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858A - 변압기 - Google Patents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858A
KR20230130858A KR1020220027975A KR20220027975A KR20230130858A KR 20230130858 A KR20230130858 A KR 20230130858A KR 1020220027975 A KR1020220027975 A KR 1020220027975A KR 20220027975 A KR20220027975 A KR 20220027975A KR 20230130858 A KR20230130858 A KR 2023013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core member
support frame
bol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2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858A/ko
Publication of KR2023013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5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변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압기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외부에서 통전된 전류에 의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철심 부재; 상기 철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철심 부재의 상기 외주를 둘러싸고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방사상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 또는 교류 전류의 값을 변환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변압기는 외부와 통전되어, 교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 및 코일이 권취되는 철심을 포함한다. 코일은 복수 개 구비되어, 각각 철심에 권취된다.
어느 하나의 코일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철심에는 자속(magnetic flux)이 형성된다. 자속의 변화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일에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된다. 유도된 전류는 인가된 교류 전류와 다른 전류 또는 전압을 갖게 되어, 외부의 부하로 전달될 수 있다.
변압기에 구비되는 철심은 복수 개의 철판 등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변압기가 작동됨에 따라, 철심에는 자왜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자왜 현상에 의해 철심에서는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은 외부로 전달되어, 변압기가 배치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생된 진동은 변압기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변압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구성 요소 간의 결합 상태 및 변압기와 다른 장치의 결합 상태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발생된 소음은 변압기 근처의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상기 진동 및 소음은 철심의 형성 구조, 즉 복수 개의 철판이 적층되어 철심이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적층된 복수 개의 철판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서로에 완전히 밀착 지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적층된 복수 개의 철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에 의해, 상기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변압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6-0026099호는 변압기 외함 소음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변압기 주위에 설치된 외함의 일부에 소음 저감장치를 설치하여, 변압기에서 방사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변압기 외함 소음 저감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변압기 외함 소음 저감장치는 변압기 자체가 아닌 외함에 설치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변압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118643호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변압기에서 발생된 소음의 파형을 분석하고, 이를 상쇄하기 위한 파(wave)를 생성하여, 노이즈 캔슬링의 형태로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파형을 분석하고, 이를 상쇄하기 위한 파형을 연산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적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은 구비된 전기적 장치에 의해 변압기의 작동이 교란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6-0026099호 (2016.03.09.)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118643호 (2020.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소음원 또는 진동원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다한 구조 변경 없이도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소음원 또는 진동원의 구조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의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외부에서 통전된 전류에 의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철심 부재; 상기 철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철심 부재의 상기 외주를 둘러싸고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방사상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철심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의 상기 수평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를 둘러싸며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와 결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고,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철심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덕트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덕트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와 각각 접촉되는 절연 몸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내부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절연유(Oil of Transformer)가 유동되는 절연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층(layer)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층 중 상기 철심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층 중 상기 철심 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층은, 상기 어느 하나의 층보다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철심 부재가 수용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그 일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을 둘러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심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밴드 부재 및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되는 볼트 몸체; 및 상기 볼트 몸체와 연속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밴드형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밴드형 볼트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볼트 헤드; 및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와 각각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사이에서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볼트 몸체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몸체는,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중 어느 하나와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일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 부분과 각각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또다른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고,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먼저, 변압기는 자속을 형성하기 위한 철심 부재 및 철심 부재에 권취되어 변압 대상인 전류 및 유도된 전류가 통전되는 권선 부재를 포함한다. 철심 부재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복수 개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철심 부재와 지지 프레임은 체결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는 철심 부재에 권취된 밴드 부재를 포함한다. 밴드 부재는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는 철심 부재를 구성하는, 적층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방사상 내측으로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철심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밀착되어, 복수 개의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 및 자왜 현상에 따른 형상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진동이 저감되어 상기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또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소음원 및 진동원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체결부는 철심 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가 밴드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자왜 현상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체결부가 관통 밴드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상기 철심 부재 및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체결부가 볼트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지지 프레임 및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가 밴드형 볼트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되,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따라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체결부는 변압기의 작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철심 부재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가 밴드형 볼트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도 체결부는 철심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생 후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 뿐만 아니라, 진동원 및 소음원인 철심 부재 자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또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과다한 구조 변경 없이도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먼저, 체결부의 볼트 부재 및 밴드형 볼트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철심 부재와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해 기 구비된다. 볼트 부재는 철심 부재 및 지지 프레임에 각각 관통되어 철심 부재와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다. 