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787A -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787A
KR20230115787A KR1020220012667A KR20220012667A KR20230115787A KR 20230115787 A KR20230115787 A KR 20230115787A KR 1020220012667 A KR1020220012667 A KR 1020220012667A KR 20220012667 A KR20220012667 A KR 20220012667A KR 20230115787 A KR20230115787 A KR 2023011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kin
derived
weight
cochleates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희
조혜선
이승호
지홍근
박영아
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01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787A/en
Publication of KR2023011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78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매, 천연 유화제, 유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2가 양이온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화시켜 제조되는 코클리에이트좀은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코클리에이트좀 안에 포집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되거나 보호되는 효과가 있어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크게 개선되고 피부 내로 더 깊이 침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안정적으로 피부 안으로 깊이 침투시킴으로써 조사포닌을 통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nseng-derived saponin;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comprising; and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chleatesome prepared by emulsify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a natural emulsifier, a softener,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preservative, ginseng-derived sazoponin, and a divalent cation salt may have excellent stability. In addition, sinc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is trapped in cochleatesomes, it has an effect of being blocked or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o that the skin permeability of irradiated ginseng is greatly improved and it can penetrate more deeply into the skin. As described abov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through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by stably penetrating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deep into the skin.

Description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본 발명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ed poni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피부는 체내의 기관을 기온 및 습도의 변화와 자외선(UV)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자외선으로 인한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광노화 현상을 촉진시키며, 피부 광노화는 피부 구성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게 된다. 섬유아세포의 감소 및 이 세포의 활성도 손상은 피부 광노화 프로세스 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The skin functions to protect internal organs from external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ultraviolet rays (UV). In particular, irritation caused by ultraviolet rays reduces skin function and promotes photoaging of the skin, and photoaging of the skin is accompanied by overall deterioration of skin components. Reduction of fibroblasts and impaired activity of these cell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skin photoaging process.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의 세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분류된다. 최외각인 피부 각질층은 피부 보습작용, 피지분비 조절작용, pH 조절작용, 유수분 밸런스 유지 등을 통해 사람의 몸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유효 성분의 피부 전달에 대해 투과 장벽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는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에 침투시키기 위한 피부 전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skin is composed of three layers: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epidermis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e stratum corneum, the granular layer, the spinous layer, and the basal layer.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the stratum corn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moisturizing the skin, controlling sebum secretion, controlling pH, and maintaining oil-moisture balance. do it too Therefore, in the field of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research on skin delivery systems for effectively penetrating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이러한 피부 전달 시스템 중 리포좀은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포체로서 생체 친화성 및 생분해성이 높고, 내부에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을 모두 담지할 수 있어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리포좀은 포집 효율이 매우 낮고,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 방부제 등이 피부 자극을 유발하며, 리포좀의 원료로 사용되는 콜레스테롤은 리포좀의 지질막을 견고하게 형성하여 포집 물질의 방출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포집 물질의 세포막 투과율을 낮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특허문헌 1).Among these dermal delivery systems, liposomes are vesicles composed of lipid bilayers, and have high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and can contain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bstances therein, and thu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of medicine and cosmetics. However, liposomes have very low entrapment efficiency, solvents and preservatives used in liposome manufacturing cause skin irritation, and cholesterol, which is used as a raw material of liposomes, forms a solid lipid film of liposomes and inhibits the release of trapping substances. Rather,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the cell membrane permeability of the trapping material (Patent Document 1).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의 하나로 달면서 쓴맛이 있고,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원기를 보하고 비장을 보호하며, 폐를 튼튼하게 해주는 등 본초학적 효능을 가지고 있다.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genus Panax of the Araliaceae family. It has herbal medicin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ening the lungs.

인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진세노사이드라고도 불리는 사포닌과 정유성분, 폴리아세틸렌, 페놀성분, 배당체 및 산성펩타이드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비타민, 당류, 무기질과 같은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인 인삼의 생리활성 효능은 중추신경계의 작용, 면역기능 강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는 지금까지 약 40여 종이 발견되고 있으며 중추신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신체기능 조절, 즉 생리기능 정상화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들 진세노사이드는 서로 비슷한 작용을 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특정 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여러 종류가 상호작용을 통해서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The mai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f ginseng include saponin, also called ginsenoside, essential oil components, polyacetylene, phenol components, glycosides and acid peptides, and various other components such as vitamins, sugars, and minerals.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inseng in general has been reported to include central nervous system action, immune function enhancement action, and anticancer action. In particular, about 40 types of ginsenoside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have a wide range of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endocrine system, immune system, metabolic system, etc. These ginsenosides may have actions similar to or opposite to each other, and it is known that certain components exert various efficacies alone or through interactions of several types.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피부 안으로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생체 전달 시스템에 대해 연구를 하던 중에,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코클리에이트좀(cochleatesome) 안에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하면 코클리에이트좀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조사포닌이 피부 내로 더 깊이 침투되며, 이로써 조사포닌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while the present inventors were researching a bio-delivery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infiltrating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into the skin,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was incorporated into a cochleatesome prepared with a hydrophilic nonionic surfactant. When collected, the stability of cochleatesomes is improved, the skin permeability of irradiation is improved, and irradiation is penetrated deeper into the skin,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by irradiation. confirmed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0136호 (2017.05.1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740136 (2017.05.19.)

본 발명은 코클리에이트좀의 안정성 및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모두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cochleatesome stability an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comprising; and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comprising; and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본 발명에 따르면 용매, 천연 유화제, 유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2가 양이온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화시켜 코클리에이트좀 제조시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코클리에이트좀 안에 포집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되거나 보호되는 효과가 있어서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크게 개선되고 피부 내로 더 깊이 침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a natural emulsifier, a softener,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preservative, a ginseng-derived josaponin, and a divalent cation salt is emulsified to provide excellent stability when preparing some cochleate. In addition, sinc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is captured in cochleatesomes, it has an effect of being blocked or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o that the skin permeability of irradiated ginseng is greatly improved and can penetrate more deeply into the skin.

이처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안정적으로 피부 안으로 깊이 침투시킴으로써 조사포닌을 통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through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by stably penetrating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deep into the skin.

