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127A -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127A
KR20230165127A KR1020230062824A KR20230062824A KR20230165127A KR 20230165127 A KR20230165127 A KR 20230165127A KR 1020230062824 A KR1020230062824 A KR 1020230062824A KR 20230062824 A KR20230062824 A KR 20230062824A KR 20230165127 A KR20230165127 A KR 2023016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mode
channel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시마자키
나오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가 제2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정지 유닛은 특정 처리 동안 제2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제1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제2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3-157943호에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과, Wi-Fi Direct®(WFD)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을 매칭하는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한편, 차일드 스테이션(child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모드와 패어런트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모드를 각각 포함하는 장치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장치의 편의성 개선이 요구된다.
통신 장치가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차일드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1 모드에서의 동작과 통신 장치가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이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1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특정 처리가 수행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개시 유닛; 및 통신 장치가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특정 처리 동안 제2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제1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제2 모드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정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각각 통신 장치의 조작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AP)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Wi-Fi Direct®(WFD)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이루어지는 후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 및 개선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스마트폰이 예시되지만, 정보 처리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 처리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프린터가 예시되지만, 통신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한, 각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로서 프린터가 사용되게 될 때, 프린터의 예들은, 잉크젯 프린터,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및 흑백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 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예들은 또한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랩톱 PC, 태블릿 단말기,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텔레비전, 및 스마트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복사 기능, FAX 기능, 및 인쇄 기능과 같은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주변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및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예로서, 이하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지만, 도 1에 도시된 기능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중앙 처리 유닛(CPU)(103), 판독 전용 메모리(ROM)(10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조작 표시 유닛(108), 통신 유닛(109), 근거리 통신 유닛(110), 및 이미징 장치(111)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들 및 동작 지시들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물리적 키보드, 버튼,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07)와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이 화면 출력 및 사용자로부터의 조작들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 유닛인 CPU(103)는, 일반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를 제어한다.
ROM(104)은 CPU(103)에 의해 실행될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내장된 운영 체제(이하, OS라고 지칭됨)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OM(104)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에 저장된 내장된 OS의 제어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또는 인터럽트 처리와 같은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수행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이 제공되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를 포함한다. 데이터가 데이터 백업을 위한 1차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 RAM(105)에 보유되기 때문에, RAM(105)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들과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RAM(105)에는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에 관한 설정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 제공된다. RAM(105)은 또한 CPU(103)의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는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인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지칭될 것임)을 포함한다. 또한,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해석 가능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 및 통신 유닛(109)을 통해 접속된 통신 장치(151)에 송신되고 이로부터 수신될 정보 송신/수신 제어 프로그램들과 같은 각종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에 의해 사용될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는 또한 통신 유닛(109)을 통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조작 표시 유닛(108)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표시 유닛(108)은 LED(light emitting diode)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한다. 조작 표시 유닛(108) 상에, 수치 입력 키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 등의 키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표시 유닛(108)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이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9)은 통신 장치(151)와 같은 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09)은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 유닛(109)과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서로 접속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하, 액세스 포인트는 AP로서 표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9)은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장치(151)와 직접 통신하거나,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외부 및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통신 장치(151)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이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은 Wi-Fi®(Wireless Fidelity)에 대한 규격이다. 액세스 포인트(131)의 예들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라우터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서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을 다이렉트 접속 방법이라고 칭할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서로 접속하는 방법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방법이라고 칭할 것이다.
근거리 통신 유닛(110)은 통신 장치(151)와 같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컴포넌트이고, 통신 유닛(109)과 상이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10)에 의해 사용될 근거리 통신 방법들의 예들은 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포함한다. Bluetooth®는 Bluetooth® Classic 또는 Bluetooth® Low Energy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유닛(110)은 통신 장치(151) 내의 근거리 통신 유닛(157)과 접속할 수 있다.
이미징 장치(111)는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캡처된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데이터는 RAM(105)에 한번 저장된다. 그 후, 디지털 데이터는 CPU(10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결정된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되고, 이미지 데이터로서 외부 저장 디바이스(106)에 저장된다.
ROM(152)은 CPU(154)에 의해 실행될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OS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인쇄 엔진(155), 통신 유닛(156), 근거리 통신 유닛(157), 입력 인터페이스(158), 출력 인터페이스(159), 및 조작 표시 유닛(160)을 포함한다. 접속 모드(통신 모드)가 설정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설정된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다른 장치와 접속하는 통신 장치(151)에 대한 컴포넌트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156)은 IEEE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유닛(156)은 통신 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같은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통신 유닛(109)과 접속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56)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유닛(156)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156)과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하나의 무선 칩에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IEEE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에서의 통신 기능과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수행되는 통신 기능 양자 모두를 지원하는 콤보 칩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유닛(156)과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서로 다른 무선 칩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DRCS(Dynamic rapid channel switching)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칩이 사용된다. DRCS 기능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과 다이렉트 접속을 통한 통신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시 동작 동안 시분할 방식으로 수행될 때 사용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DRCS 기능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와, 다이렉트 접속을 통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 사이에서, 사용 중인 통신 채널의 고속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이하, 통신 채널을 간단히 채널이라고 칭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기능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었던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었던 채널을 동시 동작 동안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구성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56)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위한 무선 칩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위한 무선 칩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무선 칩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었던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을 통한 통신에 사용되었던 채널은 동시 동작 동안 서로 상이하게 될 수 있다.
