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791A - 유제성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제성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791A
KR20230116791A KR1020237017828A KR20237017828A KR20230116791A KR 20230116791 A KR20230116791 A KR 20230116791A KR 1020237017828 A KR1020237017828 A KR 1020237017828A KR 20237017828 A KR20237017828 A KR 20237017828A KR 20230116791 A KR20230116791 A KR 2023011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oily
oi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코 스즈키
마유미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마루호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호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마루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27Peroxy compounds, e.g. hydroperoxides, peroxides, peroxy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산화 벤조일에 의한 피부 건조의 부작용을 경감시키고, 동시에, 과산화 벤조일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A) 과산화 벤조일, (B) 0.3∼12.5중량%의, α값이 0∼8°인 적어도 1종의 액상 오일, (C) 0.3∼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형 오일, (D) 적어도 1종의 수성 용매, 및 (E)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용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

Description

유제성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은 심상성 좌창의 치료에 유용한 국소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과산화 벤조일을 포함하는 피부용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상성 좌창은 일반적으로 「여드름」이라고 하는, 안면에 호발하는 피부질환으로, 외용제의 도포에 의한 셀프 케어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산화 벤조일은 많은 나라에서 심상성 좌창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과산화 벤조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H09-871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41469호
과산화 벤조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에 의한 부작용으로서, 도포 부위에서의 피부의 건조가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이 적은 의약 조성물이 소망되고 있다. 도포부위의 건조를 방지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조성물에 유분을 첨가해서 보습능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과산화 벤조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유분을 첨가하면,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산화 벤조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로서, 과산화 벤조일에 의한 피부 건조의 부작용이 적고, 동시에 과산화 벤조일을 조성물 중에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검토를 겹친 결과, 과산화 벤조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기제로서, 특정한 양의 액상 오일 및 고형 오일, 수성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제성 기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보습성 및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 양쪽이 우수한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성공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A) 과산화 벤조일,
(B) 0.3∼12.5중량%의, α값이 0°∼8°인 적어도 1종의 액상 오일,
(C) 0.3∼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형 오일,
(D) 적어도 1종의 수성 용매, 및
(E)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를 함유하는 피부용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
[2] 상기 [1]에서, 유효성분으로서 과산화 벤조일만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서, 액상 오일(B)이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데실, 및 2-에틸헥산산 세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서, 고형 오일(C)이 탄소 수 16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 스테아르산, 파라핀, 및 백랍(white beeswax)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액상 오일(B)의 함유율이 0.5∼10중량%이고,
고형 오일(C)의 함유율이 0.3∼1.4중량%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수성 용매(D)가 (d1) 5∼3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의 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7] 상기 [1]에서, 액상 오일(B)로서 0.3∼12.5중량%의 스쿠알란, 고형 오일(C)로서 0.3∼2.5중량%의,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알코올, 수성 용매(D)로서 (d1) 5∼3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8] 상기 [1]에서, 액상 오일(B)로서 1.5∼5중량%의 스쿠알란, 고형 오일(C)로서 0.3∼0.9중량%의,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알코올, 수성 용매(D)로서 (d1) 10∼25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65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고, 성분 [A]∼[E] 이외의 성분의 총함유율이 5중량% 이하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
[9] 상기 [7] 또는 [8]에서, 유효성분으로서 과산화 벤조일만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본발명에 따른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보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도포부위의 피부가 건조되기 어렵고, 동시에, 유효성분인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수분 증산 억제 평가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과산화 벤조일(A)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과산화 벤조일은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과산화 수소수를 첨가해서 과산화 나트륨 용액을 얻고, 이것에 염화 벤조일을 첨가해서 조제할 수 있다. 또, 시장으로부터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산화 벤조일의 함유율은 1∼5중량%가 바람직하고, 1.5∼4중량%가 더 바람직하고, 2∼3중량%가 특히 바람직하고, 2.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중량% 또는 함유율이란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100%로 했을 경우의, 각 성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과산화 벤조일(A)은 금속 산화물층로 피복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좌창을 치료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과산화 벤조일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좌창용 치료제로서 아다팔렌 등의 나프토산 화합물과, 과산화 벤조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합제가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아다팔렌 등의 나프토산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α값이 0°∼8°의 액상 오일(B)을 0.3∼12.5중량%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상 오일이란 상온(25℃)에서 액상의 유성 성분을 가리킨다. 또, α값이란 유기 개념도에 의한 α값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 개념도란 FUJITA Atsushi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그 상세한 내용은 「Pharmaceutical Bulletin」, 1954, vol.2, 2, pp.163-173; 「화학의 영역」, 1957, vol.11, 10, pp.719-725; 「Fragrance Journal 」, 1981, vol.50, pp.79-82 등에서 설명하고 있다. 즉, 모든 유기 화합물의 근원을 메탄(CH4)으로 하고, 다른 화합물은 모두 메탄의 유도체라고 간주하고, 그 탄소 수, 치환기, 변태부, 환 등에 각각 일정한 수치를 설정하고, 그 스코어를 가산해서 유기성 값 및 무기성 값을 산출한다. 이 값을, 유기성 값을 X축, 무기성 값을 Y축으로 한 도면 상에 플롯했을 때의 경사, 그 각도가 α값이다.
