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295A -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295A
KR20230129295A KR1020230015893A KR20230015893A KR20230129295A KR 20230129295 A KR20230129295 A KR 20230129295A KR 1020230015893 A KR1020230015893 A KR 1020230015893A KR 20230015893 A KR20230015893 A KR 20230015893A KR 20230129295 A KR20230129295 A KR 20230129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고 츠치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89Details of handshaking
    • H04N1/32791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handshaking procedure or protoco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97Systems adapted to communicate over more than one channel, e.g. via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3Access point log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주국으로서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화상 형성장치는,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주국에 접속되어 있는 종국의 장치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의한 무선 통신과, 애드혹 모드에 의한 무선 통신을 병행하여 실행가능한 기술이 일본국 특개 2012-194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무선 통신은 다양한 케이스에서 사용되고 있고, 편리성이 높은 무선 통신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 외부의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제1 모드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 외부의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제2 모드의 양자를 유효화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화상 형성장치 외부의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캐리어 센싱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 후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부와,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주국(master station)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주국에 접속된 종국(slave station)의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부와, 상기 종국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용지에 대해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인쇄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a는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b는 화상 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화상 형성장치에서 실행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구성요소, 처리 스텝, 표시 화면 등의 구체적인 예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시스템 구성)
도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본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장치가 서로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1의 예에서, 본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131), multifunction peripheral(MFP)(151), 휴대 단말(101)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101)은 일례이며, 랩탑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MFP(151)은, 인쇄 기능, 판독 기능(스캐너) 및 팩시밀리(FAX)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MFP(151)은, 휴대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더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MFP(151)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장치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FP(151) 대신에, 팩시밀리 장치, 스캐너 장치, 프로젝터, 또는 단일 기능을 갖는 인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화상 형성장치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31)는, 휴대 단말(101) 및 MFP(151)와는 별개로(외부에) 설치되고,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WLAN)의 기지국 장치로서 동작한다. 액세스 포인트(131)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131) 또는 외부의 무선 기지국(또는 외부의 주국)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WLAN의 통신 기능을 갖는 MFP(151)은,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쳐 WLAN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를 "AP"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MFP(151)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쳐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모드이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작하는 MFP(151)에 의해 확립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으로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 있어서, MFP(151)이 종국으로서 동작하고,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주국으로서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국은, 주국이 속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장치이고, 종국은 종국이 속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지 않는 장치이며, 종국은 주국이 결정한 통신 채널을 사용한다.
액세스 포인트(131)는, 액세스 포인트(131)의 접속을 허가한 (인증된)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고, 그 통신장치와 다른 통신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31)는, 예를 들면,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31)에 무선접속되어 있는 다른 통신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1)과 MFP(151) 각각은, 그들 자신의 WLAN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나,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치지 않는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어 투 피어를 "P2P 모드"로 부른다.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쳐 행해지지 않는 통신을 다이렉트 무선 통신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P2P 모드는, Wi-Fi Direct(등록상표) 모드와 소프트 AP 모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Wi-Fi Direct(등록상표)를 WFD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P2P 모드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시리즈에 준거한다.
P2P 모드는, MFP(151)이 휴대 단말(101) 등의 다른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모드이다. 즉,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외부 장치를 거쳐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P2P 모드는, MFP(151)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AP 모드를 포함한다. AP 모드시에 MFP(151) 내에서 유효화되는 액세스 포인트와 관한 접속 정보(SSID와 패스워드)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P2P 모드는, 예를 들면, MFP(151)이 WFD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WF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WFD 대응기기 중 어느 것이 주국으로서 동작할 것인지는, 예를 들면, Group Owner Negotiation으로 불리는 시퀀스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때, Group Owner Negotiation이 실행되지 않고, 주국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주국으로서 기능하는 WFD 대응기기는 그룹 오너로 불린다. P2P 모드에서 동작하는 MFP(151)에 의해 확립되는 다른 장치와의 접속은 다이렉트 접속으로 불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렉트 접속에 있어서, MFP(151)이 주국으로서 동작하고, 다른 장치(예를 들면, 휴대 단말(101))가 종국으로서 동작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과 통신가능한 통신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2a 및 도2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일례로서 기재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에 적용가능하며, 특별히 이 도면에 도시된 기능에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101)은, 입력 인터페이스(102), 중앙처리장치(CPU)(103), 판독 전용 메모리(ROM)(10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 외부 기억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표시부(108), 키보드(109), 통신부(110),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 및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인터페이스(113)를 갖는다. CPU(103), ROM(104) 및 RAM(105) 등에 의해 휴대 단말(101)의 컴퓨터가 형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키보드(109) 등의 조작부가 조작될 때, 유저로부터 데이터 입력이나 동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는, 물리 키보드, 물리 버튼 등이거나, 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소프트웨어 버튼 등일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표시부(108)를 거쳐 유저로부터의 입력(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CPU(103)은, 시스템 제어부이며, 휴대 단말(101)의 전체를 제어한다. ROM(104)은, CPU(103)이 실행할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과 빌트인 운용체계(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ROM(104)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격납되어 있는 빌트인 OS의 관리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를 포함한다. RAM(105)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배터리(미도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RAM(105)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격납할 수 있다. 또한, RAM(105)은 휴대 단말(101)의 설정 정보, 휴대 단말(101)의 관리 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를 포함한다. RAM(105)은 CPU(103)의 주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외부 기억장치(106)는, 예를 들면, MFP(151)이 해석가능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을 보존하고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표시부(108)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표시나 휴대 단말(10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하는 인터페이스다.