RAM(153)은 백업 전원이 제공된 동적 RAM(DRAM)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데이터 백업(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RAM(153)에 보유되기 때문에, RAM(153)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들과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AM(153)은 또한 CPU(154)의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신 버퍼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ROM(152)은 CPU(154)에 의해 실행될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OS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OM(152)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은, ROM(152)에 저장된 내장된 OS의 제어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또는 인터럽트 처리와 같은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수행한다. ROM(152)에는 또한, 통신 장치(151)에 관한 설정 정보 및 관리 데이터 등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도 유지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 제공된다.
시스템 제어 유닛인 CPU(154)는 일반적으로 통신 장치(151)를 제어한다.
RAM(153)에 저장된 정보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인쇄 엔진(155)은 잉크와 같은 기록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와 같은 기록 매체 상에 이미지를 형성하고, 인쇄된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될 인쇄 작업은 고속 통신에서 송신될 대량의 데이터를 갖는다. 따라서, 통신 장치(151)는 근거리 통신 유닛(157)보다 더 고속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유닛(156)을 통해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같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컴포넌트이고, 통신 유닛(156)의 통신 방법과 상이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이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 방법들의 예들은 Bluetooth®와 NFC를 포함한다. Bluetooth®는 Bluetooth® Classic 또는 Bluetooth® Low Energy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유닛(157)은 근거리 통신 유닛(110)과 접속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들 및 동작 지시들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물리적 키보드, 버튼,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출력 인터페이스(159)와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이 화면 출력 및 사용자로부터의 조작들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9)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조작 표시 유닛(160)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표시 유닛(160)은 LED 및 LCD와 같은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통지한다. 조작 표시 유닛(160) 상에, 수치 입력 키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 등의 키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표시 유닛(16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이 수신될 수 있다.
<조작 표시 유닛(160)에 의해 표시될 화면의 예>
도 2a 내지 도 2f는 통신 장치(151)의 조작 표시 유닛(160)에 의해 표시될 화면의 예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 통신 장치(151)가 인쇄 또는 스캐닝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유휴 상태, 대기 상태)에 있을 때 표시되는 홈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에는, 복사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스캐닝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및 클라우드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홈 화면 상의 터치 패널 상의 키 조작 또는 스크롤 조작을 수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도 2a에 도시된 홈 화면과 상이한 화면을 매끄럽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b는 또한 홈 화면의 일부, 및 프린트 기능(인쇄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사진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 및 통신 설정 변경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의 표시를 도시한다.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키 조작 또는 터치 패널 조작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통신 장치(151)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2c는 도 2b의 홈 화면 상에서 선택된 통신 설정 변경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통신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화면은, 예를 들어, 유선 LAN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 무선 LAN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 무선 다이렉트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 및 Bluetooth®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한다. 무선 LAN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의 선택에 기초하여 설정된 설정들로, 통신 장치(1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무선 다이렉트와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의 선택에 기초하여 설정된 설정들로, 통신 장치(1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Bluetooth®에 관련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의 선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설정들은 Bluetooth® 기능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설정들, 및 Bluetooth®의 페어링에 관련된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무선 다이렉트에 관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도 2d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명칭 변경(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버튼은 사용자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의 SSID를 값으로 변경하는 버튼이다. "패스워드 변경" 버튼은 사용자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와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값으로 변경하는 버튼이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버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버튼을 선택 시에, 후술하는 Wi-Fi Direct®(WFD) 모드가 활성화되지만, 본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소프트웨어 AP 모드 또는 WFD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둘 다 활성화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 설정" 버튼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버튼이다. "주파수 대역 설정" 버튼의 선택 시에, 도 2e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2.4GHz 또는 5GHz가 선택 가능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무선 LAN에 관한 설정들을 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 시에, 도 2f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여 접속" 버튼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법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버튼이다. 제1 방법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에 의해 발견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PC/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접속" 버튼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버튼이다. 제2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통신 장치(151)에 송신하고, 통신 장치(151)가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이다. "PC/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접속" 버튼이 선택되면, 통신 장치(151)는 PC 또는 스마트폰과 접속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한다. "WPS(Wi-Fi Protected SetupTM)/AOSS(AirStation One-Touch Secure SystemTM)를 사용하여 접속" 버튼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3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버튼이다.
