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636A -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키트, 소모품, 조합품, 및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 - Google Patents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키트, 소모품, 조합품, 및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4636A KR20240004636A KR1020237040725A KR20237040725A KR20240004636A KR 20240004636 A KR20240004636 A KR 20240004636A KR 1020237040725 A KR1020237040725 A KR 1020237040725A KR 20237040725 A KR20237040725 A KR 20237040725A KR 20240004636 A KR20240004636 A KR 202400046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vor
- generating article
- chamber
- resistance
- tobacco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3066 combination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127555 combination produ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61176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2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0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8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3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1 for examp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505 tobacco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URAYPUMNDPQOKB-UHFFFAOYSA-N triacetin Chemical compound CC(=O)OCC(OC(C)=O)COC(C)=O URAYPUMNDPQO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RLQWZUYTZBJKN-UHFFFAOYSA-N Epichlorohydrin Chemical compound ClCC1CO1 BRLQWZUYTZB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56 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ZSNKZQZMQGXPY-UHFFFAOYSA-N 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CCOCC1OC(OC)C(OCC)C(OCC)C1OC1C(O)C(O)C(OC)C(CO)O1 ZZSNKZQZMQGX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25 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49 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087 glyceryl tri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773 glyceryl tri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622 triacetin Drugs 0.000 description 3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198134 Agave sisal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240 Linum usit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431 Linum usitatissi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lass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ZCGUPFRVQAUEE-SLPGGIOYSA-N aldehydo-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GZCGUPFRVQAUEE-SLPGGI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OSGAYBCDTDRGGQ-UHFFFAOYSA-L calc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12 dispersion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55 kraft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KLJHFLUAHKGGU-UHFFFAOYSA-N nitrous amide Chemical compound ON=N XKLJHFLUAHKG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4 oxidized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08 oxidized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72 propylene glyc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2 soft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4800 succinic anhyd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67 As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09 Kieselg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34 Nicotiana ru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85205 Prenanthella exig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JHCJDRQFCCTHL-UHFFFAOYSA-N acetic acid 2,3,4,5,6-pentahydroxyhexanal Chemical compound CC(O)=O.OCC(O)C(O)C(O)C(O)C=O VJHCJDRQFCCT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CYQMQGPYWZZNJ-BQYQJAHWSA-N hydron;2-[(e)-oct-1-enyl]butanedi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CC(O)=O KCYQMQGPYWZZNJ-BQYQJAHW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68 hydroxy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76 metal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0 scatt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3 slur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7 sulfu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6 thermo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에 삽입했을 때,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쉽고,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 흡연 시스템을 얻는다.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하고,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先端)이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삽입력 A하고 하고,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삽입단(揷入端)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으로부터 수용부의 말단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比)를 제1 저항력비 B로 했을 때, A≤4.00N 및 B>1.0을 만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키트, 소모품, 조합품, 및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료를 연소하는 일 없이 향미 등을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면, 챔버의 개구(開口)부에 대응하여,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인용 문헌 1에는, 챔버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에 삽입했을 때,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쉽고,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 디바이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어렵고,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을 강하게 너무 밀어넣어, 향미 발생 물품의 변형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의 가열부에 대하여 향미 발생 물품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향미 발생 물품(특히,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에 대한 가열이 충분하게 되지 않고, 끽미(喫味)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 내의 적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쉽고,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에 삽입했을 때,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쉽고,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 흡연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흡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흡연 시스템은,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고, 향미 흡인기는, 일단(一端)에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하고,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先端)이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삽입력 A로 하고,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삽입단(揷入端)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으로부터 수용부의 말단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比)를 제1 저항력비 B로 했을 때, 다음 식(1) 및 다음 식(2)을 만족한다.
A≤4.00N…(1)
B>1.0…(2)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식(1)을 만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했을 때,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식(2)을 만족함으로써, 수용부의 말단에 접근하는 측에서의 삽입 저항의 상승감이, 말단의 접근을 감지시켜주므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수용부의 삽입단측의 소정 위치는,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 10mm의 위치여도 된다. 또한,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 5mm의 위치여도 된다. 이 경우, 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10mm~5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이며, 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5mm~0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소정 범위에 있어서 저항값이 소정량 이상 변동하는 국소 변동 영역이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저항값의 국소적인 변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저가 수용부의 말단의 접근을 감지하기 쉬워지고,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더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값과 삽입력의 비를 제2 저항력비 C로 했을 때, 다음 식(3)을 만족한다.
C≥0.8…(3)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식(3)을 만족함으로써, 삽입력에 비해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값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수용부의 말단으로의 도달의 예견에 기여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수용부의 말단 위치로부터 국소 변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거리 D로 했을 때, 다음 식(4)을 만족한다.
D≤5.0mm…(4)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식(4)을 만족함으로써,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할 때까지, 유저가 국소 변동 영역을 통과한 감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더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4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흡연 시스템은,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가열부는, 향미 흡인기에 설치되고, 향미 발생 물품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를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용부의 외주(外周)에 가열부가 배치된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워짐과 함께,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또한, 향미 흡인기에 설치된 가열부가 향미 발생 물품에 삽입되는 경우, 사용에 따라 향미 발생 물품이나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연기의 응집물 등이 가열부에 부착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감에 영향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용부의 외주에 가열부가 배치된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는, 응집물 등의 가열부로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따라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감이 변화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5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향미 발생 물품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충전부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중공(中空)의 통상부(筒狀部)와, 통상부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수용부의 삽입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향미 발생 물품을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서 제6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수용부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압압(押壓)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하는 이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접촉부에 의해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압압함으로써,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을 압축하여 보지(保持,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서는, 디바이스 키트가 제공된다. 이 디바이스 키트는, 제1 형태에서 제7 형태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와, 제1 형태에서 제7 형태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발생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디바이스 키트에 포함되는 향미 흡인기에, 이 향미 흡인기에 사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을 적용한 경우에,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워짐과 함께, 또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서는, 소모품이 제공된다. 이 소모품은, 제1 형태에서 제7 형태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발생 물품과, 제1 형태에서 제7 형태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의하면, 소모품에 포함되는 향미 발생 물품에, 이 향미 발생 물품에 사용되는 향미 흡인기를 적용한 경우에,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워짐과 함께, 또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서는, 소모품과 디바이스 키트의 조합품이 제공된다. 이 조합품은, 제1 형태에서 제6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향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소모품과, 제1 형태에서 제6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향미 흡인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키트를 구비하고, 소모품 및 디바이스 키트의 적어도 한쪽은, 소모품 및 디바이스 키트의 다른 쪽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의하면, 디바이스 키트와 디바이스 키트의 전용품인 소모품과의 조합품에 있어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워짐과 함께, 또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는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는,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를 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삽입력 A로 하고,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삽입단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으로부터 수용부의 말단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를 제1 저항력비 B로 했을 때, 다음 식(1) 및 다음 식(2)을 만족한다.
A≤4.00N…(1)
B>1.0…(2)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의하면, 식(1)을 만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을 수용부에 삽입했을 때,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식(2)을 만족함으로써, 수용부의 말단에 접근하는 측에서의 삽입 저항의 상승감이, 말단의 접근을 감지시켜주므로,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있어서, 수용부의 삽입단측의 소정 위치는,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 10mm의 위치여도 된다. 또한, 소정 위치와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 5mm의 위치여도 된다. 이 경우, 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10mm~5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이며, 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수용부의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5mm~0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이어도 된다.
