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322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322A
KR20230121322A KR1020220018043A KR20220018043A KR20230121322A KR 20230121322 A KR20230121322 A KR 20230121322A KR 1020220018043 A KR1020220018043 A KR 1020220018043A KR 20220018043 A KR20220018043 A KR 20220018043A KR 20230121322 A KR20230121322 A KR 20230121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orifice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혁
이미영
최석호
오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322A/ko
Publication of KR2023012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마운트를 오리피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되, 오리피스가 삽입 결합되는 토출구에 오리피스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가이드를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하여 모터 및 실외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리피스의 외면에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탑캐비닛의 중간 측에 대한 변형을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마운트를 오리피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되, 오리피스가 삽입 결합되는 토출구에 오리피스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가이드를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하여 모터 및 실외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리피스의 외면에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탑캐비닛의 중간 측에 대한 변형을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실내기 및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는 실외팬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공기조화기의 모터는 실외기 내에 구비되는 모터마운트 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모터마운트 브라켓이 실외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마운트 브라켓에 공기조화기의 모터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 모터마운트 브라켓은 실외열교환기 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설치구조에서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캐비닛에 형성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외열교환기, 모터마운트 브라켓, 모터 및 팬을 순차적으로 지난 후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터 및 모터마운트 브라켓이 팬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구조에서는 팬의 흡입측으로 모터마운트 브라켓 및 모터를 거치면서 생성된 난류 성분과 와류 성분이 포함된 불균일 유동이 유입되기 때문에 유로 저항을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모터마운트 브라켓의 특성상 강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터마운트 브라켓은 되도록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모터 브라켓은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불균일 유동의 유입 및 유동 저항 증가에 따른 송풍효율의 저하는 모터의 소비전력의 상승과 소음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35503호(선행문헌 001)에는, 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그릴에 구비되는 모터마운트를 통해 그릴 측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기존 모터마운트 브라켓을 삭제하고, 모터를 팬의 토출측에 배치하도록 하여 소비전력을 낮추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실외기는, 캐비닛에 연결되는 그릴의 테두리를 통해 모터의 하중 및 진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릴의 테두리가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구성되지 않으면, 모터의 회전에 의한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실외기는, 모터가 그릴에 설치된 모터마운트에 지지되기 때문에 기존 모터마운트 브라켓을 통해 탑캐비닛을 지지하는 구조가 생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탑캐비닛의 중간 측 부분에 대한 지지구조가 취약하게 되기 때문에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탑캐비닛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3550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마운트를 오리피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되, 오리피스가 삽입 결합되는 토출구에 오리피스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가이드를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하여 모터 및 실외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리피스의 외면에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탑캐비닛의 중간 측에 대한 변형을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후면에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결합되는 그릴; 상기 그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오리피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와 상기 유입구로 도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그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실외팬; 및 상기 실외팬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공기의 기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토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마운트; 및 상기 원통형 본체부와 상기 모터마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사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의 일부를 상기 캐비닛을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폭은,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의 연장폭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두께보다 10배 내지 30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평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본체부의 외측면은, 상기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외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실외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탑캐비닛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서 중력방향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캐비닛과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오리피스에 결합되는 수직면부; 상기 탑캐비닛에 결합되는 수평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와 상기 수평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 상기 수평면부 및 상기 경사면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판상부재를 프레스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면부는, 상기 탑캐비닛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캐비닛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볼트가 통과하는 스크류홀이 구비되고, 상기 탑캐비닛의 전방에지로부터 상기 스크류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탑캐비닛의 전방에지로부터 후방에지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30% 내지 70% 비율을 갖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마운트를 오리피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오리피스가 삽입 결합되는 토출구에 오리피스에 대한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가이드를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하여 모터 및 실외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오리피스의 외면에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탑캐비닛의 중간 측에 대한 변형을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능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실외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리피스가 프런트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리피스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프런트캐비닛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오리피스에 연결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및 연결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연결플레이트가 오리피스와 탑캐비닛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의 전반적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개략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및 실외열교환기(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는 팽창밸브(300)가 실내기(I)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팽창밸브(300)는 실외기(O)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내기(I)와 