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232A -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232A
KR20230121232A KR1020220017779A KR20220017779A KR20230121232A KR 20230121232 A KR20230121232 A KR 20230121232A KR 1020220017779 A KR1020220017779 A KR 1020220017779A KR 20220017779 A KR20220017779 A KR 20220017779A KR 20230121232 A KR20230121232 A KR 2023012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ingioma
medium
organoid
organoids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스데반
박준성
김도경
정연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232A/ko
Priority to PCT/KR2022/020241 priority patent/WO2023153614A1/ko
Publication of KR2023012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3Tumour cells; Cance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뇌수막종 치료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고, 특히,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어,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Patient-derived meningioma organoid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수막종(meningioma)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총칭하며,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구분된다. 뇌수막종은 대부분 양성 뇌수막종이며, 악성은 2~12% 정도이다. 뇌수막종은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고, 발생 부위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뇌수막종은 신경학적 검진을 시행한 이후,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진행하여 진단한다. 뇌수막종의 치료는 수술을 통한 제거 또는 방사선 치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뇌수막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명확한 약제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2007~2016년 10년간 국내에서 11만 5,000명의 원발성 뇌종양이 발생했고 10만 명당 환자가 22명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 절반 정도만 수술에 의한 조직 진단으로 확인된 점을 감안하면, 국내에서는 연간 6,000명 정도의 환자가 원발성 뇌종양 수술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국신경종양학회(2019)의 보고에 따르면, 뇌종양의 5년 생존율은 신경초종(99.3%), 뇌하수체 선종(96.8%), 양성 뇌수막종(88.0%), 악성 뇌수막종(68.2%) 및 악성 교모세포종(6.8%)이며, 이 중 뇌수막종은 생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오가노이드(organoid)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자가 재생 및 자가 조직화를 통해 형성된 3차원 세포집합체이다. 이러한 오가노이드는 인간 장기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성을 근접하게 모방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인간 조직에 대한 향상된 모델링이 가능하므로, 암 연구, 신경생물학, 줄기세포 연구, 신약 개발 분야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오가노이드를 통한 개인 맞춤형 약물 스크리닝 또는 유전체 기반 정밀 의학연구에 적합할 수 있다.
2019년 오가노이드 시장은 발달생물학(29%), 약물 탐색 및 맞춤의약(22.9%), 감염 병리학(16.6%), 재생의료(14.4%), 약물 독성 및 효능 평가(12.8%)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고, 2027년에는 발달생물학(30.4%), 약물 탐색 및 맞춤의약(25.3%), 감염 병리학(15.7%), 재생의료(13%), 약물 독성 및 효능 평가(12.3%)의 순서로 시장 점유를 예상하여 약물 탐색 및 맞춤의약을 이루기 위한 오가노이드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612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a) 뇌수막종 환자로부터 분리된 뇌수막종 조직에 배지를 넣고 잘게 자르는 단계; (b) 상기 잘게 자른 조직에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용해 완충액이 처리된 조직에 배양 배지를 넣은 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뇌수막종 진단 마커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뱅킹용 배지를 넣고 -80 ℃에서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biobanking)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바이오뱅킹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회복(recovery)시키는 단계; 상기 회복된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뇌수막종 환자로부터 분리된 뇌수막종 조직에 배지를 넣고 잘게 자르는 단계; (b) 상기 잘게 자른 조직에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용해 완충액이 처리된 조직에 배양 배지를 넣은 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뇌수막종 진단 마커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뱅킹용 배지를 넣고 -80 ℃에서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biobanking)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바이오뱅킹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회복(recovery)시키는 단계; 상기 회복된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는 뇌수막종의 종양 특이적 기능 및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뇌수막종 치료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고, 특히,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어,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바이오 뱅킹 후 회복된 오가노이드를 배양한 후 1주 및 3주째에 성장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3종의 오가노이드의 성장율(a) 및 크기(b)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3종의 오가노이드의 침윤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3종의 오가노이드에 대해 H&E 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5는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4종의 약물을 처리한 후 LDH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Hydroxyurea, HU; Everolimus, Evero; Mifepristone, Mife; 및 Temozolomide, TMZ).