도 1은 실시예 1 및 조사포닌 대조군에 따른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손상 보호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 및 조사포닌 대조군에 따른 프로-콜라겐 합성량 증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료에 대해 안정성 실험을 위해 고온(50℃)에서 1개월간 정치한 후에 시료를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skin damage protection effect from ultraviolet rays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ro-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Figure 3 shows a photograph of the sample taken after standing for one month at a high temperature (50 ° C.) for a stability test for each sample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1.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1.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comprising; and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본 발명에서 "투과성 개선"은 상기 조성물이 투여되는 개체에서 피부를 투과하여 피부 내부로 침투되는 유효 성분의 비율이 증가하거나, 피부 내부로 더 깊이 침투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율이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되지 않은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40~80배, 또는 45~75배, 또는 50~70배 정도 개선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깊이가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되지 않은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1.2배 이상, 또는 1.3배 이상, 또는 1.4배 이상, 또는 1.5배 이상 개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ment of permeability" is The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meaning that includes an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active ingredient penetrating the skin and penetrating into the skin of the subject to whom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or more deeply penetrating into the skin.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is improved by 40 to 80 times, or 45 to 75 times, or 50 to 70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not captured by cochleatesomes, or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It may mean that the skin penetration depth of irradiated ponin is improved by 1.2 times or more, or 1.3 times or more, or 1.4 times or more, or 1.5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irradiated ponins not captured in cochleatesomes.

이처럼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됨에 따라 조사포닌을 통해 피부에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As the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is improved, the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irradi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은 자외선으로부터 유도된 피부 손상을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자외선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종(ROS)이 생성되고 피부 노화의 주된 원인 물질로 작용하는데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은 이러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chleatesome encapsulating the ginseng-derived radio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n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induced by ultraviolet ray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generated by the action of ultraviolet rays and act as the main cause of skin aging. It can show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caused by

또한,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능은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피부 섬유아세포의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은 피부 섬유아세포의 프로-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llagen synthesis ability of skin fibroblasts is directly related to skin regeneration, skin elasticity, skin wrinkle formation, and tissue repair or regeneration upon skin damage. That is, when the synthesis of procollagen in skin fibroblasts is promoted, the amount of collagen synthesis increases, and effects such as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enhancement,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skin tissue, and prevention of skin aging can be obtained. The cochleaatesome containing the ginseng-derived radio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synthesis of pro-collagen in skin fibroblasts, thereby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skin elasticity, restoring and regenerating damaged skin tissue, and preventing skin aging. can have

본 발명에서 코클리에이트좀은 인지질(phospholipid) 이중층과 양이온의 이온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 인지질 이중층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나선형의 실린더와 같은 길쭉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은 인지질 이중층들 사이에 위치하여 코클리에이트좀 안에 포집되거나 일부는 인지질 이중층 안에 끼여있는 형태로 코클리에이트좀을 구성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되며, 이로써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피부 장벽을 통과하여 피부 내로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chleatesomes are formed by ionic interactions of phospholipid bilayers and cations, and are formed in elongated shapes such as spiral cylinders to minimiz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hospholipid bilayers. Th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constituting a cochleatesome in a form where it is located between phospholipid bilayers and trapped in cochleatesomes or partially interposed in the phospholipid bilayers, thereby stably protecting ginseng-derived saponin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ossibility of saponin passing through the skin barrier and penetrating into the skin increases.

본 발명의 코클리에이트좀은 용매, 천연 유화제, 유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2가 양이온 염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코클리에이트좀은 친수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균일한 코클리에이트좀을 형성함으로써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되고 피부 내로 더 깊이 침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chleate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olvent, a natural emulsifier, a softening agent,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preservative and a divalent cation salt. In particular, the cochleate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ydrophilic nonionic surfactant to form a uniform cochleatesome, thereby improving the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radioponin and allowing it to penetrate more deeply into the skin.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HLB 8~20, 또는 HLB 8~16, 또는 HLB 13~16, 또는 HLB 16~20, 또는 HLB 16~18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HLB 값을 충족하는 경우 친수성 용매에 대한 분산력이 우수하고 균일한 유화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코클리에이트좀의 크기 또는 형상 등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ydrophilic nonionic surfactant of HLB 8 to 20, or HLB 8 to 16, or HLB 13 to 16, or HLB 16 to 20, or HLB 16 to 18. When such an HLB value is satisfied, it may be advantageous to uniformly form the size or shape of cochleatesomes by forming uniform emulsified particles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in a hydrophilic solvent.

예를 들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다이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우수한 분산력, 광범위한 pH 및 온도에서의 높은 안정성의 측면에서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nonionic surfact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eryl-10 laurate,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stearate, and polyglyceryl-10 disostearate One or more may be included, and polyglyceryl-10 laurate is most preferred in terms of excellent dispersibility, high stability in a wide range of pH and temperature.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5 중량%, 또는 0.05 내지 12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 또는 3 내지 10 중량%, 또는 3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non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0.01 to 15% by weight, or 0.05 to 12% by weight, or 0.1 to 10% by weight, or 3 to 10% by weight, or 3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 .