[도 1a]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 향미 발생 물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이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8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도 10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2]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도 12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4] 샘플 1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 샘플 2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샘플 3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 샘플 4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샘플 5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 샘플 6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 향미 발생 물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이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8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도 10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2]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도 12에 나타낸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4] 샘플 1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 샘플 2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샘플 3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 샘플 4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샘플 5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 샘플 6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저항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기본 구성]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X-Y-Z 직교 좌표계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 있어서, Z축은 연직(鉛直) 상방(上方)을 향하고 있고,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에서 이면(裏面)으로 연출(延出)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부(霧化部)(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 또는 챔버(50)의 축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X축은, Y축 및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포함한 향미원을 가지는 스틱형의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에서 도 1c에 나타내듯이, 향미 흡인기(100)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와, 단자(104)를 가진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바깥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유저의 손에 들어가는 사이즈를 가진다. 유저가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0)를 손으로 보지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복수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은, 수지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된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개구를 가지고, 슬라이드 커버(102)는, 이 개구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폐쇄하는 닫힘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外表面)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향미 발생 물품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부(103)는,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향미 발생 물품을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로 스위치부(103)를 조작함으로써, 도시하지 않는 가열부에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향미 발생 물품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여도 되고,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여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의 표면의 스위치부(103)를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눌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자(104)는, 향미 흡인기(100)를 예를 들면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이다. 향미 흡인기(100)가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104)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전원에 전류를 흘리고,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는, 단자(104)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와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의해 흡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111)와, 필터부(115)와 중공 필터부(116)를 포함하는 필터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중공 필터부(116)는, 필터부(115)보다도 흡연 가능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과 마우스피스부와 이들을 권장(卷裝)하여 이루어지는 칩 페이퍼 등의 제2의 권지(113)를 구비하는 봉상(棒狀)의 비연소 가열식 담배일 수 있다. 마우스피스부는, 통상 부재(114)와, 필터 세그먼트를 가진다. 필터 세그먼트는, 중공 필터부(116)와, 필터부(115)를 가진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축 방향(「장축 방향」이라고도 칭한다.)에 대하여, 냉각 세그먼트인 통상 부재(114)가, 흡연 가능물과 필터 세그먼트에 인접하여 협지되어도 된다. 또한, 통상 부재(114)에는, 통상 부재(114)의 둘레 방향으로 동심상으로 개공(V)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있어서의 통상 부재(114)에 설치되는 개공(V)은, 통상, 유저의 흡인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구멍이며, 이 공기의 유입에 의해 흡연 가능물로부터 유입되는 성분이나 공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봉상의 향미 발생 물품(110)은, 이하와 같이 정의되는 아스펙트비가 1 이상인 형상을 만족하는 주상(柱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펙트비=h/w
w는 주상체(柱狀體)의 저면(底面)의 폭(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흡연 가능물측의 저면의 폭으로 한다.), h는 높이이며, h≥w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장축 방향은 h로 나타난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만일 w≥h인 경우에 있어서도 h로 나타난 방향을 편의상 장축 방향이라고 칭한다. 저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다각, 둥근 모서리 다각, 원, 또는 타원 등이어도 되고, 폭 w는 해당 저면이 원형인 경우는 직경, 타원형인 경우는 장경(長徑), 또는 다각형 혹은 둥근 모서리 다각인 경우는 외접원의 직경 혹은 외접 타원의 장경이다.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을 권장하는 제1의 권지(112)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40mm~9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7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mm~60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장축 방향의 길이 h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 40mm 이상이며, 4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장축 방향의 길이 h는, 통상 100mm 이하이며, 9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원주(圓周)는, 15mm~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7mm~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mm~23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주상체의 저면의 폭 w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 5mm 이상이며, 5.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주상체의 저면의 폭 w는, 통상 10mm 이하이며, 9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있어서의 흡연 가능물의 길이는 18mm~22mm, 제1의 권지(112)의 길이는 18mm~22mm, 중공 필터부(116)의 길이는 7mm~9mm, 필터부(115)의 길이는 6mm~8mm여도 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장축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의, 통상 부재(114) 및 필터 세그먼트의 길이의 비율(통상 부재(114):필터 세그먼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향료의 딜리버리량이나 적절한 에어로졸 온도의 관점에서, 통상 0.60~1.40:0.60~1.40이며, 0.80~1.20:0.8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85~1.15:0.85~1.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0~1.10:0.90~1.1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95~1.05:0.95~1.0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 부재(114) 및 필터 세그먼트의 길이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냉각 효과, 생성된 증기 및 에어로졸이 통상 부재(114)의 내벽에 부착하는 것에 의한 로스를 억제하는 효과, 및 필터의 공기량 및 향미의 조정 기능의 밸런스가 잡혀, 양호한 향미 및 향미의 강도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통상 부재(114)를 길게 하면, 에어로졸 등의 입자화가 촉진되어 양호한 향미를 실현할 수 있지만, 너무 길면 통과하는 물질의 내벽으로의 부착이 발생해 버린다.
마우스피스부의 구성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축 방향에 대하여, 통상 부재(114)가, 흡연 가능물과 필터 세그먼트에 인접하여 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과 필터 세그먼트의 사이에 통상 부재(114)를 가질 수 있다. 이하, 필터 세그먼트 및 통상 부재(11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터 세그먼트에 관한 개시)
필터 세그먼트는, 필터부(115)를 포함하고, 일반적인 필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의 일반적인 기능이란, 예를 들면, 에어로졸 등을 흡인할 때에 섞이는 공기량의 조정이나, 향미의 경감, 니코틴이나 타르의 경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종이로 감싼 담배 제품과 비교하여, 생성되는 성분이 적고, 또한, 담배 충전물의 충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에 있어서는, 여과 기능을 억제하면서 담배 충전물의 낙하를 방지한다, 라고 하는 것도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치수에 관한 개시)
필터 세그먼트의 둘레 방향의 단면(斷面)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그 원의 직경은,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4.0mm 이상, 9.0mm 이하이며, 4.5mm 이상, 8.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상기의 직경에는, 그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고 가정한 원에 있어서의 직경이 적용된다. 필터 세그먼트의 둘레 방향의 단면 형상의 둘레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4.0mm 이상, 27.0mm 이하이며, 15.0mm 이상, 26.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mm 이상, 25.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5mm 이상, 35mm 이하이며, 17.5mm 이상, 3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mm 이상, 3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의 형상이나 치수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필터부(115)의 형상이나 치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필터부(115)에 관한 개시)
필터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필터부(115)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해도,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일한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프레인 필터, 듀얼 필터 또는 트리플 필터 등의 복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 세그먼트 필터 등으로 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 등의 합성 섬유를 필터부(115)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 및 용매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을 방사(紡絲)하고, 이를 권축(捲縮)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3/067511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의 제조에 있어서, 통기 저항의 조정이나 첨가물(공지의 흡착제나 향료(예를 들면 멘톨), 입상(粒狀)의 활성탄, 향료 보지재 등)의 필터부(115)로의 첨가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필터부(115)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태양을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를 원주상(圓柱狀)으로 가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의 단사섬도, 총섬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주 22mm의 마우스피스부의 경우는, 단사섬도는 5g/9000m 이상, 12g/9000m 이하, 총섬도는 12000g/9000m 이상, 35000g/9000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의 섬유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Y자형, I자형, R자형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를 충전한 필터부(115)의 경우는, 필터 경도(硬度)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트라이아세틴(가소제)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토우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10중량% 이하 첨가해도 된다. 또한, 그 아세테이트 필터 대신에, 시트 형상의 펄프지를 충전한 페이퍼 필터를 사용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중공 필터부(116)에 관한 개시)
필터 세그먼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 필터부(116)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중공 필터부(116)는, 통상, 필터부(115)보다도 통상 부재(114)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통상 부재(114)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중공 필터부(116)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부를 가지는 충전층과, 그 충전층을 덮는 이너 플러그 래퍼(내측 권취지)로 구성된다. 중공부는 중공 필터부(1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중공 필터부(116)는, 마우스피스부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 충전층은, 예를 들면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가 고밀도로 충전되어 트라이아세틴을 포함하는 가소제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질량에 대하여, 6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첨가되어 경화된 로드로 할 수 있다. 중공 필터부(116)의 내경은, φ1.0mm 이상, φ5.0mm 이하일 수 있다. 충전층은 섬유의 충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흡인시는, 공기나 에어로졸은 중공부만을 흐르게 되고, 충전층 내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중공 필터부(116) 내부의 충전층이 섬유 충전층인 점에서, 사용시의 외측으로부터의 촉감은,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적다. 또한, 중공 필터부(116)가 이너 플러그 래퍼를 가지지 않고, 열성형에 의해 그 형태가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중공 필터부(116)의 경도는, 필터부(115)의 경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필터부(116)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질량 퍼센트는, 필터부(115)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질량 퍼센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있어서, 필터부(115)에서의 에어로졸 성분의 여과에 의한 감소를 줄이고 싶을 때에, 필터부(115)의 길이를 짧게 하여 중공 필터부(116)에서 치환하는 것은, 에어로졸의 딜리버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유효하다.
(필터 밀도에 관한 개시)
필터부(115)의 밀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10g/cm3 이상, 0.25g/cm3 이하이며, 0.11g/cm3 이상, 0.24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g/cm3 이상, 0.23g/cm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래퍼(내측, 외측 권취지)에 관한 개시)
필터 세그먼트는, 강도 및 구조 강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상술한 필터부(115) 등을 권장하는 권취지(필터 플러그 권취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권취지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렬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이음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그 핫멜트 접착제는,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가 2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권취지는, 이들 2 이상의 세그먼트를 함께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지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권취지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20μm 이상, 140μm 이하이며, 30μm 이상, 13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μm 이상, 1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권취지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20gsm 이상, 100gsm 이하이며, 22gsm 이상, 95g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gsm 이상, 90gs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지는, 코팅되고 있어도, 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강도나 구조 강성 이외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원하는 재료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필터부(116)와, 필터부(115)는, 예를 들면 아우터 플러그 래퍼(외측 권취지)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아우터 플러그 래퍼는, 예를 들면 원통상(圓筒狀)의 종이일 수 있다. 또한, 흡연 가능물과, 통상 부재(114)와, 접속된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제2의 권지(113))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접속은,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의 내측면에 아세트산 바이닐계 풀 등의 풀을 바르고, 흡연 가능물, 통상 부재(114)와 및 접속된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넣어 감음으로써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복수의 라이닝 페이퍼로 복수 회 나누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활성탄 첨가에 관한 개시)
필터부(115)의 적어도 일부에는, 활성탄이 첨가되어도 된다. 활성탄의 첨가량은, 하나의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있어서, 활성탄의 비표면적×활성탄의 중량/필터부(115)의 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적의 값으로서, 15.0m2/cm2 이상, 80.0m2/cm2 이하이다. 상기의 「활성탄의 비표면적×활성탄의 중량/필터부(115)의 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적」을, 편의상,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향미 발생 물품(110) 하나가 가지는 필터부(115)에 첨가하는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첨가한 활성탄의 중량, 필터부(115)의 단면적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은 그것이 첨가되는 필터부(115) 중에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필터부(115)의 모든 단면(통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이 상기의 범위 내임으로써,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을 원하는 양으로 유저에게 딜리버리할 수 있음과 함께, 유저에 대하여 원하는 향미감을 줄 수 있다.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이 상기 범위의 하한보다 작으면, 활성탄을 첨가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이 상기 범위의 상한보다 크면,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성분이 필요 이상으로 저감해 버린다.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17.0m2/c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m2/cm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77.0m2/c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3.0m2/c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은, 예를 들면,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그 첨가량, 필터부(115)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의 산출은,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는 필터부(115)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다. 필터 세그먼트가 복수의 필터부(115)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는 필터부(115)만의 단면적, 길이를 기준으로 한다.
