(1)의 복수의 위치 정보(99)는 순차 휴대 통신 단말(7)에 송신된다.
휴대 통신 단말(7)의 통신 처리부(72)는 콤바인(1)으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위치 정보(99)를 수신한다. 차량 위치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72)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위치 정보(99)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99)에 근거하여 복수의 위치 정보(99)에 각각 대응하는 포인터(99P)를,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시킨다.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99)와 콤바인(1)의 차폭(d)에 근거하여 포장(98)의 윤곽(981P)을 설정한다. 차폭(d)은 예를 들면, 기억부(81)에 기억되어 있다.
[윤곽 설정 1]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98)의 윤곽 설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표시부(73)에 표시된 복수의 포인터(99P) 중 4개의 포인터(99PA, 99PB, 99PC, 99PD)를 선택하는 조작을 휴대 통신 단말(7)에 대하여 행한다.
조작부(74)가 포인터(99PA, 99PB, 99PC, 99PD)를 선택하는 조작을 검출하면,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포인터(99PA, 99PB, 99PC, 99PD)를, 각각 4개 모퉁이의 4점으로 하는 대락 직사각형 프레임의 윤곽(981P)을 설정한다. 또한,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포인터(99PA, 99PB, 99PC, 99PD)를 잇는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을 윤곽(981P)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또한,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복수의 포인터(99P) 중, 4개 모통이의 4점의 포인터(99P)를 선택하고, 4점 포인터(99P)를 잇는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을 윤곽(981P)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윤곽 설정 2]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98)의 윤곽 설정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표시 처리부(86)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99)와, 콤바인(1)의 차폭(d)에 근거하여 포장(98)을 콤바인(1)이 주행한 궤적을 산출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산출한 궤적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작업자는 예를 들면, 표시부(73)에 표시된 궤적의 4개 모퉁이의 4점을 선택하는 조작을 휴대 통신 단말(7)에 대하여 행한다. 조작부(74)가 4개 모퉁이의 4점을 선택하는 조작을 검출하면,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4개 모퉁이의 4점을 정점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의 윤곽(981P)을 설정한다.
또한,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윤곽 설정 1 및 윤곽 설정 2에 있어서, 콤바인(1)의 궤적의 외측보다 더욱 외측에 윤곽(981P)을 설정해도 된다.
포장 윤곽 설정부(83)에 의해 윤곽(981P)이 설정되면,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에 근거하여 포장(98)의 내부 및 포장(98)의 외부에 각종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영역 설정부(84)는 포장(98)의 내부에 콤바인(1)에 의한 수확 작업이 행해지는 작업 대상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포장(98)의 내부 또는 포장(98)의 외부에 콤바인(1)에 의한 수확 작업의 대상 외의 영역을 나타내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콤바인(1)은 작업 대상 외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에 관련되는 관련 작업을 행한다.
예를 들면, 영역 설정부(84)는 복수의 위치 정보(99)와 윤곽(981P)에 근거하여 콤바인(1)을 주행할 수 없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산출해서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의 내측에, 주행 불가 영역(S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윤곽(981P)으로부터 포장(98)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r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포인터(99P)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영역 설정부(84)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설정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윤곽(981P)으로부터 포장(98)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r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3개의 포인터(99P)가 위치하고 있다. 영역 설정부(84)는 3개의 포인터(99P)와 윤곽(981P)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을 주행 불가 영역(S1)이라고 판정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행 불가 영역(S1)이 윤곽(981P)과 콤바인(1)의 궤적에 근거해서 설정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주행 불가 영역(S1)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이 불요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 불가 영역(S1)을 보다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정되는 다른 각종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표시부(73)에 표시된 각종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영역 설정부(84)는 콤바인(1)이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면서 주행한 궤적을 작업 완료 영역(91)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설정부(84)는 예취 센서(68)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콤바인(1)이 주행 경로 상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4∼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을 설정하기 위해서 주행한 궤적을 작업 완료 영역(91)으로 설정한다. 작업 완료 영역(91)은 작업 대상 영역에 포함된다.
