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7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9674A KR20230139674A KR1020220038303A KR20220038303A KR20230139674A KR 20230139674 A KR20230139674 A KR 20230139674A KR 1020220038303 A KR1020220038303 A KR 1020220038303A KR 20220038303 A KR20220038303 A KR 20220038303A KR 20230139674 A KR20230139674 A KR 202301396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control unit
- tub
- measurement
- unbal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3208 measuring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217 control strateg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의류의 언밸런스를 측정하는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 수행 전,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는 측정준비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준비과정 이후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2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연속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행정 외에도 세탁물로부터 세제 또는 잔여 이물질을 헹궈내는 헹굼행정 및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 등 다양한 처리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세탁물의 처리행정에서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세탁물의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는 경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고, 진동량이 증가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탈수행정 등의 수행 전에 배수 후 세탁물의 언밸런스를 판단하고, 언밸런스 정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다시 터브 내부로 급수 후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한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언밸런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세탁수를 배출하고 다시 포풀림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은 세탁수의 낭비가 발생하며 의류의 처리과정에 대한 시간 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련하여, 관련문헌 US 2017-02985531 A1 에는 터브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관련문헌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판단하고, 언밸런스 정도가 기준치 이하이면 배수 후 탈수행정 등을 수행한다.
다만, 위와 같이 터브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언밸런스를 판단하는 방식은 배수 상태와 환경조건이 상이하여, 배수 상태를 전제한 언밸런스 측정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나아가, 언밸런스 측정 결과를 반영하여 급수 상태의 세탁물로부터 언밸런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포풀림과정의 구동부 제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세탁수 및 시간 등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를 측정하고,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포풀림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 제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수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처리과정 소요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언밸런스를 측정하기 위한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한다.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드럼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며, 제어부는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배수환경의 언밸런스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준비과정을 수행한다.
측정준비과정에서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알파모션을 수행하여 배수환경에 근접한 상태를 구현한다.
또한, 급수 환경에서 효율적인 언밸런스 판단을 위해, 터브 내부의 수위 및/또는 의류의 함습율 등을 반영하여 언밸런스 측정 기준을 보정할 수 있다.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터브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수위 또한 의류의 양이나 함습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언밸런스 정도가 높은 경우, 언밸런스 정도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언밸런스 정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상기 포풀림과정 전에 의류 배치를 초기화하기 위한 포배치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된다.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구동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시키며 의류의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의류의 언밸런스를 측정하는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 수행 전,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는 측정준비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준비과정 이후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2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연속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드럼 또는 터브에 장착되어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기준진동값 이하이면,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의 물을 모두 배수하고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을 낮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을 낮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습율 판단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습율 판단과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일방향 또는 상기 타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위측정부의 측정값을 통해 의류의 함습율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의류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언밸런스 개선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을 수행한 이후 상기 측정준비과정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3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는 제1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클수록 상기 제3회전속도 및 상기 제1회전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보다 더 높은 추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상기 포풀림과정과 상이하게 설정되는 포배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배치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상기 제3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4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가 상기 제1회전각도보다 큰 제2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을 초과하고 상기 추가진동값 이하이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포배치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추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포배치과정 수행한 이후 상기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행정 후 상기 탈수행정 전 세제 및 오염물을 의류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과 상기 헹굼행정 사이 및 상기 헹굼헹정과 상기 탈수행정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측정준비과정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터브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준비과정 수행 전 상기 터브의 수위가 언밸런스 측정을 위한 측정수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수위준비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준비과정에서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또는 함습율이 클수록 상기 측정수위를 높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수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처리과정 소요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탁물의 언밸런스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포풀림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언밸런스 대응행정에 포함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진동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 중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값이 추가진동값을 초과한 경우 수행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배치과정 및 포풀림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값이 기준진동값을 초과하고 추가진동값 이하인 경우 수행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언밸런스 대응행정에 포함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른 진동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 중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값이 추가진동값을 초과한 경우 수행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배치과정 