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686A -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686A
KR20230124686A KR1020237025087A KR20237025087A KR20230124686A KR 20230124686 A KR20230124686 A KR 20230124686A KR 1020237025087 A KR1020237025087 A KR 1020237025087A KR 20237025087 A KR20237025087 A KR 20237025087A KR 20230124686 A KR20230124686 A KR 20230124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phase
weight
silico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로디 샹프레동드
드 라 포테리 발레리 부샤르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23012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6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상 및 유성상을 포함하는 2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성상은 조성물 총 중량의 적어도 50 중량%에 나타내고, 상기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실리콘 오일 a) 및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일을 포함하며, 유성상의 밀도는 20℃에서 수성상의 밀도보다 높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에 의해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료 적용 및/또는 피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두 개의 상이한 상이 존재하여 새로운 시각적 외관을 가지며, 만졌을 때 끈적이는 느낌이 없고 분무(spraying) 가능한 것과 같이 우수한 적용 특성을 갖는, 관리(care) 또는 향료(fragrance) 용도를 위한 신규 2상 화장료 조성물(two-phase cosmetic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2상 형태의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및/또는 향료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산업에서는 예를 들어 투명한 연속상에 다양한 색상의 고체 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외관을 갖는 조성물과 같이 놀라운 효과를 생성하는 조성물을 항상 찾고 있다. 고체 스페로이드(solid spheroid)가 액상에 분산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 또한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조성물은 코아세르베이션 공정(coacervation process)에 의해 얻어지는, 코어가 액체이고 외벽이 고체인 캡슐을 포함한다.
2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평 계면상(horizontal interphase)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별개의 층을 가지며, 가벼운 상이 무거운 상 위에 위치한다. 가벼운 상은 일반적으로 오일로 구성되고 무거운 상은 주로 물로 구성된다. 하나의 상이 다른 상 위에 배열되는 것은 두 상 사이의 밀도 차이로 인한 것인데 오일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낮다(따라서, 유성상(oily phase)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무거운(조밀한) 상이 유성상인 종래 기술의 것과 상이한 2상 형태를 갖는 피부 관리 조성물 또는 향료 조성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성상은 하나 이상의 액체 비드(bead) 형태로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최종 화장료 조성물에 새로운 시각적 외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액체 비드가 상이한 밀도의 액상 내에 분산된 형태이고, 상기 비드(들)(bead(s))에는 외부 코팅, 특히 외부 고체 코팅이 없다.
종래의 2상 조성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흔들면 유성상(또는 지방상)이 액적 형태로 수성상(aqueous phase)에 분산되고, 혼합물은 수 분(5 내지 10분) 후에 그의 초기 형태로 되돌아가며, 용기 하부에 하나 이상의 비드 형태의 유성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다당류 겔화제(gelling agent)가 없고 결과적으로 매우 유동적(겔 형태가 아님)이라는 점에서 선행 기술의 2상 조성물과 상이하다. 따라서, 유성상과 수성상이 매우 미세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분무 가능해진다(분무에 의해 적용 가능함). 또한, 다당류 겔화제를 기반으로 하는 선행 기술의 조성물과 달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역적이며 교반 후 초기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관리(skin care) 또는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을 위한 새로운 시각적 외관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은 분무에 의해 화장용 활성제 및/또는 향료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경시 안정성이 있어야 하며, 기름기가 없고 끈적이지 않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은 또한 개선된 감각 성능,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수성상이 증발할 때 상쾌한 효과를 가지면서 유성상으로 진정 또는 방향 효과를 제공한다.
피부 관리 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활성제의 보다 나은 안정화를 유도하고, 상기 활성제는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된 오일의 혼합물과 조합될 때 거의 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료 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향료와 동등한 성능을 갖는 무알코올 제형을 얻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알코올의 사용은 알코올 사용과 관련된 과민증, 알레르기, 자극, 광과민증 및 안전성이라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위험 때문에 현재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필요한 계면활성제가 없거나 매우 적은 양이라는는 데 있는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후각(olfactory) 및 관능적(organoleptic)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안정 상태에서(at rest) 관찰되는 조성물의 2상 외관과 우수한 피부 허용성(skin tolerance)을 유지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한다.
발명의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수성상과 유성상을 포함하는 2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수성상은 조성물 총 중량의 적어도 50%를 나타내고, 상기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a) 및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유성상의 밀도는 20℃에서의 상기 수성상의 밀도보다 높다.
