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491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491A
KR20230131491A KR1020237028140A KR20237028140A KR20230131491A KR 20230131491 A KR20230131491 A KR 20230131491A KR 1020237028140 A KR1020237028140 A KR 1020237028140A KR 20237028140 A KR20237028140 A KR 20237028140A KR 20230131491 A KR20230131491 A KR 2023013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ontrol device
construction machine
state
indica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니시카와
료헤이 야마시타
아키히로 나라자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건설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와,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차체 제어 장치로 송출함으로써, 운전실로의 오퍼레이터의 탑승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 운전의 제어를 행하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와, 건설 기계로의 작업자의 접근 허가를 표시하는 접근 허가 표시등과, 주위의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여 특정 행동을 행하는 것의 요구를 표시하는 행동 요구 표시등을 구비하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차체 제어 장치에 수집된 정보에 따라, 건설 기계로의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접근 허가 표시등을 점등시키고,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행동 요구 표시등을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차체의 동작 상태를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간결하게 통지할 수 있어, 차체의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로 대표되는 건설 기계의 운용에 있어서는, 작업 현장에서 가동(稼動)하는 건설 기계에 대하여 주위의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접근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회전등 등을 이용하여 건설 기계가 가동 중인 것을 통지하여, 주위의 작업자에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야간에 있어서도 건설 기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건설 기계의 형상을 따라 설치한 발광체에 의해, 적극적으로 차체의 상태를 주위의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주의 환기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운전실을 탑재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에 자유롭게 부앙(俯仰)할 수 있도록 장착된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의 외측면에 선상(線狀) 발광체를 장착한 작업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차체에 구비한 표시등에 의해, 원격 조작이나 자동 운전과 같이 작업자의 비(非)탑승 시에 떨어진 장소로부터 차체의 자동 운전 중의 이상을 확인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차량의 프레임과, 프레임 상에 재치되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차륜과, 주행 조작 장치와, 주행 조작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차량에 장가(裝架)되는 바디와, 바디 상부에 장비되는 표시 램프와, 유인 운전에 의한 메뉴얼 모드와 무인 운전에 의한 오토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조작 패널과, 원격 조작에 의해 운전 모드의 전환과 기동, 정지를 지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주행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8050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1996-255019호 공보
그런데, 작업 기계가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을 행하는 경우, 건설 기계의 주위의 작업자가 어쩔 수 없이 무인 운전 중의 차체에 접근할 필요나, 건설 기계에 의한 작업을 중단하게 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 중의 건설 기계를 주위의 작업자가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여도, 실제로 무인 운전을 정지시켰다고 하면, 무인 운전에 의한 작업이 의도하지 않게 중단 혹은 정지해버리게 되어, 작업성의 불필요한 저하를 초래해버린다.
건설 기계의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을 원격으로 관리하고 있는 관리자에게 어떠한 연락 수단에 의해 무인 운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게 한 경우여도, 차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인 것이 주위의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주위의 작업자는 안전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 기계에 접근할 수 없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해버린다. 또한, 무인 운전이 중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작업 기계가 움직이고 있지 않은 모습으로부터 주위의 작업자가 무인 운전의 중단을 오인하여, 건설 기계에 부주의하게 접근해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의 차단 등의 어떠한 문제에 의해 작업 기계의 무인 운전(원격 운전·자동 운전)이 정지되어 버렸을 경우에, 운전 중이었던 건설 기계의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건설 기계를 일시적으로 퇴피시키거나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누군가가 운전실 내에 탑승하여 차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건설 기계와 제어실(즉, 관리자)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건설 기계까지 이동하는데에 다대한 시간을 요해버려, 그 작업에 다대한 시간을 요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체의 동작 상태를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간결하게 통지할 수 있어, 차체의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자면,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와,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체 제어 장치로 송출함으로써, 운전실로의 오퍼레이터의 탑승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 운전의 제어를 행하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와, 상기 건설 기계로의 작업자의 접근 허가를 표시하는 접근 허가 표시등과, 주위의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여 특정 행동을 행하는 것의 요구를 표시하는 행동 요구 표시등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차체 제어 장치에 수집된 정보에 따라, 상기 건설 기계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접근 허가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동작 상태를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간결하게 통지할 수 있어, 차체의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건설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건설 기계의 유압 시스템이나 제어 시스템을 관련 구성과 함께 발출하여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각 상태 표시등의 명칭, 표시색 및 용도(점등 조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차체의 제어 상태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각 제어 상태에 있어서, 탑승한 오퍼레이터와 원격(외부) 지령의 각각에 의한 차체 조작의 가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유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의 제어 패턴의 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유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의 제어 패턴(점등 제어 패턴 1)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유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의 제어 패턴(점등 제어 패턴 2)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유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의 제어 패턴(점등 제어 패턴 3)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무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프론트 작업기를 탑재한 유압 셔블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건설 기계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설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건설 기계의 유압 시스템이나 제어 시스템을 관련 구성과 함께 발출하여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100)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2)와, 상부 선회체(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작업기(3)와, 상부 선회체(2)의 전방 상부에 조작자(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유압 셔블(100)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운전실(4)로부터 개략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2)는, 유압 셔블(100)의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1)는, 유압 액추에이터인 좌우 한 쌍의 주행 유압 모터(1a)와, 주행 유압 모터(1a)에 대하여 각각 전후 방향에 걸어 돌려진 크롤러(1b)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1)는, 도시하지 않은 감속 기구 등을 개재하여 각 주행 유압 모터(1a)에 의해 각 크롤러(1b)를 독립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 동작을 행한다.
상부 선회체(2)는, 엔진(16) 등의 원동기, 유압 펌프(18), 선회 유압 모터(2a) 등, 유압 셔블(100)의 유압 시스템과 그 관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상부 선회체(2)는, 유압 액추에이터인 선회 유압 모터(2a)에 의해 하부 주행체(1)에 대하여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선회 동작을 행한다.
프론트 작업기(30)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프론트 부재(붐(3a), 아암(3b), 버킷(작업 도구)(3c))를 연결하여 구성된 다관절형이며, 붐(3a)의 기단(基端)은 상부 선회체(2)의 전부(前部)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아암(3b)의 일단은 붐(3a)의 기단과는 다른 단부(端部)(선단)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아암(3b)의 타단에는 작업 도구로서의 버킷(3c)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3a), 아암(3b), 및, 버킷(3c)은, 유압 액추에이터인 붐 실린더(3d), 아암 실린더(3e), 및, 버킷 실린더(3f)에 의해 각각 회전 운동 구동된다.