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뇌수막종 환자로부터 분리된 뇌수막종 조직에 배지를 넣고 잘게 자르는 단계; (b) 상기 잘게 자른 조직에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용해 완충액이 처리된 조직에 배양 배지를 넣은 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배지는 1% Glutamax, 1% Penicillin/streptomycin 및 2.5 μg/ml의 amphotericin B가 포함된 차가운 Hibernate-A 배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양 배지는 50% DMEM/F12 배지, 50% Neurobasal 배지, 1X Glutamax, 1X MEM NEAAs, 1X Penstrep, 1X N-2 supplement, 1X B27 w/o vitamin A, 1X 2-mercaptoethanol 및 2.5 μg/ml Insulin solution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양은 배양기 내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7℃, 5% CO2 배양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 DMEM/F12 배지와 Neurobasal 배지를 1:1로 혼합한 배지로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MEM/F12 배지와 Neurobasal 배지를 1:1로 혼합한 배지는 세척용 배지로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DH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이 기준치보다 증가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뇌수막종 진단 마커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뇌수막종 진단 마커는 EMA(epithelial membrane antigen)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MA의 발현량이 기준치보다 감소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뱅킹용 배지를 넣고 -80 ℃에서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biobanking)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뱅킹용 배지는 50% DMEM/F12 배지, 50% Neurobasal 배지, 1X Glutamax, 1X MEM NEAAs, 1X Penstrep, 1X N-2 supplement, 1X B27 w/o vitamin A, 1X 2-mercaptoethanol, 2.5 μg/ml Insulin solution, 10 μM Y-27632 및 10% DMSO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이드의 배양 배지에 10 μM Y-27632 및 10% DMSO가 추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바이오뱅킹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회복(recovery)시키는 단계; 상기 회복된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DH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이 기준치보다 증가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환자-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Meningioma organoid)의 제조 및 배양 방법
총 3명의 뇌수막종 환자(Grade I: MNO21-01; Grade 2: MNO21-04,05)로부터 조직을 얻어,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배양을 수행하였다. 환자에게서 얻은 신선한 뇌수막종 조직(Fresh meningioma tissues)은 차가운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하였으며, 세척 후, 1% Glutamax (Gibco), 1%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및 2.5 μg/ml의 amphotericin B (Gibco)이 포함된 차가운 Hibernate-A 배지를 적용시킨 상태에서 조직을 외과용 가위와 0.5~1mm 크기로 잘게 조각내었다. 잘려진 뇌수막종 조직 조각은 Conical tube에 모아 실온의 PBS로 3회 세척한 후,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lysis buffer)로 5-10분간 적용시켰다. 이후, RBC 용해 완충액을 제거하고, DMEM/F12 배지와 Neurobasal 배지를 1:1로 섞은 세척용 배지에서 3회 세척하고, 6 웰 플레이트에 조각된 조직을 동등한 양으로 분배하였다. 예열된 뇌수막종 배양 배지 (50% DMEM/F12 배지 (Thermofisher), 50% Neurobasal 배지 (Thermofisher), 1X Glutamax, 1X MEM NEAAs (Gibco), 1X Penstrep (Gibco), 1X N-2 supplement (Gibco), 1X B27 w/o vitamin A (Gibco), 1X 2-mercaptoethanol (Gibco), 2.5 μg/ml Insulin solution human (Sigma-aldrich))를 6 웰 플레이트에 넣어주고 37℃, 5% CO2 배양기 내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환자-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Biobanking) 및 회복(Recovery)
2주 내지 3주 동안 배양된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바이오 뱅킹하기 위해 외과용 가위와 핀셋을 이용하여 단일 오가노이드를 0.1~0.5 mm 이내의 크기로 잘라주었다. 더 작은 크기로 잘려진 오가노이드는 세척용 배지(50% DMEM/F12 배지, 50% Neurobasal 배지)로 세척한 후, 뇌수막종 배양 배지에 10 μM Y-27632(Tocris)를 추가하여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뱅킹용 배지(freezing medium; 뇌수막종 배양배지, 10 μM Y-27632, 10% DMSO (Sigma-aldrich))를 적용하여 -80 ℃의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동결 보관된 오가노이드를 다시 실험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37℃ water bath에 Cryotube를 빠르게 녹인 후, 10 μM Y-27632가 포함된 뇌수막종 배양 배지를 적용시켜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가 없는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밤샘 배양하였다. 다음 날, 10 μM Y-27632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뇌수막종 배양 배지로 교체하고, 37℃, 5% CO2 배양기 내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였다. 바이오 뱅킹-회복된 오가노이드는 3주 배양한 이후 평균 O.D 값이 0.364로서 오가노이드의 성장이 완전히 회복되어 안정화되었다 (도 1).
