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591A -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591A
KR20230115591A KR1020220012234A KR20220012234A KR20230115591A KR 20230115591 A KR20230115591 A KR 20230115591A KR 1020220012234 A KR1020220012234 A KR 1020220012234A KR 20220012234 A KR20220012234 A KR 20220012234A KR 20230115591 A KR20230115591 A KR 20230115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lipid component
emulsion
solu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덕수
이은주
최고영
강채린
전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온랩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온랩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온랩테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22001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591A/ko
Priority to PCT/KR2023/000740 priority patent/WO202314618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5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Abstract

본 발명은 미립구의 내부에 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생분해성 고분자와 유효성분이 포함된 제형에서 유효성분이 초기에 과량으로 방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현탁능이 우수하여, 일반인 사용자가 주사제로 이용 시에도 유효성분의 효과를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INITIAL BURST CONTROLLED LIPID FUSION DEPOT COMPOSITION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질에 의해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포제는 약효가 오래 지속되도록 만드는 주사제형 중 하나로, 호르몬 등을 장기간 투여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형이다. 서방성 제형인 데포제는 환자에게 주사하는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주사 후 전체 방출 기간 동안 일정하고, 지속적인 약물의 방출을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주입 초기에 데포 내의 약물이 과량으로 방출되는 초기 방출이 높은 경우, 과량의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지정된 기간 동안 약효의 지속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데포제에서 초기 방출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리라글루타이드 및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GLP-1 작용제(agonist) 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추기 위해 처음 개발되고, 이러한 약물이 비만 환자의 체중을 줄이는데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당뇨병과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장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의 유사체로 식사 후에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을 증가시키고, 위장에 있는 내용물의 배출시간을 늘려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천천히 넘어가도록 한다. 또한,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는 다양한 작용을 통해서 혈당을 낮추고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신체가 과량의 리라글루타이드에 노출된 경우, 오심, 설사, 심박동수 증가, 저혈당 또는 두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리라글루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데포제에서 초기 방출의 제어는 더욱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한편, 일본특허 제5681626호에서는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성분과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LGA) 고분자가 결합된 미립구와 인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서방서 제제가 방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그러나, 지질의 경우 초기 방출을 억제하는데 충분한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강한 소수성 특성 때문에 미립구의 성상을 불량하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립구를 형성하는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LGA) 고분자의 개질은 약물의 사용에 있어, 허가의 어려움을 야기하므로, 해당 조성물을 데포제에 적용하여 실제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데포제의 경우 약물의 보관 안전성을 고려하여 미립구를 동결 건조 상태로 보관하고, 주사용수에 현탁하여 주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립구의 현탁성이 떨어지면 규정된 약물의 1회 투여량 보다 적게 투여될 수 있어, 충분한 약물의 효과를 보기 어렵다. 또한, 낮은 현탁성에 의하여 미립구의 뭉침 및 침강물이 형성될 수 있어 주사시 주사 바늘의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주사가 어려울 수 있어 미립구의 현탁능 또한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서방성 미립구는 초기 방출이 충분히 제어된 데포제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적절한 재현탁성 및 초기 방출이 제어된 특성을 갖는 데포 조성물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1. 일본특허 제568162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현탁능이 우수하고, 약물의 과도한 초기 방출이 억제된 데포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약물의 과도한 초기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데포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미립구의 오일 층에 방출 제어 물질로서 지질 성분을 함유시키면 약물의 초기 방출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미립구의 경우 성상이 균일하고, 현탁능이 우수하여, 데포제로서 우수한 제제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층(O 층)을 포함하는 미립구(microsphere)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을 준비하거나, 또는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과 상기 오일상(O)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W1/O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상 용액 또는 W1/O 에멀젼을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에 투입하여 O/W2 에멀젼 또는 W1/O/W2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포 조성물의 미립구는 지질 성분을 포함하여 미립구 내부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데포제 주입 초기에 과량으로 방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현탁능이 우수하여, 사용자가 주사제로 투여한 경우에도 유효성분의 효과를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a 