α값이 8°를 넘는 액상 오일을 사용하면, 유제성 외용 조성물에의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α값이 7° 이하의 액상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액상 오일(B)의 바람직한 예로서, 액상 탄화수소, 및 저극성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상 탄화수소의 예로서, 스쿠알란(0°), 유동 파라핀(0°), 경질 유동 파라핀(0°), 경질 이소파라핀(0°), 유동 이소파라핀(0°), 스쿠알렌(1°), α-올레핀올리고머(0°), 및 폴리부텐(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극성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의 예로서,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5°), 올레산 올레일(5°), 올레산 데실(6°), 2-에틸헥산산 세틸(7°) 등을 들 수 있다. 각 물질명에 이어지는 괄호 안의 수치는 α값을 나타낸다. 상기 액상 오일은 어느 것이나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액상 오일은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및 경질 유동 파라핀 등의 α값이 0°의 액상 탄화수소 오일이고, 스쿠알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액상 오일(B)의 함유율은 0.5∼10중량%가 바람직하고, 1∼8중량%가 더 바람직하고, 1.5∼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고, 2∼4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액상 오일이 너무 적으면 보습능이 저하되고, 한편 액상 오일이 너무 많으면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고형 오일(C)을 0.3∼2.5중량%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형 오일이란 상온(25℃)에서 반고형 또는 고형의 유성성분을 가리킨다.
고형 오일(C)의 바람직한 예로서, 탄소 수 16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 탄소 수 18 이상의 지방산, 탄화수소, 및 왁스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 수 16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의 예로서, 말단 탄소에만 1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탄소 수 16∼22(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6∼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6∼18)의 포화 지방족 알코올(특히 직쇄상의 것)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스테아릴알코올(탄소 수 18), 세탄올(헥사데실알코올이라고도 한다: 탄소 수 16), 및 세토스테아릴알코올(스테아릴알코올과 세탄올의 거의 등량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고형 오일은 모두,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수 18 이상의 지방산의 예로서, 스테아르산(탄소 수 18), 및 베헨산(탄소 수 22)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의 예로서, 파라핀,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왁스류의 예로서 백랍, 및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고형 오일(C)의 함유율은 0.3∼2중량%가 더 바람직하고, 0.3∼1.4중량%가 특히 바람직하고, 0.3∼0.9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형 오일(C)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보습성은 높아지지만, 한편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낮아진다.
액상 오일(B) 및 고형 오일(C)만을 다량으로 사용해서, 소망하는 보습성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이지만, 그 경우, 과산화 벤조일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특정량의 액상 오일과 특정량의 고형 오일을 조합시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 오일과 고형 오일은 합계량이 적어도 0.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5중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2.4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액상 오일과 고형 오일은 합계량이 1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8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6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수성 용매(D)를 포함한다. 수성 용매가 바람직한 예로서는 물(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및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 탄소 수 3∼6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이 더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용매는 어느 것이나,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용매(D)의 함유율은 6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85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성 용매(D)의 상한은 97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5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수성 용매(D)로서 (d1) 다가 알코올, 및 (d2) 물(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3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50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25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65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2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70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d2)의 상한은 9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0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85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80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1)과 (d2)의 중량%는 수성 용매(D)의 전체량이 아니고,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전체 량을 100중량%으로 했을 경우의 중량%를 의미한다.
