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621B1 - 바닥형 공기순환기 - Google Patents

바닥형 공기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621B1
KR102118621B1 KR1020190159018A KR20190159018A KR102118621B1 KR 102118621 B1 KR102118621 B1 KR 102118621B1 KR 1020190159018 A KR1020190159018 A KR 1020190159018A KR 20190159018 A KR20190159018 A KR 20190159018A KR 102118621 B1 KR102118621 B1 KR 10211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exhaust
spac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서진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공조(주) filed Critical 서진공조(주)
Priority to KR102019015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는, 건물의 천장이 아닌 바닥에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적으므로 신축 건물이 아닌 기존 건물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싱의 상면에 실내 배기구가 구비되고,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에는 송풍시에만 개방되는 실내 배기플랩이 구비됨으로써, 이물질들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됨으로써, 컴팩트화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수평패널에 공기청정용 흡기구가 형성되고, 공기청정용 흡기구에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청정모드시에는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개방시켜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공기청정용 흡기구를 통해 메인필터 측으로 안내하고, 공기순환모드시에는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차폐시켜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기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된 구조에서도 공기청정모드와 공기순환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화재시 외기도입 댐퍼를 차폐시켜 외기 공급 차단이 가능하여, 화재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형 공기순환기{Floor type air circulator}
본 발명은 바닥형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고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바닥형 공기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 또는 천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실내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실내 공기의 열에 의해 외기를 따뜻하거나 차갑게 할 수 있으므로, 열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상기 외기를 정화시킨 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천장 또는 천장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오래된 건물의 경우 천장 내부의 공간의 한계로 인하여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65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바닥형 공기순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는, 실내의 바닥 위에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흡기구가 형성되고, 벽면 또는 창문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후면 상측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와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외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실내로 공기를 배기하는 실내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하측이 상기 실내 흡기구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하는 하부 수평패널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서 상기 하부 수평패널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측이 상기 실외 배기구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하는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배기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고 실외 배기팬이 설치된 실외 배기공간과, 상기 실내 배기구와 연통되고 실내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배기공간 격벽과;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 좌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측면과 사이를 실외 배기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실외 배기유로와 연통하도록 제1개구부가 형성된 좌측 격벽과;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 우측에서 상기 좌측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우측면과의 사이를 실내공기 순환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와 연통하도록 제2개구부가 형성된 우측 격벽과;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좌,우측면이 상기 제1,2개구부에 대향되게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좌,우측 격벽 사이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된 메인 필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면과의 사이를 상기 외기 도입구와 연통되는 외기 도입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메인 필터의 후면과 연통하도록 제3개구부가 형성된 실링 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를 연통시키는 공기순환용 흡기구와; 상기 하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과 상기 메인 필터를 연통시키는 공기청정용 흡기구와; 상기 상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외 배기유로와 상기 실외 배기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배기구와; 상기 상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배기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배기구와; 상기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내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실내 배기팬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개방되는 실내 배기플랩(flap)과;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에 설치된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순환모드와 실내공기를 상기 메인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공급하는 공기청정모드에 따라 상기 실외 배기팬, 상기 실내 배기팬 및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는, 건물의 천장이 아닌 바닥에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적으므로 신축 건물이 아닌 기존 건물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싱의 상면에 실내 배기구가 구비되고,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에는 송풍시에만 개방되는 실내 배기플랩이 구비됨으로써, 이물질들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됨으로써, 컴팩트화되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수평패널에 공기청정용 흡기구가 형성되고, 공기청정용 흡기구에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청정모드시에는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개방시켜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공기청정용 흡기구를 통해 메인필터 측으로 안내하고, 공기순환모드시에는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차폐시켜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기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화된 구조에서도 공기청정모드와 공기순환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전면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후면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배기팬과 실내 배기플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내 배기플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배기플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전면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후면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는, 케이싱(10), 실내 배기팬(120), 실외 배기팬(130), 열교환기(140), 메인 필터(150), 연기감지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전면 커버(11), 상면 커버(12), 좌측면 커버(13), 우측면 커버(14), 후면 커버(15) 및 베이스(16)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커버(11)는,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을 이루는 패널이며,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흡기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 흡기구(101)는 그릴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상면 커버(12)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을 이루는 패널이며, 실내로 공기를 배기하는 실내 배기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 배기구(102)는 그릴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좌측면 커버(13)는, 상기 케이싱(10)의 좌측면을 이루는 패널이다.
