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17A -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17A
KR20230139617A KR1020220038171A KR20220038171A KR20230139617A KR 20230139617 A KR20230139617 A KR 20230139617A KR 1020220038171 A KR1020220038171 A KR 1020220038171A KR 20220038171 A KR20220038171 A KR 20220038171A KR 20230139617 A KR20230139617 A KR 2023013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soldier
feed
larvae
feed composition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17A/ko
Publication of KR2023013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4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또는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로 사육된 동애등에와 이의 분변토를 함유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가축/어패류/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복잡한 사료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고, 그 처리에 대량의 비용이 소요되는 양액 배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해양생태계에서 무분별하게 증가하고 있는 불가사리를 소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이점이 존재한다.

Description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Feed composition comprising bed waste for hydroponic culture of Ptecticus tenebrifer larva, or, livestock, fish, shellfish and pet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insect bred thereby}
본 발명은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에는 양액 배지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코코넛 와이어, 팽연 왕겨 등이 음식물 쓰레기(습식 상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곤충 및 이의 분변토를 더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애등에는 절지동물 곤충강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검은색이고, 몸길이는 13 내지 20 mm이며, 더러운 물이나 거름더미 따위에서 산다. 서식지는 미국, 인도, 호주, 베트남, 한국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애등에는 유기성 폐기물인 동물 사체, 가축의 분, 식물 잔재물,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하여 서식하며, 특히 동애등에를 사육하는 경우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 동애등에와 같은 파리의 유충은 아르기닌, 메티오닌, 라이신 등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의 좋은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아미노산 함량은 일반적으로 대두박보다 높고 어분과 같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파리 유충은 가축 사료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특히, 알려진 바에 따르면 동애등에의 경우 가축이 필요로 하는 주영양소인 단백질 약 40%, 지방 약 20%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쇄 지방산인 라우르 산 (Lauric acid)과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 (Oleic acid) 및 리놀레산 (Linoleic acid) 등 가축 사육에 유용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동애등에를 사육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료는 음식물 쓰레기이며 이와 같은 폐자원의 재사용에 동애등에의 사료 제조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다른 부산물, 식물성 폐기물을 동애등에의 사료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제주도와 같은 해변가에 식용이 어려운 괭생이모자반이 대량 증식하여 해변가에 부패취를 내거나 이를 처리하는 별도의 비용이 들어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3981호에서와 같이 괭생이모자반을 동애등에의 사료로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해 해안가 폐기물의 수거 비용과 동애등에의 사육비용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는 방법 등이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애등에 사료에 코코넛 코이어, 팽연 왕겨 등으로 구성된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시켜 폐자원의 재사용율을 높이고, 해양생태계에서 무분별하게 증가하고 있는 불가사리를 첨가하여, 사료의 섭취량과 유충의 증체량을 늘림으로서, 단백질 함량이 우수한 동애등에의 유충의 공급 가능하며, 상기 유충이 가축, 반려동물 등의 사료로 이용되기에 적절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837호 (발명의 명칭 :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출원인 :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등록일 : 2013년08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816호 (발명의 명칭 : 감귤박 또는 감귤피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로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출원인 : 김종주, 등록일 : 2019년01월0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104836호 (발명의 명칭 : 해조류(海藻類)를 이용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출원인 :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공개일 : 2001년11월2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7455호 (발명의 명칭 :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출원인 : 김종주, 공개일 : 2018년03월1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9518호 (발명의 명칭 :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출원인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등록일 : 2017년07월1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105호 (발명의 명칭 :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 출원인 : 주식회사 누리 외 1인, 등록일 : 2013년12월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791호 (발명의 명칭 : 육식성 내수면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출원인 : 공영경, 등록일 : 2015년10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882호 (발명의 명칭 : 도축 폐혈액을 사료 또는 비료로 활용할 있는 혈분제품 제조방법, 출원인 : 이창호, 등록일 : 2016년09월3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201호 (발명의 명칭 :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출원인 :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등록일 : 2018년03월0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838201호 (발명의 명칭 : 파리 애벌레의 대량 사육방법, 출원인 : 강장석, 공개일 : 2019년03월1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0296호 (발명의 명칭 : 가축혈액을 이용한 철분강화 농축산물 비료와 무항생제 사료의 개발방법, 출원인 : 이창호, 공개일 : 2008년05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118호 (발명의 명칭 : 사료용 향료 조성물, 출원인 : 김건희, 등록일 : 2014년07월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3981호 (발명의 명칭 : 구멍갈파래 또는 괭생이모자반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출원인 :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등록일 : 2021년07월2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에는 양액 배지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코코넛 와이어, 팽연 왕겨 등이 음식물 쓰레기(습식 상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곤충 및 이의 분변토를 더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에는 양액 배지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코코넛 와이어, 팽연 왕겨 등이 음식물 쓰레기(습식 상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곤충 및 이의 분변토를 더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포함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음식물 쓰레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양액 배지 폐기물 50~300 중량부, 도축 폐혈 10~160 중량부, 불가사리 40~90 중량부, 대두박 20~120 중량부 및 옥수수껍질 30~6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는 별불가사리 또는 아무르불가사리일 수 있다.