표시 처리부(86)는 영역 설정부(84)에 의해 설정된 작업 완료 영역(91)을 나타내는 작업 완료 영역 화상(91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과 작업 완료 영역(91)에 근거하여 미작업 영역(92)을 설정한다. 미작업 영역(92)은 미예취 곡간이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의 내측의 영역 중 작업 완료 영역(91) 이외의 영역을 미작업 영역(92)으로 설정한다. 미작업 영역(92)은 작업 대상 영역에 포함된다.
표시 처리부(86)는 영역 설정부(84)에 의해 설정된 미작업 영역(92)을 나타내는 미작업 영역 화상(92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미작업 영역(92)에 근거하여 자동 주행 영역(93)을 설정한다. 자동 주행 영역(93)은 콤바인(1)이 자동 주행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설정부(84)는 미작업 영역(92)의 내측의 일부에, 대략 직사각형의 자동 주행 영역(93)을 설정한다. 자동 주행 영역(93)의 위치 및 크기는 예를 들면, 콤바인(1)의 차폭(d)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표시 처리부(86)는 영역 설정부(84)에 의해 설정된 자동 주행 영역(93)을 나타내는 자동 주행 영역 화상(93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 완료 영역 화상(91P), 미작업 영역 화상(92P) 및 자동 주행 영역 화상(93P)은, 서로 표시색이 상이한 등, 작업자가 각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작업 완료 영역(91), 미작업 영역(92) 및 자동 주행 영역(93)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콤바인(1)에 수확 작업을 계속시키기 위한 중계 작업이 행해지는 중계 영역(95)(도 4 참조)을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한다. 중계 작업은 예를 들면, 콤바인(1)이 수확한 농작물을 트랙 등에 배출하는 작업, 콤바인(1)의 연료의 보급 작업 등을 포함한다. 중계 작업은 관련 작업의 일례이다. 중계 영역(95)의 좌표는 기억부(81)에 기억된다.
예를 들면, 중계 영역(95)을 설정하는 경우, 작업자는 휴대 통신 단말(7)의 조작부(74)를 조작해서 표시부(73)에 표시된 지도 화상(MP)이 있는 지점을 선택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작업자가 선택한 지점의 좌표를 조작부(74)로부터 취득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취득한 좌표와 윤곽(981P)에 근거하여, 선택된 지점의 좌표가 윤곽(981P)의 내측에 위치하는지, 윤곽(981P)의 외측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선택된 지점의 좌표가 윤곽(981P)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영역 설정부(84)는 선택된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중계 영역(95)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계 영역(95)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작업자가 설정하는 중계 영역(95)은 예를 들면, 포장(98)을 구성하는 복수 변 중 적어도 1변이다. 또는 중계 영역(95)은 1변 전체가 아니고, 1변 중 적어도 1점이어도 된다. 영역 설정부(84)는 작업자가 선택한 1점 또는 1변의 좌표를 조작부(74)로부터 취득하고, 선택된 1점 또는 1변을 중계 영역(95)으로 설정한다.
또한, 영역 설정부(84)는 포장(98)의 입구(EX1)(도 4 참조)를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한다. 입구(EX1)에서는 콤바인(1)을 포장(98)에 입장시키는 입장 작업이 행해진다. 입장 작업은 수확 작업에 관련되는 관련 작업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영역 설정부(84)는 복수의 위치 정보(99)와 윤곽(981P)에 근거하여 콤바인(1)이 윤곽(981P)을 통과한 좌표를 산출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산출한 좌표가 나타내는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입구(EX1)로 설정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입구(EX1)는 윤곽(981P)의 우측 상방의 모퉁이이다. 입구(EX1)의 형상 및 크기는 예를 들면, 콤바인(1)의 차폭(d)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입구 화상(EX1P)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입구(EX1)의 좌표는 기억부(81)에 기억된다.
또한, 입구(EX1)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작업자가 입구(EX1) 설정하는 경우, 작업자는 휴대 통신 단말(7)의 조작부(74)를 조작해서 표시부(73)에 표시된 지도 화상(MP)에 있어서의 입구(EX1)에 대응하는 지점을 선택한다. 영역 설정부(84)는 작업자가 선택한 지점의 좌표를 조작부(74)로부터 취득하고, 선택된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입구(EX1)로 설정한다.