제3 방법은 통신 장치(151)가 WPS 또는 AOSS와 같은 공지된 설정 방법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이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통신 장치(151)의 방법들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송신할 때에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또는 DPP(Device Provisioning Protocol)를 사용하는 Wi-Fi Easy ConnectTM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버튼이 도 2f에 도시된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이렉트 접속 방법>
다이렉트 접속은 장치들이 액세스 포인트(131)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즉, 피어-투-피어(P2P) 기반으로) 서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형태를 지칭한다. 통신 장치(151)는 접속 모드들 중 하나로서, 다이렉트 접속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AP 모드 및 WFD 모드와 같은 Wi-Fi® 통신에서 다이렉트 접속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모드가 존재한다.
WFD를 통해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모드는 WFD 모드로서 지칭될 것이다. WFD는 Wi-Fi Alliance에 의해 규정된 규격이고, IEEE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에 포함된 규격이다. WFD 모드에서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사용하여 통신 파트너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검색이 수행된 후, P2P 통신에서의 그룹 소유자(GO) 및 P2P 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역할들이 결정되고, 그 후, 나머지 무선 접속 처리가 수행된다. GO는 Wi-Fi® 통신에서의 패어런트 스테이션(패어런트 유닛)에 대응하고, 클라이언트는 Wi-Fi® 통신에서의 차일드 스테이션(차일드 유닛)에 대응한다. 역할 결정은 예를 들어 P2P 통신에서의 GO Negotiation에 대응한다. 역할 결정이 수행되기 전에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는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도 차일드 스테이션으로도 동작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엇보다도,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WFD 모드에서 접속될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발행한다. 통신 파트너로서 기능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 둘 다 2개의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 및 기능들에 관한 정보를 체크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제공 정보 체크는 선택적이며,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제공 정보 체크 페이즈(phase)는 예를 들어, P2P 통신에서의 제공 발견(Provision Discovery)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디바이스 제공 정보를 서로 체크함으로써, 어느 디바이스가 P2P 통신에서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지, 및 어느 디바이스가 P2P 통신에서 GO로서 동작하는지가 그들의 역할로서 결정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와 GO가 결정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 둘 다 WFD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 교환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P2P 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와 GO는 나머지 무선 접속 처리,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는 전술한 GO Negotiation을 수행하지 않고 항상 GO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51)는 Autonomous GO 모드로서 WFD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1)가 WFD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는, 예를 들어, WFD를 통한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장치(151)가 GO로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 또는 WFD를 통한 접속이 확립된 상태에서, 통신 장치(151)가 GO로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는,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2개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서, 1개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발행하는 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한다. 다른 디바이스는 Wi-Fi® 통신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소프트웨어의 설정들로 수행한다. 소프트웨어 AP는 Wi-Fi® 통신에서의 패어런트 스테이션에 대응하고, 클라이언트는 Wi-Fi® 통신에서의 차일드 스테이션에 대응한다.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클라이언트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할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소프트웨어 AP가 발견되면, 클라이언트와 소프트웨어 AP는 나머지 무선 접속 처리(무선 접속의 확립 등)를 수행한다. 그 후, 클라이언트와 소프트웨어 AP는 IP 접속 처리(IP 어드레스의 할당 등)를 수행한다. Wi-Fi® 규격에 의해 정의된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은 클라이언트와 소프트웨어 AP 사이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시에 송신 및 수신될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 후 유지하는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가 속하는 네트워크에서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한다. 패어런트 스테이션은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하고 차일드 스테이션에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사용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패어런트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될 채널과 관련된다. 파라미터들을 수신함으로써, 차일드 스테이션은 패어런트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을 사용하여, 패어런트 스테이션에 의해 확립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는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여,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 사용될 주파수 대역 및 채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2.4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 및 5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설정을 통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즉, 사용될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2.4GHz가 선택되면,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2.4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을 사용한다. 한편,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5GHz가 선택되면,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5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을 사용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e에 도시된 화면에서 5GHz가 선택되더라도,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5GHz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대역들에 대응하는 채널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을 위해, 5GHz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DFS 대역들 이외의 주파수 대역폭에 대응하는 채널을 사용한다. DFS 대역에 대응하는 현재 사용중인 채널에서 레이더 파들이 검출되면, 현재 사용되는 채널이 변경된다. 레이더 파들의 검출로 인해 채널 변경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주파수 대역은 DFS 대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DFS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칩이 사용될 때, 5GHz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DFS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인 것으로 결정된 채널은 다이렉트 접속을 통해 수행되는 통신에서 사용된다. 또한, 채널은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비컨 신호의 송신, 및 수신된 커맨드에 대한 응답의 송신에 또한 사용된다. 즉, 채널은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통신 처리뿐만 아니라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된 상태에서의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처리에 사용된다.