상기 용매는 정제수, 글리세린, 에탄올,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rified water, glycerin, ethanol, butylene glycol, and propanediol.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를 55 내지 99 중량%, 또는 65 내지 95 중량%, 또는 80 내지 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55 to 99% by weight, or 65 to 95% by weight, or 80 to 90% by weight of the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상기 천연 유화제는 인지질 및 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들의 수소첨가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세린이다. 상기 포스파티딜세린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 가능하며, 예를 들어 대두(콩)으로부터 추출한 레시틴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The natural emulsifier may include phospholip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The phospholipids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ic acid,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inositol,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preferably It is phosphatidylserine. The phosphatidylserine can be extracted by various methods, and for example, it can be prepared from lecithin extracted from soybeans (soybeans).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인지질을 0.1 내지 10 중량%, 또는 0.5 내지 7 중량%, 또는 2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1 to 10% by weight, or 0.5 to 7% by weight, or 2 to 5% by weight of phospholipid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또한, 상기 포화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turated fatty aci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포화지방산을 0.0001 내지 2 중량%, 또는 0.001 내지 3 중량%, 또는 0.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0001 to 2% by weight, or 0.001 to 3% by weight, or 0.001 to 1% by weight of a saturated fatty aci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상기 유연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 엔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ftening agent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cetylethylhexanoate, dicaprylyl ether, ceramide, and ceramide NP.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연제를 0.1 내지 10 중량%, 또는 0.3 내지 9 중량%, 또는 3 내지 7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1 to 10% by weight, or 0.3 to 9% by weight, or 3 to 7% by weight of a soften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릴 글루코오스 카르복시레이트 및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nionic surfacta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stearoyl glutamate, disodium stearoyl glutamate, sodium lauroyl glutamate, sodium lauryl glucose carboxylate, and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01 내지 7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01 to 7% by weight, or 0.1 to 3% by weight, or 0.1 to 1.5% by weight of an anionic surfacta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상기 방부제는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rvativ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ylene glycol, 1,2-hexanediol, caprylyl glycol, phenoxyethanol, and ethylhexyl glycerin.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방부제를 0.1 내지 10 중량%, 또는 0.5 내지 7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1 to 10% by weight, or 0.5 to 7% by weight, or 1 to 3% by weight of a preservativ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2가 양이온 염의 양이온은 인지질 이중층과의 이온 상호 작용에 의하여 코클리에이트좀을 형성하여 이를 침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때 2가 양이온 염의 양이온은 인지질 이중층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 상기 2가 양이온 염은 칼슘, 아연, 바륨 또는 마그네슘의 클로라이드 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이다.The cations of the divalent cation salt are used to form cochleatesomes by ionic interaction with the phospholipid bilayer and precipitate them. At this time, the cation of the divalent cation salt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phospholipid bilayers. The divalent cation salt may be a chloride salt of calcium, zinc, barium or magnesium, preferably calcium chloride.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가 양이온 염을 0.0001 내지 2 중량%, 또는 0.001 내지 3 중량%, 또는 0.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The cochleatesome may contain 0.0001 to 2% by weight, or 0.001 to 3% by weight, or 0.001 to 1% by weight of a divalent cation sal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본 발명에서 코클리에이트좀은 용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2가 양이온 염을 포함하는 수상과 천연 유화제로서의 인지질 및 포화지방산, 및 유연제를 포함하는 오일상을 혼합하고 유화시킴으로써 형성하되, 이때 인삼 유래 조사포닌도 상기 수상에 첨가함으로써,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안에 포집된 코클리에이트좀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유래 조사포닌은 인지질 이중층들 사이에 주로 위치하게 되고 일부는 인지질 이중층 안에 끼여있는 형태로 코클리에이트좀을 구성하기도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chleatesome mixes and emulsifies an oil phase containing a water phase containing a solvent,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preservative and a divalent cation salt, phospholip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as natural emulsifiers, and a softening agent. However, at this time, by adding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to the aqueous phase, cochleatesomes in which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is trapped can be prepared.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s are mainly located between phospholipid bilayers, and some of them constitute cochleatesomes in the form of being sandwiched in phospholipid bilayers.

상기 유화는 고압 미세 유화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600~1500bar, 또는 700~1400bar, 또는 800~1200bar 조건에서, 1200~2400rpm, 또는 1300~2200rpm, 또는 1500~2000rpm으로, 30~70℃, 또는 40~65℃, 또는 50~60℃에서, 3~12분, 또는 5~10분 동안 교반하여, 상기 수상 및 오일상의 혼합물을 고압 균질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코클리에이트좀 내에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The emulsification is performed at 600 to 1500 bar, or 700 to 1400 bar, or 800 to 1200 bar using a device such as a high-pressure fine emulsifier, at 1200 to 2400 rpm, or 1300 to 2200 rpm, or 1500 to 2000 rpm, at 30 to 70 ° C., or It can be carried out by high-pressure homogenization of the mixture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by stirring at 40 to 65 ° C., or 50 to 60 ° C. for 3 to 12 minutes, or 5 to 10 minut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tably capture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in cochleatesomes. can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은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으로부터 통상의 분획 공정을 통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The ginseng-derived sa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from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liquid.

본 발명에서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다양하게 가공된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수삼, 미삼, 흑삼, 산삼, 장뇌삼, 산양삼, 호정화 인삼, 효소 처리된 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삼은 원형을 유지한 생인삼을 말하고, 미삼은 인삼의 가는 뿌리를 말하며,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ginseng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cultivated or commercially available. The ginseng includes variously processed ones, for example, at leas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esh ginseng, misam, black ginseng, wild ginseng, camphor ginseng, wild ginseng, dehydrated ginseng, enzyme-treated fine ginseng, fermented ginseng, red ginseng, and fermented red ginseng. It may be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resh ginseng refers to raw ginseng that has maintained its original form, misam refers to the thin root of ginseng, and red ginseng refers to raw ginseng steamed, cooked, and dried, and a browning reaction occurs during the drying process, resulting in a light yellowish brown to reddish brown color.

상기 인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When obtaining an extract from the ginse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organic solvents, supercritical fluids,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The organic solvent is an alcohol, preferably a C 1 -C 4 lower alcohol, hexane (n-hexane), ether, glycer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ethyl acetate,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ene and mixed solvents thereof, preferably water or ethanol.

상기 증삼액은 인삼을 증숙할 때 표면에 맺히는 부산물로서, 인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또는 진세노사이드가 포함된다. 증삼액은 인삼의 잎, 어린 새싹,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종자, 열매, 미숙과, 완숙과, 과육, 과피,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증숙시에 수득할 수 있다.The steamed ginseng liquid is a by-product formed on the surface when ginseng is steamed, and includes active ingredients or ginsenosides present on the surface of ginseng. Ginseng extract is ginseng leaf, young shoot, stem, stem bark, root, root bark, seed, fruit, immature fruit, mature fruit, pulp, fruit skin, flower, stamen group (androecium), pistil group (gynoecium), calyx,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mens, petals, calyx pieces, carpels,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be obtained during steaming.

