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350A -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350A
KR20230116350A KR1020220013168A KR20220013168A KR20230116350A KR 20230116350 A KR20230116350 A KR 20230116350A KR 1020220013168 A KR1020220013168 A KR 1020220013168A KR 20220013168 A KR20220013168 A KR 20220013168A KR 20230116350 A KR20230116350 A KR 2023011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atch assembly
battery
motorized latch
moto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태
손창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350A/ko
Priority to US17/979,160 priority patent/US20230242074A1/en
Priority to CN202211421535.7A priority patent/CN116524625A/zh
Publication of KR2023011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ith more than one way to gain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05B81/62Control of actuators for opening or closing of a circuit depending on electrical parameters, e.g. increase of motor curr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고 차량의 내부에 스마트키가 있으면,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MR모드로 활성화시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은,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unlock) 상태인지를 제어부(30)에 의해 판단되는 언락판단단계(S110); 배터리(20) 전압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전압모니터링단계(S120);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S130); 및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설치된 MR모터(11c)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MR모드로 활성화시키는 MR활성화단계(S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METHOD FOR PREPARING OF DISCHARGING OF ELECTRIC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은 차량의 도어에 적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어를 락 또는 언락이 되도록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고 차량의 내부에 스마트키가 있으면,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MR모드로 활성화시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 트렁크 등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방지하고, 주행중 도어, 트렁크 등과 같은 개폐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트렁크 등에는 래치가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래치는 락, 언락, 오픈, 클로즈 기능을 수행하여, 락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불가하고, 언락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도어의 내부 또는 외부의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래치가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해제되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폐쇄시에는 상기 도어래치가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면서, 상기 도어가 클로즈되고, 이후 상기 도어래치가 락상태가 되도록 한다.
최근에는 사양의 고급화로 인해 상기 도어래치의 락 및 언락을 운전자의 조작이 아닌 모터의 구동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 전동식 도어래치가 고급 차종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전동식 도어래치는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다. 이 때문에, 상기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는 차량의 충돌 또는 배터리 방전 등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해제할 수 있도록 MR(Mechanical Redundancy) 기능을 제공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모터를 통하여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락/언락을 수행하지만,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키홀에 키를 삽입하여, 도어핸들과 래치가 기구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언락되도록 한다. 이는 스마트키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고, 방전 등으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할 때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키를 상기 차량의 내부에 둔 상태에서, 방전이 되는 경우,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킬 수 없어,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였다.
KR 10-2000-0021649 A(2000.04.25, 명칭 : 전자식 도어 래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도어에 적용된 차량에서 배터리의 전력이 완전히 방전되기 직전에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수동을 개방할 수 있도록 MR모드가 활성되도록 한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은,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언락(unlock) 상태인지를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언락판단단계; 배터리 전압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전압모니터링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내부에 설치된 MR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MR모드로 활성화시키는 MR활성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R활성화단계는, 도어핸들의 조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MR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핸들과 래치를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가 아니면, 전압모니터링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와 상기 MR활성화단계 사이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상기 MR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저전압시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MR활성화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이 아니면, 전압모니터링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와 상기 MR활성화단계 사이에,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키가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가 판단되는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MR활성화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상기 MR모드가 비활성된 상태를 유지하는 MR비활성유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락판단단계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언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상기 MR모드가 비활성된 상태를 유지하는 MR비활성유지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시간 이상 낮게 유지되면서, 차량의 내부에 스마트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완전시 방전되기 전에 MR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스마트키가 있고, 배터리의 전압이 저전압인 상태에서 MR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도어의 개방불능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스마트키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MR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탑승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채로 하차한 경우, 배터리의 전압이 낮더라도, MR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안성능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은,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unlock) 상태인지를 제어부(30)에 의해 판단되는 언락판단단계(S110)와, 배터리(20) 전압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전압모니터링단계(S12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S13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설치된 MR모터(11c)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MR모드로 활성화시키는 MR활성화단계(S16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개폐부, 예컨대 도어에는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차체에 구속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핸들(12)이 조작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unlock)되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탑승자에 의해 상기 도어핸들(12)이 조작되면, 그 신호는 제어부(3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구동모터(11b)가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기구적으로 상기 차체와 락 또는 언락되게 하는 래치(11a)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핸들(12)과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는 기구적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스마트키에서 비상키를 분리한 한 후, 상기 비상키를 외부 도어핸들의 키홀에 삽입하여 돌리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수동으로 언락시킬 수 있다. 이는 방전시 외부에서 개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서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와 같이, 정상적으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작동시킬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설치된 MR모터(11c)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핸들(12)과 상기 래치(11a) 사이의 링크(11d)가 연결되도록 하여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되도록 한다.
