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348B1 -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348B1
KR102625348B1 KR1020220027976A KR20220027976A KR102625348B1 KR 102625348 B1 KR102625348 B1 KR 102625348B1 KR 1020220027976 A KR1020220027976 A KR 1020220027976A KR 20220027976 A KR20220027976 A KR 20220027976A KR 102625348 B1 KR102625348 B1 KR 10262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vibration reduction
receiving space
reduction unit
mol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859A (ko
Inventor
김성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2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348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5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Abstract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 저감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을 둘러싸는 몰드 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유체는, 유동 가능하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harden)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핀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Vibration damper and transform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 또는 교류 전류의 값을 변환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변압기는 외부와 통전되어, 교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 및 코일이 권취되는 철심을 포함한다. 코일은 복수 개 구비되어, 각각 철심에 권취된다.
어느 하나의 코일에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철심에는 자속(magnetic flux)이 형성된다. 자속의 변화에 따라, 다른 하나의 코일에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된다. 유도된 전류는 인가된 교류 전류와 다른 전류 또는 전압을 갖게 되어, 외부의 부하로 전달될 수 있다.
변압기에 구비되는 철심은 복수 개의 철판 등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변압기가 작동됨에 따라, 철심에는 자왜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자왜 현상에 의해 철심에서는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은 외부로 전달되어, 변압기가 배치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생된 진동은 변압기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변압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구성 요소 간의 결합 상태 및 변압기와 다른 장치의 결합 상태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변압기가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79887호는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 공명형 음향 배플 및 그 설치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세로 배플 및 가로 배플을 포함하여, 변압기에서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 공명형 음향 배플 및 그 설지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 공명형 음향 배플 등은 변압기의 외부에 설치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이 제시하는 기술은 별도의 풍도(wind path)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은 변압기의 진동원 또는 소음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118643호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변압기에서 발생된 소음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소음에 대응되는 파장을 발산하여 노이즈 캔슬링시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변압기 소음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발생된 소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 요소 및 단계가 요구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이 제시하는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 역시 변압기의 진동원 또는 소음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79887호 (2009.01.2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118643호 (2020.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 구조의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을 둘러싸는 몰드 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유체는, 유동 가능하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harden)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핀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게 구성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 방향을 따르는 일 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의 단면인 제1 직경은, 상기 몰드 핀의 단면의 직경인 제2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주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 유체의 일부는 상기 몰드 핀의 외주와 상기 몸체 내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높이 이하인 제2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의 상기 일 방향의 단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 유체의 일부는 상기 몰드 핀의 상기 단부와 상기 몸체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 방향의 높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 방향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 외주; 상기 몸체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몸체 내주; 상기 일 방향의 단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 외면; 및 상기 몸체 외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다른 일부를 둘러싸는 몸체 내면을 포함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내면은 그 직경이 제1 직경인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외면 및 상기 몸체 내면은 상기 수용 공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동 저감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전원과 통전되어, 상기 전원에서 전달된 전력에 의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철심 부재; 상기 철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철심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전달받는 몰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을 둘러싸게 형성되어 발생된 상기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몰드 유체를 포함하는, 변압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수용 공간은, 소정의 제1 직경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소정의 제1 높이만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몰드 핀은, 소정의 제2 직경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소정의 제2 높이만큼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을 초과하고,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를 초과하게 형성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유체는, 에폭시(epoxy) 수지로 구비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 핀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철심 부재의 연장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진동 저감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철심 부재의 연장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몰드 핀과 복수 개의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몰드 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진동 저감부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수용 공간에는 철심 부재와 결합된 몰드 핀이 삽입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몰드 핀보다 큰 체적을 갖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의 단면의 직경은 몰드 핀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수용 공간의 연장 길이는 몰드 핀의 같은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에 수용된 몰드 핀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면과 이격된다.
수용 공간에는 몰드 유체가 구비된다. 몰드 유체는 유동 가능하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유체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몰드 핀을 둘러싸게 배치된 후 경화된다. 즉,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면과 몰드 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몰드 유체가 유입되어 경화된다.
따라서, 철심 부재에서 발생되어 몰드 핀으로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은 몰드 유체에 의해 저감되며 진동 저감부의 외부로 방사된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되며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진동 저감부는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몰드 핀이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만으로도, 수용 공간에 구비된 몰드 유체가 유동, 경화되며 진동 저감부와 몰드 핀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는 하우징의 벽체부 중 철심 부재 및 몰드 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 벽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는 제1 벽에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몰드 핀이 진동 저감부에 수용되도록 철심 부재가 배치되는 것만으로도, 진동 저감부와 몰드 핀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저감부와 몰드 핀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에는 몰드 유체가 구비된다. 몰드 유체는 유동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몰드 핀이 수용되면, 몰드 유체는 몰드 핀에 의해 가압되며 빈 공간으로 유동된다.
몰드 핀은 수용 공간보다 작은 부피를 갖게 형성되는 바, 몰드 유체는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면과 몰드 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즉, 몰드 유체는 몰드 핀을 둘러싸게 유동된다.