내지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비교예 1-1, 도 1b는 비교예 1-2, 도 1c는 비교예 1-3, 도 1d는 비교예 1-4, 도 1e는 실시예 1-1, 도 1f는 실시예 1-2, 도 1g는 실시예 1-3, 도 1h는 실시예 1-4, 및 도 1i는 실시예 1-5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비교예 2-1, 도 2b는 비교예 2-2, 도 1c는 실시예 2-1, 및 도 1d는 실시예 2-2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실시예 3-1, 및 도 3b는 실시예 3-2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실시예 4-1, 및 도 4b는 실시예 4-2, 도 4c는 비교예 4-1, 및 도 4d는 실시예 4-3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도 5는 in vivo에서의 초기 방출 제어 및 서방성 효과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수치는 별도의 기재가 없으면 이상 또는 이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층(O 층)을 포함하는 미립구(microsphere)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포 조성물은 장기간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제형으로서 서방성 제제에 해당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서방성의 주사 제제 일 수 있다. 서방성 제제는 일정 기간 동안 내부의 약물을 서서히 의도된 수준으로 방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데포제의 주입 초기에 내부 약물이 과량으로 방출되는 초기 방출(initial burst)을 제어하고, 데포제의 주입 전 현탁이 잘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질 성분의 혼합을 통해서 초기 방출이 제어되면서, 현탁능이 우수한 미립구를 제조하여 데포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미립구는 단일의 수상층(W 층) 및 단일의 오일층(O 층)을 포함하는 O/W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립구는 수상층(W 층), 오일층(O 층) 및 수상층(W 층)을 포함하는 W/O/W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둘 이상의 수상층 또는 수상 용액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미립구의 오일층 내부에 존재하는 수상층 또는 이를 형성하기 위한 수상 용액을 제1 수상층(W1 층) 또는 제1 수상 용액으로, 미립구의 오일층 외곽에 형성되는 수상층 또는 이를 형성하기 위한 수상 용액을 제2 수상층(W2 층) 또는 제2 수상 용액으로 각각 구분하여 언급할 수 있다. 이 경우, O/W 형태의 미립구에서 수상층(W층) 또는 수상 용액은 W1/O/W2 형태의 미립구에서 제2 수상층(W2 층) 또는 제2 수상 용액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O/W 에멀젼은 본 명세서에서 O/W2 에멀젼으로도 언급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2 수상층(W2 층), 또는 제2 수상 용액으로 언급되는 것은, O/W 형태의 미립구에 대해서는 수상층 또는 수상 용액에 대응되는 설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미립구는 지질 성분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상 용액을 수상 용액에 첨가하고 유화하여 O/W 에멀젼을 만드는 단일유화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W/O 에멀젼을 수상 용액에 첨가하고 재유화하여 W/O/W 에멀젼을 만드는 이중유화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립구는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지용성 용매에 용해하여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을 제조하거나; 유효성분을 수용성 용매에 용해하여 준비된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과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및 지질 성분을 지용성 용매에 용해하여 준비된 오일상(O) 용액을 혼합하여 W1/O 에멀젼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상 용액 또는 W1/O 에멀젼을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에 투입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용성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수상 용액은 에멀젼 제조 과정에서, 용액의 삼투압 조절을 위해, 염화나트륨과 같은 삼투압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립구의 오일층에 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미립구 내부의 유효성분의 과다 방출을 억제하는 초기방출 억제 효과와 더불어, 데포 조성물의 현탁능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켜, 주사제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립구는 0.1 g/ml 이상의 부피밀도(Bulk density; BD)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피밀도(Bulk density; BD)는 분립체를 특정 용기에 충전하였을 때 입자간 생기는 공극을 포함한 체적을 기준으로한 밀도를 의미한다. 데포 조성물에서 미립구의 부피밀도가 0.1 g/ml 미만인 경우 미립구가 너무 가벼워 주사제로 사용하기 어렵다. 특히, 미립구의 벌키한 특성 때문에, 재현탁 시 주사 용수에의 분산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미립구는 부피밀도가 0.1 g/ml 이상인 것으로, 재현탁능이 우수하고, 주사제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미립구는 절대값 8 mV 이상의 제타전위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타전위는 입자 사이의 반발력과 인력의 크기를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미립구는 절대값 8 mV 이상의 제타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타전위 값이 8 mV 미만인 경우, 해당 미립구는 분산능이 저하되어 주사 용수에 빠르게 침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대값 8 mV 내지 40 mV, 또는 10 mV 내지 35 mV의 제타전위 값을 갖는다. 상기 범위를 만족한 경우, 해당 미립구는 분산성이 우수한 바, 주사 용수에 잘 현탁될 수 있고, 이 경우 균일한 데포제를 형성할 수 있어, 특히 주사 제제로서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립구는 유효성분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데포 조성물은 체내에 투여되어, 일정 기간 동안 유효성분을 신체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므로, 데포 조성물의 내부에는 유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특히 미립구의 내부에 포함되어 미립구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체내에 일정 기간 동안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본 발명의 미립구의 제1 수상층(W1 층) 또는 오일층(O 층)에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일 유화 에멀젼의 경우, 오일층에 유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고, 이중 유화 에멀젼의 경우, 제1 수상층에 유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출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 특정 질환, 증상 또는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drug)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오의약품 또는 펩티드 약물일 수 있다. 상기 약물은 구체적인 예로,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 일 수 있다.