상기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은,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 그 자체,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solution itself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solution itself, the concentrate obtained therefrom, and the dried product and powder of the concentrate.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으로부터 원하는 조사포닌을 얻기 위해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하여 수득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발명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에 포함된다.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을 농도 구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하여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분리해서 원하는 특정 활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irradiated saponin from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liquid, a fraction obtained by additionally performing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may be used. For example, a fraction obtained by passing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solution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ertain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de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Active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such as, etc., are also included in the ginseng-derived josa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specific active fraction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a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solu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ctive component through concentration gradient column chromatography or the like.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예를 들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및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chromatography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umn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ffinity chromatography, and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LH-20, ODS 겔,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 분획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에 있어 용출 용매, 용출 속도 및 용출 시간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 속도 또는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lumn chromatography is performed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gel, RP-18, polyamide, Toyopearl and XAD resin to separate active fractions And it can be purified, column chromatography can be carried out several time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filler as necessa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using the chromatography, the elution solvent, elution rate, and elution time may apply solvents, rates, or times generally used in the art.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으로부터 원하는 조사포닌을 얻기 위해서 상기 인삼 추출물 또는 증삼액을 유기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irradiated saponin from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liquid,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ginseng extract or steamed ginseng liquid with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The organic solvent is an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hexane (n-hexane), ether, glycer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enzene, acetone,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itrile and mixed solvent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클리에이트좀 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비율은 중량으로 100:0.5 내지 100:10, 또는 100:1 내지 100:7, 또는 100:3 내지 100:7일 수 있다. The ratio of the cochleatesome to the ginseng-derived radioponin may be 100:0.5 to 100:10, 100:1 to 100:7, or 100:3 to 100:7 by weigh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liquid or solid form using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Cosmetics in liquid or solid form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smetic products, creams, lotions, and bath products.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alcohol, propylene glycol, stearic acid, glycerol, cetyl alcohol, and liquid paraffin.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 cosmetic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as well as cochleatesomes containing ginseng-derived sapaponin, such as antioxidants and stabilizers.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gent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애완동물용 샴푸, 애완동물용 린스, 핸드크림, 손 세정제, 세제, 비누, 소독청결제, 물티슈, 마스크, 연고제,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It may be formulated as an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softening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powder, hair tonic, hair lotion, hair cream, hair spray, hair Mousse, hair gel, hair conditioner, hai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pack, hair treatment, pet shampoo, pet conditioner, hand cream, hand sanitizer, detergent, soap, disinfectant, wet wipes, mask, ointment, patch or as a formulation of a filter filler.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can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 May contain a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3-butylene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tar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s carrier component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 Amidobetaine,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overlappingly applied, or may be used overlappingly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user's skin condition or taste.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r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applied to the skin and then wiped off, removed, or washed with water. As specific examples,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 and a cleansing pack, and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2.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투과성이 개선된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with improved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comprising; and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상기 피부질환은 자외선의 단기적, 장기적, 일시적, 또는 지속적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과민성 피부염, 자외선 각화증, 또는 피부암일 수 있다.The skin disease may be induced by short-term, long-term, temporary, or continuous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and may be, for example, photosensitivity dermatitis, ultraviolet keratosis, or skin cancer.

본 발명에서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자외선으로 인해 유도되는 피부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suppress or delay skin diseases induced by ultraviolet rays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nd "treatment"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mprove or beneficially change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by the composition. say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chleatesome containing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s preferably a cochleatesome containing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desir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contain other ingredients that can give a synergistic effect to the effect.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or carriers.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예컨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s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intestinal, topical, sublingual or rectal, for example topical application by appl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The parenteral include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lesional injection or infusion technique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age, sex, type of disease,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excretion, th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it can be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the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에 사용가능하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and any one is applicable. For exampl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humans but also for non-human animals such as monkeys, dogs, cats, rabbits, guinea pigs, rats, mice, cows, sheep, pigs, goats, birds and fish. do.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ochleatesome containing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 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oft capsules, pills and the like.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there is.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suppositories, aerosols, etc., and sterile injection prepara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a cream, gel, patch, spray, ointment, warning, lotion, liniment, pasta, or cataplasma. ,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As a base for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ger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djuvant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on agents or emulsification accelerators, salts and/or buffers for osmotic pressure control,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which are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ixing, granulation or It can b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coating method.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Th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age, body weight, general health, sex,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drug combination, and severity of a specific disease.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200 ㎎/㎏ 범위 내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0 내지 3.0㎖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dosage within the range of 0.001 to 200 mg / kg on an adult basis, and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n external agent, it is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1.0 to 3.0 ml on an adult basis once a day to 5 It is recommended to apply once and continue for 1 month or longer, but the dosag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제조예 1 -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 Preparation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인삼을 수세하고 건조한 후 증삼 과정에서 생성된 증삼액을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으로부터 제공받았다. 증삼액을 농축액 당도가 56 브릭스에 도달할 때까지 50℃에서 농축하였다. 이때 수득된 증삼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은 52% 내외였다. 상기 증삼농축액을 동량의 부탄올과 혼합한 후 분획하여 부탄올 층만을 획득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분말형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제조하였다. After washing and drying ginseng, the steamed ginseng liquid generated during the steaming process was provided by Korea Ginseng Corporation. The steamed ginseng liquid was concentrated at 50°C until the concentrated liquid sugar content reached 56 Brix. At this time, the solid content of the obtained steamed ginseng concentrate was around 52%. The steamed ginseng concentrate was mixed with the same amount of butanol and then fractionated to obtain only the butanol layer. After repeating this process three times,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were conducted to prepare powdery ginseng-derived saponin.