[식별 화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처리부(86)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작업자가 식별하기 위한 식별 화상(94)과 포장 화상(98P)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시 처리부(86)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나타내는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86)는 영역 설정부(84)에 의해 설정된 주행 불가 영역(S1)의 좌표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에 있어서의 취득한 좌표가 나타내는 위치에,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을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나타내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을,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은 식별 화상(94)의 일례이다. 식별 화상(94)은 예를 들면, 핀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은 「진입 금지의 표식」이 그려진 그림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포장(98)의 입구(EX1)를 나타내는 입구 화상(EX1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86)는 기억부(81)에 기억된 입구(EX1)의 좌표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에 있어서의 취득된 좌표가 나타내는 위치에, 입구 화상(EX1P)을 표시시킨다. 입구 화상(EX1P)의 형상 및 크기는 예를 들면, 입구(EX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입구(EX1)를 나타내는 입구 식별 화상(94B)을, 입구 화상(EX1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입구 식별 화상(94B)은 식별 화상(94)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입구 식별 화상(94B)은 입구를 나타내는 「EXIT」의 문자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중계 영역(95)을 나타내는 중계 영역 화상(95P)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표시 처리부(86)는 예를 들면, 기억부(81)에 기억된 중계 영역(95)의 좌표를 취득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취득한 좌표가 나타내는 위치에, 중계 영역 화상(95P)을 표시시킨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계 영역 화상(95P)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중계 영역(95)을 나타내는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을, 중계 영역 화상(95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은 식별 화상(94)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은 「사일로」가 그려진 그림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1)이 주행한 궤적에 근거해서 각종 작업 대상 외 영역이 설정되고, 작업 대상 외 영역을 나타내는 화상에 각각 식별 화상(94)이 부가됨으로써, 작업자는 포장 내 및 포장 외에 있어서의 각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에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을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주행 불가 영역(S1)을 인식하기 쉬워지고, 입구 화상(EX1P)에 입구 식별 화상(94B)을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입구(EX1)를 인식하기 쉬워지고, 중계 영역 화상(95P)에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을 부가함으로써 작업자가 중계 영역(95)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식별 화상(94)의 표시 형식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식별 화상(94)에 포함되는 문자 또는 그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식별 화상(94)에 포함되는 문자 또는 그림의 색, 무늬, 모양, 폰트 및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별 화상(94)의 표시 형식은 작업자의 변경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변경 조작은 작업자가 휴대 통신 단말(7)의 조작부(74)에 대하여, 식별 화상(94)의 표시 형식의 변경을 지시하는 조작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변경 조작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표시부(73)에 표시된 식별 화상(94) 중에서 선택 식별 화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표시부(73)에 표시된 식별 화상(94) 중 1개를 탭 조작하면, 탭 조작된 식별 화상(94)이 선택 식별 화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표시 처리부(86)는 선택 식별 화상의 표시 형식을 작업자에게 설정시키는 설정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설정 화면에 표시된 각종 설정을 탭 조작해서 선택하면, 표시 처리부(86)는 선택된 설정 내용을 반영시킨 식별 화상(94)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별 화상(94)의 표시 형식에는 예를 들면, 선택 식별 화상을 선택 식별 화상 이외의 식별 화상(94)보다 강조해서 표시하는 강조 표시가 포함된다. 