상기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는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GLP-1(gl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의 작용에 관여하는 GLP-1 작용제(agonist)로서 비만 또는 당뇨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신체가 과량의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에 노출된 경우, 구토, 오심, 저혈당,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데포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데포제로부터 상기 유효성분이 과량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는 펩타이드 약물로 보관 및 저장이 까다로운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포 조성물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를 위해서 주사용수에 상기 분말을 현탁하여야 하는데, 분말의 현탁능이 불량한 경우, 균일한 제제를 형성할 수 없어, 약효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미립구의 뭉침 및 침강물이 발생하거나, 부유 미립구들이 발생 할 수 있어 초기 방출 제어 효과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초기 방출을 억제하고, 현탁능이 우수한 제제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초기방출 제어능을 갖는 데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미립구의 오일층(O 층)에는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다.
상기 지질 성분은 GDO 또는 트리팔미틴일 수 있다. 또한, 지질 성분은 콜레스테롤과 제2 지질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질 성분은 GDO, DOTAP 및 트리팔미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립구의 오일층에 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지질 성분에 의하여 미립구 표면의 기공을 감소시키고, 오일층에 존재하는 지질 성분의 물과 친하지 않은 특성 때문에 제1 수상층 또는 오일층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이 오일층 바깥으로 나오는 것을 일부 억제하여 초기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일층에 상기 지질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낮은 함량의 지질 성분만 포함하여도 효과적인 초기방출제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데포제의 현탁능을 유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미립구는 오일상 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질 성분을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 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성분이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미립구의 표면의 불균일에 의한, 데포제 약물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립구는 오일상 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질 성분을 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4.5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립구에서 유효성분 초기방출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제2 지질 성분 1 몰에 대하여 0.001 몰 초과 내지 50 몰 미만, 0.002 몰 내지 40 몰, 0.002 몰 내지 20 몰, 또는 0.1 몰 내지 1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미립구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며, 생체 내 고분자가 점차 분해됨에 따라, 내부에 포함된 약물이 점차 방출될 수 있다. 즉, 약물 방출 기간 동안 내부의 약물을 보호하고, 장기간 약물 방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구체적으로 각국 의약품 안전처에서 주사용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허가된 것은 본 발명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인히런트 점도(Inherent Viscosity, 고유점도)가 0.35dL/g 내지 0.65dL/g, 바람직하게는 0.50dL/g 내지 0.55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고유점도가 0.35dL/g 미만 일 경우 원하는 기간 보다 빠른 약물 방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고유점도가 0.65 dL/g 초과일 경우 원하는 기간 보다 느린 약물 방출을 나타내 충분한 약물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0.53 dL/g의 점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사용하여, 데포 조성물로서 장기간 동안 약물 방출 특성을 유지하여 생체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히런트 점도는 제조처에서 제시하는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의 점도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단량체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단량체로 포함하면 중합된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중합체의 말단이 개질된 branched-고분자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고분자의 일 예로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PGA), 폴리(락타이드-코-글라이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및 Glucose-PLGA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미립구는 PLGA 미립구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결정된 이들의 각각의 분자량에 대해 다음의 분자량 분포별 함량을 가지는 것 일 수 있다: 500~4,000 분자량 구간은 3% 이상, 5,000~16,000 분자량 구간은 10% 이상 30% 미만, 16,000~40,000 분자량 구간은 20% 이상 50% 미만. 40,000 이상은 20% 이상.
본 발명의 데포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 데포 조성물은 안정화제, pH 조절제, 산화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을 준비하거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과 상기 오일상(O) 용액을 혼합하여 W1/O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상 용액 또는 W1/O 에멀젼을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에 투입하여 O/W2 에멀젼 또는 W1/O/W2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에멀젼을 건조 및/또는 여과 후 원심분리하여 미립구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은 수용성 용매에 유효성분을 용해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은 본 발명 데포 조성물에서 방출되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되는 약물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약물일 수 있고, 바이오의약품 또는 펩타이드 약물일 수 있다. 일 예로,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 일 수 있다.