실시예 1 -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된 인삼 유래 조사포닌Example 1 - Ginseng-derived radioactive ponin encapsulated in cochleatesomes

하기 표 1의 수상과 오일상을 가온하고 혼합한 후 고압 미세 유화기로 1~3회, 1000bar 처리함으로써,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하고 있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fter warming and mixing the water phase and oil phase of Table 1 below, a composition containing cochleatesomes that captur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was prepared by treating them 1 to 3 times with a high-pressure microemulsifier at 1000 bar.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글리세린glycerin 40.0040.0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3.003.00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002.00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500.50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0.010.01 조사포닌saponin 5.005.00 오일상oil phase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010.0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5.00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3.003.00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0.500.50

비교예 1 내지 5Comparative Examples 1 to 5

수상과 오일상을 하기 표 2 내지 6과 같이 각각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코클리에이트좀(비교예 1, 표 2), NLC(비교예 2, 표 3), 리포좀(비교예 3, 표 4), 니오좀(비교예 4, 표 5), 및 엘라스토좀(비교예 5, 표 6)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Cochleatesome (Comparative Example 1, Table 2) not containing a hydrophilic nonionic surfactant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were different, respectively, as shown in Tables 2 to 6 below. , NLC (Comparative Example 2, Table 3), liposomes (Comparative Example 3, Table 4), niosomes (Comparative Example 4, Table 5), and elastosomes (Comparative Example 5, Table 6), respectively. manufactured.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글리세린glycerin 40.0040.00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002.00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500.50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0.010.01 조사포닌saponin 5.005.00 오일상oil phase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010.0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5.00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0.500.50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0.500.50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3.003.00 조사포닌saponin 5.005.00 오일상oil phase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20.0020.00 마카다미아씨오일macadamia seed oil 5.005.00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methylglucose distearate 3.003.00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조사포닌saponin 5.005.00 오일상oil phase 레시틴lecithin 5.005.00 에탄올ethanol 20.0020.00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002.00 글리세린glycerin 7.007.00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 phosphate 0.200.2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 0.010.01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0.600.60 오일상oil phase 유채스테롤rapeseed sterol 3.003.00 콜레스테롤cholesterol 3.003.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3.003.00 다이메티콘dimethicone 7.007.00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5.005.00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수상Awards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To 100 알코올Alcohol 2.002.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 0.010.01 슈크로오스라우레이트Sucrose Laurate 2.002.00 소듐아스코빌포스페이트sodium ascorbyl phosphate 0.300.30 조사포닌saponin 5.005.00 오일상oil phas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5.005.00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10.0010.00 리솔레시틴Lysolecithin 0.500.50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0.500.50

실험예 1 - 생체외 피부흡수시험에 따른 피부 투과율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 Evaluation of skin permeability according to in vitro skin absorption test

식약처의 "생체 외 피부흡수시험 가이드라인" 시험법에 따라 프란츠 확산 세포 방법에 의해, 피부투과장치(Difussion cell)의 수용칸에 증류수를, 공여칸에는 시료 1.4㎖를 넣고, 두 칸 사이는 인공피부막(Strat-m membrane, Merck)을 넣었다. 수용칸은 항온순환수조를 이용하여 32℃로 유지하였다. 24시간 동안 수동 확산시킨 후 수용칸의 시료를 획득하였다.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증류수를 모두 증발시킨 후 메탄올로 용해하고 HPLC를 이용해 개별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In Vitro Skin Absorption Test”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y the Franz diffusion cell method, distilled water is placed in the receiving compartment of the diffusion cell and 1.4 ml of sample is placed in the donor compartment. An artificial skin membrane (Strat-m membrane, Merck) was placed. The receiving compartment was maintained at 32° C. using a constant temperature circulating water bath. Samples of the receiving compartment were obtained after passive diffusion for 24 hours. After evaporating all the distilled water of the sample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it was dissolved in methanol and the individual ginsenoside contents were measured using HPLC.

공여칸, 수용칸 시료의 진세노사이드 11종(Rg1, Re, Rf, Rh1, Rg2s, Rb1, Rc, Rb2, Rd, Rg3s, Rg3r) 함량의 총합을 각각 측정하였고, 공여칸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100으로 하여 피부 투과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여기서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되지 않은 제조예 1의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조사포닌 대조군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각 시료의 피부 투과율의 배수를 계산하였다.The sum of the contents of 11 ginsenosides (Rg1, Re, Rf, Rh1, Rg2s, Rb1, Rc, Rb2, Rd, Rg3s, Rg3r) in the donor and receiving compartment samples was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 ginsenoside content in the donor compartment was measured. The skin permeability was calculated as 100,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Here, th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of Preparation Example 1, which was not captured by the cochleatesome, was used as a control for the irradiated saponin, and based on this, the multiple of skin permeability of each sample was calculated.

시료명sample name Rg1Rg1 ReRe RfRf Rh1Rh1 Rg2sRg2s Rb1Rb1 RcRc Rb2Rb2 RdRd Rg3sRg3s Rg3rRg3r 11종 총합Total of 11 types 배수Drainage 실시예 1Example 1 2681.202681.20 1977.201977.20 185.15185.15 90.5290.52 131.87131.87 801.85801.85 258.41258.41 200.51200.51 90.1490.14 0.000.00 0.000.00 6416.856416.85 58.7058.7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823.241823.24 1444.141444.14 108.91108.91 70.4670.46 95.1995.19 440.77440.77 175.57175.57 147.02147.02 42.8942.89 0.000.00 0.000.00 4348.204348.20 39.7839.78 비교예 2(NLC)Comparative Example 2 (NLC) 1615.801615.80 1051.501051.50 58.9158.91 50.1650.16 85.2185.21 435.87435.87 152.87152.87 97.8997.89 38.5238.52 0.000.00 0.000.00 3586.733586.73 32.8132.81 비교예 3(리포좀)Comparative Example 3 (liposome) 414.83414.83 756.53756.53 83.2283.22 55.2355.23 71.4571.45 662.74662.74 302.69302.69 259.47259.47 128.74128.74 52.1252.12 26.1126.11 2813.132813.13 25.7325.73 비교예 4(니오좀)Comparative Example 4 (Niosome) 239.43239.43 402.72402.72 36.7536.75 34.8034.80 33.2233.22 138.06138.06 54.5354.53 46.4546.45 15.0215.02 0.000.00 0.000.00 1000.971000.97 9.169.16 비교예 5(엘라스토좀)Comparative Example 5 (Elastosome) 189.45189.45 384.42384.42 25.8425.84 29.5129.51 30.5230.52 115.00115.00 50.7950.79 40.1540.15 7.157.15 0.000.00 0.000.00 872.83872.83 7.987.98 조사포닌 대조군Isaponin control group 55.0355.03 54.2954.29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109.32109.32 1.001.00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은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58.7배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chleatesome of Example 1 exhibits 58.7 times superior skin permeability compared to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한편,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비교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은 39.78배, 비교예 2의 NLC는 32.81배, 비교예 3의 리포좀은 25.73배, 비교예 4의 니오좀은 9.16배의 비교예 5의 엘라스토좀은 7.98배의 피부 투과율을 나타냈다.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the cochleatesom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39.78 times, the NLC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32.81 times, the liposome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25.73 times, and the niosome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9.16 times of Comparative Example 5. Elastosome showed a skin permeability of 7.98 times.