20℃에서 유성상의 밀도가 수성상의 밀도보다 더 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간단한 시험은 선택한 비율에 따른 두 상을 진탕시켜 혼합한 다음, 흔들기를 중단한 후 안정 상태(흔든 후 5 내지 10분)에서 서로에 대한 두 상의 거동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유성상이 이를 함유한 용기에 담긴 수성상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20℃에서 유성상의 밀도가 수성상의 밀도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2개의 비균질상(non-homogeneous phase), 바람직하게는 안정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수성상 및 유성상을 가진다. 이는 안정 상태에서 혼화될 수 없는 2개의 시각적으로 상이한 상(바람직하게는 수성상 및 유성상)을 포함하는 2상 형태일 수 있으며, 흔들면 쉽게 혼합되어 균질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흔드는 것울 중단하면 빠르게 상화되어 초기 상태로 회복된다(본 발명의 조성물의 가역적 특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2개의 시각적으로 상이한 중첩된 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명확한 계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연속상은 수성상이고, 유성상은 하나 이상의 구형 비드 형태 또는 난형 형태로 분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상 모두 투명하다. 에멀젼과 달리, 안정 상태에서 본 발명의 유성상은 수성상 전체에 걸쳐 균질하게 분산되지 않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의 바닥에만 분산된다. 분산된 지방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체되는 에멀젼과 달리, 본 발명의 2상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성상의 액적은 평형 상태에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기 바닥에서 분산된 형태(합체 없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 상태에서 관찰되는 조성물의 2상 외관과 조성물의 후각 및 관능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 중합체(emulsifying polymer)와 같은 유화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제 또는 유화 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 중합체와 같은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화합물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과 같이 -CH2CH(OH)CH2- 및 -OCH2CH2-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5개의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 계면활성제의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POE (10) 세틸 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또는 POE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의 축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디아민의 반응 생성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물, 폴리에톡실화 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화 중합체'라는 용어는 양친매성 중합체, 즉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부분이 부여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친수성 기 및 소수성 기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에멀젼을 형성하고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유화 친수성 중합체의 예로는 AMPS, 가교 또는 비가교, 폴리아크릴산/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특히 아크릴레이트/C10-C30-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에 기초한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화제, 보다 구체적으로 잔탄검, 겔란검, 구아검, 알기네이트 및 카라기난, 아가-아가 등과 같은 다당류 겔화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당류 겔화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당류 겔화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겔화제, 보다 구체적으로 다당류 겔화제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 형태, 즉 겔화되지 않은 형태이므로 분무 가능(분무에 의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수성상이 크게 우세하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잔량은 유성상의 중량%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수성상과 유성상의 배열은 두 상 사이의 밀도 차이에 기인한다. 따라서, 수성상의 밀도는 유리하게는 20℃에서 1.00 g.cm-3 이하이다. 유성상의 밀도는 유리하게는 20℃에서 1.00 g.cm-3 보다 크고, 보다 더 유리하게는 20℃에서 1.01 g.cm-3 보다 훨씬 더 크다. 유성상이 오일의 혼합물로 구성된 경우 밀도는 밀도계, 예를 들어 Anton Paar사제인 DMA 500 밀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성상의 밀도와 유성상의 밀도 간의 차이는 0.02 이하이다.
유성상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중량%,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중량%에 나타내고, 잔량은 수성상의 중량%에 나타낸다.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1.00 g.cm-3 보다 큰 밀도를 갖고, 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1.01 g.cm-3 보다 큰 밀도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 보다 유리하게는 1 내지 5개의 페닐기, 보다 더 유리하게는 5개의 페닐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디페닐 디메티콘(diphenyl dimethicone),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trimethyl pentaphenyl trisilox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이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CAS 번호: 3390-61-2 및 INCI 명: TRIMETHYL PENTAPHENYL TRISILOXANE)이다.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유리하게는 10/90 내지 80/20으로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오일 및/또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b)이다.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은 유리하게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에 가용성이다.
바람직한 제1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개의 페닐기를 갖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실리콘 오일 b)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닐 트리메티콘(CAS 번호: 218-320-6 및 INCI 명: PHENYL TRIMETHICONE),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CAS 번호: 352230-22-9 및 INCI 명: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제2 오일이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방향족 실리콘 오일 b)인 경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10/90 내지 50/50,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4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30/70으로 다양하다.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탄화수소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2개의 상이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 및 b)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게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5개의 페닐기를 갖고, 방향족 실리콘 오일 b)는 1, 2 또는 3개의 페닐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제2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로서, 식물성 기원(vegetable origin)의 탄화수소 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경우,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C4 내지 C24, 보다 바람직하게는 C6 내지 C12,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10 포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종의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은 호호바 오일(jojoba oil)(CAS 번호: 90045-98-0 및 INCI 명: 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림난테스 오일(Limnanthes oil)(CAS 번호: 153065-40-8 및 INCI 명: LIMNANTHES ALBA SEED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CAS 번호: 73398-61-5 및 65381-09-1 및 INCI 명: 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은 림난테스 오일(CAS 번호: 153065-40-8 및 INCI 명: LIMNANTHES ALBA SEED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S 번호: 73398-61-5 및 65381-09-1 및 INCI 명: 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S 번호: 73398-61-5 및 65381-09-1, INCI 명: 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혼합물이다.