또, 수성 용매(D)로서, 저급 1가 알코올(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 수 1∼3의 1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저급 1가 알코올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저급 1가 알코올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물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조제 시에, 그 물질을 의도적으로 첨가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그 때문에 유제성 외용 조성물 중의 그 물질의 함유율은 통상은 1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이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E)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유화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및 모노올레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미리스트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및 친유형 모노올레산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모노올레산 폴리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 및 펜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팔미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및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65, 폴리솔베이트80, 및 폴리솔베이트85 등의 폴리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20E.O.) (4P.O.),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에테르(20E.O.) (8P.O.)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밀랍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알킬벤젠설폰 산나트륨, 황산 도데실나트륨, 야자 알코올에톡시 황산 나트륨, α-올레핀설폰산 나트륨, 유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N-알킬-N,N-디메틸암모늄베타인, 이미다졸린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E)는 어느 것이나,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가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폴리옥시에틸렌아랄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과, 탄소 수 20의 지방족 알코올인 아라키딜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테르)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E)의 함유율은 0.05∼2중량%가 바람직하고, 0.1∼1중량%가 더 바람직하고, 0.2∼0.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상기 (A)∼(E) 이외의 성분을 1개 또는 복수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것들의 성분의 총량은 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2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폴리우레탄폴리머형의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아다팔렌 등의 나프토산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아랄킬에테르, 비자극성 벤조산 에스테르(C12∼C15알킬 벤조에이트 등), 및 피막 형성제(폴리비닐피롤리돈 등)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pH값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3미만이라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있고, 7을 넘으면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더 바람직한 pH값은 4∼6이고, 특히 바람직한 pH값은 4∼5이다.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인산, 타르타르산, dl-말산, 및 빙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어느 것이나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증점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증점제의 예로서는 카복시비닐폴리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카복시비닐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유율은 0.2∼1.5중량%가 바람직하고, 0.3∼1.0중량%가 더 바람직하고, 0.4∼0.8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피부용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서, 항산화제(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α-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놀 등), 안정화제(에데트산 나트륨 수화물, 1-멘톨 등), 보존제(파라옥시 벤조산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등), 착색제(산화 타이타늄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제성 로션제, 유중수형(W/O형) 크림제, 수중유형(O/W형) 크림제, 외용 에어졸제, 펌프 스프레이제를 들 수 있다. 특히, 유제성 로션제(에멀션 타입의 액상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유제성 로션제란 유성 성분(물과 혼합되지 않는 성분)과 수성 성분(물 및 물과 섞이는 성분)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수중유형(O/W형)의 액상 조성물이다. 유제성 로션제는 유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성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수성 겔제와 비교해서 보습성이 높다. 한편, 액상으로 점성이 낮기 때문 시원시원한 감촉을 가지고, 도포부위에 달라붙음ㆍ광택 등이 등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 심상성 좌창의 호발 부위인 안면에 대한 도포에 적합한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이 바람직한 일례로서,
(A) 과산화 벤조일,
(B) 0.3∼12.5중량%(바람직하게는 0.5∼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중량%)의,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데실, 및 2-에틸헥산산 세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액상 오일,
(C) 0.3∼2.5중량%(바람직하게는 0.3∼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1.4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9중량%)의, 탄소 수 16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 스테아르산, 파라핀, 및 백랍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형 오일,
(D) (d1) 5∼30중량%(바람직하게는 10∼2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의 물로 이루어지는 수성 용매,
(E)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특히, 유제성 로션제)을 들 수 있다. 특히, (A)∼(E) 이외의 성분의 총함유율이 5중량% 이하, 3중량% 이하, 또는 2중량% 이하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의 특히 바람직한 일례로서,
(A) 과산화 벤조일,
(B) 0.3∼12.5중량%(바람직하게는 0.5∼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중량%)의, 스쿠알란,
(C) 0.3∼2.5중량%(바람직하게는 0.3∼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1.4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9중량%)의,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형 오일,
(D) (d1) 5∼30중량%(바람직하게는 10∼2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의,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의 물로 이루어지는 수성 용매,
(E)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특히, 유제성 로션제)을 들 수 있다. 특히, (A)∼(E) 이외의 성분의 총함유율이 5중량% 이하, 3중량% 이하, 또는 2중량% 이하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은 좌창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상성 좌창, 면포성 좌창 또는 다형성 좌창, 주사성 좌창, 결절낭종성 좌창, 응괴성 좌창, 노인성 좌창 또는 2차적 좌창(예를 들면 일광성 좌창), 약물성 좌창 또는 직업성 좌창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포량ㆍ도포빈도는 증상의 정도, 유제성 외용 조성물 중의 과산화 벤조일의 농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조절하면 좋다. 예를 들면, 얼굴에 사용하는 경우, 1일 1회 또는 2회, 세안 후, 심상성 좌창이 발생하고 있는 피부에, 환부를 뒤덮을 양을 도포한다.