프론트 작업기(3)에는, 붐(3a)의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6)(붐 각도 센서)와, 아암(3b)의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7)(아암 각도 센서)와, 버킷(3c)의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8)(버킷 각도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각도 센서(6,7,8)는, 예를 들면,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 관성 계측 장치)이며, 각도 센서(6~8)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붐(3a), 아암(3b), 버킷(3c), 상부 선회체(2)의 상대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2)의 프레임 상에는, 차체의 전후 방향 각도(피치각) 및 좌우 방향 각도(롤각)를 검출하는 경사 센서(9)가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2)를 잇는 센터 조인트(도시 생략)에는, 하부 주행체(1)에 대한 상부 선회체(2)의 상대 각도(선회 각도)를 검출하는 선회 각도 센서(10)가 장착되어 있다. 경사 센서(9)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IMU 등이다.
운전실(4)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00)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의 계기류나 기체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실(4)의 내부에는, 유압 셔블(10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11)가 탑재되어 있으며, 차체 제어 장치(11)는 유압 셔블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의 신호 입력 기능이나, 펌프나 컨트롤 밸브 등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출력 기능, 엔진 제어 장치 등의 다른 차량 탑재 제어 장치와의 통신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도 센서(6,7,8), 경사 센서(9) 및 선회 각도 센서(10)는, 이 차체 제어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이들의 자세 연산용의 각종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압 셔블의 자세(붐(3a), 아암(3b), 버킷(3c)의 대지(對地) 각도나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2)의 상대 각도)를 연산하고 있으며, 머신 컨트롤 기능이나 영역 제한 기능에 이용하거나, 원격 조종이나 자동 운전에 이용하거나 한다.
또한,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 내에는, 원격 조종이나 자동 운전 등의 무인 운전 시에, 차체 제어 장치(11)에 대하여 펌프나 컨트롤 밸브 등의 구동 요구를 송신하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가 구비되어 있다. 무인 운전 시에, 이 구동 요구 신호를 받은 차체 제어 장치(11)가 펌프나 컨트롤 밸브 등을 구동시킴으로써,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장치(15)의 조작이 되고 있지 않더라도, 유압 셔블(100)의 유압 액추에이터(붐 실린더(3d), 아암 실린더(3e), 버킷 실린더(3f)나 주행 유압 모터(1a), 선회 유압 모터(2a) 등)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의 외부에는, 무인 운전 시의 외부와의 통신용으로 통신 단말(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주위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용 통신 단말(도시 생략)이나, 원격 조종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원격 조종 장치(도시 생략), 원격으로 차체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원격으로 차체의 동작을 조작하거나 하는 제어실(도시 생략)과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유압 셔블(100)에는, 차체의 상태를 주위에 통지하기 위한 표시기로서의 상태 표시등(62a,62b,62c,62d,62e,62f)이 마련되어 있다. 상태 표시등(62a,62b,62c,62d,62e,62f)은, 각각 단색의 회전등이다. 이후, 복수의 상태 표시등(62a,62b,62c,62d,62e,62f)을 합쳐서 상태 표시등(62)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은, 각 상태 표시등의 명칭, 표시색 및 용도(점등 조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각 상태 표시등의 명칭(201), 표시색(202), 및 용도(점등 조건)(203)의 관계를, 각 상태 표시등의 명칭(201a~201f) 마다 표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압 셔블(100)에 구비되는 상태 표시등(62)은,
「작업 표시등」(명칭(201a))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a)(이후, 작업 표시등(62a)이라고 칭한다)과,
「경고 표시등」(명칭(201b))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b)(이후, 경고 표시등(62b)이라고 칭한다)과,
「통신 표시등」(명칭(201c))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c)(이후, 통신 표시등(62c)이라고 칭한다)과,
「운전 표시등」(명칭(201d))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d)(이후, 운전 표시등(62d)이라고 칭한다)과,
「접근 허가 표시등」(명칭(201e))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e)(이후, 접근 허가 표시등(62e)이라고 칭한다)과,
「행동 요구 표시등」(명칭(201f))의 명칭을 붙인 상태 표시등(62f)(이후, 행동 요구 표시등(62f)이라고 칭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 표시등(62a)에는, 차체가 가동 중인 것을 주위에 통지하여, 주의를 촉구하기 위하여 황색을 채용하고 있다.
경고 표시등(62b)에는, 이상이나 고장의 발생, 비상 시의 상태인 것을 통지하기 위하여 적색을 채용하고 있다.
통신 표시등(62c)에는,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색의 하나로서, 청색을 채용하고 있다.
운전 표시등(62d)에는, 정상인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서, 녹색을 채용하고 있다.
접근 허가 표시등(62e)에는, 주위의 작업자에 대하여 차체로의 접근을 허가하는 안전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서, 녹색을 채용하고 있다.
행동 요구 표시등(62f)에는, 주위의 작업자에 대하여 차체로의 접근을 요구하기(행동을 강제하기) 위한 색으로서, 청색을 채용하고 있다.
차체로부터 무인 운전의 관리자나 주위의 작업자에게 통지하고 싶은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이 존재하지만, 사용하는 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그로 인해 인식의 용이함이 저하되거나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사용하는 색을 지나치게 늘리는 것은 피하는 편이 낫다.
또한, 액정 패널 등으로의 문자에 의한 표시로 하였을 경우,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한편, 작업자가 내용을 인식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시인할 수 있는 방향이 한정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업 기계에서 사용되는 색인, 적, 황, 청, 녹의 4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 색에 할당하는 뜻으로서도, 「정상」 「허가」라고 하는 뜻에는 녹색을 할당하고, 주위 작업자에게로의 「지시(접근 요구)」의 뜻에는 청색을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의 오인식이나 혼동 등이 생기기 어렵다.
상태 표시등(62)의 각각의 탑재 위치에 대해서도, 의미의 오인식이나 혼동 등의 억제를 고려하여 이하와 같이 배치하고 있다.
작업 표시등(62a)은, 가동 중에 주위로부터 눈에 뜨이기 쉽도록, 상부 선회체 후단 반경 부근의 카운터 웨이트 상에 배치한다.
경고 표시등(62b), 통신 표시등(62c), 운전 표시등(62d)은, 원격 조종이나 자동 운전을 감시하는 관리자를 주된 통지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차체로부터 떨어진 장소나 차체보다도 높은 장소에서 시인하기 쉽도록, 운전실의 상면에 배치한다.
접근 허가 표시등(62e), 행동 요구 표시등(62f)은, 차체의 주위, 특히 근방에 존재하는 작업자를 주된 통지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차체에 가까운 장소나 작업자의 시선의 높이로부터 시인하기 쉽도록, 운전실(4)의 도어의 개폐 핸들 부근인 운전실 좌전(左前)측에 배치한다.