따라서, 프란츠 확산 세포 방법에 의해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에서, 비교예 1 내지 5의 순서대로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radioponin by the Franz diffusion cell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radioponin decreases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in order.

실험예 2 -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손상 보호 효과Experimental Example 2 - Skin damage protection effect from UV rays

인간 피부섬유아세포(ATCC로부터 분양)를 1×104 세포/웰로 2개의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계열희석한 조사포닌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시료를 6, 3, 1.5 ㎍/㎖ 농도로, 그리고 EGCG(양성 대조군)를 20 ㎍/㎖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Human dermal fibroblasts (prepared from ATCC) were inoculated into two 96-well plates at 1×10 4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24 hours after replacing the medium with a serum-free medium and treating serially diluted samples of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and Example 1 at concentrations of 6, 3, and 1.5 μg/ml and EGCG (positiv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20 μg/ml cultured for a while.

배지를 DPBS로 교체하고 1개의 플레이트에만 UVA를 10 mJ/cm2 조사하였다. 2개의 플레이트를 모두 새로운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후 5 ㎎/㎖ MTT를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하여 OD540 흡광도를 측정하였다.The medium was replaced with DPBS, and only one plate was irradiated with 10 mJ/cm 2 of UVA. Both plates were replaced with fresh serum-free media and further incubated for 24 hours. Thereafter, after treatment with 5 mg/ml MTT,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3 hours and the OD 540 absorbance was measured.

배지만 처리한 군을 대조군, 자외선만 처리한 군을 음성 대조군, 자외선+EGCG 처리군을 양성 대조군, 자외선+시료(조사포닌 대조군, 실시예 1)를 농도별로 처리한 군을 실험군으로 하고, 대조군의 흡광도를 100으로,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를 0으로 하여 자외선 조사에 따른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The group treated with medium only was the control group, the group treated with only UV light was the negative control group, the group treated with UV+EGCG was the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treated with UV+sampl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Example 1) by concentration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absorbance was set to 100 and the absorbance of the negative control was set to 0. The cell viability (%) of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UV irradiation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

도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라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은 세포 생존율이 6 ㎍/ml에서 92.29%, 3 ㎍/ml에서 86.45%, 1.5 ㎍/ml에서 85.86%로서 우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사포닌 대조군(각각 37.45%, 27.95%, 4.19%)에 비해 각각 54.84%, 58.50%, 81.67%만큼 더 향상된 효과이므로, 조사포닌이 코클리에이트좀에 의해 포집됨으로써 섬유아세포에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우수한 피부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he results of FIG. 1, the cochleatesomes capturing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according to Example 1 had cell viability of 92.29% at 6 μg/ml, 86.45% at 3 μg/ml, and 85.86% at 1.5 μg/ml.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excellent skin damage prevention effect. This is a more improved effect by 54.84%, 58.50%, and 81.6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37.45%, 27.95%, and 4.19%,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shows an excellent skin damage protection effect.

실험예 3 - 프로-콜라겐 합성량 증진 효과Experimental Example 3 -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pro-collagen synthesis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5×105 세포/웰로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계열희석한 조사포닌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시료를 50, 25, 12.5 ㎍/㎖ 농도로, 그리고 아스코르브산(양성 대조군)을 20 ㎍/㎖ 농도로 처리하였다. 처리 24시간 후 배양액을 취하여 프로-콜라겐 분석 키트(pro-collagen assay kit)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양을 검출하였다. 배지만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대조군, 실험군(조사포닌 대조군, 실시예 1), 양성 대조군(아스코르브산)의 흡광도(OD450)를 측정하고 대조군의 프로-콜라겐 생성량을 100으로 하여 각 군의 프로-콜라겐 양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Fibroblasts (Human dermal fibroblast) were seeded in each 5×10 5 cells/well in a 24-well plate. 24 hours after inoculation,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a serum-free medium, and the serially diluted irradiation control group and the sample of Example 1 were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50, 25, and 12.5 μg/ml, and ascorbic acid (positiv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20 μg/ml. did After 24 hours of treatment, the culture medium was taken and the amount of pro-collagen was detected using a pro-collagen assay kit. The group treated with only the medium was used as a control group, and the absorbance (OD 450 )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rradiated control group, Example 1),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ascorbic acid) was measured, and the amount of pro-collagen production in the control group was set as 100 for each group. The amounts of pro-collage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도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라 인삼 유래 조사포닌을 포집한 코클리에이트좀은 프로-콜라겐 생성량이 50 ㎍/ml에서 141.35%, 25 ㎍/ml에서 140.18%, 12.5 ㎍/ml에서 133.28%로서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사포닌 대조군(각각 125.01%, 118.51%, 111.49%)에 비해 각각 16.34%, 21.67%, 21.79%만큼 더 향상된 효과이므로, 조사포닌이 코클리에이트좀에 의해 포집됨으로써 섬유아세포에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우수한 프로-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he results of FIG. 2, the cochleatesomes in which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was captured according to Example 1 showed a pro-collagen production of 141.35% at 50 μg/ml, 140.18% at 25 μg/ml, and 133.28 at 12.5 μg/ml.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excellent collagen biosynthesis effect as %. This is an effect that is improved by 16.34%, 21.67%, and 21.7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125.01%, 118.51%, and 111.49%,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an excellent pro-collagen synthesis effect.