또, 선행 단락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필수성분 및 임의성분의 바람직한 화합물명을 기재해 왔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이들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수득되는 조성물 및 각 성분의 함유율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수득되는 조성물도 포함된다. 또, 각 성분이나 pH 등에 관한 수치범위도 임의로 조합시켜 가능하고, 수치범위가 복수 기재되어 있을 경우, 각 수치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도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의 각 성분에 관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했다.
(실시예 1)
표 1 및 2에 나타내는 조성을 가지는 각 제제(유제성 로션제)을 조제했다. 그 후에 보습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제제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수분 증산 억제율을 측정했다. 수분 증산 억제율 25% 이상의 제제는 인간을 패널로 해서 관능시험을 실시했을 때, 제제 도포 후에 촉촉감이 지속된다(보습성이 높다)라고 하는 평가가 수득되기 때문, 수분 증산 억제율 25% 이상의 제제를 보습능 「양호」, 25% 미만의 제제를 보습능 「불량」으로 평가했다.
<수분 증산 억제능의 측정>
플라스틱 컵 뚜껑의 중심에 직경 4cm의 원을 뚫고, 이 부분에 담체막을 부착했다(도 1 참조). 이 뚜껑을 물 50g이 들어 있는 컵 위에 설치한 후, 제제를 담체막에 100㎕(약 0.1g) 도포했다. 또, 비교대상으로 제제 무도포의 담체막을 사용했다. 담체막으로서, Millipore사의 소수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멤브레인 필터(구멍 직경 10㎛ㆍ직경 47mm)를 사용했다.
30℃/40% RH의 환경에서 4시간 보관한 후, 제제 도포군의 컵으로부터 담체막을 통해서 증산한 수분량을 WLX(g/h)로 하고, 제제 무도포군의 컵으로부터 담체막을 통해서 증산한 수분량을 WL0(g/h)로 하고, 폐색효과를 나타내는 값인 수분 증산 억제율(%)을 이하의 식을 사용해서 산출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수치는 중량%이고, 공란은 0%을 의미한다. 정제수의 「적량」이란 제제 전량이 100중량%가 되는 양의 정제수를 의미한다(다른 표에 대해서도 동일함).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형 오일이 0%인 제제 1 또는 0.25%인 제제 2는 수분 증산 억제율이 낮고, 충분한 보습능이 수득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고형 오일의 양이 0.5∼1.8%의 제제 3∼5는 보습성이 양호했다. 제제 1과 비교해서, 다가 알코올의 양이 많은 제제 6 및 7(고형 오일은 포함하지 않는다)은 제제 1보다도 높은 수분 증산 억제율을 나타냈지만, 25%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한편, 고형 오일을 0.5% 포함하는 경우, 제제 3과 비교해서 다가 알코올의 양이 적은 제제 8은 양호한 보습능을 나타냈다. 이것들의 결과로, 고형 오일을 소정량 포함하는 제제는 높은 보습능을 나타내지만, 고형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제제는 가령 보습제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세린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소망하는 보습능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형 오일을 0.5% 이상 포함하고, 고형 오일 및 액상 오일을 증가시킨 제제(제제 8A∼C)도 30% 이상의 수분 증산 억제율을 나타내고, 높은 보습능을 가졌다.
고형 오일의 종류를 변경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형 오일로서, 탄소 수 16∼18의 지방족 알코올, 스테아르산, 파라핀, 백랍을 사용해서 조제한 제제는 어느 것이나 양호한 수분 증산 억제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2)
표 3∼5에 나타내는 조성을 가지는 각 제제(유제성 로션제)를 조제하고, 유효성분인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에 대해서 시험했다. 50℃에서 2주일 보존한 후, 과산화 벤조일의 분해물인 벤조산의 양이 10% 이하인 제제는 안정성 「양호」 라고 평가하고, 10%를 넘는 제제는 안정성 「불량」으로 평가했다. 안정성 시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안정성 시험의 방법>
과산화 벤조일 약 50mg에 상당하는 양의 제제를 계량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해서 분산 추출했다. 추출물에 추가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첨가한 후 여과하고, 시료용액으로 했다.