동시에, 몰드 유체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는 에폭시(epoxy) 소재로 형성되어, 삽입된 몰드 핀 및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에 수용된 몰드 핀과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몸체부는 몰드 유체와 각각 결합되어, 몰드 핀과 몸체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핀과 진동 저감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는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는 몰드 핀을 수용하고, 수용된 몰드 핀을 둘러쌈으로써 몰드 핀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부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연장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은 몸체부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연장 방향의 일측 면, 예를 들면 하측 외면 및 내면은 몰드 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몰드 유체의 양이 증가될 수 있어, 진동 또는 소음의 저감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저감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경되어 몰드 핀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압기에 구비되는 통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전부에 구비되는 철심 부재 및 지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통전부에 구비되는 철심 부재 및 지지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진동 저감부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A-A 단면도(b)이다.
도 6은 도 2의 지지 프레임에 도 5의 진동 저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7은 도 5의 진동 저감부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B-B 단면도(b)이다.
도 8은 도 2의 지지 프레임에 도 7의 진동 저감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가 구비된 통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통전부에 구비되는 진동 저감부를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동 저감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진동 저감부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Wi-Fi, 블루투스,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각 부재의 내부가 서로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관로, 파이프 등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작동시 철심 부재(210)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후술될 진동 저감부(300, 4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변압기(10)는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변압기(10)는 전압의 조정 대상인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변압기(10)는 전압이 조정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류는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 AC)일 수 있다.
변압기(10)의 작동 원리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변압기(10)는 하우징(100) 및 통전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 4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의 구성을 설명하되, 진동 저감부(300, 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변압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변압기(1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은 외부와 통전되어, 변압의 대상인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변압된 전류는 외부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변압기(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다양한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벽체부(110), 수용 공간(120) 및 보강 리브(130)를 포함한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한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즉 수용 공간(120)을 외측에서 둘러싼다.
벽체부(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체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쌍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한 개의 벽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쌍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편, 도 1에는 전방 측에 별도의 벽체부(110)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전방 측에도 벽체부(110)가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을 사이에 두고 후방 측에 위치되는 벽체부(110)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벽체부(110)는 하우징(100)의 외주를 형성하며 수용 공간(120)을 둘러쌀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체부(1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소정의 두께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판형으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벽체부(110)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벽체부(110)는 서로 수직하게 연속된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의 결합 방식은 하우징(100)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복수 개의 위치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벽체부(110)는 수용 공간(120)을 후방 측,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둘러싸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측에도 벽체부(110)가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의 전방 측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체부(110)는 제1 벽(111)을 포함한다.
제1 벽(111)은 복수 개의 벽체부(110)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벽(111)은 수용 공간(120)을 일 측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벽(111)은 하측에 위치되어, 수용 공간(120)을 하측에서 둘러싼다. 따라서, 제1 벽(111)은 하우징(100)의 하측 벽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벽(111)은 통전부(200)를 지지한다. 통전부(200)는 제1 벽(11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00)의 베이스(240)가 안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240)의 지지대(242)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벽(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벽(1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가 구비된다. 진동 저감부(300)에는 통전부(200)에 구비되는 몰드 핀(241)이 삽입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는 그 내부에 몰드 유체(330)를 포함하여,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용 공간(12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20)은 변압기(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은 통전부(200) 및 진동 저감부(300, 40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은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수용 공간(120)은 외부와 통전된다. 변압의 대상이 되는 전류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구성 요소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전부(200)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는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 공간(120)은 외부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미도시)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에 결합되어, 벽체부(1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가 연장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가 연장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리브(13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부(11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수용 공간(120)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보강 리브(130)는 복수 개의 벽체부(110)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30)는 벽체부(110)에 결합되어 벽체부(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리브(1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컬럼(column) 형태로 구비된다.
통전부(200)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류를 승압 또는 강압한다. 이에, 통전부(200)는 변압기(10)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즉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다. 수용 공간(120)은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되는 바,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통전부(200) 또한 복수 개의 벽체부(110)에 둘러싸여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전부(200)는 변압기(10) 외부의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변압기(10) 근처에 체류되는 작업자는 통전부(20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통전부(20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통전부(200)는 외부와 통전된다. 상기 통전은 수용 공간(120)을 외부와 통전하는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된 전류가 통전부(200)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부(200)는 철심 부재(210), 권선 부재(220), 지지 프레임(230) 및 베이스(240)를 포함한다.
철심 부재(210)는 통전부(200)의 구조를 형성한다. 철심 부재(210)에는 외부와 통전되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권취된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권선 부재(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철심 부재(210)에는 자속(magnetic flux)이 발생된다. 발생된 자속은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다른 하나 이상의 권선 부재(220)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철심 부재(21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철심 부재(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는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한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연철(wrought ir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철심 부재(210)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권취되어 자속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수직부(211), 수평부(212) 및 권선 공간(213)을 포함한다.
수직부(211)는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의 몸체를 형성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직부(211)는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211)에는 권선 부재(220)가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철심 부재(210)에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21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211)는 세 개 구비되어, 철심 부재(21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에는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각각 권취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복수 개의 수직부(211) 각각에 권취된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가 서로 접촉되지 않을만큼 충분히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수평부(212)와 각각 연속된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는 복수 개의 수평부(212) 사이에서 연속된다.