상기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은 지용성 용매에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 용해시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분은 상기 오일상 용액에도 혼합 및 용해될 수 있다. 특히, 단일 유화법으로 제조된 미립구의 경우, 상기 유효성분이 혼합된 오일상 용액을 수상 용액에 첨가하면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유상 용액에 포함시키기 위한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용성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지질 성분은 GDO 또는 트리팔미틴일 수 있다. 또한, 지질 성분은 콜레스테롤과 제2 지질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질 성분은 GDO, DOTAP 및 트리팔미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성분은 오일상 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 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4.5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되는 미립구에서 유효성분의 초기방출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지질 성분이 오일상 용액에 5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미립구의 표면이 불균일 해져, 데포제 약물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질 성분은 오일상 용액에 유효성분 1 몰(mol)에 대하여 0.01 내지 1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제2 지질 성분 1 몰에 대하여 0.001 몰 초과 내지 50 몰 미만, 0.002 몰 내지 40 몰, 0.002 몰 내지 20 몰, 또는 0.1 몰 내지 1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단량체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단량체로 포함하는 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O/W 에멀젼은 오일상을 수상에 혼합하고,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속도 및 시간은 에멀젼 형성 조건 및 시료의 양에 따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은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용매는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수상 용액은 에멀젼 제조 과정에서, 용액의 삼투압 조절을 위해, 염화나트륨과 같은 삼투압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용매는 폴리비닐알콜, 메틸셀롤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폴리옥시에틸렌, 올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파마자유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경우, 미립구 내 유효성분의 초기 방출 억제 효과가 우수하면서 현탁능이 우수한 데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제조예 1. 미립구 제조
API로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polypeptide laboratories) 252 mg를 1.2 mL의 1 wt% 아세트산 나트륨(Sodium acetate;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용액에 용해시켜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API로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252 mg를 1.2 mL의 1 3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을 준비하였다.
1350 mg의 DL-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 D,L-lactide-co-glycolide; Resomer select 5545 DLG 5Glu, Evonik; Inherent Viscosity 0.53 dl/g) 및 지질 성분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Honeywell)에 용해시켜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을 준비하였다. W1 용액과 O 용액을 혼합하고,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9000 rpm으로 2분간 교반하여 W1/O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0.5 g의 염화나트륨(NaCl;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을 100 mL의 0.5 wt% 폴리비닐알콜(PVA; Gohsenol EG-40P, Nippon Gohsei) 용액에 용해시켜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을 준비하였다. W2 용액에 W1/O 에멀젼을 5 ml/min의 속도로 주입하면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9000 rpm으로 교반하여 W1/O/W2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W1/O/W2 에멀젼을 3시간 동안 상온에서 수중건조 시키고, 메쉬 사이즈가 75um인 체를 통해 여과한 후, 원심분리하여 미립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미립구를 증류수에 재분산 시킨 후 원심분리하는 방법으로 미립구 표면을 3회 세척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미립구를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약물이 봉입된 미립구를 수득하였다.
[시험방법]
1.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 함량의 평가
리라글루타이드는 20mL 볼륨 플라스크에 미립구 20mg을 넣고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10mL로 용해시키고 1wt% 아세트산 나트륨용액으로 표선을 맞춘 후,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이 때 분석조건은 0.05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monobasic)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을 53:47로 배합한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Aegispak C18-L 컬럼을 이용하여 215nm에서 유속 1.0 mL/min로 측정하였다.
한편, 세마글루타이드는 20mL 볼륨 플라스크에 미립구 20mg을 넣고 아세토나이트릴 10mL로 용해시키고 3차 증류수로 표선을 맞춘 후, 0.45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이 때 분석조건은 0.1% TFA:Acetonitril = 90:10인 이동상 A와 0.1% TFA:Acetonitril = 10:90인 이동상 B를 55:45로 배합한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Aegispak C8-L 컬럼을 이용하여 200nm에서 유속 0.8 mL/min로 측정하였다.
2. 방출 시험
20 mg의 동결건조된 미립구를 폴리소베이트 80(Polysorbate 80) 0.05%를 함유하는 100mL의 인산염완충액(1X PBS)을 사용하여 DISTEK용출기(Dissolution system 2500)에서 120 rpm, 37℃에서 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2 mL의 시료를 채취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미립구를 분리하고 상층액에 존재하는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였다.
이 때 리라글루타이드의 분석조건은 0.05M 인산칼륨과 아세토나이트릴을 53:47로 배합한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Aegispak C18-L 컬럼을 이용하여 215nm에서 유속 1.0 mL/min로 측정하였다. 또한, 세마글루타이드의 분석조건은 0.1% TFA:Acetonitril = 90:10인 이동상 A와 0.1% TFA:Acetonitril = 10:90인 이동상 B를 55:45로 배합한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Aegispak C8-L 컬럼을 이용하여 200nm에서 유속 0.8 mL/min로 측정하였다.
미립구에서 약물의 초기 방출은 상기한 방법에서 1시간 동안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가 용출되는 양을 확인하였고, 장기 방출은 35일 동안 리라글루타이드 또는 세마글루타이드가 용출되는 양을 확인하였다.