상기 양액 배지 폐기물은 코코넛 와이어 및 팽연 왕겨에서 선택되는 1종의 양액 배지에 양액비료를 넣어 식물을 수경재배 한 후 폐기되는 배지 부산물일 수 있다.
상기 도축 폐혈은 오리, 닭, 말, 돼지 또는 소를 도축한 후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동애등에 유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상기 동애등에 유충의 분변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먹고 자란 동애등에 유충, 이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먹고 자란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한 분변토가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원료가 된다.
상기 가축은 반추동물을 제외한 닭, 돼지, 오리 및 어패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어패류는 바지락, 전복, 다시마 홍합 및 넙치, 돔, 숭어, 새우 등의 모든 어패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며, 반려동물은 초식 동물을 제외한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총 중량을 100 중량%로 할 때, 동애등에 유충 5 내지 10 중량% 및 상기 동애등에 유충의 분변토 9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되도록 사료에 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또는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로 사육된 동애등에와 이의 분변토를 함유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가축/어패류/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복잡한 사료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고, 그 처리에 대량의 비용이 소요되는 양액 배지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해양생태계에서 무분별하게 증가하고 있는 불가사리를 소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이점이 존재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는 동애등에의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키며, 기존보다 조단백 함량이 높은 유충의 사육이 가능하여 고급 단백질 사료나 특등급의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양적으로 매우 뛰어난 품질을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동애등에 유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품질 또한 우수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동물성 단백질인 어분보다 고단백질을 생산하여 어분대체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상기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동애등에와 이의 분변토가 함유되기 때문에, 일반곡류만을 사용하던 기존 가축사료와 달리 동물성 고급 단백질을 함유할 수 있고, 가축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료"란 개체의 생명을 유지하고 상기 개체를 사육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는 사료를 섭취하는 개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비타민, 광물질 등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개체는 사육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생명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되며, 본 발명의 목적상 특히 곤충 및 가축, 어패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축이란 임의의 사육 동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닭, 돼지, 오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어패류는 바람직하게는 바지락, 전복, 홍합, 넙치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반려동물은 개, 고양이, 토끼 및 햄스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의 원료들은 건조된 상태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건조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동애등에의 형태는 알, 유충, 번데기 또는 성충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충 또는 번데기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애등에 유충은 어떤 시기이든지 살아있는 상태, 가열 또는 건조된 상태로도 공급가능하며, 가열 또는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는,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포함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음식물 쓰레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양액 배지 폐기물 50~300 중량부, 도축 폐혈 10~160 중량부, 불가사리 40~90 중량부, 대두박 20~120 중량부 및 옥수수껍질 30~6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축 폐혈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오리의 도축 폐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축 폐혈은 도축장에서 수거된 후 1일 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 식당, 식품 가공 공장 등에서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별도의 건조없이 수분함량이 80~90중량%인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은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종래 공지된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된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에 첨가되는 각종 부형제들도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축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동애등에 유충은 비건조상태, 건조상태 또는 이의 분쇄물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축 사료용 조성물은,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동애등에 유충이 5 내지 10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면서, 비용적으로 가장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용 조성물은 닭, 소, 돼지, 오리 및 어패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을 사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의 다른 하나의 실시양태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동애등에 유충, 및, 이렇게 사육된 동애등에 유충의 분변토를 더 포함하는 형태이다.
