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53A -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53A
KR20230123753A KR1020220020919A KR20220020919A KR20230123753A KR 20230123753 A KR20230123753 A KR 20230123753A KR 1020220020919 A KR1020220020919 A KR 1020220020919A KR 20220020919 A KR20220020919 A KR 20220020919A KR 20230123753 A KR20230123753 A KR 20230123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ip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2002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53A/ko
Priority to PCT/KR2023/002327 priority patent/WO2023158261A1/ko
Publication of KR2023012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Abstract

본 발명은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수용성 색소와의 혼화를 억제함으로써, 도포 후 입술에서 투명한 유상층이 분리되어 상기 수용성 색소의 입술에서의 색 묻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상층이 입술에 흡수되어도 분리된 오일막이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건조감이 덜하고 초기의 촉촉함을 지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Lip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Color Transfer}
본 발명은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립 메이크업 시장에서 립 플루이드 제형의 트랜드가 글로시(glossy)해지는 동시에 색상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종래에 립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처방은, 제형의 번짐 및 묻어남을 억제하기 위해 제형 내 다량의 휘발성 오일과 함께 피막제, 분체를 사용하여 휘발성 오일의 증발 후 상기 분체와 피막제가 입술에 부착됨으로써 묻어남을 억제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처방이 대다수이다.
하지만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휘발성 오일, 피막제 및 분체는 피부에 도포시 건조감을 유발하는 동시에 입술에서 매트한 표현을 야기한다. 이 경우, 심하게는 입술의 주름과 각질을 도드라져 보이게 하여 입술의 상태가 매끈해 보이지 않는 문제를 일으키며, 입술이 촉촉해 보이지 못하는 시각적인 건조감을 유발한다.
립 메이크업 제품에 색상 지속성은 유지하면서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휘발성 오일을 적용하여 윤기를 줄 수 있지만, 이 경우 색 묻어남과 번짐을 동시에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비휘발성 오일의 함량이 제한된다.
또한 휘발성 오일의 점증을 위해서 사용되는 왁스 혹은 분체 형태의 종래의 점증제를 함께 사용하게 될 경우, 광택이 소실되어 매트해지고 건조한 입술 표현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인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여 수용성 색소와의 혼화를 억제함으로써, 도포 후 입술에서 투명한 유상층이 분리되어 상기 수용성 색소의 입술에서의 색 묻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상층이 입술에 흡수되어도 분리된 오일막이 차폐층을 형성하므로 건조감이 덜하고 초기의 촉촉함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입술에 도포한 다음, 티슈로 찍어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4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입술에 도포한 다음, 티슈로 찍어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2, 5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입술에 도포한 다음, 티슈로 찍어낸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입술에 도포한 다음, 티슈로 찍어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인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의 수중유형(O/W)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내상인 유상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30 내지 70 중량% 또는 3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묻어남 방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입술에 도포 시 유화 입자가 깨지면서 수상과 유상이 분리되어 유상막이 형성되도록, 유상을 전술한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입술에의 도포시 유화 입자가 쉽게 깨지는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상은 색소를 포함한다. 색소는 착색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수용성이거나 비극성 용매에 대해 불용성 및/또는 비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극성 용매에 불용성인 색소는 비극성 오일, 특히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또는 디메치콘 100 ml에 대해 5 g 이하, 1 g 이하, 0.5 g 이하 또는 0.1 g 이하로 용해되는 색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상에 포함된 색소는 피부, 즉, 입술에 도포시 염착되고, 일부는 피부 표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색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입술용 수용성 색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소로 적색227호, 적색103호의(1), 적색104호의(1), 적색218호, 적색40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3호, 등색201호, 등색205호, 청색1호 및 티타늄디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0.01 중량% 미만이면 착색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은 전술한 성분 외에, 당업계에서 수상으로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상은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상에 포함된 오일은 피부 표면에서 오일층을 형성한다. 이 때 극성 오일이 배합되면, 상기 극성 오일은 분자내에 친수성기를 가지므로 수용성 색소와 혼화성이 있어, 상기 친수성 색소를 화장 도포막의 최외각 층인 유상으로 유인하고, 상기 유상으로 유인된 수용성 색소는 묻어남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일로 수용성 색소와 혼화성이 좋지 않은 비극성 오일을 사용하거나, 또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색소에 의한 색 묻어남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극성 오일의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성용 색소가 도포 후 오일층으로 흘러들어가 묻어남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폴리부텐,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폴리데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리콘계 오일은 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다이페닐 다이메티콘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극성 오일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극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스터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스터계 오일은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옥타노에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아디페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니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오일로 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급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중량% 미만, 0.1중량% 미만, 0.001중량% 미만, 또는 0.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의 총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60 중량%, 또는 35 내지 50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오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사용감이 지나치게 빡빡해질 우려가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미끈거리는 사용감으로 인해 발림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오일로 비극성 오일을 포함할 경우, 상기 비극성 오일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 또는 2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오일로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할 경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수용성 색소와의 혼화성이 있어 극성 오일과 혼화된 수용성 색소의 일부가 묻어남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1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구체예에서,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비율(중량비)은 1:0.01 내지 0.8, 또는 1:0.01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혼합비율에서 색소의 묻어남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비극성 오일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의 혼합비율(중량비)는 1:0.1 내지 5, 1:0.5 내지 3, 1:1 내지 2, 또는 1:1.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상은 피막제 및 분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제 및 분체는 묻어남 방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피막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페닐프로필다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비닐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실리콘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막제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전체 중량 대비 3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또는 8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실리카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체로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체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3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은 전술한 성분 외에, 유상 점증제, 에몰리언트, 및 유화제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유상으로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을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틴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및 립크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립틴트 및 립글로스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실험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은 비극성 오일인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시예 2는 비극성 오일인 실리콘계 오일, 비교예 1은 극성 오일인 고급알코올,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극성 오일인 에스터계 오일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색소 0.25 0.25 0.25 0.25 0.25