수평부(212)는 철심 부재(210)의 길이 방향의 몸체를 형성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수평부(212)는 철심 부재(210)의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평부(212)에는 지지 프레임(230)이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가 지지될 수 있다.
수평부(21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부(2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두 개 구비되어 그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측의 수평부(212)에는 상부 프레임(231)이, 하측의 수평부(212)에는 하부 프레임(232)이 각각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가 복수 개의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부(212)는 수직부(211)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와 접촉되지 않을만큼 충분히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수직부(211) 및 복수 개의 수평부(212)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권선 공간(2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 권선 공간(213)의 상측 및 하측은 수평부(212)에 둘러싸인다. 또한, 권선 공간(213)의 좌측 및 우측은 수직부(211)에 둘러싸인다. 권선 공간(213)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권선 부재(220)는 상기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통해 수직부(211)에 권취될 수 있다.
권선 공간(21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공간(213)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단수 개의 권선 공간(213) 및 우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단수 개의 권선 공간(213)을 포함하여 두 개 형성된다. 상기 권선 공간(213)들은 그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211)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권선 공간(213)은 수직부(211) 및 수평부(212)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권선 부재(22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공간(2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이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에 통전된 전류는 철심 부재(210)에 자속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속에 의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승압 또는 강압되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된다. 승압 또는 강압 대상인 전류는 권선 부재(220)에 전달될 수 있다.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는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권선 부재(2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211)에 권취된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권선 부재(220)는 복수 개의 수직부(211) 사이에 형성되는 권선 공간(213)에 수용된다.
권선 부재(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다른 수직부(211)에 권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수직부(211)에 각각 권취된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되어, 승압 또는 강압 대상인 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다른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외부와 통전되어, 승압 또는 강압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권선 부재(220) 중 나머지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하나의 권선 부재(220)는 유도된 전류를 통해 상기 다른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권선 부재(220)는 철심 부재(210)에 권취되어 유도 기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실린더(cylinder) 형상이다.
권선 부재(220)는 어느 하나의 권선 부재(220)에 통전된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권선 부재(220)는 코일(coil)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 및 철심 부재(210)에 권취된 권선 부재(220)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 및 하우징(10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철(Fe)을 포함한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철심 부재(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철심 부재(210)는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230)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복수 개의 위치에서 철심 부재(210)와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 및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230)은 상부 프레임(231), 하부 프레임(232) 및 보강 부재(233)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철심 부재(210)의 일측과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철심 부재(210)를 덮으며 철심 부재(2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231)은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에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상부 프레임(231)은 수평부(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상부 프레임(231)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수평부(212), 특히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231)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을 포함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은 상측의 수평부(212)의 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의 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은 상측의 수평부(2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상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는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32)은 철심 부재(210)의 타측과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232)은 철심 부재(210)를 덮으며 철심 부재(2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232)은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에 결합되어 철심 부재(210)를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232)은 수평부(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부(2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하부 프레임(232)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231)과 하부 프레임(232)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23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232)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수평부(212), 특히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232)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 프레임(232b)을 포함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은 하측의 수평부(212)의 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의 후방 부분을 감싸며 결합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은 하측의 수평부(2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과 하측의 수평부(212) 사이에도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과 각각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231)과 철심 부재(210)의 결합을 보강한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231)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 프레임(231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 프레임(231b)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수평부(212)의 두께 이상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의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상부 프레임(231a)과 결합될 수 있다. 보강 부재(233)의 연장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상부 프레임(231b)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보강 부재(233)와 결합되어 통전부(200)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부(400)를 포함한다. 진동 저감부(400)는 철심 부재(210) 또는 지지 프레임(230)이 일 방향으로 요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보강 부재(2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강 부재(233)는 상부 프레임(2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세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보강 부재(233)의 형상은 상부 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230)과 철심 부재(210)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강 부재(233)는 하부 프레임(232)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 프레임(232b)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보강 부재(233)는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베이스(240)는 통전부(200)의 하측을 형성한다. 베이스(240)는 통전부(2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베이스(240)는 하우징(100)의 하측 벽, 즉 제1 벽(111)에 안착된다.
베이스(240)는 하부 프레임(232)에 결합된다. 베이스(240)는 하부 프레임(232)이 제1 벽(111)을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240)는 몰드 핀(241) 및 지지대(242)를 포함한다.
몰드 핀(241)은 베이스(240)의 일부를 구성한다. 몰드 핀(241)은 하부 프레임(232)의 하측 단부에서 제1 벽(111)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몰드 핀(241)은 제1 벽(111)에 구비되는 진동 저감부(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몰드 핀(241)은 진동 저감부(300)의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다. 몰드 핀(241)에는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
몰드 핀(241)은 진동 저감부(30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몰드 핀(241)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몰드 핀(241)의 단면의 직경은 제2 직경(d2)으로 정의될 수 있다(도 6의 (b) 및 도 8의 (b) 참조). 몰드 핀(241)의 제2 직경(d2)은 진동 저감부(300)의 수용 공간(320)의 단면의 직경인 제1 직경(d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몰드 핀(241) 중 진동 저감부(300)에 수용되는 부분의 연장 방향의 길이, 즉 높이는 제2 높이(h2)로 정의될 수 있다(도 6의 (b) 및 도 8의 (b) 참조). 몰드 핀(241)의 제2 높이(h2)는 진동 저감부(300)의 수용 공간(320)의 연장 방향의 길이, 즉 높이인 제1 높이(h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 핀(241)이 수용 공간(320)에 수용되면, 몰드 핀(241)은 수용 공간(320)을 방사 방향에서 둘러싸는 몸체 내주(312) 및 하측에서 둘러싸는 몸체 내면(314)과 이격된다. 몰드 핀(241)과 몸체 내주(312) 및 몸체 내면(314)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는 몰드 유체(330)가 충진된다.
