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453A -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 Google Patents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453A
KR20230135453A KR1020220032967A KR20220032967A KR20230135453A KR 20230135453 A KR20230135453 A KR 20230135453A KR 1020220032967 A KR1020220032967 A KR 1020220032967A KR 20220032967 A KR20220032967 A KR 20220032967A KR 20230135453 A KR20230135453 A KR 2023013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towel
groove
moving
tow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102022003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453A/ko
Publication of KR2023013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8Printing on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convection means, e.g. by using a fan for blowing or suck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Abstract

본 발명은 타월 표면에 신속한 날염인쇄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의 용이성을 구현하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인쇄액을 이용하여 날염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월의 표면에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수단을 날염인쇄시키는 날염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염인쇄장치는 날염인쇄하고자 하는 타월을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이송시키되 타월의 인쇄와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월 표면에 인쇄액을 분사하여 날염인쇄시키는 인쇄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 내측에 설치되되 인쇄된 타월의 표면에 소정의 온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여 인쇄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부재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조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3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Printing apparatus for towels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월 표면에 신속한 날염인쇄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의 용이성을 구현하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인쇄액을 이용하여 날염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날염인쇄(捺染印刷)는 섬유류에 그림이나 무늬를 인쇄하는 무늬 염색 기법의 일종으로 이러한 날염인쇄는 특히, 돌잔치나 신장개업 등의 축하장소에서 타월(TOWEL) 등의 표면에 축하문구를 인쇄하여 기념품으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날염인쇄의 방식으로는 이미 만들어진 타월의 표면에 축하문구 등이 천공 형성된 트레이를 올려놓고 인쇄액이 뭍은 롤러를 해당 트레이 표면에 롤링하면 그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만 인쇄액이 타월에 뭍게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여, 적은 제작비용으로도 인쇄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작업자가 일일이 타월을 한장씩 넘겨가면서 롤링작업을 실행해야 하기에 대량생산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날염인쇄의 특성상 한가지 색상의 인쇄액을 사용하여 제작해야 하며, 다수의 색상으로 인쇄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트레이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교체 과정에서 인쇄된 부분의 배열이 틀어지거나 교체에 필요한 불필요한 공정시간의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1993-13022호(공개일:1993.07.21.) 국내등록특허 제10-0752097호(공고일:2007.08.20.) 국내등록특허 제10-0904305호(공고일:2009.06.16.) 국내등록실용 제20-2017-1111호(2017.03.24.)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월에 날염인쇄을 실행시에 공정시간을 신속하게 단축시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인쇄액을 이용하여 날염인쇄를 실행하여도 배열의 흔들림이 없이 신속한 인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는 타월(T)의 표면에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수단(G)을 날염인쇄시키는 날염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염인쇄장치는 날염인쇄하고자 하는 타월(T)을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이송시키되 타월(T)의 인쇄와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재(100)와, 상기 본체부재(100)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월(T) 표면에 인쇄액을 분사하여 날염인쇄시키는 인쇄부재(200) 및 상기 본체부재(100) 내측에 설치되되 인쇄된 타월(T)의 표면에 소정의 온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여 인쇄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부재(200)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조부재(300)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3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100)는 개폐 가능한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타월(T)의 이송방향으로 제1홈부(111)와 제2홈부(1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이송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타월(T)이 이송되는 이송바(120) 및 상부가 상기 이송바(1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타월(T)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지트레이(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홈부(111)에는 상기 인쇄부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제2홈부(113)에는 상기 건조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120)는 상기 파지트레이(130)가 이송수단에 의해 순환구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부재(200)는 상기 제1홈부(111)에 삽입된 타월(T)의 일측 또는 양측과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표시수단(G)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부(211)가 천공 형성된 인쇄기판(210)과,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천공부(211) 방향으로 인쇄액을 분사하여 타월(T) 외면에 날염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노즐(220) 및 상기 인쇄노즐(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250)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수단(250)은 실린더(251) 또는 회전모터(2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제1이동부재(230) 또는 제2이동부재(24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부재(2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길이방향으로 실린더(251)에 의해 상기 인쇄노즐(220)이 이동하는 제1이동공(233)이 형성된 제1이동판(2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재(240)는 회전모터(25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245),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회전판(245)에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되 각각 길이방향으로 실린더에 의해 상기 인쇄노즐(220)이 이동하는 제2이동공(243)이 형성된 제2이동판(241)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재(230)는 하나의 색상을 갖는 인쇄액이 상기 인쇄노즐(220)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2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다수의 상기 인쇄노즐(220)을 통해 개별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송중인 타월(T)의 표면에 표시수단(G)을 나타내는 날염인쇄가 신속하게 실행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G)의 건조도 신속하게 구현되어 날염인쇄를 이용한 타월(T)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한가지 색상으로만 적용되는 날염인쇄가 아닌, 다수의 색상으로 배열의 흐트러짐이 없이 표시수단(G)의 날염인쇄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대한 이송바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대한 파지트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대한 인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대한 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대한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통해 날염인쇄된 표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에 대한 장력유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이하, 간략하게 '인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1)는 크게 본체부재(100), 인쇄부재(200) 및 건조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한 각각의 구성은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재(100)는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인쇄부재(200)와 건조부재(300)가 타월(T)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해당 타월(T)이 이송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0), 이송바(120), 파지트레이(130) 및 흡입부재(140)를 포함한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그 내부에는 인쇄부재(200)와 건조부재(300)가 설치된다.
