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807A -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 Google Patents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807A
KR20230140807A KR1020220039513A KR20220039513A KR20230140807A KR 20230140807 A KR20230140807 A KR 20230140807A KR 1020220039513 A KR1020220039513 A KR 1020220039513A KR 20220039513 A KR20220039513 A KR 20220039513A KR 20230140807 A KR20230140807 A KR 20230140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air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s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윤성
조영환
박승길
김솔비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22003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807A/en
Priority to CN202310293472.XA priority patent/CN116803552A/en
Priority to TW112111654A priority patent/TW202407367A/en
Publication of KR2023014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80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는 다양한 가공오차나 휨을 가진 전자부품들을 적절히 파지할 수 있는 구성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과정에서 가공공차나 휨이 발생한 전자부품이 어댑터에 적절히 파지되면서도,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정확히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핸들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for 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he adapter of the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figurations that can properly grip electronic components with various processing errors or be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processing tolerances or bend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properly held by the adap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accurat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handler.

Description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Adapte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that can be used in 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생산된 전자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소자, 기판, SSD 등)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뉘어서 양품만이 출하된다.Produced electronic components (e.g. semiconductor devices, boards, SSDs, etc.) are tested by testers and then divided into good and defective products, and only good products are shipped.

전자부품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테스트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트될 수 있게 지원하는 장비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이하 '핸들러'라 약칭함)이다.Electronic components can only be tested when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ster. At this time, the equipment that supports the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to the tester is an electronic component test handl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handler'). am.

핸들러는 새로운 전자부품의 개발에 동반해서 제안 및 제작되고 있으며,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차후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Handlers are being proposed and manufactur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electronic components, and various future developments are being made to stabilize them.

근자에 들어 여러 전자소자들이 탑재된 대형의 전자부품인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rive)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the distribution of SSD (Solid State Drive), a large electronic component equipped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초기 에스에스디의 수요가 적어서 소량만이 생산되었을 때는 에스에스디를 수작업에 의해 직접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그 연결을 해제하였으나, 그 수요가 폭증하면서 수작업에 의한 테스트의 지원은 곤란한 상태에 이르렀다.In the beginning, when demand for SD was low and only small quantities were produced, the SD was manually connected electrically to the tester and disconnected, but as demand increased rapidly, support for manual testing became difficult.

그런데, 에스에스디의 두께, 구조 및 무게 등이 종래의 전자부품들과는 달라서 종래의 핸들러를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에스에스디와 같은 대형 전자부품의 테스트 지원에 적합한 핸들러 개발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0483호 및 10-2019-0061291호로 제안한 바 있다.However, since the thickness, structure, and weight of the SSD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the conventional handler could not be applied as is. Therefore, a handler suitable for testing support of larg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SD was developed, and was published in Korean Patent No. 10-2019. It has been proposed as No. -0050483 and No. 10-2019-0061291.

일반적으로 에스에스디의 경우 탑재된 전자소자의 종류나 그 전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는데, 그러한 다양한 규격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핸들러가 요구된다. 그러나 핸들러는 고가이고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생산 비용 및 설치 장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전자부품들의 테스트를 하나의 핸들러에서 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In general, SD can have various standard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mounted or its exclusive use, and a handler is required to support tes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f such various standards. However, because the handler is expensive and large in scale, a technology that can test electronic components with various specifications in one handler is required, taking into account production costs and installation locations.

또한, 각각 규격이 다른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부품의 규격에 맞는 부품들의 교체가 필요하고, 부품의 교체가 필요 없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전자부품의 공급을 위한 휴지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핸들러와 테스터의 가동률이 하락하고, 잡다한 인력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핸들러의 1주기 가동이나 연속적인 가동 시에도 별도의 휴지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 핸들러가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test electronic component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replacement of components that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required, and even if replacement of components is not necessary, down time is required to supply new electronic components. As a result, the operation rate of handlers and testers decreases, and miscellaneous manpower is lost, so a handler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ause time even during one cycle operation or continuous operation of the handler is needed.

한편, 종래 소품종 대량 생산 제품인 반도체소자의 경우 수 백 개 이상의 반도체소자를 실을 수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구비시키고, 다수의 픽커로 직접 반도체소자들을 파지하여 테스트트레이의 인서트에 삽입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반도체소자의 정밀한 위치를 인서트에서도 잡아주고, 테스터와의 연결 과정에서도 그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다소 정밀성이 떨어져도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Meanwhile, in the case of semiconductor devices, which are conventional small-type mass-produced products, a test tray capable of loading hundreds of semiconductor devices is provided, and the semiconductor devices are directly grasped with a number of pickers and inserted into the insert of the test tray. . In this system, the precise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maintained both in the insert and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tester, so even if the precision is somewhat low, it is not a problem.

그러나 반도체소자를 포함한 여러 전자소자들을 가지는 에스에스디와 같은 전자부품은 적용 장치의 다양성에 대응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화 되는 추세인데다가 여러 종류의 테스트를 거쳐야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모든 테스터의 테스트소켓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함이 아니다보니, 전자부품의 종류나 테스터의 종류별로 고가의 테스트트레이의 제작과 그에 맞는 핸들러를 갖추어야만 했다. 이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그리퍼(Gripper)로 직접 전자부품을 파지한 상태에서 테스트소켓에 전자부품을 연결시키는 것은 상당한 문제점이 있음이 그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However,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SD, which conta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emiconductor devices, are being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in various types in response to the diversity of applicable devices, and there are cases where various types of tests must be performed, and the test sockets of all testers are Since they do not exist in the same location, it was necessary to manufacture expensive test trays and equip appropriate handlers for each type of electronic component or tester.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at there are significant problems in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test socket while directly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with a gripper without considering this.

예를 들어, 전자부품은 다양한 종류만큼 다양한 길이와 폭을 지니며, 제작의 특성상 동일 종류의 전자부품이라 하여도 가공오차 등으로 그 크기가 100% 일치되게 제작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그리퍼로 전자부품을 파지하려는 경우 전자부품을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여 소실되거나 너무 강한 가압력에 의해 전자부품이 파손되기도 한다. 물론, 그리퍼가 전자부품을 잘 파지하도록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전자부품의 어느 부위를 파지하느냐, 그 파지의 강도가 얼마냐에 따라서 전자부품이 파지와 함께 뒤틀리거나 회전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어 그리퍼로 파지한 전자부품이 테스트소켓에 정밀하게 접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정밀제어가 가능하여야 하고, 모든 전자부품에 대응되어야 하므로 구동축도 매우 길어야만 한다. 그리고 파손이나 뒤틀어짐, 요구되지 않는 회전 방지를 위해 상황별 토크제어까지도 가능한 고가의 모터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장비의 비대화와 함께 높은 생산단가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 또한, 그리퍼에 의한 전자부품의 정확한 파지위치 등을 설정하기 위한 오토티칭까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밀한 접촉을 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데, 이는 실로 막대한 비용과 기술력을 요하는 부분이다.For example, electronic components have different lengths and widths, and due to the nature of manufacturing, it is difficult to produce 100% identical sizes even for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same type due to processing errors. However, if you try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a gripper without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not be properly gripped and may be lost or damaged due to too strong a pressing force. Of course, even if the gripper is adjusted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well, depending on which par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gripped and the strength of the grip, situations such as twisting or rotat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occur while being gripped, making it difficult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the gripper. A drawback was identified in that it was difficult for an electronic component to precisely contact the test socket. In order to improve this, precise control of the driving part must be possible, and since it must correspond to all electronic components, the driving shaft must also be very long.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use an expensive motor that can even control torqu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prevent damage, distortion, or unnecessary rotation. However, this is not effective because it requires high production costs along with the enlargement of equipment. In addition, auto-teaching must be performed to set the exact gripping posi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gripper to ensure precise contact, which is a part that requires a truly enormous amount of cost and technology.