상기 결합 구조에 의해, 몰드 핀(24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즉,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은 진동 저감부(300)의 몸체부(310)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몰드 유체(330)에 의해 저감된 후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핀(241) 및 이에 결합된 진동 저감부(300)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몰드 핀(24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몰드 핀(241)은 하부 프레임(232)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몰드 핀(241)은 두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32)은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몰드 핀(241)은 제1 하부 프레임(232a)에 한 쌍, 제2 하부 프레임(232b)에 한 쌍 구비되어 총 네 개 구비될 수 있다.
몰드 핀(24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진동 저감부(3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대(242)는 베이스(24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지지대(242)는 하부 프레임(232)의 하측 단부에서 제1 벽(111)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대(242)는 제1 벽(111)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대(242)는 제1 벽(1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대(242)는 제1 벽(111)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242)는 제1 벽(111)에 결합되어 통전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대(242)는 하부 프레임(232)과 결합되어 제1 벽(111)을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제1 벽(111)에 평행하게(즉,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진동 저감부(300)가 몰드 핀(241)과 결합되면, 진동 저감부(300)의 하측 면은 지지대(242)의 상기 제2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진동 저감부(300)는 제1 벽(111)과 이격되어, 통전부(200)는 지지대(242)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2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242)는 하부 프레임(232)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대(242)는 세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32)은 제1 하부 프레임(232a)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242)는 제1 하부 프레임(232a)에 한 쌍, 제2 하부 프레임(232b)에 한 쌍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242)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진동 저감부(3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 개의 몰드 핀(241)과 복수 개의 지지대(242)는 그 이격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몰드 핀(241) 사이에 복수 개의 지지대(242)가 각각 배치된다. 복수 개의 몰드 핀(241) 및 복수 개의 지지대(242)의 배치 방식은 통전부(200)가 제1 벽(111)에 안정적으로 결합, 지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를 포함한다. 진동 저감부(300)는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되어 지지 프레임(230),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232)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진동 저감부(300)는 통전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진동 저감부(300)는 하부 프레임(232)에 결합되는 몰드 핀(241)에 결합된다. 진동 저감부(300)는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되어 하부 프레임(232)을 거쳐 몰드 핀(24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저감부(300)에서 외측으로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 역시 저감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3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몰드 핀(241)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전방 측에 한 쌍, 후방 측에 한 쌍 구비되어, 제1 하부 프레임(232a)에 구비되는 한 쌍의 몰드 핀(241) 및 제2 하부 프레임(232b)에 구비되는 한 쌍의 몰드 핀(241)과 각각 결합된다.
진동 저감부(3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몰드 핀(241)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300)는 몰드 핀(241)에 결합되어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몰드 핀(241)을 수용하며 몰드 핀(24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몰드 핀(241)을 수용하는 몰드 컵(mold cup)으로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몰드 핀(241)을 향하는 일 측, 즉 상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상측과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용기(container)의 형태로 구비된다.
진동 저감부(3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벽체부(110)의 제1 벽(111)에 구비된다. 이때, 진동 저감부(300)는 제1 벽(111)에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진동 저감부(300)에 몰드 핀(241)이 결합되면, 진동 저감부(300)는 제1 벽(111)과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통전부(200)는 지지대(242)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핀(241) 및 진동 저감부(300)로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은 제1 벽(111)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300)는 몸체부(310), 수용 공간(320) 및 몰드 유체(330)를 포함한다.
몸체부(310)는 진동 저감부(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310)는 진동 저감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몸체부(310)는 몰드 핀(241)을 감싸며 몰드 핀(241)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320)이 형성되어, 몰드 핀(241)을 수용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몰드 핀(241)을 수용하는 형태로 몰드 핀(241)과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몸체부(31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수용 공간(320)이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10)는 몸체 외주(311), 몸체 내주(312), 몸체 외면(313) 및 몸체 내면(314)을 포함한다.
몸체 외주(311)는 몸체부(310)의 외측을 형성한다. 몸체 외주(311)는 몸체부(310)의 방사 방향의 외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cylinder) 형상인 바, 몸체 외주(311)는 몸체부(310)의 옆면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몸체 외주(311)는 몸체 내주(312)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몸체 외주(311)와 몸체 내주(312)가 이격된 거리는 수용 공간(320)을 둘러싸는 몸체부(310)의 부분, 즉 외면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몸체 내주(312)는 몸체부(310)의 내측의 일부를 형성한다. 몸체 내주(312)는 몸체 외주(311)의 방사상 내측 방향 및 수용 공간(320)의 방사상 외측 방향에 위치된다. 따라서, 몸체부(310)의 중심에서 방사상 외측을 향해 수용 공간(320), 몸체 내주(312) 및 몸체 외주(311)가 각각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몸체 내주(312)는 수용 공간(320)을 방사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의 공간이다. 이에, 몸체 내주(312)는 그 단면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몸체 내주(312)가 환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몸체 내주(312)의 직경은 그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320)의 단면의 직경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몸체 내주(312)의 직경 및 수용 공간(320)의 단면의 직경은 제1 직경(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직경(d1)은 몰드 핀(241)의 단면의 직경, 즉 제2 직경(d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직경(d1)은 제2 직경(d2)을 초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핀(241)은 그 방사 방향을 따라 몸체 내주(312)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몰드 유체(330)가 유입되어 경화될 수 있다.