실험예 4 - 인체 피부에 대한 투과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 Evaluation of Permeability to Human Skin

상기 실시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된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조사포닌 대조군 시료에 비해 인체 피부 투과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라만 공초점 현미경(Raman confocal microspectrocopy)을 이용해 피부 투과량 및 피부 투과깊이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human skin permeability of th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collected in the cochleatesome of Example 1 is improved compared to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sample, skin permeation amount and skin permeation depth were measured using Raman confocal microspectrocopy. was measured.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전완부에 실시예 1 및 조사포닌 대조군의 시료를 도포하고, 라만 공초점 현미경(River D International BV, Netherlands)을 이용해 시료 도포 전 및 도포 30분 후 피험자 피부의 2㎛ 깊이마다 시료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피부 투과량 및 피부 투과깊이는 다음을 기준으로 평가했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Specifically, the sample of Example 1 and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were applied to the forearm of the subject, and the sample was applied to each 2 μm depth of the subject's skin before and 30 minutes after application using a Raman confocal microscope (River D International BV, Netherlands). The Raman spectrum of was measured. Skin permeation amount and skin penetration depth were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1) 피부 투과량(A.U.): 시료의 라만 스펙트럼이 검출되는 피부의 가장 깊은 지점까지의 정량값1) Skin permeation amount (A.U.): Quantitative value up to the deepest point in the skin where the Raman spectrum of the sample is detected

2) 피부 투과깊이(㎛): 피부 표면에서부터 시료의 라만 스펙트럼이 검출되는 피부의 가장 깊은 지점까지의 거리2) Skin Penetration Depth (㎛): Distance from the skin surface to the deepest point in the skin where the Raman spectrum of the sample is detected

실시예 1Example 1 조사포닌 대조군Isaponin control group 적용 전before application 적용 30분 후30 minutes after application 적용 전before application 적용 30분 후30 minutes after application 피부 투과량(A.U.)Skin Permeation Amount (A.U.) 0.002±0.0090.002±0.009 0.124±0.0470.124±0.047 0.002±0.0010.002±0.001 0.004±0.0030.004±0.003 변화량 (△)Change amount (△) 0.122±0.0450.122±0.045 0.002±0.0020.002±0.002 배수(fold)fold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피부 투과량이 61배 향상됨Compared to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the skin permeation amount of Example 1 was improved by 61 times 피부 투과깊이(㎛)Skin Penetration Depth (㎛) 25.200±6.26125.200±6.261 16.000±12.08316.000±12.083 배수(fold)fold 조사포닌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피부 투과깊이가 1.57배 향상됨Compared to the irradiated ponin control group, the skin penetration depth of Example 1 was improved by 1.57 times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된 인삼 유래 조사포닌이 조사포닌 대조군 시료에 비해 피부 투과량(A.U.)은 61배 향상되고, 피부 투과깊이(㎛)는 1.86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코클리에이트좀에 포집된 인삼 유래 조사포닌은 실제 인체 피부에서도 피부 투과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kin permeation amount (A.U.) of the ginseng-derived irradiated saponin collected in the cochleatesome of Example 1 was improved by 61 times and the skin permeation depth (μm) by 1.86 times compared to the irradiated saponin control sample. there i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kin permeability of the ginseng-derived radioponin captured in cochleatesomes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eatly improved even in actual human skin.

실험예 5 - 안정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 Stability evaluatio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료를 고온(50℃)에서 1개월간 정치하면서 침전물, 색상 및 취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고, 1개월 경과 후의 외관을 촬영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While each sample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left at a high temperature (50 ° C.) for 1 month, changes in precipitate, color and odor were observed, and the results of photographing the appearance after 1 month are shown in FIG. 3 .

조사포닌 대조군은 고온에서 불용성 침전물이 다량 생성되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은 안정성 실험 결과 고온에서 3개 층으로 분리되었으며, 비교예 2의 NLC 및 비교예 4의 니오좀도 색상이 혼탁하고 층 분리를 나타내므로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The irradiation control group produced a large amount of insoluble precipitate at high temperature, and the cochleatesom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did not contain a nonionic surfactant, was separated into three layers at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stability test, NLC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niosome of 4 also had a problem in stability because the color was cloudy and the layer separation was exhibited.

한편, 비교예 3의 리포좀 및 비교예 5의 엘라스토좀은 침전물 없이 투명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지만, 앞서 실험예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낮은 피부 투과율을 나타냈다. On the other hand, the liposomes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the elastosomes of Comparative Example 5 were transparent without precipitate and exhibited excellent stability, but 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1, they exhibited low skin permeability.

이에 반해, 실시예 1의 코클리에이트좀은 피부 투과율이 우수하고 피부 안으로 깊이 침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취/변색이 없고 층 분리 현상 없이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는 등 안정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클리에이트좀을 이용하면 조사포닌을 피부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cochleatesome of Example 1 not only has excellent skin permeability and can penetrate deeply into the skin, but also has excellent stability, such as no odor/discoloration and transparent properties without layer separation. Therefore, by using the cochleate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liver irradiation to the skin not only effectively but also stably.

제조예 2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2-1. 에센스의 제조2-1. Preparation of Essence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9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Us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n essenc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tents (parts by weight) shown in Table 9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25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0.220.22 글리세린glycerin 44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22 실시예 1의 조성물Composition of Example 1 1.51.5 밀납beeswax 0.5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One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1One 스쿠알렌squalene 44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Appropriate amount

