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067A -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067A
KR20230122067A KR1020237023678A KR20237023678A KR20230122067A KR 20230122067 A KR20230122067 A KR 20230122067A KR 1020237023678 A KR1020237023678 A KR 1020237023678A KR 20237023678 A KR20237023678 A KR 20237023678A KR 20230122067 A KR20230122067 A KR 2023012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locking
movable structure
driv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티스 바리톨트
세바스테인 카신
토마스 러보에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12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 부분(16), 구동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중심 부분(16)에 대해 피봇할 수 있는 림(12), 림(12)을 피봇시키는 액추에이터(18), 및 그 구동 위치에서의 림(12)의 잠금 위치와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10)로서, 액추에이터(18)와 림(12) 사이에서 그리고 액추에이터(18)와 잠금 부재 사이에서 움직임을 전달하고 잠금 부재를 그 분리된 위치를 향해 연속적으로 구동하며 그런 다음 림(12)을 피봇시키는 메커니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자동차 스티어링 휠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향가능 또는 후퇴가능(retractable) 림(rim)을 갖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차량 스티어링 휠들의 종래 기술에서, 전동 접힘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예를 들어, 문서 US-B1-10.562.558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컬럼(column)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중심 구조체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링을 형성하는 림을 가지며, 림을 수직 위치(차량이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에 대응함)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의 보관 또는 후퇴된 위치로 피봇시켜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휠의 림의 다른 사용법들 또는 사용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한다. 또한, 스티어링 휠 시스템은 림을 그 수직 구동 위치에서 잠그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시스템(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추가적인 시스템들의 각각은 전용 잠금 시스템의 형태로 제시된다. 이러한 설계는 특히 부피가 크며, 무겁고 비싸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며, 무엇보다 먼저,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림의 적어도 부분이 피봇가능하며, 피봇 및 잠금을 위한 콤팩트하고 경제적인 조립체에 의해 구동 위치에 잠길 수 있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차량 스티어링 휠로서:
- 중심 부분;
- 중심 부분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림(rim)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가능 구조체로서, 림은,
-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될 수 있는 구동 위치와
- 적어도 하나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중심 부분에 대해 피봇가능한, 이동가능 구조체;
- 이동가능 구조체를 그 구동 위치와 그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피봇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 이동가능 구조체를 구동 위치에 잠그기 위한 맞물린 위치와 이동가능 구조체가 피봇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한편으로 액추에이터와 이동가능 구조체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액추에이터와 잠금 부재 사이에서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액추에이터가, 그 위치의 변경들을 제어하기 위해 잠금 부재에 작용하고 림을 피봇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이동가능 구조체의 구동 위치에서의 잠긴 상태로부터, 전달 메커니즘은 잠금 부재를 그 분리된 위치를 향해, 그런 다음 이동가능 구조체를 그 후퇴된 위치를 향해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열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메커니즘은, 잠금 부재에 대한 이동가능 구조체의 구동 오프셋에 대응하는 각도 간격으로 이동가능 구조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열된 이동가능 구조체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이동가능 구조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 허브는 상보적인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 구동 부재(예를 들어, 구동 스프로킷)는 허브와 동축일 수 있고, 허브를 구동하기 위해 각도 간격으로 상보적인 개구부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중심에서 벗어난 캐치 핀(catch pi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달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구조체가 구동 위치에서 그 잠긴 상태에 있을 때 구동 부재를 각도 휴지(rest)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허브와 구동 부재 사이에 배열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이동가능 구조체를 그 구동 위치에서 간격 없이 각도적으로 이동불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허브의 상보적인 부분과 협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허브는 이동가능 구조체의 1차 피봇 축과 동축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중심 위치에 대해 고정되며 허브를 통한 이동가능 구조체의 각도 구동 위치를 정의할 수 있는 위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이동가능 구조체의 1차 피봇 축에 평행한 잠금 축 주위로 피봇하도록 배열된 잠금 로커(rocker)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열된 톱니형 입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톱니형 입력 부재는 이동가능 구조체의 회전을 잠금 부재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그 후퇴된 위치를 향해 간접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림을 잠금해제하고 그런 다음 피봇시키기 위한(또는 그 반대로 하기 위한) 기능적인 시퀀스는 단지 액추에이터의 활성화를 제어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구동 부재는 톱니형 입력 부재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메시(mesh)되도록 배열된 이동가능 구조체의 구동 스프로킷(sprocket)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톱니형 입력 부재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양쪽 방향들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톱니형 기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 상에 배열된 웜(wor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웜은:
- 톱니형 입력 부재를 형성하고 구동 부재를 구동하거나, 또는
- 톱니형 입력 부재를 구동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직접 또는 간접 회전으로 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잠금 부재에 의해 운반되는 캠-팔로워(cam-follower) 요소와 협력하는 잠금 부재의 구동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캠은 구동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잠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부재는 이동가능 구조체와 잠금 부재 사이에 배열된다.