하우징(110) 외면에는 인쇄부재(200)나 건조부재(300) 등의 유지보수를 목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면에는 타월(T)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제1홈부(111)와 제2홈부(113)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홈부(111)와 제2홈부(113)의 깊이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이송중인 타월(T)의 하부 즉, 표시수단(G)을 인쇄하고자 하는 타월(T)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0) 상면과 서로 이어지는 제1홈부(111) 및 제2홈부(113) 각각의 상단에는 이송중인 타월(T)의 하부가 용이하게 상기 제1 및 제2홈부(11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1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바(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웃하게 배치되되 전체적인 형상은 그 하부에 이송가능하게 연결된 파지트레이(130)가 상기 이송바(120)의 형상을 따라 순환이 가능하게 링(Ring)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지트레이(130)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체인 및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된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바(120)의 길이를 따라 순환이 가능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지트레이(130)는 상부가 이송바(120)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부에는 타월(T) 상부가 파지되어 해당 타월(T)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파지된다.
이를 위해, 파지트레이(130) 하부는 흡사 외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다시 오므려지는 집게 구조를 갖도록 성형되어 타월(T)의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흡입부재(1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홈부(111)의 바닥면에 상기 제1홈부(111) 내부를 흡기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되 그 흡기를 통해 후에 설명하는 장력유지부재(260)가 용이하게 타월(T)의 외면을 양측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흡입부재(140)는 제1홈부(111) 바닥면에 다수의 흡기공이 천공형성되되 상기 흡기공과 서로 연통하는 흡입모터가 하우징(1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홈부(111) 내부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부재(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타월(T)의 외면에 인쇄액을 분사시켜 날염인쇄(捺染印刷)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인쇄기판(210), 인쇄노즐(220), 이동부재 및 장력유지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부재(200)는 제1홈부(111) 내부와 연통되게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예컨대 인쇄기판(210)은 스틸이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그 외면에는 천공부(211)가 천공 형성되어 인쇄액의 분사를 통해 타월(T) 외면에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을 갖는 표시수단이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인쇄기판(210)은 제1홈부(111) 내벽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홈부(111)에 삽입된 타월(T)의 일측이나 양측에 표시수단(G)이 인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하우징(110)과의 탈착을 통해 타월(T) 표면에 또 다른 표시수단(G)의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쇄노즐(220)은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인쇄액을 천공부(211) 방향으로 분사시켜 상기 천공부(211)를 관통하는 인쇄액만으로 타월(T) 표면에 표시수단(G)의 인쇄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쇄노즐(220)은 타월(T)에 인쇄하고자 하는 표시수단(G)의 크기나 면적에 따라 반복이동에 의해 인쇄가 구현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인쇄노즐(220)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재는 상술한 인쇄노즐(22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및 범위 등을 제어하거나 상기 인쇄노즐(220)을 통해 분사되는 인쇄액의 색상이 가변되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이동부재(230) 및 제2이동부재(2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1이동부재(230)는 하나의 인쇄노즐(220)을 이용하여 한 가지 색상의 인쇄액이 분사될 수 있는 실시예이며, 상기 제2이동부재(240)는 복수의 상기 인쇄노즐(22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는 실시예를 의미한다(도 7 참조).
