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380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7380A KR20230127380A KR1020220023724A KR20220023724A KR20230127380A KR 20230127380 A KR20230127380 A KR 20230127380A KR 1020220023724 A KR1020220023724 A KR 1020220023724A KR 20220023724 A KR20220023724 A KR 20220023724A KR 20230127380 A KR20230127380 A KR 202301273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 outdoor
- discharge
- suction
- fa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6—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using low temperature external supply air to assist coo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 실내측 토출구, 실외측 흡입구,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흡입유로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 상기 토출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 상기 흡입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 및 상기 토출팬 및 상기 흡입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팬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혹은 양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적용되어, 열회수형 환기장치로 기능을 수행하면서, 부가적으로 음압 혹은 양압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환기장치와 별도로 별도의 음압 및 양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 없어,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를 절감함과 동시에 환기를 할 수 있는 친환경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사무실,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등 건물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전열교환기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킴에 있어,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 시켜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열교환기는 실내에서 발생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배기를 통하여 배출하고, 필터링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즉, 일반적인 전열교환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공조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는 전열교환기 내에 설치된 배기팬이 작동하고, 이때의 정압으로 전열 교환기 소자를 통과하면서 실내에서 실외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최근 들어, 전염성 질병(예를 들면 Covid-19)의 증가로 인해서, 전염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시설들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염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시설들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전술한 Covid-19를 검사하기 위한 선별진료소가 있다.
이러한 선별진료소는, 대부분 임시로 설치되며, 좁은 공간의 채취실이 복수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채취실을 마주보고 채취실에 입실한 피검자로부터 시료를 채취하는 의료인이 상주하는 별도의 대기실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피검자의 전염성 질병이 의료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채취실을 음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임시로 설치되는 채취실에 모두 음압병동에 사용되는 시설을 구현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며,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음압 혹은 양압을 구현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 실내측 토출구, 실외측 흡입구,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흡입유로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 상기 토출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 상기 흡입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 및 상기 토출팬 및 상기 흡입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팬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혹은 양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내 공간과 상기 실외 공간의 온도차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서, 상기 토출팬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팬이 상기 흡입팬보다 세게 구동되며,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클수록 상기 흡입팬을 약하게 구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외측 토출구와 연결된 부스터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터 팬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는 개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센서가로 부터 상기 실내 공간이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부스터 팬을 가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 실내측 토출구, 실외측 흡입구,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토출유로와 상기 흡입유로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 상기 토출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 및 상기 흡입유로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흡입구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동일한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제 1 측면과 인접한 제 2 측면에 형성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제 3 측면에, 상기 실외측 흡입구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와 동일한 더미 실외측 흡입구 및 더미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더미 흡입구 및 상기 더미 토출구에 착탈되는 더미 측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는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실내측 토출구가 상기 제 3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거나, 상기 실내측 토출구가 상기 제 1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실외측 흡입구와 연통되는 더미 실내측 흡입구; 및 상기 더미 실내측 흡입구에 착탈되는 더미 전면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바이패스 공간을 형성하는 중간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커버의 상기 실내측 흡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과 상기 토출유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커버의 상기 실외측 토출구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과 상기 토출유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커버는 상하면이 반전되어도 상기 본체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 및 상기 바이패스 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개폐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 커버를 지지하는 본체 요철; 및 상기 본체 요철에 맞물리도록 상기 중간 커버에 형성된 커버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철은 상기 중간 커버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중간 커버에 돌출되어 상기 전열소자를 지지하는 전열소자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열소자 지지부는, 상기 중간 커버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 및 상기 흡입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전열 소자 전단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중간 커버에 돌출되어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는, 상기 중간 커버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는, 좁은 공간에 적용되어, 열회수형 환기장치로 기능을 수행하면서, 부가적으로 음압 혹은 양압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환기장치와 별도로 음압 및 양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 없어,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착탈 및 배치만으로도 실외 토출구 및 실외 흡입구의 위치를 양측면에 대칭으로 구현할 수 있어, 하나의 벽면을 사이에 두고 설치할 수 있으며, 토출배관, 흡입배관을 동일한 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트 팬을 사용하여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 대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스트 팬을 복수개의 환기장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 절약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정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전면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의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중간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중간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X-X 선을 기준으로 반전한 상태의 중간 커버 정면도