밴드형 볼트 부재는 철심 부재를 둘러싸는 지지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철심 부재를 외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체결부의 밴드 부재 또는 관통 밴드 부재는, 상기 볼트 부재 및 상기 밴드형 볼트 부재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밴드 부재 또는 관통 밴드 부재는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철심 부재의 과다한 구조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다. 체결부가 관통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도, 지지 프레임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만으로도 관통 밴드 부재가 지지 프레임 및 철심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다른 구성 요소의 과다한 구조 변경 없이도, 체결부가 구비되어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소음원 또는 진동원의 구조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먼저, 체결부의 볼트 부재 및 밴드형 볼트 부재는, 지지 프레임 및 철심 부재에 각각 결합된다. 볼트 부재 및 밴드형 볼트 부재는 지지 프레임과 철심 부재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또한, 체결부의 밴드 부재 및 관통 밴드 부재는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구성된다. 철심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밴드 부재 및 관통 밴드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에 대해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철심 부재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체결부에 의해, 철심 부재와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지지 프레임 및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 결합되는 볼트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철심 부재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밴드형 볼트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체결부는 철심 부재의 외주에 권취되는 밴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체결부는 철심 부재의 외주 및 지지 프레임에 각각 권취되는 관통 밴드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볼트 부재 및 밴드형 볼트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밴드 부재 및 관통 밴드 부재 중 어느 하나가 동시에 구비되어, 철심 부재와 지지 프레임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는 진동 및 소음의 저감 대상인 변압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시하는 부분 개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압기에 구비되는 통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전부에 구비되는 철심 부재 및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철심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철심 부재 및 프레임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철심 부재 및 프레임에 구비되는 볼트 부재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철심 부재 및 프레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철심 부재 및 프레임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밴드 부재에 구비되는 절연 덕트를 구비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재가 구비된 철심 부재 및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재를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철심 부재에 완충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철심 부재에 완충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철심 부재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철심 부재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Wi-Fi, 블루투스,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각 부재의 내부가 서로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관로, 파이프 등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작동시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되는 자왜 현상(magnetostriction)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변압기(10)는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변압기(10)는 전압의 조정 대상인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변압기(10)는 전압이 조정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류는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 AC)일 수 있다.
변압기(10)의 작동 원리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변압기(10)는 하우징(100) 및 통전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체결부(300) 및 완충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체결부(300) 및 완충 부재(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변압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변압기(1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은 외부와 통전되어, 변압의 대상인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변압된 전류는 외부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변압기(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다양한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벽체부(110), 수용 공간(120) 및 보강 리브(130)를 포함한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한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즉 수용 공간(120)을 외측에서 둘러싼다.
벽체부(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체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한 개의 벽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쌍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편, 도 1에는 전방 측에 별도의 벽체부(110)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전방 측에도 벽체부(110)가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을 사이에 두고 후방 측에 위치되는 벽체부(110)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하며 수용 공간(120)을 둘러쌀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체부(1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소정의 두께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판형으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벽체부(110)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벽체부(110)는 서로 수직하게 연속된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의 결합 방식은 하우징(100)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복수 개의 위치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후방 측,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둘러싸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측에도 벽체부(110)가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의 전방 측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20)은 변압기(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은 통전부(200), 체결부(300) 및 완충 부재(4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은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수용 공간(120)은 외부와 통전된다. 변압의 대상이 되는 전류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구성 요소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전부(200)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는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 공간(120)은 외부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미도시)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에 결합되어, 벽체부(1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가 연장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가 연장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리브(13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부(1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수용 공간(120)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의 벽체부(110)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에 결합되어 벽체부(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리브(1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컬럼(column) 형태로 구비된다.
통전부(200)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류를 승압 또는 강압한다. 이에, 통전부(200)는 변압기(10)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즉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다. 수용 공간(120)은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되는 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통전부(200) 또한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둘러싸여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전부(200)는 변압기(10) 외부의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변압기(10) 근처에 체류되는 작업자는 통전부(2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통전부(20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통전부(200)는 외부와 통전된다. 상기 통전은 수용 공간(120)을 외부와 통전하는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된 전류가 통전부(200)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200)는 철심 부재(210), 권선 부재(220) 및 지지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철심 부재(210)는 통전부(200)의 구조를 형성한다. 철심 부재(210)에는 외부와 통전되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권취된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권선 부재(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철심 부재(210)에는 자속(magnetic flux)이 발생된다. 발생된 자속은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다른 하나 이상의 권선 부재(220)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철심 부재(21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그 적층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그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각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중 그 적층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210a)의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210a)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철심 부재(210)의 단면은 외측 및 내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원에 유사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6 내지 도 8참조).