3. SEM 측정
미립구 약 10 mg을 알루미늄 스터브에 고정시키고 진공도 0.1 torr 및 고전압(10kV)하에서 3분간 백금 코팅을 한 후, SEM 분체에 장착하고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미립구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4. 입도사이즈 측정
미립구의 사이즈는 Malvern사의 Mastersi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미립구 약 30 mg을 증류수 5 ml에 현탁하고 현탁액을 분산 장비에 넣은 후 2800 rpm, Ultrasound 50% 조건으로 1분간 분산시킨 후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5. Zeta-potential 측정
미립구 50 mg을 정제수 3ml에 분산한 후 Malvern사의 Nano-ZS 장비를 이용하여 제타전위를 측정하였다.
6. 부피밀도 측정
에펜도르프 튜브에 1 ml의 미립구를 채운 뒤 채워진 미립구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1] 리라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지질 계열 부형제 혼합에 따른 영향 평가
리라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미립구에서 지질의 종류에 따라 약물의 과도한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립구의 제조 방법은 제조예 1의 미립구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Batch No. 조성
W1 Phase (mg) O Phase (mg) W2 Phase (g)
API Polymer Lipid PVA
비교예 1-1 111 252 1350 - 0.5
비교예 1-2 113 252 1350 Stearic acid
19 mg
0.5
비교예 1-3 115 252 1350 Cholesterol
26 mg
0.5
비교예 1-4 117 252 1350 DOTAP47 mg 0.5
실시예 1-1 118 252 1350 1,3-GDO
42 mg
0.5
실시예
1-2
119 252 1350 Tripalmitin
54 mg
0.5
실시예 1-3 124 252 1350 Cholesterol 26 mg+ DOTAP 47 mg 0.5
실시예 1-4 125 252 1350 Cholesterol 26 mg
+ 1,3-GDO 42 mg
0.5
실시예
1-5
126 252 1350 Cholesterol 26 mg
+ Tripalmitin 54 mg
0.5
상기 표 1에 따른 지질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미립구(비교예 1-1), Stearic acid을 포함하는 미립구(비교예 1-2),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미립구(비교예 1-3), DOTAP를 포함하는 미립구(비교예 1-4), 1,3-GDO를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1-1), 트리팔미틴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1-2), 콜레스테롤 및 DOTAP를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1-3), 콜레스테롤 및 1,3-GDO를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1-4), 및 콜레스테롤 및 트리팔미틴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1-5)에서 초기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방법 1 및 2의 조건에 따라 리라글루타이드(API)의 함량과 방출률을 확인하고, 시험방법 3 및 4의 조건에 따라 SEM 사진을 이용한 미립구 표면을 관찰하고, 각 미립구의 평균 입도사이즈(D[4,3])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1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비교예 1-1, 도 1b는 비교예 1-2, 도 1c는 비교예 1-3, 도 1d는 비교예 1-4, 도 1e는 실시예 1-1, 도 1f는 실시예 1-2, 도 1g는 실시예 1-3, 도 1h는 실시예 1-4, 및 도 1i는 실시예 1-5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Batch No. 분석 결과
함량 (%) 방출 (1h)
(%)
D[4,3]
(μm)
SEM 성상
비교예 1-1 111 100.51 15.76 42.29 Pore 많음
비교예 1-2 113 104.85 10.70 37.75 Pore 있음
비교예 1-3 115 106.94 18.66 39.86 Pore 많음
비교예 1-4 117 81.84 18.06 88.09 Pore 있음
실시예 1-1 118 101.43 9.41 60.48 Pore 없음 (코팅)
실시예 1-2 119 93.99 9.75 50.82 Pore 없음 (코팅)
실시예 1-3 124 89.27 6.92 71.59 Pore 없음(코팅)
실시예 1-4 125 104.31 5.30 73.12 Pore 없음 (코팅)
실시예 1-5 126 86.74 5.65 73.05 Pore 없음 (코팅)
표 2 및 도 1a 내지 도 1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4의 지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미립구에서 또는 지질 성분으로 Stearic acid, 콜레스테롤, DOTAP을 포함하는 미립구에서 상기 미립구의 표면에 기공이 많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API의 초기 방출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의 지질 성분으로 GDO 또는 트리팔미틴을 사용하거나, 또는 콜레스테롤과 GDO, 트리팔미틴 또는 DOTAP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미립구의 기공이 커버되어, 표면의 기공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API의 초기 방출억제 효과를 가지면서, 성상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5의 콜레스테롤과 제2 지질 성분을 결합한 미립구에서 우수한 API의 초기 방출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세마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지질 계열 부형제 혼합에 따른 영향 평가
세마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미립구에서 지질의 종류에 따라 약물의 과도한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립구의 제조 방법은 제조예 1의 미립구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Batch No. 조성
W1 Phase (mg) O Phase
(mg)
W2 Phase
(g)
API Polymer Lipid PVA
비교예 2-1 S-017 252 1350 - 0.5
비교예 2-2 S-Chol 252 1350 Cholesterol 26 mg 0.5
