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73A - 레일 바이크 - Google Patents

레일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73A
KR20230126573A KR1020220023909A KR20220023909A KR20230126573A KR 20230126573 A KR20230126573 A KR 20230126573A KR 1020220023909 A KR1020220023909 A KR 1020220023909A KR 20220023909 A KR20220023909 A KR 20220023909A KR 20230126573 A KR20230126573 A KR 2023012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opening
rail bike
vehicle bod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피아
Priority to KR102022002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73A/ko
Publication of KR2023012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B61G1/28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with vertical bolt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2Draw-gear and non-integral buffing appliances with combined action or acting on the same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레일 바이크는 차체의 하부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이 구비되고, 상기 차축에 연결된 바퀴들이 한 쌍의 레일들에 안착되어 회전한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차축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차축과 함께 회전되는 래치트 기어 및 상기 차체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래치트 기어가 상기 레일 바이크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바이크{Rail bike}
본 발명은 레일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움직이는 레일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바이크는 레일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철로 위를 움직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레일에서 평지나 내리막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큰 무리가 없지만, 오르막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힘이 들며,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르막이 심한 구간에서는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주행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력에 의하지 않고서도 상기 레일 바이크가 오르막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레일 바이크를 전력으로 구동하더라도 오르막이 심한 구간에서는 상기 레일 바이크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는 없다. 따라서, 오르막 구간에서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오르막 구간에서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의 하부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이 구비되고, 상기 차축에 연결된 바퀴들이 한 쌍의 레일들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레일 바이크는, 상기 차축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차축과 함께 회전되는 래치트 기어 및 상기 차체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래치트 기어가 상기 레일 바이크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거나 상기 래치트 기어와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폴 구동부와,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상기 차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가 상기 레일의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차체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차체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이격되도록 상기 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차체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걸림봉 및 상기 차체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다른 레일 바이크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에 구비된 상기 걸림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봉을 수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며 상기 고정 몸체에 걸려 상기 고정 몸체의 내측으로만 개방되는 개폐편 및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개폐편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개폐편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편이 닫히면서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봉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걸림봉이 상기 개방부를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개방부와 인접하는 양측 부위에 가이드부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봉을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개폐편을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폐편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 몸체에 끼워져 상기 개폐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링이 상기 개폐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와의 연결이 필요하면 상기 고정 링이 상기 개폐편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에 수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감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충격감소부는, 상기 걸림봉과 접촉하며, 상기 충격을 감소시키는 충격 감소 부재와, 상기 충격 감소 부재를 상기 고정 몸체에서 상기 걸림봉이 충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충격 감소 부재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충격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차체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레일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들의 외측면들과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보조 바퀴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보조 바퀴부들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들을 향해 연장하는 바퀴 프레임과, 상기 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의 상기 외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바퀴 및 상기 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의 내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래치트 기어와 상기 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레일의 오르막 구간에서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폴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레일의 오르막 구간에서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의 평평한 구간에서는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걸림봉과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므로, 두 대의 상기 레일 바이크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레일 바이크가 다른 하나의 레일 바이크를 견인하거나, 상기 레일 바이크들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고정링으로 상기 개폐편을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레일 바이크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을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레일 바이크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충격감소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레일 바이크들이 연결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는 상기 보조 바퀴들이 상기 레일들의 상기 외측면들과 상기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지지하므로, 상기 차체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레일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의 운행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바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걸림봉, 고정부 및 충격감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봉을 고정부가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봉이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보조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바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차체(110)의 하부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111)이 구비되고, 상기 차축(111)에 연결된 바퀴들(112)이 한 쌍의 레일들(10)에 안착되어 회전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차체(110)에는 다수 개의 시트,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크랭크페달, 상기 크랭크페달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을 상기 차축(111)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 상기 바퀴들(112)의 구동을 제동하는 제동수단,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차축(111)으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래치트 기어(120) 및 폴(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트 기어(120)는 상기 차축(111)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차축(111)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폴(121)은 상기 차체(100)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폴(121)은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전진하면 상기 래치트 기어(120)에 걸리지 않고,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하면 상기 래치트 기어(120)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폴(121)은 상기 래치트 기어(120)가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상기 레일(10)의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폴(121)이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므로,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서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레일(10)의 상기 오르막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할 필요가 있을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레일(10)의 상기 오르막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 폴(121)이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레일 바이크(100)를 폴 구동부(122), 감지부(123) 및 제어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 구동부(122)는 상기 차체(110)에 구비되며 상기 폴(1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 구동부(122)는 상기 폴(121)의 회전시키거나, 상기 폴(121)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폴 구동부(122)가 상기 폴(121)이 이동시킴으로써 도 2와 같이 상기 폴(121)이 상기 래치트 기어(120)와 접촉하거나, 도 3과 같이 상기 폴(121)이 상기 래치트 기어(1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3)는 상기 차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차체(110)가 상기 레일(10)의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123)는 상기 차체(11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3)의 예로는 기울기 센서를 들 수 있다.