경고 표시등(62b), 통신 표시등(62c), 운전 표시등(62d)의 3개의 상태 표시등(62)은, 서로 근방에, 즉, 이어져서 한묶음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근 허가 표시등(62e),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2개의 상태 표시등(62)은, 서로 근방에, 즉, 이어져서 한묶음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고 표시등(62b), 통신 표시등(62c), 운전 표시등(62d)의 묶음과 접근 허가 표시등(62e),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묶음의 거리는 떼어 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상태 표시등(62)이 정보의 통지 대상으로 하는 작업자가 상태 표시등(62)을 시인할 때에, 의미의 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차체의 운전 상태의 「정상」을 나타내는 녹색의 상태 표시등과, 차체로의 접근 「허가」를 나타내는 녹색의 상태 표시등에 대하여, 그 통지 대상으로 하고 있는 무인 운전의 관리자 및 주위 작업자에 대하여, 의미의 혼란이 생기지 않도록, 같은 색을 사용하는 상태 표시등을 거리를 떼어 놓아서 배치하고, 또한, 무인 운전의 관리자를 통지 대상으로 하는 상태 표시등은 운전실 상방에 배치하고, 주위 작업자를 통지 대상으로 하는 상태 표시등은 운전실 하방에 배치하여, 각각의 통지 대상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등 쪽이 보다 시계(視界)에 들어가기 쉽도록 하고 있다.
추가로, 주위 작업자를 통지 대상으로 하는 접근 허가 표시등(62e)과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이어지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 2개가 주위 작업자를 향한 통지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인식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고안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안전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운전 표시등(62d)은 탑승 시의 오퍼레이터가 캡 내에서 시인할 수 없는 위치에 배치하고, 접근 허가 표시등(62e)은, 탑승 시의 오퍼레이터가 캡 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위치, 또한, 운전실 근방의 캡 외에 있는 주위 작업자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같은 녹색의 표시등인 운전 표시등(62d)과 접근 허가 표시등(62e) 중, 접근 허가 표시등(62e)만이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들어감으로, 오퍼레이터의 탑승 시, 접근 허가 상태인 것(주위 작업자가 접근해 올 가능성이 높은 상태)의 인식의 용이함을 향상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탑승한 채 접근 허가 표시등(62e)의 점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 허가 표시등(62e)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운전실 내에 있으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근 허가 표시등(62e)은, 접근 허가 표시등(62e)을 시인하는 주위 작업자가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 내에 들어가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작업 현장의 룰로서, 접근 허가 표시등(62e)이 점등 시에만 접근을 허가한다고 하는 것을 정하였을 경우, 주위의 작업자는, 차체에 접근할 때에, 우선 접근 허가 표시등(62e)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려고 하게 된다. 따라서, 접근 허가 표시등(62e)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위치가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 내에 포함되도록 해두면, 주위 작업자가 차체에 접근할 경우, 그 작업자는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 내에 재빨리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체 우후방 등의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시인하기 어려운 방향에서의 작업자 접근의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 현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상태 표시등(62)의 배치와 표시색을 고안함으로써, 차체 주위에 있는 작업자와, 차체로부터 떨어진 곳에 있는 작업자(차체의 관리·감시자) 각각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오인식하지 않고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기체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11)와, 차체의 모든 동작 가부를 전환하는 동작 로크 수단을 전환하기 위한 레버식 스위치인 로크 스위치(12)와,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의 계기류나 기체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장치(5)와, 엔진 회전수를 수동으로 변경하거나 표시 장치(5)를 조작하거나 하기 위한 스위치 박스(13)와, 스위치 박스(13)의 각종 스위치 입력을 접수하고, 표시 장치(5)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 로크 스위치(12), 표시 장치(5), 스위치 박스(13), 모니터 제어 장치(14)는, 운전실(4)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 내에는, 유압 셔블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1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장치(15)는, 예를 들면, 붐 인상 조작, 붐 인하 조작, 아암 크라우드 조작, 아암 덤프 조작, 버킷 크라우드 조작, 버킷 덤프 조작, 좌선회 조작, 우선회 조작, 우전진 주행 조작, 우후진 주행 조작, 좌전진 주행 조작, 좌후진 주행 조작 등을 행하는 복수의 조작 레버이다.
유압 셔블(100)은, 원동기로서 엔진(16)을 탑재하고 있으며, 엔진(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엔진 제어 장치(17)는, 엔진에 조립되어 있는 온도 센서나 픽업의 신호로부터 엔진(16)의 상태를 파악하여, 밸브 등을 제어함으로써 회전수나 토크를 제어하고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 모니터 제어 장치(14), 엔진 제어 장치(17)는 CAN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엔진 회전수 제어에 대해서는, 차체 제어 장치(11)가, 엔진 컨트롤 다이얼에 의해 설정되어서 출력되는 제어 전압이나 조작 장치(15)의 조작 상태, 유압 펌프(18)의 부하 상태나 온도 조건 등에 따라 엔진 목표 회전수를 연산하고, 연산한 엔진 목표 회전수를 엔진 제어 장치(17)로 송신한다. 엔진 제어 장치(17)는, 차체 제어 장치(11)에서 연산된 엔진 목표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16)을 제어하는 것과 함께, 엔진(16)에 내장되어 있는 픽업 센서의 신호로부터 엔진 실(實)회전수를 연산하여 차체 제어 장치(11)로 송신한다. 모니터 제어 장치(14)는, CAN 통신 상에 있는 엔진 목표 회전수와 엔진 실회전수를 취득하고, 취득한 엔진 목표 회전수나 엔진 실회전수 등의 정보를 차체의 상태 표시의 하나로서 표시 장치(5)에 표시한다.
엔진(16)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식의 유압 펌프(18)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각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로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19)를 개재하여, 주행 유압 모터(1a), 선회 유압 모터(2a), 붐 실린더(3d), 아암 실린더(3e), 및, 버킷 실린더(3f)로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유압 펌프(18)를 구비하였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동시 조작하는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유압 펌프를 탑재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조작 장치(15)는, 전기식의 조작 레버이며, 조작량에 따른 PWM 출력 신호(조작 신호)를 차체 제어 장치(11)에 출력한다.
유압원인 파일럿 펌프(20)는, 엔진(16)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파일럿 펌프(20)로부터의 토출압이 펌프 레귤레이터(21), 및, 동작 로크 수단인 로크 밸브(22)로 공급되고 있다. 파일럿 펌프(20)로부터의 토출압은, 도시하지 않은 파일럿 릴리프 밸브에 의해 파일럿 1차압(예를 들면, 4㎫)으로 유지되어 있다.
