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064A -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064A
KR20230124064A KR1020237025335A KR20237025335A KR20230124064A KR 20230124064 A KR20230124064 A KR 20230124064A KR 1020237025335 A KR1020237025335 A KR 1020237025335A KR 20237025335 A KR20237025335 A KR 20237025335A KR 20230124064 A KR20230124064 A KR 20230124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height
furnace
blast furna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로 마츠나가
가즈히라 이치카와
고이치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4867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68503A1/ja
Publication of KR2023012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6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28Devices for monitoring the level of the me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보시부를 갖는 노체와, 상기 노체의 노 하부에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의 우구를 갖는 용광로에 있어서의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서, 우구 앞 압력에 대한 상기 보시부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본 발명은, 용광로에 있어서의 노 바닥부의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우구를 갖는 용광로 중 하나로 고로가 있다. 고로는, 철분을 많이 포함하는 광석과 코크스를 노정 (爐頂) 으로부터 장입하여, 공기나 순산소 등의 혼합 가스를 노 하부로부터 분사함으로써 제철을 실시하는 용광로이다. 고로 바닥부에는, 상기 방법에 의해 생성된 용선 찌꺼기가 저류되어 있고, 일정 주기로 출선공 (出銑孔) 으로 불리는 구멍으로부터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고로를 사용한 선철의 제조를 실시할 때, 계획된 선철의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고로를 트러블없이 안정적으로 조업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출선공을 뚫는 설비의 고장이나 노내 용선 찌꺼기의 유동성 악화 등이 원인으로, 용선 찌꺼기가 고로 바닥부에 과잉으로 저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가스 통기성의 악화나 용재 (溶滓) 에 의한 우구 폐색이 일어나, 최악의 경우, 생산 정지가 된다. 이와 같은 트러블을 피하기 위해서, 용광로의 조업에 있어서,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 높이의 계측을 목적으로 한 기술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노 하부에 3 개의 봉상의 전극을 찔러넣어, 이들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흐르는 전류를 계측함으로써, 용융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노 하부 송풍 압력과 샤프트 하부 압력의 차를 보시 가스량의 변동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노내 공극률과 용융물의 높이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기술은, 모두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 높이를 계측하는 기술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582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27809호
하타노 미치하루 외 2 명,「장입 방법, 노체 형상 및 탕면 형상의 고로 내 가스 흐름에 미치는 영향」, 철과 강, 제63년 (1977), 제2호, P217-226 이이다 마사카즈 외 2 명,「고로로부터의 용융물 배출 속도의 해석」, 철과 강, Vol. 95 (2009), No.4, P331-339 카시하라 유스케 외 4 명,「미소실 혼합 소괴 코크스가 고로 하부 통기성에 미치는 영향」, 철과 강, Vol. 102 (2016), No.12, P661-668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방법으로 용융물 높이를 계측하려면, 노내에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봉상의 전극, 전압 발생 장치,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계측하기 위한 전류 검출 장치 및 이들을 접속하는 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방법은, 이들 설비의 추가에 의해 선철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노 하부 송풍 압력과 샤프트 하부 압력의 차를 보시 가스량의 변동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노내 공극률과 용융물의 높이를 계측하고 있다. 그러나, 노 하부 송풍 압력 및 샤프트 하부 압력은, 노내 입자의 입경이나 입도 분포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또한, 노 하부 송풍 압력과 샤프트 하부 압력의 차와 보시 가스량의 변화량으로부터 구하고 있는 노내 공극률도, 노내 입자의 입경이나, 입도 분포에 의한 노내 압력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이와 같이, 노 하부 송풍 압력, 샤프트 하부 압력 및 노내 공극률이, 노내 입자의 입경이나 입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바, 특허문헌 2 에서는, 노내 입자의 입경이나 입도의 영향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의 높이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철의 제조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용융물의 높이를 높은 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는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검출된 용융물 높이를 사용하는 용광로의 조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보시부를 갖는 노체와, 상기 노체의 노 하부에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의 우구를 갖는 용광로에 있어서의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서, 우구 앞 압력에 대한 상기 보시부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2) (1) 에 기재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 검출된 용융물의 높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조업 액션 및 상기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조업 액션 중 적어도 1 개를 실시하는, 용광로의 조업 방법.
