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010B1 - 농작업 관리기 - Google Patents

농작업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010B1
KR101248010B1 KR1020110032036A KR20110032036A KR101248010B1 KR 101248010 B1 KR101248010 B1 KR 101248010B1 KR 1020110032036 A KR1020110032036 A KR 1020110032036A KR 20110032036 A KR20110032036 A KR 20110032036A KR 101248010 B1 KR101248010 B1 KR 10124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ight
work machine
pow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497A (ko
Inventor
이충근
최덕규
이채식
강태경
전현종
곽태용
김성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3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0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재배양식과 작업종류가 다양한 밭작물의 재배 환경에 따른 다양한 작업기를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가 개시된다. 상기 농작업 관리기는 본체부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상기 엔진과 PTO 클러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 1 동력 취출수단;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속도와 동기화시켜 전달하는 제 2 동력 취출수단;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작업기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기로부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작업 관리기{MANAGEMENT APPARATUS FOR FARM WORKING}
본 발명은 농작업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류, 채소 등과 같은 밭작물 재배지에서 필요한 농작업인 경운, 정지, 비닐멀칭, 파종, 농약살포, 비료살포, 제초 등의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류, 채소 등과 같은 밭작물 재배지에서는 경운, 정지, 비닐 멀칭, 파종, 농약살포, 제초 등의 농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농업 기계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밭작물 재배지에서 필요한 농작업을 하기 위한 경운장치, 정지장치, 비닐 멀칭장치, 파종장치, 농약 살포장치, 제초 장치 등과 같은 작업기가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써 밭작물 재배지에서 필요한 농작업이 기계화율을 향상시켜 농가소득 증대 및 안정적인 재배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기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함으로써 제작상의 편의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동력 발생수단이 작업기 자체에 구비되지 않도록 제작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기를 사용하여 밭작물 재배지에서 필요한 농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기를 연결하여 상기 작업기를 주행시킴과 동시에 작업기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농작업 관리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 작업기들 중 경운, 정지, 비닐멀칭, 비료살포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는 통상 농작업 관리기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동력이 전달되거나 차단되어야 한다. 또한, 파종이나 이식 등과 같은 정밀 농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는 농작업 관리기의 주행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파종이나 이식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농작업 관리기의 주행속도와 작업속도가 동기화 되어야만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상기 경운, 정지, 비닐멀칭, 비료살포 등과 같은 농작업과 파종이나 이식 등과 같은 정밀 농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농작업 관리기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작업기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와, 주행속도와 동기화시켜 작업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농작업 관리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배양식과 작업종류가 다양한 밭작물의 재배 환경에 따른 다양한 작업기를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기를 탈착할 수 있으며, 작업기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파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작업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기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작업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는 본체부에 탑재되는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 클러치와 변속기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달받아 상기 본체부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상기 엔진과 PTO 클러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 1 동력 취출수단;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속도와 동기화시켜 전달하는 제 2 동력 취출수단;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작업기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기로부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엔진; 상기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차단 또는 전달하는 변속기 클러치; 상기 변속기 클러치와 연결되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륜;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는 차동장치; 및 상기 차동장치와 동력 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후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작업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링크; 상기 작업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 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브래킷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 브래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작업기와 완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구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업 관리기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수단; 및 상기 높이 감지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 감지수단은,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부 하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높이 감지부재; 및 상기 높이 감지부재 및 높이 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가 감지한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감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면과의 접촉 시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부재; 및 상기 높이 감지수단과 연결되도록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된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견인부재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작업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재 및 실린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농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이 더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농작업 관리기는, 제 1, 2 동력 취출수단과 같은 트윈 형태의 동력 취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한 대의 농작업 관리기만을 가지고도 재배양식과 작업종류가 다양한 밭작물의 재배 환경에 따른 다양한 작업기를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다.
그리고, 3점식 연결수단과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기의 좌우 설치 위치의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기를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작업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적재 선반을 구비하여 파종용 씨앗, 비료 등 농자재를 적재한 상태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작업기의 관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체부의 파손 현상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동력 전달 손실이 적은 체인 방식에 의해 후륜에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4륜구동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서 경사지에서 선회 시 슬립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는 높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두둑이나 지면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작업기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특히 파종장치나 이식장치와 같은 작업기가 장착될 경우 두둑이나 지면의 높이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파종 깊이나 이식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작업기(마늘 파종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A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동력 전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작업기(마늘 파종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동력 전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는 본체부(10), 주행수단(11), 제 1 동력 취출수단(12), 제 2 동력 취출수단(13) 및 연결수단(14)을 포함한다.