유리하게는, 제2 오일이 탄화수소 오일인 경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80/20 내지 20/80,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3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35 내지 35/7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으로 다양하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진주(nacre)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안료(예를 들어, 진주 광택 효과를 갖는 소수성 안료)를 포함한다. 진주 및/또는 소수성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0.05 내지 2 중량%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시각적으로 서로 구별되는 2개의 상(2상 조성물), 즉 수성상 및 유성상 형태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측면에 따르면, 유성상은 수성상 내에 비혼화성인 비드(들) 형태일 수 있다. 유성상 비드(들)은 고체 캡슐이 아니다. 유성상 비드(들)은 외부 코팅이 없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관리용 및/또는 향료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보다 구체적인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활성제(cosmetic active agent)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활성제는 유리하게는 수성상 및 유성상 모두에 함유된다. 화장료 활성제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노화 방지 활성제, 보습제, 미백 효과가 있는 활성제 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화장료 활성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활성제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Lipochroman®-6(디메틸메톡시 크로마놀, CAS 번호: 83923-51-7) 또는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C의 에스테르화된 유도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활성제는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C의 에스테르화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보다 구체적인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향료 농축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향료 농축물은 유리하게는 유성상에 함유된다.
'향료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피부, 모발 또는 의복에 뿌리거나 적용한 후 개인에게 향내를 부여하기 위한 액체 형태의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제품은 적용 후 씻어내지 않는다.
조성물은 '방향 농축물(perfuming concentrate)'이라고도 하는 향료 농축물을 포함한다. 향료 농축물은 예를 들어 '향기'라는 명칭으로 판매용으로 제공되는 향료 조성물의 성분 목록에 INCI 명이 표시된 화합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향료 농축물은 실온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휘발성이며 냄새가 감지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에센셜 오일로 구성된 향료 농축물은 모든 후각적 잠재력, 즉 피부에 적용한 후 하루 동안 전개되는 지각을 발현하기 위해 반드시 희석되어야 하며, 이는 서로 매우 다른 휘발성을 가진 냄새 유기 화합물의 존재에 의해 좌우된다. 이 향료 농축물의 개발은 향료 조성물에 탑 노트(top note), 하트 노트(heart note) 및 베이스 노트(base note)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료 농축물은 바람직하게는 주로 탑 노트와 하트 노트로 구성된다.
향료 농축물은 천연 또는 합성 유기 향료 재료로 제조된다.
천연 기원의 향료 물질은 예를 들어 꽃, 줄기 및 잎 추출물, 과일 추출물, 과일 껍질 추출물, 뿌리 추출물, 나무, 허브 및 그래스 추출물, 수지 및 밤(balm)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베르가못, 장미, 라벤더, 샌달우드, 카다몬, 세이지, 카모마일, 정향, 레몬 밤, 민트, 계피 잎, 주니퍼, 베티버, 올리브, 갈바눔(galbanum) 및 랩다눔(labdanum) 에센스와 같은 에센셜 오일도 사용될 수 있다.
합성 기원의 향료 물질은 예를 들어 헤디온,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및 하바놀리드,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포르메이트, 제라닐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 벤질 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네이트, 알킬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 벤질 에틸 에테르, 탄소 원자수 8 내지 18의 선형 알칸알,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리록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알파-이소메틸 이오논과 같은 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제라니올, 리날룰, 페닐에틸 알코올, 테르피네올 및 테르펜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종종 2종 이상의 이들 냄새 물질의 혼합물 형태이다.
합성 기원의 향료 물질은 예를 들어 헤디온,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및 하바놀리드,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포르메이트, 제라닐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 벤질 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네이트, 알킬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 벤질 에틸 에테르, 탄소 원자수 8 내지 18의 선형 알칸알,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리록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알파-이소메틸 이오논과 같은 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제라니올, 리날룰, 페닐에틸 알코올, 테르피네올 및 테르펜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종종 2종 이상의 이들 냄새 물질의 혼합물 형태이다.
후각 노트는 보통 소비자가 어떤 지각을 기대하는지 알 수 있도록 제품군으로 분류된다. 시트러스 향, 아로마틱, 플로럴 향, 머스크, 과일 향, 향신료, 오리엔탈 향, 마린 향, 아쿠아틱 노트, 시프레 향, 우디 향, 페른(fern), 가죽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그 예이다.
향료 농축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질량으로 적어도 1%, 바람직하는 적어도 3%,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및 더 바람직하게는 중량으로 적어도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에 나타낸다.
