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111A -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111A
KR20170121111A KR1020170136672A KR20170136672A KR20170121111A KR 20170121111 A KR20170121111 A KR 20170121111A KR 1020170136672 A KR1020170136672 A KR 1020170136672A KR 20170136672 A KR20170136672 A KR 20170136672A KR 20170121111 A KR20170121111 A KR 2017012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ypass
housing
passag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두양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양텍(주) filed Critical 두양텍(주)
Priority to KR102017013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111A/ko
Publication of KR2017012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1/009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유로와,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바이패스유로부재;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를 통하여 실내의 연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BY-PASS APPARATUS FOR A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가 외부와 통풍이 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에서 사람이 장시간 활동하게 되면 실내 공기의 오염 및 CO2 증가로 인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내를 환기시켜주어야 한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게 되면 오염물질이 유입될 뿐만 아니라 내부 열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치가 바로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이다.
환기시스템은, 건물의 벽에 설치되며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환기 장치와, 건물의 실내와 연결되도록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환기 장치와 연결되는 공기유입 배관라인과, 건물의 실내와 연결되도록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환기 장치와 연결되는 공기배출 배관라인을 포함한다.
도 1은 환기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는 유입유로(11) 및 배출유로(12)가 구비되며 건물의 실내와 실외에 걸쳐 위치하도록 건물의 벽에 설치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유로(11)와 배출유로(12)를 통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20)와, 하우징(10)의 배출유로(12)에 구비되되 실외측에 위치하는 배기용 팬모터(30)와, 하우징(10)의 유입유로(11)에 구비되되 실내측에 위치하는 흡기용 팬모터(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한쪽 측면판 외면에 배출덕트(PO)와 유입덕트(PI)가 연결되며, 배출덕트(PO)는 배출유로(12)와 연통되고 유입덕트(PI)는 유입유로(11)와 연통된다. 배출덕트측과 유입덕트측에 각각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D)가 구비된다. 하우징(10)의 다른 한쪽 측면판 외면에 공기유입 배관라인(LI)과 공기배출 배관라인(LO)이 연결되며, 공기유입 배관라인(LI)은 유입유로(11)와 연통되고, 공기배출 배관라인(LO)은 배출유로(12)와 연통된다. 전열교환기(20)는 적층된 다수 개의 단위 필터를 포함한다.
환기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환기 장치의 배기용 팬모터(30)와 흡기용 팬모터(40)가 작동하게 되면 실외의 공기가 하우징(10)의 유입유로(11)와 공기유입 배관라인(LI)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의 공기가 공기배출 배관라인(LO)과 하우징(10)의 배출유로(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하우징(10)의 유입유로(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유로(12)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전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열교환이 이루어진 실외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환기 장치의 배기용 팬모터(30)와 흡기용 팬모터(40)가 각각 작동시 유입덕트(PI)와 배출덕트(PO)에 각각 구비된 댐퍼(D)는 열린 상태이고, 배기용 팬모터(30)와 흡기용 팬모터(40)가 각각 작동하지 않을 경우 유입덕트(PI)와 배출덕트(PO)에 각각 구비된 댐퍼(D)는 닫힌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화재를 더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의 연기가 실외로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0034호(2015. 07. 22. 등록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하우징(제1,2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도록 하우징(제1,2 케이스)의 상면판 위쪽으로 바이패스 덕트가 구비되어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공기를 유동시킬 경우 그 바이패스 덕트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바이패스 덕트를 구성하는 전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하우징의 상면판 위쪽으로 바이패스 덕트가 돌출되므로 운반이나 설치시 적재가 불편하게 되고 바이패스 덕트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게 되어 바이패스 덕트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선행기술은 하우징의 상면판 위쪽으로 바이패스 덕트가 돌출되므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천정과 케이싱의 사이에 바이패스 덕트가 위치하게 되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를 통하여 실내의 연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유로와,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바이패스유로부재;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측과 하우징의 상측판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제1 유로부재와, 상기 제1 유로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측과 하우징의 하측판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제1 유로부재와, 상기 제1 유로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면과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면판과, 상기 하면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는 두 개의 개구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과 두 개의 개구구멍들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판은 사각형이며, 측면판은 사각프레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유로부재는 하면판과, 상기 하면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와 연결되는 개구구멍과, 상기 하면판에 구비되어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구멍, 