상기 농작업 관리기(1)의 본체부(10)에는 상기 주행수단(11)의 주행 방향을 조종하는 스티어링 휠(100)과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101)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후방부 즉, 주행수단(11)의 후륜(116) 측에 작업기(20)가 설치되는 특성상 주행수단(11)의 전륜(113) 부담 하중보다 후륜(116) 부담 하중이 큼으로써 주행성과 직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복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전방부에 웨이트(도시되지 않음)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주행수단(11)은 상기 본체부(10)에 탑재되는 엔진(110)의 동력을 변속기 클러치(111)와 변속기(111)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달받아 상기 본체부(10)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행수단(1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주행수단(11)은 엔진(110), 변속기 클러치(111), 변속기(112), 전륜(113), 차동장치(114), 동력 전달부재(115) 및 후륜(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110)은 본체부(10)에 탑재된다. 상기 변속기 클러치(111)는 상기 엔진(110)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변속기(112)로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변속기(112)는 상기 변속기 클러치(111)와 연결된다. 상기 전륜(113)은 상기 변속기(112)와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차동장치(114)는 상기 변속기(112)와 연결되어 후륜 구동축의 속도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본체부(10)가 선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륜(116)은 상기 차동장치(114)와 기어부(115a) 및 체인(115b)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재(11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차동장치(114)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엔진(10)의 동력이 전륜(113)뿐만 아니라 후륜(116)에도 전달되도록 하여 4륜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수단(11)은 차동장치(114)와 연결되는 기어부(115a)를 체인(115b)로 연결함으로써 기어부(115a)로부터 후륜(116)으로 전달되는 동력전달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주행수단(11)은 4륜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후륜(116)으로 체인(115b)을 통해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특히 경사지에서 선회 시에 후륜(116)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동력 취출수단(12)은 상기 엔진(110)과 PTO(Power take off) 클러치(1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PTO 클러치(120)에 의해 엔진(11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주행수단(11)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동력 취출수단(12)은 상기 변속기 클러치(111)와는 별도로 독립된 PTO 클러치(120)에 의해 엔진(1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행수단(11)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동력 취출수단(12)의 동력을 작업기(20)로 전달하는 동력 취출축(15)으로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독립형 동력 취출수단이다. 상기 제 1 동력 취출수단(12)은 예를 들면 경운장치, 정지장치, 비닐멀칭 장치, 비료 살포장치, 농약 살포장치 등과 같은 작업기가 본체부(10)에 연결될 시에 상기 작업기(20)와 동력 취출축(15)을 통해 연결되어 엔진(110)의 동력을 주행수단(11)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작업기에 전달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 2 동력 취출수단(13)은 상기 변속기(11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상기 주행수단(11)의 주행속도와 동기화시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동력 취출수단(13)은 상기 주행수단(11)의 주행속도와 동력 취출축(15)의 회전속도가 비례하도록 상기 변속기(11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력 취출축(15)의 1 회전당 주행수단(11)의 주행거리는 변속 단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상기 제 2 동력 취출수단(13)은 주행수단(11)의 주행속도와 작업기의 작업속도를 동기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종장치나 이식장치 등과 같은 정밀 농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기가 본체부(10)에 연결될 시에 상기 작업기(20)와 동력 취출축(15)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변속기(112)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업 관리기(1)는 파종장치나 이식장치와 같은 작업기(20)와 제 2 동력 취출수단(13)에 의해 연결될 경우에는 주행수단(11)의 주행속도가 변경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이나 이식작업을 할 수 있어 파종이나 이식작업의 안정적인 기계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수단(14)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작업기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기로부터 본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14)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수단(14)은 상기 본체부(10)와 작업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되는 높이 조절수단(17)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링크(140)와, 상기 작업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141)와, 상기 제 2 링크(14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완충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수단(14)은 본체부(10)와 작업기(2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링크(140)와 상기 본체부(10)와 작업기(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 2 링크(141)를 포함하여 3점식으로 작업기(20)를 본체부(10)에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링크(14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링크(141)는 상기 작업기(20)와 완충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구(141a)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 양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연결구(141a)의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작업기(20)와 완충부재(142)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구(141a)를 서로 연결하는 몸체부(141b)로 구성되어 암나사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한 쌍의 연결구(141a)의 깊이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링크(141)는 상기 작업기(20)와 완충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구(141a)와, 양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구(141a)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작업기(20)와 완충부재(142)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구(141a)를 서로 연결하는 몸체부(142b)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구(141a)에 형성된 암나사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부(141b)의 깊이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42)는 상기 제 2 링크(14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142a)과,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된 슬라이딩 가이드(142b)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142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142c)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2b)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더(142c)의 타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더(142c)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2d)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브래킷(142a)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 홈(142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141)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 브래킷(142a)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1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업 관리기(1)가 주행하다 정지하게 될 