먼저, 제1이동부재(2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동판(231) 및 제1이동공(233)을 포함한다.
제1이동판(231)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그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인쇄노즐(220)이 관통 삽입되는 제1이동공(233)이 청공 형성되어 동력수단(250)을 구성하는 실린더(251)에 의해 상기 인쇄노즐(220)이 오아복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이동부재(2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판(241), 제2이동공(243) 및 회전판(245)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판(241)과 상기 제2이동공(243)은 상술한 제1이동판(231) 및 제1이동공(233)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기에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전판(24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일면이 동력수단을 구성하는 회전모터(25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타면에는 방사상으로 제2이동공(24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이동판(241)이 설치되어 각각의 인쇄노즐(220)이 하나의 실린더(251)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실린더(251) 로드 끝단에는 반구의 형상을 갖는 끼움체(253)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체(25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인쇄노즐(220)이 제2이동공(243)을 따라 안내되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모터(255)의 회전을 통해 어느 하나의 인쇄노즐(220) 끝단이 인쇄기판(210)과 근접하게 배치되면 실린더(251)의 로드 길이가 늘어남과 동시에 해당 로드의 끝단에 구비된 끼움체(253) 내측으로 인쇄노즐(220) 외면이 끼움 결합하여 제2이동공(243)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인쇄노즐(220)이 상기 제2이동공(243) 끝단에 걸린 상태에서 로드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끼움체(253)는 상기 인쇄노즐(220) 외면에서 분리되어 다른 인쇄노즐(220)과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
이후, 다른 색상의 인쇄액을 공급받는 인쇄노즐(220)을 이동시키고자 하면 제어부는 회전모터(255)의 제어를 통해 회전판(245)을 회전시켜 선택된 다른 인쇄노즐(220)이 인쇄기판(210)과 근접할 수 있도록 배치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251)의 동작을 통해 타월(T) 외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으로 표시수단(G)의 인쇄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장력유지부재(26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월(T)의 외면에 표시수단(G)을 인쇄시에 해당 타월(T)이 제1홈부(111) 내부에서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장력실린더(261) 및 탄성체(263)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유지부재(260)는 타월(T)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탄성체(263)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되 장력실린더(261)를 통해 신장되는 로드의 끝단에 구비되며, 제1홈부(111) 내측으로 타월(T)이 인입되었음을 제어부에서 감지하면 한 쌍의 장력실린더(261)가 동작하여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한 쌍의 상기 탄성체(263)가 타월(T)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타월(T)의 외면과 면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한 쌍의 탄성체(263)는 각각 절개부(265)가 형성된 방향(하부방향)으로 휘어지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며, 그 탄성력에 의해 파지트레이(130)에 상부가 파지된 상태의 타월(T)이 하방으로 팽팽하게 펼쳐져 인쇄노즐(220)을 통해 인쇄액이 분사시에 타월(T) 표면에 인쇄되는 표시수단(G)이 삐뚤어지지 않게 인쇄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장력유지부재(2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월(T)의 하부에 임의의로 형성된 복수의 구역(Z1,Z2,Z3)에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가 함께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타월(T)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팽팽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복수의 구역(Z1,Z2,Z3)이란 타월(T) 하부 양측 및 해당 양측의 중앙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재(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타월(T)에 인쇄된 표시수단(G)을 신속하게 건조시켜 인쇄된 색상의 번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송풍모터(310) 및 열선(320)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재(300)는 제2홈부(113)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예컨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송풍모터(31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2홈부(113)의 바닥면 또는 내벽에 흡입된 바람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하우징(110) 내부 및 외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또한, 열선(320)은 제2홈부(113)의 바닥면이나 내벽 즉, 송풍모터(310)에서 강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홈부(113) 내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소정온도가 부가된 열풍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열풍의 온도는 35℃ 내지 50℃ 이내의 온도를 갖도록 하여, 타월(T) 원단의 손상이 없이 표시수단(G)을 생성하는 인소액의 건조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이하, 간략하게 '인쇄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2)은 크게 1)타월(T)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파지트레이(130)로 파지 후, 파지된 타월(T)이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홈부(111)에 삽입되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키는 단계(S10)과, 2)상기 제1홈부(111)에 삽입된 타월(T)의 하면을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당겨 팽팽하게 만든 후, 인쇄노즐(220)에서 분사되는 인쇄액이 천공부를 관통하여 타월(T) 표면에 날염인쇄를 실행하는 단계(S20) 및 3)이송수단에 의해 날염인쇄된 타월(T)이 제2홈부(113)에 삽입되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켜 상기 제2홈부(113)에 설치된 건조부재(30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통해 타월(T)의 인쇄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방법(2)을 만족하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1)단계를 위해 이송바(120)에 설치된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파지트레이(130)에 타월(T) 상부가 파지될 수 있도록 파지시켜 해당 타월(T)이 하방으로 늘어지게 펼쳐진 상태를 갖도록 배치 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이송수단을 제어하여 파지된 타월(T) 하부가 제1홈부(11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이송을 시작한다.
