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504A -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 Google Patents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504A
KR20230132504A KR1020237027032A KR20237027032A KR20230132504A KR 20230132504 A KR20230132504 A KR 20230132504A KR 1020237027032 A KR1020237027032 A KR 1020237027032A KR 20237027032 A KR20237027032 A KR 20237027032A KR 20230132504 A KR20230132504 A KR 2023013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stick
rod portion
compression cylinder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야스노부 이노우에
타테키 스미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5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2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6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담배 스틱을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으로서, 담배 스틱은, 담배살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을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와,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는,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는 중공관 히터를 가진다. 중공관 히터는, 담배 스틱의 삽입시에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하기 위한 압축 통부(筒部)와, 압축 통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가열 벽부(壁部)를 가진다.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압축 통부의 내공(內空)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통기 구멍의 위치가, 담배 로드부의 선단(先端)이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 챔버의 삽입구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본 발명은,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에 관한 것이다.
히터 어셈블리, 그 히터 어셈블리의 전력원이 되는 전지 유닛, 그 히터 어셈블리의 가열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등을 가지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은, 일례로서, 담배 원료(예를 들면, 담배살, 담배 과립, 담배 시트의 성형체 등)나 에어로졸 생성원(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과 해당 담배 충전물을 권장(卷裝)하는 권지(卷紙)를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담배 로드부와 함께 칩 페이퍼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히터 어셈블리의 챔버 내로 삽입구로부터 삽입하고, 전지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히터 어셈블리의 가열 요소를 발열시킨다. 그 결과, 담배 로드부의 담배 충전물이 가열되고, 해당 담배 충전물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생성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됨과 함께 향미 성분이 구내(口內)로 딜리버리된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7-198838호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에 의한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의 가열 방식으로서, 히터 어셈블리의 챔버를 규정하는 중공관의 내벽면에 가열 요소가 배치된 가열부에 의해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는 외측 가열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외측 가열 방식의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챔버 내에 삽입된 담배 로드부와 가열부의 접촉 상태를 확보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늘리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에 있어서의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늘리는 관점에서, 디바이스 측의 챔버 내에 삽입된 담배 로드부를 챔버의 내벽면에 의해 외주(外周) 측으로부터 압축하는 사양을 채용하려 하면, 담배 스틱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기 전에, 챔버의 내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삽입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담배 스틱의 선단(先端)이 챔버의 규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담배 스틱이 챔버의 규정 위치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담배 스틱이 눌려진 경우에는 이에 기인하여 담배 스틱이 좌굴(座屈)하거나, 축 방향으로 찌그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반대로, 담배 스틱이 챔버의 규정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규정 위치에 도달한 것이라고 오인하여, 사용자가 챔버의 규정 위치보다도 앞에서 담배 스틱의 삽입 동작을 멈추어 버리는 것도 상정(想定)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흡인시에 있어서의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에 있어서의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확보하면서, 챔버의 규정 위치에 담배 스틱이 삽입된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상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으로서,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은, 담배살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과 해당 담배 충전물을 권장하는 권지를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상기 담배 로드부와 함께 칩 페이퍼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상기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는,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삽입 가능한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도록 규정된 중공관 히터를 가지고, 상기 중공관 히터는,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의 삽입시에,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하기 위한 압축 통부(筒部)와, 상기 압축 통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벽부(壁部)를 가지고,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의 내공(內空)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위치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 챔버의 삽입구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규정 위치는 상기 가열 챔버의 가장 안쪽 위치여도 된다.
또한,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은, 상기 칩 페이퍼의 외면(外面)의 일부가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被覆)되어 있고, 상기 칩 페이퍼에 있어서의 외면 중, 상기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된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가열 벽부보다도 상기 삽입구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있어서의 흡구단(吸口端)과 상기 통기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압축 통부는, 상기 압축 통부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한 쌍의 대향(對向)하는 협지(挾持)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협지 벽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협지 벽부의 내벽면은 평행으로 대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담배 로드부의 직경은, 상기 한 쌍의 협지 벽부에 있어서의 내벽면끼리의 간격에 대하여 105% 이상 200% 이하의 치수로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은,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전체 및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일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고, 해당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의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도록 규정된 중공관 히터 내에 삽입된 상태로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으로서, 담배살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과 해당 담배 충전물을 권장하는 권지를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상기 담배 로드부와 함께 칩 페이퍼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상기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중공관 히터의 압축 통부로서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벽부를 가지는 압축 통부의 내공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위치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 챔버의 삽입구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시에 있어서의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에 있어서의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확보하면서, 챔버의 규정 위치에 담배 스틱이 삽입된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스틱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7]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의 분해도이다.
[도 8]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관의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에 있어서의 가열 챔버를 삽입구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도 6에 나타내는 중공관 히터의 A-A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도 6에 나타내는 중공관 히터의 B-B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의 가열 챔버에 담배 스틱을 규정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일례이다.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이하, 단순히 「담배 스틱」이라고 한다)(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스틱(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담배 스틱(100)은, 후술의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와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 및 담배 스틱(100)에 의해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이 구성된다.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이 사용될 때, 담배 스틱(100)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삽입구(도 4, 6 등에 부호 5A로 나타낸다)를 통하여 가열 챔버(60)에 대하여 삽발(揷拔) 자유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스틱(100)은 대략 원통형의 로드 형태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담배 스틱(100)은, 담배 로드부(110)와, 마우스피스부(120)와,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칩 페이퍼(130)를 포함한다. 마우스피스부(120)는, 담배 로드부(110)와 함께 칩 페이퍼(130)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담배 로드부(110)와 동일 축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 101은, 담배 스틱(100)(마우스피스부(120))의 흡구단이다. 부호 102는,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흡구단(101)과는 반대측의 선단(先端)이다. 담배 로드(110)는,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선단(102)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담배 스틱(100)은 흡구단(101)으로부터 선단(102)을 따른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칩 페이퍼]
칩 페이퍼(130)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식물성의 섬유(펄프)로 제작된 종이나, 폴리머계(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의 화학 섬유를 사용한 시트, 폴리머계의 시트, 알루미늄 박(箔)과 같은 금속박 등, 혹은, 이들을 조합한 복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이 기재(基材)에 금속박을 첩합(貼合)한 복합 재료에 의해 칩 페이퍼(130)를 제작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칩 페이퍼(130)란, 예를 들면, 담배 로드부(110)와 마우스피스부(120)를 연결하는 등,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접속하는 시트상 재료를 의미한다.
칩 페이퍼(130)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32gsm 이상, 40gsm 이하이며, 33gsm 이상, 39g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4gsm 이상, 38gs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칩 페이퍼(130)의 통기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 콜레스터 유닛 이상, 30000 콜레스터 유닛 이하이며, 0 콜레스터 유닛 초과, 10000 콜레스터 유닛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도는, ISO 2965: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며, 종이의 양면의 차압(差壓)이 1kPa일 때에, 1분마다 면적 1cm2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cm3)으로 표시된다. 1 콜레스터 유닛(1 콜레스터 단위, 1C.U.)은, 1kPa하에 있어서 cm3/(min·cm2)이다.
칩 페이퍼(130)는, 상기의 펄프 이외에, 전료(塡料, filler)가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탄산염,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의 금속 황산염, 황화아연 등의 금속 황화물, 석영, 카올린, 탤크, 규조토, 석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백색도·불투명도의 향상 및 가열 속도 증가의 관점에서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전료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칩 페이퍼(130)는, 상기의 펄프나 전료 이외에, 여러 가지의 조제(助劑)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수성 향상제를 가질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로는, 습윤지력증강제(WS제) 및 사이즈제가 포함된다. 습윤지력증강제의 예를 들면, 요소 폼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 폼알데하이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르하이드린(PAE) 등이다. 또한, 사이즈제의 예를 들면, 로진 비누, 알킬케텐 다이머(AKD), 알케닐 무수 숙신산(ASA), 비누화도가 90% 이상인 고비누화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이다.