사용자가 2.4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과 5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 사이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지만, 구성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번호의 지정을 수신함으로써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어떤 번호의 채널이 사용될지를 설정하게 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지 않고 통신 장치(151)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장치(151)가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지만, 구성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51)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2.4GHz 주파수 대역 또는 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처리에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GHz 주파수 대역은 IEEE 802.11ad 규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60GHz 주파수 대역은 전술한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3은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를 도시한다. 이 시퀀스에서 각각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CPU에 의해 수행되고,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 상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시퀀스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통신 장치(151)가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며, 통신 장치(151)가 비컨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시된다. 사용자로부터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될 때, 통신 장치(151)는 소프트웨어 AP로서의 동작을 시작한다.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은, 예를 들어 "다이렉트 접속 모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버튼을 선택하는 조작이다. 본 조작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에 대응한다.
우선, 단계 S301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이용 가능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송신하고,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는 장치를 검색한다.
단계 S302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통신 장치(151)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정보 처리 장치(101)에 송신한다.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들 이외의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한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이 제4 채널이면, 통신 장치(151)는 제1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한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가 제1 채널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송신한 이후 특정 기간 이상 동안 통신 장치(151)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제2 채널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사용될 채널의 번호를 증가시키면서, 전술한 시도를 반복한다. 그 후, 예를 들어, 제4 채널을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통신 장치(151)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01)는 통신 장치(151)를 발견한다. 디바이스 검색 응답의 송신에 사용되었던 채널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통신에 후속하여 사용될 채널인 것으로 결정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채널은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결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통신 장치(101)를 발견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알려진 무선 접속 확립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요청의 송신, 접속 요청의 인증, 및 IP 어드레스의 할당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Wi-Fi®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의 무선 접속 확립의 수행 처리 중에 송수신되는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되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4는 WFD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를 도시한다. 이 시퀀스에서 각각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CPU에 의해 수행되고,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 상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처리는, 각각의 장치에 의해 WFD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WFD를 통해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시작된다. WFD를 통해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은, 예를 들어 "다이렉트 접속 모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버튼을 선택하는 조작이다. 본 조작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에 대응한다.
우선, 정보 처리 장치(101)는, 단계 S401에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 장치로서 WFD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한다.
단계 S402에서, 수신된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커맨드인 경우, 통신 장치(151)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정보 처리 장치(101)에 송신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WFD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통신 장치(151)를 발견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가 통신 장치(151)를 발견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 및 기능들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GO Negotiation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와 GO가 결정된 후, 클라이언트와 GO는 WFD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교환한다. 교환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P2P 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 및 GO는 나머지 무선 접속 처리 및 IP 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utonomous GO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GO Negotiation은 생략될 수 있고, 통신 장치(151)는 항상 GO로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1)가 GO로서 동작하면, 통신 장치(151)는 WFD 통신에 사용될 주파수 대역 및 채널을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결정한다. 따라서, GO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는 5GHz 또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될 주파수 대역으로서 선택하고,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들 중에서 사용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교환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GO에 의해 결정된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접속 확립 처리를 수행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방법>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은 통신을 수행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의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디바이스들과 서로 통신하기 위한 접속 모드이다. 통신 장치(151)는 또한, 접속 모드들 중 하나로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면, 디바이스들과 액세스 포인트는 나머지 무선 접속 처리(무선 접속 확립 등)를 수행한다. 그 후, 디바이스들과 액세스 포인트는 IP 접속 처리(IP 어드레스들의 할당 등)를 수행한다. Wi-Fi®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들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접속이 확립될 때 송신 및 수신될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되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할 때, 액세스 포인트(131)는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고, 통신 장치(151)는 차일드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즉,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은 차일드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51)와 패어런트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장치 사이의 접속을 지칭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 통신 장치(151) 및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또한 확립한 정보 처리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에 사용될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되어, 통신 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을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에서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과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1)는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통신에서 5GHz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DFS 대역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통신 장치(151)와 통신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장치(151), 정보 처리 장치(101)가 속하는 네트워크를 인식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가 차일드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Wi-Fi® 접속과, 통신 장치(151)가 패어런트 유닛으로서 동작하는 Wi-Fi® 접속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시에 확립된 전술한 2개의 접속으로 동작하는 것은 동시 동작을 지칭한다.
도 5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 시퀀스를 도시한다. 이 시퀀스에서 각각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CPU에 의해 수행되고, 대응하는 장치에 포함된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 상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통신 장치(151)는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접속" 버튼을 선택하는 조작이다.
우선, 단계 S501에서,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통신 장치(151)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단계 S502에서, 통신 장치(151)로부터 송신되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수신되면, 액세스 포인트(131)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통신 장치(151)에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131)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에 대해서만 디바이스 검색 응답을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발견한다. 디바이스 검색 응답의 송신에 사용되었던 채널은 통신 장치(151)와 액세스 포인트(131) 사이의 통신에 후속하여 사용될 채널인 것으로 결정된다. 즉,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 사용될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된다. 그 후, 통신 장치(151)는 발견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수신한다. 이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31)가 선택된다고 가정한다.