향료 농축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예를 들어 7 내지 30 중량% 또는 10 내지 25 중량%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성분 이외에, 조성물은 착색제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화장료적으로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성분은 안정성 문제와 관련된 색상 변화 또는 흐릿한 외관을 유발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냄새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후각적 의미에서 중성이어야 한다.
착색제는 착색하고자 하는 상에 따라 수용성 또는 지용성일 수 있다. 착색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캐러멜(Caramel), 황색(Yellow) 5호, 애시드블루(Acid Blue) 9호/청색(Blue) 1호, 녹색(Green) 5호, 녹색 3호/패스트 그린(Fast Green) FCF 3호, 주황색(Orange) 4호, 적색 4호/식품 적색(Food Red) 1호, 황색 6호, 애시드레드(Acid Red) 33호/식품 적색 12호, 적색 40호, 코치닐 카민(cochineal carmine)(Cl 15850, Cl 75470), 엑스트라 바이올렛(Ext. Violet) 2호, 적색 6-7호, 페로시아나이드 철(Ferric Ferrocyanide), 울트라마린(Ultramarines), 애시드옐로우(Acid Yellow) 3호/황색 10호, 애시드블루 3호 및 황색 10호이다. 지용성 착색제의 예로는 수단 레드(Sudan Red), D&C 레드 17, D&C 그린 6, 베타-카로틴, 대두유, 수단 브라운(Sudan Brown), D&C 옐로우 11, D&C 바이올렛(Violet) 2, D&C 오렌지 5, 퀴놀린 옐로우(quinoline yellow) 및 안나토(annatto) 등이 있다. 착색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에 나타낸다.
항산화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디-tert-부틸-p-하이드록시톨루엔(BHT 또는 2,6-디-tert-부틸-p-크레솔이라고도 함), BHA(ter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비타민 E와 같은 토코페롤,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와 같은 토코페롤 유도체, 및 갈산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 수단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용기에 팩키징될 수 있다. 적용 수단은 분무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적용 수단 및 팩키징 수단과 함께 제공되고 앞서 설명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알(vial)이다. '바이알'이라는 용어는 병, 앰플, 피펫 등의 형태의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된다. 팩키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며, 그 자체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 수단은 수동 펌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어(sprayer)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압 장치에 의해 미세 액적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비-에어로졸 펌프 또는 '분사기', 추진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용기 및 압축 공기를 추진제로 사용하는 에어로졸 펌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대상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및/또는 향료 적용 방법이다:
i- 바람직하게는 바이알에 함유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진탕(shaking)시켜 수성상과 유성상을 혼합하는 단계, 및
ii- 단계 i의 말기에 얻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거나 탈지면(cotton wool)을 사용하여, 또는 분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단계.
이 과정은 피부 관리를 위한 과정 또는 개인의 피부 또는 모발에 향료를 적용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분무 수단에 의해 개인의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얼굴 또는 얼굴이 아닌 신체의 일부에 직접 적용된다.
상기 구성 외에도,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다음의 추가 설명으로부터 제시될 다른 구성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상이한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평가
아래 표 1에 제시된 다양한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수중 거동을 90/10 비의 수성상/유성상에서 연구하였다.
상표명 INCI 명 20℃에서 밀도 (g.cm-3).
Silshine 151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1.02
KF-54 HV 디페닐 디메티콘 1.07-1.11
KF-56A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0.99-1.005
Silshine 150 디페닐 디메티콘 1.02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1.092-1.099
PTM 30cst 페닐 트리메티콘 0.99
Belsil PDM-1000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 1.07
Belsil PDM-20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 > 1
수성상 중의 다양한 방향족 실리콘 오일은 다음 형태이다:
- Silshine 151: 연노란색의 납작한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 KF-54 HV: 유리벽에 달라붙는 투명하고 납작한 비드가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 KF-56A: 깨끗하고 오목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표면 상에 오일 위치(비드 형성 없음).
- Silshine 150: 투명한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 DOW CORNING PH-1555 HRI: 매우 납작한 투명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 PTM 30cst: 깨끗하고 오목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표면 상에 오일 위치(비드 형성 없음);
- Belsil PDM-1000: 유백색의 납작한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및
- Belsil PDM-20: 여러 개의 투명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
수성상에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여러 혼합물의 거동을 또한 상이한 비율로 평가하였다.
- 10/90, 20/80, 30/70, 40/60 및 50/50 비율의 Dow CORNING PH-1555 HRI/PTM 30cst 혼합물: 투명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PTM 30cst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드가 점점 납작해짐); 및
- 10/90, 20/80, 30/70, 40/60 및 50/50 비율의 Dow CORNING PH-1555 HRI/KF-56A 혼합물: 투명 비드가 바이알 바닥에 있는 안정 상태에서 2상(KF-56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드가 점점 납작해짐).
