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895A -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 Google Patents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895A
KR20230125895A KR1020220022695A KR20220022695A KR20230125895A KR 20230125895 A KR20230125895 A KR 20230125895A KR 1020220022695 A KR1020220022695 A KR 1020220022695A KR 20220022695 A KR20220022695 A KR 20220022695A KR 20230125895 A KR20230125895 A KR 20230125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wireless remote
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연화
이득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
Priority to KR102022002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895A/ko
Publication of KR2023012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8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는, 탑재형 충전기, 통합제어기, DC-DC 컨버터, 작업용 인버터, 주행용 인버터, 배터리 pack으로 구성된 무선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조이스틱으로 자율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도 작업이 용이하여 여성이나 고령작업자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Ride management usi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제어장치를 탑재하여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인접거리에서 원격조절하는 작업자에 의해 운전되도록하여 여성이나 고령작업자도 운전이 가능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승용 관리기는 로터리작업, 방제작업, 이앙작업, 휴립작업, 피복작업, 운반작업, 퇴비살포작업 및 비료살포작업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운전하는 보행형 관리기와는 달리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행시키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승용 관리기는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승용관리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로터리나 붐스프레이어 및 퇴비살포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논이나 밭에서 작물재배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승용관리기는 반드시 운전자가 탑승하여 직접적으로 운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숙련된 종사자외에는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승용 관리기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논이나 밭에서는 두둑 및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두둑을 따라 승용 관리기를 후진시킨 후 전진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8010호(명칭: "농작업 관리기")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9063호(명칭: "승용관리기용 차동 제어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거리에서 원격조절하는 작업자에 의해 운전되도록하여 사람이 탑승하지 않아도 되며, 전동구동되는 바퀴의 높낮이 조절이 되도록 하여 과수원 넓이가 다른 논, 밭 고랑을 자유자제로 다닐수 있도록 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는, 승용관리기에 있어서, 차체내부에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되어 조이스틱으로 자율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무선원격제어장치는 탑재형 충전기, 통합제어기, DC-DC 컨버터, 작업용 인버터, 주행용 인버터, 배터리 pack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된 상기 차체의 바퀴에 바퀴 승강이가 조절되도록 전동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여 여성이나 고령작업자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전동 구동되는 바퀴의 높낮이 조절이 되어 과수원 넓이가 다른 논, 밭 고랑을 자유자제로 다닐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약 살포시 사람이 탑승하지 않음으로 바람으로 인한 인체의 농약중독 피해를 예방하고, 밭갈이 등 작업시 뒤로 또는 좌우 고개를 돌려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등 인체에 무리가 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관리기에 장착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승용관리기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승용관리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승용관리기를 조정하는 조이스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용관리기는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차체 내부에 구비되어 조이스틱으로 자율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예로, 통상적으로 농작용 승용관리기는 원동기에 의해 운전되는 4개의 바퀴를 구비한 승용기와 상기 승용기의 차체 후단으로 원동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후방동력 취출부와 상기 후방동력 취출부와 연결된 동력취탈부와 이 동력 취탈부에 연결된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로타리와 이 로타리가 차체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로타리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토기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비료통에 비료유도부 및 시비량 조절레버가 연결된 시비기를 구비한 작업장치를 포함하여 이 작업장치가 상기 승용기의 후단에 찰/탈되도록 설치되어 한 사람이 장비 하나로 여러 가지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승용관리기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고 작업을 해야 해서 특히, 농약 살포시 바람으로 인한 인체의 농약중독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밭갈이 등 작업시 뒤로 또는 좌우 고개를 돌려 작업을 해야되서 인체에 큰 무리가 되고 있다.
또한, 능숙한 작업자가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바퀴의 높낮이 조절이 되지 않아 과수원같이 넓이가 다른 논, 밭 고랑을 다닐 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기존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인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무선원격제어장치(600)
본 발명의 무선원격제어장치(6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탑재형 충전기(610), 통합제어기(620), DC-DC 컨버터(630), 작업용 인버터(640), 주행용 인버터(650), 배터리 pack(66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배터리 pack(660) 상단에 상기 탑재형 충전기(610), 통합제어기(620), DC-DC 컨버터(630), 작업용 인버터(640), 주행용 인버터(650)들이 앞에서 순서대로 배열되어 적층되어 있다.
상기 탑재형 충전기(610)는 배터리 pack(660)의 전원이 완전 방전되지 않도록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합제어기(620)는 차체주행 또는 작동모드시 배터리 pack(660)의 전원을 인가받아 주행 또는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DC-DC 컨버터(630)는 배터리 pack(660)의 전하 균일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이 안전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용 인버터(610)는, 상기 배터리 pack(660)에서 공급된 DC전압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켜주어 승용관리기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변환장치이다.
상기 주행용 인버터(650)는 배터리 pack(660)에서 공급된 DC전압을 승용관리기에 공급될 전압으로 변환시켜 승용관리기가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변환장치이다.
상기 배터리 pack(660)은 탑재형 충전기(6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탑재형 충전기(610)의 하측에 배치하는 것은, 탑재형 충전기(610)에 의해 생성된 전력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원격제어장치는 차체내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체 내부 전면에 차체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이스틱으로 승용광리기가 자율조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된 상기 차체의 바퀴에 바퀴 승강이가 조절되도록 전동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설명하면, 상기 전동구동수단은 상기 차체에 구성되어 있는 배터리 pack(600)과 케이블로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이 전동구동수단에 가해지면 고정 링크가 원운동을 하게 되어 이동 링크에 의해 바퀴 승강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바퀴 승강이 조절은 조이스틱을 통한 제어로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수원 넓이가 다른 논, 밭 고랑을 다닐때 전동 구동되는 바퀴의 높낮이를 조이스틱으로 조절하여 자유자제로 다니게 된다.
이때, 모터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스프라켓이 회전함에 따라 모터의 토크를 동력축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스프라켓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동력축은 바퀴에 구성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을 제외한 운동이 구속된다.
동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동력축 양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류 베어링에 의해 승강바퀴가 회전하게 된다. 각각 3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있는 승강바퀴는 이의 중앙에 형성되어있는 체결부에 의해 동력축과 연결된다. 승강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바퀴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여 여성이나 고령작업자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전동 구동되는 바퀴의 높낮이 조절도 되어 과수원 넓이가 다른 논, 밭 고랑을 자유자제로 다닐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 살포시 사람이 탑승하지 않음으로 바람으로 인한 인체의 농약중독 피해를 예방하고, 밭갈이 등 작업시 뒤로 또는 좌우 고개를 돌려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등 인체에 무리가 되지 않게 되어 작업용이성을 갖추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0 : 무선원격제어장치
610 : 탑재형 충전기
620 : 통합제어기
630 : DC-DC 컨버터
640 : 작업용 인버터
650 : 주행용 인버터
660 : 배터리 pack