실외기(O)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압축기(100)는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100)는 공기조화기(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100)가 공기조화기(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구비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200)는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로 작동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00)는 냉매와 실외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로 작동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로 작동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효율 향상을 위해서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400) 측에는 실외팬(4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실내팬(210)은 제1 모터(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실외팬(410)은 제2 모터(4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내팬(210)의 팬블레이드(230)는 제1 모터(220)의 의해서 회전되어 기류를 생성하고, 실외팬(410)의 팬블레이드(411)는 제2 모터(420)에 의해서 회전되어 기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4방 밸브(four-way valve)가 되는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O)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I)로 안내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00) 내에는 압축기(1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오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압축기(100) 내의 오일은 압축기(100)의 구동에 따라서 냉매와 혼합되어 압축기(100)로부터 냉매와 함께 혼합기의 형태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기가 공기조화기(10)의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게 되면,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분리기(50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105)를 통해 오일분리기(5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505)를 통해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되고,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전술한 실외기(O)에는 실외팬(41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오리피스가 구비될 수 있다. 오리피스는, 팬블레이드(411)로 흡입될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실외팬(410)의 팬블레이드(411)와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팬블레이드(411)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외기의 세부 구조]
이하,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실외기(O)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는 실외열교환기(400)와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실외기(O)의 전방을 향해 토출되는 전방토출형 실외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후술되는 구성은, 전방토출형 이외에도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측방향으로 토출되는 상방 토출형 실외기도 물론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전방토출형이 되는 실외기(O)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실외기(O)는,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460)과, 캐비닛(460)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릴(440)과, 그릴(440)의 후방에 배치되고 토출구에 삽입 및 결합되는 오리피스(450)와, 캐비닛(460) 내에 구비되는 압축기(100), 실외열교환기(400), 실외팬(410), 및 제2 모터(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460)은 실외기(O)의 외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기(100), 및 실외열교환기(40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캐비닛(46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캐비닛(461),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캐비닛(462), 상면을 형성하는 탑캐비닛(463),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캐비닛(464),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캐비닛(46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런트캐비닛(461), 리어캐비닛(462), 탑캐비닛(463), 바텀캐비닛(464) 및 한 쌍의 사이드캐비닛(465)이 결합되어 캐비닛(46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46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캐비닛(460)을 구성하는 프런트캐비닛(461), 리어캐비닛(462), 탑캐비닛(463), 바텀캐비닛(464), 및 사이드캐비닛(465)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캐비닛(462)과 한 쌍의 사이드캐비닛(465)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어캐비닛(462)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유입구(4621)가 형성되고, 프런트캐비닛(461)에는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4611)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캐비닛(462)에 구비되는 유입구(4621)는, 실외열교환기(4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좌우방향을 따라 또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충분한 흡입 유량이 확보될 수 있도록, 실외열교환기(400)의 후방 면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캐비닛(461)에 구비되는 토출구(4611)는, 실외팬(410) 및 제2 모터(42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실외팬(410) 및 제2 모터(42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 에지부와 직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는 복합 형상이 되는 개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팬(410)이 제2 모터(420)에 의해서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유입구(4621)를 통해 캐비닛(460) 내로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토출구(46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캐비닛(461)의 토출구(4611)의 전방에는, 열교환된 외부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실외팬(410) 등과 같은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기 위한 그릴(440)이 프런트캐비닛(46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릴(440)의 후방에는, 오리피스(45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50)는 프런트캐비닛(461)의 토출구(46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토출구(4611)에 직접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오리피스(450)는 그릴(440)의 후방에서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프런트캐비닛(46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오리피스(450)는 실외팬(41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그릴(440)을 향해 안내하는 역할과, 실외팬(410)을 구동하는 제2 모터(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리피스(450)는,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451)와, 제2 모터(42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마운트(452)가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400)는 냉매와, 리어캐비닛(462)의 유입구(4621)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외팬(410)의 구동에 의해 캐비닛(460) 내측으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실외열교환기(400)를 통과하면서 실외열교환기(400) 내의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실외팬(410)은, 외부공기의 기류방향을 기준으로 실외열교환기(400)의 상류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실외열교환기(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외팬(410)은 그릴(440)과 실외열교환기(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410)은 팬블레이드(411), 및 팬블레이드(411)를 지지하고 제2 모터(420)의 회전축(421)에 연결되는 팬허브(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실외팬(410)은, 실외열교환기(400)를 향하는 팬블레이드(411)의 후방측이 흡입측이 되고, 그릴(440)을 향하는 팬블레이드(411)의 전방측이 토출측이 되는 축류팬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팬(410)이 구동되면, 외부공기는 유입구(4621)를 통해 캐비닛(460)의 내부로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0), 실외팬(410)와 오리피스(450)를 차례로 경유하여 공기 토출구(4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410)은, 제2 모터(420)와 함께 오리피스(4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실외기(O)는 실외팬(410)의 설치를 위하여 종래와 같이 실외열교환기(400)에 고정되는 별도의 모터마운트 브라켓 등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450)의 중앙 측에는 제2 모터(420)가 결합되고 고정되는 모터마운트(441)가 구비될 수 있다.