및 포풀림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값이 기준진동값을 초과하고 추가진동값 이하인 경우 수행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의 드럼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에 터브(20)와 드럼(30)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다각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닛(10)은 전면플레이트, 후면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상면플레이트 및 하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개구(12)는 캐비닛(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홀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의류개구(12)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의류를 캐비닛(1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의류개구(12)는 상면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30)의 회전축이 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탑로더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탑로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론트 로더 타입일 수도 있으며,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탑로더 타입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캐비닛(10)에는 의류도어(14)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14)는 의류개구(12)를 개폐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의류도어(14)는 캐비닛(10)의 상면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상태에 따라 의류개구(1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부(16)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명령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부(16)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조작되어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세제공급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18)는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거나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공급부(1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18)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위치되고, 사용자는 의류도어(14)를 개방하여 의류개구(12)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부(18)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공급부(18)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세제공급부(18)에 공급된 세제는 의류의 처리행정에서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 및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은 세탁수에 해당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개구(12)를 향해 개방되는 터브개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면에 터브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의류개구(12) 및 터브개구(25)를 향해 개방되는 드럼개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일면에 상기 드럼개구(35)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반대면이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상면에 상기 드럼개구(35)가 마련될 수 있고, 하면이 구동부(6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드럼개구(35)는 의류개구(12) 및 터브개구(25)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의류가 의류개구(12), 터브개구(25) 및 드럼개구(35)를 지나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20) 내부에 수용된 물이 드럼(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드럼(30) 내부에서 의류가 물에 잠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40)와 배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40)는 캐비닛(10)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터브(2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배수부(50)는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부(50)는 배수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탁코스가 종료됨에 따라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30)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60)는 터브(20)의 외측, 예컨대 터브(20)의 하측에 위치되고 구동축이 터브(20)를 관통하여 드럼(3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컨트롤부(16), 급수부(40), 배수부(50), 구동부(60) 등과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컨트롤부(16)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세탁코스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컨트롤부(16)를 통해 사용자에게 세탁코스의 현황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급수부(40)의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터브(20)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으며, 배수부(50)의 배수펌프를 제어하여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측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측정부(70)는 드럼(3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동측정부(70)는 변위 또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진동측정부(70)는 드럼(30)에 직접 마련되거나 터브(20), 캐비닛(10) 또는 구동부(60) 등에 마련되어 드럼(30)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20)의 외부에서 터브(2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진동측정부(70)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측정부(70)는 제어부(10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진동값(V)을 제어부(100)에 송신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을 세탁코스 등의 수행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위측정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부(80)는 터브(2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위측정부(80)는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위측정부(80)는 터브(20) 또는 드럼(30)에 마련되어 수위를 직접 측정하거나, 터브(20) 내부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어 수위측정부(80) 또는 제어부(100)가 수위측정부(80)의 측정값으로부터 수위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탁코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행정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에는 세탁코스, 헹굼코스 및 탈수코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는 복수의 처리코스 중 세탁코스에 대한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코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행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처리행정은 각각 하나 이상의 처리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의 세탁코스는 세탁행정(P10)을 포함하고, 헹굼행정(P20) 및 탈수행정(P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1회 이상의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행정(P10)은 의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제어부(100)는 세탁행정(P10)에서 세제공급부(18)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고, 급수부(40)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구동부(60) 제어를 통해 드럼(30)을 회전시켜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세탁행정(P10)은 세제공급과정, 급수과정, 세탁과정 및 배수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헹굼행정(P20)은 의류로부터 분리된 오염물과 세제 등을 행구어내는 행정이다. 제어부(100)는 행굼행정에서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드럼(30)을 회전시켜 의류로부터 오염물이나 세제 등을 행구어낼 수 있다. 즉, 헹굼행정(P20)은 급수과정, 헹굼과정 및 배수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행정(P30)은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제어부(100)는 탈수행정(P30)에서 드럼(30)을 회전시켜 원심력을 통해 의류로부터 수분을 분리 및 제거하는 탈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은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언밸런스를 파악하고, 필요 시 언밸런스 정도를 개선하는 행정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헹굼행정(P20) 전과 탈수행정(P30) 전에 수행되는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의 회수나 시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각 과정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탈수행정(P30)의 수행 전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은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은 제어부(100)가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분산 고르기를 파악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00)는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다.
