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60B1 -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960B1
KR101308960B1 KR1020060136674A KR20060136674A KR101308960B1 KR 101308960 B1 KR101308960 B1 KR 101308960B1 KR 1020060136674 A KR1020060136674 A KR 1020060136674A KR 20060136674 A KR20060136674 A KR 20060136674A KR 101308960 B1 KR101308960 B1 KR 10130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emulsifier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689A (ko
Inventor
이승기
정지운
유영경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13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9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하여 유화를 안정화시키는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유중수형 유화제 보다 사용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매우 뛰어나며 보습에 도움을 주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한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엷은 피막이 피부에 도포되어 피부를 촉촉하게 하여 주고 유기자외선 차단제 뿐 아니라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에도 도움을 주어 자외선 차단을 상승시켜주는 효과를 갖는다.
화장료, 유중수형, 무유화제, Emulsifier-free, 셀룰로오스유도체

Description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Emulsifier-Free Cosmetic Formulations of the Water-in-Oil Type}
본 발명은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대신에 지방알코올 혹은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원래 외부 환경의 영향(예를 들어 먼지, 화학물질, 미생물 등)과 내부 물질(예를 들어 물, 지방, 전해질 등)에 대한 본래의 방어기능을 강화시키거나 회복시키는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만약 이러한 기능이 약화된다면 독성 혹은 알러지 물질의 흡착이 많아지거나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커져 독성 혹은 알러지 피부 반응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기초 화장품의 또 다른 목적은 매일매일 세안함으로써 유발되는 피부의 수분, 지방의 손실을 보충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피부의 자가회복능력이 부족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게다가 기초 화장품은 환경적 요소(특히 태양, 바람)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기능을 갖 는다.
유화는 단순히 유화제로 둘러싸인 미세한 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상을 말한다(미세한 상이 물입자라면 유중수형 유화, 오일입자라면 수중유형 유화이다). 대체로 유화는 하나의 액체에 다른 액체를 반영구적으로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화제를 필요로 한다. 유화제는 양친매성 구조를 갖는 분자이며 친수부분과 친유부분을 갖는다. 유화에서 하나의 상안에 미세하게 분산된 입자들은 유화제막으로 싸여 있다. 유화제는 두 액체사이의 계면에 위치하여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상의 경계에서 오일/물의 계면막을 형성하여 입자들이 서로 합일되는 것을 막아준다.
전통적인 유화제들은 그들의 친수부분의 성질에 따라 이온성과 비이온성으로 나뉘게 된다. 이온성 유화제들은 다시 음이온, 양이온 그리고 양쪽성 유화제로 나뉘며 음이온의 대표적인 예는 지방산염인 비누이며, 양이온의 대표적인 예는 쿼터너리 암모늄 화합물이다. 또한 비이온 유화제는 친수부분이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소비탄,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옥시에칠렌글리콜 등으로 다양하며 지방산, 지방알코올 등의 친유부분과 에스터결합 혹은 에테르결합으로 되어져 있다.
많은 상용화된 유화제들이 안전성 허가를 받고 사용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학적 유화제는 자극을 유발하거나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유화제는 다음의 이유로 인해 피부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유화제는 세정제처럼 피부의 지질을 가용화시켜 마이셀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그래인 바운더리의 피부 지질은 일반 세정제와 같은 마이셀을 만드는 유화제에 가용화되기 쉽다. 지질이 손실되면 방어막은 약화되며 피부투과성이 높아진다. 투과성이 높아진 방어막은 쉽게 수분을 잃게 되고 무디고 건조한 피부를 만들게 된다. 또한,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민감한 피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일반 유화제의 성질 때문에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유화제를 찾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레시친을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순수 레시친은 변취, 변색의 문제가 있어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은 그 화학적 구조상 팩킹파라미터가 1/3보다 크고 1보다 작기 때문에 에멀젼 보다는 리포좀과 같은 이중막을 형성하려는 성질이 더 강하다.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의 예로서 유사유화제(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거나 단독으로 소량 사용하였을 때 유화력이 약해 유화제품을 만들 수 없는 것들)를 사용하거나 양친매성 성질을 갖는 폴리머를 이용한 유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것은 유사유화제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유화형태를 이룬 후 고압의 에너지를 부과해 안정한 유화를 만드는 방법(미국특허US6,777,450)이고 후자는 고분자내에 친수부와 친유부를 이용해 유화시키는 방법이다. 다만 이러한 유화방법들을 가지고 서는 유중수형 형태의 유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 대신 유기 혹은 무기 입자를 이용하는 피커링 유화가 있다. 이 유화방법에서 계면활성제 대신 사용되는 입자는 분산매에는 습윤이 잘 되지만 분산상에 대해서는 습윤이 잘 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입자의 습윤능력은 물-오일의 계면에서 입자의 접촉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입자가 계면활성제와 마찬가지로 계면에 배열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 실리카 같이 물에 습윤이 잘 되는 입자일 경우 수중유형 유화를 안정화시킬 것이며, 카본 블랙과 같은 오일에 습윤이 잘 되는 입자의 경우에는 유중수형 유화를 안정화시킨다. 다만 입자가 너무 친수성이 강하거나 너무 친유성이 강하다면 입자는 계면에 존재 하지 않고 각각 물, 오일에 분산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 2003-0069400은 내상에 친수성 실리카와 친유성 이산화티탄을 함유시켜 수중유형유화 유화를 만들었으며 대한민국특허 2002-0054603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라는 양친매성 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 유화를 만들었다. 그 외에 미국특허US6,803,049, US5,833,951도 무기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유화에 관한 내용이다.