표시부(108)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구성되어, 데이터의 표시와 휴대 단말(10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한다. 통신부(110)는, MFP(151)와 액세스 포인트(AP)(131) 등의 장치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MFP(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10)와 MFP(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면, 휴대 단말(101)과 MFP(151)은 P2P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을 거쳐 MFP(151)과 다이렉트로 통신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01)이나 MFP(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AP(131) 등의 외부 장치를 거쳐 MFP(151)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휴대 단말(101) 및 MFP(15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AP(131))와, 액세스 포인트 이외를 거쳐 통신을 중계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10)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방식은, IEEE 802.11 시리즈에 준거하는 통신 규격인 Wireless Fidelity(등록상표)(Wi-Fi(등록상표))이다. 액세스 포인트(131)의 예로는 무선 LAN 라우터를 들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는, MFP(15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서 무선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통신부(110)의 통신방식과는 다른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는, 예를 들면, MFP(151)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와 접속가능하다. 통신방식의 예로는, Near Field Communication(NFC), Bluetooth(등록상표) Classic,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E) 및 Wi-Fi Aware를 들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2)는, 무선의 통신 처리 및 유선 LAN 케이블을 경유한 통신 처리를 제어하는 접속 I/F이다.
USB 인터페이스(113)는 USB 케이블을 거쳐 USB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I/F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USB 인터페이스(113)는, MFP(151)와 외부 액세스 포인트(131) 등의 장치와 USB룩 거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하, 도2b와 관련하여 MFP(151)에 대해 설명한다. MFP(151)은, ROM(152), RAM(153), CPU(154), 프린트 엔진(155), 통신부(156),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입력 인터페이스(158), 조작부(159), 출력 인터페이스(160), 표시부(16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2) 및 USB 인터페이스(163) 등을 갖는다. ROM(152), RAM(153), CPU(154) 등에 의해, MFP(151)의 컴퓨터가 형성된다.
통신부(156)는, 각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통신 처리를 제어한다. 통신부(156)를 사용해서 통신하기 위한 모드로서, MFP(151)는, 예를 들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P2P 모드에서 동작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신부(156)는 MFP(151)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저가MFP(151)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유효화하도록 지시하면, MFP(151)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56)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방식은, IEEE 802.11 시리즈에 준거하는 통신 규격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Wi-Fi(등록상표)(Wi-Fi 통신)은 IEEE 802.11 시리즈에 준거하는 통신 규격이다. 통신부(156)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거나, 통신부(156)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주국으로서 동작하는 경우, 통신부(156)는, 소정 대수 이하(예를 들면, 3대 이하)의 종국의 장치와의 P2P 무선접속을 병행하여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무선접속은 3대의 종국과 병행하여 유지되거나 3개 미만의 종국과 병행하여 유지되어도 된다. 통신부(156)는, 2.4GHz, 5GHz 및 6GHz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휴대 단말(101) 등의 장치와 근거리에서 무선접속하며,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1)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11)와 접속가능하다. 통신방식의 예로는, NFC, Bluetooth(등록상표) Classic, BLE 및 Wi-Fi Aware를 들 수 있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으로 구성된다. RAM(153)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배터리(미도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RAM(153)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격납할 수 있다. RAM(153)은 MFP(151)의 설정 정보와 MFP(151)의 관리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를 더 포함한다. RAM(153)은, CPU(154)의 주 메모리 또는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RAM(153)은 휴대 단말(101) 등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수신 버퍼와 각종의 정보를 보존한다.