칩 페이퍼(15)에는, 그 표면 및 이면의 2면 중, 적어도 1면에 코팅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코팅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종이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액체의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칩 페이퍼(130)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펄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태양(態樣)의 경우, 펄프를 사용하여 장망(長網) 초지기(抄紙機), 원망(円網) 초지기, 원단(円短) 복합 초지기 등에 의한 초지 공정 중에서, 종이 질을 정돈하고 균일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권지에 내수성을 부여하거나, 사이즈제를 첨가하여 권지의 인쇄 상태의 조정을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담배 로드부>
담배 로드부(11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태양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충전물(111)이 권지(112)에 의해 권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담배 충전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담배 충전물(111)은, 담배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담배 충전물(111)에 포함되는 담배살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라미나나 중골(中骨)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한 담배잎을 평균 입경이 20μm 이상, 200μ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담배 분쇄물로 하고, 이것을 균일화한 것을 시트 가공한 것(이하, 단지 균일화 시트라고도 한다)을 잘게 썬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담배 로드의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균일화 시트를, 담배 로드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평으로 잘게 썬 것을 담배 로드에 충전하는, 이른바 스트랜드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담배살의 폭은, 담배 로드부(110)에 충전함에 있어서 0.5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배 로드부(110)에 포함되는 건조 담배잎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0mg/로드부 이상, 800mg/로드부 이하를 들 수 있고, 250mg/로드부 이상, 600mg/로드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는, 특히, 원주(圓周) 22mm, 길이 20mm의 담배 로드부(110)에 있어서 적합하다.
담배살 및 균일화 시트의 제작에 사용하는 담배잎에 대하여, 사용하는 담배의 종류는,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색종, 버얼리종, 오리엔트종, 재래종, 그 밖의 니코티아나 타바컴계 품종, 니코티아나 루스티카계 품종,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혼합물에 대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맛이 되도록, 상기의 각 품종을 적절히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배 품종의 상세는, 「담배의 사전, 담배 종합 연구 센터, 2009. 3. 3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균일화 시트의 제조 방법, 즉, 담배잎을 분쇄하여 균일화 시트로 가공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이 복수 존재하고 있다. 첫 번째는 초지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초조(抄造)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물 등의 적절한 용매를, 분쇄한 담배잎에 혼합하여 균일화한 후에 금속제판 혹은 금속제판 벨트 위에 균일화물을 얇게 캐스팅하고, 건조시켜 캐스트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물 등의 적절한 용매를, 분쇄한 담배잎에 혼합하여 균일화한 것을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성형하여 압연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상기 균일화 시트의 종류에 대해서는, 「담배의 사전, 담배 종합 연구 센터, 2009. 3. 31」에 상세가 개시되어 있다.
담배 충전물(111)의 수분 함유량은, 담배 충전물(111)의 전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15중량% 이하를 들 수 있고, 11중량% 이상, 13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 함유량이면, 권염(卷染)의 발생을 억제하고, 담배 로드부(110)의 제조시의 권상 적성(卷上適性)을 양호하게 한다. 담배 충전물(111)에 포함되는 담배살의 크기나 그 조제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건조한 담배잎을, 폭 0.5mm 이상, 2.0mm 이하로 잘게 썬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균일화 시트의 분쇄물을 사용하는 경우, 건조한 담배잎을 평균 입경이 20μm~200μm 정도가 되도록 분쇄하여 균일화한 것을 시트 가공하고, 그것을 폭 0.5mm 이상, 2.0mm 이하로 잘게 썬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담배 충전물(111)은, 에어로졸 연기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에어로졸 기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물질 및/또는 그들의 구성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로서는,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트리아세틴, 1,3-뷰테인다이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담배 충전물(111) 중의 에어로졸 기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충분히 에어로졸을 생성시킴과 동시에, 양호한 향미의 부여의 관점에서, 담배 충전물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5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며, 또한, 통상 50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이다.
담배 충전물(111)은, 향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양호한 향미 부여의 관점에서, 아세토아니솔, 아세트페논, 아세틸피라진, 2-아세틸싸이아졸, 알팔파 엑스트랙트, 아밀알코올, 뷰티르산 아밀, 트랜스-아네톨, 스타아니스유, 사과 과즙, 페루 발삼유, 밀랍 앱솔루트, 벤즈알데하이드, 벤조인레지노이드, 벤질알코올, 벤조산 벤질, 페닐아세트산 벤질, 프로피온산 벤질, 2,3-뷰테인다이온, 2-뷰탄올, 뷰티르산 뷰틸, 뷰티르산, 캐러멜, 카다몬유, 카로브 앱솔루트, β-카로틴, 당근 쥬스, L-카르본, β-카리오필렌, 카시아수피유, 시더우드유, 샐러리시드유, 카모밀유, 신남알데하이드, 계피산, 신나밀알코올, 계피산 신나밀, 시트로넬라유, DL-시트로넬롤, 클라리세이지 엑스트랙트, 코코아, 커피, 코냑유, 고수유, 큐민알데하이드, 다바나유, δ-데카락톤, γ-데카락톤, 데케인산, 딜허브유, 3,4-다이메틸-1,2-사이클로펜탄다이온, 4,5-다이메틸-3-하이드록시-2,5-다이하이드로퓨란-2-온, 3,7-다이메틸-6-옥텐산, 2,3-다이메틸피라진, 2,5-다이메틸피라진, 2,6-다이메틸피라진, 2-메틸뷰티르산 에틸, 아세트산 에틸, 뷰티르산 에틸, 헥세인산 에틸, 아이소발레르산 에틸, 락트산 에틸, 라우린산 에틸, 레불린산 에틸, 에틸말톨, 옥테인산 에틸, 올레인산 에틸, 팔미트산 에틸, 페닐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온산 에틸, 스테아르산 에틸, 발레르산 에틸, 에틸바닐린, 에틸바닐린글루코시드, 2-에틸-3,(5 또는 6)-다이메틸피라진, 5-에틸-3-하이드록시-4-메틸-2(5H)-퓨라논, 2-에틸-3-메틸피라진, 유칼립톨, 페네그릭 앱솔루트, 제네 앱솔루트, 용담근 인퓨전, 게라니올, 아세트산 게라닐, 포도 과즙, 과이어콜, 구아바 엑스트랙트, γ-헵타락톤, γ-헥사락톤, 헥세인산, 시스-3-헥센-1-올, 아세트산 헥실, 헥실알코올, 페닐아세트산 헥실, 봉밀, 4-하이드록시-3-펜텐산 락톤, 4-하이드록시-4-(3-하이드록시-1-뷰테닐)-3,5,5-트라이메틸-2-사이클로헥센-1-온, 4-(파라-하이드록시페닐)-2-뷰타논, 4-하이드록시운데칸산 나트륨, 임모르텔 앱솔루트, β-이오논, 아세트산 아이소아밀, 뷰티르산 아이소아밀, 페닐아세트산 아이소아밀, 아세트산 아이소뷰틸, 페닐아세트산 아이소뷰틸, 쟈스민 앱솔루트, 콜라너트 팅크처, 라브다넘유, 레몬테르펜리스유, 캄초 엑스트랙트, 리날로올, 아세트산 리나릴, 러비지근유, 말톨, 메이플 시럽, 멘톨, 멘톤, 아세트산 L-멘틸, 파라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메틸-2-피롤릴케톤, 안트라닐산 메틸, 페닐아세트산 메틸, 살리실산 메틸, 4'-메틸아세토페논, 메틸사이클로펜테놀론, 3-메틸발레르산, 미모사 앱솔루트, 당밀, 미리스트산, 네롤, 네롤리돌, γ-노나락톤, 육두구유, δ-옥타락톤, 옥타날, 옥테인산, 오렌지 플라워유, 오렌지유, 오리스근유, 팔미트산, ω-펜타데카락톤, 페퍼민트유, 페티그레인파라과이유, 페네틸알코올, 페닐아세트산 페네틸, 페닐아세트산, 피페로날, 플럼 엑스트랙트, 프로페닐구아에톨, 아세트산 프로필, 3-프로필리덴프탈리드, 프룬 과즙, 피루브산, 레이즌 엑스트랙트, 로즈유, 럼주, 세이지유, 샌달우드유, 스피어민트유, 스티락스 앱솔루트, 마리골드유, 티디스틸레이트, α-테르피네올, 아세트산 테르피닐,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녹살린, 1,5,5,9-테트라메틸-13-옥사사이클로(8.3.0.0(4.9))트라이데칸, 2,3,5,6-테트라메틸피라진, 티미유, 토마토 엑스트랙트, 2-트라이데칸온, 시트르산트라이에틸, 4-(2,6,6-트라이메틸-1-사이클로헥세닐)2-뷰텐-4-온, 2,6,6-트라이메틸-2-사이클로 헥센-1,4-다이온, 4-(2,6,6-트라이메틸-1,3-사이클로헥사디에닐)2-뷰텐-4-온, 2,3,5-트라이메틸피라진, γ-운데카락톤, γ-발레로락톤, 바닐라 엑스트랙트, 바닐린, 베라톨알데하이드, 바이올렛리프 앱솔루트, N-에틸-p-멘탄-3-카복사마이드(WS-3), 에틸-2-(p-멘탄-3-카복사마이드)아세테이트(WS-5)를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멘톨이다. 또한, 이들 향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담배 충전물(111) 중의 향료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양호한 향미 부여의 관점에서, 통상 10000p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0pp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ppm 이상이며, 또한, 통상 70000pp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0pp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pp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3000ppm 이하이다.