그 후, 통신 장치(151)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131)는 알려진 무선 접속 확립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요청의 송신, 접속 요청의 인증, 및 IP 어드레스의 할당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P2P 모드와 유사하게, Wi-Fi®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은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 수행되는 무선 접속 확립 처리 동안 송신 및 수신되는 커맨드들 및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되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들 S503 및 S504에서는, 단계들 S501 및 S502에서의 처리와 유사한 처리가 정보 처리 장치(101)와 액세스 포인트(131) 사이에서 수행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31)는 통신 장치(151)와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1)에 디바이스 검색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131)는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 및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서로 접속한 다음 통신할 수 있다.
<Wi-Fi® 통신의 채널 배열>
도 6a는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 배열을 도시하고, 도 6b는 Wi-Fi® 통신의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 배열을 도시한다. Wi-Fi® 통신에서는, 22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채널들로 분할되는 2.4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된다. 채널에는 각각 번호들이 할당된다. 2.4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채널들은 채널들 1 내지 14이다. 20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채널들로 분할되는 5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고, 동일한 주파수를 포함하는 채널들이 없다. 5GHz 주파수 대역에서 DFS 대역들 이외의 주파수 대역폭에 각각 대응하는 채널들은 W52라고 불리는 채널들이다. 구체적으로, W52는 채널들 36, 40, 44 및 48로 구성된다. 5GHz 주파수 대역에서 DFS 대역들에서의 채널들은 W53 및 W56이라고 불리는 채널들이다. 구체적으로, W53은 채널들 52, 56, 60 및 64로 구성되고, W56은 채널들 100, 104, 108, 112, 116, 120, 124, 128, 132, 136 및 14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와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동시에 유지하는 동작으로서 동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이 동일하다면, 전파 간섭은 양쪽 모드에서의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에 의해 확립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과 다이렉트 접속 사이에 전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DRCS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DRCS 기능을 사용하는 이러한 형태에서, 통신 장치(151)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된 AP와 다른 장치 사이의 통신 간섭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의 통신 시에 발생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에 수행될 제어>
도 7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본 처리가 시작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화면에서 수행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의 수신 이외에, 도 8,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될 처리에서 수행될 처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는, 예를 들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 동안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새롭게 확립함으로써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정지하는 처리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는, 전원-온 시에,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턴오프되었을 때에 통신 장치(151)가 동작하고 있었던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재개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전원이 턴오프된 후에 전원-온 조작을 수신하는 처리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이 턴오프될 때, 통신 장치(151)가 동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전원-온 시에, 통신 장치(151)는 처음에 AP와의 재접속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그 후, 재접속 처리의 시작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51)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통신 장치(151)는 재접속 처리의 시작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151)는 재접속 처리에 의해 AP와 통신 장치(151) 사이에 확립된 접속에 기초하여, 또는 재접속 처리에 의해 AP와의 접속 실패에 의해 야기되는 타임-아웃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으로서,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 5GHz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5GHz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7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2로 진행한다. CPU(154)가 2.4GHz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7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5로 진행한다.
단계 S702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 경우,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6인지를 판정한다. 즉, 본 처리 시에,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 그리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6인지를 판정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상태는 액세스 포인트(131)와 접속된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단계에서 식별된 채널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될 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에 대응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6이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7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3으로 진행한다. 한편,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아닌 액세스 포인트(131)와 통신 장치(15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 또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지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6이 아니라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7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4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 경우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서 동작하는 동안,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계 S703에서, CPU(154)는 채널 40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채널 40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또는 채널 40을 사용하는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51)는 채널 36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채널 40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의 시작은 통신 장치(151)가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퀀스에서의 처리를 통해 다른 장치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단계 S704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채널 36을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채널 36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또는 채널 36을 사용하는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어, 채널 36 이외의 채널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채널 36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한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어 채널 36을 사용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만 동작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05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면,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인지를 판정한다. 즉, 본 처리 시에,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 그리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인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식별된 채널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될 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에 대응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이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7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6으로 진행한다. 한편,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아닌 액세스 포인트(131)와 통신 장치(15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 또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지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채널 3이 아니라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7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7로 진행한다.
단계 S706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채널 11을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채널 11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또는 채널 11을 사용하는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통신 장치(151)는 채널 3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채널 11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07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채널 3을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CPU(154)는 채널 3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또는 채널 3을 사용하는 WFD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어, 채널 3 이외의 채널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채널 3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한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어, 채널 3을 사용하여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만 동작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동작이 통신 장치(151)에서 수행되는 경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서의 간섭 발생을 방지한다.