제1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전달 메커니즘은, 잠금 부재를 구동하고 톱니형 입력 부재와 직접적으로 메시되도록 배열된 잠금 피니언(pin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는, 회전 전기 모터, 회전 전기 모터를 갖는 기어형 모터, 축방향 변위를 갖는 전기 실린더, 및 축방향 변위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액추에이터, 잠금 부재, 및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이동가능 구조체를 구동하고 잠그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이동가능 구조체를 그 구동 위치와 그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피봇시키기 위한 다른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1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예로서 제공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도 그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 도면들에 의해 예시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림의 구동 위치에 도시된 차량 스티어링 휠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을 구비하는 움직임-전달 메커니즘(movement-transmission mechanism)의 특정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대축척 사시 상세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을 구비할 수 있는 움직임 전달 메커니즘의 제2 실시예의 특정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 3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배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메커니즘의 일 변형예이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또는 전기 스티어링 기어 박스(미도시)에 대한 스티어링 휠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허브(hub)로도 지칭되는, 중심 부분(16)에 암(arm)들(14)에 의해 연결되는 림(12)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10)을 도시한다.
차량의 사용법 및 사용의 인체공학을 개선하기 위해, 림(12)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에 직교하는 1차 축(A1)을 중심으로 양쪽 방향들로 피봇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심 부분(16)에 대해 힌지로 장착되어,
- 차량을 구동하는 동안 림(12)의 평면이 전형적으로 스티어링 휠 및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 축과 일치하는 중심 부분(16)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소위 구동 위치;
- 또는 림(12)의 평면이, 특히 사용자가, 예를 들어, 림(12) 상에 컴퓨터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중심 부분(16)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콘솔 위치로도 지칭되는 후퇴된 위치 중 하나에 각도적으로 위치된다.
각도 위치를 변경할 가능성은 반드시 전체 림(12)을 피봇시키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림(12)의 일 부분 - 예를 들어 림의 절반과만 관련될 수 있고, 이러한 림 부분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림의 이동가능 구조체를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림(12)의 1차 피봇 축(A1)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림(12)을 양쪽 방향들로 피봇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스티어링 휠(10)은 림(12)을 구동하고 잠그기 위한 측면 모듈(M)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측면 모듈(M)은 스티어링 휠(10)의 후방 암(14)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모듈(M)은 본질적으로 전동 액추에이터(18), 액추에이터와 림(12) 사이의 전달을 위한 메커니즘(20), 및 림(12)을 림의 구동 위치에 잠그기 위한 부재(22)를 결합한다.
도 3은 다음을 도시한다:
- 액추에이터(18)에 의해 2차 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 메커니즘에 속하는 움직임 입력 기어(24);
- 입력 기어(24)와 영구적으로 메시(mesh)되는 림(12)을 피봇시키기 위한 기어(26)(비제한적인 예로서, 구동 스프로킷(sprocket)(26)은 림(12)의 1차 피봇 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
- 잠금 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입력 기어(24)와 영구적으로 메시되는 잠금 피니언(pinion)(28)으로서 형상화된 근위 부분을 포함하고, 잠금 피니언(28)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그 자유 단부 섹션(32)은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호 형태인 볼록한 잠금 표면으로 형상되는 원위 암(30)을 포함하는 잠금 로커(rocker)(22).