[권지]
권지(112)는, 담배 충전물(111)을 권장하기 위한 시트 재료이며, 그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지(112)에 사용되는 원지로서는, 셀룰로오스 섬유지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 혹은 목재 혹은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권지(112)에 있어서의 원지의 평량은, 예를 들면 통상 20gs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gsm 이상이다. 한편, 평량은 통상 65gs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gs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gsm 이하이다. 상기의 특성을 가지는 권지(1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강성(剛性), 통기성, 및 제지시의 조정 용이성의 관점에서, 통상 1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이며, 또한, 통상 10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5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다.
담배 로드부(110)(담배 충전물(111))의 권지(112)로서, 그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들 수 있다. 담배 충전물(111)을 권장하기 위한(담배 로드부(11)를 제작하기 위한) 권지(112)로서 이용하는 경우, 한 변의 길이로서 12mm~70mm 정도를 들 수 있고, 다른 한 변의 길이로서 15mm~28mm, 다른 한 변의 바람직한 길이로서 22mm~24mm, 더 바람직한 길이로서 23mm 정도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펄프 외에, 권지(112)에는 전료가 포함되어도 된다. 전료의 함유량은, 권지(112)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60중량% 미만을 들 수 있고,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112)에서는, 바람직한 평량의 범위(25gsm 이상, 45gsm 이하)에 있어서, 전료가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량이 25gsm 이상, 35gsm 이하일 때, 전료가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량이 35gsm 초과, 45gsm 이하일 때, 전료가 2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료로서는,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향미나 백색도를 높이는 관점 등에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112)에는, 원지나 전료 이외의 여러 가지의 조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수성 향상제를 첨가할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로는, 습윤지력증강제(WS제) 및 사이즈제가 포함된다. 습윤지력증강제의 예를 들면, 요소 폼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 폼알데하이드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르하이드린(PAE) 등이다. 또한, 사이즈제의 예를 들면, 로진 비누, 알킬케텐 다이머(AKD), 알케닐 무수 숙신산(ASA), 비누화도가 90% 이상인 고비누화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이다. 조제로서, 지력 증강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아미드, 카티온 전분, 산화 전분, CMC, 폴리아미드에피클로르하이드린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산화 전분에 대해서는, 극소량 사용함으로써, 통기도가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218699호). 또한, 권지(112)는, 적절히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권지(112)에는, 그 표면 및 이면의 2면 중, 적어도 1면에 코팅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코팅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종이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액체의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알긴산 및 그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펙틴과 같은 다당류,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이트로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전분이나 그 유도체(예를 들면 카복시메틸 전분, 하이드록시알킬 전분 및 카티온 전분과 같은 에테르 유도체, 아세트산 전분, 인산 전분 및 옥테닐숙신산 전분과 같은 에스테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담배 로드부(110)는, 담배 충전물(111)이 담배살을 랜덤으로 배향한 상태로 권지(112)에 의해 권장되어 있다. 담배살이 랜덤으로 배향되어 있다는 것은, 담배살이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권지(112)에 의해 권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담배 로드부(110)의 축 방향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0mm 이상이며, 1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70mm 이하이며,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부>
담배 스틱(10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태양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마우스피스부(120)는, 2개의 세그먼트(구분), 즉 냉각 세그먼트(121) 및 필터 세그먼트(122)를 포함한다. 냉각 세그먼트(121)는, 담배 로드부(110)와 필터 세그먼트(122)와 당접(當接)한 상태로 이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담배 로드부(110)와 냉각 세그먼트(121)의 사이, 및 담배 로드부(110)와 필터 세그먼트(12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마우스피스부(120)는, 단일 세그먼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 세그먼트]
냉각 세그먼트(121)의 구성은, 담배 주류연(主流煙)을 냉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지(厚紙)를 원통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원통 형상의 내측은 공동(空洞)이고, 에어로졸 생성 기재와 담배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증기가 공동 내의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된다.
냉각 세그먼트(121)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취입(取入)하기 위한 개공(開孔)인 통기 구멍(103)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세그먼트(121)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통기 구멍(103)이 냉각 세그먼트(121)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세그먼트(121)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통기 구멍(103) 군은, 냉각 세그먼트(121)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 세그먼트(121)에 통기 구멍(103)이 설치됨으로써, 담배 스틱(100)을 흡인할 때에, 외부로부터 냉각 세그먼트(121)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담배 로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휘발 성분이나 공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기재와 담배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증기는, 통기 구멍(103)을 통하여 냉각 세그먼트(121)에 도입된 저온의 공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응축된다. 이에 의해, 에어로졸의 생성이 촉진됨과 함께, 에어로졸 입자의 사이즈를 컨트롤 할 수 있다.
담배 로드부(110)로부터 냉각 세그먼트(121)에 유입되는 휘발 성분이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시트 등을 냉각 세그먼트(121)에 충전하는 경우, 냉각 세그먼트(121)의 전체 표면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00mm2/mm 이상, 1000mm2/mm 이하를 들 수 있다. 이 표면적은, 냉각 세그먼트(121)의 통기 방향의 길이(mm)당의 표면적이다. 냉각 세그먼트(121)의 전체 표면적은, 400mm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mm2/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600mm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mm2/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 세그먼트(121)는, 그 내부 구조가 큰 전체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냉각 세그먼트(121)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구겨지고, 다음으로, 주름 잡기, 개더 잡기 및 작게 접힌 얇은 재료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요소가 주어진 체적 내의 작게 접힘 또는 주름이 많으면, 냉각 세그먼트(121)의 합계 표면적이 커진다. 냉각 세그먼트(121)의 구성 재료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5μm 이상, 500μm 이하여도 되고, 또한, 10μm 이상, 250μm 이하여도 된다.