도 8은 도 4의 제 2 측면의 분리 저면도
도 9는 전술한 환기장치 본체가 실제 적용된 건물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2개의 환기장치 본체가 중간벽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정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전면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의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중간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중간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X-X 선을 기준으로 반전한 상태의 중간 커버 정면도
도 8은 도 4의 제 2 측면의 분리 저면도
도 9는 전술한 환기장치 본체가 실제 적용된 건물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2개의 환기장치 본체가 중간벽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정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전면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장치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 본체(10)는,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101), 실내측 토출구(102), 실외측 흡입구(103), 실외측 토출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105)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103)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106)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10, 120, 130)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상기 토출유로(105)와 상기 흡입유로(106)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210)와, 상기 토출유로(105)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220)과, 상기 흡입유로(106)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230)을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10, 120, 13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면(143, 144), 상면(145), 저면(142), 배면(146), 정면(141) 및 하면(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0, 120, 130)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10)의 정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전면 케이스(130)와, 전면 케이스(130)와 사이에 공기 유통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면 케이스(130)의 정면에 결합되는 정면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측 흡입구(103)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동일한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는 상기 제 1 측면과 상이하며, 인접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제 2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는,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과 상이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제 4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배면(146)에는 벽체(1)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제 3 측면에, 상기 실외측 흡입구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와 동일한 더미 실외측 흡입구 및 더미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더미 흡입구 및 상기 더미 토출구에 착탈되는 더미 측면 커버(1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측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양측면(143, 144) 중 어느 하나이며,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벽체의 방향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측면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면(143)이며, 좌측면(144)에는 더미 측면 커버(111)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측면(145)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제 1 측면과 인접한 측면인 상면(145)이며, 상기 제 4 측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정면(141)이다.
상기 제 2 측면(145), 즉 상측면 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는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 측면(145)은 길이 방향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실내측 토출구(102)가 형성되며, 타측은 밀폐 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면(145)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상기 제 3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결합되거나,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상기 제 1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실외측 흡입구 실외측 토출구가 제 1 측면 에서 제 3 측면에 바뀌어서 결합되어도, 제 2 측면(145)을 회전하여 결합함으로써, 간단히 실내측 토출구(10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정면이 개방되며, 배면(146), 양측면(143, 144), 상면(145) 및 하면(142) 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외측 흡입구(103), 실외측 토출구(104)가 양측면(143, 14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면(145)에 실내측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배면(146)에는 벽체 고정부(122)가 형성된다. 벽체 고정부(122)는 벽에 고정된 못이나 클립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종래에 알려진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배면과 양측면 및 상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 중앙에 전열소자(210)가 배치되며, 전열소자(210)를 중심으로,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105)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103)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106)가 교차하도로 형성된다. 또한, 토출유로(105)와 흡입유로(106) 상에 다양한 필터(240)가 설치된다.
토출팬(220)은 실외측 토출구(104)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흡입팬(230)은 실내측 토출구(10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토출팬(220)과 실외측 토출구(104)를 연결하는 토출팬 가이드(221)와, 흡입팬(230)과 실내측 토출구(102)를 연결하는 흡입팬 가이드(231)를 더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130)는, 하부 케이스(110)와 착탈되도록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에 의해서, 전술한 토출유로(105)와 흡입유로(106)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열소자 커버(131), 필터 커버(132) 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열소자 및 필터를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면 케이스(130)에는 실내측 흡입구(101)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실내측 흡입구(101)에 프리 필터가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실외측 흡입구(103)와 연통되도록 더미 실내측 흡입구(134)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더미 실내측 흡입구(134)에 착탈되는 더미 전면 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흡입구 및 실외측 토출구가 설치되는 측면이 바뀌는 경우, 프리 필터와 더미 전면 커버를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실내측 흡입구(101)의 위치가 바뀌어도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더미 실내측 흡입구(134)가 밀폐된 상태로 생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면 케이스(130)는 실내측 흡입구(101)의 위치에 따라서, 2개의 제품이 생산되어야 한다.
정면커버(120)는 전면 케이스(130)와 사이에 공기 유통 갭이 형성되도록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가 공기 유통 갭을 통해서 전면 케이스(130)의 실내측 흡입구(101)를 통해서 유입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중간 커버(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중간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도, 6은 도 1의 중간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X-X 선을 기준으로 반전한 상태의 중간 커버 정면도이다.