우구 앞 압력에 대한 보시부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는, 원료의 입경, 공극률 및 보시 가스량에 상관없이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당해 대응 관계를 사용한 본 발명에 관련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선철의 제조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 은, 고로 (10) 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용융물 높이와 압력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광로로서 고로를 사용하고, 당해 고로에 있어서의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은, 고로에 한정하지 않고, 노체의 하방에 복수의 우구를 갖고, 보시부를 갖는 용광로이면 적용할 수 있다.
도 1(a) 는, 고로 (10) 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A 부의 확대도이다. 고로 (10) 는, 노 본체 (20) 와 압력 센서 (12) 와 복수의 온도 센서 (14) 를 갖는다. 노 본체 (20) 는, 샤프트부 (22), 벨리부 (24), 보시부 (26) 및 하스부 (28) 로 구성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노체이다. 압력 센서 (12) 는, 보시부 (26) 의 상단에 형성된다. 또, 복수의 온도 센서 (14) 는, 보시부 (26) 의 높이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 복수 형성된다.
또, 하스부 (28) 에는, 고온의 열풍을 고로 내에 분사하는 우구 (16) 가 고로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우구 (16) 의 개수는, 예를 들어, 40 개이다. 또한 하스부 (28) 에는, 용선 (32) 및 용재 (34) 를 출선하는 출선공 (18) 이 고로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출선공 (18) 의 개수는, 예를 들어, 4 개이다.
이와 같은 고로 (10) 에서는, 고로 (10) 의 노정으로부터 광석과 코크스가 고로 내에 교대로 또한 층상으로 장입되어, 광석층 (36) 및 코크스층 (38) 을 형성시킴과 함께, 고로의 노 하부에 형성된 우구 (16) 로부터 열풍과, 미분탄 등의 환원재가 분사되어 용선 (32) 이 제조된다. 제조된 용선 (32) 및 용선 (32) 의 제조시에 부생되는 용재 (34) 는, 노 바닥부에 저류되어, 소정의 주기로 출선공 (18) 으로부터 출선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선 (32) 및 용재 (34) 를 합하여 용융물 (30) 로 기재한다.
이와 같은 고로 조업에 있어서,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 (30) 이 과잉으로 저류되면, 가스의 통기성의 악화나, 용재 (34) 에 의한 우구 (16) 의 폐색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정밀도로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 (30) 의 높이 (도 1 의 h) 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로 (10) 의 노 바닥부에 저류되는 용융물 (30) 의 높이가 높아지면, 용융물 (30) 의 액면으로부터 보시부 (26) 까지의 용적이 감소하므로, 우구 (16) 로부터 열풍이 분사된 직후의 우구 앞 압력에 대한 보시부 내압의 압력 손실이 변화한다. 그래서, 당해 압력 손실과 용융물 (30) 의 높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압력 손실과 용융물 (30) 의 높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도 2 는, 용융물 높이와 압력 손실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에 있어서, 가로축은 용융물 높이 (m) 이고, 우구 (16) 의 높이를 기준 (0.0 m) 으로 하는 높이이다. 세로축은 압력 손실 (㎪/m) 이고, 우구 앞 압력 P2 에 대한 보시부 (26) 의 상단의 내압 P1 의 압력 손실이고,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구 (16) 로부터 압력 센서 (12) 까지의 높이를 L 로 하면, 당해 압력 손실은 (P2 - P1)/L 로 산출된다.
압력 손실 및 용융물 높이는, 고로 하부의 2 차원 가스 흐름 수치 모델을 사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고로 노 하부의 가스 흐름 해석과 용융물의 액면 형상 해석을 소정의 수속 조건 (해석에 의해 구해진 액면 형상과, 1 개 전의 해석에 있어서 구해진 액면 형상의 상대 오차가 0.001 % 이하) 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실시하고, 당해 수속 조건을 만족하는 용융물의 액면 형상과, 고로 노 하부의 압력 분포를 구하였다. 이 압력 분포로부터 압력 손실을 산출하고, 용융물의 액면 형상으로부터 용융물 높이를 산출하였다.
고로 노 하부의 가스 흐름 해석은,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하기 (1) ∼ (3) 식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하기 (1) 식은, 고로의 충전층 내의 가스의 운동 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되는 식이다. 하기 (2) 식은, 가스의 상태 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되는 식이고, 하기 (3) 식은, 가스의 상태 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되는 식이다.
상기 (1) ∼ (3) 식을 풀 때에는, 먼저, 원통 좌표 (r, z) 를 사용하여 수학식 (2) 을 만족하는 흐름 함수 ψ 를 정의하고, 상기 (1), (3) 식을 풀음으로써 흐름 함수 ψ 의 분포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 흐름 함수 ψ 의 분포로부터, 노내의 가스 속도 벡터 및 가스 압력 분포를 산출하였다.