일반적으로 에스에스디의 경우 종류에 관계없이 그 폭은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만, 그 길이는 탑재된 전자소자의 수량이나 크기 등에 따라 종류별로 다양하다.In general, in the case of SSD, the width is the same within the processing error range regardless of the type, but the length varies by type depending on the quantity or size of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s.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앞서 특허출원 10-2020-0073725호로 범용성이 있는 핸들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핸들러에 어댑터를 구비시키는 발명(이하 '선출원기술'이라 함)을 제안한 바 있다. 어댑터는 전자부품을 테스터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로서 기능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핸들러가 크기가 다른 많은 종류의 전자부품들에 적응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들러의 범용성을 부가시키고 있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eviously proposed an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filed technology') to provide an adapter to a handler to implement a versatile handler through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073725. The adapter is designed to function as a carrier used to supply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tester, and adds to the versatility of the handler by allowing it to be adapted to many types of electronic components of different sizes.

어댑터와 관련된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The most important points related to adapters are as follows.

첫째, 어댑터는 제작공차에 의한 오차 범위 내의 폭을 가지는 모든 에스에스디의 양단을 적절히 파지할 수 있어야 한다.First, the adapter must be able to properly grip both ends of all SDs with a width within the error range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둘째, 에스에스디라는 전자부품이 가질 수 있는 통상적인 길이 범위(가장 길이가 짧은 에스에스디부터 가장 길이가 긴 에스에스디까지의 범위)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에스에스디를 파지할 수 있어야 한다.Second, it must be able to grip all SDs within the normal length range that electronic components called SSDs can have (ranging from the shortest SD to the longest SD).

셋째, 어댑터에 에스에스디를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특징구조가 필요하다. 여기서 특징구조는 어댑터 주변 구성들에 대한 것일 수도 있지만, 어댑터 자체적인 구성들에 대한 것도 요구된다. 만일 에스에스디의 안착에 불량이 발생하면, 이는 차후 에스에스디와 테스터 간의 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Third, a characteristic structure is needed to accurately seat the SD on the adapter. Here, the feature structure may be for the configurations surrounding the adapter, but is also required for the adapter's own configurations. If a defect occurs in the seating of the SD, this may prevent prope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D and the tester in the future.

넷째, 어댑터에 안착된 에스에스디의 단자부위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댑터가 에스에스디를 파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기판의 생산 과정에서 기판이 휜 상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전자소자들이 탑재된 에스에스디의 경우에도 휨을 가진 상태로 생산된다. 이 때문에, 휨이 있는 에스에스디의 경우 물량들의 경우에도 단자부위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댑터에 안착시킬 필요성이 있다.Fourth, the adapter needs to hold the SD so that the terminal area of the SD mounted on the adapter remains flat. However,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 substrate is often manufactured in a curved state, so even in the case of SDs equipped with electronic devices, they are produced in a curved state.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bent SSD, there is a need to seat it on the adapter so that the terminal area remains flat even in large quantities.

본 발명은 오차범위 내의 제작공차나 길이에 관계없이 어댑터가 다양한 전자부품을 적절히 파지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from concerns about technology that would enable an adapter to properly grip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regardless of manufacturing tolerance or length within the error range.

특히, 본 발명은 어댑터에 휨이 있는 전자부품의 단자부위가 정확하게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from concerns about a technology that can ensure that the terminal portion of an electronic component with a bend in an adapter is seated in an accurately flat state.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는 상호 대향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한 쌍의 파지레버;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간격조작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들; 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전자부품의 양단 파지 및 전후 방향의 이동 안내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긴 안내홈과 거치기에 있는 받침부재의 받침돌기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adapter of the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grip levers that face each other and grip or releas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oth ends by moving linear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or widens; An installation frame on which the pair of grip levers are installed to enable straight movement; a gap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and applying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to move them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gap between them; And by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m,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pair of grip levers by the gap control mechanism is remove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is reduced. operating members that enable movement in this narrowing direction; The pair of grip levers includes a long guide gro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or gripping both en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support member on the holder can pass. This is formed.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촉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조작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분; 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는 서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상기 조작부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름롤러들을 가지며, 상기 구름롤러들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경사 부위들을 가짐으로써 상기 경사 부위들이 상기 구름롤러들에 접촉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한다.The gap control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o enable linear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oth ends of the gap control mechanism ar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grip levers, and when moved straight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pair of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to apply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grip levers widens, and to release the manipulation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moves straight forward; and the pair of grip levers have rolling rollers on opposing surfaces to reduce friction with the operating portion, the rolling rollers are provided to protrude further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operating portion is rearward. By having inclined portions whose left and right widths gradually become narrower, the inclined portions are moved back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ers, thereby applying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상기 간격조작기구를 후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 일 측은 상기 설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타 측은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접촉되어 있는 가압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ssing member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rame on on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space manipulation mechanism on the other side to elastically press the gap control mechanism backward;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안내봉들을 가지며, 상기 파지레버에는 상기 안내봉들이 삽입 통과되는 통과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자른 단면상에서 직선형태인 영역을 가진다.The installation frame has long guide ro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ir of grip levers, and the grip lever is formed with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guide rods are inserted. Among the guide rods At least one has a straight region on a cross-section cu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어댑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스트핸드의 위치설정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설정돌기를 좌우 양 측에 각각 복수개씩 가진다.The installation frame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of the test hand for moving the adapter.

상기 설치프레임의 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의 좌우 폭은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의 좌우 폭보다 넓음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가 공중 부양 될 수 있다.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ceiving groove are wid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levitated. It can be.

상기 안내홈은 파지된 전자부품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 구간과 상기 수평 유지 구간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폭 증가 구간을 가진다.The guide groove has a horizontal maintaining section that maintains the level of the gripped electronic component and a width increasing section that widens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aintaining section toward the front.

상기 안내홈은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단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개방 구간을 가지며, 상기 개방 구간은 후방의 수평 구간과 전방의 하강 구간으로 더 세분화되고, 상기 하강 구간에서는 상기 수평 구간보다 하방향으로 더 확장되어 있다.The guide groove is located in front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and has an open section formed to have a width at least equal to or more expanded than the front end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and the open section is divided into a rear horizontal section and a front descending section. It is further divided, and in the descending section, it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horizontal section.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어댑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기의 위치고정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홈들이 좌우 양 측에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The installation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to which the positioning pins of the holder for mounting the adapter can be inserted.

상기 설치프레임은 후방 부위에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레버; 및 상기 한 쌍의 설치레버의 후단 간을 이음으로써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한 쌍의 설치레버 간의 간격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덧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부재는 전자부품의 접촉단자가 노출될 수 있는 노출창을 가진다.The installation frame includes a pair of installation levers on which the pair of grip levers are installed at a rear portion; and a padd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pair of installation levers from widening that may occur due to use by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installation levers; It includes, and the padding member has an exposure window through which the contact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expos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제작 과정에서 제작공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자부품이 어댑터에 적절히 파지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First, even if manufacturing tolerances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properly held and seated in the adapter.