상기 분변토는 단백질이 풍부하며 염분이 과다하지 않고, 이물질의 함량도 매우 적으므로, 별도의 후속공정의 필요없이 그대로 가축 사료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사육한 동애등에 유충 및 이렇게 사육된 동애등에 유충의 분변토를 이용하여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용 사료를 제조할 경우, 동애등에 유충 및 이의 분변토의 이용이 모두 가능하기에 사료 제조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영양성분적으로도 우수한 가축용 사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축 사료용 조성물은 동애등에 유충 5 내지 10 중량%, 상기 동애등에 유충의 분변토 90 내지 95 중량%가 함유되도록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동애등에 유충 및 이의 분변토는 일반적으로 동애등에 유충 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 어분의 대체효과가 있어, 비용적으로 경제적이다.
특히, 상기 동애등에 유충으로서 동애등에를 이용할 경우,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에는 칼슘, 인 등의 영양성분이 높은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애등에 또는 분변토가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수분함량은 10~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3~1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중량%인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 동애등에 유충 사료의 제조
수경재배를 하는 농장에서 코코넛 와이어로 제조된 양액 배지 폐기물을 얻었다. 상기 양액 배지 폐기물은 수경제배를 위해 공급된 양액을 잘 제거한 상태에서 별도로 건조나 가공 등을 하지 않고 동애등에 유충이 먹기에 좋도록 10~20cm 길이로 절단만 한 상태에서 그대로 다음의 원료들과 혼합하였다.
동애등에용 전용 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100g 기준으로, 양액 배지 폐기물 50~300g, 오리 도축 폐혈 10~160g, 불가사리 40~90g, 대두박 20~120g 및 옥수수껍질 30~60g을 조합하여 하기 표 1의 혼합비대로 골고루 혼합하여 이를 동애등에용 사료로 제조하였다.
조건 음식물
쓰레기
(g)
양액배지
폐기물
(g)
오리
도축 폐혈
(g)
불가사리 (g) 대두박
(g)
옥수수껍질 (g) 총계
(g)
실시예 1-1 100 150 60 50 120 30 510
실시예 1-2 100 300 10 40 20 40 510
실시예 1-3 100 50 160 90 60 50 510
실시예 1-4 100 150 90 60 50 60 510
비교예 1 및 대조군 : 동애등에 유충 사료의 제조
동애등에용 사료로서 하기 표 2와 같은 혼합비대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음식물
쓰레기
(g)
양액배지
폐기물
(g)
오리
도축 폐혈
(g)
불가사리 (g) 대두박
(g)
옥수수껍질 (g) 총계
(g)
비교예 1-1 100 0 100 150 50 110 510
비교예 1-2 100 200 0 200 10 0 510
비교예 1-3 0 200 200 0 100 10 510
비교예 1-4 100 20 190 100 20 80 510
대조군 510 0 0 0 0 0 510
실시예 2 및 비교예 2: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의 사료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의 사료를 섭취한 동애등에 유충과 상기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한 분변토를 1: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100g 단위로 제조하였다. 동애등에 유충은 30분간 증자한 후 수분함량 15 중량%인 상태로 건조하였고 이들이 살아있을 때 배출한 분변토도 수분함량 15 중량%인 상태로 준비하였다.
조건 사료 조성물
실시예 2-1 실시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실시예 2-2 실시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실시예 2-3 실시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실시예 2-4 실시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비교예 2-1 비교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비교예 2-2 비교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비교예 2-3 비교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비교예 2-4 비교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비교예 2-5 시판 육계후기사료
비교예 2-6 시판 산란계사료
비교예 2-7 시판 육성돈사료
비교예 2-8 시판 오리사료
일반 유충 이용 사육군 대조군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및 이의 분변토 혼합물
실험예 1: 동애등에 유충 사료의 섭식율 비교
본 발명의 사료를 동애등에 유충에 급여하였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사료를 4일째의 중령기 초기의 동애등에 유충 100,000마리에 6일간, 하루에 3번, 사료 10kg(1회)씩을 급여한 뒤 최종 6일 째에 사료에서 실험군당 사료 섭취가 얼마나 증가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전후의 사료의 공급량은 회당 10kg이었다. 섭취 증가율을 추가 공급되는 3kg을 총 100%로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중령기 유충이 노숙기 유충으로 더 빠르게 진입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동애등에 유충은 부화 후 3일까지를 초기 유충, 3~10일을 중령기 유충, 11일을 전후로 노숙기 유충에 들어가며, 15일 이상이 지나가면 번데기가 된다.
