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17A -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17A
KR20230132917A KR1020220029771A KR20220029771A KR20230132917A KR 20230132917 A KR20230132917 A KR 20230132917A KR 1020220029771 A KR1020220029771 A KR 1020220029771A KR 20220029771 A KR20220029771 A KR 20220029771A KR 20230132917 A KR20230132917 A KR 2023013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olyurethane foam
flexible polyurethane
retarda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일
나렌드라 프라바카 무추코타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17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02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Description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Flame-Retardant Flexible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ame-Retardant Flexible Polyurethane Foam from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높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연제는 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 고분자 재료에 할로겐(halogen), 인(phosphorus : P), 질소(nitrogen : N), 그리고 금속 화합물 등 난연성 부여 효과가 큰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발화를 늦추고, 연소의 확대를 막아주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난연제는 크게 할로겐계 난연제, 비할로겐계 난연제 및 무기계 난연제로 구분되고 있으며, 할로겐계 난연제의 경우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할로겐계의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사용을 줄이는 반면, 비할로겐계의 난연제에 대한 사용 및 개발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가 대표적이며, 이러한 인계 난연제는 연소 과정에서 가연성 물질과 반응해 고분자 표면에 탄화막(carbonaceous layer)을 형성하고, 이 탄화막에 의해 연소에 필요한 산소(oxygen : O)를 차단함으로써, 난연 효과를 얻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계 난연제 중 폴리인산 암모늄(Ammonium PolyPhosphate : APP)을 사용하는 난연제에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02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89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572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5548호,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43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폴리인산 암모늄의 경우에는 발포 성능(blowing sourc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난연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난연제를 만족하기 위한 탄화막의 형성을 위한 성능이 부족함과 더불어 물리적 물성도 높지 못하기 때문에, 탄화막의 원활한 형성 및 물리적 물성 향상을 위한 물질의 추가적 혼합이 이루어져야 하나, 이렇게 첨가되는 물질들은 친환경적이지 못함과 더불어 제조 단가가 비싸고, 그리고 폴리인산 암모늄과의 혼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더욱 우수한 난연 성능 및 물리적 물성의 향상을 이루지 못하였다.
또한, 멜라민(melamine) 등과 같은 저가의 난연제는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연질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 PUF)은 경량성, 완충성 및 기계적 강도(신율, 인장 강도, 내마모성 등)가 좋고, 이를 활용하여 단독 또는 기타 재료와 복합화할 수 있고, 또한 셀(cell) 기공들의 반 이상이 개방된 오픈(open) 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조성물의 배합에 따라 다양하게 물리적인 성질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질 폴리우레탄 폼은 자동차, 가구, 건축물 등의 내장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재로 연질 폴리우레탄 폼이 사용될 경우, 높은 난연성이 요구되고 있어, 다양한 난연제가 발포 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독성이 있는 난연제는 환경적인 문제로 인해, 종래의 난연제가 더는 사용될 수 없게 되어, 난연성이 높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03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691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높일 수 있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높일 수 있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아이소시아네이트는 33 ~ 39 중량 범위, 물은 0.8 ~ 1.2 중량 범위 및 난연성 첨가제는 28 ~ 4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흑연은 23 ~ 27 중량 범위,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중탄산나트륨은 4 ~ 1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물은 탈이온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폴리올에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 및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은 폴리올 100 중량에 물 0.8 ~ 1.2 중량 범위 및 난연성 첨가제 28 ~ 40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은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흑연은 23 ~ 27 중량 범위,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중탄산나트륨은 4 ~ 10 중량 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은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 33 ~ 39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물은 탈이온수일 수 있다.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은 발포물을 몰드에 부어 자연 발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베이킹 파우더(baking powder)로 널리 알려진 인체에 무해한 성분인 중탄산나트륨(NaHCO3)을 포함하는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동시에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향상된 난연성 및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은 폴리올(polyol)에 물, 및 흑연, 블랙 카본(black carbon)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동시에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향상된 난연성 및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구성 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결합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는 결합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item)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밑(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장치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를 뒤집을 경우, 다른 장치의 '아래(below)' 또는 '밑(beneath)'으로 기술된 장치는 다른 장치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rounded)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물, 및 흑연(Graphite : G),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아이소시아네이트는 33 ~ 39 중량 범위, 물은 0.8 ~ 1.2 중량 범위 및 난연성 첨가제는 28 ~ 4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은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흑연을 23 ~ 27 중량 범위,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중탄산나트륨은 4 ~ 1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 MDI)일 수 있다.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dibutyl phosphate)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dimethyl phosphate)일 수 있다.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는 아래의 화학식 1인 물질일 수 있다.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는 아래의 화학식 2인 물질일 수 있다.
물은 탈이온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은 폴리올에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인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MDI)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 및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은 폴리올 100 중량에 물 0.8 ~ 1.2 중량 범위 및 난연성 첨가제 28 ~ 40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교반은 400 rpm의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반 시간은 모든 재료가 충분히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은 폴리올 100 중량일 경우, 흑연은 23 ~ 27 중량 범위,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중탄산나트륨을 4 ~ 10 중량 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에서 중탄산나트륨은 팽창제(blowing agent) 및 난연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탄산나트륨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인 폴리인산 암모늄에 준하는 난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밀도에서도 큰 차이가 없어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재료로 적합할 수 있다.
중탄산나트륨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폴리인산 암모늄에 비해 폴리올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 팽창제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작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은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인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 33 ~ 39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교반은 600 rpm의 속도로 약 15 초간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면 발포 반응이 시작되기 때문에, 장시간 교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물은 탈이온수일 수 있다.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은 발포물을 몰드(mold)에 부어 약 1 시간 동안 자연 발포(free foaming)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자연 발포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몰드로부터 탈형한 후, 이를 적당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은 아래 표 1의 아랫부분에서와 같이, 다른 조성의 물질들 각각의 함량을 고정한 상태에서, 중탄산나트륨의 함량을 변화시켜서 조성물을 만든 후, 동일한 발포 과정을 통해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한 것일 수 있다.