상기 우측면 커버(13)는, 상기 케이싱(10)의 우측면을 이루는 패널이다.
상기 후면 커버(15)는, 상기 케이싱(10)의 후면을 이루는 패널이다. 상기 후면 커버(15)의 상측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103)와,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외 배기구(10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구(103)와 상기 실외 배기구(104)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외기 도입구(103)와 상기 실외 배기구(104)는 건물의 벽면 또는 창문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외기 도입구(103)와 상기 실외 배기구(104)에는 각각 덕트가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거나 실외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도입구(103)와 상기 실외 배기구(104)는 상기 벽면에 뚫린 홀이나 상기 창문 등을 통해 실외와 직접 연통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배기구(104)에는 실외배기 댐퍼(114)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 댐퍼(114)는, 상기 실외 배기구(104)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 배기구(104)에 연결된 덕트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외기 도입구(103)에는 외기도입 댐퍼(113)가 설치된다.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는, 상기 외기 도입구(103)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103)에 연결된 덕트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하부 수평패널(21), 상부 수평패널(22), 배기공간 격벽(23), 좌측 격벽(31), 우측 격벽(32), 실링 패널(33)에 의해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된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는, 상기 하부 수평패널(21)과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하부 공간을 상기 실내 흡기구(101)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공간(S1)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은, 상기 실내 흡기구(101)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후술하는 공기순환용 흡기구(21a)와 공기청정용 흡기구(21b)로 안내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은,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에는 공기순환용 흡기구(21a)와 공기청정용 흡기구(21b)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용 흡기구(21a)는,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실내공기 순환유로(S2)를 연통시켜,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의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로 유입시킨다.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21b)는,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과 후술하는 메인 필터(150)를 연통시켜,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의 공기를 상기 메인 필터(150)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31b)에는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기청정모드시에만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31b)를 개방한다.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는 상기 메인 필터(150)의 하부를 향한 일방향으로만 개방된다.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에서 상기 하부 수평패널(21)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된 패널이다.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은 상부 공간을 상기 실외 배기구(104)와 상기 실내 배기구(102)와 연통되는 배기공간(S5)(S6)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상부 수평패널(22)과 상기 상면 커버(12)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공간(S5)(S6)으로 구획된다.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에는 제1배기구(22a)와 제2배기구(22b)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배기구(22a)는,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에 형성되어, 실외 배기유로(S4)와 실외 배기공간(S5)을 연통시킨다.
상기 제2배기구(22b)는, 상기 상부 수평패널(22)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40)와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을 연통시킨다.
상기 배기공간 격벽(23)은, 상기 배기공간(S5)(S6)을 실외 배기공간(S5)과 실내 배기공간(S6)으로 구획하는 격벽이다. 상기 배기공간 격벽(23)의 상부는 연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 일부분은 하향 경사진 경사면(23a)을 형성한다. 상기 배기공간 격벽(23)의 경사면(23a)은,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으로 안내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은, 상기 실외 배기구(104)와 상기 제1배기구(22a)와 연통되어, 상기 제1배기구(22a)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외 배기팬(130)을 통해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에는 상기 실외 배기팬(130)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팬(130)의 토출구는 상기 실외 배기구(104)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은, 상기 실내 배기구(102)와 상기 제2배기구(22b)와 연통되어, 상기 제2배기구(22b)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 배기팬(120)을 통해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좌측 격벽(31)과 상기 우측 격벽(32)은, 상기 상부 수평패널(22)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사이의 공간을 3개의 공간(S2)(S3)(S4)으로 구획한다.
상기 좌측 격벽(31)은, 상기 상부 수평패널(22)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사이의 공간 좌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격벽이다. 상기 좌측 격벽(31)과 상기 케이싱(10)의 좌측 커버(13) 사이는 실외 배기유로(S4)로 구획된다. 상기 좌측 격벽(31)의 상부에는 제1개구부(31a)가 형성된다.