본 태양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무, 대나무, 야자 껍질, 호두 껍질, 석탄 등을 원재료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태양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서는, BET 비표면적이, 1100m2/g 이상, 160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00m2/g 이상, 150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250m2/g 이상, 1380m2/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BET 비표면적은, 질소 가스 흡착법(BET 다점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서는, 그 세공 용적이 400μL/g 이상, 80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μL/g 이상, 75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600μL/g 이상, 700μL/g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세공 용적은, 질소 가스 흡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최대 흡착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태양에서는, 활성탄이 첨가된 필터부(115)의 통기 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활성탄의 첨가량이, 5mg/cm 이상, 50mg/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mg/cm 이상, 40mg/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g/cm 이상, 35mg/c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있어서, 활성탄의 비표면적, 활성탄의 첨가량이 상기의 범위임으로써, 단위 단면적당의 활성탄의 표면적을 원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태양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서는, 활성탄 입자의 누적 10체적% 입자 지름(입자 지름 D10)이 250μm 이상, 1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탄 입자의 누적 50체적% 입자 지름(입자 지름 D50)은 350μm 이상, 1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10 및 D50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해 측정된다. 이 측정에 적합한 장치로서, 호리바제작소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지름 분포 측정 장치 「LA-950」을 들 수 있다. 이 장치의 셀 내에, 분말이 순수(純水)와 함께 흘러 들어가고, 입자의 광산란 정보에 근거하여, 입자 지름이 검출된다. 해당 장치에 의한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 모드: 매뉴얼 플로우 모드식 셀 측정
분산매: 이온 교환수
분산 방법: 초음파 1분 조사 후에 측정
굴절률: 1.92-0.00i(시료 굴절)/1.33-0.00i(분산매 굴절률)
측정 횟수: 시료를 바꾸어 2회 측정
본 태양에 있어서, 필터부(115)에 활성탄을 첨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활성탄의 첨가 대상의 필터부(115)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첨가하면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의 태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일한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필터나, 듀얼 필터 또는 트리플 필터 등의 복수의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 세그먼트 필터 등으로 할 수 있다. 단일한 필터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활성탄이 첨가되는 필터부(115)가 그대로 필터 세그먼트가 된다. 한편, 복수의 필터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경우는, 활성탄이 첨가된 필터부(115)는, 흡구단(吸口端)을 구성하는 필터부(115)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구단을 구성하는 필터부(115)에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가 멀티 세그먼트 필터인 경우, 활성탄의 첨가량의 기준이 되는 필터 세그먼트의 길이는, 활성탄이 첨가된 필터부(115)의 길이이다. 활성탄의 첨가량은, 필터 세그먼트 전체에 대한 중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4.0mg 이상, 24.0mg 이하를 들 수 있고, 4.5mg 이상, 23.0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mg 이상, 22.0m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통상 부재(114)에 관한 개시)
통상 부재(114)는, 흡연 가능물과 필터 세그먼트에 인접하여 협지될 수 있다. 통상 부재(114)는, 통상, 원통 등의 둘레 방향의 단면이 중공(공동(空洞))이 되는 캐비티가 설치된 봉상 또는 통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통상 부재(114)의 치수에 관한 개시)
통상 부재(114)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5mm 이상이며, 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40mm 이하이며, 3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부재(114)의 장축 방향의 길이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냉각 효과를 확보하여 양호한 향미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생성된 증기 및 에어로졸이 통상 부재(114)의 내벽에 부착함으로써 로스를 억제할 수 있다.
냉각을 위한 시트 등을 통상 부재(114)에 충전해도 된다. 통상 부재(114)의 전체 표면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00mm2/mm 이상, 1000mm2/mm 이하를 들 수 있다. 이 표면적은, 통상 부재(114)의 통기 방향의 길이(mm)당의 표면적이다. 통상 부재(114)의 전체 표면적은, 400mm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mm2/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600mm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mm2/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부재(114)는, 그 내부 구조가 큰 전체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통상 부재(114)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구겨지고, 다음으로, 주름 잡힘, 개더 잡힘, 및 작게 접힌 얇은 재료의 시트를 포함해도 된다. 요소의 주어진 체적 내의 접힘 또는 주름이 많으면, 통상 부재(114)의 합계 표면적이 커진다. 통상 부재(114)의 구성 재료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5μm 이상, 500μm 이하이면 되고, 또한, 10μm 이상, 250μm 이하여도 된다.
(흡연 가능물에 관한 개시)
흡연 가능물의 태양은, 공지의 태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담배 충전물을 권지(제1의 권지(112))로 권장하여 이루어지는 태양이다. 담배 충전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1의 담배 충전물 또는 제2의 담배 충전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는, 후술하는 담배 조각, 담배 시트, 담배 과립 등과 같은 건조 담배의 성형품을, 단지 「건조 담뱃잎」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흡연 가능물은, 담배 제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부재 등과의 감합부(嵌合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흡연 가능물의 치수에 관한 개시)
담배 충전물을 권지로 권장하여 이루어지는 흡연 가능물은, 주상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흡연 가능물의 저면의 폭에 대한 흡연 가능물의 장축 방향의 높이로 표시되는 아스펙트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다각, 둥근 모서리 다각, 원, 타원 등이어도 되고, 폭은 해당 저면이 원형인 경우는 직경, 타원형인 경우는 장경, 다각형 또는 둥근 모서리 다각인 경우는 외접원의 직경 또는 외접 타원의 장경이다. 흡연 가능물을 구성하는 담배 충전물의 높이는 10mm~70mm 정도, 폭은 4mm~9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연 가능물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통상 10mm 이상이며, 1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70mm 이하이며,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장축 방향의 전체의 길이 h에 대한 흡연 가능물의 길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딜리버리량과 에어로졸 온도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통상 10% 이상이며,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 80% 이하이며,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충전량에 관한 개시)
흡연 가능물 중의 건조 담뱃잎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0mg/1 흡연 가능물 이상, 800mg/1 흡연 가능물 이하를 들 수 있고, 250mg/1 흡연 가능물 이상, 600mg/1 흡연 가능물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는, 특히, 원주 22mm, 길이 20mm의 흡연 가능물에 있어서 적합하다.
(충전물에 관한 개시(제1의 담배 충전물: 조각 충전))
우선, 제1의 담배 충전물(단지 「제1의 충전물」이라고도 칭한다.)부터 설명한다. 제1의 충전물에 포함되는 담배 조각(향미원)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라미나나 중골(中骨) 등의 담배, 또는 그 밖의 공지의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등의 향미원의 형상은, 조각 형상, 시트 형상, 끈 형상, 분상(粉狀), 입상, 펠릿 형상, 슬러리 형상, 또는 다공질 형상 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건조한 담뱃잎을 평균 입경이 20μm 이상, 200μ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담배 분쇄물로 하고, 이것을 균일화한 것을 시트 가공한 것(이하, 단지 균일화 시트라고도 한다)을 잘게 썬 것이어도 된다. 또한, 흡연 가능물의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균일화 시트를, 흡연 가능물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평으로 잘게 썬 것을 흡연 가능물에 충전하는, 이른바 스트랜드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시트 가공한 것에 대해 잘게 썰지 않고 개더 가공한 것을 흡연 가능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담배 조각의 폭은, 흡연 가능물에 충전하는데 0.5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에 있어서의 담배 등의 흡연 가능물의 함유량의 범위는, 흡연 가능물의 크기가 원주 20mm~23mm, 길이 18mm~22mm인 경우, 예를 들면, 200mg~400mg이며, 250mg~320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배 조각 및 균일화 시트의 제작에 사용하는 담뱃잎에 대하여, 사용하는 담배의 종류는,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색종, 버레이종, 오리엔트종, 재래종, 그 밖의 니코티아나-타바쿰계 품종, 니코티아나-루스티카계 품종, 및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혼합물에 대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맛이 되도록, 상기의 각 품종을 적절히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배의 품종의 상세는, 「담배의 사전, 담배 종합연구센터, 2009.3.3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균일화 시트의 제조 방법, 즉, 담뱃잎을 분쇄하여 균일화 시트로 가공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이 복수 존재하고 있다. 첫 번째는 초지(抄紙)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초조(抄造)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물 등의 적절한 용매를, 분쇄한 담뱃잎에 혼합하여 균일화한 후에 금속제판 혹은 금속제판 벨트 위에 균일화물을 얇게 캐스팅하고, 건조시켜 캐스트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물 등의 적절한 용매를, 분쇄한 담뱃잎에 혼합하여 균일화한 것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압연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상기 균일화 시트의 종류에 대해서는, 「담배의 사전, 담배 종합연구센터, 2009.3.31」에 상세가 개시되어 있다.