펌프 레귤레이터(21)는, 파일럿 펌프(20)로부터의 파일럿 1차압을 감압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 비례 밸브인 펌프 유량 제어 전자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체 제어 장치(11)가 출력하는 지령 전류에 따라 파일럿 1차압을 감압하여 펌프 유량 제어압(2차압)을 생성한다. 또한, 펌프 레귤레이터(21)는, 유압 펌프(18)의 틸팅(변위 용적)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펌프 유량 제어 전자 밸브의 출력(펌프 유량 제어압)에 따라 유압 펌프(18)의 용적 즉 토출 유량을 제어한다.
펌프 레귤레이터(21)는, 유압 펌프(18)의 특성이, 펌프 유량 제어압이 최소(예를 들면, 0㎫)에서는 펌프 용적 최소, 펌프 유량 제어압이 최대(예를 들면, 4㎫)이며 펌프 용적 최대가 되도록 제어한다. 펌프 유량 제어 전자 밸브는, 비(非)제어 상태(예를 들면, 0mA)에서는 차단 위치(예를 들면, 0㎫)로 되어 있으며, 차체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령 전류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펌프 유량 제어압이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펌프 레귤레이터(21)에는, 펌프 유량 제어압을 검출하기 위한 펌프 유량 제어압 센서(23)가 마련되어 있다. 펌프 유량 제어압 센서(23)에 의해 검출된 펌프 유량 제어압은, 검출 신호로서 차체 제어 장치(11)에 입력된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미리 보지(保持)하고 있는 펌프 유량 제어압과 펌프 용적의 관계를 이용하고, 펌프 유량 제어압 센서(23)에 의해 검출된 펌프 유량 제어압에 의거하여 펌프 용적을 추정하고, 추정한 펌프 용적과 엔진 회전수를 곱함으로써 유압 펌프(18)의 토출 유량을 연산한다.
로크 밸브(22)는, 차체의 모든 동작 가부를 전환하는 동작 로크 수단이다. 로크 밸브(22)는 차체 제어 장치(11)에 의해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차단 위치와 연통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로크 스위치(12)는, 운전실(4) 내에 설치된 로크 레버(도시 생략)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OFF(단자간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로크 스위치(12)의 상태를 감시하여, 로크 스위치(12)가 OFF일 때는 로크 밸브(22)를 비여자(非勵磁) 상태인 차단 위치로 전환한다.
또한, 로크 스위치(12)는, 로크 레버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ON(단자간은 도통(導通)) 상태로 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로크 스위치(12)의 상태를 감시하여, 로크 스위치(12)가 ON일 때에는 로크 밸브(22)에 제어 전압(예를 들면, 24V)을 인가함으로써 여자 상태의 연통 위치로 전환한다.
로크 밸브(22)와 컨트롤 밸브(19)의 사이의 파일럿 회로에는,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가 마련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조작 장치(15)의 입력 신호인 레버 조작량의 크기에 따라,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를 구동한다.
로크 밸브(22)가 연통 위치일 때에는,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에 파일럿 1차압이 공급되고 있으며,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에 의해 파일럿 조작압이 생성되면, 생성된 파일럿 조작압은 컨트롤 밸브(19) 내에 복수 있는 스풀(방향 전환 밸브)을 움직이고, 그로 인해 유압 펌프(18)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조정함으로써, 대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로크 밸브(22)가 차단 위치일 때에는,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에 파일럿 1차압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파일럿 조작압도 생성되지 않게 되어(예를 들면, 0㎫가 되어),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의 동작은 불가가 된다.
즉, 운전실(4) 내에 설치된 로크 레버(도시 생략)의 위치에 따라, 차체의 모든 동작 가부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레버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체의 모든 동작이 금지되고,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체의 동작이 허용된다.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와 컨트롤 밸브(19)의 사이의 파일럿 회로에는, 파일럿 조작압을 검출하기 위한 조작압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압 센서(25)의 검출 신호는 차체 제어 장치(11)에 입력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조작압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조작압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100)의 조작 상황이나 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2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다.
유압 펌프(18)와 컨트롤 밸브(19)의 사이의 딜리버리 회로에는, 펌프 토출압을 검출하기 위한 펌프 토출압 센서(26)가 마련되어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펌프 토출압 센서(26)에 의해 검출된 펌프 토출압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100)의 유압 펌프(18)의 펌프 부하를 파악할 수 있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엔진 회전수나 조작 장치(15)의 입력에 따라 조작에 의한 펌프 목표 유량을 산출한다. 또한, 차체 제어 장치(11)는, 엔진 회전수나 조작 상황이나 그 외의 차체 상태(온도 등)에 따라 제한 마력을 연산하고, 펌프 토출압 센서(26)의 입력과 제한 마력으로부터, 마력 제한에 의한 펌프 상한 유량을 산출한다. 차체 제어 장치(11)는, 조작에 의한 펌프 목표 유량과 마력 제한에 의한 펌프 상한 유량의 작은 쪽을 펌프 목표 유량으로서 선택하고, 유압 펌프(18)의 토출 유량이 펌프 목표 유량이 되도록 펌프 유량 제어 전자 밸브를 구동한다.
통신 단말(61)은, 원격 조종이나 자동 운전 등의 무인 운전을 행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차체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또한, 차체의 자세나 각종 상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한다.
통신 단말(61)은, CAN 통신에 의해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와 차체 제어 장치(11)도 CAN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압 셔블(100)의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 시에는, 통신 단말(61)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지령을 차체 제어 장치(11)에 주고 받음으로써 무인 운전 시의 액추에이터 동작이나 펌프, 밸브류의 작동을 실행한다.