별도로, 벤조산 약 0.1g을 계량하고,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해서 표준용액으로 했다. 시료용액 및 표준용액에 대해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시험을 실시하고, 제제 중에 포함되는 벤조산량을 측정했다.
시험조건
검출기: 자외선 흡광광도계(측정 파장: 235nm)
칼럼: 내경 4.6mm, 길이 15cm의 스테인리스 관에 5㎛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옥타데실실릴화 실리카겔을 충전한 것
이동상A: 물/아세트산(100) 혼합액(1000:1)
이동상B: 아세토니트릴/아세트산(100) 혼합액(1000:1)
이동상A 및 이동상B의 혼합비를 바꾸고, 이동상A 리치에서 이동상B 리치로 농도구배 제어한다.
Figure pct00004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α값이 0°∼7°의 액상 오일을 사용했을 경우(제제 15∼20), 소망하는 유효성분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α값이 9°∼22°의 액상 오일을 사용했을 경우(제제 21∼23),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5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산화 벤조일의 양을 5% 또는 10%에 늘렸을 경우(제제 24∼27), 또는 pH값을 변경했을 경우(제제 28∼31)의 경우, 또는 다가 알코올의 양을 늘리고, 계면활성제의 양을 변경했을 경우(제제 32)도,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 pH값이 상승함에 따라 안정성이 저하한다(유효성분의 분해물인 벤조산의 량이 증가한다) 경향을 볼 수 있었지만, pH7 정도까지라면,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6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형 오일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서(제제 33∼36), 과산화 벤조일의 안정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관찰되고, 고형 오일이 3%가 되면(제제 36),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없었다. 한편 고형 오일이 1% 이하인 제제(제제 37∼40)는 액상 오일을 6%까지 증가시킨 경우라도 소망하는 안정성을 나타냈다. 또, 고형 오일의 량이 적은 제제(제제 40A 및 40B)는 벤조산량이 5% 미만이 되고, 매우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고형 오일과 액상 오일의 양이 다른 각 제제(유제성 로션제)를 조제하고, 보습능 시험 및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각 시험 방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07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 오일의 양을 0.5%에서 10%로 증량함에 따라서(제제41∼45), 수분 증산 억제율이 높아지는(보습능이 향상한다)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액상 오일의 양이 중가함에 따라서, 안정성이 서서히 저하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지만, 액상 오일의 양을 10%까지 증량해도,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 고형 오일 1.5%, 액상 오일 5%의 제제(제제 46), 및 고형 오일 0.5%, 액상 오일 2.5%의 제제(제제 47)도 소망하는 보습능과 안정성의 양쪽을 달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고형 오일의 종류가 다른 제제(유제성 로션제)를 조제하고,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08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형 오일로서 지방산(제제 48), 탄화수소(제제예 49), 및 납(제제예 50)을 사용했을 경우도, 소망하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액상 오일의 종류가 다른 제제(유제성 로션제)을 조제하고, 보습능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Figure pct00009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α값이 0°, 5°, 또는 7°의 액상 오일을 사용했을 경우도, 소망하는 보습능을 달성할 수 있었다.

Claims (9)

  1. (A) 과산화 벤조일,
    (B) 0.3∼12.5중량%의, α값이 0∼8°인 적어도 1종의 액상 오일,
    (C) 0.3∼2.5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형 오일,
    (D) 적어도 1종의 수성 용매, 및
    (E)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를 함유하는 피부용의 유제성 외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과산화 벤조일만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액상 오일(B)이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데실, 및 2-에틸헥산산 세틸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형 오일(C)이 탄소 수 16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 스테아르산, 파라핀, 및 백랍(white beeswax)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상 오일(B)의 함유율이 0.5∼10중량%이고,
    고형 오일(C)의 함유율이 0.3∼1.4중량%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용매(D)가 (d1) 5∼3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의 물로 이루어지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액상 오일(B)로서 0.3∼12.5중량%의 스쿠알란,
    고형 오일(C)로서 0.3∼2.5중량%의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알코올,
    수성 용매(D)로서 (d1) 5∼30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50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액상 오일(B)로서 1.5∼5중량%의 스쿠알란,
    고형 오일(C)로서 0.3∼0.9중량%의,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알코올,
    수성 용매(D)로서 (d1) 10∼25중량%의 다가 알코올, 및 (d2) 65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고,
    성분(A)∼(E) 이외의 성분의 총 함유율이 5중량% 이하인 유제성 외용 조성물.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과산화 벤조일만을 포함하는 유제성 외용 조성물.