냉각 세그먼트(121)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은, 냉각 세그먼트(121)와 필터 세그먼트(122)의 경계로부터 4mm 이상 이간(離間)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냉각 세그먼트(121)의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의 냉각 세그먼트(121) 내에서의 체류를 억제하여, 해당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칩 페이퍼(130)에는, 냉각 세그먼트(121)에 설치된 통기 구멍(103)의 바로 위쪽 위치(상하로 겹쳐진 위치)에 개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세그먼트(121)의 개공은, 자동 흡연기로 17.5ml/초로 흡인했을 때의 개공으로부터의 공기 유입 비율(흡구단으로부터 흡인한 공기의 비율을 100체적%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개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체적 비율)이 10~90체적%, 바람직하게는 50~80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75체적%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개공군(開孔群) 1개당의 개공(V)의 수를 5~50개의 범위로부터 선택하고, 개공(V)의 직경을 0.1~0.5mm의 범위로부터 선택하여, 이들 선택의 조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공기 유입 비율은, 자동 흡연기(예를 들면, Borgwaldt사제 1개들이 자동 흡연기)를 사용하여, ISO951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냉각 세그먼트(121)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mm 이상이며,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40mm 이하이며, 3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 세그먼트(121)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는, 20mm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냉각 세그먼트(121)의 축 방향 길이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냉각 효과를 확보하여 양호한 향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냉각 세그먼트(121)의 축 방향 길이를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사용시에 생성된 증기 및 에어로졸이 냉각 세그먼트(121)의 내벽에 부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로스를 억제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
필터 세그먼트(122)의 구성은, 일반적인 필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를 원주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의 단사 섬도, 총 섬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터 세그먼트(122)가 원주 22mm인 경우, 단사 섬도는 5~20g/9000m, 총 섬도는 12000~30000g/9000m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의 섬유의 단면 형상은, Y 단면이어도 되고 R 단면이어도 된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를 충전하여 필터 세그먼트(122)를 형성하는 경우, 필터 경도(硬度)를 향상하기 위해 트라이아세틴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 중량에 대하여, 5~10중량% 첨가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터 세그먼트(122)를 단일 세그먼트로 구성하였지만, 복수의 세그먼트로 필터 세그먼트(122)을 구성해도 된다. 필터 세그먼트(122)를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상류 측(담배 로드부(110) 측)에 센터 홀 등의 중공의 세그먼트를 배치하고, 하류 측(흡구단(101) 측)의 세그먼트로서 흡구 단면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토우로 충전된 아세테이트 필터를 배치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태양에 의하면, 생성하는 에어로졸의 쓸데없는 손실을 방지함과 함께, 담배 스틱(100)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입감의 감각 변화나 물었을 때의 느낌의 관점에서, 상류 측(담배 로드부(110) 측)에 아세테이트 필터를 배치하고, 하류 측(흡구단(101) 측)에 센터 홀 등의 중공의 세그먼트를 배치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122)는, 아세테이트 필터 대신에, 시트 형상의 펄프지를 충전한 페이퍼 필터 등, 다른 대체 필터 재료를 사용한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필터 세그먼트(122)에 있어서의 필터의 일반적인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 등을 흡인할 때에 섞이는 공기량의 조정이나, 향미의 경감, 니코틴이나 타르의 경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시가렛과 비교하여, 생성되는 성분이 적고, 또한, 담배 충전물의 충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에 있어서는, 여과 기능을 억제하면서 담배 충전물의 낙하를 방지한다라는 것도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횡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그 원의 직경은,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4.0mm 이상, 9.0mm 이하이며, 4.5mm 이상, 8.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상기의 직경은, 그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으로 가정한 경우, 그 원에 있어서의 직경이 적용된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원둘레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4.0mm 이상, 27.0mm 이하이며, 15.0mm 이상, 26.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mm 이상, 25.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5mm 이상, 35mm 이하이며, 17.5mm 이상, 3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mm 이상, 3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형상이나 치수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필터 여재(濾材)의 형상이나 치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축 방향의 길이 120mm당의 통기 저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40mmH2O 이상, 300mmH2O 이하이며, 70mmH2O 이상, 280mmH2O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mmH2O 이상, 260mmH2O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통기 저항은, ISO 표준법(ISO6565)에 따라, 예를 들면 세루리안사제 필터 통기 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통기 저항은, 필터 세그먼트(122)의 측면에 있어서의 공기의 투과가 실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쪽의 단면(제1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단면(제2 단면)에 소정의 공기 유량(17.5cc/min)의 공기를 흘렸을 때의, 제1 단면과 제2 단면의 기압 차를 가리킨다. 통기 저항의 단위는, 일반적으로는 mmH2O로 나타낼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통기 저항과 필터 세그먼트(122)의 길이의 관계는, 통상 실시하는 길이 범위(길이 5mm~200mm)에 있어서는 비례 관계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 필터 세그먼트(122)의 길이가 2배가 되면, 그 통기 저항도 2배가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122)에 있어서의 필터 여재의 밀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10g/cm3 이상, 0.25g/cm3 이하이며, 0.11g/cm3 이상, 0.24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g/cm3 이상, 0.23g/cm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122)는, 강도 및 구조 강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필터 여재 등을 권장하는 권취지(필터 플러그 권취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권취지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렬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이음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어 되고, 또한 그 핫멜트 접착제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122)가 2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권취지는, 이들 2 이상의 세그먼트를 함께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122)에 있어서의 권취지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권취지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20μm 이상, 140μm 이하이며, 30μm 이상, 13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μm 이상, 1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권취지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20gsm 이상, 100gsm 이하이며, 22gsm 이상, 95g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gsm 이상, 90gs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지는, 코팅되어 있어도, 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강도나 구조 강성 이외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원하는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122)가, 센터 홀 세그먼트 및 필터 여재를 포함하는 경우, 센터 홀 세그먼트 및 필터 여재는 예를 들면 아우터 플러그 래퍼(외측 권취지)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아우터 플러그 래퍼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종이일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부(110)와, 냉각 세그먼트(121)와, 접속된 센터 홀 세그먼트 및 필터 여재는,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접속은,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의 내측면에 아세트산 바이닐계 풀(糊) 등의 풀을 바르고, 담배 로드부(110), 냉각 세그먼트(121), 및 접속된 센터 홀 세그먼트 및 필터 여재를 넣고 감음으로써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복수의 라이닝 페이퍼로 복수회로 나누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필터 여재는, 젤라틴 등의 파쇄 가능한 외각(外殼)을 포함하는 파쇄 가능한 첨가제 방출 용기(예를 들면, 캡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캡슐(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첨가제 방출 용기」라고도 불린다)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태양을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젤라틴 등의 파쇄 가능한 외각을 포함하는 파쇄 가능한 첨가제 방출 용기로 할 수 있다. 캡슐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파괴성(易破壞性)의 캡슐이어도 되고, 그 형상은 구(球)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에 포함되는 첨가제로서는, 상술한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특히, 향미제나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제로서, 연기를 여과하는데 일조하는 1종류 이상의 재료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액체 또는 고체이다. 또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캡슐의 사용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주지이다. 이파괴성의 캡슐 및 그 제조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 주지이다.
향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멘톨, 스페어민트, 페퍼민트, 호로파, 또는 클로브, 중쇄 지방산 트라이글리세라이드(MCT) 등이어도 된다. 향미제는, 멘톨이다, 또는 멘톨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122)의 필터 여재에는 향료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 여재에 향료가 첨가되어 있음으로써, 담배 로드부(110)를 구성하는 담배 충전물에 향료를 첨가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시의 향료의 딜리버리량이 증대한다. 향료의 딜리버리량의 증가의 정도는, 냉각 세그먼트(121)에 설치되어 있는 개공의 위치에 따라 더 증대한다. 필터 여재에 대한 향료의 첨가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향료의 첨가 대상의 필터 여재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첨가하면 된다. 향료의 첨가량으로서는, 필터 여재의 10~100체적%의 부분에 첨가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그 첨가 방법으로서는, 필터 세그먼트의 구성 전에 미리 필터 여재에 첨가해도 되고, 필터 세그먼트의 구성 후에 첨가해도 된다. 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담배 충전물(111)에 포함되는 향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필터 세그먼트(122)는, 필터 여재를 포함하고, 그 필터 여재의 적어도 일부에는,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 여재에 대한 활성탄의 첨가량은, 담배 스틱 1개에 있어서, 활성탄의 비표면적×활성탄의 중량/필터 여재의 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적의 값으로서 15.0m2/cm2 이상, 80.0m2/cm2 이하여도 된다. 상기의 「활성탄의 비표면적×활성탄의 중량/필터 여재의 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적」을, 편의상, 「단위 단면적 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 단위 단면적 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담배 스틱 1개가 가지는 필터 여재에 첨가되는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첨가된 활성탄의 중량, 필터 여재의 단면적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은 그것이 첨가되는 필터 여재 중에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필터 여재의 모든 단면(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의 범위를 만족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단위 단면적 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17.0m2/c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m2/cm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77.0m2/c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3.0m2/c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예를 들면,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그 첨가량, 필터 여재의 통기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단위 단면적 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의 산출은,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는 필터 여재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다. 필터 세그먼트(122)가 복수의 필터 여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는 필터 여재만의 단면적, 길이를 기준으로 한다.