단계 S703, S704, S706, 및 S707에서 사용될 채널들로서 결정된 채널들은 전술한 채널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이 서로 상이하게 되는 방식으로 채널들이 결정되는 한, 전술한 채널들과 상이한 채널들이 사용될 채널들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단계 S703에서, 채널 44 또는 48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FS 대역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이외의 채널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36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으로서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 설정된 5GHz를 갖는 채널 40 상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다. 또한, 도 2e에 도시된 화면상에 설정된 2.4GHz를 갖는 채널 11 상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으로서 채널 3이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은 상이한 채널일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이 전술한 처리와 부분적으로 상이한 처리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702에서의 처리 대신에,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만을 판정할 수 있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할 수 있고, 그 후,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5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특정할 수 있다. 그 후, CPU(154)는 특정된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적으로 특정될 채널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36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특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단계 S705에서의 처리 대신에,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만을 판정할 수 있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그 후,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2.4GHz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특정할 수 있다. 그 후, CPU(154)는 특정된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적으로 특정될 채널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11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특정될 수 있다.
WFD 모드가 Autonomous GO 모드인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지만, WFD 모드가 Autonomous GO 모드가 아니라 GO Negotiation의 실행을 수반하는 모드인 경우, 처리는 전술한 타이밍과 상이한 타이밍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이외의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처리가 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의 WFD의 디바이스 검색 커맨드가 통신 장치(151)로부터 수신되고, GO Negotiation이 수행되고, 통신 장치(151)가 GO로서 동작할 것이라고 결정되는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에 수행될 제어>
도 8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51)가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을 확립하려고 시도한 경우, 본 처리가 시작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가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을 수신하는 처리이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전원이 턴오프된 후에 전원-온 조작을 수신하는 처리이다.
단계 S801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즉, 통신 장치(151)와 액세스 포인트(131) 사이의 접속)의 확립을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의 확립을 완료했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8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2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의 확립을 완료하지 못했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801에서 아니오),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의 확립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 S801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802에서,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이다.
단계 S803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803에서 예),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장치(151)의 동작 동안 통신 장치(151)에 대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된 경우를 의미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803에서 아니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 장치(151)에 대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된 경우를 의미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는 통신 장치(151)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는 통신 장치(151)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신 장치(151)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는 통신 장치(151)가 다른 장치와의 다이렉트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GO 또는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하면(단계 S8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4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803에서 아니오),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만 동작하는 것을 유지하면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804에서,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한지를 판정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은 단계 S802에서 저장된 정보에 의해 나타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하다고 판정하면(단계 S8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5로 진행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하면(단계 S804에서 아니오),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을 접속해제하거나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정지하지 않고, 통신 장치(151)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하게 유지하면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805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 경우, 다이렉트 접속이 접속해제된다.
단계 S806에서, CPU(154)는 다시 통신 장치(151)의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즉, CPU(154)는 도 7에서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 모드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새롭게 활성화된다. 이러한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상이한 채널이 새롭게 활성화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서 수행되는 경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서의 간섭 발생을 방지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동시 동작 동안 변경되는 경우에 수행될 제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혼잡 회피를 위한 제어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액세스 포인트(131)의 설정 변경에 의해 변경되면, 통신 장치(151)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변경할 것이다. 이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동시 동작 중에 변경될 때 수행될 제어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처리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시작된다.
단계 S901에서,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2로 진행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01에서 아니오),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될 때까지 단계 S9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되면,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된다. 따라서, 본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에 대응한다.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변경에 의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되기 전에,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될 것이라는 점을 통신 장치(151)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131)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처리는 통신 장치(151)가 액세스 포인트(13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통지받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일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CPU(154)는 접속해제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해 이전에 접속되었던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재접속을 위한 재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CPU(154)는 초기에, 재접속 처리로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접속해제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해 이전에 접속되었던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한다. 접속해제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해 이전에 접속되었던 액세스 포인트(131)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사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31)가 발견되면, CPU(154)는 발견에 사용된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다. 이에 의해, 발견에 사용되었던 채널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이 시작된다. 접속해제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해 이전에 접속되었던 액세스 포인트(131)에 대한 검색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154)는 초기에, 접속해제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에서 사용되었던 채널만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131)가 검색에 의해 발견되지 않으면, CPU(154)는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CPU(154)는 변경된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장치(151)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S904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904에서, 예)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는 동시 동작 동안 변경된 경우를 의미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904에서, 아니오)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는 동시 동작 없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만 통신 장치(151)에 의한 동작 동안 변경된 경우를 의미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하면(단계 S9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5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904에서, 아니오), CPU(154)는 통신 장치(151)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만 동작시킨 채로 유지하면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905에서,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즉, 변경된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한지를 판정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은 단계 S903에서 저장된 정보에 의해 나타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하다고 판정하면(단계 S9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6으로 진행한다. CPU(154)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하면(단계 S905에서 아니오),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정지시키지 않고, 통신 장치(151)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시킨 채로 유지하면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906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 경우, 다이렉트 접속이 접속해제된다.