세탁코스, 예컨대 헹굼행정(P20)이나 탈수행정(P30)에서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가 높은 경우, 드럼(30)의 무게 중심과 회전 중심의 차이 등에 의해 구동부(60)에 작용하는 부하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구동부(60)의 작동을 위한 전력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의 부하가 지나치게 증가되면 구동부(60)의 단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시 드럼(30)에서 발생되는 진동량이 증가되어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통해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후행하는 과정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정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은 의류의 분포를 조정하는 과정이므로 의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터브(20)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구동부(60)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언밸런스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언밸런스 정도는 드럼(30)의 회전속도가 높거나 회전각도가 큰 탈수행정(P30) 등의 수행에 있어 그 중요성을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언밸런스의 측정은 탈수행정(P30)과 같이 터브(20)에서 물이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것이 상기 언밸런스 정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터브(20)의 물을 모두 배출하는 경우, 언밸런스 정도가 과도하여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이 요구되면 터브(20)에 다시 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물의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될 수 있고 물의 급수 및 배수에 따른 시간 소비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시간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터브(20)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하며, 다만 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배수상태어 근접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의 수행 전에 측정준비과정(P12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준비과정(P120)은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의류의 언밸런스 측정 결과가 물이 모두 배수된 상태와 근접한 결과에 해당하도록 측정을 준비하는 과정에 해당하며, 측정준비과정(P12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은 필요에 따라 수위준비과정(P110)이나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후술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시 이용될 수 있는 드럼(30)의 회전속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량에 기초하여 제어부(100)가 언밸런스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량은 전술한 진동측정부(70)에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드럼(30)의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드럼(30)의 진동량은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에 대해 비례관계를 가질 수 있으나 드럼(30)의 회전속도에 대해서는 비례관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서 가로축은 드럼(30)의 회전속도에 대응되는 RPM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진동측정부(70)에서 측정되는 진동값(V)을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드럼(30) 내부의 의류 분포가 동일한 조건에서, RPM이 증가할수록 진동값(V)은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진동값(V)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 RPM을 높이는 것이 반드시 유리한 것이 아니며, 측정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RPM 선정이 중요할 수 있다.
특히, 터브(20)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진동값(V)은 배수상태와 대비할 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값(V)의 측정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드럼(30)의 RPM이 진동값(V)을 가장 민감하게 나타내는 최적RPM(A)을 추종하도록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사용되는 RPM는 반드시 도 5의 그래프상 진동값(V)이 최고값에 해당하는 RPM에 해당해야 할 것은 아니며, 상기 최고 진동값(V)이 측정되는 RPM을 포함하는 임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최적RPM(A)이 결정되거나, 제어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최적RPM(A)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 따른 RPM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구동부(6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6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30)의 회전시키며 의류의 탈수행정(P3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탈수행정(P30) 전 의류의 언밸런스를 측정하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수행 전, 상기 터브(20)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는 측정준비과정(P12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는 측정준비과정(P120)에서의 RPM 변화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드럼(30)을 제1회전속도로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의류를 드럼(30)의 둘레측으로 이동시켜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언밸런스를 증폭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존재하는 상태의 언밸런스 정도는 배수상태에서보다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을 제1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측정준비과정(P120)을 통해 의류를 드럼(30)의 둘레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증가시켜 진동값(V)을 배수상태에서의 측정 결과에 근접시킨다.