활성탄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무, 대나무, 야자껍질, 호두껍데기, 석탄 등을 원재료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탄으로서는, BET 비표면적이, 1100m2/g 이상, 160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00m2/g 이상, 150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250m2/g 이상, 138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BET 비표면적은, 질소 가스 흡착법(BET 다점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으로서는, 그 세공 용적이 400μL/g 이상, 80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μL/g 이상, 75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600μL/g 이상, 70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세공 용적은, 질소 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최대 흡착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활성탄이 첨가된 필터 여재의 통기 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활성탄의 첨가량이, 5mg/cm 이상, 50mg/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mg/cm 이상, 40mg/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g/cm 이상, 35mg/c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비표면적, 활성탄의 첨가량이 상기의 범위임으로써,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을 원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으로서는, 활성탄 입자의 누적 10체적% 입자 지름(입자 지름 D10)이 250μm 이상, 1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탄 입자의 누적 50체적% 입자 지름(입자 지름 D50)은 350μm 이상, 1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지름 D10 및 D50는,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 측정에 적합한 장치로서, 호리바세이사쿠쇼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지름 분포 측정 장치 「LA-950」을 들 수 있다. 이 장치의 셀 내에, 분말이 순수와 함께 흘려 넣어지고, 입자의 광산란 정보에 근거하여, 입자 지름이 검출된다.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 모드: 매뉴얼 플로모식 셀 측정
분산매: 이온 교환수
분산 방법: 초음파 1분 조사(照射) 후에 측정
굴절률: 1.92-0.00i(시료 굴절)/1.33-0.00i(분산매 굴절률)
측정 회수: 시료를 바꾸어 2회 측정
또한, 필터 세그먼트(122)의 필터 여재에 활성탄을 첨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활성탄의 첨가 대상의 필터 여재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첨가하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담배 스틱(100)은, 칩 페이퍼(130)의 외면(外面)의 일부에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립 릴리스 재료는, 사용자가 담배 스틱(100)의 마우스피스부(120)를 입으로 물었을 때에, 입술과 칩 페이퍼(130)의 사이의 접촉이 실질적으로 점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립 릴리스 재료는,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칩 페이퍼(130)의 외면에 대하여, 에틸셀룰로오스계, 혹은, 메틸셀룰로오스계의 잉크를 도공(塗工)함으로써 칩 페이퍼(130)의 외면을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코팅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칩 페이퍼(130)의 립 릴리스 재료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부(120)를 물었을 때에, 해당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하는 소정의 흡구 영역에 적어도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칩 페이퍼(130)에 있어서의 외면 중,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된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도 1을 참조)은, 마우스피스부(120)의 흡구단(101)으로부터 통기 구멍(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담배 스틱(100)의 1개당의 장축(長軸) 방향의 통기 저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흡입 용이성의 관점에서, 통상 8mmH2O 이상이며, 10mmH2O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mmH2O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100mmH2O 이하이며, 80mmH2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mmH2O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기 저항은, ISO 표준법(ISO6565: 2015)에 따라, 예를 들면 세루리안사제 필터 통기 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통기 저항은, 담배 스틱(100)의 측면에 있어서의 공기의 투과가 실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쪽의 단면(제1 단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단면(제2 단면)으로 소정의 공기 유량(17.5cc/min)의 공기를 흘렸을 때의, 제1 단면과 제2 단면과의 기압 차를 가리킨다. 단위는, 일반적으로는 mmH2O로 나타낸다. 통기 저항과 담배 스틱(100)의 관계는, 통상 실시하는 길이 범위(길이 5mm~200mm)에 있어서는 비례 관계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 담배 스틱(100)의 길이가 2배가 되면, 그 통기 저항도 2배가 된다.
봉상(棒狀)의 담배 스틱(100)은, 이하와 같이 정의되는 애스펙트비가 1 이상인 형상을 만족하는 주상(柱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스펙트비=h/w
w는,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선단(102)의 폭, h는 축 방향의 길이이며, h≥w인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스틱(100)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각, 둥근 모서리 다각, 원, 또는 타원 등이어도 된다.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폭 w는, 담배 스틱(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는 직경, 타원형인 경우는 장경(長徑), 다각형 혹은 둥근 모서리 다각인 경우는 외접원(外接圓)의 직경 혹은 외접 타원의 장경이다. 담배 스틱(100) 축 방향의 길이 h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 40mm 이상이며, 4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100mm 이하이며, 9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의 폭 w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 5mm 이상이며, 5.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 10mm 이하이며, 9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담배 스틱(100)의 길이에 있어서의, 냉각 세그먼트(121) 및 필터 세그먼트(122)의 길이의 비율(냉각 세그먼트:필터 세그먼트)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향료의 딜리버리량이나 적절한 에어로졸 온도의 관점에서, 통상 0.60~1.40:0.60~1.40이며, 0.80~1.20:0.8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85~1.15:0.85~1.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0~1.10:0.90~1.1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95~1.05:0.95~1.0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냉각 세그먼트(121) 및 필터 세그먼트(122)의 길이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냉각 효과, 생성된 증기 및 에어로졸이 냉각 세그먼트(121)의 내벽에 부착하는 것에 의한 로스를 억제하는 효과, 및 필터의 공기량 및 향미의 조정 기능의 밸런스가 잡혀, 양호한 향미 및 향미의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
다음으로, 담배 스틱(100)과 함께 사용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는, 담배 스틱(100)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장치이며, 담배 스틱(100)과 조합됨으로써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을 구성하고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외관 사시도이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작동, 비작동을 전환 가능한 조작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작동시에 담배 스틱(100)의 담배 충전물(111)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가열함으로써 담배 충전물(111)로부터 향미 성분을 방출시킨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는, 해당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내부 구성 요소를 수용함과 함께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11)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12는 하우징(11)의 상면 패널부, 부호 13은 하우징(11)의 저면 패널부, 부호 14는 하우징(11)의 측면 패널부이다. 단,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상하 좌우의 각 방향에 관한 언급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가리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1)을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유리 충전 나일론 등)에 의해 제작되어도 되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제작되어도 된다. 또한,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상면 패널부(12)에는, 슬라이드식의 개폐 뚜껑(15)이 장착되어 있다. 개폐 뚜껑(15)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상면 패널부(12)에 개구하는 삽입구(도 4, 6 등에 부호 5A로 나타낸다)를 개폐할 수 있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삽입구는, 원형 모양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담배 스틱(100)을 삽발 자유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에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LED 등의 인디케이터(17)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된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하우징(11) 내에 수용된 일부의 부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하우징(11) 내에는, 히터 유닛(20), 제어부(30), 전원(40) 등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각 요소의 위치, 하우징 내에 차지하는 범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히터 유닛(20)은, 작동시에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가열식의 중공관 히터(21)를 가지는 유닛이다. 전원(40)은, 중공관 히터(21)나 인디케이터(17) 등에 대하여 작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며, 이들과 전기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40)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 니켈 전지, 알칼리 전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CPU, 메모리 등을 가지는 컴퓨터이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 전체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예를 들면, CPU, 메모리, 입출력 회로, 타이머 회로 등을 IC 칩에 실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여도 된다. 제어부(30)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작동시에, 전원(40)으로부터 중공관 히터(21)에 전력을 공급하고, 중공관 히터(21)에 의해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를 가열하는 가열 제어를 실시한다.
히터 유닛(20)은, 담배 스틱(100)을 삽입 가능한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도록 규정된 중공관 형태를 가지는 중공관 히터(21) 외에, 해당 중공관 히터(21)의 외주 측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덮는 열 절연체(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열 절연체(22)는,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에 의한 발열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외부에 전해지는 열을 저감시키는데 기여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2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21)의 분해도이다. 히터 유닛(20)에 있어서의 중공관 히터(21)는, 도 5~도 7에 나타내듯이, 삽입 통부(5), 챔버관(管)(6), 및 플러그 부재(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부호 CL은, 중공관 히터(21)의 중심축이다. 이하에서는, 중공관 히터(21)의 중심축(CL)을 따른 방향의 단면을 「종단면」으로 하고, 중심축(CL)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횡단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중공관 히터(21)의 삽입 통부(5)는,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 부재이며, 그 상단(上端)에 형성된 개구단(開口端)이 삽입구(5A)로서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5A)는, 담배 스틱(100)을 중공관 히터(21) 내(가열 챔버 내)에 대하여 취출 자유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관(6)의 사시도이다. 챔버관(6)은, 상단(6A)이 개구단으로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중공 통 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중공의 가열 챔버(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가열 챔버(60)를 삽입구(5A)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챔버관(6)의 상단(6A)은, 삽입 통부(5)의 하단(下端)(5B)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삽입 통부(5) 및 챔버관(6)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챔버관(6)의 하단에는 저벽(底壁)(64)이 형성되어 있고, 저벽(64)의 평면 중앙에는 개구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챔버관(6)은, 상단(6A) 측에 위치하는 접속 통부(61), 해당 접속 통부(61)의 하방에 위치하는 협착 통부(62), 협착 통부(62)의 하방에 위치하는 압축 통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속 통부(61)의 상단(6A)에는, 해당 접속 통부(61)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재하는 환상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환상 플랜지는 삽입 통부(5)의 하단(5B)에 있어서의 단면(端面)에 결합된다. 또한, 챔버관(6)의 접속 통부(61)는, 개략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그 내경이 삽입 통부(5)에 있어서의 하단(5B)의 내경과 동일하다.