실시예 2-1 S-018 252 1350 1,3-GDO 42 mg 0.5
실시예 2-2 S-019 252 1350 1,3-GDO 26 mg+ Cholesterol 42 mg 0.5
상기 표 3에 따른 지질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미립구(비교예 2-1),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미립구(비교예 2-2), 1,3-GDO를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2-1), 및 콜레스테롤 및 1,3-GDO를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2-2)에서 초기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방법 1 및 2의 조건에 따라 세마글루타이드(API)의 함량과 방출률을 확인하고, 시험방법 3 및 4의 조건에 따라 SEM 사진을 이용한 미립구 표면을 관찰하고, 각 미립구의 평균 입도사이즈(D[4,3])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방법 5 내지 6에 따라 각 미립구의 물리화학적 특성(부피밀도(BD), 제타전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비교예 2-1, 도 2b는 비교예 2-2, 도 2c는 실시예 2-1, 및 도 2d는 실시예 2-2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Batch No. 분석 결과
함량 (%) 방출 (1h)
(%)
D[4,3]
(μm)
SEM 성상 Zeta 값 (mV) BD
(g/ml)
비교예 2-1 S-017 108.66 18.11 49.28 Pore 있음 -7.86 0.251
비교예 2-2 S-Chol 101.64 21.66 39.28 pore 많음 -10.86 0.241
실시예 2-1 S-018 107.93 6.91 45.11 Pore 없음 (코팅) -11.7 0.229
실시예 2-2 S-019 109.42 6.56 56.68 Pore 없음 (코팅) -13.8 0.279
표 4 및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1의 지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미립구나 비교예 2-2의 콜레스테롤이 단독으로 포함된 미립구의 표면에 기공이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2의 미립구는 성상도 불량 하였으며, 이에 따라, API의 초기 방출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1의 지질 성분으로 GDO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실시예 1-2의 콜레스테롤과 GDO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미립구의 기공이 커버되어, 표면의 기공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API의 초기 방출억제 효과를 가지면서, 성상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1,3-GDO의 함량에 따른 방출 제어 억제효과 확인
세마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미립구에서 상기 미립구 내부의 약물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지질 성분의 함량에 따른 영향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1,3-GDO의 함량에 따른 미립구에서 API의 방출 및 미립구의 성상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립구의 제조 방법은 제조예 1의 미립구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Batch No. 조성
W1 Phase (mg) O Phase
(mg)
W2 Phase
(g)
API Polymer Lipid PVA
실시예 3-1 S-020 252 1350 1,3-GDO 4.2 mg (0.1 몰) 0.5
실시예 2-1 S-018 252 1350 1,3-GDO 42 mg
(1 몰)
0.5
실시예 3-2 S-021 252 1350 1,3-GDO 210 mg
(5 몰)
0.5
상기 표 5에 따른 1,3-GDO를 0.1 몰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3-1), 1,3-GDO를 1 몰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2-1), 및 1,3-GDO를 5 몰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3-2)에서 초기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방법 1 및 2의 조건에 따라 세마글루타이드(API)의 함량과 방출률을 확인하고, 시험방법 3 및 4의 조건에 따라 SEM 사진을 이용한 미립구 표면을 관찰하고, 각 미립구의 평균 입도사이즈(D[4,3])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방법 5 내지 6에 따라 각 미립구의 물리화학적 특성(부피밀도(BD), 제타전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실시예 3-1, 및 도 3b는 실시예 3-2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Batch No. 분석 결과
함량 (%) 방출 (1h)
(%)
D[4,3]
(μm)
SEM 성상 Zeta 값 (mV) BD
(g/ml)
실시예 3-1 S-020 97.95 6.17 29.9 Pore 없음
(코팅)
-17.5 0.314
실시예 2-1 S-018 107.93 6.91 45.11 Pore 없음 (코팅) -11.7 0.229
실시예 3-2 S-021 96.78 8.47 33.5 Pore 없음
(코팅)
-27.8 0.26
표 6, 도 2c,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립구에 지질 성분으로 GDO를 0.1몰(실시예 3-1), 1몰(실시예 2-1), 5몰(실시예 3-2)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미립구의 기공이 코팅 되어, 표면의 기공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API의 초기 방출억제 효과를 가지면서, 성상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1,3-GDO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따른 방출 제어 억제효과 확인
세마글루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미립구에서 상기 미립구 내부의 약물의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지질 성분의 함량에 따른 영향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1,3-GDO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따른 미립구에서 API의 방출 및 미립구의 성상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7의 성분 및 함량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립구의 제조 방법은 제조예 1의 미립구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Batch No. 조성