실시예 3.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기능적 특성 확인
3.1. 오가노이드 성장율 측정(Proliferation assay)
구축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기능적 특성을 확인을 위해 성장율을 분석하였다. 오가노이드의 성장율은 WST 분석법(Cell Counting Kit-8, Dojindo)을 통해 수행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단일 오가노이드를 분주하고, 3주간 배양하며 추적 관찰하였다. 0, 1, 3주째에 각 웰에 테트라졸리움 염(Tetrazolium)을 1/10로 첨가한 배지로 교체하고, 1시간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오가노이드 크기는 Bright field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3종의 오가노이드 모두 첫 측정 시점에 비해 성장율이 각각 3.89 배(MNO21-01), 2.63 배(MNO21-04) 및 5.33 배(MNO21-05)로 증가하였으며 (도 2a), 오가노이드의 크기도 3주째 더욱 커진 것을 확인하였다 (도 2b).
3.2. 오가노이드의 침윤능 측정(Invasion assay)
구축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기능적 특성을 확인을 위해 침윤능을 분석하였다. 3차원 침윤 분석을 위해 마트리겔(Matrigel, Corning)과 콜라겐 I (Collagen type I, Wako)을 1:1 비율로 섞고, 1X Ham's F12 배지와 Reconstitution buffer(NaHCO3, NaOH, HEPES)를 혼합하여 매트릭스(matrix) 구축을 위한 혼합 용액을 만들었다. 혼합 용액은 사용 전까지 4℃에서 혼합 및 유지시켰으며, 각 혼합용액 100 μl를 각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단일 오가노이드를 마트리겔-콜라겐 매트릭스 내에 이식하였다. 37℃ 및 5% CO2 배양기에 1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뇌수막종 배양 배지 50 μl를 매트릭스 상층에 첨가하였다. 이식 당일과 72시간 배양 후 Bright field로 오가노이드를 촬영하였고, 7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오가노이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이식 당일 초기 면적과 비교하여 침윤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마트리겔-콜라겐 매트릭스 내 이식된 오가노이드는 72시간 째에 주변 매트릭스로 침윤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실시예 4.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구조적 특성 확인
구축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H&E 염색(Hematoxyin & Eosin)을 통해 실제 뇌수막종 진단 환자의 조직과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IHC)을 시행하였다.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는 4% 파라포름 알데하이드 용액으로 고정한 후, 30% 수크로오스(sucrose)로 추가 고정하였다. 이후, 최적 절단 온도(OCT) 화합물 (Sakura Finetek)을 이용하여 동결시킨 후, -20℃에서 마이크로톰(microtome)을 사용하여 냉동 절편을 20 μm로 절단하여 슬라이드 제작하였다.
H&E 염색에서는 제작된 냉동절편 슬라이드를 TBST로 3회 세척한 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용액(Sigma-aldrich)으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3종의 오가노이드 모두에서는 실제 뇌수막종 진단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와 유사한 조직학적 형태를 띄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4).