2-2. 유연화장수의 제조2-2. Manufacture of softening lotion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10과 같이 제조하였다.Softening lo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0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01.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 0.050.05 알란토인allantoin 0.10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050.05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010.01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0.020.02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1.001.00 알부틴Arbutin 2.00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1.001.00 에탄올ethanol 30.0030.00 실시예 1의 조성물Composition of Example 1 0.50.5 착색제coloring agent 미량a very small amount 착향제flavoring agent 미량a very small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2-3. 영양 크림의 제조2-3. Manufacture of nourishing cream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11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A nourishing cream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1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7.07.0 글리세린glycerin 1.01.0 D-판테놀D-panthenol 0.1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0.30.3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1.21.2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2.02.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1.5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Lipophilic Glyceryl Stearate 2.0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1.51.5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03.0 미네랄오일mineral oil 4.04.0 스쿠알렌squalene 3.83.8 실시예 1의 조성물Composition of Example 1 1.51.5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1.81.8 디메치콘dimethicone 0.4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알란토인allantoin 미량a very small amount 소듐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적량Appropriate amoun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적량Appropriate amount 착향제flavoring agent 적량Appropriate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2-4. 로션의 제조2-4. manufacture of lotion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12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A lo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2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6 1.6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4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Glycerin lipophilic monostearate 1.81.8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2.6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Sorbital Sesquioleate 0.60.6 스쿠알렌squalene 4.84.8 마카다이아오일macadamia oil 2 2 호호바오일jojoba oil 2 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0.4 메틸폴리실록산Methylpolysiloxane 0.20.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 0.4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4 4 산탄검xanthan gum 0.10.1 글리세린glycerin 44 d-판데놀d-pandenol 0.150.15 실시예 1의 조성물Composition of Example 1 1.01.0 알란토인allantoin 0.10.1 카르보머(2% aq. Sol)Carbomer (2% aq. Sol) 4 4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50.15 에탄올ethanol 33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 Appropriate amount

Claims (12)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ginseng-derived josaponin; and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and improving wrinkle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irradiation, comprising: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8~20인 것인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nionic surfactant has an HLB value of 8 to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클리에이트좀 대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비율은 중량으로 100:1 내지 100:7인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ratio of the cochleatesome to ginseng-derived saponin is 100: 1 to 100: 7 by w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용매, 인지질, 포화지방산, 유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2가 양이온 염을 포함하고,
상기 인삼 유래 조사포닌은 코클리에이트좀의 인지질 이중층 사이에 위치하여 코클리에이트좀 안에 포집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chleatesome includes a solvent, a phospholipid, a saturated fatty acid, a softening agent,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 preservative, and a divalent cation salt,
The ginseng-derived irradiation ponin is located between the phospholipid bilayers of the cochleate some and is trapped in the cochleate so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클리에이트좀은 코클리에이트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 55 내지 99 중량%;
인지질 0.1 내지 10 중량%;
포화지방산 0.0001 내지 2 중량%;
유연제 0.1 내지 1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7 중량%;
방부제 0.1 내지 10 중량%; 및
2가 양이온 염 0.00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The cochleatesome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chleatesome
55 to 99% by weight solvent;
Phospholipid 0.1 to 10% by weight;
0.0001 to 2% by weight of saturated fatty acids;
0.1 to 10% by weight of a softening agent;
0.1 to 10% by weight of a nonionic surfactant;
0.01 to 7% by weight of an anionic surfactant;
0.1 to 10% by weight of a preservative;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0.0001 to 2% by weight of a divalent cation sal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글리세린, 에탄올,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lv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tilled water, glycerin, ethanol, butylene glycol, and propanedio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들의 수소첨가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포화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The phospholipi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ic acid,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inositol, and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The saturated fatty acid is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 엔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The softening agent is a composition comprising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cetylethylhexanoate, dicaprylyl ether, ceramide, and ceramide N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다이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ionic surfa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eryl-10 laurate,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stearate, and polyglyceryl-10 disostearate A composition compri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디소듐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라우릴 글루코오스 카르복시레이트 및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stearoyl glutamate, disodium stearoyl glutamate, sodium lauroyl glutamate, sodium lauryl glucose carboxylate, and sodium methyl cocoyl taurate. composi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가 양이온 염은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4,
The divalent cation salt is a composition comprising calcium chloride.
인삼 유래 조사포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클리에이트좀;을 포함하는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자외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ginseng-derived josaponi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aused by ultraviolet rays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comprising: cochleatesome containing a nonionic surfactant.
KR1020220012667A 2022-01-27 2022-01-27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KR202301157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67A KR20230115787A (en) 2022-01-27 2022-01-27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667A KR20230115787A (en) 2022-01-27 2022-01-27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787A true KR20230115787A (en) 2023-08-03

Family

ID=8756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667A KR20230115787A (en) 2022-01-27 2022-01-27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78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36B1 (en) 2015-08-28 2017-05-25 (주)엠앤씨생명과학 Natural liposome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36B1 (en) 2015-08-28 2017-05-25 (주)엠앤씨생명과학 Natural liposome comprising red ginseng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aging
KR101015702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eaweeds extract for improving and alleviating inflammation and irritation of skin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KR102142930B1 (e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elanin synthesis comprising flower extract of milk thistle
KR101511148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kin barrier containing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 and the liposome for enhancing transdermal delivery of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
KR101595530B1 (en) Liposom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ffect of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skin whitening for accelerating percutaneous absorption
KR100501399B1 (en) Cosmetic Compos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Plant Extract as Oriental Medicine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20200088074A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and papaver rhoeas extract
KR101257435B1 (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topy and contact dermatitis containing sage, Melissa officinalis, Gelidium amansii and Allium cepa
KR101419588B1 (en)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mprising Ginseng Oil as Active Ingredient
KR102472974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080392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Radix glycyrrhizae, Phellodendri Cortex, Radix Cynanchi Wilfordii and Cortex mori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100681703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ement of skin luster comprising the mixed extract of panax ginseng, sohizophyllum commune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20230115787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amage Prevention And Wrinkle Improvement With Improved Skin Permeability Of Ginseng-derived Saponin
KR101419587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Regeneration of Skin Comprising Ginseng Oil as Active Ingredient
KR102171924B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for relaxing allergy comprising extract of wild-pea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00092922A (en) A skin whin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oriental herb extracts mixture stabilized by nanoliposome
KR102110903B1 (en)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elanin synthesis comprising flower extract of Cirsium genus
KR20150008825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reinforcing skin barrier containing isoquercitrin, and the liposome for enhancing transdermal delivery of isoquercitrin
KR101743001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hitosan and propolis extracts
KR102404535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Damage Comprising Pyracantha Angustifolia Extract
KR102142931B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sebum secretion comprising Rhus Semialata M. Fruit Extracts
KR100807153B1 (en) A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erb extracts mixture stabilized by nanoliposome
KR10150358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Clematis mandshurica Ruprecht Extract
KR20230076873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Artemisia sp. plant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