Claims (3)

  1. 승용관리기에 있어서,
    차체내부에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되어 조이스틱으로 자율조정이 가능한,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원격제어장치는 탑재형 충전기, 통합제어기, DC-DC 컨버터, 작업용 인버터, 주행용 인버터, 배터리 pack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원격제어장치가 연결된 상기 차체의 바퀴에 바퀴 승강이가 조절되도록 전동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KR1020220022695A 2022-02-22 2022-02-22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KR20230125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95A KR20230125895A (ko) 2022-02-22 2022-02-22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95A KR20230125895A (ko) 2022-02-22 2022-02-22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895A true KR20230125895A (ko) 2023-08-29

Family

ID=8780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695A KR20230125895A (ko) 2022-02-22 2022-02-22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8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63B1 (ko) 2011-08-16 2013-03-05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차동 제어장치
KR101248010B1 (ko) 2011-04-07 2013-03-27 대한민국 농작업 관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010B1 (ko) 2011-04-07 2013-03-27 대한민국 농작업 관리기
KR101239063B1 (ko) 2011-08-16 2013-03-05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차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0467B1 (en) Working vehicle
US5092422A (en) Multipurpose agricultural tractor
AU2021202363B2 (en) Outdoor Power Equipment Vehicle Adapted for Performing Work Operations on Turf Surfaces
US11104009B2 (en) Movement device provided with cylindrical rotating bodies
JP2016016793A (ja) 電動クローラ式運搬車
JP2011155938A (ja) 遠隔操作式農業用トラクター
KR20200140953A (ko) 자율주행식 무인방제차량의 분사장치
KR102389381B1 (ko) 주간조간제초유닛부를 포함하는 제초 로봇
KR20230125895A (ko)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CN211792858U (zh) 插秧机
CN109220029A (zh) 一种大跨度多功能农机装备
KR101876287B1 (ko)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반차
KR102197303B1 (ko) 이동형 리프터
CN207869629U (zh) 一种设施农业用可拆分履带式智能电动多功能作业机
KR101493153B1 (ko) 농업용 작업기
CN207476175U (zh) 一种多功能电动农用一体机
KR200224977Y1 (ko)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US3166140A (en) Powered garden tillage implement
US20230148466A1 (en) Self-propelle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JP2019024402A (ja) 草刈り機及び草刈り方法
KR101224022B1 (ko) 시설 저상작목의 수확이동 편이 전동카
JP2002084859A (ja) 乗用型茶園管理装置
JP2554253Y2 (ja) 移動農機の作業機操作装置
JP7323957B2 (ja) 自走式作業機及び自走式作業機の制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