이후,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에 있어, DAB을 위해 냉동절편 슬라이드를 TBST(Tris buffered saline, 0.1% Tween)로 3회 세척한 후, Citrate buffer 또는 Tris-EDTA 용액 등을 이용하여 항원 복구(Antigen retrieval)를 시행하였다. 이후, 내인성 과산화효소 억제(endogenous peroxidase blocking)와 세포 표면에 구멍을 내어주기 위해 메탄올 용매에 30% 과산화수소 용액 1/10의 비율로 섞어 상온에서 10분간 조직 슬라이드에 처리하였다. 이후, 5% 소혈청(Bovine serum)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적용시킨 후, 1% 소혈청과 1차 항체를 함께 적용하여 4℃에서 밤새 적용시켰다. 1차 항체는 EMA(Dako), Ki67(Abcam), Vimentin(Cell signaling technology), CD3(Abcam), Iba1(Abcam), CD68(Abcam), CD31(Abcam), SOX2(Abcam)를 사용하였다. 다음 날, 각 1차 항체에 상응하는 2차 항체들을 30분 이상 적용하였으며, TBST 세척 후, DAB 적용하여 발색시켰다. 이후, 봉입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봉입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형광 염색을 위해 냉동절편 슬라이드를 TBST로 3회 세척한 후, Citrate buffer 또는 Tris-EDTA 용액 등을 이용하여 항원 복구(Antigen retrieval)을 시행하였다. 이후, 세포 표면에 구멍을 내어주기 위해 0.01% 트리톤 x-100 용액을 상온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5% 소혈청(Bovine serum)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적용시킨 후, 1% 소혈청과 1차 항체를 함께 적용하여 4℃에서 밤새 적용시켰다. 1차 항체는 EMA(Dako), Ki67(Abcam), Vimentin(Cell signaling technology), CD3(Abcam), Iba1(Abcam), CD68(Abcam), CD31(Abcam), SOX2(Abcam)를 사용하였다. 다음 날, 각 1차 항체에 상응하는 형광-접합된 2차 항체들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적용하였으며, TBST 세척 후, 핵을 염색하기 위해 Hoechst로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이후, 조직 슬라이드에서 봉입제를 떨어뜨려 봉입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내부에는 뇌수막종의 임상적 진단 표지자인 EMA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났고, 이외에도 지주막 세포(Arachnoid cell)의 표지자 중 하나인 Vimentin, 면역세포 T 세포의 표지자인 CD3, Microglia (대식세포)의 표지자인 Iba1와 CD68, 혈관내피세포 표지자인 CD31의 마커가 강하게 발현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실시예 5. 뇌수막종 치료제 후보물질 처리에 따른 오가노이드의 세포독성 분석(Cytotoxicity test)
뇌수막종 치료제 후보물질 4종의 적용에 따른 오가노이드의 세포독성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LDH(lactate dehydrogenase) assay (Promega)을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단일 오가노이드를 분주하고,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Hydroxycarbamide or hydroxyurea, HU), 에버롤리무스(Everolimus),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및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등의 후보물질 4종을 각각 단일 오가노이드가 분주된 웰에 농도별로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37℃ 및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오가노이드 배양액 일부와 LDH 검출용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빛이 차단된 상태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발광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및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이 처리된 2종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MNO21-04,05)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LDH 방출량(release)가 증가함으로써 세포독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6). 반면,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Hydroxycarbamide or hydroxyurea) 및 에버롤리무스(Everolimus)가 처리된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서는 농도-의존적인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도 6).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약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고, 더불어 개인 맞춤형 항암제를 스크리닝할 수 있어, 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a) 뇌수막종 환자로부터 분리된 뇌수막종 조직에 배지를 넣고 잘게 자르는 단계;
    (b) 상기 잘게 자른 조직에 RBC(red blood cell)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용해 완충액이 처리된 조직에 배양 배지를 넣은 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배지는 1% Glutamax, 1% Penicillin/streptomycin 및 2.5 μg/ml의 amphotericin B가 포함된 차가운 Hibernate-A 배지인 것인,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양 배지는 50% DMEM/F12 배지, 50% Neurobasal 배지, 1X Glutamax, 1X MEM NEAAs, 1X Penstrep, 1X N-2 supplement, 1X B27 w/o vitamin A, 1X 2-mercaptoethanol 및 2.5 μg/ml Insulin solution이 포함된 것인,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양은 배양기 내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는 것인,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 DMEM/F12 배지와 Neurobasal 배지를 1:1로 혼합한 배지로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7. 제 6 항에 따른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DH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이 기준치보다 증가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9. 제 6 항에 따른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뇌수막종 진단 마커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뇌수막종 진단 마커는 EMA(epithelial membrane antigen)인 것인, 스크리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MA의 발현량이 기준치보다 감소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12. 제 6 항에 따른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에 뱅킹용 배지를 넣고 -80 ℃에서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의 바이오뱅킹(biobanking)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뱅킹용 배지는 50% DMEM/F12 배지, 50% Neurobasal 배지, 1X Glutamax, 1X MEM NEAAs, 1X Penstrep, 1X N-2 supplement, 1X B27 w/o vitamin A, 1X 2-mercaptoethanol, 2.5 μg/ml Insulin solution, 10 μM Y-27632 및 10% DMSO가 포함된 것인, 바이오뱅킹 방법.