그러나 이러한 피커링 유화는 기존 유화제를 이용한 에멀젼의 피부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내수성을 높이기 위해 흔히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폴리머를 사용하지만 건조시간이 길고 제품 적용 중에 거품이 생길 수도 있으며 건조중의 사용성이 끈적거리고 두터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필름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으면 내수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그에 비해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수중유형,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제품 적용 후 피부 위에 빠르게 필름을 형성하여 매끄러운 사용성을 부여하거나 땀, 물 등에 쉽게 지워지지 않는 내수성을 부여한다. 예로서 미국특허US4,669,779에서 에칠셀룰로오스에 의해 만들어진 필름은 피부로부터 자외선 차단제가 씻겨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에 의한 피부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하여 수중유형과 같은 사용성을 가지면서 내수성이 매우 높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약간의 계면활성능력을 갖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이용하여 유중수형 분산상을 만들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이용하여 오일과 물의 계면을 안정화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산이나 지방알코올과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오일과 물의 계면을 안정화시켜 내수성이 우수하면서도 수중유형 화장료와 같은 사용성을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지방산 0.00~10.00중량%, 지방알코올 0.00~10.00중량%,셀룰로오스 유도체 0.01~5.00중량%를 유중수형 에멀젼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유화제 대신에 지방산, 지방알코올, 셀룰로오스유도체를 함유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내수성이 뛰어나다. 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은 약간의 계면활성효과를 가지고 있어 유상과 수상을 혼합시 짧은 시간동안 유화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사용된 함량은 각각 0.00~10.00중량%이다. 함량이 0중량%인 이유는 지방산, 지방알코올이 빠져도 물과 오일을 강하게 섞어줄 경우 짧은 시간동안 유화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나 좀 더 안정한 유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셀룰로오스유도체는 0.01~5.00중량%를 함유하며 특징으로서 유상 점증효과를 가지기도 하지만 일반 점증제 보다는 효과가 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유상과 수상 의 계면을 안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발명에서 사용된 외상의 함량은 20.00~80.00중량%로서 원하는 사용성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오일(실리콘, 에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미네랄, 자외선 차단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특징으로는 약간의 계면활성을 가져 양친매성이면서 친수성보다는 친유성질이 좀 더 강한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체인 길이는 약12개~22개 정도가 바람직하며 직쇄형, 분지형, 포화, 불포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단 셀룰로오스 유도체 없이 유화가 안정화 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은 본 발명의 범주에 두지 않는다.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00중량%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5.0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유도체는 유상점증 효과를 갖는 것 알킬 셀룰로오스로서 화장품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에칠셀룰로오스가 있다. 셀룰로오스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중량%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00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시한 지방산, 지방알코올, 셀룰로오스유도체와 14-60중량%의 유성 성분 및 20-80중량%의 수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없는 살리실산, AHA와 여러 가지 염류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사용성이 가볍고 피부 안전성이 좋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중유형 화장료보다 무방부 제품을 만들기 수월하여 보다 피부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지방산, 지방알코올, 셀룰로오스유도체의 효과
하기 표 1의 제형들은 모두 유중수형 에멀젼들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1
<제조방법>
(1) 유상1, 유상2, 수상1을 가온 하여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유상 1, 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60℃에서 (2)의 유상에 수상1을 넣고 혼합시켜 유중수형 에멀젼을 얻었다.