내부 공간 그리고 관통구멍이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유닛은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하우징의 관통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제1관과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연결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에 구비되어 제1관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하우징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관으로 안내하는 제1 댐퍼와, 상기 제2관에 구비되어 제2관으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로부재와 제2 유로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열교환기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와, 상기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연기가 발생하게 될 경우 실내의 연기가 공기배출 배관라인과 하우징의 제3 구획공간과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와 하우징의 제1 구획공간을 거쳐 배출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실내의 연기가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실내의 연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유로부재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종래와 같이 하우징의 외부로 바이패스덕트가 돌출되는 것을 배제하게 되어 운반이나 설치시 적재가 편리하게 되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천정과 하우징 사이를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유로부재가 제1 유로부재와 제2 유로부재를 포함하게 되므로 바이패스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부재의 유로와 제2 유로부재의 유로가 각각 넓게 되어 연기가 배출시 연기를 빠르게 배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연기의 유동 저항이 적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환기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바이패스유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에서 바이패스유로부재를 전열교환기 아래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정상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의 화재시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일실시예는, 하우징(100), 전열교환기(300), 바이패스유로부재(400), 개폐유닛(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유로(P1)와,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유로(P2)가 구비된다.
하우징(100)의 일예로, 하우징(100)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을 이루는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과, 상기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의 상단과 하단을 복개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하측판(150)(16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전,후,좌,우 위치는 설명의 편의상 도 2, 3을 기준으로 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좌측판(130)과 우측판(140)에 각각 두 개의 관통구멍(131)(132)(141)(142)이 구비된다. 좌측판(130)의 두 개 관통구멍들을 제1,2 관통구멍(131)(132)이라 하고, 우측판(140)의 두 개 관통구멍들을 제1,2 관통구멍(141)(142)이라 하고, 좌측판(130)의 제1 관통구멍(131)과 우측판(140)의 제1 관통구멍(141)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좌측판(130)의 제2 관통구멍(132)과 우측판(140)의 제2 관통구멍(142)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유입유로(P1)는 좌측판(130)의 제2 관통구멍(132)과 우측판(140)의 제1 관통구멍(141)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배출유로(P2)는 좌측판(130)의 제1 관통구멍(131)과 우측판(140)의 제2 관통구멍(142)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상,하부 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그 분리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열교환기(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전열교환기(300)는 유입유로(P1)와 배출유로(P2)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며, 유입유로(P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유로(P2)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전열교환기(300)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교환기(300)는 네 개의 모서리들이 각각 하우징(100)의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전열교환기(300)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에 네 개의 구획공간들이 구비되며, 좌측판(130)의 제1 관통구멍(131)과 연통되는 구획공간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1,2,3,4 구획공간(S1)(S2)(S3)(S4)이라 한다. 즉, 좌측판(130)의 제1 관통구멍(131)과 제1 구획공간(S1)이 연통되고, 좌측판(130)의 제2 관통구멍(132)이 제2 구획공간(S2)과 연통되며, 우측판(140)의 제2 관통구멍(142)과 제3 구획공간(S3)이 연통되고 우측판(140)의 제1 관통구멍(141)이 제4 구획공간(S4)과 연통된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4 구획공간(S2)(S4)은 유입유로(P1)를 구성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3 구획공간(S1)(S3)은 배출유로(P2)를 구성한다. 전,후,좌,우측판(110)(120)(130)(140)의 가운데 부분에 전열교환기(300)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B)들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B)들은 전열교환기(300)의 네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게 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구획공간들을 막게 된다. 지지돌기(B)들은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상측판(150) 또는 하측판(160)에 전열교환기(300)를 삽입하는 삽입구멍이 구비되고 그 삽입구멍을 개폐하는 복개판(151)이 구비된다.
하우징(100)의 좌측판(130)의 제1 관통구멍(131)에 실외측과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출덕트(620)가 연결되고, 우측판(140)의 제2 관통구멍(142)에 실내측과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공기배출 배관라인(210)이 연결된다. 하우징(100)의 좌측판(130)의 제2 관통구멍(132)에 실외측과 유입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입덕트(610)가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우측판(140)의 제1 관통구멍(141)에 실내측과 유입유로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 배관라인(220)이 연결된다.