따라서, 철심 부재(210)의 모서리(214)는 그 적층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변압기(10)가 작동될 경우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모서리(214)를 감쌈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한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10a)는 연철(wrought ir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철심 부재(210)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권취되어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수직부(211), 수평부(212), 권선 공간(213), 모서리(214),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를 포함한다.
수직부(211)는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의 몸체를 형성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직부(211)는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211)에는 권선 부재(220)가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철심 부재(210)에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21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211)는 세 개 구비되어, 철심 부재(21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에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각각 권취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복수 개의 수직부(211) 각각에 권취된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서로 접촉되지 않을만큼 충분히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수평부(212)와 각각 연속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복수 개의 수평부(212) 사이에서 연속된다.
수평부(212)는 철심 부재(210)의 길이 방향의 몸체를 형성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수평부(212)는 철심 부재(210)의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평부(212)에는 지지 프레임(230)이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가 지지될 수 있다.
수평부(21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부(2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두 개 구비되어 그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측의 수평부(212)에는 상부 프레임(231)이, 하측의 수평부(212)에는 하부 프레임(232)이 각각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가 복수 개의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부(212)는 수직부(211)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와 접촉되지 않을만큼 충분히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 및 복수 개의 수평부(212)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권선 공간(2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 권선 공간(213)의 상측 및 하측은 수평부(212)에 둘러싸인다. 또한, 권선 공간(213)의 좌측 및 우측은 수직부(211)에 둘러싸인다. 권선 공간(213)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권선 부재(220)는 상기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통해 수직부(211)에 권취될 수 있다.
권선 공간(21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공간(213)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단수 개의 권선 공간(213) 및 우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단수 개의 권선 공간(213)을 포함하여 두 개 형성된다. 상기 권선 공간(213)들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211)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권선 부재(22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공간(2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이다.
모서리(214)는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가 연속되는 부분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모서리(214)는 철심 부재(210)의 외측 엣지(edge)를 형성한다.
모서리(214)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는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수직부(211)와 복수 개의 수평부(212)가 서로 연속되는 부분마다 모서리(2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서리(214)는 상측의 좌측 및 우측, 하측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형성된다. 모서리(214)의 개수는 철심 부재(210) 및 철심 부재(210)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10a)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모서리(214)는 철심 부재(210)의 엣지 부분인 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서로 묶기(tie) 위한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기 어렵다. 따라서, 변압기(10)가 작동될 경우, 모서리(214)에서는 자왜 현상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자왜 현상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모서리(214)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철심 외주(215)는 철심 부재(210)의 면 중 외측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철심 외주(216)는 철심 부재(210)의 면 중 내측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는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수직부(211)의 경우 제1 철심 외주(215)는 좌측의 면으로, 제2 철심 외주(216)는 우측의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우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수직부(211)의 경우 제1 철심 외주(215)는 우측의 면으로, 제2 철심 외주(216)는 좌측의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의 경우 제1 철심 외주(215)는 상측의 면으로, 제2 철심 외주(216)는 하측의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의 경우 제1 철심 외주(215)는 하측의 면으로, 제2 철심 외주(216)는 상측의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형상에 기인하여,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는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 또한 원호(arc)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됨에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수직부(211) 또는 수평부(212), 특히 수평부(212)에 형성되는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를 감싸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직부(211) 또는 수평부(212)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에 통전된 전류는 철심 부재(210)에 자속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속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승압 또는 강압되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된다. 승압 또는 강압 대상인 전류는 권선 부재(220)에 전달될 수 있다.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는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권선 부재(2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211)에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권선 부재(220)는 복수 개의 수직부(211) 사이에 형성되는 권선 공간(213)에 수용된다.
권선 부재(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다른 수직부(211)에 권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수직부(211)에 각각 권취된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되어, 승압 또는 강압 대상인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다른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되어,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나머지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유도된 전류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되어 유도 기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실린더(cylinder) 형상이다.