강조 표시에는 예를 들면, 점멸 표시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설정 화면에 표시된 각종 설정 중 강조 표시시키는 취지의 설정을 선택하면, 표시 처리부(86)는 식별 화상(94)을 강조 표시시킨다. 식별 화상(94)을 강조 표시함으로써 강조 표시된 식별 화상(94)에 대응하는 영역에 작업자의 주의를 끌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식별 화상(94)의 표시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식별 화상(94)이 표시된 표시부(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은 도 6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이 축소되어서 보다 광범위하게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을 작업자가 핀치 인 조작하면, 표시부(7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74)가 핀치 인 조작을 검출하면, 표시 처리부(86)는 표시 완료된 지도 화상(MP)을 축소하고, 표시 완료된 지도 화상(MP)보다 외측의 범위를 나타내는 화상과 아울러, 새로운 지도 화상(MP)으로서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핀치 인 조작은 지도 화상(MP)을 축소하는 축소 조작의 일례이다. 또한, 지도 화상(MP)을 확대하는 경우, 작업자는 예를 들면, 지도 화상(MP)을 핀치 아웃 조작한다. 핀치 아웃 조작은 지도 화상(MP)을 확대하는 확대 조작의 일례이다. 확대 조작 및 축소 조작은 각각 축척 변경 조작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도 화상(MP)의 축소는 핀치 인 조작 이외의 조작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한, 지도 화상(MP)의 확대는 핀치 아웃 조작 이외의 조작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에 있어서, 자동 주행 영역 화상(93P),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이 표시부(73)에 표시된다. 한편, 작업 완료 영역 화상(91P), 미작업 영역 화상(92P),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 입구 화상(EX1P) 및 중계 영역 화상(95P)은 도 7에 나타내는 지도 화상(MP)에 대하여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표시부(73)에 표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86)는 자동 주행 영역 화상(93P)을 지도 화상(MP)의 축소에 따라서 축소하고,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한편, 작업 완료 영역 화상(91P), 미작업 영역 화상(92P),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 입구 화상(EX1P) 및 중계 영역 화상(95P)을 지도 화상(MP)의 축소에 따라서 축소하면, 표시부(73)에 표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표시 처리부(86)는 작업 완료 영역 화상(91P), 미작업 영역 화상(92P), 주행 불가 영역 화상(S1P), 입구 화상(EX1P) 및 중계 영역 화상(95P)을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을, 지도 화상(MP)의 축소에 따라서 축소할 일 없이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의 사이즈는 도 6에 나타내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의 사이즈와 같다.
또한, 지도 화상(MP)이 확대 표시된 경우, 지도 화상(MP)이 축소 표시된 경우와 동일하게, 표시 처리부(86)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을 소정의 사이즈로 표시시킨다. 즉,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의 확대 또는 축소에 상관없이,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 입구 식별 화상(94B) 및 중계 영역 식별 화상(94C)을, 표시부(73)에 대하여 고정 비율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지도 화상(MP)이 확대 또는 축소된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인식하기 쉽게 된다.
다음에,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표시부(73)에 표시되는 주행거리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7)은 콤바인(1)에 설치된 수확량 센서(69)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콤바인(1)에 의한 수확 작업을 계속 가능한 거리를 작업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수확 정보 취득부(87)는 도 2에 나타내는 제어부(50)에 의해 생성된 수확량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생성한 수확량 정보를, 통신 처리부(65) 및 통신 안테나(63)를 개재해서 휴대 통신 단말(7)에 송신한다.
수확 정보 취득부(87)는 콤바인(1)으로부터 송신된 수확량 정보를, 통신 안테나(71) 및 통신 처리부(72)를 개재해서 수신하여 취득한다.
산출부(88)는 수확 정보 취득부(87)에 의해 취득된 수확량 정보에 근거하여 그레인 탱크(400)에 저류된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저류량(Q1)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88)는 수확 정보 취득부(87)에 의해 취득된 수확량 정보를 순차 적산해서 저류량(Q1)을 산출한다.