용융물의 액면 형상 해석은, 동일하게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하기 (4) 식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하기 (4) 식은, 용융물의 액면 형상으로부터 유도되는 식이고, (4) 식은 가스 흐름 해석에 대해 경계 조건으로서 부여된다. 또, 하기 표 1 은, 하기 (1) ∼ (4) 식에 있어서의 각 변수의 산출 방법이나 측정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5) 식에 있어서, μ(T) 는 평균 노내 온도에 있어서의 점도 (Pa·s) 이다.
가스 밀도의 산출에 사용하는 보시 가스량은 하기 (6)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6) 식에 있어서, Vbosh 는 보시 가스량 (Nm3/min) 이고, BV 는 우구 (16) 로부터의 송풍량 (Nm3/min) 이다.
평균 노내 압력으로는, 압력 센서 (12) 로 측정되는 압력값 (P1) 을 사용해도 된다. 또, 평균 노내 온도는, 복수의 온도 센서 (14) 로 측정되는 온도의 평균값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값과 하기 (7) 식을 사용하여 보정 후의 가스 밀도 ρg 가 산출된다.
상기 (7) 식에 있어서, ρg 는 보정 후의 가스 밀도 (㎏/m3) 이고, Vbosh 는 보시 가스량 (Nm3/min) 이고, P 는 압력 (Pa) 이고, T 는 온도 (K) 이다. (7) 식의 정수에 대해 설명하면, 28 은 보시 가스의 분자량 (N2 : CO = 79 : 42) 이고, 101325 는 표준 상태의 기압 (Pa), 273 은 표준 상태의 온도 (K) 이다.
노내 공극률은, 예를 들어,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고로에 있어서, 도 1(b) 에 나타낸 P1, P2, L 등의 값을 Ergun 식 (충전층 공극을 흐르는 가스의 흐름식) 에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 비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공극률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 용융물 밀도 (㎏/m3) 는, 예를 들어, 출선공 (18) 으로부터 출선된 용재 (34) 를 공랭하여 당해 밀도의 밀도를 측정해도 된다. 코크스 입자경에는, 노정으로부터 장입되는 코크스의 평균 입경의 실측값을 사용해도 되고, 당해 실측값을 비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로의 높이로 보정한 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가스 흐름 해석 및 액면 형상 해석을, 기본 조건에 대해 원료의 입경, 공극률 또는 보시 가스량을 변경하여 실시하고, 각각의 조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과 용융물 (30) 의 높이의 관계를 구하였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 저공극률은, 기본 조건에 대해 공극률을 낮게 한 조건이고, 고공극률은, 기본 조건에 대해 공극률을 높인 조건인 것을 나타낸다. 동일하게, 소입경, 소보시 가스량은, 기본 조건에 대해 입경을 작게, 또는, 보시 가스량을 줄인 조건이고, 대입경, 대보시 가스량은, 기본 조건에 대해 입경을 크게, 또는, 보시 가스량을 많게 한 조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손실과 용융물 (30) 의 높이에는 소정의 대응 관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본 조건에 대해 공극률, 입경 및 보시 가스량을 변경한 바, 이들의 프로파일은, 기본 조건의 프로파일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평행 이동시킨 프로파일이 되었다.
이와 같이, 공극률, 입경 및 보시 가스량을 변경하였다고 해도, 그 프로파일은 기본 조건의 프로파일을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 프로파일이 된 것으로부터, 당해 프로파일 상의 임의의 점의 접선의 기울기, 즉, 임의의 용융물 높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량과 용융물 (30) 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용융물 (30) 의 높이를 검출하면, 공극률, 입경 및 보시 가스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융물 (30) 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압력 손실은, (P2 - P1)/L 로 산출되는 것으로부터, P2 - P1 을 ΔP 로 하면, 임의의 용융물 높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량은, 하기 (8)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8) 식에 있어서, h 는 용융물 (30) 의 높이이다.
한편, 용융물 (30) 의 높이가 시간 t 와 선형적인 관계로, 어느 일정한 속도로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하기 (9) 식이 성립된다. 또한, 하기 (9) 식에 있어서, a, b 는 임의의 정수이다.
상기 (9) 식의 양변을 용융물 (30) 의 높이 h 로 미분하여 정리하면, 하기 (10) 식이 얻어진다.