KR1020237017828A 2020-12-04 2021-12-03 유제성 외용 조성물 KR20230116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1896 2020-12-04
JPJP-P-2020-201896 2020-12-04
PCT/JP2021/044378 WO2022118942A1 (ja) 2020-12-04 2021-12-03 乳剤性外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791A true KR20230116791A (ko) 2023-08-04

Family

ID=8185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828A KR20230116791A (ko) 2020-12-04 2021-12-03 유제성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90196A1 (ko)
EP (1) EP4257127A1 (ko)
JP (1) JPWO2022118942A1 (ko)
KR (1) KR20230116791A (ko)
CN (1) CN116528835A (ko)
WO (1) WO202211894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40A (ja) 1995-04-14 1997-03-31 Imaginative Res Assoc Inc 過酸化ベンゾイル組成物
JP2013241469A (ja) 2006-11-28 2013-12-05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過酸化ベンゾイル、少なくとも1種のナフトエ酸誘導体およ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ウレタンポリマー型の化合物またはその誘導体を含む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8319B1 (fr) * 1988-03-09 1990-12-07 Oreal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etiques a base de peroxyde de benzoyle et de sels d'ammonium quaternaires
US7153888B2 (en) * 2004-12-21 2006-12-26 Alpharx Inc. Stabilization of benzoyl peroxide in solution
JP5147098B2 (ja) * 2005-06-03 2013-02-20 マルホ株式会社 液晶乳化型組成物
FR2910320B1 (fr) * 2006-12-21 2009-02-13 Galderma Res & Dev S N C Snc Emulsion comprenant au moins un retinoide et du peroxyde de benzole
WO2017068673A1 (ja) * 2015-10-21 2017-04-27 マルホ株式会社 皮膚用の医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40A (ja) 1995-04-14 1997-03-31 Imaginative Res Assoc Inc 過酸化ベンゾイル組成物
JP2013241469A (ja) 2006-11-28 2013-12-05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過酸化ベンゾイル、少なくとも1種のナフトエ酸誘導体およ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ウレタンポリマー型の化合物またはその誘導体を含む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0196A1 (en) 2023-12-07
CN116528835A (zh) 2023-08-01
EP4257127A1 (en) 2023-10-11
JPWO2022118942A1 (ko) 2022-06-09
WO2022118942A1 (ja)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454B2 (en) Wax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10213384B2 (en) Foamable vehicl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protic polar solvents and uses thereof
JP5345937B2 (ja) 抗真菌組成物
DK169458B1 (da) Mikroemulsioner med hudbefugtende egenskaber
US20090175799A1 (en) Colored or colorable topical composition foam
DE3212053A1 (de) Kutanapplizierbar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CA2148109C (en) 1.alpha., 24-(oh)2-v.d.3 emulsion composition
CA2289966A1 (en) Topical compositions
JP2021042241A (ja) 外用組成物
WO2012031987A2 (de) Octenidindihydrochlorid als co-emulgator in mikroemulsionen
JP2822093B2 (ja) W/o/w型乳化化粧料
JP5107553B2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化粧料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230116791A (ko) 유제성 외용 조성물
JP2010529175A (ja) マラセチア属酵母に対して抗真菌活性を有するテルペン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8664205B2 (en) Oil-in-water emulsion lotion containing 22-oxa-1α, 25-dihydroxyvitamin D3 and method of treatment of skin disorder using the same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227908A1 (en) Quick breaking w/o-emulsion free from cyclomethicones
WO2020022368A1 (ja) 液状外用剤
DK160287B (da) Flydende deodorant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39595B1 (ko) 토코페롤 함유 세라마이드 액정 캡슐, 그 유화물 및 이를포함하는 화장료
KR100744946B1 (ko) 저농도의 친유성 계면활성제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4060347B2 (ja) 22−オキサ−1α,25−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3を含有する水中油型乳剤性ローション剤
TW202203895A (zh) 含有抗壞血酸以及/或是其鹽之皮膚外用組成物、皮膚外用組成物之著色抑制方法、皮膚外用組成物使用感提升之賦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