산출부(88)는 그레인 탱크(400)의 용량(Q2) 및 저류량(Q1)에 근거하여 그레인 탱크(400)의 잔용량(Q3)을 산출한다. 잔용량(Q3)은 용량(Q2)으로부터 저류량(Q1)을 감산함으로써 산출된다. 그레인 탱크(400)의 용량(Q2)은 예를 들면, 기억부(55) 또는 제어부(8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산출부(88)는 그레인 탱크(400)의 잔용량(Q3)과, 콤바인(1)이 단위 거리를 주행할 때에 수확되는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수확 가능량 정보에 근거하여 저류량(Q1)이 탱크 용량(Q2)에 달할 때까지 콤바인(1)이 주행 가능한 주행 가능 거리(D1)를 산출한다. 수확 가능량 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부(55) 또는 제어부(8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수확 가능량 정보는 산출부(88)에 의해 산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산출부(88)는 복수의 위치 정보(99)에 근거해서 콤바인(1)의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 산출부(88)는 저류량(Q1)을 주행 거리로 나눗셈해서 수확 가능량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부(88)는 잔용량(Q3)을 수확 가능량 정보로 나눗셈해서 주행 가능 거리(D1)를 산출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처리부(86)는 예를 들면, 산출부(88)에 의해 산출된 주행 가능 거리(D1)를 나타내는 메시지 화상(MSG1)을, 표시부(73)의 지도 화상(MP)에 포개어 표시시킨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메시지 화상(MSG1)에는 메시지 「수확 후 D1 m」가 포함된다. 또한, 메시지 화상(MSG1)에 포함되는 메시지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메시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처리부(86)는 메시지 화상(MSG1) 이외에, 주행 가능 거리(D1)를 나타내는 미터 화상 등을 표시부(73)에 표시시켜도 된다. 주행 가능 거리(D1)가 표시부(73)에 표시됨으로써 작업자는 수확 작업의 계속이 가능한 거리를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확 작업의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차량 위치 취득부(85)는 콤바인(1)의 위치 정보(99)를 취득한다(스텝 S11).
포장 윤곽 설정부(83)는 차량 위치 취득부(85)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99)에 근거하여 포장(98)의 윤곽(981P)을 설정한다(스텝 S12).
영역 설정부(84)는 윤곽(981P)에 근거하여 포장(98)의 내부 또는 포장(98)의 외부에, 콤바인(1)에 의한 수확 작업의 대상 외의 영역을 나타내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설정한다(스텝 S13). 예를 들면, 윤곽(981P)으로부터 포장(98)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r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 정보(99)에 대응하는 포인터(99P)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영역 설정부(84)는 주행 불가 영역(S1)을 설정한다.
표시 처리부(86)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화상(94)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스텝 S14). 예를 들면, 주행 불가 영역(S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표시 처리부(86)는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94A)을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
조작부(74)는 작업자에 의한 축척 변경 조작을 검출한다(스텝 S15). 조작부(74)가 지도 화상(MP)을 확대하는 확대 조작 또는 지도 화상(MP)을 축소하는 축소 조작을 검출한 경우(스텝 S15에서 Yes),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을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부(73)에 표시시킨다(스텝 S16).
다음에,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의 확대 또는 축소에 상관없이 식별 화상(94)을 표시부(73)에 대하여 고정 비율로 표시시킨다(스텝 S17). 즉, 식별 화상(94)은 지도 화상(MP)의 확대 또는 축소 전과 같은 사이즈로 표시된다. 조작부(74)는 작업자에 의한 새로운 축척 변경 조작을 검출한다(스텝 S15).
한편, 조작부(74)가 확대 조작 및 축소 조작 중 어느 것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스텝 S15에서 No), 표시 처리부(86)는 지도 화상(MP)의 확대 및 축소를 행하지 않고, 지도 화상(MP)의 표시부(73)에의 표시를 계속한다(스텝 S18).
다음에, 표시 처리부(86)는 식별 화상(94)을 표시부(73)에 대하여 고정 비율로 표시시킨다(스텝 S19). 조작부(74)는 작업자에 의한 축척 변경 조작을 검출한다(스텝 S15).