ROM(152)은, CPU(154)이 실행할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ROM(152)에 격납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격납되어 있는 빌트인 OS의 관리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CPU(154)은, 시스템 제어부이며, MFP(151)의 전체를 제어한다.
프린트 엔진(155)은, RAM(153)에 보존된 정보와 휴대 단말(101)로부터 수신한 인쇄 잡에 근거하여, 기록제(예를 들어, 잉크)를 기록매체(예를 들면, 용지)에 부가함으로써 기록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101)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잡은 데이터 량이 크기 때문에, 인쇄 잡은 고속통신이 가능한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MFP(151)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비해 고속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부(156)를 거쳐, 인쇄 잡을 수신한다. 잉크를 사용한 인쇄는 일례이며, 토너를 사용한 전자사진 방식에 의해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MFP는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갖거나, MFP의 잉크 탱크에 잉크 보틀로부터 잉크를 보충하는 타입을 가질 수 있다.
MFP(151)에는,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와 시큐어 디지털(SD) 카드 등의 메모리가 옵션 기기로서 장착될 수 있고, MFP(151)에 보존되는 정보는 이 메모리에 보존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조작부(159)(예를 들어, 물리 버튼)가 조작될 때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동작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는, 표시부(161)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소프트웨어 버튼 등일 수 있다.
즉,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표시부(161)를 거쳐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60)는, 표시부(161)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표시나 MFP(15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161)는, LED나 LCD로 구성되고, 데이터의 표시나 MFP(15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한다.
USB 인터페이스(163)는, USB 케이블을 거쳐 USB 접속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USB 인터페이스(163)는, 휴대 단말(101) 및 외부 액세스 포인트(131) 등의 장치와 USB를 거쳐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3은 AP(13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AP(131)은, 그것의 기능 구성으로서, 무선 LAN 제어부(301), 트리거 프레임 제어부(302), 수신 프레임 해석부(303), UI 제어부(304), 기억부(305) 및 대역 할당부(306)를 갖는다.
무선 LAN 제어부(301)는, 다른 무선 LAN 통신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무선 LAN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무선 LAN용의 베이스밴드 회로, 무선 주파수(RF) 회로 및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무선 LAN 제어부(301)는,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따라 무선 LAN의 통신 제어를 실행하여, IEEE 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한 스테이션(STA)과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트리거 프레임 제어부(302)는, 무선 LAN 제어부(301)를 거쳐, 인증에 성공한 STA에 대해 Trigger Frame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Trigger Frame을 수신하면, STA는 그 프레임에 응답하기 위해 상향 링크(UL) 프레임을 송신한다. AP(131)은, 무선 LAN 제어부(301)를 거쳐 UL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 프레임 해석부(303)를 사용하여 수신된 UL 프레임의 내용의 해석을 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한 UL 프레임이 액세스 카테고리(AC)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 프레임 해석부(303)는, 그 AC의 정보를 해석 및 취득하고, 그 UL 프레임의 송신원인 STA가 어떤 AC의 송신 대상 데이터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대역 할당부(306)는, 수신 프레임 해석부(303)에 의해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각 STA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해야 할 주파수 대역의 폭 및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기간을 결정한다. 즉, 대역 할당부(306)는, 각 STA에 대해 할당할 무선 리소스의 타이밍 및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트리거 프레임 제어부(302)는, 각 STA에 대해, Trigger Frame을 거쳐 대역 할당부(306)에 의해 결정된 할당의 통지하고, 각 STA에게 그 할당에 근거한 UL 프레임을 송신시킨다.
UI 제어부(304)는, AP(131)의 유저(미도시)에 의한 AP(131)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터치패널 및 버튼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된다. UI 제어부(304)는, 화상, 음성 등의, 정보를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한 기능도 가질 수 있다. 기억부(305)는, AP(131)에 의해 실행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ROM, 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기억 기능을 갖는다.