W1 Phase (mg) O Phase
(mg)
W2 Phase
(g)
API Polymer Lipid PVA
실시예 4-1 S-022 252 1350 1,3-GDO 4.2 mg (0.1몰)
+ Cholesterol 2.6 mg (0.1몰)
0.5
실시예 4-2 S-023 252 1350 1,3-GDO 210 mg (5몰)+ Cholesterol 2.6 mg (0.1몰) 0.5
실시예 2-2 S-019 252 1350 1,3-GDO 42 mg (1몰)+ Cholesterol 26 mg (1몰) 0.5
비교예 4-1 S-024 252 1350 1,3-GDO 4.2 mg (0.1몰)+ Cholesterol 130 mg (5몰) 0.5
실시예 4-3 S-025 252 1350 1,3-GDO 210 mg (5몰)+ Cholesterol 130 mg (5몰) 0.5
상기 표 7에 따른 1,3-GDO 0.1 몰과 콜레스테롤 0.1 몰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4-1), 1,3-GDO 5 몰과 콜레스테롤 0.1몰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4-2), 1,3-GDO 1 몰과 콜레스테롤 1 몰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2-2), 1,3-GDO 0.1 몰과 콜레스테롤 5 몰을 포함하는 미립구(비교예 4-1), 및 1,3-GDO 5 몰과 콜레스테롤 5 몰을 포함하는 미립구(실시예 4-3)에서 초기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방법 1 및 2의 조건에 따라 세마글루타이드(API)의 함량과 방출률을 확인하고, 시험방법 3 및 4의 조건에 따라 SEM 사진을 이용한 미립구 표면을 관찰하고, 각 미립구의 평균 입도사이즈(D[4,3])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방법 5 내지 6에 따라 각 미립구의 물리화학적 특성(부피밀도(BD), 제타전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8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의 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실시예 4-1, 및 도 4b는 실시예 4-2, 도 4c는 비교예 4-1, 및 도 4d는 실시예 4-3에 따른 미립구를 나타낸다.
Batch No. 분석 결과
함량 (%) 방출 (1h)
(%)
D[4,3]
(μm)
SEM 성상 Zeta 값 (mV) BD
(g/ml)
실시예 4-1 S-022 102.07 0.1 49.4 Pore 없음 (코팅) -15.8 0.36
실시예 4-2 S-023 100.12 6.34 30.4 Pore 없음 (코팅) -30.1 0.251
실시예 2-2 S-019 109.42 6.56 56.68 Pore 없음 (코팅) -13.8 0.279
비교예 4-1 S-024 106.52 13.28 54.9 성상 불량 -11.8 0.219
실시예 4-3 S-025 96.94 5.67 32.8 성상 우수 -23.9 0.246
표 8, 도 2d 및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 성분으로 GDO를 0.1몰, 콜레스테롤을 5몰 사용한 미립구(비교예 4-1)는 성상이 불량하며, API의 초기 방출도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질 성분으로 1,3-GDO와 콜레스테롤의 몰비를 1:50 미만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2-2, 실시예 4-3과 같이 지질 성분으로 콜레스테롤과 1,3-GDO를 1:0.002 내지 1: 50 미만의 몰 비율로 사용하는 경우, 미립구의 기공이 커버되어, 표면의 기공이 거의 확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API의 초기 방출억제 효과를 가지면서, 성상도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in vivo에서의 초기 방출 제어 및 서방성 효과 확인
in vivo 상에서 미립구의 약물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3의 실시예 2-2 및 비교예 2-1에 따라 제조된 미립구(세마글루타이드로서 0.4 mg/kg)를 평균 300 g의 8주령 SD 랫트 (수컷) 4마리의 등에 피하 투여한 후 0, 0.04, 0.13, 0.25, 0.5, 1, 2, 4, 7, 14, 24, 28 일에서 채혈하였다
이 후 SD 랫트의 혈장 샘플에서 각 시간에서의 혈중 세마글루타이드의 농도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용된 키트는 GLP-1 (active) ELISA(IBL, 독일)를 사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세마글루타이드의 농도 변화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의 결과는 실험에 사용한 쥐 4마리에 대한 평균값을 기재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GDO 와 콜레스테롤이 각각 주성분(API) 대비 1 몰씩 포함하여 코팅된 미립구(실시예 2-2)는 일반적인 미세입자 형태인 비교예 2-1의 미립구에 비하여 생리학적 활성물질의 최대혈중 농도(Cmax)가 2.6 배 감소되었으며, 최대혈중시간(Tmmx)도 4 배 지연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립구가 21일 이후 28일까지 우수한 서방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층(O 층)을 포함하는 미립구(microsphere)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질 성분은 GDO(글리세롤 디올레이트) 또는 트리팔미틴이거나, 콜레스테롤과 제2 지질 성분의 혼합물인 데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제2 지질 성분은 GDO, DOTAP(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및 트리팔미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데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미립구는 지질 성분을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여 제조된 것인 데포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은 제2 지질 성분 1 몰에 대하여 0.001 몰 초과 내지 50 몰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인 데포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단량체로 포함하는 중합체인 데포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인히런트 점도(Inherent Viscosity/25 ℃)가 0.35dL/g 내지 0.65dL/g인 데포 조성물.