몸체 내주(312)는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몸체 내주(312)의 높이는 제1 높이(h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높이(h1)는 몰드 핀(241) 중 진동 저감부(300)에 수용되는 부분의 높이, 즉, 제2 높이(h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를 초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핀(241)은 그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이 몸체 내면(314)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몰드 유체(330)가 유입되어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핀(241)은 그 외주 방향 및 그 연장 방향으로 몰드 유체(330)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되어 몰드 핀(24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은 몰드 유체(330)에 의해 저감되며 진동 저감부(300)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몸체 외면(313)은 몸체부(310)의 일 면을 형성한다. 몸체 외면(313)은 몰드 핀(241)에 반대되는 일 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 외면(313)은 몸체부(310)의 하측 면을 형성한다.
몸체 외면(313)은 제1 벽(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 외면(313)은 제1 벽(111)에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몰드 핀(241)과 진동 저감부(300)가 결합되면, 몸체 외면(313)은 제1 벽(111)에서 이격될 수 있다.
몸체 외면(313)은 몸체부(3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인 바, 몸체 외면(313)은 원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외면(313)은 몸체 내면(314)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몸체 외면(313)과 몸체 내면(314)이 이격된 거리는 수용 공간(320)을 둘러싸는 몸체부(31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벽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몸체 내면(314)은 몸체부(310)의 내부의 일 면을 형성한다. 몸체 내면(314)은 몸체 외면(313)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을 하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320)에서 제1 벽(111)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따라 수용 공간(320), 몸체 내면(314) 및 몸체 외면(313)이 차례로 배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을 그 연장 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 내면(314)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면으로 구비된다.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과 같은 단면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 내면(314)은 그 직경이 제1 직경(d1)인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직경(d1)은 몰드 핀(241)의 단면의 직경, 즉 제2 직경(d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몸체 내주(312) 및 몸체 내면(314)은 수용 공간(320)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유체(330) 및 수용된 몰드 핀(241)은 몸체 내주(312) 및 몸체 내면(314)에 의해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320)은 몰드 핀(241) 및 몰드 유체(33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핀(241)과 몸체부(310) 사이의 공간에는 몰드 유체(330)가 유입 및 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핀(241)과 진동 저감부(30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되고, 몰드 핀(24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이 진동 저감부(300)에 의해 저감되며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수용 공간(320)은 몸체부(3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수용 공간(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몰드 핀(241)은 상기 상측을 통해 수용 공간(32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320)은 몸체 내주(312) 및 몸체 내면(314)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의 방사상 외측은 몸체 내주(312)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32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몸체 내면(314)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320)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수용 공간(320)의 형상은 몰드 핀(241) 및 몸체부(31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수용 공간(320)은 그 단면이 소정의 직경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수용 공간(320)의 단면의 직경은 몸체 내면(314)의 단면의 직경과 동일하게, 제1 직경(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용 공간(320)은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320)은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수용 공간(320)의 높이는 몸체 내주(312)의 높이와 동일하게, 제1 높이(h1)로 정의될 수 있다.
수용 공간(320)에는 몰드 핀(241)이 수용된다. 몰드 핀(241)은 수용 공간(320)을 둘러싸는 몸체 내주(312) 및 몸체 내면(314)과 각각 이격 배치된다.
수용 공간(320)에는 몰드 유체(330)가 수용된다.