담배 충전물의 수분 함유량은, 담배 충전물의 전량에 대하여 8중량% 이상 18중량% 이하일 수 있고, 10중량%~16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중량% 이상, 13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 함유량이면, 권염(卷染)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연 가능물의 제조시의 권상(卷上) 적성(適性)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이 보지부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적당히 변형하기 쉬워진다. 제1의 담배 충전물에 포함되는 담배 조각의 크기나 그 조제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건조한 담뱃잎을, 폭 0.5mm 이상 2.0mm 이하로 잘게 썬 것을 사용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폭 0.8mm 이상 1.2mm 이하로 잘게 썬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균일화 시트의 분쇄물을 사용하는 경우, 건조한 담뱃잎을 평균 입경이 20μm~200μm 정도가 되도록 분쇄하여 균일화한 것을 시트 가공하고, 그것을 폭 0.5mm 이상, 2.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폭 0.8mm 이상 1.2mm 이하로 잘게 선 것을 사용해도 된다.
제1의 담배 충전물은, 에어로졸 연기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기재(基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에어로졸 기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물질 및/또는 그들의 구성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로서는,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트라이아세틴, 1,3-뷰테인다이올, 및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1의 담배 충전물 중의 에어로졸 기재의 함유량(제1의 담배 충전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충분히 에어로졸을 생성시킴과 함께, 양호한 향미의 부여의 관점에서, 담배 충전물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5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며, 또한, 통상 50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이다.
제1의 담배 충전물은, 향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양호한 향미의 부여의 관점에서, 필터부(115)에 첨가되는 상술한 향료와 동일한 향료일 수 있다.
제1의 담배 충전물 중의 향료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양호한 향미의 부여의 관점에서, 통상 10000p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0pp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ppm 이상이며, 또한, 통상 70000pp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0pp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pp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3000ppm 이하이다.
제1의 담배 충전물에 있어서의 충전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성능을 담보하고, 양호한 향미의 부여의 관점에서, 통상 250mg/cm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mg/cm3 이상이며, 또한, 통상 400mg/cm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50mg/cm3 이하이다. 상기의 제1의 담배 충전물은, 그것이 내측이 되도록 권지에 의해 권장되어 흡연 가능물을 형성한다.
(충전물에 관한 개시(제2의 담배 충전물: 시트 충전))
제2의 담배 충전물은, 피충전물에 충전된 담배 시트로부터 구성된다. 담배 시트의 매수는, 1매여도 되고, 2매 이상이어도 된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이, 1매의 담배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의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 한 변(邊)이,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담배 시트가,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수평으로 복수 회 접힌 상태로 충전 태양(이른바 개더 시트)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한 변이,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담배 시트를,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려 감긴 상태로 충전되는 태양도 들 수 있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이, 2매 이상의 담배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의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 한 변이,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담배 시트가, 동심상으로 배치되도록, 피충전물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려 감긴 상태로 충전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동심상으로 배치된다」란, 모든 담배 시트의 중심이 대략 같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담배 시트의 매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매, 3매, 4매, 5매, 6매, 또는 7매인 태양을 들 수 있다. 2매 이상의 담배 시트는 모두 동일 조성 혹은 물성이어도 되고, 각 담배 시트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조성 혹은 물성이어도 된다. 또한, 각 담배 시트의 두께는, 각각이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은, 폭이 상이한 복수의 담배 시트를 준비하고, 바닥부(底部)에서 꼭대기부(頂部)를 향하여 폭이 작아지도록 적층한 적층체를 조제하고, 이것을 권취관을 통하여 권상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 복수의 담배 시트가, 길이 방향으로 연재함과 함께, 그 길이 방향축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그 길이 방향축과, 최내층의 담배 시트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감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는 권상 성형 후에 인접하는 상기 담배 시트 사이에 비접촉부가 형성되도록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담배 시트 사이에, 해당 담배 시트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간극)가 존재하면, 향미 유로를 확보하여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담배 시트의 접촉 부분을 통하여 히터로부터의 열을 외측의 담배 시트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전열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담배 시트 사이에, 해당 담배 시트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한 담배 시트를 사용하는,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전면(全面)을 접착하지 않고 적층함,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일부를 접착하여 적층함, 혹은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전면 혹은 일부를, 권상 성형 후에 벗겨지도록 경도(輕度)로 접착하여 적층함으로써 적층체를 조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권지를 포함하는 흡연 가능물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적층체의 가장 바닥부에 상기의 권지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의 가장 꼭대기부에 맨드릴 등의 통상 더미를 재치(載置)하여 제2의 담배 충전물을 형성한 후에, 해당 더미를 제거함으로써, 감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의 충전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담배 제품의 성능을 담보하고, 양호한 향미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통상 250mg/cm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mg/cm3 이상이며, 또한, 통상 400mg/cm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50mg/cm3 이하이다.
담배 시트는, 가열에 따라 에어로졸 연기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 기재로서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1, 3-뷰테인다이올 등의 폴리올 등의 에어로졸원을 첨가한다. 이러한 에어로졸 기재의 첨가량은, 담배 시트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는, 초조, 슬러리, 압연,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담배 충전물에서 설명한 균일화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초조의 경우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건조 담뱃잎을 조쇄하고, 물로 추출하여 물 추출물과 잔사(殘渣)로 분리한다. 2) 물 추출물을 감압 건조하여 농축한다. 3) 잔사에 펄프를 더하고, 리파이너로 섬유화한 후, 초지한다. 4) 초지한 시트에 물 추출물의 농축액을 첨가하여 건조하고, 담배 시트로 한다. 이 경우, 나이트로소아민 등의 일부의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해도 된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04-510422호 참조). 슬러리법의 경우는,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1) 물, 펄프 및 바인더와, 분쇄한 담뱃잎을 혼합한다. 2) 해당 혼합물을 얇게 늘려(캐스트하여) 건조한다. 이 경우, 물, 펄프 및 바인더와, 분쇄한 담뱃잎을 혼합한 슬러리에 대하여 자외선 조사 혹은 X선 조사함으로써 나이트로소아민 등의 일부의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해도 된다.
이 밖에, 국제공개 제2014/104078호에 기재되어 있듯이,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 형상의 담배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1) 분립상(粉粒狀)의 담뱃잎과 결합제를 혼합한다. 2) 해당 혼합물을 부직포에 의해 끼운다. 3) 해당 적층물을 열용착에 의해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부직포 형상의 담배 시트를 얻는다. 상기의 각 방법에서 사용하는 원료의 담뱃잎의 종류는, 제1의 충전물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담배 시트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담배 원료(담뱃잎)의 함유량은 담배 시트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배 시트는 바인더를 포함해도 되고, 이러한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구아검, 잔탄검,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MC-Na(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량으로서는, 담배 시트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는 다른 첨가물을 더 포함해도 된다.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펄프 등의 필러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담배 시트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담배 시트는 모두 동일한 조성 혹은 물성이어도 되고, 각 담배 시트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조성 혹은 물성이어도 된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은, 폭이 상이한 복수의 담배 시트를 준비하여, 바닥부로부터 꼭대기부를 향하여 폭이 작아지도록 적층한 적층체를 조제하고, 이것을 권취관을 통하여 권상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 복수의 담배 시트가, 길이 방향으로 연재함과 함께, 그 길이 방향축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그 길이 방향축과, 최내층의 담배 시트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감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는 권상 성형 후에 인접하는 상기 담배 시트 사이에 비접촉부가 형성되도록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담배 시트 사이에, 해당 담배 시트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간극)가 존재하면, 향미 유로를 확보하여 향미 성분의 딜리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담배 제품을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담배 시트의 접촉 부분을 통하여 히터로부터의 열을 외측의 담배 시트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전열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담배 시트 사이에, 해당 담배 시트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한 담배 시트를 사용하는,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전면을 접착하지 않고 적층함,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일부를 접착하여 적층함, 혹은 인접하는 담배 시트끼리의 전면 혹은 일부를, 권상 성형 후에 벗겨지도록 경도로 접착하여 적층함으로써 적층체를 조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권지를 포함하는 흡연 가능물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적층체의 가장 바닥부에 상기의 권지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의 가장 꼭대기부에 맨드릴 등의 통상 더미를 재치하여 제2의 담배 충전물을 형성한 후에, 해당 더미를 제거함으로써, 감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각 담배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제한되지 않지만, 전열 효율과 강도의 균형으로부터, 150μm 이상, 10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μm 이상, 60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담배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제2의 담배 충전물을 구성하는 담배 시트의 매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매, 3매, 4매, 5매, 6매, 또는 7매를 들 수 있다.