Sample pHRR
(kW/m2)
THR
(MJ/m2)
Total smoke release
(m2/m2)
Total smoke production
(m2)
Density
(kg/m2)
Melamine 12.5% 150.96 21.5 85.7 0.8 102.74
4% APP+G 146.46 12.053 79.21 0.7 95.05
6% APP+G 109.29 44.61 187.64 1.66 109.37
8% APP+G 132.83 38.18 189.73 1.68 113.95
10% APP+G 134.67 14.1 56.8 0.5 116.35
4% APP 118.23 13.9 43.9 0.4 95.25
6% APP 146.86 9.3 56.5 0.5 99.47
8% APP 121.28 27.9 82.1 0.7 104.09
10% APP 142.58 11.4 65.9 0.6 106.69
4% NaHCO3 132.32 21.9 42.3 0.4 96.39
6% NaHCO3 131.67 22.1 47.1 0.4 101.24
8% NaHCO3 134.28 24.4 40.5 0.4 105.19
10% NaHCO3 146.51 20.5 44.7 0.4 110.77
표 1은 기존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에 대해 최대 열 방출률(peak Heat Release Rate : pHRR), 전체 열 방출률(Total Heat Release : THR), 전체 연기 발생률, 전체 연기 발생량 및 밀도를 측정한 값들을 보여준다.
여기서, 최대 열 방출률, 전체 열 방출률, 전체 연기 발생률 및 전체 연기 발생량은 기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에 대해 부탄 가스(butane gas)로 20 초간 화염을 발생시켜 실시한 연소 실험의 결과 값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은 최대 열 방출률 및 전체 열 방출률에서는 기존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과 유사한 수준을 보이지만, 전체 연기 발생률 및 전체 연기 발생량에서는 기존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에 비해 낮은 값들을 보였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유독 가스에 의한 2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독 가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은 전체 연기 발생률 및 전체 연기 발생량이 적음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은 난연제로 환경 친화적인 물질인 중탄산나트륨을 포함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연기의 유독성이 기존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에서 발생하는 연기에 비해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은 기존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들과 유사한 압축률 및 연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에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제조됨으로써,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동시에 종래의 독성이 있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향상된 난연성 및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1.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는 33 ~ 39 중량 범위;
    상기 물은 0.8 ~ 1.2 중량 범위; 및
    상기 난연성 첨가제는 28 ~ 4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상기 흑연은 23 ~ 27 중량 범위;
    상기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상기 중탄산나트륨은 4 ~ 10 중량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성된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탈이온수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7. 폴리올에 물, 및 흑연, 블랙 카본 및 중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난연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
    상기 혼합물에 아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폴리올 100 중량에 상기 물 0.8 ~ 1.2 중량 범위 및 상기 난연성 첨가제 28 ~ 40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100 중량일 경우,
    상기 흑연은 23 ~ 27 중량 범위;
    상기 블랙 카본은 1 ~ 3 중량 범위; 및
    상기 중탄산나트륨은 4 ~ 10 중량 범위가 포함하되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물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혼합물에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 33 ~ 39 중량 범위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것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렌 디페닐 디아이소시아네이트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디메틸 포스페이트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탈이온수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물을 발포시키는 것은 상기 발포물을 몰드에 부어 자연 발포시키는 것인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작 방법.
KR1020220029771A 2022-03-10 2022-03-10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KR20230132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71A KR20230132917A (ko) 2022-03-10 2022-03-10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71A KR20230132917A (ko) 2022-03-10 2022-03-10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17A true KR20230132917A (ko) 2023-09-19

Family

ID=8819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771A KR20230132917A (ko) 2022-03-10 2022-03-10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15A (ko) 2015-12-24 2017-07-05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383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난연성 발포 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폴리우레탄 내화보드 및 샌드위치 내화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915A (ko) 2015-12-24 2017-07-05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383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난연성 발포 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폴리우레탄 내화보드 및 샌드위치 내화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556B1 (ko) 팽창 흑연을 함유한 난연성 폴리우레탄-우레아 하이브리드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0997B1 (ko) 준불연 우레탄 단열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184974A (ja) 耐火断熱被覆材
JP2004285321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保冷材
JP2004196907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板の製造方法及びポリ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板
KR20230132917A (ko)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 제작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난연성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는 방법
KR20220118623A (ko)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RU2714917C1 (ru) Состав для огнестойкого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Hu et al. Effect of dosage of expandable graphite, dimethyl methylphosphonate, triethanolamine, and isocyanate on fluidity, mechanical,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polyurethane materials in coal reinforcement
KR20200070068A (ko) 페놀 수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20040095426A (ko) 탄산칼슘을 함유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AU609572B2 (en) Flame retardant composite polymeric foams
GB2400107A (en) Montmorillonite flame retardant polyurethane
CN109415528A (zh) 阻燃半硬质聚氨酯泡沫
JP2006199897A (ja) 連続気泡構造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4814600B2 (ja) 低燃焼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102039639B1 (ko) 내화 팽창 부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화성 부싱 시스템
KR102065251B1 (ko) 준불연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638311B1 (ko)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준불연성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KR20060056546A (ko) 난연성 발포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612B1 (ko) 흑연을 함유하는 연질용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541945B1 (ko) 건식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KR20100096609A (ko) 흑연산화물을 함유한 난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WO2023007807A1 (ja) 車両用難燃性防音材
JPH04103613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を用いた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