상기 링크(11d)는 평상시에는 연결되지 않아, 상기 도어핸들(12)의 조작시, 기구적으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작동시킬 수 없다. 하지만,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는 충돌시와 같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평상시의 방식으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 MR모드를 활성화시키면, 상기 링크(11d)에 의해 상기 도어핸들(12)과 상기 래치(11a)를 기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되도록 되고, 상기 도어핸들(12)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배터리(20)는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제어부(30)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20)는 스마트키, 텔레매틱스 등을 통한 웨이크업 등의 목적으로 대기전류가 흐르고, 시동 오프 또는 키 오프 후에도 차내에 흐르는 암전류에 의해 상기 배터리(20)는 방전이 진행되고,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내려가도록 방전되면, 상기 차량내 각종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제어부(30)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이 로직으로 저장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에 대하여 방전을 대비토록 제어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언락판단단계(S110)는 제어부(30)가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unlock)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언락상태에서 차량의 실내에 스마트키를 방치한 상태에서 배터리(20)가 완전 방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가장 먼저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 상태인지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판단된다.
전압모니터링단계(S120)는 상기 제어부(30)가 배터리(20) 전압의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언락판단단계(S110)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20)의 방전이 서서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작동시키지 못할 정도로 낮아지기 전에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MR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인 경우, 상기 배터리(20)의 전압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전압비교단계(S130)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인지를 비교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상기 기준전압 이하인지를 비교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20)가 서서히 방전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사전에 기구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MR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배터리(20)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인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MR모드를 활성화 한다.
상기 차량내 전장시스템의 전압이 12V인 경우, 상기 기준전압은 10V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마트키를 서칭(searching)하기 위한 하한전압이 9V정도가 되므로, 마진을 고려하여, 상기 기준전압은 10V로 설정될 수 있다.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 그 유지시간이 상기 MR모드를 활성화로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20)에 충분한 전력이 남아 있지 않아,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상기 MR모드로 진행해야 한다.
한편,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이유는, 순간적으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 강하는 무시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순간에는 순간적으로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단순히 전압만 비교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하므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저전압 상태가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이라면, 상기 배터리(20)의 방전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압비교단계(S130)와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를 통하여,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MR모드를 활성화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S130)와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가 수행되는 도중에도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전압모니터링단계(S120)로 리턴된다.
아울러,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전압모니터링단계(S120)로 리턴된다.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S150)는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전압비교단계(S130)와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S14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배터리(20)의 저전압을 확정한 경우, 상기 스마트키가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S150)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의 서칭이 진행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키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후술되는 MR활성화단계(S160)가 수행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없다면, 운전자가 상기 스마트키를 소지한 것이므로, 외부에서 상기 스마트키의 비상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언락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MR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아, 상기 배터리(20)가 완전히 방전되더라도, 임의로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계식 래치에 비하여 보안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MR활성화단계(S160)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MR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배터리(20)가 저전압이면서, 그 유지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이며,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에 설치된 MR모터(11c)를 작동시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MR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MR모드의 활성화란, 상기 MR모터(11c)가 구동하여,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 내부의 상기 도어핸들(12)과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의 래치(11a) 사이의 링크(11d)를 분리된 상태로부터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MR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는 언락된 상태이므로, 탑승자는 상기 도어핸들(12)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언락판단단계(S110)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MR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MR비활성유지단계(S170)가 수행된다.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가 언락상태가 아닌 상태, 즉 락상태라는 것은 운전자가 실외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잠근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11)를 평상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MR모드가 수행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MR비활성유지단계(S170)가 수행된다.