상기 (10) 식을 사용하면, 상기 (8) 식은 하기 (11) 식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상기 (11) 식은, 임의의 용융물 높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량을 확인하는 것은 하기 (12) 식에서 산출되는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기 (12) 식에 있어서, ΔP = P2 - P1 이다.
이와 같이, 임의의 용융물 높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량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12) 식에서 산출되는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를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부터, 도 2 에 나타낸 임의의 용융물 높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량 대신에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공극률, 입경 및 보시 가스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의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보시부 (26) 의 내압에는, 보시부 (26) 의 상단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 (12) 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값 P1 을 사용한다. 우구 앞 압력에는, 상기 서술한 (1) ∼ (3) 식을 사용한 고로 노 하부의 가스 흐름 해석에 의해 노내의 가스 속도 벡터 및 가스 압력 분포를 산출하고, 이 가스 압력 분포로부터 구해지는 우구 앞 압력값 P2 를 사용한다.
그리고, 시각 t1 및 시각 t2 에 있어서의 보시부 (26) 의 내압 P1, 우구 앞 압력 P2, 우구 (16) 로부터 압력 센서 (12) 까지의 높이 L 및 상기 (12) 식을 사용하여, 우구 앞 압력에 대한 보시부 (26) 의 내압의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가 구해진다.
다음으로,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 높이의 대응 관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의 가로축은 용융물의 높이 (m) 이고, 우구 높이를 기준 (0.0 m) 으로 한 용융물 높이이다. 도 3 의 세로축은,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 (㎪/(m × min)) 이다.
도 3 에 나타낸 그래프는, 내용적 5000 m3 의 고로를 사용하여, 조업 트러블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시기의 조업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고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상승 속도는, 단위 시간당의 용선 생성량 (출선비 : 2) 을 고로의 노상 (爐床) 유효 바닥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하였다. 여기서, 노상 유효 바닥 면적이란, 노상 바닥 면적에 공극률을 곱한 값이다.
용융물의 높이의 초기 위치를 우구 높이로부터 4.0 m 하방으로 하고, 용융물의 높이가 0.5 m 높아질 때마다 압력 손실을 각각 산출하였다. 그리고, 용융물의 높이가 -4.0 m 의 위치로부터 각각의 높이가 되기까지 필요로 한 시간과, 그 때의 압력 손실의 값으로부터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를 산출하였다. 이로써,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 (m) 의 대응 관계가 되는 도 3 에 나타내는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에서는, 미리, 도 3 에 나타낸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파악해 둔다. 그리고, 용융물 높이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시각 t1 및 시각 t2 에 있어서의 보시부의 내압 및 우구 앞 압력을 구하고, 이들 값과 L 과 상기 (12) 식을 사용하여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를 구하고, 당해 증가 속도와 상기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고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한다. 도 3 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가 0.15 (㎪/(m × min)) 로 산출된 경우에는, 용융물은 우구의 높이로부터 -1.0 m 의 위치까지 저류되어 있다고 검출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는, 공극률, 입경 및 보시 가스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은, 종래 기술보다 높은 정밀도로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등의 설비를 이용하지 않고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은, 선철의 제조 비용 상승을 억제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 검출된 용융물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조업 액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융물이 고로 바닥부에 과잉으로 저류되는 것이 회피되어, 가스 통기성의 악화나 용재에 의한 우구 폐색과 같은 트러블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액션이란, 예를 들어, 우구 (16) 로부터의 송풍량의 저감이다.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조업 액션을 실시하는 것 대신에, 또는,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조업 액션과 함께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조업 액션을 실시해도 된다. 이로써, 용융물이 고로 바닥부에 과잉으로 저류되는 것이 회피되어, 가스 통기성의 악화나 용재에 의한 우구 폐색과 같은 트러블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센서 (12) 를 보시부 (26) 의 상단에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센서 (12) 는, 보시부 (26) 의 상단에 한정되지 않고, 보시부 (26) 의 범위 내이면 어느 쪽의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10 : 고로
12 : 압력 센서
14 : 온도 센서
16 : 우구
18 : 출선공
20 : 노 본체
22 : 샤프트부
24 : 벨리부
26 : 보시부
28 : 하스부
30 : 용융물
32 : 용선
34 : 용재
36 : 광석층
38 : 코크스층

Claims (2)

  1. 보시부를 갖는 노체와, 상기 노체의 노 하부에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의 우구를 갖는 용광로에 있어서의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서,
    우구 앞 압력에 대한 상기 보시부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 속도와 용융물의 높이의 대응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용광로의 노 바닥부에 저류하는 용융물의 높이를 검출하는,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으로 검출된 용융물의 높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용융물의 제조 속도를 감소시키는 조업 액션 및 상기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조업 액션 중 적어도 1 개를 실시하는, 용광로의 조업 방법.