이후, 이송되는 타월(T) 하부는 제1홈부(111) 내측으로 인입된 후, 센서(미도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일시정지가 이루어지게 되며, 그 정지상태에서 인쇄노즐(220)이 천공부(211) 방향으로 인쇄액을 분사시켜 타월(T) 표면에 표시수단(G)이 날염인쇄되는 2)단계를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일정시간동안의 인쇄과정이 마감되면 이송수단의 제어를 통해 표시수단(G)이 인쇄된 타월(T)이 제2홈부(113)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송시키되 센서(미도시)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제2홈부(113) 내측으로 타월(T)의 인입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송풍모터(310)와 열선(320)을 통해 열풍을 상기 제2홈부(113) 내측으로 배출시켜 신속하게 인쇄액이 건조될 수 있는 3)단계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파지트레이(130) 간의 간격은 제2홈부(113) 내부에서 일정시간동안 표시수단(G)의 건조과정이 구현되는 동안 제1홈부(111) 내부에서는 상기 표시수단(G)의 인쇄과정이 구현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의 용의성을 위해 상기 제1홈부(111)와 상기 제2홈부(113) 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송중인 타월(T)의 표면에 표시수단(G)을 나타내는 날염인쇄가 신속하게 실행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G)의 건조도 신속하게 구현되어 날염인쇄를 이용한 타월(T)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한가지 색상으로만 적용되는 날염인쇄가 아닌, 다수의 색상으로 표시수단(G)의 날염인쇄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2: 본 발명에 따른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100: 본체부재
110: 하우징 111: 제1홈부
113: 제2홈부 115: 경사면
120: 이송바 130: 파지트레이
140: 흡입부재
200: 인쇄부재
210: 인쇄기판 211: 천공부
220: 인쇄노즐 230: 제1이동부재
231: 제1이동판 233: 제1이동공
240: 제2이동부재 241: 제2이동판
243: 제2이동공 245: 회전판
250: 동력수단 251: 실린더
253: 회전모터 260: 장력유지부재
261: 장력실린더 263: 탄성체
300: 건조부재
310: 송품모터 320: 열선
G: 표시수단
T: 타월

Claims (5)

  1. 타월(T)의 표면에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수단(G)을 날염인쇄시키는 날염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염인쇄장치는
    날염인쇄하고자 하는 타월(T)을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이송시키되 타월(T)의 인쇄와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재(100);
    상기 본체부재(100)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월(T) 표면에 인쇄액을 분사하여 날염인쇄시키는 인쇄부재(200); 및
    상기 본체부재(100) 내측에 설치되되 인쇄된 타월(T)의 표면에 소정의 온도를 갖는 열풍을 배출하여 인쇄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부재(200)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건조부재(300)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3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00)는
    개폐 가능한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타월(T)의 이송방향으로 제1홈부(111)와 제2홈부(1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이송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타월(T)이 이송되는 이송바(120); 및
    상부가 상기 이송바(1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하부에는 타월(T)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지트레이(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홈부(111)에는 상기 인쇄부재(200)가 설치되며,
    상기 제2홈부(113)에는 상기 건조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바(120)는 상기 파지트레이(130)가 이송수단에 의해 순환구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재(200)는
    상기 제1홈부(111)에 삽입된 타월(T)의 일측 또는 양측과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표시수단(G)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천공부(211)가 천공 형성된 인쇄기판(210);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천공부(211) 방향으로 인쇄액을 분사하여 타월(T) 외면에 날염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노즐(220); 및
    상기 인쇄노즐(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250);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수단(250)은 실린더(251) 또는 회전모터(2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제1이동부재(230) 또는 제2이동부재(24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동부재(2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길이방향으로 실린더(251)에 의해 상기 인쇄노즐(220)이 이동하는 제1이동공(233)이 형성된 제1이동판(2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재(240)는