IEEE 801.11ax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종래의 사이즈인 20MHz보다 작은 사이즈로 할당되어, 다수의 단말이 무선 리소스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 리소스의 할당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IEEE 802.11ax에서는, 예를 들면, 20MHz의 대역폭이, 주파수 축 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26개의 서브 캐리어(tone)를 각각 갖는 9개의 블록으로 분할되고, 블록 단위로 단말에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다. 이 할당 단위인 블록을 리소스 유닛(RU)으로 부르고, RU의 크기는 주파수 대역폭과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는 단말의 수에 따라 정해진다. RU의 크기는, 톤(tone)의 수로 표시된다. 이들 수의 예로는, 26, 52, 106, 242, 484, 996, 2×996을 들 수 있지만, 20MHz 대역폭에서는, 이들 수 중에서, 242 이하가 이용가능하다. 1개의 단말에 대해 20MHz의 대역폭의 전체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최대로 242톤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20MHz의 대역폭을 9개의 단말이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이들 단말 각각에 대해 26톤이 할당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이 최소의 할당 단위인 26톤마다 분할됨으로써, 20MHz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동시에 9개의 단말이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40MHz, 80MHz 및 160MHz 폭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 최대 18, 37, 및 74개의 단말이 동시에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멀티유저(MU) UL 통신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401에서, AP(131)은 트리거 프레임 제어부(302)에게 Buffer Status Report Request(BSR Request)를 송신하게 한다. 도5는 이때 송신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에서, 프레임은 필드 501 내지 508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설명에 관련되지 않는 필드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AP(131), MFP(151) 및 휴대 단말(101)은 IEEE 801.11ax에 따라 통신을 실행가능하다.
도4를 다시 참조하면, 스텝 S402에서, 각 STA는 Buffer Status Report(BSP)를 송신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각 STA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유무를 AP에게 통지한다.
각 STA로부터의 BSP을 수신하면, 스텝 S403에서, AP(131)은, BSR 내부의 정보에 근거하여 UL 데이터의 송신을 촉구하는 Trigger Frame을 송신한다. 이때 송신되는 프레임도,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포맷을 갖는다. 도5에 있어서, Frame Control 필드(501)는, 예를 들면, IEEE 802.11ax의 Trigger Frame을 나타내는 값을 유지하는 필드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Common Info 필드(505)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Common Info 필드(505)는 서브필드 601 내지 609의 정보를 포함한다. Trigger Type 서브필드(601)에는 값 "0"이 격납된다. UL Length 서브필드(602)에는 전체 STA 공통의 통신 기간에 대응하는 값이 격납되고, 이 값에 의해 각 STA가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이 표시된다. Trigger Type 서브필드(601)의 값이 "0"인 경우, 도5의 프레임에는 User Info 필드(506-1∼506-K)가 추가된다. 도7을 참조해서 User Info 필드(506-1∼506-K)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7에서, User Info 필드 각각은 서브필드 701 내지 709의 정보를 포함한다. 각 STA는 AID 서브필드(701)에 의해 특정되고, RU Allocation 서브필드(702) 내부의 인덱스 값에 의해, 그 STA에 할당되는 RU 및 톤 사이즈가 특정된다. 톤 사이즈는 각 STA에 할당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폭을 나타내는 값이다.
AP(131)는, Trigger Frame을 송신하기 위해 통신 채널을 예약한다. 더구나, AP(131)은, 예약된 통신 채널을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리소스 유닛으로 분할하고, 이들 리소스 유닛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도6을 다시 참조하면, Carrier Sense(CS) Required 서브필드(604)는 1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CS Required 서브필드(604)에는 캐리어 센싱의 실행이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CS Required 서브필드(604)에 캐리어 센싱의 실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Trigger Frame을 수신한 통신장치는 캐리어 센싱을 실행한다. 한편, CS Required 서브필드(604)에 캐리어 센싱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Trigger Frame을 수신한 통신장치는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다.
Trigger Frame을 수신하면, 스텝 S404에서, 각 STA는 Trigger Frame의 UL Length 서브필드(602)에 의해 정해지는 데이터 량의 범위내에서 UL Data frame를 송신한다. 이때, CS Required 서브필드(604)에 캐리어 센싱의 실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STA는 캐리어 센싱을 실행한 후 스텝 S404에서 송신을 실행한다. 각 STA로부터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PPDU)를 수신하면, AP(131)은 스텝 S405에서 수신 확인으로서 Multi Block Ack(Multi BA)을 송신한다.