구동 스프로킷(24)과 림(12) 사이의 양쪽 방향들으로의 회전 연결을 위해, 도 3은 또한, 림(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구동 스프로킷(26)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허브(34)를 도시한다. 그 후방에서, 허브는 방사상 플레이트(3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방사상 플레이트의 주변 에지(37)는 본 명세서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된 노치(notch)(38) 형태의 개구부,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호 형태의 오목한 잠금 표면(40), 및 접합(abutment) 섹션(42)을 갖는다.
허브(34)를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피봇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동 스프로킷(26)의 후방 방사상 면은 캐치 핀(44)을 가지며, 캐치 핀은 후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각도 간격(clearance) "J"로 노치(38)에 영구적으로 수용되어 구동 스프로킷(26)과 허브(34)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 만들어진 스프링(46)은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 스프로킷(26)의 림(27)과 허브(34) 사이에 개재되며, 휴지 위치로 지칭되는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각도 위치에서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에 대한 구동 스프로킷(26)의 탄성 복귀를 영구적으로 보장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모듈(M)은 입력 기어들(24) 및 구동 스프로킷들(26)뿐만 아니라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 및 잠금 부재(22)가 그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평행한 보강 플레이트들(50)을 가지며, 이러한 다양한 구성요소들도 또한 이러한 2개의 보강 플레이트들(50)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전동 액추에이터(18)는 전방 보강 플레이트(50)에 부착된다.
또한, 고정식 축방향 접합 핀(48)은 2개의 보강 플레이트들(50) 사이에 배열되고,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주변 에지를 향하는 접합 섹션(42)과 맞물릴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서, 림(12) 및 연관된 구성요소들의 세트는 이들이 잠금 부재(22)에 의해 잠기는 그의 소위 각도 구동 위치에 도시된다.
그 1차 피봇 축(A1)에 대한 림(12)의 각도 구동 위치는, 고정식 축방향 접합부(48)에 밀접하여(against) 접촉하는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주변 에지(37)의 접합 섹션(42)의 각도 접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동일한 위치에서, 잠금은 클램핑 효과에 의해 서로 밀접하여 지탱되는 상보적인 잠금 표면들(32, 40)에 의해 보장되어, 상이한 피니언들의 톱니들 사이의 간격들로 이동한 이후를 포함하여 스티어링 휠의 림(12)의 각도 간격이 없는 잠금을 보장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작하면, 림(12)을 잠금해제하고, 그런 다음 림을 콘솔 위치를 향해 피봇시키기 위해, 이러한 도면들에 표시된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입력 기어(24)를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제1 부분은 즉시 화살표(F1)에 따른 잠금 부재의 회전을 가져오며, 이는 방사상 플레이트(36) 및 그에 따라 허브(34)가 잠금해제되거나 또는 해제(release)되게 할 것이다.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이러한 제1 부분 동안, 입력 기어(24)는 구동 스프로킷(26) 및 구동 스프로킷의 축방향 캐치 핀(44)을 구동하고 축방향 캐치 핀은 그런 다음 노치(38) 내부에서 이동하며, 입력 기어는 스프링(46)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귀 힘에 대항하여 그렇게 한다.
캐치 핀(44)이 노치(38)의 다른 각도 단부에 도달하자 마자, 간격 "J"를 보상한 후에,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이동의 제1 부분이 종료되고, 그 회전은 항상 화살표(F1)에 따라서 그 이동의 제2 부분을 따라 계속되며, 그런 다음 방사상 플레이트(36) 및 그에 따라 허브(34)와 림(12)을 구동한다.