권선 부재(220)는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통전된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코일(coil)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 및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 및 하우징(10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철(Fe)을 포함한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230)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복수 개의 위치에서 철심 부재(210)와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 및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상부 프레임(231), 하부 프레임(232), 보강 부재(233) 및 관통공(234)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철심 부재(210)의 일측과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철심 부재(210)를 덮으며 철심 부재(2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231)은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에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수평부(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상부 프레임(231)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수평부(212), 특히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231)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포함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은 상측의 수평부(212)의 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의 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상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는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상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는 절연 덕트(33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재(340)가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4)은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그 이격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4)에는 밴드 부재(340)가 관통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232)은 철심 부재(210)의 타측과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232)은 철심 부재(210)를 덮으며 철심 부재(2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232)은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에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232)은 수평부(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하부 프레임(232)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231)과 하부 프레임(232)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23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232)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수평부(212), 특히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232)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 프레임(232b)을 포함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은 하측의 수평부(212)의 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의 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과 하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도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과 하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는 절연 덕트(33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밴드 부재(340)가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4)은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그 이격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4)에는 밴드 부재(340)가 관통 결합된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과 각각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231)과 철심 부재(210)의 결합을 보강한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수평부(212)의 두께 이상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상부 프레임(231a)과 결합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결합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 부재(233)는 상부 프레임(2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세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보강 부재(233)의 형상은 상부 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230)과 철심 부재(210)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 부재(233)는 하부 프레임(232)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 프레임(232b)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관통공(234)은 밴드 부재(340)가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형성된다. 관통공(234)은 상부 프레임(231) 및 하부 프레임(232)에 관통 형성되어, 후술될 밴드 부재(340)가 통과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도 10 참조).
관통공(234)은 상부 프레임(231)에 둘러싸인 공간 또는 하부 프레임(232)에 둘러싸인 공간을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통한다.
관통공(234)은 밴드 부재(34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234)은 상부 프레임(231)의 연장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관통공(234)의 형상은 밴드 부재(340)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관통공(234)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부재(340)는 복수 개의 관통공(234)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234)을 통해 상부 프레임(231)에 둘러싸인 공간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밴드 부재(340)는 복수 개의 관통공(234) 중 다른 하나의 관통공(234)을 통해 외측에서 상부 프레임(231)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234)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1 관통공(234a) 및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제2 관통공(234b)을 포함한다.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은 서로 이격되어, 연통되지 않는다.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 사이의 부분, 즉 상부 프레임(231)의 일 부분은 밴드 부재(340)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을 한 쌍의 관통공(234)으로 정의하면, 한 쌍의 관통공(234) 또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은 상부 프레임(23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에는 복수 개의 밴드 부재(340)가 각각 관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234)은 두 쌍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23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에는 복수 개의 밴드 부재(340)가 각각 관통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은 하부 프레임(23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 프레임(232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부재(340)가 복수 개의 쌍의 관통공(234)에 관통되어 수평부(212)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300)의 설명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체결부(300)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230)과 철심 부재(210)의 결합을 유지한다. 또한, 체결부(300)는 변압기(10)의 작동시 자왜 현상에 의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체결부(300)는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체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300)는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둘러싸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300)는 복수 개의 수평부(212)에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체결부(300)는 복수 개의 수직부(211)에도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부(30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철심 부재(210)와 결합되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체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체결부(300)는 수평부(212)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300)가 상측의 수평부(212)에 구비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부(300)는 하측의 수평부(212)에도 구비되어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하측의 수평부(212)에 구비되는 체결부(300)는 상측의 수평부(212)에 구비되는 체결부(300)와 그 구조, 결합 및 배치 방식 등이 같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체결부(300)가 상측의 수평부(212) 및 상부 프레임(231)에 구비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300)는 하측의 수평부(212) 및 하부 프레임(232)에도 구비되며, 이하의 설명과 같은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체결부(30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묶고, 이들을 지지 프레임(230)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300)는 볼트 부재(310), 밴드형 볼트 부재(320),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를 포함한다.
볼트 부재(310)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관통되어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을 결합시킨다. 볼트 부재(310)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각각 결합된다.
볼트 부재(310)는 철심 부재(2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볼트 부재(31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수평부(212)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차례로 관통된다(도 6 참조).
볼트 부재(31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볼트 부재(31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볼트 부재(310)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관통되어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볼트 부재(310)는 나사 결합(screw fit)의 방식으로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볼트 부재(310)는 볼트 헤드(311), 볼트 몸체(312) 및 너트 부재(313)를 포함한다.
볼트 헤드(311)는 볼트 부재(310)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볼트 헤드(311)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의 전방 측에 노출된다. 달리 표현하면, 볼트 헤드(311)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수평부(21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볼트 헤드(311)는 볼트 몸체(312)와 연속된다.
볼트 몸체(312)는 볼트 부재(310)가 연장되는 부분이다. 볼트 몸체(312)는 철심 부재(2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트 몸체(312)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볼트 헤드(311)와 결합된다. 볼트 몸체(312)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너트 부재(313)와 결합된다.
