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160A -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160A
KR20230115160A KR1020220011828A KR20220011828A KR20230115160A KR 20230115160 A KR20230115160 A KR 20230115160A KR 1020220011828 A KR1020220011828 A KR 1020220011828A KR 20220011828 A KR20220011828 A KR 20220011828A KR 20230115160 A KR20230115160 A KR 20230115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gold
tangerine peel
tangerine
dried
active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102022001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160A/ko
Publication of KR2023011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와 꽃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A flower tea having effective component of tangerine peel and maryg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꽃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와 꽃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으로 음용되어 왔고, 과거에는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에서 주로 음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전세계에서 폭넓게 음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종류의 차에 함유된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차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증가되면서, 증가된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차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도 증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꽃차란 향이 나는 말린 꽃을 우려낸 것으로 진정 효과, 소화, 원기 회복, 또는 치유의 속성이 있다. 이러한 꽃차는 마시는 방법에 따라 티백형, 분말형, 꽃이나 잎을 말려 놓은 것만을 포장해 놓은 것 등 종류가 다양하다.
메리골드 꽃은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금잔화’라고 불리며, 긴 기간 꽃이 핀다고 하여 만수국 혹은 천수국이라고도 불린다.
메리골드 꽃은 감염된 부위의 혈류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조직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화상, 피부염, 습진, 타박상, 흉터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메리골드 꽃에는 활성 산소의 활동을 막아내는 항산화 물질로 노화 촉진을 막아 시력 보호와 눈 건강을 지켜주는 루테인(Lutein), 지아잔틴(Zeaxantine), 아스타잔틴(Astaxantine)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비타민 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 면역력 강화, 세포성장에 효과가 좋은 식품재료 중 하나이다. 메리골드 꽃은 식품재료로 활용될 수 있어 차의 형태로 제조하여 차로 음용하거나, 요리시 황색 착색료로 흔히 사용되며, 메리골드 꽃 자체를 음식에 넣어 섭취할 수도 있다.
종래의 메리골드 꽃차 제조방법은 꽃을 분쇄하여 꽃차를 제조할 때 꽃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꽂차 제조방법은 꽃의 완전한 원형 복원이 어렵고 색이나 향의 고유의 풍미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귤피(귤껍질)에는 30mg 이상의 비타민C가 함유되있다. 비타민C는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고, 기미와 주근까 등을 없애주는 등 미백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 추위를 견딜 수 있게 물질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면역력을 키워주며, 항산화 기능도 있어 몸의 노화를 예방하며, 피료 해소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귤피에는 펙틴(세포벽을 이루는 주요 구성물질 중 하나)이라는 식이 섬유소가 풍부해 변비를 예방하고, 헤스페리딘(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 식물의 방어 작용 역할을 함)은 혈관 건강에 좋아 고혈압을 예방한다. 따라서 주로 귤피를 건조시켜 차로 우려 음용한다.
꽃차는 좋은 향을 갖고 있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도 포함하고 있으나, 차로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편이다. 즉, 꽃만을 가지고 차를 만드는 경우 부드러운 맛을 갖는 차를 제조하기가 어렵고,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차를 만드는 경우, 어울리는 맛을 내기가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꽃차는 단일 식물을 이용한 단일 꽃차로만 제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와 꽃차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32827호 메리골드 꽃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2982호 기능성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단일 꽃차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은,
귤과 메리 골드를 세척하는 제1 단계(S100)와;
세척된 메리 골드를 덖음 과정을 통해 완전 건조 시키는 제2 단계(S200)와;
세척된 귤을 이용해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획득하는 제3 단계(S3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덖음 과정을 통해 일체화시켜, 귤피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를 획득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는,
귤 알맹이가 제거된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완전 건조 상태로 귤피(100)와 일체화 되어 있는 메리 골드(2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일체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를 싸매고 있는 실(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귤피와 메리 골드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통해 눈 건광과 피부 건강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꽃차 제조를 위해 준비되는 귤과 메리 골드 예시도
도 2는 생 메리 골드를 완전 건조시키는 과정 예시도
도 3은 내부에 완전 건조된 메리 골드가 들어 있는 반 건조된 귤피를 완전 건조시키는 과정 예시도
도 4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예시도
도 5는 음용을 위해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본 발명의 꽃차가 뜨거운 물에 담겨져 있는 예시도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이종 식물인 귤피와 메리 골드를 일체화된 꽃차 형태로 제조하여 귤피(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펙틴과 같은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에 다량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과 같은 유효 성분을 차를 통해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귤피와 메리 골드에 포함된 유효 성분을 통해 눈 건광과 피부 건강 효과를 제공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꽃차 제조에 이용되는 메리골드는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금잔화’라고 불리며, 긴 기간 꽃이 핀다고 하여 만수국 혹은 천수국이라고도 불린다.