또한,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와 차체 제어 장치(11)를 잇는 CAN 통신에 의해, 차체 제어 장치(11)에 접속시키고 있는 각종 스위치나 각종 센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61)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 외에, 차체 제어 장치(11)와도 CAN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차체 제어 장치(11)로부터 수신하는 차체의 각종 상태 정보(온도나 엔진 회전수, 자세 정보 등)를 네트워크 경유로 원격 조작 장치나 제어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61)은, 차체 제어 장치(11)를 경유하여 모니터 제어 장치(14)에도 지령을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원격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모니터(표시 장치(5))에 특정한 메시지나 아이콘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61)은, 차량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63)와 이더넷 통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영상 신호를 통신 단말이 네트워크 경유로 송신함으로써, 원격지에서에서도 차체의 주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에는, 차체의 상태를 주위에 통지하기 위한 상태 표시등으로서, 작업 표시등(62a), 경고 표시등(62b), 통신 표시등(62c), 운전 표시등(62d), 접근 허가 표시등(62e),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6종류의 회전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의 지령에 의해 점등(ON)과 소등(OFF)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에는, 주위의 작업자에게, 무인 운전에 관련된 음성 메시지나 경보음을 통지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66)(통지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의 지령에 의해 통지음를 출력한다.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 내에는, 유인 운전과 무인 운전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가 탑재되며, 차체 제어 장치(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는, 소위,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며, 차체 제어 장치(11)는,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가 눌려 있는 상태(ON)인지, 눌려 있지 않은 상태(OFF)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 내에는, 상태 표시등(62)의 점등 조건을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변경하기(전환하기) 위한 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65)가 탑재되며, 차체 제어 장치(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65)는, 소위, 모멘터리형의 스위치이며, 차체 제어 장치(11)는, 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65)가 눌려 있는 상태(ON)인지, 눌려 있지 않은 상태(OFF)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체 제어 장치(11), 모니터 제어 장치(14), 엔진 제어 장치(17),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각각, 중앙 연산 장치(CPU),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성되며, 메모리 내에 미리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중앙 연산 장치(CPU)로 실행하고, 메모리 내에 보존되어 있는 설정값과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중앙 연산 장치(CPU)가 처리를 행하여,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4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차체의 제어 상태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각 제어 상태에 있어서, 탑승한 오퍼레이터와 원격(외부) 지령의 각각에 의한 차체 조작의 가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제어 상태(211),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차체 조작의 가부(212), 및,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의 가부(213)의 관계를, 제어 상태마다 표 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차체 조작이란, 유압 셔블(100)의 시동 키의 ON/OFF 조작과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의 압하 조작에 상당하는 조작 이외의 모든 조작이며, 예를 들면, 엔진(16)의 시동·정지, 로크 밸브(22)의 차단·해제,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의 동작, 그 외의 전장품(電裝品)의 조작, 차체의 설정 변경 등의 조작을 포함하고 있다.
유압 셔블(100)의 키 OFF(전원 OFF)의 상태(300)에 있어서,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키 ON 조작이 이루어지면, 차체 제어 장치(11) 및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인 운전 상태(310)로 천이한다.
유인 운전 상태(310)는, 유압 셔블(100)을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시키는 상태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인 운전 상태(310)에서는,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차체 조작이 가능한 한편,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은 불가로 되어 있다.
유인 운전 상태(310)에 있어서, 로크 밸브(22)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압하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상태(320)의 하나인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한다.
또한, 무인 운전 상태(320)의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에 있어서, 로크 밸브(22)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압하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인 운전 상태(310)로 천이한다.
여기서, 유인 운전 상태(310)와 무인 운전 상태(320)의 사이의 상태 천이의 조건에 로크 밸브(22)의 차단 상태를 포함시키고 있는 것은, 유인 운전과 무인 운전의 제어 상태의 전환을 반드시 차체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즉,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도록 하여, 제어 상태의 전환 시에 의도하지 않게 갑자기 차체가 움직여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인 운전이 가능한 건설 기계(유압 셔블(100))가 가동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작업원용 통신 단말 : 예를 들면, 손목 시계형의 웨어러블 단말)을 모든 작업원이 소지하고, 작업원용 통신 단말과, 건설 기계(유압 셔블(100))와, 무인 운전을 관리·감시하는 제어실은 동일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각각의 기기에서 상호 통신에 의한 데이터 수수(授受)가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에서는,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차체 조작이 가능한 한편,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은 불가로 되어 있다.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에 있어서,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압하한 작업자)는, 차체의 작업 범위 외로 이동한 후에, 차체 주위의 안전을 확인하고, 작업원용 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차체 및 제어실로 무인 운전 개시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에 있어서, 유압 셔블(100)이 무인 운전 개시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로 천이한다.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는, 제어실측의 판단에 의해 언제라도 원격 조작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에서는,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한 차체 조작(운전실(4) 내의 레버나 스위치류의 조작)이 불가로 전환된다. 또한,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은 불가로 되어 있다.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에 있어서, 무인 운전 상태(320)를 그만 두고 유인 운전 상태(310)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작업원용 통신 단말 혹은 제어실로부터, 유압 셔블(100)에 대하여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일 때에 유압 셔블(100)이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하므로, 로크 밸브(22)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압하함으로써,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를 유인 운전 상태(310)로 천이시킬 수 있다.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에 있어서, 제어실이 유압 셔블(100)에 대하여 무인 운전 개시 신호를 송신하고, 유압 셔블(100)이 무인 운전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로 천이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서는,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차체 조작(운전실 내의 레버나 스위치류의 조작)은 불가로 되어 있으며, 모든 조작은 원격(외부) 지령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부터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를 거쳐서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로 천이하도록 설정하였다. 즉,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이 가능한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로 천이하기 위해서는, 작업원용 통신 단말에 의한 무인 운전 개시 허가 신호의 송신을 비롯한, 차체 주위의 작업자와 제어실 쌍방의 의사 확인을 필요로 하도록 설정하였다. 이처럼 상태 천이의 순서를 정함으로써 주위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이나, 주위의 안전 확인이 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의 무인 운전 작업(차체의 동작)의 발생을 막을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서의 작업 중에 있어서,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체 조작을 행하거나, 유인 운전 상태(310)로 되돌리거나 하는 경우에는, 제어실이 유압 셔블(100)에 대하여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유압 셔블(100)이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한다.
또한,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 있어서의 무인 운전 정지 신호의 송신은, 작업자용 통신 단말로부터는 송신 불가로 해두는(또는, 차체측의 차체 제어 장치(11)나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에 있어서,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서는 작업자용 통신 단말로부터의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접수하지 않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무인 운전에서의 작업 중에, 부주의하게 무인 운전을 정지시킬 일이 없어, 무인 운전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 있어서, 주위의 작업자가 일시적으로 무인 운전의 정지를 요구하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자용 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제어실로 무인 운전 정지 요구를 송신한다. 무인 운전 정지 요구를 수신한 제어실에 있는 관리·감시자는, 작업 구획까지 차체를 동작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적절한 자세로 차체의 자세를 맞춘 후에, 차체에 대하여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한 차체는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무인 운전을 정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무인 운전의 작업 프로세스의 관리나, 안전한 작업 정지를 행할 수 있어, 작업 현장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 있어서, 긴급 정지 스위치(도시 생략)의 압하로 발신되는, 혹은, 네트워크 경유로 송신되는 비상 정지 신호를 차체가 수신하면, 차체 제어 장치(11) 및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로 천이한다. 또한,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에 있어서, 무인 운전을 계속하는 것에 지장을 초래하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차체 제어 장치(11)나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가 판정하였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로 천이한다.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에 있어서의 차체의 행동에 대해서는, 발생하고 있는 사상(事象)의 정도에 따라 설정해두면 된다.