<시험예1>
상기 실시예 1~6과 비교예 1~2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에멀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감 테스트를 위하여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표 2에 같이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에멀젼 입자는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2와 비슷한 크기를 가지며 유화안정성도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에 따라 입자 크기와 유화안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계면활성효과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중에 안정도가 우수하고 입자크기가 가장 작은 실시예 4에서 에칠셀룰로오스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에멀젼의 안정도가 좋지 않아 셀룰로오스유도체가 유화안정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혼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혼용하였을 때의 유화 안정도를 살펴보았다. 실시예에서 안정도가 좋았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이소스테아릭애씨드와 이소스테아릴알코올를 사용하여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비율을 0.00:2.00, 0.50:2.00, 1.00:2.00, 1.50:2.00, 2.00:2.00 및 2.50:2.00으로 변화시켜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에멀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1:2, 1.5:2의 혼합에 따라 표 2에서 실시예2와 4보다 입자크기가 작은 유중수형 에멀젼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그 외의 조성에서 입자가 더 커짐에 따라 안정도도 약간 불안하나 사용성은 우수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의 첨가에 따라 유화안정도 및 사용성 측면에서 시너지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셀룰로오스유도체의 효과 비교
비교예 1을 통해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에멀젼을 형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에칠셀룰로오스의 함량을 0.10, 0.50, 0.90, 1.30, 2.00, 3.00으로 변화시켜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에멀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셀룰로오스유도체의 함량이 유중수형 에멀젼의 유화안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사용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보다는 에칠셀룰로오스가 좀더 유화안정화에 도움을 주며 셀룰로오스유도체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피부를 통해 증발되는 수분 (땀은 제외)을 나타내는 지표로 각질층의 손상정도와 피부장벽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높은 수준의 TEWL은 피부장벽이 손상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4와 비교예 2의 인체적용시 TEWL을 측정하였다. TEWL의 측정은 항온 (22℃) 및 항습 (47%)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위는 g/h/m2이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테이프-스트립핑 (tape-stripping)을 30회 실시하여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시켰다.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 한 후 시험 제품을 도포하기 전 TEWL 수치를 측정하였다. 제품을 적용하고 1시간 간격으로 4시간 동안 TEWL 수치의 변화를 Tewameter TM210 (Courage+Khazaka, 독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나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5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화제를 함유하지 안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유화제를 함유한 유중수형 화장료 이상으로 수분손실을 막아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중수형 에멀젼의 특성 뿐 아니라 셀룰로오스유도체에 의해 피부에 엷은 막이 형성되어 수분의 손실이 줄어든다는 것을 가리킨다.
<시험예 5> 인체적용시 수분 보유량 측정
TEWL 측정과 함께 피부보습에 관한 실험을 상기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피부보습은 코네어미터 (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독일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물질을 적용하기 전 피부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 후 1일 2회씩 시험 제품을 4주간 적용하였다. 피부 보습효과의 측정을 위해 1주 간격으로 코네어미터 수치를 측정하였다. 코네어미터는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이 보유하는 수분의 양과 피부의 수분 보유 능력을 측정하는 기계로서 도포전 수분보유량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나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6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TEWL과 마찬가지로 유중수형의 특징과 본 발명의 유중수형 에멀젼에서 중요한 원료인 셀룰로오스유도체에 의해 실시예 4가 비교예 2보다 탁월한 보습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3>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제조를 위해 표 7의 조성으로 에멀젼 실시예 7을 제조하여 비교예 3과 비교하였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7
<제조방법>
(1) 유상1, 유상2, 수상1을 가온 하여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유상 1, 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60℃에서 (2)의 유상에 수상1을 넣고 혼합시켜 유중수형 에멀젼을 얻었다.
<시험예 6>
상기 실시예 7과 비교예 3으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에멀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감 테스트를 위하여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표에 같이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764058-pat00008
유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유중수형 자외선차단 조성물 실시예 7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각각 19.5%가 첨가되었음에도 깨끗한 외관을 가지며 미끄러지듯 넓게 펴발리는 사용감을 갖는 반면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3은 무겁고 두텁게 발리는 사용성을 가져 본 발명의 에멀젼의 사용성이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인 비트로 SPF 측정
일반 유화제품인 비교예 3과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인 비트로 SPF 수치 차이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시료 2 ㎎/㎠를 폴리포어 테이프 (polypore tape, 3M)에 도포한 후 20분간 건조시키고, 125W CW Xenon arc 램프가 장착된 SPF 290 분석기 (Optometrics LL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9에 나타나 있다.
인 비트로 SPF 측정
샘플명 인 비트로 SPF
실시예 7 49.80
비교예 3 45.20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중수형 에멀젼 실시예 7은 일반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3 보다 SPF수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의해 피부 위에 얇게 피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고르게 분산 시켜주기 때문이다.