따라서, 림(12)은, 림(12)의 잠금해제를 먼저 보장하기 위해 입력 기어(24)에 의해 먼저 피봇되는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림의 콘솔 위치 또는 후퇴된 위치를 향해 피봇된다.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노치(38)와 축방향 캐치 핀(44)의 맞물림을 통해, 톱니형 입력 기어(24)는, 림을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림의 후퇴된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해 림(12)과 간접적으로 메시된다.
연속적으로, 콘솔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구동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입력 기어(24)는 화살표(F2)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주변 에지(37)의 접합 섹션(42)은 고정식 축방향 접합 핀(48)과 다시 접촉하게 되며, 그런 다음 잠금 부재(22)는 캐치 핀(44)을 노치(38) 내로 다시 이동시킬 가능성에 의해 화살표(F2)의 방향으로만 피봇된다.
제2 실시예
도 3, 도 4a 및 도 4b와 유사한 도 5, 도 6a 및 도 6b는 전달 메커니즘 및 그 잠금 로커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방금 설명된 것과 비교하여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요소들 및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숫자 또는 영숫자 참조 번호들로 표시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크(fork)로서 형상화된 잠금 로커(22)는, 각각 입력 기어(24) 및 구동 스프로킷(26)의 1차 축(A1) 및 2차 축(A2)에 평행한 잠금 축(A3)을 중심으로 보강 플레이트들(50)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 허브(23)를 포함한다.
잠금 로커의 중심 허브(23)로부터, 잠금 로커(22)는, 도면들의 관점으로부터 하부에 있는 소위 제어 암인 암(22i) 및 소위 잠금 암인 상부 암(22s)을 포함하는 2개의 대향되는 방사상 암들을 갖는다.
제어 암의 자유 단부에서, 제어 암(22i)은, 구동 스프로킷(26)의 림(27)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되는 L 형상의 캠(cam) 프로파일 섹션(54)과 맞물리는 원주방향 캠-팔로워(cam-follower) 요소(52)를 갖는다.
캠-팔로워 요소(52)는, 도 5 및 도 6a의 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잠금 로커(22)를 영구적으로 편향시키는 잠금 스프링(56)에 의해 L 형상의 캠 프로파일(54)에 밀접하여 영구적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잠금 암의 자유 단부에서, 잠금 암(22s)은,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2개의 연속적인 부분들(62-1 및 62-2) 내에 있는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주변 에지(37)의 잠금 섹션(62)과 맞물릴 수 있는 원주방향 잠금 립(lip)(60)을 갖는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구동 위치에 잠긴 림(12)의 상태에서, 캠-팔로워 요소(52)는 캠 프로파일(54)의 방사상 최외측 부분(54-1)에 밀접하여 지지되고, 잠금 립(60)은 잠금 섹션(62)의 부분(62-1)과 맞물린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이러한 상태에서, 방사상 플레이트(36) 및 허브(34)가 도 5 및 도 6a(화살표(F1))의 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이러한 위치로부터 시작하면, 림(12)을 잠금해제하고, 그런 다음 림을 콘솔 위치를 향해 피봇시키기 위해, 이러한 도면들에 표시된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입력 기어(24)를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제1 부분은 구동 스프로킷(26) 및 캠 프로파일(54)의 즉각적인 회전을 가져온다. 그런 다음, 캠-팔로워 요소(52)는 캠 프로파일(54)의 방사상 최외측 부분(54-1)을 떠나고 캠 프로파일(54)의 경사진 방사상 최내측 부분 (54-2)을 따라 하강한다. 잠금 스프링(56)의 작용 하에서, 이는 잠금 포크(22)가 화살표(F1)의 방향으로 피봇하게 하고 잠금 립(60)을 해제할 것이다.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이러한 제1 부분 동안, 입력 기어(24)는 구동 스프로킷(26) 및 구동 스프로킷의 축방향 캐치 핀(44)을 구동하고 축방향 캐치 핀은 그런 다음 노치(38) 내부에서 이동하며, 입력 기어는 스프링(46)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귀 힘에 대항하여 그렇게 한다.