이하, 도8을 참조해서 MFP(1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MFP(151)에서는, 유저로부터 지시에 의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양자가 유효화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MFP(151)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유효화하고, 또한 WFD 모드를 유효화하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양자가 유효화된다. 또한, MFP(151)은 P2P 통신에 있어서 주국(예를 들면, WFD의 그룹 오너)으로서 동작하고 있다. MFP(151)은, 스텝 S403에 있어서 AP(131)로부터 Trigger Frame을 수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양자가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 MFP(151)은,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을 참조하고, 같은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P2P 통신을 실행하도록 주국으로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양자가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 MFP(151)은,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을 참조하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과는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P2P 통신을 실행하도록 주국으로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도8에서, 스텝 S403에서, MFP(151)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양자가 유효화되는 동안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캐리어 센싱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Trigger Frame을 수신한다.
스텝 S801에서, MFP(151)은, MFP(151)가 주국으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Trigger Frame을 송신한다. 이때, MFP(151)은 도5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Trigger Frame을 사용하여, 1개의 통신 채널(예를 들면, 20MHz)을 복수의 리소스 유닛으로 분할하고, 이들 리소스 유닛을 휴대 단말(101)을 포함하는 STA에 할당한다. 즉, MFP(151)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의 RU Allocation 서브필드(702)는, 리소스 유닛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MFP(151)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의 CS Required 서브필드(604)는, 캐리어 센싱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MFP(151)에 의해 리소스 유닛이 할당되는 종국 장치의 수는, 병행하여 다이렉트 접속을 유지가능한 종국 장치의 최대수가 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156)가 최대 3대의 종국 장치와 P2P 무선접속을 병행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경우, 리소스 유닛이 할당되는 종국 장치의 최대수는 3이 된다. 스텝 S802에서, 휴대 단말(101)은 MFP(151)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휴대 단말(101)은 Trigger Frame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유닛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센싱이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101)은,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고 MFP(151)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MFP(151)은, 다이렉트 접속을 거쳐 소모품(잉크 또는 토너)의 잔량을 휴대 단말(101)에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단말(101)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소모품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MFP(151)의 그 밖의 상태도 다이렉트 접속을 거쳐 통신될 수 있다. 그 밖의 상태의 예로는, MFP(151)의 용지 없음 상태, MFP(151)의 커버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 및 MFP(151)에 있어서의 에러 상태(예를 들어, 용지 잼)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MFP(15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로우차트는, CPU(154)이 플로우차트의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을 ROM(152)로부터 판독해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803에서, MFP(151)은 수신 확인으로서 Multi Block Ack(Multi BA)을 송신한다.
스텝 S901에서, CPU(154)은 AP(131)로부터 도4의 S403에서 전술한 Trigger Frame을 수신한다. 스텝 S902에서, CPU(154)는 캐리어 센싱(CS)의 실행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902의 처리는, 도6에 도시된 CS Required 서브필드(604)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902에서 캐리어 센싱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902에서 NO), 스텝 S9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905에서, CPU(154)은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고 AP(131)을 거쳐 원하는 장치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S902에서 캐리어 센싱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902에서 YES), 스텝 S9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903에서, CPU(154)은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여, Trigger Frame에 의해 지정된 통신 채널에서 발생된 전파의 에너지(전력)를 센싱한다. 스텝 S904에서, 센싱된 에너지가 임계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통신 채널에 있어서 발생된 전파의 에너지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스텝 S904에서 NO), CPU(154)은, AP(131)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고 판정하고 스텝 S903으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스텝 S904에 있어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스텝 S905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906으로 처리가 행해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채널에 있어서 발생하는 전력이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904에서 YES), CPU(154)은, AP(131)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 S9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905에서, CPU(154)는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AP(131)을 거쳐 원하는 장치에 송신한다(S905). 예를 들면, MFP(151)이 원고를 판독할 때 얻어진 스캔 데이터, 또는 MFP(151)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스텝 S905에서 송신된다. CPU(154)은, RU Allocation 서브필드(702)에 의해 MFP(151)에게 할당된 리소스 유닛을 사용하여 송신 대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906에서, CPU(154)은, MFP(151)가 다이렉트 통신의 주국으로서 동작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MFP(151)에 대해 WFD의 유효화를 지시하고, 또한 WFD의 통신 상대장치와 니고시에이션 처리(인텐트(intent)값의 비교)에 의해 MFP(151)가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CPU(154)은 스텝 S906에 있어서 Yes로 판정한다. 유저가 MFP(151)에 대해 소프트웨어 AP 모드의 유효화를 지시한 경우, CPU(154)은 스텝 S906에 있어서 Yes로 판정한다.