둘째,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전자부품이 모두 어댑터에 적절히 안착될 수 있어서, 핸들러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all electronic components of various lengths can be properly seated on the adapter,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handler.

셋째, 탄성부재에 의한 파지레버의 밀착 파지, 안내홈의 계단구조로 자세 변환 과정에서도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는 점 등에 의해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가 적절히 유지되면서도 단자부위의 평평한 상태를 만들어내고 유지할 수 있어서,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정확히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핸들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Third, the tight grip of the grip lever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step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 allow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be supported even during the posture change process, thereby creating and maintaining a flat state of the terminal area while properly maintaining the se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This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handler because the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accurat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도 1은 전자부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적용될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핸들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어댑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어댑터에 적용된 파지레버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지레버에 있는 안내홈에 대한 가상적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안내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과장도이다.
도 9는 도 4의 어댑터와 테스트핸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어댑터에 있는 위치설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어댑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어댑터에 있는 파지레버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파지레버에 있는 안내홈에 대한 가상적 발췌도이다.도
도 15는 도 14의 어댑터에 있는 안내봉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안내봉에 대한 변형예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and a tester.
Figure 2 is a conceptual structural diagram of 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to which an adapter will b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r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of Figure 4.
Figure 6 is an excerpt of a grip lever applied to the adapter of Figure 4.
Figure 7 is a virtual excerpt of the guide groove in the grip lever of Figure 6.
Figure 8 is an exaggerated view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guide groove of Figure 7.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er of FIG. 4 and the test hand.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on the adapter of FIG. 4.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of Figure 11.
Figure 13 is an excerpt of the grip lever in the adapter of Figure 10.
Figure 14 is a virtual excerpt of the guide groove in the grip lever of Figure 13.
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guide rod in the adapter of Figure 14.
Figure 1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rod of Figure 15.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for brevity of explanation, descriptions of overlapping or substantially identical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전자부품과 테스터의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설명><Explanation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components and tester>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가 적용되는 핸들러는 에스에스디와 같이 전자부품의 접촉단자 측 부위가 테스터의 테스트슬롯에 삽입되는 방식일 경우에 보다 적절히 적용된다.The handler to which the ada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more appropriately applied in cases where the contact terminal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SSD, is inserted into the test slot of the tester.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테스터(TESTER)에는 테스트슬롯(S)이 구비되고, 해당 테스트슬롯(S)에 전자부품(ED)의 접촉단자(T) 측 부위가 삽입됨으로써 전자부품(ED)과 테스터(TESTER)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tester (TESTER) is provided with a test slot (S), and the contact terminal (T)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inserted into the test slot (S), thereby mak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 and the test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핸들러의 대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A brief description of the handler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이하 '어댑터'라 약칭함)가 사용될 수 있는 핸들러(HR)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핸들러(HR)에 대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handler (HR) in which an adapt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adapter') of a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nd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handler (HR) of Figure 2. This is a schematic three-dimensional diagram.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HR)는 연결부분(CP), 스택커부분(SP) 및 이송장치(TA)를 포함한다.The handler (H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P), a stacker part (SP), and a transfer device (TA).

연결부분(CP)은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을 고객트레이로부터 인출하여 테스터(TESTER)로 공급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을 테스터(TESTER)로부터 회수하여 고객트레이에 싣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이 연결부분(CP)에서 사용된다.The connection part (CP) withdraw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 be tested from the customer tray and supplies it to the tester (TESTER), or retrieve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or which testing has been completed from the tester (TESTER) and places it on the customer tray. An adap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used in this connection (CP).

스택커부분(SP)은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연결부분(CP)으로 공급하기 위해 핸들러(HR)로 반입된 고객트레이들을 보관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연결부분(CP)으로부터 회수하여 핸들러로부터 반출하기에 앞서 보관한다. 또한, 스택커부분(SP)은 보관하고 있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이송장치(TA)로 공급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이 실린 고객트레이들을 이송장치(TA)로부터 회수한다.The stacker part (SP) stores the customer trays brought into the handler (HR) to supply the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ED) to be tested to the connection part (CP), or stores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for which testing has been completed. ) is retrieved from the connection part (CP) and stored before being taken out from the handler. In addition, the stacker part (SP) supplies customer trays containing stored electronic components (ED) to be tested to the transfer device (TA), or transfers customer trays loaded with electronic components (ED) for which testing has been completed to the transfer device. Retrieved from (TA).

이송장치(TA)는 연결부분(CP)과 스택커부분(SP) 간에 고객트레이를 이송시킨다. 즉,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는 이송장치(TA)에 의해 스택커부분(SP)으로부터 연결부분(CP)으로 전달되고,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는 이송장치(TA)에 의해 연결부분(CP)으로부터 스택커부분(SP)으로 전달된다.The transfer device (TA) transfers the customer tray between the connection part (CP) and the stacker part (SP). In other words, the customer tray contain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to be tested is transferred from the stacker part (SP) to the connection part (CP) by the transfer device (TA), and the customer tray contain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for which testing has been completed is carried. The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connection part (CP) to the stacker part (SP) by the transfer device (TA).

<어댑터가 관계하는 전자부품의 개략적인 흐름에 대한 설명><A brief description of the flow of electronic components related to the adapter>

핸들러(HR)와 관련해서는 선출원기술에서 자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어댑터 위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Regarding the handler (HR), since it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echnology, the adapter-oriented flow is briefly explained.

어댑터가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핸드(도시되지 않음)가 고객트레이(CT)로부터 전자부품(ED)을 인출하여 어댑터에 안착시킨다. 이 때 이동핸드가 어댑터에 전자부품(ED)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개방기(도시되지 않음)가 어댑터를 개방시킨다.With the adapter seated on the holder, a moving hand (not shown) withdraw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rom the customer tray (CT) and places it on the adapter. At this time, an opener (not shown) opens the adapter so that the moving hand can sea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on the adapter.

전자부품(ED)이 안착된 어댑터는 거치대와 함께 세팅위치에서 파지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에 의해 세워지게 된다. 테스트핸드(도시되지 않음)는 세워진 상태의 어댑터를 파지한 후 이동하여 전자부품(ED)을 테스터(TESTER)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후, 전자부품(ED)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면, 반대의 작동을 거쳐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이 고객트레이(CT)로 실린다.The adapter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eated moves from the setting position to the hold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holder and is erected by rotation. The test hand (not shown) grasps the upright adapter and mo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 the tester. Afterwards, when the test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completed, the opposite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tested electronic component (ED) is loaded onto the customer tray (CT).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adap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어댑터(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100 of Figure 4.

어댑터(100)는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설치프레임(120), 간격조작기구(130),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 및 가압부재(161, 162)들을 포함한다.The adapter 100 includes a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an installation frame 120, a gap manipulation mechanism 130, elastic members 141 to 144, and pressure members 161 and 162.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는 상호 대향하게 구비되며, 설치프레임(120)에 있는 안내봉(125, 126)들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개방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핸드에 의해 전자부품(ED)이 어댑터(100)에 안착되거나 어댑터(100)로부터 인출되려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개방상태가 되어야 한다.A pair of grip levers (111, 112)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guided by guide rods (125, 126) on the installation frame (120) and can move stra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or widens. there is. Therefore, whe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is narrowed,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come into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gripped at both ends.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is widened,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enter an open state to release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 be seated on the adapter 100 or withdrawn from the adapter 100 by the moving hand,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must be in an open state to release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do.