예를 들면, 엔진(16)을 계속하여 가동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킨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엔진(16)을 정지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프론트 자세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버렸다고 하는 정도이면,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만으로도 된다.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를 정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상 정지 스위치가 눌린 경우에는,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를 바로 정지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이 도중에 끊어져 버렸다고 하는 정도이면, 차체측의 제어에 의해 완만하게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를 정지시킴으로써, 급정지에 의해 차체나 적하가 크게 흔들려 버리는 것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크 밸브(22)에 대해서는, 차체를 정지시킬 때에 자동으로 로크 상태로 전환하도록 해두면, 그 후에 작업원이 탑승할 때에, 의도하지 않게 레버에 접촉해버려 차체가 움직인다고 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에서는, 무인 운전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차체 조작은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운전실(4) 내의 레버나 스위치류)에 의해서만 가능해진다.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에 있어서, 로크 밸브(22)가 차단 상태에 있을 때에,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압하하면, 차체 제어 장치(11)와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인 운전 상태(310)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에 문제가 발생하여 무인 운전을 할 수 없어진 경우에도, 작업자가 유압 셔블(100)의 운전실(4)에 탑승하여 차체를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에 있어서, 이상 상태가 해소되었다고 차체 제어 장치(11)나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가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한다.
이어서, 외부 조작 제어 장치에 의한 상태 표시등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유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의 제어 패턴의 전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도 9는, 각 제어 패턴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무인 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도 10에 나타내는 제어 테이블에는, 상태 표시등의 명칭(221), 표시색(222) 및 점등 조건(점등할 때의 차체의 상태)(223)의 관계가 상태 표시등마다(상세하게는, 상태 표시등의 명칭(221a~221f)마다) 설정되어 있으며,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에 기억되어 있다.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상태 표시등(62)의 점등 소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태 표시등(62)의 점등 제어는, 크게 나누어서 유인 운전 상태(310)일 때와 무인 운전 상태(320)일 때에서 전환된다. 추가로, 유인 운전 상태(310)일 때의 점등 제어는, 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65)가 눌릴 때마다 「점등 제어 패턴 1」~「점등 제어 패턴 3」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우선, 유인 운전 상태(310)일 때의 점등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인 운전 상태(310)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62)의 점등 제어 패턴으로서, 「점등 제어 패턴 1」(도 7 참조), 「점등 제어 패턴 2」(도 8 참조), 「점등 제어 패턴 3」(도 9 참조)의 3종류의 제어 테이블을 보지하고 있다. 제어 패턴은,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가 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65)를 압하할 때마다, 「점등 제어 패턴 1」, 「점등 제어 패턴 2」, 「점등 제어 패턴 3」, 「점등 제어 패턴 1」의 순서로 전환된다. 또한,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키 OFF 시에 선택되어 있었던 점등 제어 패턴을 기억하고 있으며, 다음번의 키 ON 시에는, 전회 종료 시의 점등 제어 패턴을 독출하여 이용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인 운전 상태(310)의 「점등 제어 패턴 1」에서는, 작업 표시등(62a)은, 엔진이 가동하고 있을 때에 점등한다. 이는, 유압 셔블(100)이 가동 중인 것을 주위에 통지하기 위해서이다.
접근 허가 표시등(62e)은,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 때, 또는, 로크 밸브(2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점등한다. 즉, 차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확보되어 있을 때에 점등한다.
이에 의해, 주위의 작업자가 어쩔 수 없이 차체에 접근할 필요가 있을 때에,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가 확실하게 차체를 정지 상태로 해준 것인지, 주위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현장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경고 표시등(62b), 통신 표시등(62c), 운전 표시등(62d), 행동 요구 표시등(62f)은, 무인 운전 상태(320)에 관련되는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상태 표시등(62)이기 때문에 상시 소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주위의 작업자에 따라 불필요한 정보를 통지하지 않음으로써, 정말로 필요한 정보인 접근 허가인지 아닌지라고 하는 것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함께, 무인 운전을 관리·감시하고 있는 작업자에 있어서는, 이들의 무인 운전의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표시등(62)이 소등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무인 운전 상태(320)가 아닌 것(외부 지령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인 운전 상태(310)의 「점등 제어 패턴 2」에서는, 작업 표시등(62a)은, 「점등 제어 패턴 1」과 마찬가지로, 엔진(16)이 가동하고 있을 때에 점등하지만, 그 이외의 상태 표시등은 상시 소등이 된다. 즉, 유인 운전 상태만을 구비하는 유압 셔블과 같은 점등 패턴이 된다.
「점등 제어 패턴 1」과 같이 접근 허가를 나타내는 통지를 할 수 있는 쪽이, 주위 작업자에 있어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접근 허가 표시등(62e)은 운전실(4)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들어가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중단 중 등의 엔진 정지 중이나 로크 밸브 차단 중에 있어서, 접근 허가 표시등(62e)이 계속하여 점등하는 것을 번거롭게 느끼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러한 경우에, 주위의 작업자로의 접근 허가의 통지는 종래와 같은 것(제스처나 목소리, 소리에 의한 것)으로 하여 운용하는 것으로 하고,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의 작업성을 우선하여, 접근 허가 표시등(62e)을 상시 소등으로 할 수 있는 패턴(즉, 「점등 제어 패턴 2」)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인 운전 상태(310)의 「점등 제어 패턴 3」은,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 때, 또는, 로크 밸브(22)가 차단 위치에 있으면, 즉, 차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확보되어 있을 때에 점등하는 상태 표시등(62)을, 접근 허가 표시등(62e)이 아닌 운전 표시등(62d)으로 하고 있는 점이 「점등 제어 패턴 1」과 다르다.
이에 의해, 「점등 제어 패턴 1」에 있어서 우려되는 점, 즉, 유인 운전 시에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점등한 상태 표시등(62)이 들어가는 것에 의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무인 운전 상태(320)에 있어서, 운전 표시등(62d)이 점등할 때에는, 반드시 통신 표시등(62c)도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무인 운전을 관리·감시하고 있는 작업자에 있어서는, 통신 표시등(62c)이 소등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운전 표시등(62d)이 점등하고 있어도, 무인 운전 상태(320)가 아닌 것(즉, 외부 지령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무인 운전 상태(320)일 때의 점등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무인 운전 상태(320)에 있어서의 상태 표시등(62)의 점등 제어 패턴(도 10 참조)을 정한 제어 테이블을 보지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인 운전 상태(320)에서는, 작업 표시등(62a)은, 엔진이 가동하고 있을 때에 점등한다.
경고 표시등(62b)은, 제어 상태가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일 때에 점등한다. 적색의 표시등으로, 무인 운전을 계속할 수 없는 이상 상태인 것을 관리·감시자에게 통지한다.