하우징(100)의 좌측판 제1 관통구멍(131)과 연통되는 제1 구획공간(S1)에 배기용 팬모터(810)가 위치하고, 하우징(100)의 우측판 제1 관통구멍(141)과 연통되는 제4 구획공간(S4)에 흡기용 팬모터(8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출덕트(620) 측과 유입덕트(610) 측에 각각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용 댐퍼(D)가 구비된다.
바이패스유로부재(400)는 전열교환기(300)와 하우징(100)의 상측판(150)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다.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일예로, 바이패스유로부재(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300)의 상측과 하우징(100)의 상측판 내면 사이에 구비되며, 전열교환기(300)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F1)가 구비된 제1 유로부재(410)와, 제1 유로부재(410)에 인접하게 위치함과 아울러 하우징(1000의 상측판 내면에 접촉되게 위치하며 전열교환기(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F1)를 연통시키는 유로(F2)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 유로부재(410)는 전열교환기(300)의 상면과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면판(411)과, 하면판(411)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414)을 형성하는 측면판(412)과, 측면판(412)에 구비되는 두 개의 개구구멍(413)들을 포함하며, 내부 공간(414)과 두 개의 개구구멍(413)들이 유로(F1)를 형성한다. 제1 유로부재(410)는 전열교환기(300)의 상면과 하우징(100)의 상측판(150) 내측면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 유로부재(410)의 상측은 하우징(100)의 상측판(150)에 의해 복개된다. 제1 유로부재(410)의 하면판(411)은 사각형이며, 제1 유로부재(410)의 측면판(412)은 사각프레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교환기(300)의 상면이 육각형일 경우 제1 유로부재(410)의 하면판(411)은 육각형이며 측면판(412)은 육각프레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로부재(410)의 측면판(412)이 사각프레임인 경우 두 개의 개구구멍(413)은 하우징(100)의 배출유로 쪽으로 서로 대면되는 두 개의 면에 각각 구비된다.
제2 유로부재(420)는 하우징(100)의 배출유로 측에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의 제3 구획공간(S3)에 구비된다. 제2 유로부재(420)는 하면판(421)과, 하면판(421)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424)을 형성하는 측면판(422)과, 측면판(422)에 구비되어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와 연결되는 개구구멍(423)과, 하면판(421)에 구비되어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관통구멍(425)을 포함하며, 개구구멍(423), 내부 공간(424) 그리고 관통구멍(425)이 유로(F2)를 형성한다. 제2 유로부재(420)는 제3 구획공간(S3)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지돌기(B)들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부재(420)의 상측은 하우징(100)의 상측판(150)에 의해 복개된다.
제1 유로부재(410)와 제2 유로부재(420)는 한 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500)은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한다. 개폐유닛(500)의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유닛(500)은 실내 공기가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하우징(100)의 관통구멍(142)과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관(510)과, 제1관(51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제1관(510)과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연결하는 제2관(520)과, 제1관(510)에 구비되어 제1관(510)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으로 안내하거나 제2관(520)으로 안내하는 제1 댐퍼(530)와, 제2관(520)에 구비되어 제2관(520)으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 댐퍼(5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관(520)의 한쪽은 제1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바이패스유로부재(400)를 구성하는 제2 유로부재(420)의 관통구멍(425)과 연결된다. 제1 댐퍼(530)는 제1관(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개폐판(531)과, 그 개폐판(531)을 회전시키는 모터(532)를 포함한다. 개폐판(531)은 제2관(520)과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시 공기가 제1관(510)과 제2관(520)으로 유동하고, 개폐판(531)이 경사지게 위치하여 제1관(510)을 막은 상태에서 제1관(510)의 공기는 제2관(520)으로 유동하며, 개폐판(531)이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제1관(510)을 막게 되어 공기의 유동을 제2관(520)으로 원활하게 안내하게 한다. 제2 댐퍼(540)는 제2관(520)을 개폐하는 개폐판(541)과, 그 개폐판(541)을 회전시키는 모터(542)를 포함한다. 제2 댐퍼(540)의 개폐판(541)이 수평으로 위치하면 제2관(520)을 막게되고 수직으로 위치하면 제2관(520)을 열게된다.