메리골드는 감염된 부위의 혈류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조직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화상, 피부염, 습진, 타박상, 흉터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메리골드에는 활성 산소의 활동을 막아내는 항산화 물질로 노화 촉진을 막아 시력 보호와 눈 건강을 지켜주는 루테인(Lutein), 지아잔틴(Zeaxantine), 아스타잔틴(Astaxantine)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비타민 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 면역력 강화, 세포성장에 효과가 좋은 식품재료 중 하나이다. 메리골드 꽃은 식품재료로 활용될 수 있어 차의 형태로 제조하여 차로 음용하거나, 요리시 황색 착색료로 흔히 사용되며, 메리골드 꽃 자체를 음식에 넣어 섭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꽃차 제조에 이용되는 귤피(귤껍질)에는 30mg 이상의 비타민C가 함유되있다. 비타민C는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고, 기미와 주근까 등을 없애주는 등 미백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 추위를 견딜 수 있게 물질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면역력을 키워주며, 항산화 기능도 있어 몸의 노화를 예방하며, 피료 해소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귤피에는 펙틴(세포벽을 이루는 주요 구성물질 중 하나)이라는 식이 섬유소가 풍부해 변비를 예방하고, 헤스페리딘(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 식물의 방어 작용 역할을 함)은 혈관 건강에 좋아 고혈압을 예방한다.
꽃차는 좋은 향을 갖고 있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도 포함하고 있으나, 차로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편이다. 즉, 꽃만을 가지고 차를 만드는 경우 부드러운 맛을 갖는 차를 제조하기가 어렵고,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차를 만드는 경우, 어울리는 맛을 내기가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꽃차는 단일 식물을 이용한 단일 꽃차로만 제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피부 건강과 항산화 유효 성분을 갖는 귤피와 눈 건강에 유효한 성분을 갖는 메리 골드라는 이종 식물이 일체화된 꽃차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으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꽃차 음용 시, 하나의 꽃차로 귤피와 메리 골드 고유의 이중 향을 각각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귤피와 메리 골드가 갖고 있는 유효 성분을 통해 항산화 효과와 눈 및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은,
귤과 메리 골드를 세척하는 제1 단계(S100)와;
세척된 메리 골드를 덖음 과정을 통해 완전 건조 시키는 제2 단계(S200)와;
세척된 귤을 이용해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획득하는 제3 단계(S3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덖음 과정을 통해 일체화시켜, 귤피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를 획득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는,
귤 알맹이가 제거된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완전 건조 상태로 귤피(100)와 일체화 되어 있는 메리 골드(2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일체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를 싸매고 있는 실(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단계(S100)>
상기 제1 단계(S100)는 꽃차를 제조할 식물인 귤과 메리 골드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특히, 메리골드는 갓 개화한 꽃송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리골드의 꽃받침 부분을 다 사용해도 무방하나, 꽃받침 부분을 1/3 가량 절단한 메리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준비된 귤과 메리골드에 묻어 있는 잔류 농약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귤과 메리 골드를 각각 소독수에 30분 이상 담가둔 후, 소금물에 씻는다.
특히, 메리골드의 경우, 소독수에 30분 이상 담가두는 대신 증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쑥, 마늘, 감초 등을 3시간 내지 4시간 달인 물인 전탕수를 이용하여 증제할 수 있다. 메리골드를 전탕수에서 증제 시, 30초 내지 70초간 증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증제시간은 60초 내지 120초일 수 있다.