폴리소르베이트60 2.50 2.50 2.50 2.50 2.50
페녹시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0.5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20 1.20 1.20 1.20 1.20
유상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40.00 - - - -
디메치콘 - 40.00 - - -
옥틸도데칸올 - - 40.00 - -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 - 40.00 -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 - - - 40.0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0.50 0.50 0.50 0.50
2차
유화
변성알코올 3.00 3.00 3.00 3.00 3.00
TOTAL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 수상 성분을 혼합하여 60℃로 가온한 후 분산시켰다.
2. 별도의 유상조에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60℃로 가온한 후 분산시켰다.
3. 상기 1.의 수상 성분에 상기 2.의 유상 성분을 천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0분 간 유화시켰다.
4. 2차 유화에 해당하는 원료 투입 후 3 분 간 2차 유화시켰다.
5. 유화 완료 후 탈포하였고, 28℃까지 냉각시켰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묻어남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묻어남은 아랫 입술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음파음파하여 윗입술까지 전이시켜 조성물을 흡수시킨 다음, 30 초 내지 1 분 후 한 번 더 음파음파하여 셋팅 시킨 후, 티슈로 가볍게 찍어내었다.
그 결과(티슈 사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극성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비극성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2의 티슈에서 색소의 묻어남이 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은 피막형성제(DC MQ 1600)가 없는 조성물로, 수상과의 극성도 차이로 인해 피부에 도포시 수상과 유상이 분리된 후 색소의 오일막층으로의 전이가 억제되어 개선된 색소의 묻어남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티슈의 색차계 측정값과 티슈에 묻어난 부분의 색차계 측정값의 ㅿE 값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ㅿE 6.13 3.23 12.32 21.40 18.6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제형의 ㅿE이 작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의 제형이 묻어남이 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4 내지 5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상에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을 적용한 실시예 1에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함량의 일부를 에스터계 오일로 대체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3 실시예4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색소 0.25 0.25 0.25 0.25
폴리소르베이트60 2.50 2.50 2.50 2.50
페녹시에탄올 1.00 1.00 1.00 1.00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0.50 0.5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20 1.20 1.20 1.20
유상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10.00 20.00 30.00 35.00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30.00 20.00 10.00 5.0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0.50 0.50 0.50
2차
유화
변성알코올 3.00 3.00 3.00 3.00
TOTAL 100.00 100.00 100.00 100.00
상기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4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묻어남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묻어남은 실험예 1의 테스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극성 오일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비교예 4 내지 5와 비교하여 실시예 3 내지 4의 조성물이 묻어남이 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극성 오일인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10% 이하로 적용하며, 또한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비율을 1:0.01 내지 0.8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티슈의 색차계 측정값과 티슈에 묻어난 부분의 색차계 측정값의 ㅿE 값을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구분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3 실시예4
ㅿE 22.78 20.94 6.67 5.2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4 내지 5의 제형의 ㅿE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극성 오일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묻어남이 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실시예 5 내지 6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상에 비극성 오일인 하이드로카본계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적용하고, 피막제인 실리콘계 수지 및/또는 분체를 추가 배합하였다.
구분 배합성분(중량%) 실시예5 실시예6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색소 0.25 0.25
폴리소르베이트60 2.50 2.50
페녹시에탄올 1.00 1.00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20 1.20
유상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10.00 10.00
디메치콘 20.00 15.00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10.00 10.00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 5.0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0.50
2차유화 변성알코올 3.00 3.00
  TOTAL 100.00 100.00
상기 실시예 5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묻어남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묻어남은 실험예 1의 테스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피막제를 사용한 실시예 5에서 묻어남이 추가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5과 비교하여 피막제 및 분체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6에서 묻어남이 더욱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티슈의 색차계 측정값과 티슈에 묻어난 부분의 색차계 측정값의 ㅿE 값을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5 실시예6
ㅿE 6.13 3.23 2.55 1.13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제형의 ㅿE이 가장 작으며, 이를 통해 비극성 오일을 적용하고, 실리콘 수지를 추가 적용하여 묻어남 추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분체를 추가 배합할 경우 묻어남이 더욱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실시예 6 및 비교예 6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묻어남이 가장 적었던 실시예 6에 해당하는 조성물에 수용성 색소 대신 유상에 레이크 색소를 동량 적용하여 비교예 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6 비교예6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색소 0.25 -
폴리소르베이트60 2.50 2.50
페녹시에탄올 1.00 1.00
소듐클로라이드 0.50 0.5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20 1.20
유상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10.00 10.00
디메치콘 15.00 15.00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10.00 10.00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5.00 5.00
색소(레이크) - 0.2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0.50
2차유화 변성알코올 3.00 3.00
  TOTAL 100.00 100.00
상기 실시예 6 및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묻어남을 테스트하였다.
상기 묻어남은 실험예 1의 테스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묻어남이 가장 적은 실시예 6의 조성물에서 색소의 종류가 수용성 색소(염료)에서 유용성인 레이크 색소로 대체되어 적용되었을 때 묻어남 방지 효과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티슈의 색차계 측정값과 티슈에 묻어난 부분의 색차계 측정값의 ㅿE 값을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6 비교예6
ㅿE 1.13 10.6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소를 유상에 포함할 경우 수상에 포함할 경우와 비교하여 ㅿE이 증가하며, 이는 색소가 티슈에 많이 묻어난 것이다.
실험예 5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감을 평가하였다.
상기 보습감은 패널 테스트를 통해 5점 척도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보습감 평가 점수(5점 만점) 4.3 4.3 4.3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유상에 극성 오일을 적용한 비교예 2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준의 보습감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극성 오일만을 유상에 적용했을 때에도 셋팅 후 분리되어 차폐막을 형성해주므로, 극성 오일을 적용했을 때와 비교했을 때 보습감이 미흡하지 않은 것이다.