상기 제1회전속도는 이론적/실험적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회전속도는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드럼(30)은 의류가 드럼(30)의 둘레측을 향해 효과적으로 이동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회전시간은 제어부(1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상기 제1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 등은 의류의 함습율이나 포량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포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증가시켜 측정준비과정(P12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회전속도 또는 측정값 등은 어느 하나의 값 대신 해당 값을 포함하는 범위 또는 당업자를 기준으로 해당 값이 대변하는 개념을 반영한 대표적인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측정준비과정(P120) 이후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하고,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상기 드럼(30)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2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연속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측정준비과정(P120)이 종료되면 전술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드럼(3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키며, 이 때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는 제2회전속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속도는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드럼(30)의 회대 회전속도인 제1회전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예컨대, 제2회전속도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값(V)이 증폭되는 최적RPM(A)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회전속도는 의류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2회전속도보다 더 높은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수행정(P30) 전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함으로써 탈수행정(P30)에 대한 구동부(60) 부하를 미리 파악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함으로써 언밸런스의 개선이 요구되는 경우 다시 터브(20) 내부로 급수할 필요가 없어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세탁코스의 소요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전에 측정준비과정(P120)을 수행함으로써, 물이 존재하는 상태의 진동값(V)을 통해 판단되는 언밸런스 정도를 배수상태의 결과에 효과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준비과정(P120)에서 드럼(30)을 제1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의류를 드럼(30)의 둘레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드럼(30)을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낮은 제2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30)의 진동값(V)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부(50) 및 진동측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50)는 상기 터브(20)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진동측정부(70)는 상기 드럼(30) 또는 터브(20)에 장착되어 진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V)이 기준진동값(V1) 이하이면, 상기 배수부(50)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0)의 물을 모두 배수하고 상기 탈수행정(P3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진동값(V1)은 이론적/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진동값(V1)은 탈수행정(P30)에서 구동부(60)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되는 상태에 대응되는 진동값(V)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측정되는 진동값(V)이 미리 설정된 기준진동값(V1) 이하인 경우, 탈수행정(P30)에서 구동부(60)의 부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황이 방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배수부(50)를 제어하여 터브(20)의 물을 모두 배출한 이후 탈수행정(P3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시간에 해당하고, 좌측 세로축은 진동값(V)에 해당하며, 우측 세로축은 드럼(30)의 RPM에 해당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준비과정(P120) 이후 수행되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측정되는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 이하인 경우가 나타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터브(20)의 수위가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V1)을 낮게 보정할 수 있다.
터브(20)의 수위는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포량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다만, 터브(20)의 수위가 변화하면 동일한 포량 및 언밸런스 정도에서도 측정되는 진동값(V)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의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터브(20)의 수위가 높을수록 전술한 기준진동값(V1)을 낮은 값으로 보정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이전에 포량을 측정하기 위한 포량 측정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포량 측정과정은 세탁행정(P10), 헹굼행정(P20) 및 탈수행정(P30) 등 어느 하나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세탁행정(P10) 중 급수과정 전에 포량 측정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포량 측정과정은 의류의 양 또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포량 측정과정에서 드럼(30)을 회전시켜 발생되는 구동부(60)의 부하, 예컨대 구동부(60)의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통해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드럼(30)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V1)을 낮게 보정할 수 있다.
의류의 함습율이 높은 경우, 탈수행정(P30)에서 의류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의 양이 많은 경우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탈수행정(P30)이 진행될수록 수분이 제거되면서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함습율이 높을수록 기준진동값(V1)을 더 낮게 보정하여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의 결과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탈수행정(P3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탈수행정(P30) 전 상기 드럼(30)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습율 판단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함습율 판단과정은 세탁행정(P10), 헹굼행정(P20) 및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함습율 판단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드럼(30)을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속도 회전시키면서 변화되는 구동부(60)의 부하 또는 하중 측정값을 이용하여 함습율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수위측정부(8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수위측정부(80)의 측정값을 통해 함습율을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측정부(80)는 상기 터브(20)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함습율 판단과정에서, 상기 터브(20)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30)을 상기 일방향 또는 상기 타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위측정부(80)의 측정값을 통해 의류의 함습율을 파악할 수 있다.