상기 MR비활성유지단계(S170)는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S150)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도 수행된다.
상기 MR비활성유지단계(S170)에서는 불필요한 암전류의 소모를 방지하고자,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11 : 전동식래치 어셈블리 11a : 래치
11b : 구동모터 11c : MR모터
11d : 링크 12 : 도어핸들
20 : 배터리 30 : 제어부
S110 : 언락판단단계 S120 : 전압모니터링단계
S130 : 전압비교단계 S140 : 저전압시간비교단계
S150 :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 S160 : MR활성화단계
S170 : MR비활성유지단계

Claims (10)

  1.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언락(unlock) 상태인지를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언락판단단계;
    배터리 전압의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전압모니터링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MR(Mechanical Redundancy)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전압비교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내부에 설치된 MR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를 MR모드로 활성화시키는 MR활성화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활성화단계는,
    도어핸들의 조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MR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핸들과 래치를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가 아니면,
    전압모니터링단계로 리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비교단계와 상기 MR활성화단계 사이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상기 MR모드를 활성화 하기로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저전압시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MR활성화단계가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하로 유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이 아니면, 전압모니터링단계로 리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시간비교단계와 상기 MR활성화단계 사이에,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키가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지가 판단되는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MR활성화단계가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위치판단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상기 MR모드가 비활성된 상태를 유지하는 MR비활성유지단계가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락판단단계에서,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언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동식래치 어셈블리가 상기 MR모드가 비활성된 상태를 유지하는 MR비활성유지단계가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KR1020220013168A 2022-01-28 2022-01-28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KR2023011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68A KR20230116350A (ko) 2022-01-28 2022-01-28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US17/979,160 US20230242074A1 (en) 2022-01-28 2022-11-02 Method of Preparing for Discharge of Electric Latch Assembly
CN202211421535.7A CN116524625A (zh) 2022-01-28 2022-11-14 为电闩锁组件的放电做准备的方法及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168A KR20230116350A (ko) 2022-01-28 2022-01-28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50A true KR20230116350A (ko) 2023-08-04

Family

ID=8740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168A KR20230116350A (ko) 2022-01-28 2022-01-28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42074A1 (ko)
KR (1) KR20230116350A (ko)
CN (1) CN1165246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649A (ko) 1998-09-30 2000-04-25 김태구 전자식 도어 래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649A (ko) 1998-09-30 2000-04-25 김태구 전자식 도어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24625A (zh) 2023-08-01
US20230242074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2669B2 (en)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
RU2583118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к вещевому отсеку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11280121B2 (en) Crash unlock for side door latch
JPH06167156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制御装置
JP270703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H06307138A (ja) 車両用防盗装置
US7561031B2 (en) Antitheft device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KR20230116350A (ko) 전동식래치 어셈블리의 방전 대비 방법
US5874890A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JP2000071940A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JP329203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9990026935A (ko) 자동차의 도어로크 (래치)
CN112277876A (zh) 一种防误解锁的汽车无钥匙进入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19150226A1 (en) Hazard shield safety latch
KR100756756B1 (ko) 차량의 도어 자동 잠금 제어방법
JP2010137632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H10141187A (ja) マニュアル車用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
JP2002371737A (ja) 自動車用電子ラッチシステム
KR100851385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조 잠금해제 시스템
CN116696161A (zh) 一种卡车门锁系统控制方法及装置
JP2001207709A (ja) 車両用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H09217534A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の自動ロック装置
JP278987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CN113931540A (zh) 车辆和车辆尾门锁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