몰드 유체(330)는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핀(241)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몰드 유체(330)는 경화되어, 몰드 핀(24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동시에, 몰드 유체(330)는 소정의 접착력을 갖게 형성되어 몰드 핀(241)과 몸체부(31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몰드 유체(330)는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몰드 유체(330)는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330)는 에폭시(epoxy)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유체(330)는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다. 몰드 유체(330)는 수용 공간(320)의 부피보다 적은 부피만큼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330)는 수용 공간(320)의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3 높이(h3)만큼 수용 공간(320)에 채워진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핀(241)이 수용 공간(320)에 수용되면, 몰드 유체(330)는 몰드 핀(241)의 단부 및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측 및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몰드 유체(330)는 경화되어 몰드 핀(241)과 진동 저감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330), 즉 몰드 핀(241)을 둘러싸는 몰드 유체(330)의 높이는 제1 높이(h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몰드 핀(241)을 둘러싼 몰드 유체(330)의 높이는 몰드 핀(241), 수용 공간(320)의 형상 및 수용 공간(320)에 수용된 몰드 유체(330)의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330)의 방사 방향의 두께는 제1 두께(t1)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에서 몰드 유체(330)는 그 내부에 몰드 핀(241)이 수용된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1 두께(t1)는 몰드 유체(330)의 단면의 내주와 외주 사이의 방사 방향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몰드 유체(330)의 높이 방향의 두께는 제2 두께(t2)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에서, 몰드 유체(330)의 일부는 몰드 핀(241)의 단부와 몸체 내면(314)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제2 두께(t2)는 몰드 유체(330)의 상하 방향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두께(t1)는 몰드 핀(241)의 외주와 몸체 내주(312)가 이격된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 두께(t2)는 몰드 핀(241)의 단부와 몸체 내면(314)이 이격된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의 변형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310)는 그 일 단부, 즉 하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본 변형 예에서는 몸체 외면(313) 및 몸체 내면(314)의 구조 및 형상에 차이가 있다. 기타 다른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와 동일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 외면(313) 및 몸체 내면(314)은 제1 벽(111)을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 내면(314)이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용 공간(320) 또한 그 하측 부분이 하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변형 예에서, 수용 공간(320)의 높이인 제1 높이(h1)가 증가되어, 수용 공간(320)의 부피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상응하게, 수용 공간(320)에 수용되는 몰드 유체(330)의 부피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 핀(241) 중 진동 저감부(300)에 수용되는 부분의 연장 길이인 제2 높이(h2)가 상술한 실시 예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몰드 핀(241)이 진동 저감부(30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는 철심 부재(210) 및 하부 프레임(232)을 통해 몰드 핀(241)에 진동 또는 소음이 전달되게 구성된다. 몰드 핀(241)은 몰드 유체(330)에 둘러싸이게 배치되어, 진동 또는 소음은 몰드 유체(330)에 의해 저감되며 몸체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또는 소음은 저감된 상태에서 몸체부(310)에서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400)의 설명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400)를 포함한다. 진동 저감부(400)는 지지 프레임(230),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231)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진동 저감부(400)는 통전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진동 저감부(400)는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에 각각 결합된다. 진동 저감부(400)는 철심 부재(210)에서 발생되어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에 전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저감부(400)에서 외측으로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 역시 저감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4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보강 부재(233) 및 상부 프레임(231)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400)는 전방 측의 제1 상부 프레임(231a)에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보강 부재(233)의 전방 측 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일 군(group)을 포함한다. 또한, 진동 저감부(400)는 후방 측의 제2 상부 프레임(231b)에 세 개 구비되어 세 개의 보강 부재(233)의 후방 측 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다른 군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400)는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진동 저감부(40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보강 부재(233)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진동 저감부(400)는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와 각각 결합되어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400)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400)는 통전부(2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적층,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40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진동 저감부(400)는 완충 부재(410), 체결 부재(420), 절연 부재(430), 플레이트(440) 및 완충 공간(450)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410)는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와 각각 결합되어, 일 방향의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완충 부재(410)는 철심 부재(210)의 다양한 방향의 진동 중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완충 부재(410)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압기(10)에 초고압의 전력이 인가되는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내유성(oil resistance)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절연을 위해 공급되는 절연유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코르크 또는 고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부재(4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완충 부재(410)는 각각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보강 부재(233)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완충 부재(410a) 및 보강 부재(233)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 완충 부재(410b)를 포함한다.
즉, 제1 완충 부재(410a) 및 제2 완충 부재(410b)는 보강 부재(2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완충 부재(410a) 및 제2 완충 부재(410b)는 철심 부재(210)의 승강에 따라 각각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완충 부재(410a)는 철심 부재(210)가 하강될 때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저감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에 위치되는 제2 완충 부재(410b)는 철심 부재(210)가 상승될 때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저감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410a)의 상측에는 체결 부재(420)가 배치된다. 제1 완충 부재(410a)의 하측에는 완충 공간(450) 및 제1 절연 부재(431)가 위치된다. 즉,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체결 부재(420), 제1 완충 부재(410a), 완충 공간(450) 및 제1 절연 부재(431)가 적층된다.
제2 완충 부재(410b)의 상측에는 제2 절연 부재(432)가 위치된다. 제2 완충 부재(410b)의 하측에는 플레이트(440) 및 제3 절연 부재(433)가 위치된다. 즉,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제2 절연 부재(432), 제2 완충 부재(410b), 플레이트(440) 및 제3 절연 부재(433)가 적층된다.
제1 완충 부재(410a) 및 제2 완충 부재(410b)는 배치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되, 그 구조, 형상, 소재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겹치는 설명은 완충 부재(410)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부재(4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완충 부재(410)는 상기 좌우 방향의 각 단부가 그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단면을 갖는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부재(410)는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와 각각 결합되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410)는 제1 면(411), 제2 면(412) 및 관통공(413)을 포함한다.
제1 면(411)은 완충 부재(410)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을 형성한다. 제1 완충 부재(410a)의 제1 면(411)은 체결 부재(420)를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체결 부재(420)는 제1 완충 부재(410a)의 제1 면(411)을 덮으며 완충 부재(41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완충 부재(410b)의 제1 면(411)은 제2 절연 부재(432)를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절연 부재(432)는 제2 완충 부재(410b)의 제1 면(411)에 안착된다.