함습율이 높은 경우, 드럼(30)의 회전에 따른 수위측정부(80)의 측정값 변화가 비교적 크며, 함습율이 낮은 경우는 측정값의 변화가 비교적 적다. 이는 원심력에 의해 의류로부터 분리되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측정값의 변화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100)는 수위측정부(80)의 측정값을 통해 의류의 함습율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측정된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의류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은 제어부(100)가 구동부(60)를 제어하여 드럼(30)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키는 과정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의 언밸런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는 경우, 탈수행정(P30) 등에서 구동부(60)에 작용하는 부하가 미리 설정된 한계 부하를 초과할 수 있고, 나아가 구동부(60)의 단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통해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감소시키고 탈수행정(P30)을 수행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의류의 분포도를 개선하는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구동부(60)를 제어하여 드럼(30)을 미리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의류의 언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30)의 회전속도와 회전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0)는 컨트롤부(16)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의류의 재배치를 요구하는 시각정보 또는 청각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한 이후 상기 측정준비과정(P120)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 이후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의류의 언밸런스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한 이후,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함으로써 언밸런스 정도를 재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터브(20)의 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언밸런스를 측정하므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 이후 급수 또는 배수를 수행하지 않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은 드럼(30) 내부의 의류를 분산시키는 과정에 해당하며, 따라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전에 제어부(100)는 다시 측정준비과정(P120)을 통해 의류를 드럼(30)의 둘레측으로 이동시켜 배수상태에 준하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도 7에서 드럼(30)의 RPM을 통해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 이후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이 이루어지고, 다시 측정준비과정(P120) 및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 포함되는 포배치과정(P142) 및 포풀림과정(P144)의 드럼(30) RPM이 나타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에 해당하고, 세로축은 RPM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3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는 제1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포풀림과정(P144)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풀림과정(P144)은 서로 뭉쳐 언밸런스를 증가시키는 의류들을 풀어내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포풀림과정(P144)에서 제어부(100)는 구동부(60)를 제어하여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30)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드럼(3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미리 설정된 제1회전각도로 구현하고, 회전속도는 제3회전속도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각도 및 상기 제3회전속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속도는 전술한 제1회전속도 및 제2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의류의 풀림 현상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제3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 및 제2회전속도보다 더 높게 설정된 포풀림과정(P144)의 RPM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이 클수록 상기 제3회전속도 및 상기 제1회전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진동측정부(70)에 의해 측정되는 진동값(V)이 클수록, 의류의 풀림 현상이 더 크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제3회전속도와 제1회전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V1)보다 더 높은 추가진동값(V2)을 초과하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상기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상기 포풀림과정(P144)과 상이하게 설정되는 포배치과정(P142)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측정된 진동값(V)이 추가진동값(V2)을 초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포배치과정(P142)이 수행되는 드럼(30)의 RPM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진동값(V2)은 기준진동값(V1)보다 더 높은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추가진동값(V2)의 구체적인 결정은 이론적/실험적으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진동값(V2)은 탈수행정(P30)에서의 구동부(60)의 단락이 예상되는 언밸런스 정도에 해당할 수 있고, 기준진동값(V1)은 탈수행정(P30)에서 구동부(60)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 구동부(60)의 손상이나 과도한 전력 소비가 예상되는 언밸런스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이 포풀림과정(P144)과 포배치과정(P142)을 포함할 수 있다. 포배치과정(P142)은 포풀림과정(P144)과 상이한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로 드럼(30)이 회전될 수 있다.
포풀림과정(P144)과 포배치과정(P142)의 수행횟수 및 수행순서를 다양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상기 포배치과정(P142) 수행한 이후 상기 포풀림과정(P144)을 수행할 수 있다.