<시험예 8> 인체 적용시 Water Resistant 효과 측정
실시예 7 및 비교예 3의 워터 리지스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 100 ㎎을 시험자의 양쪽 팔뚝 안쪽 50 ㎠에 도포하고 20분 후에 오른쪽 팔을 20분간 25℃물에 담근 후 다시 2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러한 사이클을 4회 실시하여 물에 담근 시간이 총 80분이 되도록 하였다. 알코올로 양팔의 시험부위를 닦아내고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2695/Waters 2487, 미합중국)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잔존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3명의 시험자를 이용하였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샘플명 자외선차단제의 잔존량 (중량%)
실시예 7 94
비교예 3 90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3과 워터 리지스턴트 효과를 비교시 자외선차단제의 잔존량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의한 막이 자외선차단제가 물에 씻기는 것을 막아주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방산, 지방알코올과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함유된 자외선차단제품을 국내 임상 기간인 (주)엘리드에서 미합중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워터 리지스턴트 측정한 결과 94%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험예 9>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비교 측정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7 및 비교예 3의 화장료를 10일간 사용하게 하였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게 하고 자극 여부 및 강도를 설문지에 표시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의 평가는 1일 1회로 하였으며, 주관적자극 및 객관적자극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시험결과의 판정은 각 자극 항목이 표시된 자극 반응 건수와 강도에 따라 환산한 값을 반응 점수 (response score)로 하여 반응 점수를 최고 점수 (maximum score)로 나누어 자극양성율 (response rate, %)을 구하였다.
자극양성율 (response rate, %) = (반응 점수/최고 점수) ×100
상기 수학식 1에서 최고점수는 총피검자수 × 시험일수 × 자극 건수 × 3 (최고자극강도 점수) 값이다.
구 분 주관적자극
(자극양성율%)
객관적자극
(자극양성율%)
합 계
(자극양성율%)
실시예 7 0.85 0.92 0.89
비교예 3 1.13 1.25 1.19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7의 화장료가 비교예 3의 화장료에 비해서 자외선 차단제에 의해 유발된 주관적자극 및 객관적자극의 정도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성이 뛰어나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고, 보습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에도 도움을 주어 자외선 차단을 상승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2)

  1. 지방산, 지방알코올 그리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은 1:2 내지 1.5:2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그리고 상기 셀룰로오스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5.00 중량%를 포함하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에칠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은 탄소사슬이 12개에서 22개인 것으로 포화, 불포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살리실산, 알파 하이드록시산 또는 전해질을 0.01~5.00 중량%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크림, 로션, 립스틱,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연고, 겔,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36674A 2006-12-28 2006-12-28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0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74A KR101308960B1 (ko) 2006-12-28 2006-12-28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74A KR101308960B1 (ko) 2006-12-28 2006-12-28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89A KR20080061689A (ko) 2008-07-03
KR101308960B1 true KR101308960B1 (ko) 2013-09-25

Family

ID=3981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674A KR101308960B1 (ko) 2006-12-28 2006-12-28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054A (ko) 2014-12-30 2016-07-08 코웨이 주식회사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772B1 (ko) * 2017-05-24 2019-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771B1 (ko) * 2017-05-24 2019-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5229B1 (ko) * 2017-09-29 2019-10-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06A (ko) * 1996-07-13 1998-04-30 손경식 모발 내무 조직을 강화하는 샴푸 조성물
JPH11190A (ja) * 1997-05-02 1999-01-06 Ciba Specialty Chem Holding Inc 微細構造組成物
KR100453101B1 (ko) * 1996-03-12 2004-12-1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유화조성물및화장료
KR20050054677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01B1 (ko) * 1996-03-12 2004-12-1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유화조성물및화장료
KR980008206A (ko) * 1996-07-13 1998-04-30 손경식 모발 내무 조직을 강화하는 샴푸 조성물
JPH11190A (ja) * 1997-05-02 1999-01-06 Ciba Specialty Chem Holding Inc 微細構造組成物
KR20050054677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89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8246B (en) Stabilization of an unstable retinoid in oil-in-water emulsions for skin care compositions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1315484A (zh) 油中水型乳化防曬化妝料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CN109908004B (zh) 一种多重乳液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7427429A (zh) 具有pH缓冲系统的乳化化妆材料组合物
JP2009161506A (ja) 化粧料
JP6626483B2 (ja) 植物由来ワセリン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20030031688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8B1 (ko)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KR20190059663A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5289995A (ja) ポリグリセリル−3メチルグルコースジステアレート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水中油型の化粧料組成物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0010B1 (ko)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6B1 (ko) 저농도의 친유성 계면활성제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EP3038714A1 (de) Hautpflegeöl
KR100439595B1 (ko) 토코페롤 함유 세라마이드 액정 캡슐, 그 유화물 및 이를포함하는 화장료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1146A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7373B1 (ko) 액정젤 미백 화장료 조성물_
KR100891974B1 (ko) 저자극성 화장품용 유화조성물
KR20050073797A (ko) 라멜라 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