상기 감지부(123)가 상기 차체(110)의 기울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차체(110)가 상기 레일(10)의 오르막 구간, 내리막 구간, 평평한 구간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123)는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23)는 상기 차체(1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123)는 상기 차체(11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23)는 상기 차체(110)의 중앙, 앞, 뒤 등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감지부(123)로부터 상기 차체(110)가 상기 레일 (10)의 오르막 구간, 내리막 구간, 평평한 구간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폴 구동부(12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체(110)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폴 구동부(122)를 제어하여 상기 폴(121)을 상기 래치트 기어(120)와 접촉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서 후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체(110)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4)는 상기 폴 구동부(122)를 제어하여 상기 폴(121)을 상기 래치트 기어(120)와 이격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평평한 구간에서 후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걸림봉, 고정부 및 충격감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걸림봉(130), 고정부(140) 및 충격감소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봉(130)은 상기 차체(110)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차체(110)의 전단 및 후단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차체(110)의 전단에 구비되면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차체(110)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차체(110)의 후단에 구비되면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차체(110)의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차체(110)의 전단에 구비되면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차체(110)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걸림봉(130)은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차체(11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브래킷(1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다른 레일 바이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의 차체(110)에 구비된 걸림봉(13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고정 몸체(141), 개폐편(144) 및 토션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141)는 상기 차체(110)의 후단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걸림봉(130)을 내부의 빈 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부(142)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몸체(141)은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141)는 상기 개방부(142)와 인접하는 양측 부위에 가이드부들(143)을 각각 갖는다. 상기 가이드부들(143)를 상기 개방부(142)를 향해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부들(143)은 상기 걸림봉(130)과 접촉하면서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개방부(142)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부로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편(144)는 상기 고정 몸체(141)에 힌지축(145)을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개방부(142)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편(144)은 상기 고정 몸체(141)에 걸려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측으로만 개방되고 상기 고정 몸체(141)의 외측으로는 개방되지 않는다.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고정 몸체(14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편(144)이 상기 개방부(142)를 폐쇄하면 상기 고정 몸체(141)가 상기 걸림봉(13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힌지축(145)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편(144)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봉을 고정부가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개폐편(144)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개폐편(144)이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개폐편(144)을 지나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부에 위치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편(144)이 상기 개방부(142)를 차단하면서 닫힌다. 따라서, 상기 고정 몸체(141)가 상기 걸림봉(13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걸림봉(130)과 상기 고정부(140)를 이용하여 두 대의 상기 레일 바이크들(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가 다른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를 견인하거나, 상기 레일 바이크들(100)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봉이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40)는 고정 클립(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립(147)은 상기 고정 몸체(141)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개방된 상태의 상기 개폐편(144)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클립(147)은 상기 개폐편(144)을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편(144)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걸림봉(130)을 상기 고정 몸체(14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편(144)을 개방하여 상기 고정 클립(147)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몸체(141)의 상기 개방부(142)가 개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걸림봉(130)을 상기 개방부(142)을 통해 인출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130)을 상기 고정 몸체(14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 클립(147)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개폐편(144)이 상기 개방부(142)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40)은 고정링(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146)은 상기 개폐편(14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링(146)을 상기 개폐편(144)을 따라 상기 힌지축(145)과 먼 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몸체(141)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링(146)은 상기 개폐편(144)과 상기 고정 몸체(141)를 동시에 고정하므로, 상기 개폐편(144)을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개폐편(144)이 닫힌 상태로 고정되므로, 두 대의 레일 바이크들(100)이 서로 접촉하더라도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개폐편(144)을 밀어 개방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들(100)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100)와의 연결이 필요하면, 상기 고정링(146)을 상기 개폐편(144)을 따라 상기 개폐편(144)의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링(146)이 상기 고정 몸체(141)와 이격되므로, 상기 개폐편(144)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개폐편(144)이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레일 바이크들(100)이 서로 접촉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상기 고정 몸체(1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봉(130)이 상기 고정 몸체(141)에 수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감소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소부(150)는 충격 감소 부재(151), 결합 부재(152) 및 코일 스프링(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는 상기 걸림봉(130)과 접촉하며, 상기 고정 몸체(141)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는 상기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52)는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를 상기 고정 몸체(141)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정 몸체(14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152)는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를 상기 걸림봉(130)이 충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52)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 몸체(141)와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의 끝에 상기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와 상기 고정 몸체(141)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볼트에 상기 너트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53)은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와 상기 고정 몸체(141)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153)은 상기 결합 부재(152)의 상기 볼트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153)이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와 상기 고정 몸체(141)의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53)이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와 상기 고정 몸체(141)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코일 스프링(153)은 상기 충격 감소 부재(15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충격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보조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보조 바퀴부들(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퀴부들(160)은 상기 차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바퀴부들(160)은 상기 차체(110)의 양측면의 전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조 바퀴부들(160)은 상기 차체(110)의 양측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퀴부들(160)은 상기 레일들(10)의 외측면들 및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보조 바퀴부들(160)은 바퀴 프레임(161), 제1 바퀴(162) 및 제2 바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 프레임(161)은 상기 차체(110)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들(10)을 향해 연장한다.
상기 제1 보조 바퀴(162)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바퀴 프레임(1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외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특히, 상기 레일들(10)이 기차 레일과 같이 외측면에 홈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보조 바퀴(162)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외측면들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바퀴(163)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바퀴 프레임(1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내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특히, 상기 레일들(10)이 기차 레일과 같이 내측면에 홈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보조 바퀴(163)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내측면들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바퀴부들(160)은 상기 제1 보조 바퀴(162)와 상기 제2 보조 바퀴(163)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제1 보조 바퀴들(162)이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외측면들을 동시에 지지하거나, 상기 제2 보조 바퀴들(163)이 상기 레일들(10)의 상기 내측면들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이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차체(110)에 좌우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차체(110)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레일들(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의 운행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레일 100 : 레일 바이크
110 : 차체 111 : 차축
112 : 바퀴 120 : 래치트 기어
121 : 폴 122 : 폴 구동부
123 : 감지부 124 : 제어부
130 : 걸림봉 131 : 브래킷
140 : 고정부 141 : 고정 몸체
142 : 개방부 143 : 가이드부
144 : 개폐편 145 : 힌지축
146 : 고정링 147 : 고정 클립
150 : 충격감소부 151 : 충격 감소 부재
152 : 결합 부재 153 : 코일 스프링
160 : 보조 바퀴부 161 : 바퀴 프레임
162 : 제1 보조 바퀴 163 : 제2 보조 바퀴