[오리피스의 세부 구조]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실외기(O)에 구비되는 오리피스(45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오리피스(450)는, 프런트캐비닛(461)의 토출구(46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본체부(451)와, 원통형 본체부(45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모터(420)가 결합되는 모터마운트(452)와, 원통형 본체부(451)와 모터마운트(452)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사형 리브(4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451)는, 실외팬(410)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기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51)의 내측면(4511)은 직접적으로 외부공기의 기류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본체부(451)의 내측면(4511)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진행하면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가 점진적으로 다시 확장되는 입체적 곡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451)의 중량 감소를 위해서 본체부(451)의 두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은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의 형상과 유사한 입체적 곡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51)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2 모터(420) 및 실외팬(410)의 하중 및 진동은 본체부(451)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45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에는 복수의 보강리브(4513)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보강리브(4513)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선형 리브(4513a)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선형 리브(4513a)는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선형 리브(4513a)는 전후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는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는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선형 리브(4513a)와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는, 상호간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서로 교차하면서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선형 리브(4513a)의 반경방향 외측단부와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토출구(4611)의 주위에 형성되는 결합가이드(461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46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2 모터(420)의 회전축선(C)으로부터 복수의 선형 리브(4513a)의 반경방향 외측단부까지의 거리는 전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모터(420)의 회전축선(C)으로부터 복수의 고리형 리브(4513b)의 반경방향 외측단부까지의 거리는 원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 중 일부에는 선형 리브(4513a)와 고리형 리브(4513b)가 구비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의 3시 영역 및 9 시 영역에는 선형 리브(4513a)와 고리형 리브(4513b)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 리브(4513a)와 고리형 리브(4513b)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후술하는 프런트캐비닛(461)의 결합가이드(4612)의 평면부(4612b)에 대응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선형 리브(4513a)와 고리형 리브(4513b)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결합가이드(4612)의 평면부(4612b)와 함께 오리피스(450)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51)의 전방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면(4514)이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면(4514)은, 프런트캐비닛(461)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런트캐비닛(46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면(4514)에는 다수의 스크류홀(4514a)이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캐비닛(461)에는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스크류홀(46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451)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모터마운트(45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니 바와 같이, 모터마운트(452)의 내부로 제2 모터(4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모터마운트(452)는 전면과 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452)는, 제2 모터(420) 및 실외팬(410)의 하중 및 진동에 무관한게 효과적으로 제2 모터(420) 및 실외팬(4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수준 이상의 강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되 중량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중 원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원통 구조를 구현하는 내측원통과 외측원통은, 복수의 리브(4523)를 통해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모터마운트(452)의 내주면(4521)에는 복수의 체결보스(4524)가 일체로 내주면(452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보스는 모터마운트(452)의 내주면(4521)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보스는, 제2 모터(420)의 외둘레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 모터(420)를 지지하고 제2 모터(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체결보스의 내부에는 스크류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420)의 체결탭(미도시)과 체결보스는 스크류볼트를 통해서 상호간 체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4에는, 제2 모터(420)의 체결탭의 개수에 대응하여 총 4개의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2 모터(420)의 체결탭의 개수에 따라 체결보스의 개수는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방사형 리브(453)는 모터마운트(452)와 본체부(45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방사형 리브(453)는, 내측단부가 모터마운트(452)의 외주면(4522)에 일체로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본체부(451)의 내측면(4511)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베인 또는 고정익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을 따라 모터마운트(452)를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방사형 리브들(453)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방사형 리브(453)가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내지 5에는 총 11개의 방사형 리브(453)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오리피스(450)의 사이즈 및 제2 모터(420) 및 실외팬(410)의 중량에 따라 방사형 리브(453)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제2 모터(420) 및 실외팬(410)의 하중 및 진동에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이들을 지지하고 소정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450)를 구성하는 본체부(451), 모터마운트(452) 및 복수의 방사형 리브(453)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캐비닛의 세부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터(420)와 실외팬(410)을 지지하는 오리피스(450)는, 최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면(4514)을 제외한 본체부(451)가 대부분 프런트캐비닛(461)의 토출구(4611)를 통과하여 실외기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프런트캐비닛(461)에 결합된다.