단계 S907에서, CPU(154)는 다시 통신 장치(151)의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즉, CPU(154)는 도 7에서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다이렉트 접속 모드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새롭게 활성화된다. 이러한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상이한 채널이 새롭게 활성화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된다.
상기 설명에서, 통신 장치(151)는 단계 S902에서 재접속 처리가 수행된 후에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지만, 절차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51)는 단계 S901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된 후 및 단계 S902에서 재접속 처리가 수행되기 전의 타이밍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했는지에 관계없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되는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만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변경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흐름도에 도시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처리 대신에, 도 10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를 수행하지만, 다른 흐름도들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에 수행될 제어>
도 10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통신 장치(151)가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의 수신에 응답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31)와의 접속을 확립하려고 시도한 경우에 본 처리가 시작된다.
단계 S1001 내지 S1003의 처리는 단계 S801 내지 S803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004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되어 있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004에서 예)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고,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004에서 아니오)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만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8로 진행한다.
단계 S1005 내지 S1007의 처리는 단계 S804 내지 S806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008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08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9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을 완료하지 못했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008에서 아니오),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 S1008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게다가, 다이렉트 접속의 확립이 완료되기 전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접속해제되는 경우,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9 내지 S1011의 처리는 단계 S804 내지 S806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서의 간섭 발생을 방지한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채널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로서, 검색에 의해 발견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 후, 통신 장치(151)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서로 다르게 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유사하다.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에서 수행될 제어>
도 11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처리는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시작된다.
단계 S1101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하면(단계 S11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2로 진행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단계 S11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2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식별한다. 그 후,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채널 중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가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제외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은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및 DFS 대역들을 포함하는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을 AP 검색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그 후, CPU(154)는 단계 S1104로 처리를 진행한다.
단계 S1103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채널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단계 S1104에서, CPU(154)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AP 검색에 의해 발견되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11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5로 진행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CPU(154)가 판정하면(단계 S11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1로 복귀한다. 처리가 반복되더라도 AP 검색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고 타임 아웃 기간이 경과하면, CPU(154)는 AP 검색을 종료함으로써 처리를 종료하고,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CPU(154)는 AP 검색에 의해 발견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 후, CPU(154)는 사용자로부터 리스트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을 수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AP 검색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리스트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단계 S1106에서, CPU(154)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한다.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및 발견에 사용되었던 채널은 설정된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통한 접속 요청 및 통신의 송신에 사용된다.
제1 방법을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는 형태의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서로 동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에서의 간섭 발생을 방지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에서의 단계 S803 내지 S806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방법 또는 제3 방법을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확립되면,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에서, 단계 S803 내지 S806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기초하여,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에서 단계 S803 내지 S806의 처리를 수행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수신되면, 개시될 AP 검색 이외의 AP 검색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 S902의 재접속 처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 중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로서 식별되는 채널을 제외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할 수 있다.
제4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방법들과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서로 다르게 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에서 수행될 제어>
도 12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CPU(154)가 ROM(152)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에 로딩하여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처리는 사용자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시작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흐름도에 도시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의 처리 대신에, 도 12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를 수행하지만, 다른 흐름도들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단계 S1201 내지 S1204의 처리는 단계 S1101 내지 S1104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205에서, CPU(154)는 단계 S1202에서 AP 검색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12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208로 진행한다. CPU(154)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 S12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06에서,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적어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사용될 것이다. 이로 인해, CPU(154)는, 본 처리에서,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가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장치(151)의 근방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1207에서, CPU(154)는 단계 S1206에서 AP 검색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CPU(154)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었다고 판정하면(단계 S1207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208로 진행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CPU(154)가 판정하면(단계 S1207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201로 복귀한다. 처리가 반복되더라도 AP 검색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고 타임 아웃 기간이 경과하면, CPU(154)는 AP 검색을 종료함으로써 처리를 종료하고,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208 및 S1209의 처리는 단계 S1105 및 S1106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가능한 정도까지 확립할 수 없게 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의 간섭 발생을 방지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는 AP 검색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되지 않으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는 AP 검색은 액세스 포인트의 발견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작이 수신되면, 개시될 AP 검색 이외의 AP 검색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 S902의 재접속 처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51)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 중에서,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제외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AP 검색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31)가 발견되지 않으면, CPU(154)는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31)를 검색할 수 있다.
제5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서로 다르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되는 구성에 대해 상술했지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 이외에,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서로 다르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가 새롭게 활성화되는 경우에 수행될 제어>
도 13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이 흐름도에서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될 처리는 ROM(152)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53) 상에 로딩하고 그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CPU(154)에 의해 수행된다.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술한 조작이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신되면, 본 처리가 시작된다.
단계 S1301의 처리는 단계 S701의 처리와 유사하고,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302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면,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지를 판정한다. 즉, 본 처리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 및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지를 판정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식별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이 단계에서 식별된 주파수 대역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었을 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 경우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인 경우를 의미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 것으로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3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303으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아닌 액세스 포인트(131)와 통신 장치(15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 또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지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가 아니라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3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304로 진행한다.