통신 표시등(62c)은, 제어 상태가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의 어느 것(즉, 유인 운전 상태가 아닐 때), 또한, 차체와 제어실의 네트워크 접속이 정상일 때에 점등한다. 실제의 작업 시에 있어서는, 유인 운전 상태(310)에서는 소등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가 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64)를 눌러서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로 천이하였을 때에, 네트워크 접속이 정상이면 소등으로부터 점등으로 전환된다. 작업자는, 이 통신 표시등(62c)이 점등하고 있는 것과 경고 표시등(62b)이 소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차체가 무인 운전을 행하는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운전 표시등(62d)은, 제어 상태가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일 때에 점등한다. 운전 표시등(62d)이 점등하고 있을 때에는, 운전실(4)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차체 조작은 불가로 되어 있으며,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이 가능으로 되어 있다.
접근 허가 표시등(62e)은, 제어 상태가 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321), 무인 운전 대기 상태(322),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의 어느 것(즉, 무인 운전 상태(320)에 있어서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가 아닐 때), 또한, 엔진 정지 중 또는 로크 밸브(22)가 차단 상태일(즉, 차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확보되어 있을) 때에 점등한다. 엔진 정지 중이나 로크 밸브(22)가 차단 중이어도,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이면 점등하지 않는다(소등한다). 이는, 가령 로크 밸브(22)가 차단 중이어도,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인 경우에는 원격(외부) 지령에 의해 로크 밸브(22)가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차체가 움직일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며, 확실하게 원격(외부) 지령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만, 주위 작업자에게 접근 허가를 통지함으로써, 보다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행동 요구 표시등(62f)은, 무인 운전 상태(320)의 차체에서,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여 특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이는,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로의 천이 조건의 하나이다), 또는, 차체가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점등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점등시킨다. 여기에서,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점등 신호는, 무인 운전을 관리·감시하는 제어실로부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무인 운전 작업 상태(620)에서 원격 조종 작업을 실시 중(즉,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의 경우)에, 차체와 제어실의 네트워크 접속이 절단되어 버렸을 때, 운전 상태는 무인 운전 상태(320)의 무인 운전 작업 상태(323)로부터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로 천이하고,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유압 액추에이터(1a,2a,3d,3e,3f)의 동작을 정지시켜, 로크 밸브(22)를 차단한다. 이 상태(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가 된 차체는, 원격(외부) 지령에 의한 차체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이상 상태로 되어 있는 차체를 장시간 방치하면 작업에 지장이 생기기 때문에, 복구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차체의 자세를 변경하거나, 차체를 안전한 장소나 특정한 피난 장소까지 이동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차체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제어실로부터 관리·감시자가 차체를 향하는 경우에는, 시간을 요해버리거나, 관리·감시자가 한사람인 경우에는, 제어실측에서 정보를 확인하는 작업자가 없어져, 복구 작업의 효율이 떨어져 버리거나 하는 것이 상상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제가 되는 작업 현장의 운용룰로서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점등 시에는 차체의 운전실(4)에 탑승하여 복구 작업에 협력하는」 것을 미리 공유해 둠으로써, 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324)가 되었을 때에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점등시킴으로써, 차체의 가까이 있는 작업자에게 협력을 구할 수 있다.
추가로,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점등시킬 때에, 운전실(4) 내의 모니터(표시 장치(5))에, 제어실이나 관리·감시자의 연락처(전화번호)나, 탑승한 작업자에게 요구하는 조작이나 행동에 대하여 표시되도록 해두면, 복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상황으로서,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무인 운전 작업 상태로 가동 중이었던 경우에도, 차체의 주위의 상황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싶어졌을 경우, 제어실로부터 차체에 대하여, 무인 운전 정지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행동 요구 표시등 점등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주위의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게 하여 협력을 바람으로써, 차체의 정지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작업 현장 전체로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이 행동 요구 표시등(62f) 점등 시에,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에 접속된 외부 스피커(66)로부터 음성 가이던스를 출력하면, 보다 주위의 작업자가 차체의 상태에 눈치채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소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운용을 행함으로써, 작업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점등 시에 있어서, 작업자에게 유압 셔블(100)에 탑승하게 하여 복귀 대응을 실시하게 하고 있는 경우에, 그 때의 차체의 상태(예를 들면, 이상 상태나, 차체의 자세 등의 정보)를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나 원격의 제어실이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나 제어실이, 작업자에게 탑승하여 대응하게 한 작업이 완료된 것(예를 들면, 이상 상태가 해소된 것이나, 지정한 차체 자세로 변경된 것)을 포함하는 소등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판정하면,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소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행동 요구 표시등(62f)의 점등을 보고 유압 셔블(100)에 탑승한 작업자는, 자신에게 요구된 행동이 완료된 것을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완료의 판단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현장으로서의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작업자용 통신 단말이나 운전실(4) 내의 통신 단말(61) 등을 통하여, 유압 셔블(100) 탑승한 작업자와 차체의 관리·감시자가 통화 등으로 서로 정보를 전달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한다.
작업 기계가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을 행하는 경우, 건설 기계의 주위의 작업자가 어쩔 수 없이 무인 운전 중의 차체에 접근할 필요나, 건설 기계에 의한 작업을 중단하게 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 중의 건설 기계를 주위의 작업자가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여도, 실제로 무인 운전을 정지시켰다고 하면, 무인 운전에 의한 작업이 의도하지 않게 중단 혹은 정지해버리게 되어, 작업성의 불필요한 저하를 초래해버린다.
건설 기계의 무인 운전(원격 운전, 자동 운전)을 원격으로 관리하고 있는 관리자에게 어떠한 연락 수단에 의해 무인 운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게 한 경우여도, 차체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인 것이 주위의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주위의 작업자는 안전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 기계에 접근할 수 없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해버린다. 또한, 무인 운전이 중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작업 기계가 움직이고 있지 않은 모습으로부터 주위의 작업자가 무인 운전의 중단을 오인하여, 건설 기계에 부주의하게 접근해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의 차단 등의 어떠한 문제에 의해 작업 기계의 무인 운전(원격 운전·자동 운전)이 정지되어 버렸을 경우에, 운전 중이었던 건설 기계의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건설 기계를 일시적으로 퇴피시키거나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누군가가 운전실 내에 탑승하여 차체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건설 기계와 제어실(즉, 관리자)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건설 기계까지 이동하는데에 다대한 시간을 요해버려, 그 작업에 다대한 시간을 요해버린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유압 셔블(100)에 있어서, 유압 셔블(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11)와, 통신 단말(61)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차체 제어 장치(11)로 송출함으로써, 운전실(4)로의 오퍼레이터의 탑승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 운전의 제어를 행하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와, 유압 셔블(100)로의 작업자의 접근 허가를 표시하는 접근 허가 표시등(62e)과, 주위의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여 특정 행동을 행하는 것의 요구를 표시하는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구비하며, 외부 조작 제어 장치(60)는, 차체 제어 장치(11)에 수집된 정보에 따라, 유압 셔블(100)로의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접근 허가 표시등(62e)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통신 단말(61)을 개재하여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행동 요구 표시등(62f)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차체의 동작 상태를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간결하게 통지할 수 있어, 차체의 주위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부기>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의 다양한 변형예나 실시형태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성의 일부를 변경이나 삭제한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태 표시등(62)을 점등시킴으로써, 정보 표시등(62)에 각각 할당된 정보를, 유압 셔블(100)의 주위의 작업자나 제어실에 있는 관리·감시자에게 전달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태 표시등(62)을 점멸시킴으로써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 설계하는 등에 의해 실현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프로세서가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여도 된다.