    회전모터(25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245),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회전판(245)에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되되 각각 길이방향으로 실린더에 의해 상기 인쇄노즐(220)이 이동하는 제2이동공(243)이 형성된 제2이동판(241)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재(230)는 하나의 색상을 갖는 인쇄액이 상기 인쇄노즐(220)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2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액이 다수의 상기 인쇄노즐(220)을 통해 개별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5. 1)타월(T)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파지트레이(130)로 파지 후, 파지된 타월(T)이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홈부(111)에 삽입되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키는 단계;
    2)상기 제1홈부(111)에 삽입된 타월(T)의 하면을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당겨 팽팽하게 만든 후, 인쇄노즐(220)에서 분사되는 인쇄액이 천공부를 관통하여 타월(T) 표면에 날염인쇄를 실행하는 단계; 및
    3)이송수단에 의해 날염인쇄된 타월(T)이 제2홈부(113)에 삽입되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켜 상기 제2홈부(113)에 설치된 건조부재(30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통해 타월(T)의 인쇄면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용 날염인쇄장치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KR1020220032967A 2022-03-16 2022-03-16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KR20230135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67A KR20230135453A (ko) 2022-03-16 2022-03-16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67A KR20230135453A (ko) 2022-03-16 2022-03-16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53A true KR20230135453A (ko) 2023-09-25

Family

ID=8819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967A KR20230135453A (ko) 2022-03-16 2022-03-16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45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022A (ko) 1991-12-17 1993-07-21 신광호 핸드 실크스크린용 향수 날염 인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2097B1 (ko) 2006-10-19 2007-08-27 이정한 조절부를 구비한 스크린 날염 인쇄판
KR100904305B1 (ko) 2007-06-21 2009-06-2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날염기의 인쇄유니트 승강 시스템
KR20170001111U (ko) 2015-09-16 2017-03-24 양승호 메쉬 원단에 날염 인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022A (ko) 1991-12-17 1993-07-21 신광호 핸드 실크스크린용 향수 날염 인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2097B1 (ko) 2006-10-19 2007-08-27 이정한 조절부를 구비한 스크린 날염 인쇄판
KR100904305B1 (ko) 2007-06-21 2009-06-2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날염기의 인쇄유니트 승강 시스템
KR20170001111U (ko) 2015-09-16 2017-03-24 양승호 메쉬 원단에 날염 인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973B1 (ko) 섬유제품에 대비색조의 문양을 인쇄하는 장치 및 방법
US3221648A (en) Stencil printing process
US3172358A (en) Suction stenciling apparatus
US20060207448A1 (en) Method for printing white on dark textiles using screen-printers and inkjet printers
US6393981B1 (en) Multiple color printer having vertically moveable print pad
US10696065B2 (en) Platen assembly for textile decorating machines
JP2008075215A (ja) 布用印刷装置
KR20230135453A (ko) 타월용 날염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날염인쇄방법
JP7098845B2 (ja) 宋錦紡績生地の加工用表面コーティング装置
US4275656A (en) Bubble printing method
KR20190069405A (ko) 다중 벨트 및 다중 구역 직물 건조기
CN206344559U (zh) 一种套色圆网转印装置
JP2007232268A (ja) 減圧乾燥装置及び塗布体の製造方法
US20180072043A1 (en) Heated iron or roller for a textile printing apparatus
CN106626740A (zh) 一种套色圆网转印装置及其工艺
KR101628082B1 (ko) 실크 인쇄장치
JPH09115364A (ja) 電線のマ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50100149A (ko) 인쇄잉크 분사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법
KR101492997B1 (ko) 카지노칩 패드인쇄 자동화장치
KR102588536B1 (ko) 물감 그리기 인쇄 원단 제작 시스템
KR100468030B1 (ko)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20100101231A (ko) 인쇄장치
EP4019259B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EP1726422A3 (en) A roller screen for decoration of tiles with fluid-jet nozzles
KR100500130B1 (ko) 자동 스크린 날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