도 6의 발췌도에서 명확히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는 한 개당 2개씩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구름롤러(R)들을 가지고 있다. 구름롤러(R)들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의 파지면보다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된다.As can be clearly seen in the excerpt of FIG. 6, each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has two rolling rollers R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olling rollers (R) are provided to protrude more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an the gripping surfaces of the pair of grip levers (111, 112).

또,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이면서 구름롤러(R)들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내홈(G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GG)은 전자부품(ED)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예를 들면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이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이 테스터로부터 인출되어 어댑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ED)의 이동을 안내한다. 더 나아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 후단 부위의 양단을 파지한 상태인 경우에는 안내홈(GG)에 전자부품(ED)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걸리므로, 안내홈(GG)이 전자부품(ED)을 파지하는 기능도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guide grooves GG are formed on the sides of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facing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rollers R. This guide groove (GG) is us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orward and backward (for example, the process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move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or the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completed testing is pulled out from the tester). It guides the mov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adapter. Furthermore, wh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grip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oth en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GG) and are cau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guide groove (GG) also has the function of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안내홈(GG)은 도 7의 가상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는 방향으로 수평 유지 구간(HM), 폭 증가 구간(WG), 관통구간(TS) 및 개방 구간(OS)을 순차적으로 가진다.As shown in the virtual excerpt of FIG. 7, the guide groove (GG) sequentially passes the horizontal maintenance section (HM), width increase section (WG), penetration section (TS), and opening section (OS) in the direction from rear to front. have it as

수평 유지 구간(HM)은 그 상하 폭이 전자부품(ED)의 상하 두께와 거의 동일할 정도로 폭이 좁아서 전자부품(ED)의 양단을 적절히 파지하면서도 전자부품(ED)의 후단에 있는 접촉단자(T)가 있는 부위의 평평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horizontal maintenance section (HM) is so narrow that its upper and lower width is almost the same as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so that it properly holds both en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connects the contact terminal (at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t is formed so that the flatness of the area where the T) is located is maintained.

폭 증가 구간(WG)은 수평 유지 구간(HM)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ED)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이동핸드에 의해 흡착 파지된 부위 외의 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판 자체의 휨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양 파지레버(111, 112)에 의해 전자부품(ED)의 양단이 적절히 파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width increase section (WG) is formed to become wider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aintenance section (HM)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even if sagging due to gravity or bending of the substrate itself occurs in areas other than the area adsorbed and gripped by the moving hand,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held by both grip levers 111 and 112. Both ends of the part (ED) can be properly gripped.

관통구간(TS)은 폭 증가 구간(WG)의 전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거치기에 있는 받침부재(SE)의 후측 받침돌기(sp)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TG)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에 대응된다. 참고로 받침부재(SE)는 승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승하면 받침돌기(sp)의 상단이 관통홈(TG)을 통과하여 안착 과정에 있는 전자부품(ED)을 받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하강하면 전자부품(ED)의 받침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받침돌기(sp)들에는 전자부품(ED)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J)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좌우에 대칭 형태로 4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받침부재(SE)가 거치기에 구비되면, 어댑터(100)가 미세하게 틀어져 있어도 위치가 고정된 받침돌기(sp)들에 의해 전자부품(ED)의 안착에 불량이 발생하는 상황은 그 만큼 방지된다. The through section (TS)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front end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WG), and the through groove (TG) through which the rear support protrusion (sp) of the support member (SE) on the stand can pass. ) corresponds to the wid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For reference, the support member (SE) is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so when it rises, the top of the support protrusion (sp)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TG) and is in a state where it can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n the seating process. When this happens, the support stat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released. Of course, the supporting protrusions (sp) are formed with supporting protrusions (J)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it is preferable that four or more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n the support member (SE) is provided on the holder in this way, even if the adapter 100 is slightly twisted, the situation in which a defect occurs in the seat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due to the support protrusions (sp) whose positions are fixed is prevented to that extent. do.

개방 구간(OS)은 폭 증가 구간(WG)의 전단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open section (OS) is formed to have a width that is at least the same as or wider than the front end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WG).

그리고 안내홈(GG)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And the guide groove (GG) is open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위와 같이 도 7과 같은 형태를 가진 안내홈(GG)은 도 8의 과장도에서와 같이 전자부품(ED)이 하방으로 휘어진 경우에도 어댑터(100)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하는데 있어서 문제의 소지를 없게 하면서도, 후단의 접촉단자(T) 측 부위는 그 평평도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접촉단자(T) 측 부위가 테스트슬롯(S)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기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GG having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7 solves the problem of the adapter 100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eve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bent downward as shown in the exaggerated view of FIG. 8. While eliminating any scratches, the flatness of the contact terminal (T) side of the rear end is maintain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ccurate inse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T) side into the test slot (S).

설치프레임(120)은 파지레버(111, 112), 간격조작기구(130), 탄성부재(141 내지 146)들 및 가압부재(161, 162)들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nstallation frame 120 is provided to install and support the grip levers 111 and 112,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6, and the pressure members 161 and 162.

설치프레임(120)은 그 전단 부위의 좌우 양측에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2개씩의 위치설정돌기(121)를 가진다.The installation frame 120 has two positioning protrusions 121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its front end.

위치설정돌기(121)들은 도 9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테스트핸드(400)의 파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설정홈(SG)과 관계한다. 즉, 테스트핸드(400)가 설치프레임(120)을 파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어댑터(100)를 파지하였을 때, 위치설정홈(SG)에 위치설정돌기(121)가 삽입된다. 그래서 차후 테스트핸드(400)가 어댑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어댑터(100)에 전후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설치프레임(1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되므로, 결국 어댑터(10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설치프레임(120)에 위치설정홈이 형성되고, 테스트핸드(400)에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sitioning protrusions 121 are related to the positioning groove (SG) formed on the gripping surface of the test hand 400, as shown in the reference diagram of FIG. 9. That is, when the test hand 400 ultimately grasps the adapter 100 by grasping the installation frame 120, the position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SG).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test hand 400 holds the adapter 100, the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120 is fixed and maintain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dapter 1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ultimate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dapter 100. can be fixed and maintained.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 positio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stallation frame 120 and a position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test hand 400.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위치설정돌기(221)가 좌우 양 측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면, 테스트핸드(400)에 의해 파지된 어댑터(200)의 전단 부위가 중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강함으로써 전자부품(ED)에 대한 파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면 2개의 위치설정돌기(121)들 중 하나는 돌출 정도가 상대적으로 짧은 원기둥형이고, 그리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돌출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간 길고 대략 원뿔형으로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따르면 테스트핸드(400)가 어댑터(20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원뿔형 위치설정돌기(121)는 어댑터(100)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원기둥형 위치설정돌기(121)는 설정된 위치를 정확히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치설정돌기(121)들의 제작공차에서 오는 불량도 해소시키게 된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221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dapter 200 held by the test hand 400 is moved by gravity. By descending while rotating, poor grip on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prevented. Here,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one of the two positioning protrusions 121 is cylindrical with a relatively short protrusion, and the other has a relatively long protrusion and is roughly conical. According to this example, in the process of the test hand 400 gripping the adapter 200, the conical positioning protrusion 121 can contribute to correct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adapter 100, and the cylindrical positioning protrusion 121 ) can contribute to accurately maintaining the set position, thereby eliminating defects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tolerances of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21.