스텝 S907에서, CPU(154)은 MFP(151)을 다이렉트 통신의 주국으로서 동작시킨다. 스텝 S908에서, CPU(154)은, Trigger Frame을 MFP(151)에 접속된 종국(예를 들면, 휴대 단말(101))에 송신한다(S908). 이때, MFP(151)은, 도6에 도시된 CS Required 서브필드(604)에 대해, 캐리어 센싱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한 후, 도5에 나타낸 Trigger Frame을 송신한다. 또한, CPU(154)은, RU Allocation 서브필드(702)에 의해, MFP(151)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예를 들면, 휴대 단말(101))에 의해 사용된 리소스 유닛을 할당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101)은, 할당된 리소스 유닛을 사용해서 MFP(151)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1)은 할당된 리소스 유닛을 사용해서 MFP(15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9에 있어서는 스텝 S901 내지 S905의 후에 스텝 S906 내지 S908을 실행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CPU(154)은 반대의 순서로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즉, 스텝 S906 내지 S908을 실행한 후에, 스텝 S901 내지 S905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S901 내지 S905와 S906 내지 S908이 병행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이 무효화되어 있고 다이렉트 통신이 유효화된 경우, CPU(154)은 스텝 S906 내지 S908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AP(131)로부터 캐리어 센싱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도, MFP(151)는 MFP(151)에게 접속된 종국에 대해 캐리어 센싱 없이 데이터 송신을 지시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101)을 포함하는 종국은 인쇄 데이터 등을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저는 인쇄를 지시한 후 인쇄물을 얻을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무선 통신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회로(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0)

  1.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무선 통신이 실행되지 않는 제2 모드의 양자를 유효화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캐리어 센싱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 후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부와,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주국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주국에 접속된 종국의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부와,
    상기 종국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용지에 대해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인쇄 처리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하여 스캔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여 센싱된 에너지가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1개의 리소스 유닛을 사용해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적어도 1개의 리소스 유닛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정되는 리소스 유닛이 할당되는 장치의 최대 수는,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병행하여 유지가능한 종국의 장치의 최대 수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국으로서 동작하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는, 소정 대수 이하의 종국의 장치와의 상기 제2 모드의 무선접속을 병행하여 유지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무선 통신과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은 같은 통신 채널을 통해 실행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무선 통신과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은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실행되는 화상 형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는, 2.4GHz, 5GHz 및 6GHz로부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장치.
  9. 화상 형성장치(151)에 의해 인쇄 잡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무선 통신이 실행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무선 통신이 실행되지 않는 제2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캐리어 센싱의 실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의 실행 후 데이터를 제1 송신수단을 거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유효화되는 동안 상기 제2 모드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주국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센싱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한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송신수단을 거쳐 상기 주국에 접속된 종국의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종국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용지에 대해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게 청구항 9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230015893A 2022-03-01 2023-02-07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 KR202301292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31121A JP2023127367A (ja) 2022-03-01 2022-03-01 画像形成装置
JPJP-P-2022-031121 2022-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295A true KR20230129295A (ko) 2023-09-08

Family

ID=8541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893A KR20230129295A (ko) 2022-03-01 2023-02-07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80953A1 (ko)
EP (1) EP4239994A1 (ko)
JP (1) JP2023127367A (ko)
KR (1) KR20230129295A (ko)
CN (1) CN116709009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487A (ja) 2010-07-09 2012-01-26 Canon Inc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21029555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ap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JP2022011085A (ja) * 2020-06-29 2022-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42335A (ja) * 2021-09-14 202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27367A (ja) 2023-09-13
US20230280953A1 (en) 2023-09-07
EP4239994A1 (en) 2023-09-06
CN116709009A (zh)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4816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channel thereof
US1088775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24716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US1140948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103679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system
KR20230129295A (ko) 화상 형성장치, 방법, 및 매체
US118536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n external access point
WO2024018919A1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8814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400282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09619B2 (ja) 画像形成装置
US119953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via an external access point
US2024013716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302169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42059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62783A (ja)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59570A (ja)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端末装置
US110829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387390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135766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230165127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23075858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7135722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770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