(권지에 관한 개시)
향미 발생 물품(110)은, 통상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 중 적어도 하나를 권장하는, 제1의 권지(112)와는 상이한 제2의 권지(113)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의 권지(113)는, 흡연 가능물을 권장하는 제1의 권지(112)의 일부를 권장해도 된다. 권지(이하, 제1의 권지(112) 또는 제2의 권지(113)를 포함한다)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태양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펄프가 주성분인 것을 들 수 있다. 펄프로서는, 침엽수 펄프나 광엽수 펄프 등의 목재 펄프로 초조되는 것 이외에도, 아마 펄프, 대마 펄프, 사이잘삼 펄프, 에스파르토 등 일반적으로 담배 제품용의 권지에 사용되는 비목재 펄프를 혼초(混抄)하여 제조하여 얻은 것이어도 된다. 펄프의 종류로서는, 크라프트 증해법, 산성·중성·알칼리 아황산염 증해법, 소다염 증해법 등에 의한 화학 펄프, 그라운드 펄프, 케미그라운드 펄프, 서모메카니컬 펄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펄프를 사용하여 장망 초지기, 원망 초지기, 원단 복합 초지기 등에 의한 초지 공정 중에서, 질감을 정돈하고 균일화하여 권지를 제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습윤지력 증강제를 첨가하여 권지에 내수성을 부여하거나, 사이즈제를 첨가하여 권지의 인쇄 상태의 조정을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황산 밴드, 각종의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혹은, 양성(兩性)의 수율 향상제, 여수(濾水)성 향상제, 및 지력(紙力) 증강제 등의 초지용 내첨조제, 및, 염료, pH 조정제, 소포제, 피치 컨트롤제, 및 슬라임 컨트롤제 등의 제지용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권지 원지(原紙)의 평량은, 예를 들면 통상 20gs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gsm 이상이다. 한편, 평량은 통상 65gs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gs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gsm 이하이다. 상기의 특성을 가지는 권지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강성, 통기성, 및 제지시의 조정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통상 1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이며, 또한, 통상 100μ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5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다. 그 향미 발생 물품(110)의 권지로서, 그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들 수 있다. 담배 충전물을 권장하기 위한(흡연 가능물을 제작하기 위한) 권지로서 이용하는 경우, 한 변의 길이로서 12mm~70mm 정도를 들 수 있고, 다른 한 변의 길이로서 15mm~28mm, 다른 한 변의 바람직한 길이로서 22mm~24mm, 더 바람직한 길이로서 23mm 정도를 들 수 있다. 담배 충전물을 권지로 주상으로 권장할 때는, 예를 들면 폭 방향의 권지의 단부(端部)와 그 반대측의 단부를 2mm 정도 겹쳐서 풀칠함으로써, 주상의 지관(紙管)의 형상이 되고, 그 속에 담배 충전물이 충전되어 있는 형상이 된다. 직사각형 형상의 권지의 사이즈는, 완성된 흡연 가능물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칩 페이퍼와 같이, 흡연 가능물과 흡연 가능물에 인접하는 그 밖의 부재를 연결히야 권장하는 것인 경우, 한 변의 길이로서 20mm~60mm, 다른 한 변의 길이로서 15mm~28mm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펄프 외에, 권지에는 전료(塡料)가 포함되어도 된다. 전료의 함유량은, 권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60중량% 미만을 들 수 있고,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에서는, 바람직한 평량의 범위(25gsm 이상, 45gsm 이하)에 있어서, 전료가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량이 25gsm 이상, 35gsm 이하일 때, 전료가 1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량이 35gsm 초과, 45gsm 이하일 때, 전료가 25중량% 이상, 4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료로서는,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향미나 백색도를 높이는 관점 등에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과 같은 전료를 포함하는 종이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권지로서 이용하는 외관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백색계의 밝은 색을 나타내고, 항구적으로 하얀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한 전료를 많이 함유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권지의 ISO 백색도를 83%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의 권지로서 사용하는 실용상의 관점에서, 제1의 권지(112) 및 제2의 권지(113)는, 8N/15mm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지부에 보지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뽑아 낼 때에도 권지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이 인장 강도는, 전료의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예시한 각 평량의 범위에 있어서 나타낸 전료의 함유량의 상한보다도 전료의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권지에는, 원지나 전료 이외의 여러 가지의 조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수성 향상제를 첨가할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로는, 습윤지력 증강제(WS제) 및 사이즈제가 포함된다. 습윤지력 증강제의 예를 들면, 요소 폼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 폼알데하이드 수지, 폴리아마이드에피클로로하이드린(PAE) 등이다. 또한, 사이즈제의 예를 들면, 로진 비누, 알킬케텐다이머(AKD), 알케닐 무수숙신산(ASA), 비누화도가 90% 이상의 고비누화 폴리바이닐 알코올 등이다. 조제로서, 지력(紙力) 증강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카티온 전분, 산화 전분, CMC, 폴리아마이드에피클로로하이드린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산화 전분에 대해서는, 극소량 사용함으로써, 통기도가 향상하는 것이 알려져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218699호). 또한, 권지는, 적절히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권지에는, 그 표면 및 이면의 2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코팅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코팅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종이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액체의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알긴산 및 그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펙틴과 같은 다당류,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이트로셀롤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전분이나 그 유도체(예를 들면 카복시메틸 전분, 하이드록시알킬 전분 및 카티온 전분과 같은 에터 유도체, 아세트산 전분, 인산 전분 및 옥테닐 숙신산 전분과 같은 에스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칩 페이퍼(제2의 권지(113))에 관한 개시)
칩 페이퍼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태양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펄프가 주성분의 것을 들 수 있다. 펄프로서는, 침엽수 펄프나 광엽수 펄프 등의 목재 펄프로 초조 되는 것 외에도, 아마 펄프, 대마 펄프, 사이잘삼 펄프, 에스파르트 등 일반적으로 담배 물품용의 권지에 사용되는 비목재 펄프를 혼초하여 제조하여 얻은 것이어도 된다. 이들 펄프는, 단독의 종류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종류를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칩 페이퍼는 1매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복수 매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펄프의 태양으로서는, 크라프트 증해법, 산성·중성·알칼리 아황산염 증해법, 소다염 증해법 등에 의한 화학 펄프, 그라운드 펄프, 케미그라운드 펄프, 서모메카니컬 펄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칩 페이퍼는,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이어도,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칩 페이퍼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칩 페이퍼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32gsm 이상, 40gsm 이하이며, 33gsm 이상, 39g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4gsm 이상, 38gs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칩 페이퍼의 통기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코레스타유닛 이상, 30000코레스타유닛 이하이며, 0코레스타유닛 초과, 10000코레스타유닛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도는, ISO 2965: 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며, 종이의 양면의 차압(差壓)이 1kPa일 때에, 1분마다 면적 1cm2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cm3)으로 표시되는. 1코레스타유닛(1코레스타 단위, 1 C.U.)은, 1kPa하에 있어서 cm3/(min·cm2)이다.
칩 페이퍼는, 상기의 펄프 이외에, 전료가 함유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탄산염,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산화알류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의 금속 황산염, 유화아연 등의 금속 황화물, 석영, 카올린, 탈크, 규조토, 석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백색도·불투명도의 향상 및 가열 속도의 증가의 관점에서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전료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칩 페이퍼는, 상기의 펄프나 전료 이외에, 여러 가지의 조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수성 향상제를 가질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에는, 습윤지력 증강제(WS제) 및 사이즈제가 포함된다. 습윤지력 증강제의 예를 들면, 요소 폼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 폼알데하이드 수지, 폴리아마이드에피클로로하이드린(PAE) 등이다. 또한, 사이즈제의 예를 들면, 로진 비누, 알킬케텐다이머(AKD), 알케닐 무수숙신산(ASA), 비누화도가 90% 이상의 고비누화 폴리바이닐 알코올 등이다.
칩 페이퍼에는, 그 표면 및 이면의 2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코팅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코팅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종이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액체의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관련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구성은,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연소를 수반하는 시가렛(궐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칩 페이퍼의 외면의 일부가 립 릴리스 재료(117)에 의해 피복(被覆)되어 있어도 된다. 립 릴리스 재료(117)는, 유저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마우스피스부를 입으로 물었을 때에, 입술과 칩 페이퍼의 사이의 접촉이 실질적으로 점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립 릴리스 재료(117)는,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칩 페이퍼의 외면에 대하여, 에틸셀룰로오스계, 혹은, 메틸셀룰로오스계의 잉크를 도공함으로써 칩 페이퍼의 외면을 립 릴리스 재료(117)에 의해 코팅해도 된다.