포풀림과정(P144)은 상대적으로 국부적으로 뭉친 상태의 의류를 풀어내는 과정일 수 있고, 포배치과정(P142)은 상대적으로 의류 전체를 균일하게 재배치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배치과정(P142)을 통해 의류를 전체로서 풀어내어 재배치를 유도하고, 포풀림과정(P144)을 통해 일부 의류의 풀림을 추가적으로 풀어냄으로써,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를 다각적이고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포배치과정(P142)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가 상기 제3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4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가 상기 제1회전각도보다 큰 제2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배치과정(P142)은 일정량 이상의 의류가 드럼(30) 내부의 일측에 뭉쳐있는 상황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포풀림과정(P144)보다 큰 제2회전각도로 드럼(30)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포배치과정(P142)은 포풀림과정(P144)에 대해 의류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므로, 의류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포풀림과정(P144)의 제3회전속도보다 낮은 제4회전속도로 드럼(3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포배치과정(P142)은 포풀림과정(P144) 대비 낮은 속도에서 큰 회전변위로 드럼(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30) 내부의 의류가 전반적으로 드럼(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분포도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배치과정(P142)이 제외하고 포풀림과정(P144)을 포함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의 RPM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상기 진동측정부(7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고 상기 추가진동값(V2) 이하이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상기 포배치과정(P142)을 생략하고 상기 포풀림과정(P144)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값(V)의 크기에 따라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이 조정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은 진동값(V)의 크기에 따라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는 물론, 수행되는 내용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값(V)이 추가진동값(V2)을 초과하면 포배치과정(P142) 및 포풀림과정(P144)을 포함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은 초과하였으나 추가진동값(V2) 이하인 경우,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포배치과정(P142)은 생략하고 포풀림과정(P144)만을 수행할 수 있다.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한 경우 언밸런스 감소를 위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추가진동값(V2)을 넘지 않는 진동값(V)은 포의 재배치까지 고려될 필요가 없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포배치과정(P142)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에는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에서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고 추가진동값(V2) 이하에 해당하는 진동값(V)이 측정되고, 이에 따라 포배치과정(P142)이 생략되고 포풀림과정(P144)만이 수행되는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의 RPM이 나타나 있다.
다만,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포배치과정(P142)의 생략 및 포풀림과정(P144)을 수행한다는 것이 다른 추가적인 개선과정을 배제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고 추가진동값(V2) 이하인 경우라도,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이 포배치과정(P142) 및 포풀림과정(P144) 외에 추가적으로 의류의 언밸런스를 해소하기 위한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에서 제어부(100)는 포배치과정(P142)을 대신하여 포풀림과정(P144)을 복수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포배치과정(P142)을 대신하여 포풀림과정(P144)이 2회 반복되는 RPM이 나타나 있으며, 다만 포풀림과정(P144)의 수행횟수는 2회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수행정(P30) 전 상기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P10)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세탁행정(P10) 후 상기 탈수행정(P30) 전 세제 및 오염물을 의류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터브(20)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행정(P2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세탁행정(P10)과 상기 헹굼행정(P20) 사이 및 상기 헹굼헹정과 상기 탈수행정(P3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측정준비과정(P120)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은 탈수행정(P30) 직전뿐만 아니라 헹굼행정(P20) 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언밸런스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에 해당하여 세탁효율 및 구동부(60)의 운용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는 경우라면, 탈수행정(P30) 외에 다양한 행정에 앞서 상기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측정준비과정(P120) 수행 전 상기 터브(20)의 수위가 언밸런스 측정을 위한 측정수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배수부(50)를 제어하는 수위준비과정(P110)을 수행할 수 있다.
에컨대, 헹굼행정(P20) 이후 탈수행정(P30) 전에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이 수행되는 경우, 헹굼행정(P20)에 의해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 전 터브(20)는 의류의 헹굼을 위한 물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헹굼행정(P20)에서 터브(2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는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위해 요구되는 수위보다 높을 수 있다. 즉, 헹굼행정(P20)에 따라 터브(2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위해 요구되는 물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의 언밸런스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대응과정에서 측정준비과정(P120) 전에 배수부(50)를 제어하여 터브(20)의 수위를 측정수위에 맞추는 수위준비과정(P11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헹굼행정(P20) 이후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하기 위해 터브(20) 내부의 물은 모두 배수하고 다시 급수하지 않더라도 언밸런스 측정 및 언밸런스 해소를 위해 요구되는 측정수위만큼 터브(20)의 물의 양을 조절하여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수위준비과정(P110)에서 상기 드럼(30)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또는 함습율이 클수록 상기 측정수위를 높게 보정할 수 있다.