캐치 핀(44)이 노치(38)의 다른 각도 단부에 도달하자 마자, 간격 "J"를 보상한 후에, F1에 따른 입력 기어(24)의 각도 이동의 이동의 제1 부분이 종료되고, 그 회전은 항상 화살표(F1)에 따라서 그 이동의 제2 부분을 따라 계속되며, 그런 다음 방사상 플레이트(36) 및 그에 따라 허브(34)와 림(12)을 구동한다.
이러한 회전은, 그런 다음 잠금 립(60)이 잠금 섹션(62)의 원통형 호를 형성하는 부분(62-2)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림(12)은, 림(12)의 잠금해제를 먼저 보장하기 위해 입력 기어(24)에 의해 먼저 구동되는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림의 콘솔 위치 또는 후퇴된 위치를 향해 피봇된다.
허브(34)의 방사상 플레이트(36)의 노치(38)와 축방향 캐치 핀(44)의 맞물림을 통해, 톱니형 입력 기어(24)는, 림을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림의 후퇴된 위치로 피봇시키기 위해 림(12)과 간접적으로 메시된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입력 기어(24)는, 움직임이 적어도 구동 스프로킷(26)에 전달되게 하기 위한 톱니형 입력 부재를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입력 기어(24)를 톱니형 내부 크라운 기어 또는 심지어 선택적으로 직선 톱니형 랙(rack)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추에이터(18)는, 예를 들어, 전기 기어 모터를 형성하기 위해 기어박스 또는 기어 감속기와 선택적으로 연관된 회전 전기 모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출력 샤프트는 입력 기어(24)와 같은 톱니형 입력 부재를 -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한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메커니즘의 변형예를 도시하거나 또는 차이점들만이 설명될 것이다. 도 6c에서, 잠금 가이드(63)는 잠금 포크(22)의 잠금 립(60)에 제공된다. 특히, 잠금 립(60)은 잠금 가이드(63)와 방사상 플레이트(36)의 주변 에지(37)의 잠금 섹션(62) 사이에 배열되어, 도시된 잠금 위치에서, 잠금 가이드(63)는, 림(12)이 구동 위치에 있을 때 간격이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잠금 섹션(62)에 밀접하여 간격이 없도록 잠금 립(60)을 다시 밀어 낸다.
대안적으로, 출력 샤프트는 톱니형 입력 부재를 랙 형상의 부재를 통해 양쪽 방향들로 구동하기 위해 웜-앤-너트(worm-and-nut) 시스템의 나사를 구동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수정들 및/또는 개선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 스티어링 휠(10)로서,
    - 중심 부분(16);
    - 상기 중심 부분(16)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림(rim)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가능 구조체(12)로서, 상기 림은,
    - 상기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될 수 있는 구동 위치와
    - 적어도 하나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중심 부분(16)에 대해 피봇가능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
    -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를 그 구동 위치와 그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피봇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8); 및
    -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를 상기 구동 위치에 잠그기 위한 맞물린 위치와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가 피봇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 부재(22)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스티어링 휠(10)에 있어서,
    한편으로 상기 액추에이터(18)와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액추에이터(18)와 상기 잠금 부재(22) 사이에서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한 메커니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상기 구동 위치에서의 잠긴 상태로부터,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잠금 부재(22)를 그 분리된 위치를 향해, 그런 다음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를 그 후퇴된 위치를 향해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잠금 부재(22)에 대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구동 오프셋에 대응하는 각도 간격(J)으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와 함께 회전하도록 배열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 허브(34)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로서,
    - 상기 허브(34)는 상보적인 개구부(38)를 포함하며,
    -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허브와 동축이고, 상기 허브(34)를 구동하기 위해 각도 간격으로 상기 상보적인 개구부(38)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중심에서 벗어난 캐치 핀(catch pin)(44)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가 상기 구동 위치에서 그 잠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구동 부재를 각도 휴지(rest)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허브(34)와 상기 구동 부재 사이에 배열된 탄성 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22)는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를 그 구동 위치에서 간격 없이 각도적으로 이동불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상기 허브(34)의 상보적인 부분(40)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16)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허브(34)를 통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각도 구동 위치를 정의하는 위치 정지부(position stop)(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22)는,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1차 피봇 축(A1)에 평행한 잠금 축(A3)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배열된 잠금 로커(roc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액추에이터(18)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열된 톱니형 입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톱니형 입력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회전을 상기 잠금 부재(22)의 구동에 대해 오프셋 방식으로 그 후퇴된 위치를 향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9. 