본 태양에 있어서, 칩 페이퍼의 립 릴리스 재료(117)는, 유저가 마우스피스부를 물었을 때에, 해당 유저의 입술에 접촉하는 소정의 흡구 영역에 적어도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칩 페이퍼에 있어서의 외면 중, 립 릴리스 재료(117)에 의해 피복된 립 릴리스 재료 배치 영역은, 마우스피스부의 흡구단으로부터 통기 구명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부(20)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10)가 설치된다. 재치부(10)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치부(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내열성이나 가공성, 강도의 관점에서, 재치부(10)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치부(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부(20)와, 무화부(30)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부(20) 및 무화부(30)는, 향미 흡인기(100)가 조립된 후에는, 교환 불가능하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과 재치부(10)를 합쳐 케이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20)는, 전원(21)을 가진다. 전원(21)은, 예를 들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무화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원(21)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는, 도시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수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챔버(50)의 일부를 덮는 가열부(40)와, 단열부(32)와, 대략 통상의 삽입 가이드 부재(34)를 가진다. 챔버(50)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챔버(50)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보스(파지부, 돌기의 일례에 상당한다)가 설치된다. 보스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열부(40)는,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열부(40)는, 향미 발생 물품(110)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도시와 같이, 챔버(50)의 저부에는, 저부재(36)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저부재(36)는,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당접하는 면에 요철을 가지고, 향미 발생 물품(110)이 당접하는 면에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간을 획정(劃定)할 수 있다. 저부재(36)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부재(36)는, 단열부(32) 등에 열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32)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상이며, 챔버(50)를 덮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를 들면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과 챔버(50)의 사이에 설치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로부터 케이스 내에 삽입되면, 손톱이 케이스에 계합(係合)하여, 케이스 밖으로 탈출 불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PEEK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連通)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을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커버(102)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을 외부에 노출시키면서,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102)가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 구멍(34a)의 전체를 덮도록 닫혀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향미 흡인기(100)는, 또한,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양단(兩端)을 보지하는, 제1 보지부(37)와, 제2 보지부(38)를 가진다. 제1 보지부(37)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Z축 음(陰)방향측의 단부(端部)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보지부(38)는,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슬라이드 커버(102) 측(Z축 양(陽)방향측)의 단부를 보지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챔버(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향미 발생 물품(110)이 삽입되는 개구(52)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는 통상의 측벽부(60)를 포함하는 통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버(50)의 개구(52)를 획정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챔버(50)는, 저부(56)의 반대측에 설치된 플랜지부(52a)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챔버(50)는, 내열성을 가지고, 열팽창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50)는, 금속 외에, PEEK 등의 수지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챔버(50)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챔버(50)는, 통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측벽부(60)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를 포함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압압하고, 이간부(66)는,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부터 이간한다. 즉, 챔버(50)는,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파지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또는 유저가 흡연할 때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가진다. 이간부(66)는, 내면(66a)과 외면(66b)을 가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는,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40)는 접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열부(40)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은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이 평면임으로써, 도 6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부(40)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 형상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내면(62a)은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개 가지고,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접촉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箇所)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내듯이, 이간부(66)의 내면(66a)은,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호상(圓弧狀)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는, 접촉부(6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접촉부(62) 및 이간부(66)는,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비원형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도 3에 나타낸 저부재(36)가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 저부(56)에 구멍(56a)을 가질 수 있다. 저부재(36)는, 챔버(50)의 저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저부재(36)와 저부(56)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대신하여, 시멘트나 용접 등, 무기(無機)의 접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저부(56)에 설치되는 저부재(36)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저부(56)는, 노출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개구(52)와 측벽부(60)의 사이에 통상의 비보지부(5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비보지부(54)와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챔버(50)는, 비보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을 접속하는 테이퍼면(58a)을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를 가진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여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를 가열하는 부분과, 접촉부(62)를 가열하는 부분에서, 가열 능력에 차(差)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이간부(66)보다도 접촉부(62)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촉부(62)와 이간부(66)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42)의 발열 저항체의 배치 밀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가지고, 챔버(50)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열부(40)는,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수지 등으로 구성된 전기 절연 부재(4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배치된 상태의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압압될 수 있다. 한편,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의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결정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端面)과 연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의 사이에 공기 유로(공극(67))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챔버(50)에 대하여, 각 실시예에 대응하는 보스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세로로 긴 보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5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은, 챔버(50)의 축을 따라 챔버(50)를 절단한 단면(斷面)으로서, 도 4b에 나타낸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지름 방향 내향(內向)으로 압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A)가 형성된다. 보스(51A)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에 설치된다. 또한, 보스(51A)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보스(51A)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압하는 돌기이며,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재한다. 보스(51A)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챔버(50)의 내주면에 장착된 볼록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스(51A)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한쪽에만 설치되어도 되고, 하나의 내면(62a)에 복수의 보스(51A)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에 보스(51A)를 설치함으로써, 챔버(50)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보지하면서, 챔버(50) 내에서 보스(51A)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돌기로 보스(51A)를 구성함으로써,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보스(51A)는,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에 삽입한 경우, 향미 발생 물품(110)의 충전부(111), 통상 부재(114) 및 필터부(115) 중,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향미 발생 물품(110)을 챔버(50)에 삽입했을 때, 보스(51A)는 우선 충전부(111)와 접촉하고, 이어서 통상 부재(114) 및 필터부(115)와 접촉한다. 그 때문에, 챔버(50)의 삽입단(揷入端)에 가까운 위치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가로로 긴 보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챔버(5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0은, 챔버(50)의 축을 따라 챔버(50)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 4b에 나타낸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지름 방향 내향으로 압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B)가 형성된다. 보스(51B)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에 설치된다. 또한, 보스(51B)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보스(51B)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압하는 돌기이며, 챔버(50)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스(51B)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챔버(50)의 내주면에 장착된 볼록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스(51B)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한쪽에만 설치되어도 되고, 하나의 내면(62a)에 복수의 보스(51B)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에 보스(51B)를 설치함으로써, 챔버(50)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보지하면서, 챔버(50) 내에서 보스(51B)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횡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돌기로 보스(51B)를 구성함으로써, 향미 발생 물품(110)의 Y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이간부(66)측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스(51B)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챔버(50)의 삽입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점상(點狀) 보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챔버(5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챔버(5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2는, 챔버(50)의 축을 따라 챔버(50)를 절단한 단면으로서, 도 4b에 나타낸 단면에 직교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은, 도 5a에 대응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듯이, 챔버(50)의 내주면에는,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외주면을, 챔버(50)의 지름 방향 내향으로 압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 보스(51C)가 형성된다. 보스(51C)는, 챔버(50)의 내주면에 있어서, 접촉부(62)의 내면(62a)에 설치된다. 또한, 보스(51C)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보스(51C)는, 챔버(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압하는 점상의 돌기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스(51C)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챔버(50)의 내주면에 장착된 볼록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스(51C)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62a)의 한쪽에만 설치되어도 되고, 하나의 내면(62a)에 복수의 보스(51C)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에 보스(51C)를 설치함으로써, 챔버(50)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축하여 보지하면서, 챔버(50) 내에서 보스(51C)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을 파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응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상의 돌기로 보스(51C)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챔버(50) 내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압압하여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보스(51C)를,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챔버(50)의 삽입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안정하여 파지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 1~3에 관련되는 챔버(50)를 사용한 향미 흡인기와, 비교예 1~3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를 사용하여 각종 실험을 실시했다. 이하에 있어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샘플의 준비]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향미 발생 물품과 향미 흡인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흡연 시스템을 준비했다. 여기서, 샘플 1의 시험 흡인기 1은, 상술한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챔버(50)(도 8, 도 9 참조)를 가진다. 샘플 2의 시험 흡인기 2는, 상술한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챔버(50)(도 10, 도 11 참조)를 가지는 것 이외는, 샘플 1과 동일한 향미 흡인기이다. 샘플 3의 시험 흡인기 3은, 상술한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챔버(50)(도 12, 도 13 참조)를 가지는 것 이외는, 샘플 1과 동일한 향미 흡인기이다.
또한, 샘플 4~6의 향미 흡인기는, 각각 시판품인 Ploom S 2.0, Ploom 및 glohyper(glo는 등록상표)이다. 또한, 샘플 1~5에 있어서의 향미 발생 물품은, 시험 흡인기 1~3, Ploom S 2.0 및 Ploom(러시아, UK용으로 판매된 것)에 오로지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조된 것이다. 또한, 샘플 6에 있어서의 향미 발생 물품은, glo hyper 전용의 시판품이다.
여기서, 샘플 1~3에 있어서의 향미 발생 물품과 시험 흡인기 1~3과의 관계는, 예를 들면 소모품과 디바이스 키트의 조합품에 상당한다. 이 조합품은, 샘플 1~3에 있어서의 향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소모품과, 샘플 1~3에 있어서의 시험 흡인기 1~3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키트을 구비하고, 소모품 및 디바이스 키트의 적어도 한쪽은, 소모품 및 디바이스 키트의 다른 쪽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진다. 즉, 소모품은, 디바이스 키트의 전용품이다. 또한, 표시는, 예를 들면 「X용」, 「for X」, 「designed for X」(X는 브랜드나 상품명 등)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또한, 소모품에는, 소모품의 패키지를 포함하고, 디바이스 키트에는, 예를 들면 패키지나 취급 설명서를 포함한다.