경우 상기 농작업 관리기(1)에 연결된 작업기(20)의 관성에 의해 농작업 관리기(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농작업 관리기(1)가 주행하다 정지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농작업 관리기(1)가 정지한다 하더라도 상기 농작업 관리기(1)에 연결된 작업기(20)는 관성력에 계속적으로 주행하려는 성질을 가짐으로써 상기 작업기(20)의 관성력이 제 2 링크(141)를 통해 연결 브래킷(142a)에 전달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142a)을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연결 브래킷(142a)에 의해 슬라이더(142c)가 슬라이딩 가이드(142b)를 따라 본체부(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42c)에 의해 탄성부재(142d)가 압축됨으로써 작업기(20)에 의해 본체부(10)가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높이 감지수단(16)과 높이 조절수단(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수단(16)은 상기 본체부(10)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 감지수단(16)은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 하부에 탄성부재(160)에 의해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높이 감지부재(161)와, 상기 높이 감지부재(161) 및 높이 조절수단(17)과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161)가 감지한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수단(17)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감지부재로(161)는 상기 탄성부재(160)에 의해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상기 지면과의 접촉 시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들은 탄성부재(160)에 의해 본체부(10)에 장착된 설치부재(16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62)로는 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동부재(162)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설치부재(161a)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후술되는 높이 조절수단(17)의 실린더(170)를 작동시키는 유량 조절밸브(171)와 연결되어 지면, 특히 두둑의 높이에 따라 상기 롤러가 설치된 설치부재(161a)가 상하 이동되면 상기 설치부재(161a)의 높이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밸브(171)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실린더(17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절수단(17)은 상기 높이 감지수단(16) 및 상기 연결수단(14)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 감지수단(16)에 의해 감지된 지면, 즉 두둑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14)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작업기(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 조절수단(17)은 상기 연결수단(14), 즉 한 쌍의 제 1 링크(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견인부재(172)와, 상기 높이 감지수단(16)의 작동부재(162)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부재(17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16)에 의해 감지된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162)에 의해 작동되어 견인부재(172)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작업기(20)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실린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수단(17)은 상기 견인부재(172) 및 실린더(17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62)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170)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유압 실린더(170)가 사용됨에 따라 높이 조절수단(17)은 상기 한 쌍의 유압 실린더(170)와 높이 감지수단(16)의 작동부재(162)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162)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170)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밸브(171), 상기 유량 조절 밸브(171)와 연결되는 유압 펌프(174), 상기 유압 펌프(174)와 연결되며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되는 유압 탱크(175), 상기 유압 펌프(174)와 유량 조절밸브(171) 사이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작업 관리기(1)는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농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1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적재 선반(18)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19)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가이드(19)는 본체부(10)에 작업기(20)를 부착할 시에 작업기(20)의 좌우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9)에 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늘 파종기와 같은 작업기(20)의 배종장치(200)와 파종장치(210)가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트윈 형태의 제 1 동력 취출수단(12)과 제 2 동력 취출수단(13)을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그러므로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유리한 경운장치, 정지장치, 비닐 멀칭장치, 비료 살포장치, 농약 살포장치 등과 같은 작업기(20)에는 농작업 관리기(1)의 동력을 제 1 동력 취출수단(12)을 통해 전달하여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작업기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작업속도가 동기화 되어야 유리한 정밀 농작업을 할 수 있는 파종장치나 이식장치 등과 같은 작업기에는 농작업 관리기(1)의 동력을 제 2 동력 취출수단(13)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기(20)가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동기화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는(1) 한 대의 농작업 관리기(1)만을 가지고도 재배양식과 작업종류가 다양한 밭작물의 재배 환경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20)를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항상 일정한 파종간격이나 이식간격을 유지해야만 하는 파종장치나 이식장치가 연결될 경우 상기 파종장치나 이식장치가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동기화되어 파종 또는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 2 동력 취출수단(15)을 통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농작업 관리기(1)의 주행속도와 관계없이 파종간격이나 이식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본체부(10)에 작업기(2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링크(140)와 본체부(10)에 작업기(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링크(141)를 포함하는 3점식 연결수단(14)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밭작물 작업기(20)를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3점식 연결수단(14)을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으로 2점식 또는 3점식의 연결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밭작물 작업기(20)를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본체부(10)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19)가 더 설치됨으로써 작업기(20)의 좌우 설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기(20)를 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연결수단(14)에 완충부재(142)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농작업 관리기(1)와 작업기(20)의 주행속도 편차에 따른 관성력에 의한 작업기(20)로부터 농작업 관리기(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기(20)로부터 농작업 관리기(1)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농작업 관리기(1)가 파손되는 현상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엔진(110)의 동력이 변속기(112)를 통해 전륜(113)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변속기(112)의 동력이 차동장치(114)와 동력 전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인식 동력 전달부재(115)를 순차적으로 통해 후륜(116)에까지 전달되는 4륜 구동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경사지가 많이 산재할 뿐만 아니라 작업 조건이 매우 열악한 밭작물 재배지의 특성상, 특히 경사지에서 선회 시 후륜(116)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슬립 현상을 방지하여 열악한 환경의 밭작물 재배지에서도 안전한 작업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높이 감지수단(16)에 의해 감지된 두둑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수단(17)이 작동되어 작업기(20)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파종장치나 이식장치와 같은 작업기(20)를 연결할 경우에는 두둑의 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파종 깊이나 이식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관리기(1)는 본체부(10)에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18)을 구비하여 파종용 씨앗, 비료 등 농자재를 적재한 상태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주행수단