이상, 도면(도 1∼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적당히 개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임의의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 구성 요소 중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추가해도 되고, 또는 임의의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 구성 요소 중 몇몇의 구성 요소를 실시형태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또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간격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으로부터 실제와는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구성은 일례이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농작업 차량의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콤바인(작업 차량)
7: 휴대 통신 단말
69: 수확량 센서
73: 표시부
83: 포장 윤곽 설정부
84: 영역 설정부
85: 차량 위치 취득부
86: 표시 처리부
87: 수확 정보 취득부
88: 산출부
94: 식별 화상
94A: 주행 불가 영역 식별 화상(식별 화상)
94B: 입구 식별 화상(식별 화상)
94C: 중계 영역 식별 화상(식별 화상)
95: 중계 영역
98: 포장
98P: 포장 화상
99: 위치 정보
101: 주행 기체
102: 주행 장치
200: 예취 장치
300: 탈곡 장치
400: 그레인 탱크
981P: 윤곽
D1: 주행 가능거리
EX1: 입구
Q1: 저류량
Q2: 용량
S1: 주행 불가 영역

Claims (8)

  1. 포장을 주행하는 작업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위치 취득부와,
    복수의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포장의 윤곽을 설정하는 포장 윤곽 설정부와,
    상기 윤곽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한 작업의 대상 외의 영역을 나타내는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상기 포장의 내부 또는 상기 포장의 외부에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포장을 나타내는 포장 화상과 상기 작업 대상 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윤곽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 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주행 불가 영역을 산출해서 상기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포장의 입구를 상기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한 작업을 계속시키기 위한 중계 작업이 행해지는 중계 영역을 상기 작업 대상 외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포장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에 관계되지 않고, 상기 식별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고정 비율로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식별 화상 중에서 선택된 선택 식별 화상을, 상기 선택 식별 화상 이외의 상기 식별 화상보다 강조해서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행하는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해 수확된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수확량 정보를 취득하는 수확 정보 취득부와,
    상기 수확량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곡립이 저류되는 탱크의 저류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부는 산출한 상기 저류량과, 상기 탱크의 용량과, 상기 작업 차량이 단위 거리를 주행할 때에 수확되는 곡립의 양을 나타내는 수확 가능량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저류량이 상기 탱크의 용량에 달할 때까지 상기 작업 차량이 주행 가능한 주행 가능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가 배치되는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 기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행 기체를 지지하고, 포장을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에 배치되고, 상기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 상기 예취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를 제어하는, 작업 차량.
KR1020230022674A 2022-03-30 2023-02-21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KR20230141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55663A JP2023147898A (ja) 2022-03-30 2022-03-30 制御装置及び作業車両
JPJP-P-2022-055663 202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462A true KR20230141462A (ko) 2023-10-10

Family

ID=8570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674A KR20230141462A (ko) 2022-03-30 2023-02-21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11654A1 (ko)
EP (1) EP4252510A1 (ko)
JP (1) JP2023147898A (ko)
KR (1) KR20230141462A (ko)
CN (1) CN1168891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383A (ja) 2017-07-28 2019-02-21 井関農機株式会社 圃場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7621B2 (ja) * 2016-03-11 2019-08-07 ヤンマー株式会社 経路生成装置
WO2017154772A1 (ja) * 2016-03-07 2017-09-14 ヤンマー株式会社 経路生成装置
WO2017159615A1 (ja) * 2016-03-16 2017-09-21 ヤンマー株式会社 経路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4383A (ja) 2017-07-28 2019-02-21 井関農機株式会社 圃場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89148A (zh) 2023-10-17
JP2023147898A (ja) 2023-10-13
US20230311654A1 (en) 2023-10-05
EP4252510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7498B2 (en) Agriculture support device and agriculture support system
EP3351075B1 (en) Work vehicle support system
JP6550617B2 (ja) 農用作業車
JP2016071726A (ja) 作業情報記憶装置
JP2018147164A (ja) 作業画面表示システム
JP2019136039A (ja) 作業車支援システム
JP2004213239A (ja) 作業管理装置
JP6464615B2 (ja) 作業計画の立案支援方法
EP3977839A1 (en) Autonomous travel system
US20230225237A1 (en) Travel line cre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
KR20230141462A (ko)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EP3751501A1 (en) Agriculture support system
EP4252507A1 (en) Control device and work vehicle
WO2022071382A1 (ja) 農作業機、農作業機制御プログラム、農作業機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農作業機制御方法
US11965742B2 (en) Work support system and work support device
JP6977000B2 (ja) 作業車両用経路生成システム
KR20230141461A (ko) 제어 장치 및 작업 차량
JP2024045934A (ja) コンバイン
JP2022024020A (ja) 作業車両用経路生成システム
JP2023121817A (ja) 作業車両用表示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用表示方法
JP2020101467A (ja) 圃場形状生成システム及び農作業車
CN117426200A (zh) 作业车辆
JP2021009523A (ja) 作業表示装置及び作業機
JP2020101466A (ja) 圃場形状生成システム及び圃場形状生成装置
JP2023098283A (ja) 作業車両の支援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