[저항값의 측정 방법]
각 샘플에 대하여, 향미 발생 물품을 향미 흡인기에 삽입했을 때의 저항값(삽입 저항)에 대하여, 시마즈제작소제의 EZ-S500N(이하, 장치라고도 한다)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상세하게는, 우선, 장치에 장착된 향미 흡인기용 지그에, 향미 흡인기를 장착했다. 다음으로, 향미 발생 물품이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 향미 발생 물품의 한쪽 단부(端部)(마우스피스부측이 아닌 단부)를 향미 흡인기에 삽입했다. 이어서, 밀어넣기용 지그를 향미 발생 물품의 다른 쪽 단부(마우스피스부측의 단부)에 접촉시켰다. 다음으로, 장치의 저항값의 제로점 보정을 실시했다.
이어서,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이 기울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밀어넣기용 지그를 하강시켰다. 이때의 밀어넣기용 지그의 스트로크 속도는, 60mm/min로 했다. 또한, 시험 조건으로서, 온도는 25℃이며, 습도는 20%였다. 또한, 본 장치에 있어서, 샘플링 길이는, 50msec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 경우, 취득되는 데이터의 1구간의 길이는, 0.05mm가 된다. 다음으로, 밀어넣기용 지그가 소정 길이 하강하고, 해당 밀어넣기용 지그의 동작이 정지하면, 시험을 종료했다. 각 샘플에 있어서, 상술의 측정을 2회 실시했다.
[저항값의 취득]
각 샘플에 대하여 실시된 2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저항값으로 했다. 이 경우, 우선, 측정 결과마다,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2개의 측정 결과를 정렬하여 평균값을 취득했다. 그리고,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 10mm의 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각 값을 취득했다. 즉, 후술하는 삽입력, 평균 저항력, 국소 저항력, 국소 저항 위치 및 최소 저항력은,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 10mm의 범위에 있어서 취득했다.
도 14~도 19는, 샘플 1~6의 각각에 있어서,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거리(mm)와 측정된 저항값(N)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도 19에 있어서, 챔버의 말단 위치에 대응하는 밀어넣기용 지그의 위치를 0으로 해서 표시하고, 해당 말단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를 양의 값으로 해서 표시하고, 해당 말단 위치에 도달한 후의 위치를 음의 값으로 해서 표시했다. 예를 들면, 도 14~도 19에 있어서의 +10mm의 위치란,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해당 말단 위치로부터 10mm 앞의 위치를 말한다.
여기서, 「챔버의 말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위치」(이하, 말단 위치라고도 한다)란, 상술의 방법으로 측정된 저항값 중에서, 어느 구간과 그 직전의 구간의 저항값의 차(즉, 0.05mm의 사이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차)가 0.1N 이상이 되는 구간이, 0.5mm에 걸쳐 연속하는 영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영역의 직전의 구간에 있어서의 위치로 했다.
[삽입력]
상술의 방법으로 취득한 저항값의 데이터로부터, 각 샘플의 삽입력을 취득했다. 여기서, 삽입력이란,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말한다.
[평균 저항력]
상술의 방법으로 취득한 저항값의 데이터로부터, 각 샘플의 평균 저항력을 취득했다. 여기에서는, 전반부 평균 저항력과 후반부 평균 저항력을 평가했다. 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10mm~5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을 말하고, 후반부 평균 저항력이란, 말단으로부터의 위치가 5mm~0mm의 범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평균을 말한다. 또한,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후반부/전반부)를 제1 저항력비라고도 한다.
[국소 저항력 및 국소 저항 위치]
상술의 방법으로 취득한 저항값의 데이터로부터, 각 샘플의 국소 저항력 및 국소 저항 위치를 취득했다. 여기서, 국소 저항력이란, 소정 범위에 있어서 저항값이 소정량 이상 변동하는 국소 변동 영역, 구체적으로는, 연속하는 1.0mm의 범위에 국소 상승과 국소 하강이 이 순서로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초의 국소 상승과 최후의 국소 하강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저항값을 말한다. 또한, 국소 상승이란, 연속하는 2구간에 있어서, 저항값이 0.1N 이상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국소 하강이란, 연속하는 2구간에 있어서, 저항값이 0.05N 이상 하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국소 저항력과 삽입력과의 비를 제2 저항력비라고 한다. 또한, 국소 저항 위치란, 국소 저항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의 위치, 즉 챔버의 말단 위치로부터 국소 저항력이 발생한 위치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최소 저항력]
상술의 방법으로 취득한 저항값의 데이터로부터, 각 샘플의 최소 저항력을 취득했다. 여기서, 최소 저항력이란, 국소 저항 위치와 챔버의 말단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최소의 저항값을 말한다.
샘플 1~6의 각각에 대하여 취득한, 삽입력, 평균 저항력, 국소 저항력, 국소 저항 위치 및 최소 저항력을 표 2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샘플 1~6의 각각에 대하여, 훈련된 식별 능력이 있는 패널 5명이,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에 삽입했을 때,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운지,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지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쉬운 것을, 말단 도달감을 얻을 수 있다고도 하고,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운 것을,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을 수 있다고도 한다.
[샘플 6의 관능 평가]
우선, 말단 도달감에 대하여, 패널 5명이 샘플 6을 사용하여, 패널의 합의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이 느껴지는 정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말단의 도달을 느끼기 어렵다.
·말단의 도달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말단 도달 예견감에 대하여, 패널 5명이 샘플 6을 사용하여, 패널의 합의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말단의 도달을 예견하기 어렵다.
·말단의 도달을 예견할 수 있다.
패널의 합의에 의한 평가의 결과, 샘플 6은,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은 느끼기 쉬운 한편,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은 예견하기 어려운 것이 밝혀졌다.
[샘플 1~5의 관능 평가]
이어서, 말단 도달감에 대하여, 동일한 패널 5명이 샘플 1~5를 사용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이 느껴지는 정도를, 샘플 6을 3점으로 하여 1~5점의 5단계 평가로 독립하여 점수를 매기고,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5점: 말단의 도달이 느끼기 쉽다.
4점: 말단의 도달이 약간 느끼기 쉽다.
3점: 변함없다.
2점: 말단의 도달이 약간 느끼기 어렵다.
1점: 말단의 도달이 느끼기 어렵다.
다음으로, 말단 도달 예견감에 대하여, 동일한 패널 5명이 샘플 1~5를 사용하여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정도를, 샘플 6을 3점으로 하여 1~5점의 5단계 평가로 독립하여 점수를 매기고, 그 평균값을 산출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5점: 말단의 도달을 예견하기 쉽다.
4점: 말단의 도달을 약간 예견하기 쉽다.
3점: 변함없다.
2점: 말단의 도달을 약간 예견하기 어렵다.
1점: 말단의 도달을 예견하기 어렵다.
샘플 1~6의 각각에 대하여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평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결과의 검토]
표 2에 나타내듯이, 샘플 1~3은, 삽입력이 4.00N 이하이기 때문에, 향미 발생 물품을 챔버에 삽입했을 때,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샘플 1~3은, 제1 저항력비가 1.0보다 크기 때문에, 챔버의 말단에 접근하는 측에서의 삽입 저항의 상승감이, 말단의 접근을 감지시켜주므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쉬워진다. 또한, 샘플 1~3에는, 국소 변동 영역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챔버의 말단의 접근을 감지하기 쉬워지고,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더 예견하기 쉬워진다.
실제로, 표 3에 나타내듯이, 샘플 1~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의 평가가 함께 3점을 초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샘플 1~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점, 즉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이 양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샘플 1~3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이 작기 때문에, 말단 도달감을 얻기 쉬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샘플 2에서는, 도 15에 나타나듯이, 국소 변동 영역에서 저항값이 상승한 후, 저항값의 하강이 느껴지므로, 보다 말단 도달감을 얻기 쉬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샘플 1~3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시에 한 번 걸리고, 한번 더 밀어넣음으로써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처럼 느껴지므로,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기 쉬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삽입력의 하한값으로서는, 향미 발생 물품의 탈락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0.5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0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N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력의 상한값으로서는, 삽입하기 쉬움의 관점에서, 3.0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제1 저항력비의 하한값으로서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저항력비의 상한값으로서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듯이, 샘플 2, 3은,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값과 삽입력의 비인 제2 저항력비가 0.8 이상이기 때문에, 삽입력에 비하여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값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챔버의 말단으로의 도달의 예견에 기여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제로, 표 3에 나타내듯이, 샘플 2, 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의 평가가 함께 4점을 초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샘플 2, 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함께 얻을 수 있고,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이 양립되어 있는 것, 특히, 높은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도 14~도 16을 참조하면, 샘플 2, 3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시에 한 번 걸린 후, 샘플 1보다도 저항값이 작기 때문에, 말단 도달 예견감을 보다 얻기 쉬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제2 저항력비의 상한값으로서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력보다도 큰 저항값이 국소 변동 영역에 존재하면, 유저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고, 유저가 국소 변동 영역을 챔버의 말단 위치를 착각할 우려도 있다. 또한, 과대한 국소 저항값이 존재하면,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 향미 발생 물품이 압굴(壓屈)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국소 저항에 의해 유저에게 말단의 도달을 예견시키는 관점에서, 제2 저항력비의 하한값으로서는,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듯이, 샘플 3은, 챔버의 말단 위치에서 국소 변동 영역까지의 거리가 5.0mm 이하이기 때문에, 챔버의 말단에 도달할 때까지, 유저가 국소 변동 영역을 통과한 감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더 예견하기 쉬워진다.