또, 설치프레임(120)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의 좌우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안내봉(125, 126)을 가진다. 물론 파지레버(111, 112)에는 안내봉(125, 126)들이 삽입 통과되는 통과구멍(TH)들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120 has long guide rods 125 and 12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guide the straight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Of course, the grip levers 111 and 112 are formed with passing holes TH through which the guide rods 125 and 126 are inserted.

또, 설치프레임(120)의 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AG)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홈(AG)의 좌우 폭은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의 좌우 폭보다 넓어서,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 양 측이 기구적으로 어댑터(100)에 의해 가압되거나 끼이는 형태로 파지되지 않고 공중 부양되는 형태로 남게 된다. 이러한 수용홈(AG)도 안내홈(GG)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는 전자부품(ED)이 안착되는 어댑터(100)의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즉, 안내홈(GG)과 수용홈(AG)을 포함하는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전자부품(ED)들이 그 길이의 제약 없이 모두 안내홈(GG)과 수용홈(AG)에 걸쳐 안착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a receiving groove (AG)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120 to accommodate the front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Her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ceiving groove (AG) are wid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ont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so that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re mechanically pressed or caught by the adapter 100. It is not gripped and remains in a suspended form. This receiving groove (AG), like the guiding groove (GG), is also open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seating space of the adapter 100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eated is op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at is, the seating space including the guide groove (GG) and the receiving groove (AG) is op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electronic components (ED) of various lengths can be seated across the guide groove (GG) and receiving groove (AG) without restrictions on their length.

또, 설치프레임(120)에는 그 후단 부위에 거치기의 위치고정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홈(FG)들이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홈(FG)들도 좌우 양측에 2개 이상 복수개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고정홈(FG)들과 위치고정핀들은 거치기에 파지된 어댑터(100)의 위치를 교정 및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거치기가 이동하거나 회전할 시에 어댑터(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 위치고정홈(FG)과 위치고정핀들은 거치기에 결합된 어댑터(100)에 전후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고 설치프레임(120)이 자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120 has two position fixing grooves (F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to which the position fixing pins of the holder can be inserted at the rear end. Two or more of these position fixing grooves (FG)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s (FG) and position fixing pins serve to correct and fix the position of the adapter 100 held in the holder. Therefore, when the holder moves or rotates, the adapter 1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groove (FG) and the position fixing pins function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frame 120 in its posi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the adapter 100 coupled to the holder.

또, 설치프레임(230)은 후방 부위에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레버(123, 124) 외에도 별도의 덧댐부재(128)를 더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230 further has a separate padding member 128 in addition to a pair of installation levers 123 and 124 on which a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are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덧댐부재(128)는 한 쌍의 설치레버(123, 124)의 후단 간을 이음으로써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의 가압력으로 인해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설치레버(123, 124)들 간의 간격 벌어짐을 방지한다. 이러한 덧댐부재(128)는 전자부품(ED)의 접촉단자(T)가 노출될 수 있는 노출창(W)을 가진다.The padding member 128 connects the rear ends of a pair of installation levers 123 and 124, which may be caused by use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continuously applied. Prevent the gap between them from widening. This padding member 128 has an exposure window (W) through which the contact terminal (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can be exposed.

간격조작기구(130)는 설치프레임(120)에 설치되며,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한다. 이를 위해 간격조작기구(1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게 설치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조작부분(131), 밀판(132) 및 전달봉(133)을 포함한다.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120 and applies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to move them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the ga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120 so that it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ncludes an operation part 131, a pushing plate 132, and a transmission rod 133.

조작부분(131)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경사 부위(TP)들을 좌우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2개씩 가진다. 따라서 경사 부위(TP)들이 파지레버(111, 112)의 구름롤러(R)들에 접촉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조작부분(131)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 그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조작력을 가하게 된다. 반대로, 간격조작기구(130)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이동할수록 자연스럽게 양 파지레버(111, 112)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해제되어 간다.The manipulation part 131 has two inclined parts (TP)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hose left and right widths become narrower toward the rear. Therefore, the inclined portions (TP) are moved rear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ers (R) of the grip levers (111, 112), and the operating part 131 is spaced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112). Manipulating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xpansion. Conversely, when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moves forward,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both grip levers 111 and 112 is naturally released as it moves forward.

밀판(132)은 개방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에 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를 받는다. 즉, 개방기는 밀판(132)을 통해 후방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간격조작기구(13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공급하며, 이러한 개방기의 구동력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push plate 132 receives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positive direction to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130 by an opener (not shown). That is, the opener applies a force backward through the push plate 132 to supply a driving force that allows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to move rearward, and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moves rearwar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opener. I do it.

전달봉(133)은 전단이 밀판(132)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이 조작부분(131) 측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밀판(132)을 후방으로 미는 개방기의 외력을 조작부분(131)으로 전달한다.The front end of the transmission rod 133 is fixedly coupled to the pushing plate 132, and the rear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perating part 131, thereby transmitt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opener that pushes the pushing plate 132 backward to the operating part 131. do.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그 일 측은 설치프레임(120)에 접하고, 그 타 측은 파지레버(111, 11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간격조작기구(130)에 의해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자부품(ED)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탄성부재(141 내지 144)는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할 수 있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는 작동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며, 더 나아가서는 어댑터(100)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론, 작동부재로서 모터나 실린더 등을 고려할 수 있지만, 별도의 설정 없이 가공오차 범위 내에 있는 전자부품(ED)의 모든 폭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작동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are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frame 120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ip levers 111 and 112.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apply elastic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narrows.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by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130 is removed,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are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gripped as it moves in a direction where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From this perspective,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function as operating members that generate and maintain a pressing force that allows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furthermore, It functions to close the adapter 100. Of course, motors, cylinders, etc. can be considered as operating members, but in order to respond to all widths of electronic components (ED) within the processing error range without separate settings, it is most desirable to construct the operating members with elastic members such as springs. You can.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그 압축 정도에 따라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 간의 파지폭(한 쌍의 파지레버가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해서 이격되어야 하는 폭)을 가변시키는 가변소자로서도 기능함을 의미한다. 즉,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압축 정도에 따라서 파지레버(111, 112)는 제작공차 내에서 다양한 폭을 가지는 전자부품(ED)들을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111 and 112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And this fact shows that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are also variable elements that change the gripping width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levers 111 and 112 (the width that the pair of gripping levers must be spaced apart from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It means functioning. That i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the grip levers 111 and 112 can grip electronic components ED having various widths within manufacturing tolerances.