KR1020237025335A 2021-02-03 2021-12-27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KR20230124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5650 2021-02-03
JP2021015650 2021-02-03
PCT/JP2021/048673 WO2022168503A1 (ja) 2021-02-03 2021-12-27 溶融物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溶鉱炉の操業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064A true KR20230124064A (ko) 2023-08-24

Family

ID=8173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335A KR20230124064A (ko) 2021-02-03 2021-12-27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65742A1 (ko)
JP (1) JP7074274B1 (ko)
KR (1) KR20230124064A (ko)
CN (1) CN1167619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809A (en) 1974-08-31 1976-03-09 Sumitomo Metal Ind Yosensaireberu no sokuteiho
JP2011158206A (ja) 2010-02-02 2011-08-18 Jfe Steel Corp 溶融物レベル計測装置および溶融物レベル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9218B2 (ko) * 1972-12-14 1978-06-20
JP4983476B2 (ja) 2007-08-17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5412819B2 (ja) * 2008-12-10 2014-0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竪型炉内の溶融物レベルの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602238B2 (ja) * 2016-03-10 2019-11-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竪型炉における溶融物レベルの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809A (en) 1974-08-31 1976-03-09 Sumitomo Metal Ind Yosensaireberu no sokuteiho
JP2011158206A (ja) 2010-02-02 2011-08-18 Jfe Steel Corp 溶融物レベル計測装置および溶融物レベル計測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이다 마사카즈 외 2 명,「고로로부터의 용융물 배출 속도의 해석」, 철과 강, Vol. 95 (2009), No.4, P331-339
카시하라 유스케 외 4 명,「미소실 혼합 소괴 코크스가 고로 하부 통기성에 미치는 영향」, 철과 강, Vol. 102 (2016), No.12, P661-668
하타노 미치하루 외 2 명,「장입 방법, 노체 형상 및 탕면 형상의 고로 내 가스 흐름에 미치는 영향」, 철과 강, 제63년 (1977), 제2호, P217-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61900A (zh) 2023-09-15
JPWO2022168503A1 (ko) 2022-08-11
EP4265742A1 (en) 2023-10-25
JP7074274B1 (ja)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4064A (ko) 용융물 높이의 검출 방법 및 용광로의 조업 방법
JP2015086461A (ja) 高炉操業方法
WO2022168503A1 (ja) 溶融物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溶鉱炉の操業方法
KR101412403B1 (ko) 고로의 장입물 강하 판단 방법
EP4286539A1 (en) Molten iron slag height detection method and molten iron slag height detection device
JP6977704B2 (ja) 酸素高炉設備および酸素高炉の操業方法
JP2015028209A (ja) 高炉塊状帯のガス流速および還元負荷の推定方法
CN104537177B (zh) 一种高炉内软熔带软化面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JP5560726B2 (ja) 高炉の吹卸し操業方法
JP5277636B2 (ja) 竪型炉の操業方法
JP7111278B1 (ja) 溶融物の残留量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ならびに竪型炉の操業方法
JP7111277B1 (ja) 溶融物の液面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ならびに竪型炉の操業方法
KR102254941B1 (ko) 전로의 조업 방법
KR101277237B1 (ko) 노내 중심류 판단방법 및 그 판단장치
JP6885238B2 (ja) 高炉の操業方法
WO2022168557A1 (ja) 液体の液面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溶融物の液面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ならびに竪型炉の操業方法
JP5779839B2 (ja) 高炉操業方法
WO2022168556A1 (ja) 液体の残留量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溶融物の残留量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ならびに竪型炉の操業方法
JP7513200B2 (ja) 高炉の操業方法
EP4357465A1 (en) Method for estimating depositional shape of blast furnace filling and method for substituting blast furnace coke
JP2931497B2 (ja) 高炉の操業方法
KR20000028284A (ko) 용광로 내부의 통기성 판단방법
JP2021121689A (ja) ベル・アーマー方式の高炉における鉱石層崩れ量の推定方法
JP2003306708A (ja) 高炉の安定操業方法
JP6233003B2 (ja) コークス強度の決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