실제로, 표 3에 나타내듯이, 샘플 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의 평가가, 샘플 1~3 중에서 제일 크다. 그 때문에, 샘플 3은,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함께 얻을 수 있고,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이 양립되어 있는 것, 특히, 매우 높은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챔버의 말단 위치에서 국소 변동 영역까지의 거리의 상한값으로서는, 6.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의 말단 위치와 국소 변동 영역이 근접하여, 유저가 국소 변동 영역을 통과한 감촉을 얻기 전에, 챔버의 말단에 도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챔버의 말단 위치에서 국소 변동 영역까지의 거리의 하한값으로서는, 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샘플 4, 5는, 삽입력이 큰 점에서,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을 느끼기 어렵고, 또한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예견하기 어려웠다. 또한, 샘플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한 것은 느껴지지만,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챔버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은 예견하기 어려웠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향미 흡인기(100)는,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챔버(50)의 저부(56)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식의 공기 유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저항 가열형에 한하지 않고, 유도 가열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요소(42)는, 유도 가열에 의해 챔버(5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이 가열 요소인 서셉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향미 흡인기(100)는, 상기 향미 발생 물품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를 가지지 않고, 가열 요소인 서셉터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챔버(50)의 주위에 가열 요소(42)를 배치하여,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昇溫)시키는 구조를 설명했지만,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방법은, 가열 요소(42)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직접 닿게 하거나 향미 발생 물품(110) 중의 물질끼리의 진동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거나 해도 된다.
40…가열부
50…챔버
51A~51C…보스
62…접촉부
66…이간부
100…향미 흡인기
110…향미 발생 물품
111…충전부
114…통상 부재
115…필터부
50…챔버
51A~51C…보스
62…접촉부
66…이간부
100…향미 흡인기
110…향미 발생 물품
111…충전부
114…통상 부재
115…필터부
Claims (11)
- 흡연 시스템으로서,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고,
상기 향미 흡인기는, 일단(一端)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先端)이 상기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삽입력 A로 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삽입단(揷入端)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와 상기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상기 소정 위치와 상기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말단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比)를 제1 저항력비 B로 했을 때,
다음 식(1) 및 다음 식(2)을 만족하는
A≤4.00N…(1)
B>1.0…(2)
흡연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소정 범위에 있어서 저항값이 소정량 이상 변동하는 국소 변동 영역이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흡연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국소 변동 영역에 있어서의 저항값과 상기 삽입력의 비를 제2 저항력비 C로 했을 때,
다음 식(3)을 만족하는
C≥0.8…(3)
흡연 시스템.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말단 위치로부터 상기 국소 변동 영역까지의 거리를 거리 D로 했을 때,
다음 식(4)을 만족하는
D≤5.0mm…(4)
흡연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시스템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향미 흡인기에 설치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를 가지지 않는,
흡연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은,
흡연 가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중공(中空)의 통상부(筒狀部)와,
상기 통상부와 연속하여 설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흡연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의 축 방향을 따라 압압(押壓)하는 접촉부와
수용된 상기 향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간하는 이간부를 포함하는,
흡연 시스템. - 디바이스 키트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발생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지는,
디바이스 키트. - 소모품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발생 물품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지는,
소모품. - 소모품과 디바이스 키트의 조합품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소모품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키트를 구비하고,
상기 소모품 및 상기 디바이스 키트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소모품 및 상기 디바이스 키트의 다른 쪽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가지는,
조합품. - 향미 흡인기와 향미 발생 물품을 구비하는 흡연 시스템에 있어서,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으로서,
상기 향미 흡인기는,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의 선단이 상기 수용부의 말단에 도달했을 때의 저항값을 삽입력 A로 하고,
상기 향미 발생 물품을 상기 수용부에 삽입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삽입단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와 상기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전반부 평균 저항력에 대한, 상기 소정 위치와 상기 수용부의 말단의 중간점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말단까지의 저항값의 평균인 후반부 평균 저항력의 비를 제1 저항력비 B로 했을 때,
다음 식(1) 및 다음 식(2)을 만족하는
A≤4.00N…(1)
B>1.0…(2)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21/016905 WO2022230089A1 (ja) | 2021-04-28 | 2021-04-28 | 喫煙システム、デバイスキット、消耗品、組み合わせ品、並びに末端到達感および末端到達予見感を得る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4636A true KR20240004636A (ko) | 2024-01-11 |
Family
ID=8384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0725A KR20240004636A (ko) | 2021-04-28 | 2021-04-28 |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키트, 소모품, 조합품, 및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49787A1 (ko) |
EP (1) | EP4331400A1 (ko) |
JP (2) | JPWO2022230089A1 (ko) |
KR (1) | KR20240004636A (ko) |
CN (1) | CN117295417A (ko) |
WO (1) | WO2022230089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37902B2 (ja) | 2016-05-13 | 2020-08-12 |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35285T3 (es) | 2000-10-05 | 2015-05-07 |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 Reducción de nitrosaminas en el tabaco y en los productos de tabaco |
US8967155B2 (en) | 2011-11-03 | 2015-03-03 | Celanese Acetate Llc | Products of high denier per filament and low total denier tow bands |
AR091509A1 (es) * | 2012-06-21 | 2015-02-11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rticulo para fumar para ser usado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interno |
PL2939553T3 (pl) | 2012-12-28 | 2018-01-31 | Japan Tobacco Inc | Źródło aromatu dla niepalnego, wziewnego produktu tytoniowego i niepalny, wziewny produkt tytoniowy |
JP2017218699A (ja) | 2016-06-09 | 2017-12-14 |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 喫煙物品用巻紙 |
CN110494053B (zh) | 2017-04-11 | 2022-05-31 | 韩国烟草人参公社 | 气溶胶生成装置 |
TWI739172B (zh) * | 2018-10-12 | 2021-09-11 |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瑞士) | 氣溶膠產生裝置及其加熱腔體與氣溶膠產生系統 |
-
2021
- 2021-04-28 KR KR1020237040725A patent/KR20240004636A/ko unknown
- 2021-04-28 CN CN202180097571.XA patent/CN117295417A/zh active Pending
- 2021-04-28 JP JP2023516934A patent/JPWO2022230089A1/ja active Pending
- 2021-04-28 EP EP21939250.3A patent/EP4331400A1/en active Pending
- 2021-04-28 WO PCT/JP2021/016905 patent/WO202223008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10-23 US US18/492,393 patent/US20240049787A1/en active Pending
- 2023-10-23 JP JP2023181533A patent/JP7445075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37902B2 (ja) | 2016-05-13 | 2020-08-12 |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2230089A1 (ko) | 2022-11-03 |
CN117295417A (zh) | 2023-12-26 |
JP2024010056A (ja) | 2024-01-23 |
JP7445075B2 (ja) | 2024-03-06 |
WO2022230089A1 (ja) | 2022-11-03 |
US20240049787A1 (en) | 2024-02-15 |
TW202241289A (zh) | 2022-11-01 |
EP4331400A1 (en) | 2024-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1172255A1 (ja) | 喫煙システム | |
KR102245876B1 (ko) | 마우스 말단의 오염이 감소된 흡연 물품 | |
KR20230132503A (ko) |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 |
KR20220031924A (ko) |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가열식 담배 제품 | |
EP4140326A1 (en) | Non-combustion-heated tobacco product and electrically heated tobacco product | |
KR20240004636A (ko) |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키트, 소모품, 조합품, 및 말단 도달감 및 말단 도달 예견감을 얻는 방법 | |
TWI851927B (zh) | 抽煙系統、裝置套組、消耗品、組合品及得到末端到達感和末端到達預見感的方法 | |
KR20230160879A (ko) | 향미 흡인 물품용 페이퍼 필터 | |
WO2023012921A1 (ja) | 香味発生物品および喫煙システム | |
RU2796489C1 (ru) | Ку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 |
KR20230132501A (ko) | 비연소 가열식 담배 제품 및 비연소 가열식 담배 스틱 | |
WO2024142167A1 (ja) | 香味吸引物品用のフィルタ部および香味吸引物品 | |
WO2023127720A1 (ja) | 非燃焼型香味吸引器 | |
WO2023112152A1 (ja) | 非燃焼加熱型スティック | |
KR20240074800A (ko) | 비연소 가열형 스틱, 흡인 시스템 | |
WO2023127827A1 (ja) | 非燃焼型香味吸引器 | |
KR20230167404A (ko) |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 | |
KR20230154471A (ko) | 비연소 가열식 담배용 냉각제, 비연소 가열식 담배, 및 전기 가열식 담배 제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