  14. 제 12 항에 따른 방법으로 바이오뱅킹된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를 회복(recovery)시키는 단계;
    상기 회복된 오가노이드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오가노이드 또는 이의 배양액에서 LDH(lactate dehydrogenase)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뇌수막종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LDH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방출량이 기준치보다 증가한 후보 물질을 뇌수막종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KR1020220017779A 2022-02-10 2022-02-10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21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9A KR20230121232A (ko) 2022-02-10 2022-02-10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2/020241 WO2023153614A1 (ko) 2022-02-10 2022-12-13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9A KR20230121232A (ko) 2022-02-10 2022-02-10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32A true KR20230121232A (ko) 2023-08-18

Family

ID=8756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79A KR20230121232A (ko) 2022-02-10 2022-02-10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1232A (ko)
WO (1) WO20231536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35A (ko) 2018-11-23 2020-06-02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주식회사 뇌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15096A1 (en) * 2018-02-02 2020-08-06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Organoids related to immunotherapy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WO2019182326A1 (en) * 2018-03-22 2019-09-26 Dong Ha Bhang Method and system for 3d cell culture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35A (ko) 2018-11-23 2020-06-02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주식회사 뇌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14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80472B (zh) 一种培养专用于生物医药功能研究的人肺癌类器官3d模型的方法
Hsu et al. Generation of chordoma cell line JHC7 and the identification of Brachyury as a novel molecular target
Vilgelm et al. Fine-needle aspiration-based patient-derived cancer organoids
CN105850981B (zh) 冻存肿瘤组织的方法
KR20110091805A (ko) 동물 간 세포의 배양 방법
Dvořánková et al. Isolation of normal fibroblasts and their cancer-associated counterparts (CAFs) for biomedical research
CN112592897A (zh) 一种肿瘤类器官的制备方法
CN111040996B (zh) 一种制备卵巢癌类器官的方法
KR20200002655A (ko) 비수술적 방법에 의한 인간유래 3차원 오거노이드의 제조 방법
Khoshyomn et al. Brain tumor invasion rate measured in vitro does not correlate with Ki-67 expression
Mazzocchi et al. Pleural effusion aspirate for use in 3D lung cancer modeling and chemotherapy screening
KR20230121232A (ko) 환자 유래 뇌수막종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EP2138844B1 (en) Method for testing the response of cells to exposures with therapeutics
Meurer et al. Isolation, purification, and culture of primary murine hepatic stellate cells: An update
CN107460170B (zh) 人垂体腺瘤细胞系的建立及其应用
Jiang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race marking and oncogenicity of neural stem cells derived from bone marrow
Saez et al. Chemotherapeutic trials on human malignant astrocytomas in organ culture
US7977041B2 (en) Methods and kit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rapeutic compounds and other therapies in a three-dimensional matrix with respect to tumorous cells and tissue
Greier et al. Optimizing culturing conditions in patient derived 3D primary slice cultures of head and neck cancer
US20140128272A1 (en) Method for Inducing Dormancy of Cancer Tissue-Derived Cell Mass and Method for Evaluating Treating Means with the Use of Cancer-Tissue-Derived Cell Mass
CN112760287A (zh) 一种用于培养泌尿肿瘤实体瘤原代细胞的培养基
CA2698338C (en) Three-dimensional physiological matrices for oncological testing,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CN110628864A (zh) 一种水凝胶包被的微组织块培养药敏检测方法
CN113025576B (zh) 一种人源性腺激素型垂体腺瘤干细胞细胞系的构建方法及其应用
KR102577816B1 (ko) 암 미세환경 모사 췌장암 오가노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