개폐유닛(500)의 제1 댐퍼(530)가 제1관(510)을 막고 제2 댐퍼(540)가 제2관(520)을 열게되면 제1관(510)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제2관(520)을 통해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로 유동하게 되고, 제1 댐퍼(530)가 제1관(510)을 열고 제2 댐퍼(540)가 제2관(520)을 막게 되면 실내공기가 제1관(5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출유로로 유입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유로부재(400)를 전열교환기(300)의 상측과 하우징(100)의 상측판(150) 내측면 사이에 위치시키지 않고, 바이패스유로부재(400)를 전열교환기(300)의 하측과 하우징(100)의 하측판(160) 내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유로부재(400)는 전열교환기(300)의 하측과 하우징의 하측판(160)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전열교환기(300)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제1 유로부재(410)와, 제1 유로부재(410)에 인접하게 위치함과 아울러 하우징(100)의 하측판(160) 내측면에 접촉되게 위치하며 전열교환기(300)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 유로부재(410)와 제2 유로부재(420)는 위에서 설명한 제1,2 유로부재와 같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전열교환기(300)와 바이패스유로부재(400)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와,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는 제1 유로부재(430)와 제2 유로부재(440)로 구성되며,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의 제1,2 유로부재(430)(440)는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2 유로부재(410)(420)와 각각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 유로부재(430)가 전열교환기(300)의 상측과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 유로부재(410)의 하면판(411)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되,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 유로부재(430)의 유로가 하우징(100)의 유입유로와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즉, 평면상에서 볼 때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 유로부재(430)의 유로와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2 유로부재(440)는 하우징(100)의 제2 구획공간(S2)에 위치하여 제2 유로부재(440)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상측판(150)에 내측면에 접촉된다. 보조개폐유닛(500')은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한다. 보조개폐d유닛(500')의 제1관(510)은 하우징(100)의 제2 구획공간(S2)에 위치하는 관통구멍(132)(좌측판 제2 관통구멍)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제2 구획공간(S2)에 위치하고, 제2관(520)은 제1관(510)의 외주면과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2 유로부재(440)의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제1관(510)과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연통시킨다. 제1 댐퍼(530)는 제1관(510)에 위치하고 제2 댐퍼(540)는 제2관(520)에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환기시스템이 구비된 건물의 실내를 환기시킬 경우, 유입덕트(610)와 배출덕트(620)에 각각 구비된 개폐용 댐퍼(D)를 오픈시키고 개폐유닛(500)으로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닫은 상태에서, 배기용 팬모터(810)와 흡기용 팬모터(820)를 작동시킨다. 배기용 팬모터(810)와 흡기용 팬모터(820)가 각각 작동하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덕트(610)로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유입유로(P1)와 전열교환기(300)를 거쳐 공기유입 배관라인(220)을 통해 실내로 공급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가 공기배출 배관라인(210)과 하우징(100)의 배출유로(P2)와 전열교환기(300)를 거쳐 배출덕트(6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개폐유닛(500)에 의해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가 막힌 상태이므로 실내의 공기가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하우징(100)의 유입유로(P1)로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와 배출유로(P2)로 배출되는 실내의 공기가 전열교환기(300)를 거치면서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열교환이 이루어진 실외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건물의 실내 환기를 정지시킬 경우 배기용 팬모터(810)와 흡기용 팬모터(820)의 작동을 정시시키고, 유입덕트(610)와 배출덕트(620)에 각각 구비된 개폐용 댐퍼(D)를 닫는다.