볼트 몸체(312)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상측의 수평부(212)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각각 관통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볼트 몸체(31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 몸체(312)의 외주면에는 절연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볼트 몸체(312)와 상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는 상기 절연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몸체(312)와 철심 부재(2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볼트 몸체(312)의 상기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너트 부재(313)가 구비된다.
너트 부재(313)는 볼트 부재(310)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너트 부재(313)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의 후방 측에 노출된다. 달리 표현하면, 너트 부재(313)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수평부(21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볼트 헤드(311)는 볼트 몸체(312)와 일체로 구비되고, 너트 부재(313)는 볼트 몸체(312)와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볼트 헤드(311) 또한 볼트 몸체(312)와 별도로 구비되어, 볼트 몸체(312)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300)의 밴드형 볼트 부재(320)가 도시된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지지 프레임(230)에 관통되고, 철심 부재(210)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230)과 철심 부재(210)를 결합시킨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지지 프레임(230)에 결합되되, 철심 부재(210)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철심 부재(2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심 부재(210)는 그 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밴드형 볼트 부재(320) 또한 전후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개의 절곡부 또는 만곡부를 포함하게 형성되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철심 부재(210)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각각 관통 결합된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지지 프레임(230)에 관통되고, 철심 부재(210)를 방사상 외측에서 감쌀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나사 결합의 형태로 상부 프레임(231)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밴드형 볼트 부재(320)는 볼트 헤드(321) 및 볼트 몸체(322)를 포함한다.
볼트 헤드(321)는 밴드형 볼트 부재(320)의 연장 방향의 양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를 각각 형성한다. 볼트 헤드(321)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의 전방 측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의 후방 측에 각각 노출된다.
달리 표현하면, 전방 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321)는 제1 상부 프레임(231a)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수평부(21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321)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수평부(21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볼트 헤드(321)는 각각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관통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볼트 헤드(321)는 각각 볼트 몸체(322)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볼트 헤드(321)는 볼트 몸체(32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볼트 몸체(322)는 한 쌍의 볼트 헤드(321)와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볼트 헤드(321) 사이에서 연장된다. 볼트 몸체(322)는 철심 부재(210)의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를 각각 둘러싼다.
볼트 몸체(322)는 철심 부재(2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볼트 몸체(322)의 연장 방향의 양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는 각각 볼트 헤드(321)와 결합된다.
볼트 몸체(322)는 볼트 헤드(321)와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볼트 몸체(322)는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밴드(band)의 형태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볼트 몸체(322)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부분(322a), 편평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322b) 및 다른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부분(322c)을 포함한다.
제1 부분(322a)은 볼트 몸체(322)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부분(322a)은 볼트 몸체(322)의 부분 중 제1 상부 프레임(231a)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이다. 제1 부분(322a)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321)와 결합된다.
제1 부분(322a)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철심 부재(210)에 이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또는 하측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부분(322a)은 철심 부재(210)의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부분(322a)은 제2 부분(322b)과 연속된다.
제2 부분(322b)은 볼트 몸체(322)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중앙 부분을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부분(322b)은 볼트 몸체(322)의 부분 중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이다. 제2 부분(322b)은 제1 부분(322a) 및 제3 부분(322c)과 연속된다.
제2 부분(322b)은 제1 부분(322a) 및 제3 부분(322c)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부분(322b)은 철심 부재(210)의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3 부분(322c)은 볼트 몸체(322)의 연장 방향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3 부분(322c)은 볼트 몸체(322)의 부분 중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이다. 제3 부분(322c)은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321)와 결합된다.
제3 부분(322c)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철심 부재(2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또는 상측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3 부분(322c)은 철심 부재(210)의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 몸체(322)와 철심 부재(210) 사이에는 지지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볼트 몸체(322)와 제1 철심 외주(215) 사이에는 볼트 몸체(322)를 지지하고 볼트 몸체(322)와 제1 철심 외주(215)를 절연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에 위치되는 밴드형 볼트 부재(320)의 볼트 몸체(322)와 제2 철심 외주(216) 사이에도 볼트 몸체(322)를 지지하고 볼트 몸체(322)와 제2 철심 외주(216)를 절연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미도시)는 볼트 몸체(322)를 지지하고 볼트 몸체(322)와 철심 부재(210)를 절연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미도시)는 목재, 고무 등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묶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와 결합된다.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의 방사상 외측에서 철심 부재(21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적층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방사상 내측을 향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가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의 외주에 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의 제1 및 제2 외주(215, 216)를 모두 둘러싸며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심 부재(2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밴드 부재(330) 또한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밴드 부재(330) 중 제1 상부 프레임(231a)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 부분은 제1 상부 프레임(231a)과 철심 부재(210) 사이에 위치된다. 밴드 부재(330) 중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타 부분은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철심 부재(2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밴드 부재(330)는 철심 부재(210)의 수평부(212)와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 위치된다.