단계 S1303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한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11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CPU(154)는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2.4GHz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CPU(154)는 2.4GHz 주파수 대역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304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한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36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305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인지를 판정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면, CPU(154)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GHz인지를 판정한다. 즉, 본 처리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며,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GHz인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식별된 주파수 대역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 처리가 수행되었을 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의 식별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GHz인 경우는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인 경우를 의미한다. CPU(154)가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GHz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3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306으로 진행한다.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 아닌 액세스 포인트(131)와 통신 장치(15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 또는 통신 장치(151)가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이지만,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GHz가 아니라고 CPU(154)가 판정한 경우(단계 S13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307로 진행한다.
단계 S1306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의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51)가 사용할 수 있는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에서 DFS 대역의 채널 이외의 채널이 설정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51)가 사용할 수 있는 5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 중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36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CPU(154)는 도 2e에 도시된 화면 상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5GHz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CPU(154)는 5GHz 주파수 대역이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307에서, CPU(154)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한 채널을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하고, 다이렉트 접속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 후, CPU(154)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51)에 의해 사용 가능한 2.4GHz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채널 11은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될 채널로서 우선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서로 다르게 하여,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 및 다이렉트 접속 모드에서의 통신의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들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판독하고,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들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들을 구현하고,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프로그램 코드들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CD recordable),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ROM,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OS가 프로그램 코드들의 지시들에 기초하여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처리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경우는 물론,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들이 판독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저장 매체(이는 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과 같은)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통신 장치가 차일드 스테이션(child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패어런트 스테이션(parent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특정 처리가 수행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개시 유닛;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정지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불일치의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이 서로 일치한다는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한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판정 유닛이,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이 정지된 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동작을 재개하도록 구성된 재개 유닛; 및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된 상기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상태와 상기 제2 모드에서의 재개된 동작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상태가 동시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된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과 상이한 채널이, 재개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로서 특정되는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로부터의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을 수신하는 처리인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는 사용자로부터, WPS(Wi-Fi Protected SetupTM) 또는 AOSS(AirStation One-Touch Secure SystemTM)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수신하는 처리인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는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통신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이 접속해제됨으로써 수행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접속을 재확립하기 위한 처리인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모드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가 Wi-Fi Direct® 규격에서 그룹 소유자로서 동작하는 모드인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시리즈 통신 규격인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인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쇄 유닛 또는 스캐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통신에는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의 통신에는 상기 2.4GHz 주파수 대역과 상기 5GHz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동적 주파수 선택(Dynamic Frequency Selection)에 의해 채널 변경이 수행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폭이 사용 가능한 통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의 통신에는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의 통신에는 상기 2.4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 가능하고 상기 5GHz 주파수 대역이 사용 불가능한 통신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된 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로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이한 채널이 특정되는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되는 미리 결정된 채널과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 동안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된 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로서 상기 미리 결정된 채널과 상이한 채널이 특정되는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우선적으로 사용될 채널로서 설정되는 미리 결정된 채널과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 동안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 사이의 불일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가 수행된 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로서 상기 미리 결정된 채널이 특정되는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처리는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작이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해 수행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통신 장치.
  19.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통신 장치가 차일드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특정 처리가 수행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컴퓨터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통신 장치가 차일드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패어런트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특정 처리가 수행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특정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리 동안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었던 채널과 상기 특정 처리에 의해 개시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될 채널 사이의 일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0062824A 2022-05-26 2023-05-1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301651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86416A JP2023173887A (ja) 2022-05-26 2022-05-26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22-086416 2022-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27A true KR20230165127A (ko) 2023-12-05

Family

ID=8632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824A KR20230165127A (ko) 2022-05-26 2023-05-16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88921A1 (ko)
EP (1) EP4284102A1 (ko)
JP (1) JP2023173887A (ko)
KR (1) KR20230165127A (ko)
CN (1) CN117135599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2414B2 (en) * 2008-01-11 2013-06-25 Nokia Corporation Sharing a frequency band between different radio communications protocols
JP5945910B2 (ja) 2012-01-31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WO2015129242A1 (ja) * 2014-02-28 2017-03-30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
JP6700972B2 (ja) * 2016-05-23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0570B2 (ja) * 2018-12-28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7005560B2 (ja) * 2019-06-28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73887A (ja) 2023-12-07
EP4284102A1 (en) 2023-11-29
US20230388921A1 (en) 2023-11-30
CN117135599A (zh)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6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EP322658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24716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KR102281467B1 (ko)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CN110784855B (zh) 通信装置和控制方法
US202302474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establishe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230165127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30165128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2303890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8905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8911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780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0602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240179258A1 (en)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301617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40179615A1 (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179508A1 (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7806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30413352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8118879A (zh) 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8118880A (zh) 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