이 때, 본체부(451)의 플랜지면(4514)과 프런트캐비닛(461)이 상호간 체결되는 방식으로 오리피스(450)가 프런트캐비닛(46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2 모터(420)와 실외팬(410)을 합친 조립체의 실제 무게중심은 토출구(4611)보다는 더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구(4611)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질수록 제2 모터(420)와 실외팬(410)이 오리피스(450)의 플랜지면(4514)에 더 큰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굽힘 모멘트에 의한 플랜지면(451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캐비닛(461)은, 실외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가이드(4612)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가이드(4612)의 내주면에는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에 구비되는 보강리브(4513)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오리피스(450)가 결합가이드(461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4612)는 프런트캐비닛(461)에 구비되는 토출구(4611)의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연장되고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는 토출구(4611)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가이드(4612)는 프런트캐비닛(461)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프런트캐비닛(461)에 부착되거나, 프런트캐비닛(461)과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캐비닛(46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프런트캐비닛(461)의 일부를 실외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벤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캐비닛(461)과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결합가이드(4612)를 부착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결합가이드(4612)를 통한 오리피스(450)의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결합가이드(4612)는 상당히 깊게 실외기의 내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가이드(4612)가 실외기(O)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폭(W)은 결합가이드(4612)의 두께(t)보다 10배 내지 30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균일한 지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결합가이드(4612)의 연장폭(W)은 토출구(4611)의 주위를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결합가이드(4612)는, 프런트캐비닛(461)의 토출구(4611)의 주위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4612a)와, 곡면부(4612a)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토출구(4611)의 주위를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46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결합가이드(4612)는 한 쌍의 곡면부(4612a)와 한 쌍의 평면부(46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곡면부(4612a)와 평면부(4612b)는 교대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면부(461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리브(4513a)와 고리형 리브(4513b)가 형성되지 않는 본체부(451)의 영역에 대응하여 3시 영역 및 9 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420)의 회전축선(C)으로부터 평면부(4612b)까지의 거리는, 제2 모터(420)의 회전축선(C)으로부터 곡면부(4612a)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평면부(4612b)는 곡면부(4612a)보다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더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가이드(4612)의 내면의 형상에 의해서 오리피스(450)가 도입 가능한 정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는 오리피스(450)는 토출구(4611)를 통과하여 삽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결합가이드(4612)의 내면 형상 및 오리피스(450)의 외면 형상에 의해서, 오리피스(450)의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어퍼캐비닛의 지지구조]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실외기(O)는 탑캐비닛(463)의 내부 영역을 지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모터(420)를 지지하는 모터마운트(452)가 오리피스(450)에 구비되기 때문에 모터마운트 브라켓을 통해 탑캐비닛(463)을 지지하는 구조가 생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에 모터마운트 브라켓을 이용하여 탑캐비닛(463)의 중간 영역 부분을 지지하는 구조가 생략되기 때문에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탑캐비닛(463)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즉, 탑캐비닛(463)의 가장자리 에지는, 프런트캐비닛(461), 사이드캐비닛(465) 및 리어캐비닛(462)에 결합 및 연결되기 때문에 충분한 중력방향으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탑캐비닛(463)의 내부 중간 영역은 종래와는 달리 하부 측에 지지구조가 구비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탑캐비닛(463)의 내부 중간 영역을 오리피스(450)를 통해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이와 같은 지지수단은, 탑캐비닛(463)와 오리피스(450) 사이에 배치되고, 탑캐비닛(463)와 오리피스(4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4515)가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515)는, 오리피스(450)에 결합되는 수직면부(4515b)와, 탑캐비닛(463)에 결합되는 수평면부(4515a)와, 수직면부(4515b)와 수평면부(4515a)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부(451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수직면부(4515b), 수평면부(4515a) 및 경사면부(4515c)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판상부재를 프레스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플레이트(4515)는 판상부재를 적어도 2회의 벤딩 가공을 통해서 판스프링 형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수직면부(4515b)는,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의 최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의 최상단에는 수직면부(4515b)가 결합되는 고정탭(4512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면부(4515b)에 대한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수직면부(4515b)는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플레이트(4515)는 탑캐비닛(463)의 중간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정탭(4512a)은 최대한 실외기의 내부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고정탭(4512a)은 오리피스(450)의 본체부(451)의 외측면(4512)의 최상단으로서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탭(4512a)과 수직면부(4515b)는 적어도 2개의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수직면부(4515b)에는 2개의 스크류홀(4515b1)이 구비될 수 있다.