도 8 등에 나타내듯이, 챔버관(6)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는, 횡단면이 개략 장원(長圓)형(타원형)을 가지는 중공 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챔버관(6)에 있어서의 협착 통부(62)는, 접속 통부(61)와 접속되는 상단이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압축 통부(63)와 접속되는 하단이 개략 장원(타원) 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챔버관(6)에 있어서의 협착 통부(62)는, 그 단면 형상이 해당 협착 통부(62)의 축 방향을 따라 서서히 변화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챔버관(6)에 있어서의 협착 통부(62)는, 챔버관(6)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협착 통부(62)의 하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끝이 좁아지는 한 쌍의 협착 벽부(62A, 62A)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한 쌍의 협착 벽부(62A, 62A)에 의해 협착 통부(62)의 횡단면 형상이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경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플러그 부재(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부재(7)는, 챔버관(6)(압축 통부(63))의 저벽(64)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부재(7)의 사시도이다. 플러그 부재(7)는, 챔버관(6)(압축 통부(63))의 저벽(64)에 장착되었을 때에, 저벽(64)의 내면(內面)을 따르도록 하여 가열 챔버(60) 측에 자리매김되는 본체부(71)와, 본체부(71)의 하면(71A) 측에 돌설(突設)된 돌출부(72)와, 본체부(71)의 상면(71B)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설된 일조의 대좌부(臺座部)(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71)는, 압축 통부(63)의 내측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플러그 부재(7)의 돌출부(72)는, 계단식 원주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단부(基端部)(721)의 직경은 저벽(64)의 개구부(64A)보다도 약간 작고, 개구부(64A)를 삽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부재(7)가 압축 통부(63)의 저벽(6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72)는 저벽(64)의 개구부(64A)를 통하여 가열 챔버(60)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가 된다.
플러그 부재(7)에 있어서의 일조의 대좌부(73)는, 가열 챔버(60)의 횡단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고, 쌍방의 사이에는 간극(SP1)이 형성되어 있다. 각 대좌부(73)의 상면은, 담배 스틱(100)을 삽입구(5A)로부터 중공관 히터(21) 내(가열 챔버(60) 내)로 삽입했을 때에,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을 당접시킴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용 저면(73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대좌부(73)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은 평탄하고, 가열 챔버(60) 내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에 자리매김되어 있다. 가열 챔버(60)에 삽입된 담배 스틱(100)은,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이 각 대좌부(73)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한 시점에서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즉,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 각 대좌부(73)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의 위치(규정 위치)는, 가열 챔버(60)의 가장 안쪽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담배 스틱(100)이 가열 챔버(60)의 가장 안쪽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은, 일조의 대좌부(73) 간에 형성된 간극(SP1)의 상부를 넘도록 재치된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를 사용하여 담배 스틱(10)을 흡인할 때에 있어서, 삽입구(5A)로부터 중공관 히터(21)의 가열 챔버(6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중공관 히터(21)의 내벽면과 담배 스틱(10)의 간극을 통하여 가열 챔버(60)의 저부 측까지 도입된 후, 간극(SP1)을 통하여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으로부터 담배 로드부(110)의 내부로 도입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챔버관(6)은, 압축 통부(63)의 적어도 일부에 히터 영역(RH)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 통부(63)의 히터 영역(RH)은, 가열 챔버(60)에 삽입된 담배 스틱(100) 중, 적어도 담배 로드부(110)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기 위한 발열 영역이며,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 소자(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제외한 다른 도면에 대하여, 히터 소자(23)의 도시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히터 영역(RH)에 설치되는 히터 소자(23)는, 전원(40)으로부터 작동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열하는 소자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압축 통부(63)의 히터 영역(RH)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관이며, 해당 금속관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금속 박막 히터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금속 박막 히터는, 발열체에 금속 박막을 사용함과 함께 유연성을 가지는 면상(面狀) 발열 히터이다. 또한, 압축 통부(63)의 히터 영역(RH)에는, 금속 박막 히터를 대신하여 필름 히터가 금속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필름 히터는, 예를 들면,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과 가열 요소의 일례인 히팅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겹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히터 소자(23), 2층의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의 사이에 히팅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배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절연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이며, 히팅 트랙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일 수 있다. 또한, 압축 통부(63)의 히터 영역(RH)은,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세라믹 재료로서는, 알루미나,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세라믹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이 적층되어 소결(燒結)되어 있어도 된다.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제어부(30)가 중공관 히터(21)의 가열 제어를 실시할 때, 전원(4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중공관 히터(21)의 가열 벽부(RH)에 설치된 히터 소자가 통전됨으로써, 가열 벽부(RH)가 발열하고, 그 결과, 가열 챔버(60) 내에 삽입된 담배 스틱(100)의 담배 로드부(110)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대락 전 구간에 걸쳐 히터 소자(23)가 배치됨으로써, 해당 구간에 걸쳐 가열 벽부(RH)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으로부터, 대좌부(73)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 압축 통부(63)의 외주면을 덮도록 히터 소자(23)가 설치됨으로써 해당 영역에 가열 벽부(RH)가 형성되어 있다. 단, 압축 통부(63)에 설치되는 히터 소자(23)의 설치 태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열 벽부(RH)는, 압축 통부(63)의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범위보다도 더 짧은 구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히터 소자(23)는, 압축 통부(63)의 외주 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히터 소자(23)는, 압축 통부(63)의 벽체 내부에 매설되어 있어도 되고, 내주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11은, 도 6에 나타내는 중공관 히터(21)의 A-A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A-A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나타내는 중공관 히터(21)의 B-B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B-B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공관 히터(21)의 A-A 횡단면은 삽입 통부(5)의 횡단면에 대응하고, B-B 횡단면은 챔버관(6)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의 횡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는, 가열 챔버(60)에 대한 담배 스틱(100)의 삽입시에, 적어도 담배 로드부(110)를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이라고 단순히 언급하는 경우에는, 원형(原形) 시(압축 통부(63)에 의한 압축 전)에 있어서의 직경을 의도하는 것이며, 압축 통부(63)에 의한 압축 후에 있어서의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을 의도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명기하는 것으로 한다.
중공관 히터(21)의 삽입 통부(5)는, 그 내공 횡단면적이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 통부(5)의 내경은,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보다도 상대적으로 크다. 도 6의 A-A 횡단면에 나타내는 부호 L1은, 중공관 히터(21)의 삽입 통부(5)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담배 스틱(100)의 횡단면 방향의 외형(윤곽)을 나타낸다. 도시와 같이, 삽입 통부(5)에 있어서의 내벽면(50)과 담배 스틱(100)의 윤곽(L1)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담배 스틱(100)을 삽입구(5A)로부터 삽입할 때, 담배 스틱(100)을 원활히 가열 챔버(60)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챔버(60)에 담배 스틱(100)을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삽입 통부(5)의 내벽면(50)과 담배 스틱(100)의 간극을 공기 유로로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중공관 히터(21)의 압축 통부(63)는, 상기와 같이 개략 장원(타원) 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도 6의 B-B 내공 횡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내공 횡단면은 개략 장원 형상(타원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압축 통부(63)는, 해당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협지 벽부(631, 631)와, 각 협지 벽부(631, 631)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한 쌍의 원호(圓弧) 벽부(632, 6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의 내벽면(631A, 631A)은,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원호 벽부(632, 632)의 내벽면(632A, 632A)에 대해서도,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에 있어서의 내벽면(631A, 631A)끼리의 간격을 「협지 벽면간 거리(D1)」라고 한다. 협지 벽면간 거리(D1)는,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B-B 내공 횡단면도에 있어서, 담배 스틱(100)의 원형시에 있어서의 횡단면 방향의 외형(윤곽)을 부호 L2로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횡단면적은, 압축 통부(63)의 내공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압축 통부(63)에 삽입된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가 압축 통부(63)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대향하는 협지 벽부(631, 631)의 협지 벽면간 거리(D1)는,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공관 히터(21)의 압축 통부(63)에 담배 스틱(100)이 삽입되었을 때, 담배 스틱(100)은,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에 있어서의 내벽면(631A, 631A)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공관 히터(21)의 압축 통부(63)에 담배 스틱(100)이 삽입되었을 때, 한 쌍의 원호 벽부(632, 632)의 내벽면(632A, 632A)과, 담배 스틱(100)의 주면(周面)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는 사양으로 되어 있지만, 내벽면(632A, 632A)이 담배 스틱(100)의 주면과 당접하는 사양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압축 통부(63)의 협지 벽면간 거리(D1)는, 개략 장원(타원) 형상을 가지는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내공 횡단면의 단축(短軸)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또한,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내공 횡단면의 장축(長軸)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내공 횡단면의 장축 치수가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과 동일하다. 단,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내공 횡단면의 장축 치수는, 담배 스틱(100)(담배 로드부(110), 마우스피스부(120))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가열 챔버(60)에, 담배 스틱(100)을 규정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된 담배 스틱(100)은,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이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대좌부(73)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 즉 가열 챔버(60)의 저면에 당접한 상태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듯이,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까지 담배 스틱(100)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의 위치(높이)가 삽입구(5A)의 위치(높이)와 합치(合致)하고 있다.