  8. 지질 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오일상(Oil phase: O) 용액을 준비하거나, 또는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수상(Water phase 1: W1) 용액과 상기 오일상(O)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W1/O 에멀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오일상 용액 또는 W1/O 에멀젼을 제2 수상(Water phase 2: W2) 용액에 투입하여 O/W2 에멀젼 또는 W1/O/W2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지질 성분은 오일상 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1 수상 및/또는 오일상은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지질 성분은 상기 오일상 용액에 유효성분 1 몰(mol)에 대하여 0.01 내지 10 몰로 포함되는 것인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조된 O/W2 에멀젼 또는 W1/O/W2 에멀젼을 건조 및/또는 여과 후 원심분리하여 미립구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12234A 2022-01-27 2022-01-27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15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234A KR20230115591A (ko) 2022-01-27 2022-01-27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3/000740 WO2023146187A1 (ko) 2022-01-27 2023-01-16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234A KR20230115591A (ko) 2022-01-27 2022-01-27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591A true KR20230115591A (ko) 2023-08-03

Family

ID=8747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234A KR20230115591A (ko) 2022-01-27 2022-01-27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5591A (ko)
WO (1) WO20231461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626B2 (ja) 2008-07-14 2015-03-11 ポリーペイド リミテッドPolypid Ltd. 徐放性薬剤キャリ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2225B2 (en) * 1998-07-17 2002-09-12 Pacira Pharmaceuticals, Inc. Biodegradable composition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encapsulated substances
RS62435B1 (sr) * 2014-04-21 2021-11-30 Heron Therapeutics Inc Dugodelujući polimerni sistemi za isporuku
CN109414401B (zh) * 2016-04-26 2023-06-13 阿代尔制药股份有限公司 用于胃肠外给药的生物可降解聚合物微球组合物
KR20190043865A (ko) * 2017-10-19 2019-04-2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주사 투여용 데포 제제
KR102186704B1 (ko) * 2019-02-18 2020-12-04 (주)아이엠디팜 서방성 지질 전구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질 용액 형태의 서방성 주사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626B2 (ja) 2008-07-14 2015-03-11 ポリーペイド リミテッドPolypid Ltd. 徐放性薬剤キャリ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87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ri et al. Prospects of pharmaceuticals and biopharmaceuticals loaded microparticles prepared by double emulsion technique for controlled delivery
FI107993B (fi) Mikropartikkelien valmistus
KR100638041B1 (ko) 수용성 약물의 경구투여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JP5933025B2 (ja) 投薬を制御放出又は徐放するためのミクロスフィア
JPH01216918A (ja) 生理活性物質含有ポリ乳酸系微小球およびその製造法
WO1993007861A1 (en) Preparation and uses of multi-phase microspheres
CN105616385B (zh) 磷脂蛋白质微粒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
JPH0240644B2 (ko)
JP2002507966A (ja) 薬学的組成物の調製
JP4073478B2 (ja) 生物分解性制御放出型微細球およびその製法
CN110339166A (zh) 一种利拉鲁肽多囊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27254A (ko) 카리프라진 방출 제형
US20190046447A1 (en) Temperature-sensitive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8434118A (zh) 胰高血糖素样肽-1类似物缓释微球及其制备方法
WO2005102284A1 (en) Protein-containing lipid implant for sustained delivery and its preparation method
Heya et al. Controlled release of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from microspheres: evaluation of release profiles and pharmacokinetics afte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JPH06211648A (ja) 徐放性多核マイクロスフェア製剤およびその製法
KR20050081092A (ko) 생체적합성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콜로이드계 조성물,제형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230115591A (ko) 초기 방출 제어된 지질 융합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2807B1 (ko) 초기 방출 제어된 데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296524A1 (en) Initial burst release controlled depot composition and a method thereof
JP3026228B2 (ja) 徐放性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098529A (zh) 初期突发释放受控的贮库组合物及其方法
WO2018038461A1 (ko)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41432A (ja) 新規な徐放性医薬品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