가압부재(161, 162)는 개방기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간격조작기구(130)를 전방으로 원활하게 위치 복원시키기 위해 간격조작기구(130)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가압부재(161, 162)는 간격조작기구(130)를 전방으로 가압해주기 때문에,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를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파지력을 강화시켜주는 데에도 기여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opener is removed, the pressing members 161 and 162 apply elastic force to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forward in order to smoothly restore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to its forward position. Since these pressing members (161, 162) press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forward, the gripp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that apply elastic force to the pair of gripping levers (111, 112) in a direction that narrows each other It also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계속해서 위와 같은 어댑터(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dapter 1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초기 또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이 교체됨에 따라 작업자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의 규격에 맞는 어댑터(100)를 거치기에 안착시킨다. 이 후, 이동핸드가 고객트레이로부터 인출해 온 전자부품(ED)을 어댑터(100)에 안착시키고자 할 때, 개방기가 간격조작기구(130)를 후방으로 민다. 이 때, 설치프레임(120)은 위치고정홈(FG)에 의해 거치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기의 가압력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작부분(131)의 경사 부위(TP)들이 파지레버(111, 112)의 구름롤러(R)들에 접촉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레버(111, 112)에 좌우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어댑터(100)가 개방된다. 그리고 거치기의 받침부재(SE)가 상승하여 받침돌기(sp)가 전자부품(ED)을 받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는 받침부재(SE)의 4곳에 있는 받침턱(J)에 걸쳐져 받쳐질 수 있다.A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 be initially or tested is replaced, the operator places the adapter 100 that meets the standar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 be tested into the holder. Afterwards, when the moving hand wants to sea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drawn from the customer tray into the adapter 100, the opener pushes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backward. At this time, since the installation frame 120 is fixed to the holder by the position fixing groove (FG), only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moves rearward due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ner. In this process, the inclined parts (TP) of the manipulation part 131 move back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ers (R) of the grip levers 111 and 112, and exert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grip levers 111 and 112. By applying, the gap between the two grip levers 111 and 112 widens and the adapter 100 is opened. Then, the support member (SE) of the cradle rises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sp) can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can be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the support jaws (J) at four locations of the support member (SE).

어댑터(100)의 개방이 완료되면, 전자부품(ED)의 상면을 흡착 파지하고 있던 이동핸드가 전자부품(ED) 후단부위가 받침턱(J)들에 놓이는 높이로 하강하게 된다. 이 하강 과정은 휨이 있는 전자부품(ED)의 후단부위가 평평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이동핸드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하강은 전자부품(ED)이 후단부위 좌우 양단이 파지부재(111, 112)의 안내홈(GG)에 적절히 삽입되도록 평평하게 펴는 위치까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자부품(ED)이 일정 정도 휘어져 있더라도 전자부품(ED)이 안내홈(GG)을 통해 파지레버(111, 112)에 의해 적절히 파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자부품(ED)의 후단부위가 전후좌우 각각 양측 총 4곳에서 받침턱(J)에 의해 받쳐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핸드에 의해 하방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전자부품(ED)의 후단부위가 평평하게 펼쳐지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이동핸드에 의해 흡착 파지되는 지점은 4군데의 지지점들 사이(바람직하게는 2개씩의 지지점을 대각 방향으로 잇는 2개의 대각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받침부재(SE)에 있는 받침돌기(sp)는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ning of the adapter 100 is completed, the mobile hand that has suction-grippe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lowered to a height where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placed on the support jaws (J). This lowering process is also the process by which the bent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converted to a flat state. In other words, the lower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y the moving hand is achieved to a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pread flat so th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end are proper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GG) of the holding members (111, 112). will be. Therefore, even i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bent to a certain degree, the electronic component (ED) can be properly held by the grip levers 111 and 112 through the guide groove (GG). Here, since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s (J) at a total of four locations on both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flat due to the downward pressure applied by the moving hand. It is spread out, and for this purpose, the point that is adsorbed and held by the moving hand needs to be located between four support points (preferably at the point where two diagonal lines connecting two support points diagonally intersec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ave at least four support protrusions (sp) on the support member (SE).

이어서, 전자부품(ED)의 후단부위가 받침턱(J)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간격조작기구(130)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탄성력에 의해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간격조작기구(130)도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자부품(ED)의 좌우 양단이 파지레버(111, 112)의 안내홈(GG)에 삽입됨으로써 어댑터(100)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가 완료된다. 이 때, 안내홈(GG)의 형상으로 인해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더 구체적으로는 접촉단자가 있는 부위)는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ED)의 좌우 폭에 더 넓은 공차가 있더라도 수용홈(AG)의 폭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가 수용홈(AG)을 이루는 벽에 끼이는 상황이 발생되지는 않는다.Nex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130 is removed whil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jaw J. Then, the gap between the two grip levers 111 and 112 is narrow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141 to 144, and the gap control mechanism 130 is also pushed forward. In this process,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GG) of the grip levers (111, 112), thereby completing the gripp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y the adapter (100). At this time, due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GG, the rear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terminal is located) can be maintained flat.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wider tolerance 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ecause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AG) is sufficiently wide, a situation occurs where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gets caught in the wall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AG). It doesn't work.

파지레버(111, 112)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가 완료되면, 이동핸드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한 후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gripp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y the grip levers 111 and 112 is completed, the moving hand releases the gripp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then moves to another location.

한편, 이 후 거치기에 안착되어 있던 어댑터(100)는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 때, 수직으로 세워진 전자부품(ED)의 하단은 안내홈(GG)과 지지턱(J)을 이루는 벽면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더 나아가 양 파지레버(111, 112)의 가압력 및 경우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휨 복원력에 의해 안내홈(GG)에 끼어 있는 상태 등에 의해 그 안착상태가 적절히 유지된다. 이와 같이 수직 상태로 되어 거치기에 안착되어 있던 어댑터(100)는 테스트핸드(400)에 의해 파지되며, 이 과정에서 위치설정돌기(121)가 위치설정홈(SG)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100)가 정확한 설정위치에 위치되게끔 테스트핸드(400)에 파지된다. 게다가 차후 어댑터(100)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설치프레임(1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어댑터(100)도 그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adapter 100, which was seated on the cradle, is erected vertically.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ly standing electronic component (ED) is supported by the wall forming the guide groove (GG) and the support jaw (J), and further, the pressing force of both grip levers (111, 112) and, depending on the case, Due to the bending restoring force that may occur, the seated state is properly maintained by being stuck in the guide groove GG. In this way, the adapter 100, which was in a vertical state and seated on the cradle, is gripped by the test hand 400, and in this process, the position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SG). Accordingly, the adapter 100 is held by the test hand 400 so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correct setting position. Moreo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120 can be fixed and maintained even in the event of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dapter 100 in the future, the position of the adapter 100 can ultimately be fixed and maintained.

계속하여 테스트핸드(400)가 어댑터(100)를 테스터(TESTER) 측으로 이동시켜서 어댑터(100)와 테스트슬롯(S) 간의 위치가 정확히 설정되면, 테스트핸드(400)에 있는 개방요소가 간격조작기구(130)를 미세하게 밀어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넓히고, 그 상태에서 테스트핸드(400)에 있는 연결요소가 전자부품(ED)을 테스트슬롯(S) 측으로 밀어 전자부품(ED)의 접촉단자(T)가 있는 후단 부위가 테스트슬롯(S)에 삽입되게 한다.When the test hand 400 moves the adapter 100 toward the tester (TESTER) and the position between the adapter 100 and the test slot (S) is accurately set, the opening element in the test hand 400 is used as a gap control mechanism. (130) is slightly pushed to slightly widen the gap between the two grip levers (111, 112), and in that state, the connection element in the test hand (400) pushe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oward the test slot (S) to Insert the rear end of (ED) with the contact terminal (T) into the test slot (S).