또한,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상단으로부터 대좌부(7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도달할 때까지의 압축 통부(63)의 축 방향 길이는, 담배 로드부(110)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 따라서, 중공관 히터(21) 내에 있어서의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된 담배 스틱(100)은, 담배 로드부(110) 전체와 마우스피스부(120)의 일부가 압축 통부(63)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담배 로드부(110) 전체와 마우스피스부(120)의 일부가,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에 있어서의 내벽면(631A, 631A) 간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이들이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조작 버튼이 소정의 온(on)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30)는 전원(40)으로부터 중공관 히터(21)로 전력 공급을 개시시켜,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를 가열하는 가열 제어가 개시된다. 가열 제어가 개시되면,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의 가열 벽부(RH)에 설치된 히터 소자(23)가 통전됨으로써 가열 벽부(RH)가 발열한다. 이에 의해, 담배 스틱(100)의 담배 로드부(110)에 포함되는 담배 충전물(111)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가열하고, 에어로졸 생성 기재와 담배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공관 히터(21)의 압축 통부(63)는, 그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이 가열 벽부(RH)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압축 통부(63)(가열 벽부(RH))에 의해 담배 로드부(110)를 압축한 상태로 해당 담배 로드부(110)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담배 로드부(110)를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 가열함으로써, 가열 벽부(RH)(히터 소자(23))의 발열을 효율적으로 담배 로드부(110)의 담배 충전물(111)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담배 로드부(110)의 담배 충전물(111)이 효율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에어로졸 및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는, 담배 충전물(111)이 담배살을 랜덤으로 배향한 상태로 권지(112)에 의해 권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담배 로드부(110)의 횡단면에 있어서 담배살이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배치되고, 담배살끼리의 사이의 간극부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 통부(63)로의 삽입에 따라 담배 로드부(110)가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되어도, 흡인시의 통기 저항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흡인시의 통기 저항의 담배 스틱(100)마다의 편차가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담배 스틱(100)의 향끽미(香喫味)에 대하여 안정된 품질의 담보에 이바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담배 스틱(100), 및, 이를 구비한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에 의하면, 담배 스틱(100)의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량의 확보와, 통기 저항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의 횡단면적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98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담배 로드부(110)의 직경은,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에 있어서의 내벽면(631A, 631A)끼리의 간격에 대하여 105% 이상 200% 이하의 치수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9% 이상 140% 이하의 치수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하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시에 있어서, 가열 벽부(RH)(히터 소자(23))의 발열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담배 로드부(110)의 담배 충전물(111)에 전달시켜, 담배 충전물(111)을 한층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담배 로드부(110)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을 기준으로 하여 60%를 밑도는 경우에는, 압축 통부(63)로의 삽입시에 담배 로드부(110)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압축 통부(63)로의 삽입시에 권지(112)가 찢어져 버리거나, 담배 로드부(110)의 통기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에 기인하여 흡인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시에 담배 로드부(110)에 있어서 생성된, 에어로졸 생성 기재와 담배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증기는, 담배 로드부(110)로부터 마우스피스부(120) 냉각 세그먼트(121)에 유입되고, 통기 구멍(103)으로부터 냉각 세그먼트(121)의 공동 내로 취입된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냉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담배 로드부(110)로부터 유입되는 성분이나 공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기재의 증기가 냉각 세그먼트(121)에서 냉각됨으로써 액화하여, 에어로졸의 생성이 촉진된다. 그리고,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은, 필터 세그먼트(122)를 통과한 후, 흡구단(101)으로부터 구강 내로 흡인된다.
상기와 같이, 담배 스틱(100)을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담배 로드부(110)의 전체 및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의 일부가 압축 통부(63)의 내벽면(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에 있어서의 내벽면(631A, 631A))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시에 있어서, 담배 스틱(100)의 담배 로드부(110)뿐만 아니라,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도 압축 통부(63)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한 상태로 가열함으로써,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의 내벽에 증기나 에어로졸이 부착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부(120)의 횡단면적은, 압축 통부(63)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98%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증기나 에어로졸의 부착 억제 효과를 더 현저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부(120)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을 기준으로 하여 60%를 밑도는 경우에는, 압축 통부(63)로의 삽입시에 마우스피스부(120)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압축 통부(63)로의 삽입시에 마우스피스부(120)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압축 통부(63)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부(120)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을 기준으로 하여 99%를 웃도는 경우에는, 마우스피스부(120)와 중공관 히터(21)와의 밀착성이 저하하고, 마우스피스부(120)의 내벽에 증기나 에어로졸이 부착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담배 스틱(100)은,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중공관 히터(21)의 가열 챔버(60)에 삽입될 때, 압축 통부(63)에 있어서의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와의 접촉에 의해 저항을 받으면서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까지 삽입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하기 전부터 협지 벽부(631, 631)와의 접촉에 의해 삽입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한 순간을 담배 스틱(100)의 삽입 저항의 변화로부터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담배 스틱(100)은, 담배 로드부(11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까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에 설치되는 통기 구멍(103)의 위치(높이)가, 가열 챔버(60)의 삽입구(5A)의 위치(높이)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가열 챔버(60)로의 담배 스틱(100)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의 위치(높이)와 삽입구(5A)의 위치(높이)와의 상대 위치에 근거하여, 삽입 동작의 멈춤 시기를 시각(視覺)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가열 챔버(60)로의 담배 스틱(100)의 삽입시에, 통기 구멍(103)의 위치를 표식으로서 이용하고, 해당 통기 구멍(103)의 위치(높이)가 삽입구(5A)의 위치(높이)에 합치한 것을 시각에 의해 확인한 시점에서,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한 순간을, 담배 스틱(100)의 삽입 저항의 변화에 의거하지 않고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중공관 히터(21)에 담배 스틱(100)을 삽입할 때,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의 위치가 삽입구(5A)의 높이에 합치할 때까지 담배 스틱(10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담배 스틱(100)을 규정 위치까지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담배 스틱(100)이 규정 위치에 삽입된 타이밍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상태로부터 담배 스틱(100)을 가열 챔버(60) 내로 더 밀어넣으려고 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담배 스틱(100)이 도중에 좌굴하거나 축 방향으로 찌그러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공관 히터(21)의 가열 챔버(60)에 담배 스틱(100)을 삽입할 때, 사용자가, 담배 스틱(100)과 협지 벽부(631, 631)의 접촉에 의한 삽입 저항을,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위치 결정용 저면(731)에 당접한 것과 혼동하여, 규정 위치보다도 앞에서 담배 스틱(100)의 삽입 동작을 멈추어 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부(120)의 냉각 세그먼트(121)에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 구멍(103)은, 냉각 세그먼트(121)의 상류 측(담배 로드부(110) 측)에 위치하는 편이, 담배 스틱(100)의 흡인시에 가열된 담배 충전물(111)로부터 방출된 휘발 성분의 증기 등의 냉각 효과가 크다. 한편, 담배 스틱(100)의 흡인시에 있어서 통기 구멍(103)이 가열 챔버(60) 내(삽입구(5A)보다도 하방에서 중공관 히터(21)의 벽면에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면, 흡인시에 통기 구멍(10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 내로 원활히 도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담배 스틱(100)은,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까지 담배 스틱(10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부(120)(냉각 세그먼트(121))의 통기 구멍(103)의 위치(높이)가 가열 챔버(60)의 삽입구(5A)의 위치(높이)와 합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흡인시에 있어서의 냉각 세그먼트(121) 냉각 효과와, 통기 구멍(103)을 통한 외기의 취입 효율을 양립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흡인시에 있어서의 냉각 세그먼트(121) 냉각 효과와, 통기 구멍(103)을 통한 외기의 취입 효율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통기 구멍(103)의 위치와, 가열 챔버(60)의 삽입 깊이를 최적인 상대 관계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담배 스틱(100)은, 마우스피스부(120)의 흡구단(101)으로부터 통기 구멍(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립 릴리스 영역(R1)(도 1, 도 14 등을 참조)에 있어서, 칩 페이퍼(130)의 외면에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립 릴리스 재료가 배치되는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을, 담배 로드부(110)(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 가장 안쪽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적어도 압축 통부(63)의 가열 벽부(RH)보다도 삽입구(5A)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하도록 했다. 이에 의하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에 있어서의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에 따라 압축 통부(63)의 가열 벽부(RH)가 발열했을 때,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의 립 릴리스 재료가 가열 벽부(RH)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담배 스틱(100)의 향끽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이 립 릴리스 재료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을, 마우스피스부(120)의 흡구단(101)으로부터 통기 구멍(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하도록 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부(120)의 통기 구멍(103)은, 담배 스틱(100)의 선단(102)이 가열 챔버(60)의 규정 위치(위치 결정용 저면(731), 가장 안쪽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가열 챔버(60)의 삽입구(5A)의 위치(높이)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담배 스틱(100)에 있어서의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담배 스틱(100)을 가열 챔버(60)의 가장 안쪽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R1)을 압축 통부(63)의 가열 벽부(RH)에 비하여 보다 확실하게 삽입구(5A) 측에 자리 매김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主旨)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1)의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는, 그 횡단면적이 담배 스틱(100)의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면, 그 구체적인 태양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축 통부(63)가 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대치하는 한 쌍의 협지 벽부(631, 6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비평행의 벽부간에 담배 스틱(100)을 협지함으로써 압축 통부(63)에 삽입되는 담배 스틱(100)을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하는 태양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중공관 히터(21)에 있어서의 압축 통부(63)는, 담배 스틱(100)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내경을 가지는 원통체여도 된다. 이 경우, 챔버관(6)에 있어서의 접속 통부(61)와 압축 통부(63)의 사이에 위치하는 협착 통부(62)는, 접속 통부(61)와 접속되는 상단 측으로부터 압축 통부(63)와 접속되는 하단 측을 향하여 서서히 내경이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縮徑)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어느 쪽의 태양에 있어서도, 압축 통부(63)의 내벽면에 의해, 담배 스틱(100)을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할 수 있으며, 중공관 히터(21)의 작동시에 있어서 담배 스틱(100)의 압축 가열이 가능해진다.