제1 면(411)은 제2 면(412)과 대향된다. 즉, 제1 면(411)은 제2 면(412)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면(412)은 완충 부재(410)의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을 형성한다. 제1 완충 부재(410a)의 제2 면(412)은 완충 공간(45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완충 부재(410a)의 제2 면(412)은 제1 절연 부재(43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완충 부재(410b)의 제2 면(412)은 플레이트(440)에 의해 지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완충 부재(410b)의 제2 면(412)은 플레이트(440)에 안착된다.
관통공(413)은 완충 부재(4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413)에는 완충 부재(410)를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420)가 관통 결합된다.
관통공(413)은 체결 부재(42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413)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그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관통공(41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413)은 완충 부재(4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413)은 두 개 구비되어, 완충 부재(41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관통공(413)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체결 부재(42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체결 부재(420)는 상부 프레임(231), 보강 부재(233) 및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결합되어, 진동 저감부(400)를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에 결합시킨다.
체결 부재(420)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20)는 나사 결합의 형태로 다른 구성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나사 부재로 구비된다.
체결 부재(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 부재(420)는 상부 프레임(23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20)는 두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부 프레임(231), 보강 부재(233) 및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20)는 볼트(421) 및 와셔(422)를 포함한다.
볼트(421)는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각각 결합된다. 또한, 볼트(421)는 상부 프레임(231) 및 보강 부재(233)와도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볼트(421)는 상부 프레임(231), 보강 부재(233) 및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볼트(421)는 철심 부재(2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421)의 상기 일 부분은 그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부 프레임(231), 보강 부재(233) 및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에 관통될 수 있다.
볼트(421)는 외측으로 노출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부분은 볼트 헤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부분은 제1 완충 부재(410a)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21)의 상기 다른 부분은 제1 완충 부재(410a)의 상측에 위치된다.
와셔(422)는 볼트(421), 구체적으로 볼트 헤드와 제1 완충 부재(410a) 사이에 위치되어, 볼트(421)의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와셔(422)의 내부에는 중공이 관통 형성되어, 볼트(421)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중공에 관통되되, 상기 다른 부분은 와셔(4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와셔(422)는 볼트(421)의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와셔(422)는 평와셔(flat washer)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 부재(430)는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프레임(2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절연 부재(430)는 진동 저감부(4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절연 부재(430)는 복수 개의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부재를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43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430)는 복수 개의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부재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43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구비된다.
절연 부재(4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 부재(4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구성 요소를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430)는 제1 절연 부재(431), 제2 절연 부재(432) 및 제3 절연 부재(433)를 포함하여 세 개 구비된다.
제1 절연 부재(431)는 제1 완충 부재(410a)와 보강 부재(233)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완충 부재(410a)와 보강 부재(233)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제1 절연 부재(431)는 보강 부재(233)에 안착되어, 완충 공간(450)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구성된다.
제2 절연 부재(432)는 보강 부재(233)와 플레이트(440) 사이에 위치되어, 보강 부재(233)와 플레이트(440)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제2 절연 부재(432)는 플레이트(440)에 안착되고, 보강 부재(233)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구성된다.
제3 절연 부재(433)는 플레이트(440)와 상부 프레임(231a) 사이에 위치되어, 플레이트(440)와 상부 프레임(231a)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제3 절연 부재(433)는 상부 프레임(231a)에 안착되고, 플레이트(440)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구성된다.
즉, 절연 부재(430)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 구성 요소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430)가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430)는 발생된 진동을 소정의 크기만큼 저감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40)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되어, 진동 저감부(400)와 상부 프레임(231)을 결합한다. 즉, 플레이트(440)는 진동 저감부(400)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상부 프레임(231)까지 연장되도록 진동 저감부(400)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조정한다.
플레이트(440)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44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플레이트(440)의 상측 면은 제2 완충 부재(410a)를 지지한다. 플레이트(440)의 하측 면은 제3 절연 부재(433)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 공간(450)은 철심 부재(210) 및 철심 부재(210)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231)이 소정의 거리만큼 승강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완충 공간(450)은 변압기(10)가 작동될 경우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유격(gap)으로 기능될 수 있다.