Claims (8)

  1.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 및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거나, 또는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인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상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폴리부텐,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폴리데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실리콘계 오일은 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다이페닐 다이메티콘 및 트리메틸실록시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60 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물에서 상기 비극성 오일과 극성 오일의 혼합비율(중량비)은 1:0.01 내지 0.8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상은 피막제 및 분체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막제는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페닐프로필다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비닐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 및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실리콘계 수지이고,
    상기 분체는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실리카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피막제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 내지 20 중량%이고,
    분체의 함량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20919A 2022-02-17 2022-02-17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KR20230123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19A KR20230123753A (ko) 2022-02-17 2022-02-17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PCT/KR2023/002327 WO2023158261A1 (ko) 2022-02-17 2023-02-17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19A KR20230123753A (ko) 2022-02-17 2022-02-17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53A true KR20230123753A (ko) 2023-08-24

Family

ID=8757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19A KR20230123753A (ko) 2022-02-17 2022-02-17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53A (ko)
WO (1) WO20231582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9704A1 (de) * 2007-02-28 2008-09-04 Henkel Ag & Co. Kgaa Reinigende O/W-Emulsion
FR3037794B1 (fr) * 2015-06-26 2017-07-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queuse comprenant de l'alkylcellulose, au moins une huile non volatile, une resine hydrocarbonee
JP6147897B1 (ja) * 2016-06-29 2017-06-1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唇用化粧料
KR102371421B1 (ko) * 2017-06-30 2022-03-08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5708B1 (ko) * 2019-10-29 2021-12-31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61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9218B1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high gloss and a non-tacky feel
EP3576845B1 (en) Topcoat for permanent lip make up
FR2726467A1 (fr) Composition cosmetiques presentant une adherence durable a la peau
KR20120110053A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JP6897779B2 (ja) 油中水乳化型スティック状デオドラント剤
EP347005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yes
KR20210020777A (ko) 분산성 분체 및 화장료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WO2016178380A1 (ja) 化粧料組成物
FR3073146A1 (fr) Composition a effet lumineux et satine comprenant des particules de cellulose, du nitrure de bore et des nacres satinees
JP3515874B2 (ja) 口紅組成物
US2017018931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KR20230123753A (ko) 묻어남을 개선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TW202237750A (zh) 矽酮橡膠粒子的水分散物及化妝料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2128121A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JP6770492B2 (ja) 化粧料
JP5615106B2 (ja) 表面処理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52909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7485186B1 (ja) 水性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11160735B1 (en) Long wear lip cosmetic system and topcoat
US20190262257A1 (en) Matte lip compositions
KR102645137B1 (ko) 화장료 조성물
JPH10167930A (ja) 口紅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