이 실험을 마친 유충은 1~5일간 더 사료를 급여하여 번데기가 직전에 도달하게 되면 선별하여 가축용 사료로 사용하였다.
조건 사료 섭취량 증가율 (%) 노숙기로 진입한 유충 (%)
실시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52.2 30.9
실시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44.8 22.1
실시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52.1 32.0
실시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44.0 21.2
비교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22.2 13.0
비교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25.0 14.1
비교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25.9 12.0
비교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21.2 11.5
대조군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12.4 6.2
표 4의 결과를 확인하면, 실시예 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유충이 같은 시기 동안 음식물 쓰레기로 사육된 동애등에 유충이나, 같은 성분이 포함되더라도 실시예 사료 조성물과 같은 함량으로 포함되지 않은 사료로 키운 군에 비해 사료 섭취율이 증가되고,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사료를 섭취한 군에 비해 동에등애의 월령 차이가 더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3에는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월령이 변화하면서 사료 섭취율과 비례하여 체중의 증가도 나타나, 동물용 고단백군 사료로 이용하기에 적절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유충 폐사율 확인
곤충 유충의 폐사를 일으키는 백강균(Beauveria bassiana) 배양액을 실시에 1의 실험을 완료한 유충에 분무한 후 각 유충이 노숙화 되면서 번데기화 하는 과정에서 폐사율을 확인하였다.
백강균 투여 그룹 대조군 대비 유충 폐사율 (%)
실시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39
실시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35
실시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45
실시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43
비교예 1-1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59
비교예 1-2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56
비교예 1-3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67
비교예 1-4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72
대조군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 89
그 결과 실시예 1의 사료를 급여했던 유충군이 노숙유충 상태나 번데기 상태에서 백강균의 감염으로 인한 경화증 발병률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의 사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이 각 유충에 이입되어 유충의 생존율을 증가시킨 결과라 파악된다.
실험예 4: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용 사료 사양시험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사료를 육계와 산란계, 오리는 2주간, 육성돈은 1개월간 각 동물 군에게 자율 급여하고, 각 일반 가축용 사료와의 증체율을 100%로 기준하여 그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2의 사료 중, 시판 사료는 해당 가축이 아닌 다른 가축에게 급여될 경우 영양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다른 가축군에는 투여하지 않고, 아래의 표 5에는 '-'로 나타내었다.
가축용 사료의 종류 육계의 증체율(%) 산란계의 증체율(%) 육성돈의 증체율(%) 오리의 증체율(%)
실시예 2-1 122.0 122.0 125.5 121.2
실시예 2-2 124.1 124.1 122.2 124.6
실시예 2-3 124.1 122.2 125.0 122.2
실시예 2-4 122.8 122.1 125.1 125.1
비교예 2-1 118.2 104.2 106.9 111.6
비교예 2-2 113.1 101.3 104.2 104.0
비교예 2-3 113.4 101.0 101.2 114.1
비교예 2-4 103.5 109.3 104.1 115.2
비교예 2-5 100.0 - - -
비교예 2-6 - 100.0 - -
비교예 2-7 - - 100.0 -
비교예 2-8 - - - 100.0
일반 유충 이용 사육군 100.1 101.1 102.1 102.2
그 결과 표 6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로 사육한 동애등에를 섭취한 가축의 증체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다양한 가축에서의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다른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배지 폐기물은 코코넛 와이어 및 팽연 왕겨에서 선택되는 1종의 양액 배지에 양액비료를 넣어 식물을 수경재배 한 후 폐기되는 배지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도축 폐혈은 오리, 닭, 말, 돼지, 소를 도축한 후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축 폐혈은 도축장에서 수거된 후 1일 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건조없이 수분함량이 80~90중량%인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6. 음식물 쓰레기, 양액 배지 폐기물, 도축 폐혈, 불가사리, 대두박 및 옥수수껍질을 혼합하여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 배지 폐기물은 코코넛 와이어 및 팽연 왕겨에서 선택되는 1종의 양액 배지에 양액비료를 넣어 식물을 수경재배 한 후 폐기되는 배지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도축 폐혈은 오리, 닭, 말, 돼지, 소를 도축한 후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축 폐혈은 도축장에서 수거된 후 1일 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건조없이 수분함량이 80~90중량%인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0038171A 2022-03-28 2022-03-28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20230139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71A KR20230139617A (ko) 2022-03-28 2022-03-28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71A KR20230139617A (ko) 2022-03-28 2022-03-28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17A true KR20230139617A (ko) 2023-10-05

Family

ID=8829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171A KR20230139617A (ko) 2022-03-28 2022-03-28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17A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36A (ko) 2000-05-16 2001-11-28 이원익 해조류를 이용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20080040296A (ko) 2006-11-03 2008-05-08 이창호 가축혈액을 이용한 철분 강화 농축산물 생산용 비료 와 무항생제 사료의 개발방법.