완충 공간(450)은 보강 부재(233)의 상측에, 제1 완충 부재(410a)와 제1 절연 부재(431) 사이에 형성된다. 완충 공간(450)은 제1 완충 부재(410a)와 제1 절연 부재(431)가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변압기(10)가 작동되어 철심 부재(210) 및 이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231)이 소정의 거리만큼 승강되더라도, 진동 저감부(400)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승강된 철심 부재(210) 및 상부 프레임(231)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충돌되거나 간섭하지 않게 되어, 발생된 진동에 의한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각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 400)는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는 하부 프레임(232)과 결합되는 몰드 핀(241)을 통해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400)는 상부 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2310을 통해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각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 400)는 하측 및 상측으로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각각 저감하게 구성된다. 각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00, 400)가 모두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통전부(200)의 하측 및 상측으로 방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모두 저감될 수 있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변압기 100: 하우징
110: 벽체부 111: 제1 벽
120: 수용 공간 130: 보강 리브
200: 통전부 210: 철심 부재
211: 수직부 212: 수평부
213: 권선 공간 220: 권선 부재
230: 프레임 231: 상부 프레임
231a: 제1 상부 프레임 231b: 제2 상부 프레임
232: 하부 프레임 232a: 제1 하부 프레임
232b: 제2 하부 프레임 233: 보강 부재
240: 베이스 241: 몰드 핀
242: 지지대 300: 진동 저감부
310: 몸체부 311: 몸체 외주
312: 몸체 내주 313: 몸체 외면
314: 몸체 내면 320: 수용 공간
330: 몰드 유체 400: 진동 저감부
410: 완충 부재 410a: 제1 완충 부재
410b: 제2 완충 부재 411: 제1 면
412: 제2 면 413: 관통공
413a: 제1 관통공 413b: 제2 관통공
420: 체결 부재 421: 볼트
422: 와셔 430: 절연 부재
431: 제1 절연 부재 432: 제2 절연 부재
433: 제3 절연 부재 440: 플레이트
450: 완충 공간 d1: 제1 직경
d2: 제2 직경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h3: 제3 높이
t1: 제1 두께 t2: 제2 두께

Claims (13)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을 둘러싸는 몰드 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유체는, 유동 가능하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harden)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핀에 전달된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게 구성되는,
    진동 저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 방향을 따르는 일 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진동 저감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단면인 제1 직경은, 상기 몰드 핀의 단면의 직경인 제2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주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진동 저감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유체의 일부는 상기 몰드 핀의 외주와 상기 몸체 내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진동 저감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높이 이하인 제2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의 상기 일 방향의 단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몸체부의 몸체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진동 저감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유체의 일부는 상기 몰드 핀의 상기 단부와 상기 몸체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경화되는,
    진동 저감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 방향의 높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 방향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 외주;
    상기 몸체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몸체 내주;
    상기 일 방향의 단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몸체 외면; 및
    상기 몸체 외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다른 일부를 둘러싸는 몸체 내면을 포함하는,
    진동 저감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면은 그 직경이 제1 직경인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는,
    진동 저감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면 및 상기 몸체 내면은 상기 수용 공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동 저감부;
  10. 외부의 전원과 통전되어, 상기 전원에서 전달된 전력에 의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철심 부재;
    상기 철심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철심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철심 부재에서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을 전달받는 몰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몰드 핀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몰드 핀을 둘러싸게 형성되어 발생된 상기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게 구성되는 몰드 유체를 포함하는,
    변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소정의 제1 직경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소정의 제1 높이만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몰드 핀은,
    소정의 제2 직경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고, 소정의 제2 높이만큼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을 초과하고,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를 초과하게 형성되는,
    변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유체는, 에폭시(epoxy) 수지로 구비되는,
    변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핀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몰드 핀은 상기 철심 부재의 연장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진동 저감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철심 부재의 연장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몰드 핀과 복수 개의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몰드 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변압기.
KR1020220027976A 2022-03-04 2022-03-04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KR10262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76A KR102625348B1 (ko) 2022-03-04 2022-03-04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76A KR102625348B1 (ko) 2022-03-04 2022-03-04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59A KR20230130859A (ko) 2023-09-12
KR102625348B1 true KR102625348B1 (ko) 2024-01-15

Family

ID=8801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76A KR102625348B1 (ko) 2022-03-04 2022-03-04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3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040A (ja) 2013-10-04 2015-04-1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変圧器
KR101712571B1 (ko) 2016-08-26 2017-03-08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내진형 몰드 변압기
KR101765539B1 (ko) 2017-05-10 2017-08-07 산일전기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
WO2021084112A1 (en) 2019-10-31 2021-05-06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Transformer coil block design for seismic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87B1 (ko) 2008-04-02 2009-01-22 안경덕 변압기 소음 저감용 흡음·공명형 음향 배플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040A (ja) 2013-10-04 2015-04-1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変圧器
KR101712571B1 (ko) 2016-08-26 2017-03-08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내진형 몰드 변압기
KR101765539B1 (ko) 2017-05-10 2017-08-07 산일전기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
WO2021084112A1 (en) 2019-10-31 2021-05-06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Transformer coil block design for seismic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59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1003A (zh) 发电装置
KR101971753B1 (ko)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용 송신기
US9543065B2 (en) Noncontact electric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KR101062039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184286B1 (ko) 차량용 전동식 능동 동흡진기 장치
JP2017530557A (ja) 誘導性電力伝送システム用送信機
KR101746857B1 (ko) 하이브리드 진동발전장치
KR102026890B1 (ko) 소음진동저감을 위한 코어프레임 및 이중바닥외함구조를 가지는 아몰퍼스 변압기
JP6642330B2 (ja) コイルユニット
KR102625348B1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KR20230130860A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US20110227683A1 (en) Induction Device
US6968071B2 (en) Speaker having magnetic member installed on diaphragm
US20170036552A1 (en) Vehicle
WO2023160960A1 (en) A transformer arrangement
KR20240081886A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KR20240081885A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CN210958104U (zh) 振动电机
KR101916220B1 (ko) 몰드변압기
KR20230130858A (ko) 변압기
JP2016139684A (ja) コイルユニット
JP2018018926A (ja) コイルユニット
KR20230130254A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KR20230130861A (ko) 변압기
KR20230130255A (ko) 진동 저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