또한,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실내에 연기가 발생하여 실내의 연기를 실외로 배출할 경우, 유입덕트(610)에 구비된 개폐용 댐퍼(D)를 닫고 배출덕트(620)에 구비된 개폐용 댐퍼(D)를 개방시키고 개폐유닛(500)으로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배기용 팬모터(81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되면, 도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의 공기가 유입덕트(6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실내의 연기가 공기배출 배관라인(2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출유로의 제3 구획공간(S3)으로 유입되면서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제2 유로부재(420)의 유로(F2)와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F1)를 통해 배출유로의 제1 구획공간(S1)으로 유입된다. 배출유로의 제1 구획공간(S1)으로 유입되는 연기는 배출덕트(6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바이패스유로부재(400)가 전열교환기(300)의 하측과 하우징(100)의 하측판(160)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 경우, 실내의 연기가 전열교환기(30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배출유로의 제1 구획공간(S1)으로 유입된다. 배출유로의 제1 구획공간(S1)으로 유입되는 연기는 배출덕트(6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연기가 발생하게 될 경우 실내의 연기가 공기배출 배관라인(210)과 하우징(100)의 제3 구획공간(S3)과 바이패스유로부재(400)의 바이패스유로와 하우징(100)의 제1 구획공간(S1)을 거쳐 배출덕트(6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실내의 연기가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실내의 연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유로부재(4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종래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바이패스덕트가 돌출되는 것을 배제하게 되어 운반이나 설치시 적재가 편리하게 되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천정과 하우징(100) 사이를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유로부재(400)가 제1 유로부재(410)와 제2 유로부재(420)를 포함하게 되므로 바이패스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부재(410)의 유로(F1)와 제2 유로부재(420)의 유로(F2)가 각각 넓게 되어 연기가 배출시 연기를 빠르게 배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연기의 유동 저항이 적게 된다.
한편, 전열교환기의 상측과 바이패스유로부재에 사이에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가 더 구비되고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유닛이 더 구비된 경우 실내의 연기를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봄과 가을철과 같이 실내외 온도차가 크지 않아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경우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100; 하우징 300; 전열교환기
400; 바이패스유로부재 500; 개폐유닛

Claims (9)

  1.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유로와,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바이패스유로부재;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측과 하우징의 상측판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제1 유로부재와, 상기 제1 유로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측과 하우징의 하측판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의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는 제1 유로부재와, 상기 제1 유로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다른 한쪽에 위치하는 배출유로 쪽과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구비된 제2 유로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부재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면과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면판과, 상기 하면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는 두 개의 개구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과 두 개의 개구구멍들이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은 사각형이며, 상기 측면판은 사각프레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부재는 하면판과, 상기 하면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부재의 유로와 연결되는 개구구멍과, 상기 하면판에 구비되어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구멍, 내부 공간 그리고 관통구멍이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하우징의 관통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제1관과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의 바이패스유로를 연결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에 구비되어 제1관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하우징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관으로 안내하는 제1 댐퍼와, 상기 제2관에 구비되어 제2관으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부재와 제2 유로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와, 상기 보조바이패스유로부재를 개폐하는 보조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1020170136672A 2017-10-20 2017-10-20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70121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672A KR20170121111A (ko) 2017-10-20 2017-10-20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672A KR20170121111A (ko) 2017-10-20 2017-10-20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052A Division KR20170113721A (ko) 2016-03-24 2016-03-24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111A true KR20170121111A (ko) 2017-11-01

Family

ID=6038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672A KR20170121111A (ko) 2017-10-20 2017-10-20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1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2870A3 (en) * 2018-03-22 2019-11-20 Abrahamssons Hantverk-&Fastighetsservice AB A ventilation system for a building having a smoke evacuation 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WO2020040430A1 (ko) * 2018-08-20 2020-02-27 주식회사 칸필터 공기정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2870A3 (en) * 2018-03-22 2019-11-20 Abrahamssons Hantverk-&Fastighetsservice AB A ventilation system for a building having a smoke evacuation functionality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WO2020040430A1 (ko) * 2018-08-20 2020-02-27 주식회사 칸필터 공기정화장치
US20210231322A1 (en) * 2018-08-20 2021-07-29 Khanfilter, Inc. Air purification device
US11885527B2 (en) 2018-08-20 2024-01-30 Khanfilter, Inc. Air purific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0387B (zh) 空调组件
KR101973530B1 (ko) 환기장치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KR20170121111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100826020B1 (ko) 공기조화기
CN110431355B (zh) 换气装置
KR102118621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2118622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70113721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6987241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01165484A (ja) 換気装置
JP3747570B2 (ja) 換気装置
JP4390897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170035824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70034878A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JP2701665B2 (ja) 空調換気装置
KR101737305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70095785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160087407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826256B2 (ja) 空調・排煙共用装置
KR101773501B1 (ko) 환기시스템의 댐퍼분리형 바이패스장치
KR102445933B1 (ko) 배기바이패스 무덕트 환기장치
KR20160041176A (ko) 댐퍼 및 그것을 구비한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3804666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