하부 케이스(110) 바닥면에는 바이패스 공간(121)이 형성되며, 바이패스 공간(121)을 둘러싸도록 본체 요철(10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을 형성하는 중간 커버(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과 상기 토출유로(105)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흡입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과 상기 토출유로(105)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토출구(1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커버(120)는 도 7과 같이 상하면이 반전되어도 상기 본체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122) 및 상기 바이패스 토출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개폐 댐퍼(12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바이패스 모드가 작동되는 경우, 바이패스 개폐 댐퍼(125)를 개방하여, 실내측 흡입구(101)에서 흡입된 실내공기가 전열소자(21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공간(121)을 통해서 실외측 토출구(104)로 바로 토출되어, 외부의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동력의 손실 없이, 공기를 환기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요철(107)에 맞물리도록 상기 중간 커버(120)에 형성된 커버 요철(126)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철(126)은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중간 커버(120)에 상기 전열소자를 지지하는 전열소자 지지부(127)가 형성되며, 상기 전열소자 지지부(127)는,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5) 및 상기 흡입유로(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전열 소자 전단(210)에 설치되는 필터(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커버(120)에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28)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필터 지지부(128)는,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면 커버의 장착되는 위치를 바꾸며, 도 4에서 더미 측면 커버(111)가 설치되는 위치를 좌우 교체하며, 토출팬(220) 및 흡입팬(230)의 설치방향을 바꾸고, 토출팬 가이드(221)와 흡입팬 가이드(231)의 설치위치를 바꾸며, 중간 커버(120)를 좌우 반전시킴으로서,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고도, 환기장치 본체(10)의 실외측 흡입구 및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 1측면의 위치를 좌우 교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전술한 환기장치 본체가 실제 적용된 건물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2개의 환기장치 본체가 중간벽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환기장치 본체(10)가 설치되는 건물은 간이 벽체 형식의 중간벽(33)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채취실(31a, 31b)과 상기 채취실(31a, 31b)과 칸막이벽(3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클린존(32)을 포함한다.
상기 환기장치 본체(10)는 중간벽(33)에 배면(146)을 맞대고 채취실(31a, 31b)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맞대어진 환기장치 본체(10)의 실내 토출구(102)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실외측 흡입구(103) 및 실외측 토출구(104)의 위치가 상측으로 향하며, 배치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실외 토출구(104)를 하나의 토출 배관(11)에 통합할 수 있으며, 흡입 배관(12)도 동일한 규격을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내 토출구(102)의 방향은 양쪽 모두 출입문 쪽이 아니라, 환기에 유리한 출입문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부스터 팬(20)을 토출배관(11)에 연결함으로써, 2개의 환기 장체 본체(10)에 연결할 수 있다. 부스트 팬(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취실(31a, 31b)의 출입문이 개방되는 상황과 같이, 많은 공기가 채취실(31a, 31b)에 유입되어,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기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토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작동되는 팬이다.
환기장치 본체(10)를 포함하는 환기장치는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23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실내 공간과 상기 실외 공간의 온도차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미도시)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와 연결된 부스터 팬(2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기장치 본체(10)의 내부에 PCB 기판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외부의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혹은 양압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서,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한다. 즉, 상기 토출팬(220)이 상기 흡입팬(230) 보다 세게 구동되며,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클수록 상기 흡입팬(230)을 약하게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채취실(31a, 31b)이 음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터 팬(20)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센서로 부터 상기 실내 공간이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부스터 팬(20)을 가동한다. 개방 센서는 출입문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알려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과 같은 많은 양의 공기가 채취실(31a, 31b)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부스터 팬(20)이 작동되어, 음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환기장치는, 좁은 공간에 적용되어, 열회수형 환기장치로 기능을 수행하면서, 부가적으로 음압 혹은 양압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환기장치와 별도로 음압 및 양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 없어,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착탈 및 배치만으로도 실외 토출구 및 실외 흡입구의 위치를 양측면에 대칭으로 구현할 수 있어, 하나의 벽면을 사이에 두고 설치할 수 있어, 토출배관, 흡입배관을 동일한 위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트 팬을 사용하여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 대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스트 팬을 복수개의 환기장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간 절약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120, 130: 본체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정면 커버
130: 전면 케이스
210: 전열소자
220: 토출팬
230: 흡입팬
110: 하부 케이스
120: 정면 커버
130: 전면 케이스
210: 전열소자
220: 토출팬
230: 흡입팬
Claims (13)
-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101), 실내측 토출구(102), 실외측 흡입구(103), 실외측 토출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105)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103)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106)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10, 120, 130);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상기 토출유로(105)와 상기 흡입유로(106)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210);