밴드 부재(33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묶음과 동시에,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와 지지 프레임(230)을 절연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폴리 글래스(Poly Glass, PG) 소재의 테이프 또는 합성 수지 소재의 밴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밴드 부재(330)는 소정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밴드형 볼트 부재(320)에 상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는 절연 덕트(331)를 포함한다.
절연 덕트(331)는 밴드 부재(330)와 지지 프레임(230)을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켜 철심 부재(210), 밴드 부재(330) 및 지지 프레임(230) 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유지한다.
절연 덕트(331)는 밴드 부재(330)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위치된다. 절연 덕트(331)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밴드 부재(330)와 지지 프레임(230)을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덕트(331)는 두 개 구비되어, 밴드 부재(330)의 전방 부분 및 제1 상부 프레임(231a) 사이와, 밴드 부재(330)의 후방 부분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절연 덕트(331)는 밴드 부재(330) 및 상부 프레임(231)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덕트(331)는 밴드 부재(330) 및 상부 프레임(231)과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절연 덕트(331)는 철심 부재(210), 밴드 부재(330) 및 지지 프레임(230) 간의 절연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덕트(331)는 프레스 보드(press board), 종이, 목재, 고무, 코르크, 합성 수지 소재 등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덕트(331)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변압기(10)가 작동되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절연 덕트(331)에 의해서도 일정 부분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덕트(331)의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유(Oil of Transformer, OT)가 유동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절연 덕트(331)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덕트(331)는 절연 몸체(331a) 및 절연 개구부(331b)를 포함한다.
절연 몸체(331a)는 절연 덕트(331)의 몸체를 형성한다. 절연 몸체(331a)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절연 개구부(331b)는 절연 몸체(331a)의 내부에 형성된다. 절연 개구부(331b)는 절연 몸체(331a)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절연 개구부(331b)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는 각각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절연 개구부(331b)에는 상기 절연유가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 개구부(331b)는 외부의 절연유 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몸체(331a)는 절연 개구부(331b)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높이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면이 밴드 부재(330) 및 지지 프레임(23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절연유는 절연 개구부(331b)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묶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과 각각 결합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관통 밴드 부재(340)의 일 부분은 철심 부재(210)의 제1 철심 외주(215) 및 제2 철심 외주(216)를 둘러싸며 연장된다. 관통 밴드 부재(340)의 다른 부분은 관통공(234)에 관통되어, 지지 프레임(2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의 방사상 외측에서 철심 부재(21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 밴드 부재(340)는 적층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방사상 내측을 향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가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의 외주에 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의 제1 및 제2 외주(215, 216)를 모두 둘러싸며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심 부재(2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관통 밴드 부재(340) 또한 원호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관통 밴드 부재(34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를 묶음과 동시에,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와 지지 프레임(230)을 절연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 밴드 부재(340)는 폴리 글래스(Poly Glass, PG) 소재의 테이프 또는 합성 수지 소재의 밴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 밴드 부재(340)는 제1 부분(341) 및 제2 부분(342)을 포함한다.
제1 부분(341)은 관통 밴드 부재(34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1 부분(341)은 철심 부재(210)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철심 부재(210)의 외주를 둘러싸며 연장된다.
제1 부분(341)은 복수 개로 구분되어, 철심 부재(210)의 외주의 다른 부분을 각각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부분(341)은 상측의 제1 철심 외주(215)를 둘러싸는 일 부분 및 하측의 제2 철심 외주(216)를 둘러싸는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341)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위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부분(341)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부분(341)은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를 둘러싸는 바,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부분(341)은 원호 형상인 제1 및 제2 철심 외주(215, 216)의 형상에 상응하게,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1 부분(341)은 복수 개의 제2 부분(342)과 각각 연속된다.
제2 부분(342)은 관통 밴드 부재(34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제2 부분(342)은 지지 프레임(230)에 관통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을 결합한다.
제2 부분(342)은 제1 부분(341)과 연속된다. 제2 부분(342)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제1 부분(34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연속된다. 제2 부분(342)은 지지 프레임(230)을 외측에서 둘러싸며 연장된다.