의류의 포량이나 함습율이 큰 경우, 해당 의류의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위해 요구되는 측정수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포량 판단과정이나 함습율 판단과정을 통해 의류의 포량 및 함습율을 파악하고, 상기 포량 및 함습율에 따라 측정수위를 적절히 보정하여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관련하여 기 설명된 내용의 중복적인 언급은 가급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포량 판단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량 판단단계(S1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30)의 회전에 따른 구동부(60)의 전류값 또는 전?陋? 특성을 분석하거나 하중센서 등을 이용하여 의류의 양 또는 하중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함습율 판단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습율 판단단계(S20)에서 제어부(100)는 드럼(30)의 회전에 따른 수위 변화에 기초하여 의류의 함습율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수위준비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준비단계(S100)에서 제어부(100)는 수위준비과정(P110)을 수행할 수 있다. 수위준비과정(P110)에서 제어부(100)는 터브(20) 내부의 수위가 언밸런스 대응행정(P100)을 위해 요구되는 측정수위에 부합하도록 급수부(40) 및 배수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측정준비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측정준비단계(S200)에서 측정준비과정(P12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구동부(60)를 제어하여 드럼(30)의 최대 회전속도를 제1회전속도로 조절하며 연속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언밸런스 측정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단계(S300)에서 언밸런스 측정과정(P13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낮은 제2회전속도로 드럼(30)을 연속 회전시키며 진동값(V)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기준진동값 판단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진동값 판단단계(S400)에서,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측정단계(S300)에서 측정된 진동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진동값(V1)을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기준진동값 판단단계(S400)에서 진동값(V)이 기준진동값(V1)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진동값(V)이 상기 기준진동값(V1)보다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추가진동값(V2)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 이후 언밸런스 개선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언밸런스 개선단계(S500)에서 언밸런스 개선과정(P140)을 수행할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단계(S500)는 포풀림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에서 진동값(V)이 추가진동값(V2) 이하인 경우 포풀림단계(S5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풀림단계(S520)에서 포풀림과정(P144)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풀림과정(P144)에서 드럼(30)을 제3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각도를 제1회전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방향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언밸런스 개선단계(S500)는 포배치단계(S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추가진동값 판단단계(S450)에서 진동값(V)이 추가진동값(V2)을 초과하는 경우 포배치단계(S51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배치단계(S510)에서 포배치과정(P142)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배치과정(P142)에서 드럼(30)을 제3회전속도보다 낮은 제4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각도를 제1회전각도보다 큰 제2회전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방향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배치단계(S510) 이후 포풀림단계(S5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포풀림단계(S520) 이후 수위준비단계(S100) 또는 측정준비단계(S20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2 : 의류개구 14 : 의류도어
16 : 컨트롤부 18 : 세제공급부
20 : 터브 25 : 터브개구
30 : 드럼 35 : 드럼개구
40 : 급수부 50 : 배수부
60 : 구동부 70 : 진동측정부
80 : 수위측정부 100 : 제어부
P10 : 세탁행정 P20 : 헹굼행정
P30 : 탈수행정 P100 : 언밸런스 대응행정
P110 : 수위준비과정 P120 : 측정준비과정
P130 : 언밸런스 측정과정 P140 : 언밸런스 개선과정
P142 : 포배치과정 P144 : 포풀림과정
S10 : 포량 판단단계 S20 : 함습율 판단단계
S100 : 수위준비단계 S200 : 측정준비단계
S300 : 언밸런스 측정단계 S400 : 기준진동값 판단단계
S450 : 추가진동값 판단단계 S500 : 언밸런스 개선단계
S510 : 포배치단계 S520 : 포풀림단계
12 : 의류개구 14 : 의류도어
16 : 컨트롤부 18 : 세제공급부
20 : 터브 25 : 터브개구
30 : 드럼 35 : 드럼개구
40 : 급수부 50 : 배수부
60 : 구동부 70 : 진동측정부
80 : 수위측정부 100 : 제어부
P10 : 세탁행정 P20 : 헹굼행정
P30 : 탈수행정 P100 : 언밸런스 대응행정
P110 : 수위준비과정 P120 : 측정준비과정
P130 : 언밸런스 측정과정 P140 : 언밸런스 개선과정
P142 : 포배치과정 P144 : 포풀림과정
S10 : 포량 판단단계 S20 : 함습율 판단단계
S100 : 수위준비단계 S200 : 측정준비단계
S300 : 언밸런스 측정단계 S400 : 기준진동값 판단단계
S450 : 추가진동값 판단단계 S500 : 언밸런스 개선단계
S510 : 포배치단계 S520 : 포풀림단계