상기 실외 배기유로(S4)는, 상기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개구부(31a)를 통해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으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유로이다.
상기 우측 격벽(32)은, 상기 상부 수평패널(22)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21)사이의 공간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격벽이다. 상기 우측 격벽(32)과 상기 케이싱(10)의 우측 커버(14) 사이는 실내공기 순환유로(S2)로 구획된다. 상기 우측 격벽(32)의 상부에는 제2개구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는, 상기 공기순환용 흡기구(21a)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개구부(32a)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14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로이다.
상기 실링 패널(33)은, 상기 케이싱(10)의 후면 커버(15)로부터 내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격벽이다. 상기 실링 패널(33)과 상기 후면 커버(15)사이의 공간은 외기 도입공간(S7)로 구획된다. 상기 실링 패널(33)의 하부는 상기 외기 도입공간(S7)의 공기를 상기 메인 필터(150)로 안내하도록 제3개구부(33a)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구(103)에는 외기도입 댐퍼(113)가 설치된다.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기 도입구(103)를 개폐시킨다.
상기 외기 도입공간(S7)은, 상기 외기 도입구(103)와 상기 제3개구부(33a)와 연통되어, 상기 외기 도입구(103)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3개구부(33a)를 통해 상기 메인 필터(150)로 안내하는 유로이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은,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은 상기 케이싱(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실내 배기구(102)를 통해 공기를 상향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팬(130)은,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 배기팬(130)은, 상기 케이싱(10)의 후면 커버(15)에 형성된 상기 실외 배기구(103)를 통해 공기를 후방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좌측 격벽(31)과 상기 우측 격벽(32)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40)는, 좌측면은 상기 실외 배기유로(S4)와 연통하고, 우측면은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와 연통하고, 상면은 상기 실내 배기공간(S6)과 연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는,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와 상기 실외 배기유로(S4)를 연결하는 제1유로와, 상기 메인 필터(150)와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혼합되지 않고 교차되면서 열교환만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필터(150)는, 상기 열교환기(140)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메인 필터(150)는, 프리필터(Pre-filter)(151), 헤파필터(Hepa-filter)(152) 및 카본필터(Carbon-filter)(153)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메인 필터(150)의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연기감지센서(미도시)는, 상기 케이싱(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실내의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기감지센서(미도시)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기감지센서(미도시)이외에도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내 오염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연기감지센서(미도시)와 실내 오염도 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각 설정값을 초과하면 공기청정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공기순환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실외 배기팬(130), 상기 실내 배기팬(120).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 및 상기 실외배기 댐퍼(114)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배기팬과 실내 배기플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내 배기플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에는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작동시 송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는 실내 배기플랩(flap)(160)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는, 상기 실외 배기구(102)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는 상기 실내 배기팬(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내 배기팬(12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의 좌,우측 상단이 각각 중심으로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내 배기플랩(160)은, 상기 상향 토출구(121)의 좌,우측 상단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경사판이 박공 지붕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내 배기플랩(160)은, 양개 도어 타입으로 개폐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는, 건물의 실내 바닥에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오래된 건물 등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컴팩트화되어,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공기순환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순환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기순환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공기순환모드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팬(120)과 상기 실외 배기팬(130)을 모두 구동시키고,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는 차폐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RA, Room Air)는 상기 실내 흡기구(101),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 상기 공기순환용 흡기구(21a),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 상기 열교환기(140), 상기 실외 배기유로(S4), 상기 제1배기구(22a),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실외 배기공간(S5)에서는 상기 실외 배기팬(130)에 의해 상기 실외 배기구(10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도 5에서 EA는 배출 공기(Exhaust Air)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기(OA, Outdoor Air)는 상기 외기 도입구(103), 상기 외기 도입공간(S7), 상기 제3개구부(33a), 상기 메인 필터(150), 상기 열교환기(140), 상기 제2배기구(22b),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에서는 상기 실내 배기팬(120)에 의해 상기 실내 배기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140)의 내부에서는 외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외기는 상기 메인 필터(150)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실내로 공급된다.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공기순환모드시 외기를 도입하고 실내공기를 배출하더라도 실내 공기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모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청정모드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공기청정모드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를 차폐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팬(120)은 작동시키되 상기 실외 배기팬(130)은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220)는 개방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RA, Room Air)는 상기 실내 흡기구(101),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21b), 상기 메인 필터(150), 상기 열교환기(140),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을 차례로 통과한다.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에서는 상기 실내 배기팬(120)에 의해 상기 실내 배기구(10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작동시 송풍력에 의해 상기 실내 배기플랩(160)이 자동으로 개방된다.