제2 부분(342)은 복수 개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지지 프레임(230)을 둘러싸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부분(342)은 전방 측의 제1 상부 프레임(231a)에 형성된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에 관통되어, 제1 상부 프레임(231a)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일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부분(342)은 후방 측의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형성된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에 관통되어,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분(342)은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231a, 231b) 사이의 공간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342)은 제1 관통공(234a) 및 제2 관통공(234b)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측에서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231a, 231b)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342)은 상부 프레임(23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관통 밴드 부재(340)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제2 부분(342)은 내측으로 가압되어 지지 프레임(230)에 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관통 밴드 부재(340)는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별도의 절연 물질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전제하여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도 철심 부재(210)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절연을 위한 임의의 부재, 예를 들면 상술한 절연 덕트(331)와 같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단면적이 철심 부재(2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상기 공간이 확장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철심 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될 경우,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방사상 내측으로 복원되며 상기 공간이 축소되어, 철심 부재(210) 또는 철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23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가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자왜 현상에 따른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복수 개의 층(layer)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의 층 중 철심 부재(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층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은 철심 부재(2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층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의 층 중 철심 부재(210)에 반대되게 배치되는 층은 소정의 탄성을 갖고,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철심 부재(210)에 반대되게 배치되는 층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또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와 지지 프레임(23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볼트 부재(310), 밴드형 볼트 부재(320),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는 볼트 부재(310) 또는 밴드형 볼트 부재(320)에 추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볼트 부재(310) 및 밴드형 볼트 부재(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밴드 부재(330) 및 관통 밴드 부재(3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복수 개의 부재에 의해 체결되므로, 자왜 현상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변압기(10)에 구비되는 철심 부재(21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을 갖게 형성되어,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철심 부재(210)의 단면적이 변화된다.
이때, 철심 부재(210)의 모서리(214)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각 모서리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각 모서리는 첨두(peak)로 작용되어, 변압기(10)의 작동시 특히 진동 또는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된다.
상기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의 각 모서리가 그 적층 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연장되도록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조 공정의 효율 및 단가 등의 문제로 인해 상기 방법은 활용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철심 부재(210)의 모서리(214)를 감쌈으로써, 모서리(214)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완충 부재(400)는 철심 부재(210)의 모서리(214)에 결합된다. 완충 부재(400)는 모서리(214)를 외측에서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접촉된 부재의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실리콘(silicon), 고무, 우레탄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에서 모서리(214)에 결합된 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며 모서리(2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와 모서리(214)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완충 부재(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완충 부재(400)는 복수 개의 모서리(214)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총 네 개 구비되어, 상측의 좌측 및 우측, 하측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모서리(214)에 각각 결합된다. 완충 부재(400)의 개수는 모서리(214)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는 몸체부(410) 및 철심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몸체부(410)는 완충 부재(4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410)는 완충 부재(4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몸체부(410)는 모서리(214)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10)는 수평 방향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몸체부(410)의 형상은 모서리(214)에 결합되어, 모서리(214)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10)는 상측 면 및 하측 면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400)가 모서리(214)에 결합되면, 몸체부(410)의 상기 상측 면 및 상기 하측 면은 모서리(214)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10)는 후방 측 면 및 좌측 면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400)가 모서리(214)에 결합되면, 몸체부(410)의 상기 후방 측 면 및 좌측 면은 모서리(214)의 외측 부분을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410)의 전방 측 및 우측에는 철심 수용부(420)가 형성된다.
철심 수용부(420)는 몸체부(4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철심 수용부(420)는 모서리(214)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 철심 수용부(420)는 외부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수용부(420)는 전방 측 및 우측이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모서리(214)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철심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수용부(420)는 몸체부(410)보다는 작은 단면적을 갖되, 몸체부(410)와 같은 형상, 즉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철심 수용부(420)의 형상은 모서리(214)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철심 수용부(420)의 높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는 철심 부재(210)의 모서리(214)의 두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철심 부재(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어 그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00)는 철심 수용부(420)에 충진된 충진재(430)를 더 포함한다.