1…하부 주행체
1a…주행 유압 모터
1b…크롤러
2…상부 선회체
2a…선회 유압 모터
3…프론트 작업기
3a…붐
3b…아암
3c…버킷
3d…붐 실린더
3e…아암 실린더
3f…버킷 실린더
4…운전실
5…표시 장치
6~8…각도 센서
9…경사 센서
10…선회 각도 센서
11…차체 제어 장치
12…로크 스위치
13…스위치 박스
14…모니터 제어 장치
15…조작 장치
16…엔진
17…엔진 제어 장치
18…유압 펌프
19…컨트롤 밸브
20…파일럿 펌프
21…펌프 레귤레이터
22…로크 밸브
23…펌프 유량 제어압 센서
24…파일럿압 제어 감압 밸브
25…조작압 센서
26…펌프 토출압 센서
60…외부 조작 제어 장치
61…통신 단말
62…상태 표시등
62a…작업 표시등
62b…경고 표시등
62c…통신 표시등
62d…운전 표시등
62e…접근 허가 표시등
62f…행동 요구 표시등
63…카메라
64…운전 상태 전환 스위치
65…점등 조건 전환 스위치
66…외부 스피커
100…유압 셔블
상태 표시등의 명칭…221a~221f
222…표시색
223…점등 조건
300…상태
310…유인 운전 상태
320…무인 운전 상태
321…무인 운전 일시 해제 상태
322…무인 운전 대기 상태
323…무인 운전 작업 상태
324…무인 운전 강제 정지 상태
620…무인 운전 작업 상태

Claims (9)

  1.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와,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차체 제어 장치로 송출함으로써, 운전실로의 오퍼레이터의 탑승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 운전의 제어를 행하는 외부 조작 제어 장치와,
    상기 건설 기계로의 작업자의 접근 허가를 표시하는 접근 허가 표시등과,
    주위의 작업자에게 운전실에 탑승하여 특정 행동을 행하는 것의 요구를 표시하는 행동 요구 표시등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차체 제어 장치에 수집된 정보에 따라, 상기 건설 기계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접근 허가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허가 표시등과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은, 서로 근방 혹은 이어지는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접근 허가 표시등과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의 점등색은 다른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허가 표시등 및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의 적어도 일방은, 주위의 작업자의 시선의 높이로부터 시인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차체 제어 장치에 수집된 정보가, 적어도 액추에이터의 동작이 무효로 되어 있으며, 또한, 액추에이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확보되어 있다고 하는 정보였을 경우에, 상기 건설 기계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것과 함께,
    무인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무인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실 내에 배치된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을 점등시키고 있을 때에, 운전실 내의 표시 장치에, 관리자의 연락처, 및, 탑승한 작업자에게 요구하는 행동의 내용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제어실과 차체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에 의한 차체 동작이 불가가 되었을 경우에, 주위의 작업자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8. 제 4 항에 있어서,
    차체의 주위에 있는 작업자에 대하여 소리에 의해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행동 요구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통지기로부터 통지음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의 무인 운전이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운전 표시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부 조작 제어 장치는, 상기 차체 제어 장치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따라, 상기 건설 기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운전 표시등을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37028140A 2021-03-31 2021-12-16 건설 기계 KR20230131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1183 2021-03-31
JPJP-P-2021-061183 2021-03-31
PCT/JP2021/046636 WO2022209045A1 (ja) 2021-03-31 2021-12-16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91A true KR20230131491A (ko) 2023-09-13

Family

ID=8345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140A KR20230131491A (ko) 2021-03-31 2021-12-16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79663A1 (ko)
JP (1) JPWO2022209045A1 (ko)
KR (1) KR20230131491A (ko)
CN (1) CN116917582A (ko)
WO (1) WO20222090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019A (ja)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自動走行車両
JP2002180503A (ja) 2000-10-02 2002-06-26 Komatsu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130A (ja) * 1981-08-10 1983-02-16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土建作業方法
JPH06311570A (ja) * 1993-04-22 1994-11-04 Komatsu Ltd 遠隔操作機械の異常表示装置
JP5923385B2 (ja) * 2012-05-24 2016-05-2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20150066723A (ko) * 2013-12-09 2015-06-1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고장내역표시 시스템 및 방법
JP6027996B2 (ja) * 2014-03-27 2016-11-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遠隔操縦システム
JP6212197B1 (ja) * 2016-12-28 2017-10-11 株式会社六共 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7125454B2 (ja) * 2020-09-10 2022-08-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019A (ja)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自動走行車両
JP2002180503A (ja) 2000-10-02 2002-06-26 Komatsu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09045A1 (ko) 2022-10-06
CN116917582A (zh) 2023-10-20
EP4279663A1 (en) 2023-11-22
WO2022209045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3147A1 (en) Work vehicle
US7605692B2 (en) Indicator control system with camera section
JP2016089389A (ja) 作業機械の旋回支援装置
US11913197B2 (en) Shovel and system for shovel
US20210010243A1 (en) Shovel
US20180295357A1 (en) Display system of working machine and display method of working machine
EP3056407B1 (en) Steering device for utility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steering device for utility vehicle
US20220219954A1 (en) Work machine and video display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US20220227606A1 (en)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 machine
KR20230131491A (ko) 건설 기계
WO2021059615A1 (ja) 建設機械
KR20230132849A (ko) 건설 기계
JP3202263U (ja) エンジン制御装置
US20240125091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20159045A (ja) 建設機械
WO2021085448A1 (ja) 建設機械
JP7430068B2 (ja) 作業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作業車両
JP2022179081A (ja) 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遠隔操作支援装置
US20220112685A1 (en) Work machine
JP7324703B2 (ja) 建設機械
WO2023190842A1 (ja) 作業機械
JP2021195813A (ja) ショベル
US9056582B2 (en) Indication system for a machine
JP2004332442A (ja) 作業機械の作業機干渉防止域表示装置
KR20230044936A (ko) 작업 기계용 제어 시스템,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및 작업 기계용 제어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