제3항을 인용하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톱니형 입력 부재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메시(mesh)되도록 배열된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의 구동 스프로킷(sprocket)(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액추에이터(18) 상에 배열된 웜(worm)을 포함하며, 상기 웜은,
    - 상기 톱니형 입력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부재를 구동하거나, 또는
    - 상기 톱니형 입력 부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바람직하게는 직접 또는 간접 회전으로 상기 액추에이터(18)와 연결되며 상기 잠금 부재(22)에 의해 운반되는 캠-팔로워(cam-follower) 요소(52)와 협력하는 상기 잠금 부재(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캠(54, 54-1, 5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2. 제11항에 있어서, 잠금 가이드(63)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이동가능 구조체(12)와 상기 잠금 가이드(6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커니즘(20)은, 상기 잠금 부재(22)를 구동하고 상기 톱니형 입력 부재와 직접적으로 메시되도록 배열된 잠금 피니언(pinion)(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8)는, 회전 전기 모터, 회전 전기 모터를 갖는 기어형 모터, 축방향 변위를 갖는 전기 실린더, 및 축방향 변위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7023678A 2020-12-18 2021-12-14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20230122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13666 2020-12-18
FR2013666A FR3117985B1 (fr) 2020-12-18 2020-12-18 Volant de vehicule automobile a jante repliable ou escamotable
PCT/EP2021/085602 WO2022128987A1 (fr) 2020-12-18 2021-12-14 Volant de vehicule automobile a jante repliable ou escamo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067A true KR20230122067A (ko) 2023-08-22

Family

ID=7434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678A KR20230122067A (ko) 2020-12-18 2021-12-14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34388A1 (ko)
JP (1) JP2024501469A (ko)
KR (1) KR20230122067A (ko)
CN (1) CN116670012A (ko)
DE (1) DE112021005635T5 (ko)
FR (1) FR3117985B1 (ko)
WO (1) WO20221289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558B1 (en)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4388A1 (en) 2024-02-01
DE112021005635T5 (de) 2023-09-14
CN116670012A (zh) 2023-08-29
WO2022128987A1 (fr) 2022-06-23
JP2024501469A (ja) 2024-01-12
FR3117985B1 (fr) 2022-12-16
FR3117985A1 (fr)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43B2 (en) Steering device
US836619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EP2230131A1 (en) Foldable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US11613297B2 (en) Telescopic unlocking mechanism
US7611204B2 (en) Rotary adjustment mechanism
EP0523349B1 (en) Self adjusting eccentric pivot mechanism
CN101992703A (zh) 车辆座椅
JP2005297645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7743681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n actuation mechanism for telescoping and tilting movement
US3833965A (en) Adjustable seat inclination fitting
KR20230122067A (ko) 접이식 또는 후퇴가능 림을 갖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KR102585600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N103619646B (zh) 车辆座椅,特别是机动车辆座椅
JP5824755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CN114531896B (zh) 变速器和驻车锁止器操纵设备;变速器;以及电驱动单元
JP2010516328A (ja) チューブ・リクライナ機構および座席
TWI763890B (zh) 印字單元以及熱列印機
JP6355534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427437B1 (ko) 차량 시트용 작동 장치
WO2021260794A1 (ja) 伝動装置
US8733202B2 (en) Linear level for steering column
WO2008083405A1 (en) Vehicle seat
JP4755503B2 (ja) ドア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JP4093881B2 (ja) 転てつ機
JP7283430B2 (ja) 車両用操舵システム、連結機構切換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