실시예 2: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일부 치환 시험
자연성(천연 기원의 성분 사용)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제형에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양의 일부를 감소시키면서 비드 형태의 시각적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새로운 시각적 외관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수성상 90 중량% 및 유성상 10 중량%를 포함하는 제형 A를 제조하였다. 제형 A의 밀도를 22℃의 온도에서 Anton Paar제인 DMA 500 밀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성상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오일 혼합물로 구성된다(중량%):
제형 A의 관찰:
제형 A에서, DOW CORNING PH-1555 HRI 오일의 일부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대체한 결과,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가진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두 오일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지방상이 투명하고 균일하게 유지된 후 용기 바닥에 비드 형태로 위치하였다.
실시예 3: 소수성 진주 및 안료와의 상용성
실시예 2의 제형 A를 고체 입자와 수성상 및 지방상과의 친화도 및 비드 형태의 지방상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이한 진주 입자 및 소수성 안료의 존재 하에 시험하였다.
표 3의 제형 A-1 내지 A-4를 제조하였다(중량%):
성분 제형
A-1
제형
A-2
제형
A-3
제형
A-4
A 물 (수성상) 89.5 89.5 89.5 89.9
B DOW CORNING PH-1555 HRI (유성상) 5.0 5.0 5.0 5.0
B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유성상) 5.0 5.0 5.0 5.0
C 실리카 함유 친수성 진주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및 산화주석) 0.5 - - -
C 무실리카 친수성 진주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주석) - 0.5 - -
C 소수성 처리된 진주광택 안료 (이산화티타늄 및 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 - 0.5 0.1
상 A는 수성상이다. 상 A를 교반하면서 균질화하였다.
상 B는 유성상이다. 상 B를 별도로 사전 분산시켰다.
상 C는 미분상이다. 상 C를 상 B에 분산시킨 다음 상 B와 C의 혼합물을 상 A에 첨가하였다.
A, B 및 C의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다양한 제형에 대한 관찰:
제형 A-1: 실리카를 함유한 친수성 진주가 유성상을 용기 바닥에 여러 중간 크기 진주광택 비드로 안정화시켰다.
제형 A-2: 실리카가 없는 친수성 진주 역시 마찬가지로 유성상을 용기 바닥에 여러 중간 크기의 진주광택 비드로 안정화시켰다. 약간의 황변이 관찰되었다.
제형 A-3: 소수성으로 처리된 진주광택 안료 입자는 유성상에 의해 완전히 습윤되어 단일 진주광택 비드 형태로 남았다. 안료 입자는 유성상에 의해 형성된 비드의 내부 계면상에 침착되고 이 상을 수성상으로부터 보호하였다. 용기 바닥에 과량의 진주광택 안료가 관찰되었다.
제형 A-4: 제형 A-3과 유사한 제형을 소량의 소수성으로 처리된 진주광택 안료로 제조하였다. 단일 진주광택 비드를 얻었으며, 모든 안료 입자는 용기 바닥에 침전물 없이 수성상과 유성상의 계면상에 배치되었다.
실시예 4: 여러 무지갯빛 비드를 갖는 관리 조성물의 제형.
표 4의 조성에 해당하는 여러 무지갯빛 비드를 갖도록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표명 INCI 명 %
A PURIFIED WATER Aqua qs 100
A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 0.50
A 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 3.00
A - 소르브산칼륨 0.24
A CITRIC ACID MONOHYDRATE 시트르산 0.005
A TRISODIUM CITRATE 2H2O 벤조산나트륨 0.12
A 96.2% VOL ALCOHOL 알코올 3.00
A PURIFIED WATER Aqua 1.00
A OLIGO HA 히알루론산 0.01
B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2.00
B KF-56A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8.00
C CONTEXTURAL 2863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및) 산화주석 0.10
  100
상 A는 수성상이다. 상 A를 교반하면서 균질화하여 염과 방부제가 잘 용해되도록 하였다.
상 B는 유성상이다. 상 B를 별도로 사전 분산시켰다.
상 C는 미분상이다. 상 C를 상 B에 분산시켰다.
상 B와 C의 혼합물을 상 A에 첨가하였다.
A, B 및 C의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얻어진 관리 조성물을 분무 장치가 장착된 바이알에 팩키징하였다. 안정 상태에서, 조성물은 2상 조성물의 형태이고, 상기 두 투명한 비혼화성 상은 시각적으로 구별되며, 여러 무지갯빛 비드로 이루어진 유성상이 바이알의 바닥에 위치하였다.
조성물을 균질화하기 위해 손으로 흔든 후 관리 조성물을 피부 상에 분무하였다.