충진재(430)는 젤(gel) 타입의 상(phas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43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harden)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진재(430)는 퍼티(putty) 소재, 우레탄 폼(urethane form) 소재, NBR(nitrile-butadiene rubber) 등의 고무 소재 또는 실리콘(silicon)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가 결합되면 충진재(43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스며들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 스며든 충진재(430)가 경화되면,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는 몸체부(410) 뿐만 아니라 경화된 충진재(430)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a)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모서리(214)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완충 부재(400)는 철심 부재(21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완충 부재(400)는 철심 부재(210)의 수평부(212)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230),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231) 및 하부 프레임(2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00)는 철심 부재(210)에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변압기 100: 하우징
110: 벽체부 120: 수용 공간
130: 보강 리브 200: 통전부
210: 철심 부재 210a: 플레이트
211: 수직부 212: 수평부
213: 권선 공간 214: 모서리
215: 제1 철심 외주 216: 제2 철심 외주
220: 권선 부재 230: 지지 프레임
231: 상부 프레임 231a: 제1 상부 프레임
231b: 제2 상부 프레임 232: 하부 프레임
232a: 제1 하부 프레임 232b: 제2 하부 프레임
233: 보강 부재 234: 관통공
234a: 제1 관통공 234b: 제2 관통공
300: 체결부 310: 볼트 부재
311: 볼트 헤드 312: 볼트 몸체
313: 너트 부재 320: 밴드형 볼트 부재
321: 볼트 헤드 322: 볼트 몸체
322a: 제1 부분 322b: 제2 부분
322c: 제3 부분 323: 지지 부재
330: 밴드 부재 331: 절연 덕트
331a: 절연 몸체 331b: 절연 개구부
340: 관통 밴드 부재 341: 제1 부분
342: 제2 부분 400: 완충 부재
410: 몸체부 420: 철심 수용부
430: 충진재

Claims (16)

  1.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외부에서 통전된 전류에 의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철심 부재;
    상기 철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철심 부재의 상기 외주를 둘러싸고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를 방사상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와 각각 연속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수평부에 결합되는,
    변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의 상기 수평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를 둘러싸며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와 결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고,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변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철심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덕트를 포함하는,
    변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덕트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와 각각 접촉되는 절연 몸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내부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절연유(Oil of Transformer)가 유동되는 절연 개구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층(layer)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층 중 상기 철심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층 중 상기 철심 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층은, 상기 어느 하나의 층보다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변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철심 부재가 수용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변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그 일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을 둘러싸고, 다른 일부가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변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변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밴드 부재 및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변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는 볼트 헤드;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철심 부재에 각각 관통되는 볼트 몸체; 및
    상기 볼트 몸체와 연속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밴드형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변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철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밴드형 볼트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볼트 헤드; 및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와 각각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사이에서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게 연장되는 볼트 몸체를 포함하는,
    변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는,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중 어느 하나와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일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복수 개의 상기 볼트 헤드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 부분과 각각 연속되며, 상기 철심 부재의 외주의 또다른 부분을 둘러싸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변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고,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변압기.
KR1020220027975A 2022-03-04 2022-03-04 변압기 KR20230130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75A KR20230130858A (ko) 2022-03-04 2022-03-04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75A KR20230130858A (ko) 2022-03-04 2022-03-04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58A true KR20230130858A (ko) 2023-09-12

Family

ID=8801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75A KR20230130858A (ko) 2022-03-04 2022-03-04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8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099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군영 변압기 외함 소음 저감장치
KR20200118643A (ko) 2019-04-08 2020-10-1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099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군영 변압기 외함 소음 저감장치
KR20200118643A (ko) 2019-04-08 2020-10-1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9437B2 (ja)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その保護装置
US8860542B2 (en) Reactor, reactor manufacturing method, and reactor component
KR102026890B1 (ko) 소음진동저감을 위한 코어프레임 및 이중바닥외함구조를 가지는 아몰퍼스 변압기
JP4736554B2 (ja) リアクトル装置
CN103093942A (zh) 非晶铁芯变压器
JP4725785B2 (ja) リアク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53293A (ja) トランス
JP6276583B2 (ja) コイル部品
JPH09215309A (ja) 円筒形リニアモータ
KR101747937B1 (ko) 적철심 변압기, 적철심 변압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WO2014170978A1 (ja) 変圧器
JP5271995B2 (ja) トランス
US4055826A (en) Resiliently supported windings in an electrical reactor
KR20230130858A (ko) 변압기
JP2006351654A (ja) リアクトル装置
KR20230130861A (ko) 변압기
JP2015090912A (ja) リアクトル
JP5216490B2 (ja) 外鉄形アモルファス変圧器
JP4624881B2 (ja) 電源装置および筐体
JP6696330B2 (ja) リアクトル
KR102625348B1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JP3458119B2 (ja) 巻鉄心変圧器
KR20170003541U (ko) 전력용 변압기의 외함 구조
JPS5860514A (ja) 大容量リアクトル
JP7091656B2 (ja) リアクト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