Claims (17)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시키며 의류의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의류의 언밸런스를 측정하는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 수행 전,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는 측정준비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준비과정 이후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2회전속도에 해당하고, 상기 일방향 및 타방향 중 어느 하나로 연속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드럼 또는 터브에 장착되어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기준진동값 이하이면,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의 물을 모두 배수하고 상기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을 낮게 보정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진동값을 낮게 보정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의 함습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습율 판단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습율 판단과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일방향 또는 상기 타방향으로 연속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위측정부의 측정값을 통해 의류의 함습율을 파악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의류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언밸런스 개선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을 수행한 이후 상기 측정준비과정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제3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는 제1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포풀림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클수록 상기 제3회전속도 및 상기 제1회전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되도록 보정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보다 더 높은 추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가 상기 포풀림과정과 상이하게 설정되는 포배치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배치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속도가 상기 제3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제4회전속도에 해당하고, 회전각도가 상기 제1회전각도보다 큰 제2회전각도에 해당하며, 회전방향이 상기 일방향 및 상기 타방향으로 교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진동값을 초과하고 상기 추가진동값 이하이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포배치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포풀림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에서 상기 진동측정부의 측정값이 상기 추가진동값을 초과하면, 상기 언밸런스 개선과정에서 상기 포배치과정 수행한 이후 상기 포풀림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행정 전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세탁행정 후 상기 탈수행정 전 세제 및 오염물을 의류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행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행정과 상기 헹굼행정 사이 및 상기 헹굼헹정과 상기 탈수행정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측정준비과정 및 상기 언밸런스 측정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터브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준비과정 수행 전 상기 터브의 수위가 언밸런스 측정을 위한 측정수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는 수위준비과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준비과정에서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또는 함습율이 클수록 상기 측정수위를 높게 보정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8303A KR102716906B1 (ko) | 2022-03-28 | 의류처리장치 | |
PCT/KR2023/004078 WO2023191437A1 (ko) | 2022-03-28 | 2023-03-28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8303A KR102716906B1 (ko) | 2022-03-28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9674A true KR20230139674A (ko) | 2023-10-05 |
KR102716906B1 KR102716906B1 (ko) | 2024-10-16 |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91437A1 (ko) | 2023-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38251B1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40065B1 (ko) | 드럼식 세탁기 | |
JP4257312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4580813B2 (ja) | ドラム式洗濯機における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方法及びアンバランス位置検知可能なドラム式脱水機 | |
KR101332283B1 (ko) | 세탁기 및 그 포 풀림 제어방법 | |
US11098431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operation of washing apparatus | |
EP1776498A2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080025980A (ko) | 세탁기의 진동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20160116880A (ko) |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47709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491974B1 (ko) |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3013967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716906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952699B2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00110886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080081756A (ko) |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 |
KR20170010031A (ko) |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2170685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20200009831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040006152A (ko) | 워블링 세탁기의 제어방법 | |
JP7042078B2 (ja) | 洗濯機 | |
JP6921770B2 (ja) | 洗濯機 | |
KR20230032344A (ko)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00004076A (ko) |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
KR20230115581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