적용 완료 후, 조성물을 수 분간 팩키징에 방치하였다. 바이알 바닥에 여러 개의 비드 형성이 또 다시 빠르게 관찰되었다.
초기 상태로 돌아가는 본 발명의 2상 조성물의 가역성은 특히 사용자에게 피부 상에 산뜻하고 기분 좋은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놀라운 일이다.
수분 시험:
이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대한 그의 보습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Courage & Khazaka SN 'NUM_SERIE'사에 의해 공급되는 CORNEOMETER CM825 장치를 사용하여 수분측정기(corneometry)로 수화를 측정하였다.
각질층(stratum corneum)의 수화를 측정하는 방법은 피부 표면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전극을 사용하여 표피 상층의 수화 상태에 의해 유도된 유전 상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이 주제에 대해서는 E. Berardesca에 의한 논문, EEMCO guidance for the assessment of stratum corneum hydration: electrical methods - Skin Research 및 Technology 1997; 3: 126-132 참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분무 장치가 장착된 투명한 바이알에 팩키징하였다.
바이알을 손으로 진탕시켜 2상 조성물을 균질화하고 조성물을 지원자의 팔뚝에 분무하였다. 적용된 양은 피부 ㎠당 2 μL에 나타낸다. 그런 다음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팔뚝에 고정시킨, 금속 링을 적용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하여 적용 영역을 마찰로부터 보호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전,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6시간 후, 측정 수행 전에 마찰 방지 보호제를 제거한 후 15분의 안정화 기간이 경과한 후에 적용 부위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잔막을 적용 부위에서 닦아냈다.
T0 및 T+6h에서의 측정 간 수화 변화를 전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편차는 다음과 같다:
- T+6h에서의 수화 = +29%.
이러한 결과는 적용 6시간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당한 보습 효과를 입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관리에 특히 유리하다.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화도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분무한 후 산뜻하고 가벼운 효과를 가져왔다.
실시예 5: 단일 투명 비드를 갖는 관리 조성물의 제형
표 5의 조성에 상응하는 단일 투명 비드를 갖도록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표명 INCI 명 중량%
A PURIFIED WATER Aqua qs 100
A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 0.50
A 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 3.00
A CHLORPHENESIN 클로르페네신 0.27
A CITRIC ACID MONOHYDRATE 시트르산 0.002
A TRISODIUM CITRATE 2H2O 시트르산나트륨 0.08
A 96.2% VOL ALCOHOL 알코올 3.00
A PURIFIED WATER Aqua 1.00
A OLIGO HA 히알루론산 0.01
B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2.00
B KF-56A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8.00
  100
상 A는 수성상이다. 상 A를 교반하면서 균질화하였다.
상 B는 유성상이다. 상 B를 별도로 사전 분산시켰다.
그런 다음 상 B를 상 A에 첨가하고 이어 혼합물을 교반하고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얻어진 관리 조성물을 분무 장치가 장착된 바이알에 팩키징하였다. 안정 상태에서 조성물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두 투명한 비혼화성 상으로, 유성상이 유리병 바닥에 위치한 단일 투명 비드로 구성된 2상 조성물의 형태이다.
조성물을 손으로 진탕시켜 균질화한 후 관리 조성물을 피부 상에 분무하였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미세한 액적 형태로 피부 상에 분무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면 산뜻하면서 가벼운 느낌을 주는 동시에 피부 관리용 활성제를 포함하는 막을 피부에 남겼다.
수 분간 방치 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이알 바닥에 비드 형태의 유성상이 있는 초기 상태로 돌아갔다.
실시예 6: 단일 진주광택 비드를 갖는 관리 조성물의 제형.
표 6의 조성에 해당하는 단일 진주광택 비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표명 INCI 명 중량%
A PURIFIED WATER Aqua qs 100
A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 0.50
A 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 3.00
A CHLORPHENESIN 클로르페네신 0.27
A CITRIC ACID MONOHYDRATE 시트르산 0.002
A TRISODIUM CITRATE 2H2O 시트르산나트륨 0.08
A 96.2% VOL ALCOHOL 알코올 3.00
A PURIFIED WATER Aqua 1.00
A OLIGO HA 히알루론산 0.01
B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2.00
B KF-56A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8.00
C COVAPEARL RED AS 이산화티타늄 (및) 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0.10
  100
상 A는 수성상이다. 상 A를 교반하면서 균질화하였다.
상 B는 유성상이다. 상 B를 별도로 사전 분산시켰다.
상 C는 미분상이다. 상 C를 상 B에 분산시켰다.
상 B와 C의 혼합물을 상 A에 첨가하였다.