수평면부(4515a)는, 탑캐비닛(463)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탑캐비닛(463)의 저면에 대한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수평면부(4515a)는 탑캐비닛(463)의 저면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면부(4515b)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2개의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수평면부(4515a)에는 2개의 스크류홀(4515a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탑캐비닛(463)에는 2개의 스크류홀(46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면부(4515a)는 탑캐비닛(463)의 중간 영역을 지지하도록 위치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평면부(4515a)의 위치는 수평면부(4515a)의 스크류홀(4515a1) 및 탑캐비닛(463)의 스크류홀(4633)의 위치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부(4515a)의 위치는, 탑캐비닛(463)의 전방에지(4631)로부터 스크류홀(4515a1, 4633)까지의 거리(L1)가 탑캐비닛(463)의 전방에지(4631)로부터 후방에지(4632)까지의 거리(L2)에 대해서 30% 내지 70% 비율을 갖게 되는 위치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수평면부(4515a)의 전후방향 폭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수평면부(4515a)의 전후방향 폭을 더 넓게 형성하면,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위치범위는 더 넓은 범위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공기조화기 I: 실내기
O: 실외기 400: 실외열교환기
410: 실외팬 420: 제2 모터
440: 그릴 450: 오리피스

Claims (15)

  1. 후면에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결합되는 그릴;
    상기 그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는 오리피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와 상기 유입구로 도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그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실외팬; 및
    상기 실외팬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공기의 기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팬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에 고정되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토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본체부;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가 결합되는 모터마운트; 및
    상기 원통형 본체부와 상기 모터마운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방사형 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1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2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3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의 일부를 상기 캐비닛을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벤딩하여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2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폭은,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5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의 연장폭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두께보다 10배 내지 30배 더 크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2 항에서,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에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주위를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7 항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평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8 항에서,
    상기 오리피스의 본체부의 외측면은, 상기 곡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외측면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1 항에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실외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탑캐비닛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서 중력방향으로 지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탑캐비닛과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탑캐비닛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11 항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오리피스에 결합되는 수직면부;
    상기 탑캐비닛에 결합되는 수평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와 상기 수평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면부, 상기 수평면부 및 상기 경사면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판상부재를 프레스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수평면부는, 상기 탑캐비닛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5. 제14 항에서,
    상기 탑캐비닛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볼트가 통과하는 스크류홀이 구비되고,
    상기 탑캐비닛의 전방에지로부터 상기 스크류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탑캐비닛의 전방에지로부터 후방에지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30% 내지 70% 비율을 갖게 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220018043A 2022-02-11 2022-02-1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121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43A KR20230121322A (ko) 2022-02-11 2022-02-1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43A KR20230121322A (ko) 2022-02-11 2022-02-1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322A true KR20230121322A (ko) 2023-08-18

Family

ID=8780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043A KR20230121322A (ko) 2022-02-11 2022-02-1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3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503A (ko) 2016-05-3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503A (ko) 2016-05-3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613B2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ed thereto
US9494358B2 (en) Air conditioner
KR10213325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565672B1 (ko) 공기조화기
KR20150133077A (ko) 송풍팬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CN101109545A (zh) 一种空调器
KR20120061961A (ko) 관류 팬, 성형용 금형 및 유체 이송 장치
CN111473421A (zh) 半导体空调用风叶组件、风机组件以及半导体空调
KR2023012132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14147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01109546B (zh) 空调器
CN109974134A (zh) 用于安装电机的支架和具有其的空调室外机
CN219063598U (zh) 空调室内机
CN219494244U (zh) 风管机
CN219868081U (zh) 热泵采暖机
KR100734364B1 (ko) 공기조화기
CN219868083U (zh) 热泵采暖机
KR10085093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17540916U (zh) 多联机室外机
CN219868082U (zh) 热泵采暖机
US20230366586A1 (en) Air conditioner
US20070079628A1 (en) Air conditioner
CN215062439U (zh) 空调器室内机
KR20230121325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12132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