KR101296837B1 (ko) 2011-02-01 2013-08-14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1339105B1 (ko) 2013-05-16 2013-12-09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
KR101419118B1 (ko) 2012-07-11 2014-07-11 김건희 사료용 향료 조성물
KR101560791B1 (ko) 2012-10-29 2015-10-15 공영경 육식성 내수면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882B1 (ko) 2015-01-27 2016-10-07 이창호 도축 폐혈액을 사료 또는 비료로 활용할 있는 혈분제품 제조방법
KR101759518B1 (ko) 2016-07-11 2017-07-19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KR20180027455A (ko) 2018-02-23 2018-03-14 김종주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1936816B1 (ko) 2017-09-29 2019-01-09 김종주 감귤박 또는 감귤피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로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KR102283981B1 (ko) 2019-05-17 2021-08-02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구멍갈파래 또는 괭생이모자반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36A (ko) 2000-05-16 2001-11-28 이원익 해조류를 이용하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20080040296A (ko) 2006-11-03 2008-05-08 이창호 가축혈액을 이용한 철분 강화 농축산물 생산용 비료 와 무항생제 사료의 개발방법.
KR101296837B1 (ko) 2011-02-01 2013-08-14 경남낙농 영농조합법인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1419118B1 (ko) 2012-07-11 2014-07-11 김건희 사료용 향료 조성물
KR101560791B1 (ko) 2012-10-29 2015-10-15 공영경 육식성 내수면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105B1 (ko) 2013-05-16 2013-12-09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
KR101663882B1 (ko) 2015-01-27 2016-10-07 이창호 도축 폐혈액을 사료 또는 비료로 활용할 있는 혈분제품 제조방법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1759518B1 (ko) 2016-07-11 2017-07-19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KR101936816B1 (ko) 2017-09-29 2019-01-09 김종주 감귤박 또는 감귤피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로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KR20180027455A (ko) 2018-02-23 2018-03-14 김종주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83981B1 (ko) 2019-05-17 2021-08-02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구멍갈파래 또는 괭생이모자반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816B1 (ko) 감귤박 또는 감귤피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로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Makkar et al. State-of-the-art on use of insects as animal feed
Adewumi et al. Livestock waste-menace: Fish wealth-solution
KR102283981B1 (ko) 구멍갈파래 또는 괭생이모자반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20110054692A (ko) 갈색거저리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20160135937A (ko) 거저리과 곤충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면역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JP5145493B2 (ja) イエバエの蛹を含む栄養物質の製造方法
CN105660465A (zh) 一种龙虾的人工育苗方法
JP2005151928A (ja) 飼料用添加剤
Olufeagba et al. Growth performance of all ma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ed commercial and on–farm compounded diet
KR102398960B1 (ko) 천연항생제를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Sverguzova et al. Use of fly larvae Hermetia illucens in poultry feeding: a review paper
KR102296970B1 (ko)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JP2003219761A (ja) 鱗翅目ヤガ科昆虫の幼虫を使用した植物性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産物を使用した飼料
US20190090509A1 (en) Nutrition supplement for animal and use thereof
RU2425586C1 (ru) Кормовая смес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перепелиных птенцов
Weber et al. Producing sufficient animal-source protein for the growing world population
CN106578356B (zh) 一种动物营养强化剂及其应用
KR20230139617A (ko) 양액 배지 폐기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Iram et al. Use of Duckweed growing on sewage water as poultry feed
KR20210090388A (ko) 동애등에 유충박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의 사료용 조성물
KR102335417B1 (ko) 감귤박 사일리지를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Ogunbona et al. The response of Tilapia niloticus fed on different feeds composition
Malla et al. Prospects of insects as alternative protein source: broiler chicken and growing pigs
KR102575766B1 (ko) 락토코커스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사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