A, B 및 C의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얻어진 관리 조성물을 분무 장치가 장착된 바이알에 팩키징하였다. 안정 상태에서 조성물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두 투명한 비혼화성 상으로, 유성상이 바이알 바닥에 위치한 단일 진주 광택 비드로 구성된 2상 조성물의 형태이다.
조성물을 손으로 진탕시켜 균질화한 후, 관리 조성물을 얼굴의 피부 상에 분무하여 적용 시 보습 효과와 함께 산뜻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상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 수 분이 지나면 재형성되었고, 연속 수성상으로 채워진 바이알의 바닥에서 시각적으로 진주광택 비드 형태였다.
실시예 7: 방향족 실리콘 오일 및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형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일부를 탄화수소 오일, 본 경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로 대체한, 표 7의 조성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표명 INCI 명 %
A PURIFIED WATER Aqua qs 100
A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 0.50
A VEGETABLE GLYCEROL 글리세린 3.00
A CITRIC ACID MONOHYDRATE 시트르산 < 0.0
A - 벤조산나트륨 0.10
A - 소르브산칼륨 0.20
A OLIGO HA 히알루론산 0.20
B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5.00
B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5.00
C CONTEXTURAL 2863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및) 이산화티타늄 (및) 실리카 (및) 산화주석 0.10
  100
상 A는 수성상이다. 상 A를 교반하면서 균질화하였다.
상 B는 유성상이다. 상 B를 별도로 사전 분산시켰다.
상 C는 미분상이다. 상 C를 상 B에 분산시켰다.
상 B와 C의 혼합물을 상 A에 첨가하였다.
A, B 및 C의 혼합물을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얻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바이알 바닥에 비드 형태의 유성상 및 그 위에 수성상이 있는 2상 형태이며, 실시예 8의 조성물은 또한 분무에 의해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의 일부가 탄화수소 오일로 대체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새로운 시각적 외관과 분무를 통한 적용 용이성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8: 민감성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형
활성제가 일반적으로 빠르게 분해되는 매질인 물 또는 공기에 민감한 활성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된 활성제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즉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NIKKOL® VC IP)였다.
활성제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성상 뿐만 아니라 방향족 실리콘 오일 a) 및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이 없는 대조 조성물에 아래 표 8 및 9에 표시된 비율(중량%)로 첨가하였다:
상표명 INCI 명 %
A PURIFIED WATER Aqua qs 100
A RONACARE 벤질 알코올 0.50
A SYMSAVE H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A NIKKOL® VC IP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3.50
B DOW CORNING PH-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8.00
B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4.50
  100
표 8의 조성물의 대조 조성물은 다른 성분은 동일하지만 오일이 없다(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비함유).
본 발명의
조성물
대조 조성물
방향족 실리콘 오일 a)
(DOW CORNING PH 1555 HRI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
15 -
방향족 실리콘 오일 b)
(KF-56A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5 -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NIKKOL® VC IP) 15
방부제 1.5
qs 100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대조 조성물을 40℃의 오븐에서 15일 동안 보관하였다.
조성물 중 활성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의 분석을 T0 및 T+15일에 수행하였다.
표 8의 조성물 및 상응하는 대조 조성물에 대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T0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3.5 중량% 및 대조군 조성물의 경우 2.9 중량%; 및
- T+15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3.17 중량% 및 대조군 조성물의 경우 0.32 중량%.
표 9의 조성물에 대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T0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15.0 중량% 및 대조군 조성물의 경우 14.2 중량%; 및
- T+15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14.7 중량% 및 대조군 조성물의 경우 5.2 중량%.