Claims (10)

  1. 차체의 하부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이 구비되고, 상기 차축에 연결된 바퀴들이 한 쌍의 레일들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레일 바이크에 있어서,
    상기 차축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차축과 함께 회전되는 래치트 기어; 및
    상기 차체에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래치트 기어가 상기 레일 바이크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는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거나 상기 래치트 기어와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폴 구동부;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상기 차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가 상기 레일의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차체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차체가 상기 오르막 구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폴이 상기 래치트 기어와 이격되도록 상기 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걸림봉; 및
    상기 차체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다른 레일 바이크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에 구비된 상기 걸림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봉을 수용하기 위해 일측에 개방부가 구비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며 상기 고정 몸체에 걸려 상기 고정 몸체의 내측으로만 개방되는 개폐편; 및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개폐편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개폐편이 개방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편이 닫히면서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걸림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이 상기 개방부를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개방부와 인접하는 양측 부위에 가이드부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봉을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개폐편을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폐편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고정 몸체에 끼워져 상기 개폐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링이 상기 개폐편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다른 레일 바이크와의 연결이 필요하면 상기 고정 링이 상기 개폐편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봉이 상기 고정 몸체에 수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소부는,
    상기 걸림봉과 접촉하며, 상기 충격을 감소시키는 충격 감소 부재;
    상기 충격 감소 부재를 상기 고정 몸체에서 상기 걸림봉이 충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충격 감소 부재와 상기 고정 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충격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차체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레일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들의 외측면들과 내측면들 중 어느 하나와 동시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보조 바퀴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 바퀴부들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들을 향해 연장하는 바퀴 프레임;
    상기 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의 상기 외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바퀴; 및
    상기 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레일들의 내측면들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바이크.
KR1020220023909A 2022-02-23 2022-02-23 레일 바이크 KR20230126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09A KR20230126573A (ko) 2022-02-23 2022-02-23 레일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909A KR20230126573A (ko) 2022-02-23 2022-02-23 레일 바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73A true KR20230126573A (ko) 2023-08-30

Family

ID=8784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909A KR20230126573A (ko) 2022-02-23 2022-02-23 레일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565B2 (ja) 傾斜制限型原動機付車両
CA2628222C (en) Folding recumbent vehicle
EP1743833A1 (en) Electric bicycle
US7552790B2 (en) Three wheeled vehicle with tilting mechanism
WO2007049753A1 (ja) 自転車
KR101506366B1 (ko) 부상방지 액세서리
CN1964880A (zh) 雪橇
JP2006008013A (ja) 走行装置
JP2010532291A (ja) オートバイサイドカー
EP0103795A2 (en) Track-traveling four-wheel vehicle
EP0811524B1 (en) Seat for vehicles
KR20230126573A (ko) 레일 바이크
WO2014190757A1 (zh) 用脚控制、车身可倾斜三轮摩托车
EP3957556A1 (en) Front two-wheeled vehicle
CN110182293B (zh) 一种双前轮车辆的驻车锁止机构
KR100914409B1 (ko) 오토바이 사이드카
KR100583982B1 (ko) 삼륜차
CN115123432A (zh) 一种卡丁车及其车架、控制方法
CN218617006U (zh) 卡丁车车架及其开关结构
KR100739519B1 (ko) 레일 주행용 차량
KR20190069807A (ko) 전동 킥보드
CN218617005U (zh) 卡丁车车架及其操控结构
CN218986841U (zh) 卡丁车及其车架
CN108657318B (zh) 辅助支撑装置和两轮车及侧倾助力方法
JP6784427B1 (ja) 二輪車の補助輪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