그리고 테스트가 종료되면 어댑터(100)가 전자부품(ED)을 고정하는 상태로 조작되고, 이어서 테스트핸드(400)에 의해 전자부품(ED)이 테스트슬롯(S)으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전자부품(ED)은 반대과정을 거쳐 이동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고객트레이(CT)에 실리게 된다.And when the test is completed, the adapter 100 is operated to fix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then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pulled out from the test slot (S) by the test hand 400. The withdrawn electronic components (ED) go through the reverse process and are ultimately placed on the customer tray (CT).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adap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어댑터(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200 of Figure 11.

어댑터(200)는 한 쌍의 파지레버(211, 212), 설치프레임(220), 간격조작기구(230), 탄성부재(241 내지 244)들 및 가압부재(261, 262)들을 포함한다.The adapter 200 includes a pair of grip levers 211 and 212, an installation frame 220, a gap manipulation mechanism 230, elastic members 241 to 244, and pressure members 261 and 262.

한 쌍의 파지레버(211, 212)는 상호 대향하게 구비되며, 설치프레임(220)에 있는 안내봉(225, 226)들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개방상태가 된다.A pair of grip levers (211, 212)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guided by guide rods (225, 226) on the installation frame (220) while moving strai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or widens. It is in an open state that grip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or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도 1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211, 212)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2개의 조작홈(OG)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excerpt of FIG. 13, two operating grooves OG are formed on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grip levers 211 and 212, respectively.

조작홈(OG)은 파지레버(211, 212)와 간격조작기구(230)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동일 파지레버(211, 212)에 각각 있는 2개의 조작홈(OG)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홈(OG)은 후방으로 갈수록 패인 깊이가 얕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ng groove (OG) is formed at the area where the grip levers 211 and 212 and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230 contact. The two operating grooves OG on the same grip levers 211 and 212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operating groove (OG)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where the depth of the depression becomes shallower toward the rear.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211, 212)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이면서 조작홈(OG)들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내홈(GG)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홈(GG)은 도 14의 가상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는 방향으로 수평 유지 구간(HM), 폭 증가 구간(WG), 관통구간(TS) 및 개방 구간(OS)을 순차적으로 가진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의 개방 구간(OS)은 후방의 수평 구간(OS1)과 전방의 하강 구간(OS2)으로 더 세분화될 수 있고, 하강 구간(OS2)에서는 그 폭이 하방향으로 더 확장됨으로써 그 만큼 더 큰 휨이 있는 전자부품(ED)까지도 적절히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air of grip levers 211 and 212 has guiding grooves GG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bove the operating grooves OG. Likewise, the guide groove (GG) has a horizontal maintenance section (HM), a width increase section (WG), a penetration section (TS), and an opening section (OS) in the direction from rear to front, as shown in the virtual excerpt of Figure 14. have them sequentially. However, the open section (OS)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 rear horizontal section (OS1) and a front lowering section (OS2), and in the lowering section (OS2), the width is further expanded downward. As a result, even electronic components (ED) with larger bends can be properly accommodated.

설치프레임(220)은 파지레버(211, 212), 간격조작기구(230), 탄성부재(241 내지 246)들 및 가압부재(261, 262)들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설치프레임(220)도 위치설정돌기(221), 설치레버(223, 224), 안내봉(225, 226), 수용홈(AG), 위치고정홈(FG), 노출창(W)이 있는 덧댐부재(128)를 가진다.The installation frame 220 is provided to install and support the grip levers 211 and 212,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the elastic members 241 to 246, and the pressure members 261 and 262. The installation frame 220 in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 positioning protrusion 221, an installation lever 223, 224, a guide rod 225, 226, an accommodation groove (AG), a position fixing groove (FG), and an exposure window. It has a padding member (128) with (W).

다만, 제2 실시예에서의 안내봉(225, 226)들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부호 226의 안내봉)는 도 15의 발췌 정면도에서와 같이 좌우 양단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자른 단면상에서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상측이 직선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부호 226의 안내봉은 직선 형태의 영역에서 설치레버(223, 224)에 결합됨으로서 직선 형태에 의해 그 회전이 방지된다.However, at least one of the guide rods 225 and 226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rod indicated by symbol 226) has both left and right end regions left and right on a cross-section cu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s shown in the excerpted front view of FIG. 15.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the upper side is formed to have a straight line. And the guide rod of symbol 226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levers 223 and 224 in a straight area, so its rotation is prevented by its straight shape.

또, 부호 226의 안내봉은 중간 영역에서 상측과 하측이 평평하게 깎여서 전후 방향으로 자른 단면상에서 상하 양측이 직선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안내봉(226)의 상측은 전자부품(ED)과 간섭되지 않고, 하측은 간격조작기구(23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그 단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안내봉(226)의 강성이 향상되어 사용에 의해 안내봉(226)이 휘거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od of symbol 226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cut flat in the middle region so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have a straight shape in a cross-section cut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is way,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od 22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the lower sid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secured to be wide.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guide rod 226 is improved and the guide rod 22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deformed during use.

물론, 회전 방지와 강성 유지를 위해 도 16에서와 같이 전 영역에 걸쳐 안내봉(226)의 단면이 사각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and maintain rigidity, it can be fully considered that the guide rod 226 has a square cross-section over the entire area as shown in FIG. 16.

간격조작기구(230)는 설치프레임(220)에 설치되며, 한 쌍의 파지레버(211, 212)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간격조작기구(230)도 조작부분(231), 밀판(232) 및 전달봉(233)을 포함한다.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220, and applies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211 and 212 to move them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the gap between them.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in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n operation part 231, a pushing plate 232, and a transmission rod 233.

제2 실시예에서의 조작부분(230)은 조작홈(OG)에 대응하여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의 구름롤러(R)를 가지고 있고, 구름롤러(R)들은 좌우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를 형성한다. 그리고 구름롤러(R)들은 그 일부가 조작홈(OG)에 삽입된 상태로 조작홈(OG)을 이루는 면에 접촉된다. 즉, 간격조작기구(130)의 조작부분(131)의 양단이 구름롤러(R)를 통해 파지레버(211, 212)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간격조작기구(230)가 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이동할수록 구름롤러(R)들이 조작홈(OG)의 패인 깊이가 얕아져 가는 경사면과 접촉되므로, 자연스럽게 간격조작기구(230)가 양 파지레버(211, 2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양 파지레버(211, 212)에 조작력을 가한다. 물론, 간격조작기구(230)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이동할수록 구름롤러(R)들이 조작홈(OG)의 패인 깊이가 깊어져가는 경사면과 접촉되므로, 자연스럽게 양 파지레버(211, 212)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해제되어 간다. The operating part 230 in the second embodiment has two rolling rollers (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groove (OG), and the rolling rollers (R) protrude out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form a region. And the rolling rollers (R)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forming the operating groove (OG) with some of them inserted into the operating groove (OG). That is, both ends of the manipulation part 131 of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130 are in contact with the grip levers 211 and 212 through the rolling rollers R. Therefore, when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moves rearward, the rolling rollers (R)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where the depth of the depression in the control groove (OG) becomes shallower as it moves, so naturally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moves both grip levers ( Manipulating force is applied to both grip levers (211, 212)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gap between them (211, 212). Of course, when the gap control mechanism 230 moves forward, the rolling rollers (R)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where the depth of the depression in the control groove (OG) becomes deeper as it moves, so it is naturally applied to both grip levers 211 and 212. The operating power that was lost is being released.