상기 토출유로(105)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220);
상기 흡입유로(106)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230); 및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230)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여, 상기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을 음압 혹은 양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과 상기 실외 공간의 온도차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서, 상기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팬(220)이 상기 흡입팬(230) 보다 세게 구동되며,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클수록 상기 흡입팬(230)을 약하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와 연결된 부스터 팬;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는 개방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 센서가로 부터 상기 실내 공간이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부스터 팬을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함체로 형성되며, 실내측 흡입구(101), 실내측 토출구(102), 실외측 흡입구(103), 실외측 토출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와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105)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103)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유로(106)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10, 120, 130);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상기 토출유로(105)와 상기 흡입유로(106)가 교차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열소자(210);
상기 토출유로(105)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220); 및
상기 흡입유로(106) 상의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230);
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측 흡입구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동일한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상기 제 1 측면과 인접한 제 2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제 3 측면에, 상기 실외측 흡입구 및 상기 실외측 토출구와 동일한 더미 실외측 흡입구 및 더미 실외측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더미 흡입구 및 상기 더미 토출구에 착탈되는 더미 측면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는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상기 제 3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결합되거나, 상기 실내측 토출구(102)가 상기 제 1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10, 120, 130)의 정면에 상기 실외측 흡입구와 연통되는 더미 실내측 흡입구; 및
상기 더미 실내측 흡입구에 착탈되는 더미 전면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과 사이에 바이패스 공간(121)을 형성하는 중간 커버(12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기 실내측 흡입구(101)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과 상기 토출유로(105)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흡입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기 실외측 토출구(104)에 인접한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과 상기 토출유로(105)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토출구(1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커버(120)는 상하면이 반전되어도 상기 본체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122) 및 상기 바이패스 토출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개폐 댐퍼(1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 커버(120)를 지지하는 본체 요철(107); 및
상기 본체 요철(107)에 맞물리도록 상기 중간 커버(120)에 형성된 커버 요철(126);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철(126)은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커버(120)에 돌출되어 상기 전열소자를 지지하는 전열소자 지지부(12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열소자 지지부(127)는,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105) 및 상기 흡입유로(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전열 소자 전단(210)에 설치되는 필터(240); 및
상기 중간 커버(120)에 돌출되어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128);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부(128)는, 상기 중간 커버(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3724A KR20230127380A (ko) | 2022-02-23 | 2022-02-23 |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3724A KR20230127380A (ko) | 2022-02-23 | 2022-02-23 | 환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7380A true KR20230127380A (ko) | 2023-09-01 |
Family
ID=8797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3724A KR20230127380A (ko) | 2022-02-23 | 2022-02-23 |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27380A (ko) |
-
2022
- 2022-02-23 KR KR1020220023724A patent/KR202301273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45896A (ko) |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 |
KR20040075686A (ko) |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 |
EP1600705A2 (en) | Ventilating system | |
KR102175153B1 (ko) |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 |
KR102105127B1 (ko) |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 |
KR102118621B1 (ko) | 바닥형 공기순환기 | |
KR20230127380A (ko) | 환기장치 | |
JP3747570B2 (ja) | 換気装置 | |
JP2001165484A (ja) | 換気装置 | |
CN112714846A (zh) | 通风装置用热交换单元 | |
JP4390897B2 (ja) | 熱交換換気装置 | |
KR20170121111A (ko) |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 |
JP4391099B2 (ja) | 熱交換換気装置 | |
JP3903844B2 (ja) | 熱交換換気装置 | |
JP2838958B2 (ja) | 空調換気装置 | |
JP4016887B2 (ja) | 同時給排換気装置 | |
KR102422062B1 (ko) | 열회수 환기장치 | |
JP3223893B2 (ja) | 天井埋込カセット型熱交換換気装置 | |
US11852371B2 (en) | Ventilation device | |
WO2023101084A1 (ko) | 환기 청정 시스템 | |
JPH0363439A (ja) | 換気ユニットの給・排気装置 | |
JPH0222584Y2 (ko) | ||
JPS621616Y2 (ko) | ||
JPH0658587A (ja) | 空調換気装置 | |
JPS631153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