상기 공기청정모드시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는 상기 외기 도입구(103)를 차폐하므로, 외기는 도입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연기감지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외기도입 댐퍼(113)와 상기 실외배기 댐퍼(114)를 차폐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팬(120)과 상기 실외 배기팬(130)을 모두 정지시킨다. 따라서, 실내에 화재 발생시 외기 유입이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정지시 상기 실내 배기플랩(160)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를 차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형 공기순환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이물질 등이 상기 실내 배기팬(120)의 상향 토출구(121)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실내 배기플랩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121')의 상단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실내 배기플랩(160')은 상기 상향 토출구 형상에 대응되게 일방향으로 경사진 하나의 경사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내 배기플랩(160')의 개수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21: 하부 수평패널
21a: 공기순환용 흡기구 21b: 공기청정용 흡기구
22: 상부 수평패널 22a: 제1배기구
22b: 제2배기구 23: 배기공간 격벽
31: 좌측 격벽 31a: 제1개구부
32: 우측 격벽 32a: 제2개구부
33: 실링 패널 33a: 제3개구부
101: 실내 흡기구 102: 실내 배기구
103: 외기 도입구 104: 실외 배기구
113: 외기도입 댐퍼 120: 실내 배기팬
130: 실외 배기팬 140: 열교환기
150: 메인 필터 160: 실내 배기플랩
220: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

Claims (10)

  1. 실내의 바닥 위에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흡기구가 형성되고, 벽면 또는 창문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후면 상측에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와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외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실내로 공기를 배기하는 실내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하측이 상기 실내 흡기구와 연통되는 실내공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하는 하부 수평패널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서 상기 하부 수평패널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측이 상기 실외 배기구와 상기 실내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하는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배기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 배기구와 연통되고 실외 배기팬이 설치된 실외 배기공간과, 상기 실내 배기구와 연통되고 실내 배기팬이 설치된 실내 배기공간으로 구획하는 배기공간 격벽과;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 좌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측면과 사이를 실외 배기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실외 배기유로와 연통하도록 제1개구부가 형성된 좌측 격벽과;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 우측에서 상기 좌측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우측면과의 사이를 실내공기 순환유로로 구획하고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와 연통하도록 제2개구부가 형성된 우측 격벽과;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좌,우측면이 상기 제1,2개구부에 대향되게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좌,우측 격벽 사이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된 메인 필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면과의 사이를 상기 외기 도입구와 연통되는 외기 도입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메인 필터의 후면과 연통하도록 제3개구부가 형성된 실링 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과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를 연통시키는 공기순환용 흡기구와;
    상기 하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과 상기 메인 필터를 연통시키는 공기청정용 흡기구와;
    상기 상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실외 배기유로와 상기 실외 배기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배기구와;
    상기 상부 수평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배기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배기구와;
    상기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내 배기팬의 작동시 상기 실내 배기팬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개방되는 실내 배기플랩(flap)과;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에 설치된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순환모드와 실내공기를 상기 메인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공급하는 공기청정모드에 따라 상기 실외 배기팬, 상기 실내 배기팬 및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는,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배기공간(S5)(S6),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으로 구획되고,
    상기 배기공간은, 상기 배기공간 격벽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실외 배기공간(S5)과 상기 실내 배기공간(S6)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수평패널과 상기 하부 수평패널 사이의 공간은,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실외 배기유로(S4),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 사이의 공간, 상기 실내공기 순환유로(S2)로 구획되고,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 사이의 공간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메인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필터의 하부는 상기 외기 도입공간(S7)과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S1) 중 어느 하나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S3)이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좌측 격벽과 상기 우측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면은 상기 상부 수평 패널의 상기 제2배기구에 연통되고, 좌측면은 상기 좌측 격벽의 상기 제1개구부에 연통되고, 우측면은 상기 우측 격벽의 상기 제2개구부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의 상단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 배기플랩은, 상기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지게 구비된 바닥형 공기순환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배기팬의 상향 토출구의 상단은 중심으로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 배기플랩은, 한 쌍의 경사판이 양개 도어 방식으로 개폐되는 바닥형 공기순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와,