탄성부재(241 내지 244)와 가압부재(261, 262)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다.The elastic members 241 to 244 and the pressing members 261 and 262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위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의 작동은 제1 실시예에서의 어댑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adapter 200 according to the abov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dapt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s description is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explained by referring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later and their equivalents.

100 :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111, 112 / 211, 212 : 파지레버
GG : 안내홈
HM : 수평 유지 구간
WG : 폭 증폭 구간
OG : 조작홈
TH : 통과구멍
TG : 관통홈
120 / 220 : 설치프레임
121 / 221 : 위치설정돌기
125, 126 / 225, 226 : 안내봉
AG : 수용홈
FG : 위치고정홈
123, 124 / 223, 224 : 설치레버
128, 228 : 덧댐부재
W : 노출창
130 / 230 : 간격조작기구
131 / 231 : 조작부분
경사 부위 : TP
141 내지 144 / 241 내지 244 : 탄성부재
161, 162 / 261, 262 : 가압부재
R : 구름롤러
100: Adapte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111, 112 / 211, 212: Gripping lever
GG: Information home
HM: Horizontal maintenance section
WG: Width amplification section
OG: Control groove
TH: Through hole
TG: Through groove
120 / 220: Installation frame
121 / 221: Position setting protrusion
125, 126 / 225, 226: Guide rod
AG: Acceptance home
FG: Position fixing groove
123, 124 / 223, 224: Installation lever
128, 228: Addition member
W: exposure window
130 / 230: Gap control mechanism
131 / 231: Control part
Inclined area: TP
141 to 144 / 241 to 244: elastic member
161, 162 / 261, 262: Pressure member
R: Cloud roller

Claims (10)

상호 대향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한 쌍의 파지레버;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간격조작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들; 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전자부품의 양단 파지 및 전후 방향의 이동 안내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긴 안내홈과 거치기에 있는 받침부재의 받침돌기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 pair of grip levers that face each other and grip or releas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oth ends by moving linear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or widens;
An installation frame on which the pair of grip levers are installed to enable straight movement;
a gap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and applying a manipulation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to move them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gap between them; and
By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m,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pair of grip levers by the gap control mechanism is remove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is reduced. Operating members that enable movement in the narrowing direction; Includes,
The pair of grip levers has a long guide gro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for gripping both end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guiding the front-back movement, and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support member on the holder can pass is formed.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촉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조작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분; 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는 서로 대향하는 면 측으로 상기 조작부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름롤러들을 가지며,
상기 구름롤러들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경사 부위들을 가짐으로써 상기 경사 부위들이 상기 구름롤러들에 접촉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ing control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o enable straight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gap manipulation mechanism is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grip levers, and when moving straight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a manipul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grip levers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grip levers, and as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to release the operating force when moving straight forward; has,
The pair of grip levers have rolling rollers on opposing surfaces to reduce friction with the operating portion,
The rolling rollers are provided to protrude further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he operating portion has inclined portions whose left and right widths become narrower toward the rear, so that the inclined portions move rear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rolling rollers and apply operating force to the pair of grip levers.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작기구를 후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 일 측은 상기 설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타 측은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접촉되어 있는 가압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A pressing member supported by the installation frame on on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space manipulation mechanism on the other side to elastically press the gap control mechanism backward; containing more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안내봉들을 가지며,
상기 파지레버에는 상기 안내봉들이 삽입 통과되는 통과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봉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자른 단면상에서 직선형태인 영역을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frame has long guide ro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ir of grip levers,
The grip lever is formed with passing holes through which the guide rods are inserted,
At least one of the guide rods has a straight area on a cross-section cu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어댑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스트핸드의 위치설정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설정돌기를 좌우 양 측에 각각 복수개씩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frame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protrusion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of the test hand for moving the adapter.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의 좌우 폭은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의 좌우 폭보다 넓음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가 공중 부양 될 수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fram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ceiving groove are wid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llowing the rea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o levitate.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파지된 전자부품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 구간과 상기 수평 유지 구간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폭 증가 구간을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groove has a horizontal maintaining section that maintains the level of the gripped electronic component and a width increasing section that widens from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aintaining section to the front.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단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개방 구간을 가지며,
상기 개방 구간은 후방의 수평 구간과 전방의 하강 구간으로 더 세분화되고,
상기 하강 구간에서는 상기 수평 구간보다 하방향으로 더 확장된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According to clause 7,
The guide groove is located in front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and has an open section formed to have a width at least equal to or wider than the front end of the width increasing section,
The open section is further divided into a horizontal section at the rear and a downward section at the front,
In the descending section, it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horizontal section.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어댑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기의 위치고정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홈들이 좌우 양 측에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to which the positioning pins of the holder for mounting the adapter can be inserted.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후방 부위에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레버; 및
상기 한 쌍의 설치레버의 후단 간을 이음으로써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한 쌍의 설치레버 간의 간격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덧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부재는 전자부품의 접촉단자가 노출될 수 있는 노출창을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frame is
A pair of installation levers on which the pair of grip levers are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and
A padd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pair of installation levers from widening that may occur due to use by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installation levers; Including,
The padding member has an exposure window through which contact terminals of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exposed.
Adapter for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20220039513A 2022-03-23 2022-03-30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230140807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13A KR20230140807A (en) 2022-03-30 2022-03-30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CN202310293472.XA CN116803552A (en) 2022-03-23 2023-03-23 Adapter of sorting machine for electronic component test
TW112111654A TW202407367A (en) 2022-03-30 2023-03-28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513A KR20230140807A (en) 2022-03-30 2022-03-30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07A true KR20230140807A (en) 2023-10-10

Family

ID=8807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513A KR20230140807A (en) 2022-03-23 2022-03-30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40807A (en)
CN (1) CN116803552A (en)
TW (1) TW20240736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14A (en) * 2021-02-08 2022-08-17 (주)테크윙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7367A (en) 2024-02-16
CN116803552A (en)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680B2 (en) Insert and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20210156053A (en) Handling system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US5230147A (en) Electrical hardness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582231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ing device
KR20230140807A (en)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2561144B1 (en) Picking apparatus for handler supporting test of electronic components
KR20230138212A (en)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TWI832511B (en) Holder for handler of electronic component
KR100929783B1 (en) Tray Stacker of SSD Test Handler
CN112875290B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products and automatic test equipment
CN115591813A (en) Relay device of sorting machine for electronic component test and operation method
KR102473315B1 (en) Pushing apparatus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EP01947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positioning of a solid component for a robotic pickup
TWI790096B (en) 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230159152A (en) Re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US6323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act test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 a socket
CN108325864B (en) Pressure device for test sorting machine
CN216412142U (en) Server hard disk backplate test fixture
KR20230022567A (en) Socket guider for tester of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KR20230001222A (en) Cradle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CN111776695A (en) Automatic capacitor power strip inserting equipment and automatic power strip inserting method
KR102270588B1 (en) Test tray insert and test handler for semiconductor module using the same
TWI822108B (en) Tray, transporting device, and processing machine
CN214979133U (en) Stitch calibrating device
KR102566850B1 (en) Inspection object holding device and x-ray insp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