분석 결과 방향족 실리콘 오일이 없는 대조군 조성물에서 활성제가 강하게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유성상에 용해된 활성제가 바이알의 바닥에 위치하여 물 및 공기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므로 활성제의 분해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29)

  1. 수성상(aqueous phase) 및 유성상(oily phase)을 포함하는 2상 화장료 조성물(two-phase cosmetic composition)로서, 상기 수성상은 조성물 총 중량의 적어도 50 중량%를 나타내고,
    - 상기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a) 및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일을 포함하고;
    - 상기 유성상의 밀도는 20℃에서의 상기 수성상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미만의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 중합체(emulsifying polymer)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미만의 다당류 겔화제(gelling agent)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당류 겔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상의 밀도는 20℃에서 1.00 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상의 밀도는 20℃에서 1.00 g.cm-3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20℃에서 1.01 g.cm-3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상의 밀도와 유성상의 밀도 간의 차이는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의 밀도는 20℃에서 1.00 g.cm-3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20℃에서 1.01 g.cm-3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페닐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의 페닐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는 디페닐 디메티콘(diphenyl dimethicone), 트리메틸실록시페닐 디메티콘(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trimethyl pentaphenyl trisiloxane) 및 이들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 펜타페닐 트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및/또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페닐 트리메티콘, 디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를 갖는 방향족 실리콘 오일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은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식물성 기원(vegetable origin)의 탄화수소 오일은 호호바 오일(jojoba oil), 림난테스 오일(Limnanthes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식물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caprylic/capric)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10/90 내지 80/20으로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 오일이 방향족 실리콘 오일 b)인 경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10/90 내지 50/50,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4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내지 30/70으로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제2 오일이 탄화수소계 오일인 경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기 방향족 실리콘 오일 a)와 상이한 제2 오일 간의 비율은 80/20 내지 20/80,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3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35 내지 35/7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으로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진주(nacre)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진주 및/또는 소수성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의 0.05 내지 2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정 상태에서(at rest) 시각적으로 서로 구별되는 수성상 및 유성상의 두 비균질상(non-homogeneous phas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성상은 수성상 내에서 비혼화성인 비드(들)(bead(s))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유성상 비드(들)은 외부 코팅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피부 관리(skin care)용 및/또는 향료(fragrance)로서의,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26.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활성제(cosmetic active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Lipochroman®-6(디메틸메톡시 크로마놀, CAS 번호: 83923-51-7),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C의 에스테르화 유도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같은 비타민 C의 에스테르화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용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향료 농축물(fragrance concentr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28. 팩키징 수단(packaging means) 및 적용 수단(application means)을 포함하는 바이알(vial)로서, 상기 팩키징 수단은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고, 상기 적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어(spray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2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및/또는 향료 적용 방법:
    i -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진탕(shaking)시켜 수성상과 유성상을 혼합하는 단계, 및
    ii - 단계 i의 말기에 얻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거나 탈지면(cotton wool)을 사용하여, 또는 분무(spraying)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단계.
KR1020237025087A 2020-12-23 2021-12-17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KR20230124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14092 2020-12-23
FR2014092A FR3117800B1 (fr) 2020-12-23 2020-12-23 Composition cosmétique de soin ou de parfum sous forme bi-phasique
PCT/FR2021/052393 WO2022136782A1 (fr) 2020-12-23 2021-12-17 Composition cosmetique de soin ou de parfum sous forme bi-phas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686A true KR20230124686A (ko) 2023-08-25

Family

ID=7486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087A KR20230124686A (ko) 2020-12-23 2021-12-17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41711A1 (ko)
EP (1) EP4267079A1 (ko)
JP (1) JP2024501827A (ko)
KR (1) KR20230124686A (ko)
CN (1) CN116744887A (ko)
FR (1) FR3117800B1 (ko)
WO (1) WO20221367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977B2 (ja) * 2013-12-18 2020-01-22 ロレアル 低量のアルコールを含むピッケリングエマルションの組成物
EP2954935A1 (en) * 2014-06-12 2015-12-16 Coty Inc. Biphasic composition for perfume and personal care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KR102008275B1 (ko) * 2019-02-14 2019-08-07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00856A (zh) * 2020-07-21 2020-09-25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微油珠的护肤精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7800B1 (fr) 2023-08-25
EP4267079A1 (fr) 2023-11-01
US20240041711A1 (en) 2024-02-08
WO2022136782A1 (fr) 2022-06-30
CN116744887A (zh) 2023-09-12
FR3117800A1 (fr) 2022-06-24
JP2024501827A (ja)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3008B2 (en) Anhydrous delivery vehicle for cosmetic ingredients
BR112014001222B1 (pt) perfume
JP2007291031A (ja) 抗酸化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9966184A (zh) 一种悬浮油珠卸妆水及其制备方法
EP2324816A2 (fr) Composition parfumante aqueuse comprenant au moins un alcane lineaire volatil ; procede de parfumage
JP2003267822A (ja) 皮膚外用剤
EP3406238B1 (en)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material
KR20140072549A (ko)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EP1810664B1 (fr) Composition huileuse colorée
EP2954935A1 (en) Biphasic composition for perfume and personal care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JP6936075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230124686A (ko) 2상 형태의 화장료 관리 또는 향료 조성물
US20230172822A1 (en) Fragrant composition
JP2009203179A (ja) 皮膚外用剤
JPH01256587A (ja) 酸化防止剤組成物
FR3022772A1 (fr) Composition parfumante amelioree
KR101117371B1 (ko) 아로마 조성물을 함유하여 식욕억제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718574B (zh) 含有亞油酸的組成物
Kol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SKIN CARE CREAM CONTAINING PUNICA GRANATUM, CARICA PAPAYA AND WITHANIA SOMNIFERA
JP201708188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355287A2 (en) Alcohol-free nanoemulsion perfume
RU2575778C2 (ru) Духи
JPH08225430A (ja) 香料組成物
JP2022127207A (ja) ベシクル分散物及び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