    상기 외기 도입구를 개폐시키는 외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 배기구를 개폐시키는 실외배기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외기도입 댐퍼와 상기 실외배기 댐퍼를 차폐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팬과 상기 실외 배기팬을 정지시키는 바닥형 공기순환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청정모드시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공기순환모드시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를 차폐시키는 바닥형 공기순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를 개폐시키는 외기도입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청정모드시, 상기 외기도입 댐퍼를 차폐시키고, 상기 실외 배기팬은 정지시키고, 상기 실내 배기팬은 구동시키고,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는 개방시켜,
    상기 실내 흡기구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상기 메인 필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제2배기구, 상기 실내 배기공간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실내 배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바닥형 공기순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를 개폐시키는 외기도입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순환모드시, 상기 외기도입 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외 배기팬과 상기 실내 배기팬을 모두 구동시키고, 상기 공기청정용 흡기구 댐퍼는 차폐시켜,
    상기 실내 흡기구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공간, 상기 공기순환용 흡기구, 상기 열교환기, 상기 제1배기구, 상기 실내 배기공간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실외 배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외기 도입공간, 상기 메인 필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제2배기구, 상기 실외 배기공간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실내 배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바닥형 공기순환기.
  10. 삭제
KR1020190159018A 2019-12-03 2019-12-03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211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18A KR102118621B1 (ko) 2019-12-03 2019-12-03 바닥형 공기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18A KR102118621B1 (ko) 2019-12-03 2019-12-03 바닥형 공기순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621B1 true KR102118621B1 (ko) 2020-06-26

Family

ID=7113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018A KR102118621B1 (ko) 2019-12-03 2019-12-03 바닥형 공기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65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KR20220102967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93A (ja) * 2006-03-02 2007-09-13 Toshiaki Nakayama 出口ダンパ付き換気扇用シロッコファン
KR101176568B1 (ko) 2010-06-01 2012-08-23 신우시스템 주식회사 환기유닛
KR101434191B1 (ko) * 2013-10-08 2014-08-27 (주)센도리 공기순환기
KR101513650B1 (ko) * 2014-09-12 2015-04-21 은성화학(주) 결로방지와 화재연동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10797A (ko) * 2018-03-21 2019-10-01 오충록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93A (ja) * 2006-03-02 2007-09-13 Toshiaki Nakayama 出口ダンパ付き換気扇用シロッコファン
KR101176568B1 (ko) 2010-06-01 2012-08-23 신우시스템 주식회사 환기유닛
KR101434191B1 (ko) * 2013-10-08 2014-08-27 (주)센도리 공기순환기
KR101513650B1 (ko) * 2014-09-12 2015-04-21 은성화학(주) 결로방지와 화재연동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10797A (ko) * 2018-03-21 2019-10-01 오충록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65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KR20220102967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KR102505742B1 (ko) 2021-01-14 2023-03-03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KR102541476B1 (ko) * 2021-01-14 2023-06-12 주식회사 힘펠 전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482B1 (ko)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956591B1 (ko) 열회수기능을 가진 환기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2055298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118621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102118622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20080026423A (ko) 조립식 환기장치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2274942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0785400B1 (ko) 복사열 및 연돌효과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2089784B1 (ko) 열회수 공기순환용 환기유니트의 댐퍼구조체
KR20110118347A (ko)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00400386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KR20170121111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200032522A (ko) 환기장치용 열교환 유닛
JP7412149B2 (ja) 空調制御室
KR20110118343A (ko) 창틀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0953269B1 (ko) 환기 장치
JP2826256B2 (ja) 空調・排煙共用装置
KR102417603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20200143829A (ko) 환기장치
KR20170113721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KR102631967B1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에너지절감형 스탠드 공기순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