(12) : 제 1 동력 취출수단 (13) : 제 2 동력 취출수단
(14) : 연결수단 (15) : 동력 취출축
(16) : 높이 감지수단 (17) : 높이 조절수단
(18) : 적재선반 (19) : 가이드

Claims (15)

  1. 본체부를 주행시키는 주행수단;
    상기 주행수단의 엔진과 PTO 클러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과 정지에 관계없이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 1 동력 취출수단;
    상기 주행수단의 변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상기 주행수단의 주행속도와 동기화시켜 전달하는 제 2 동력 취출수단;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상기 작업기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기로부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탑재되는 엔진;
    상기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을 차단 또는 전달하는 변속기 클러치;
    상기 변속기 클러치와 연결되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륜;
    상기 변속기와 연결되는 차동장치; 및
    상기 차동장치와 동력 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후륜;을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작업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링크;
    상기 작업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 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래킷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 브래킷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작업기와 완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구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수단; 및
    상기 높이 감지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수단은,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부 하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되어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높이 감지부재; 및
    상기 높이 감지부재 및 높이 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가 감지한 지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면과의 접촉 시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부재; 및
    상기 높이 감지수단과 연결되도록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견인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된 지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견인부재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작업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재 및 실린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작업 관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농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 선반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부착 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관리기.
KR1020110032036A 2011-04-07 2011-04-07 농작업 관리기 KR10124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36A KR101248010B1 (ko) 2011-04-07 2011-04-07 농작업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36A KR101248010B1 (ko) 2011-04-07 2011-04-07 농작업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497A KR20120114497A (ko) 2012-10-17
KR101248010B1 true KR101248010B1 (ko) 2013-03-27

Family

ID=4728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36A KR101248010B1 (ko) 2011-04-07 2011-04-07 농작업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333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자유 전환이 가능한 승용 관리기
KR20230125895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에이치비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69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농산물 수확기용 견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235B2 (ja) * 1989-06-08 1997-08-06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車
JP2001315541A (ja) * 2000-05-09 2001-11-1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走行作業車の動力取出構造
JP2006109802A (ja) * 2004-10-18 2006-04-27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00011229U (ko) * 2009-05-08 2010-11-17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235B2 (ja) * 1989-06-08 1997-08-06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車
JP2001315541A (ja) * 2000-05-09 2001-11-1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走行作業車の動力取出構造
JP2006109802A (ja) * 2004-10-18 2006-04-27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00011229U (ko) * 2009-05-08 2010-11-17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333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자유 전환이 가능한 승용 관리기
KR20230125895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에이치비 무선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승용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497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4187B2 (en) Agricultural apparatus with hydraulic cylinder and manifold for a row unit
US10362721B2 (en) Tillage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or implements to reduce compaction caused by wheels in a field
US7261048B1 (en) Parallel link trailing arm for seeders
EP2503869B1 (en) Down pressure adjustment assembly for a disc open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US8863676B2 (en) Twin-row multiple variety planter and method of use
US7412933B2 (en) Seeder with trailing arm and hoe-type mid row bander
US9439339B2 (en) Tillage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or implements to reduce compaction caused by wheels in a field
US20120272879A1 (en) Agricultural Implement Incorporating Disc Opener Apparatus
CN203027683U (zh) 一种与微耕机配套的玉米精量播种施肥机
US4333534A (en) Agricultural tool carrier
KR101248010B1 (ko) 농작업 관리기
CN113711734A (zh) 播种深度自适应式播种设备
US5347939A (en) Agricultural apparatus
JP6639853B2 (ja) 移植作業機
US4493272A (en) Agricultural planter with sled frame, vacuum dispensing and ground drive
JP6639852B2 (ja) 移植作業機の移植ユニット
KR20160118446A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CA2897413C (en) Clos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KR20180043103A (ko) 파종기
CN203167554U (zh) 播种机
US10779459B2 (en) Residue management tool for seeders
US2371037A (en) Seed planter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JP2017063704A (ja) 移植作業機
JPH09294406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