1…전기 가열식 디바이스
5…삽입 통부
6…챔버관
11…하우징
20…히터 유닛
21…중공관 히터
5A…삽입구
60…가열 챔버
61…접속 통부
62…협착 통부
63…압축 통부
RH…가열 벽부
100…담배 스틱
103…통기 구멍
110…담배 로드부
120…마우스피스부
121…냉각 세그먼트
122…필터 세그먼트
130…칩 페이퍼
631…협지 벽부

Claims (17)

  1.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상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으로서,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은,
    담배살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과 해당 담배 충전물을 권장(卷裝)하는 권지(卷紙)를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상기 담배 로드부와 함께 칩 페이퍼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상기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
    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는,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삽입 가능한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도록 규정된 중공관 히터를 가지고,
    상기 중공관 히터는,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의 삽입시에,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압축하기 위한 압축 통부(筒部)와,
    상기 압축 통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벽부(壁部)
    를 가지고,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의 내공(內空)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위치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先端)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 챔버의 삽입구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정 위치는, 상기 가열 챔버의 가장 안쪽 위치인,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칩 페이퍼의 외면(外面)의 일부가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被覆)되어 있고,
    상기 칩 페이퍼에 있어서의 외면 중, 상기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된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가열 벽부보다도 상기 삽입구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있어서의 흡구단(吸口端)과 상기 통기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인,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통부는, 상기 압축 통부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한 쌍의 대향(對向)하는 협지(挾持)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협지 벽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협지 벽부의 내벽면은 평행으로 대치하여 배치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직경은, 상기 한 쌍의 협지 벽부에 있어서의 내벽면끼리의 간격에 대하여 105% 이상 200% 이하의 치수로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을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전체 및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일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11.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고, 해당 전기 가열식 디바이스의 가열 챔버를 내부에 형성하도록 규정된 중공관 히터 내에 삽입된 상태로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되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으로서,
    담배살을 포함하는 담배 충전물과 해당 담배 충전물을 권장하는 권지를 가지는 담배 로드부와,
    상기 담배 로드부와 함께 칩 페이퍼에 의해 권장됨으로써 상기 담배 로드부와 동일 축에 연결된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
    을 구비하고,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중공관 히터의 압축 통부로서 상기 담배 로드부를 외주 측으로부터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벽부를 가지는 압축 통부의 내공 횡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압축 통부에 삽입된 상기 담배 로드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설치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위치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가열 챔버의 삽입구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규정 위치는, 상기 가열 챔버의 가장 안쪽 위치인,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칩 페이퍼의 외면의 일부가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상기 칩 페이퍼에 있어서의 외면 중, 상기 립 릴리스 재료에 의해 피복된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담배 로드부의 선단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기 가열 벽부보다도 상기 삽입구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있어서의 흡구단과 상기 통기 구멍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인,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길이는, 상기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이 상기 가열 챔버의 규정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담배 로드부의 전체 및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일부가 상기 압축 통부의 내벽면에 의해 압축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압축 통부로의 삽입 후에 있어서의 횡단면적이 삽입 전에 비하여 60% 이상 99%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KR1020237027032A 2021-02-12 2021-02-12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KR20230132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05151 WO2022172387A1 (ja) 2021-02-12 2021-02-12 非燃焼加熱式たばこ製品及び非燃焼加熱式たばこスティ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504A true KR20230132504A (ko) 2023-09-15

Family

ID=828385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032A KR20230132504A (ko) 2021-02-12 2021-02-12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KR1020237027031A KR20230132503A (ko) 2021-02-12 2021-10-29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031A KR20230132503A (ko) 2021-02-12 2021-10-29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380492A1 (ko)
EP (2) EP4292448A1 (ko)
JP (2) JPWO2022172387A1 (ko)
KR (2) KR20230132504A (ko)
CN (2) CN116867386A (ko)
WO (2) WO2022172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9731A1 (ja) * 2022-10-24 2024-05-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4089730A1 (ja) * 2022-10-24 2024-05-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4089732A1 (ja) * 2022-10-24 2024-05-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4089729A1 (ja) * 2022-10-24 2024-05-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8838A1 (en) 2016-05-20 2017-11-2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in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096B2 (en) * 2003-01-30 2006-02-07 Philip Morris Usa Inc. Flow distributor of an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US20170055580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JP2017218699A (ja) 2016-06-09 2017-12-14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喫煙物品用巻紙
MX2018014054A (es) * 2016-05-31 2019-04-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rellenable.
WO2018172389A1 (en) * 2017-03-22 2018-09-27 Philip Morris Products S.A. Tapered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pered rod of aerosol-forming substrate
GB201715380D0 (en) * 2017-09-22 2017-11-0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generating material rod
EP3995005A4 (en) * 2019-07-01 2023-07-26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 HEATED TOBACCO PRODUCT AND ELECTRICALLY HEATED TOBACCO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8838A1 (en) 2016-05-20 2017-11-2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in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0500A1 (en) 2023-11-30
KR20230132503A (ko) 2023-09-15
US20230380492A1 (en) 2023-11-30
WO2022172528A1 (ja) 2022-08-18
JPWO2022172387A1 (ko) 2022-08-18
EP4292448A1 (en) 2023-12-20
WO2022172387A1 (ja) 2022-08-18
JPWO2022172528A1 (ko) 2022-08-18
CN116867386A (zh) 2023-10-10
EP4292450A1 (en) 2023-12-20
CN116867382A (zh)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72255A1 (ja) 喫煙システム
KR20230132504A (ko)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EP3881699A1 (en) Non-combustion heated smoking article and non-combustion heated smoking system
KR20220066358A (ko) 비연소 가열식 담배용 담배 충전물,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
KR20220031924A (ko)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가열식 담배 제품
KR20230132500A (ko)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JP7495976B2 (ja) 喫煙システム
WO2023127142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エアロゾル形成物品
WO2023127143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3127141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EP4268632A1 (en) Non-combustion heated tobacco and electrically-heated tobacco product
WO2023112327A1 (ja) 非燃焼型香味吸引デバイス
WO2023100295A1 (ja) 非燃焼加熱型スティック
EP4268629A1 (en) Heat-not-burn cigarette and electrically heated tobacco product
WO2023127720A1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22138015A1 (ja) 非燃焼加熱式たばこ及び電気加熱式たばこ製品
WO2023012921A1 (ja) 香味発生物品および喫煙システム
JP7445075B2 (ja) 喫煙システム、デバイスキット、消耗品、組み合わせ品、並びに末端到達感および末端到達予見感を得る方法
RU2793877C1 (ru) Табачный наполнитель для нагреваемых без сжигани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нагреваемое без сжигания табачное изделие и табачное изделие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нагревом
WO2023127827A1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23021565A1 (ja) 香味スティック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システム
KR20240074800A (ko) 비연소 가열형 스틱, 흡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