증제 과정을 거치는 경우, 소독수에 30분 이상 담가두는 경우보다,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효소에 의한 발효작용을 멈추게 함으로써 메리골드 꽃 고유의 색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메리골드 꽃을 살균할 수 있다.
쑥, 마늘, 감초 등을 달인 전탕수를 이용하는 이유는, 메리골드 꽃의 향, 유효성분 등이 손실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단계(S200)>
상기 제2 단계(S200)는 세척된 메리 골드를 덖음 과정을 통해 완전 건조 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세척된 메리 골드를 꽃잎이 위로 가게 하여 온도가 조절되는 가열 용기에 넣고,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로 한 후,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켜 생 매리 골드에 들어있는 씁쓸한 맛 성분을 제거한 후,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메리 골드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와 같이, 생 메리 골드를 꽃잎이 위로 가게 하여 가열 용기에 넣는 이유는, 5~10℃로 가열된 가열 용기에서 가해지는 미열에 의해 꽃잎을 통해 가자연스런 수분 증발을 일으켜 건조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만일, 꽃받침 부분을 위로 가게 하여 건조 시키는 경우, 건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꽃잎이 위로 가게 하여 가열 용기에 생 메리 골드를 배치시킨 후, 밀폐 상태인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킨다.
가열 용기 온도를 밀폐 상태로 한 상태에서 가열 용기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키는 과정(음건 과정)을 통해 생 매리 골드에 들어있는 씁쓸한 맛 성분이 제거된다.
생 매리 골드에 들어있는 씁쓸한 맛 성분이 제거되지 않으면, 차 우림시 씁쓸한 맛 성분이 우러나와 맑고 고운 차맛을 얻기 곤란하다.
밀폐 상태인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키는 음건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생 매리 골드에 들어있는 씁쓸한 맛 성분을 제거하는 목적도 있지만, 건조 과정 중, 매리 골드의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만일, 음건 과정(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로 한 후 건조 시키는 것) 없이 양건 과정(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건조 시키는 것)만을 거쳐 메리 골드를 건조시키게 되면, 매리 골드 고유의 색을 잃어버려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밀폐 상태인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키는 음건 과정 이후에,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메리 골드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양건 과정을 거친다.
밀폐 상태인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키는 음건 과정을 통해 메리 골드를 반 건조 상태로 한 후,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메리 골드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양건 과정을 거치게 되면, 메리 골드의 색 변색없이 완전 건조 상태가 된다.
<제3 단계(S300)>
상기 제3 단계(S300)는 세척된 귤을 이용해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즉, 세척된 귤에서 귤 알맹이를 제거하여 귤피를 획득하고, 획득된 귤피를 건조기를 이용해 반건조시키는 것이다.
귤 알맹이를 제거하여 획득한 귤피를 반 건조시키는 이유는, 이후 과정(제 4 단계)을 통해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넣어지게 되는데, 귤피가 완전 건조 상태이면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를 넣기도 곤란하고(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을 넣게 되면, 넣는 과정에서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가 부스러져 꽃차로서의 상품성이 떨어진다), 완전 건조 상태인 귤피 내부로 메리 골드 향이 스며들기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제4 단계(S400)>
상기 제4 단계(S400)는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덖음 과정을 통해 일체화시켜, 귤피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단계(S400)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를 넣고,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실로 싸매는 제4-1 단계(S41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실로 싸매진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온도가 조절되는 가열 용기에 넣고,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제4-2 단계(S420)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되면,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와 미 발열 상태로 2~3시간 유지 시켜, 밀폐 상태에서 서서히 식어가는 가열 용기 내부에 있는 완전 건조 상태의 매리 골드와 귤피 내부에 고유의 향이 갇히도록 향 메김 하는 제4-3 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1 단계(S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건조 상태의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를 넣고,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실로 싸매는 단계이다.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실로 싸매는 이유는, 반 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 건조될 때,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와 메리 골드가 일체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4-2 단계(S420)는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실로 싸매진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도 3과 같이, 온도가 조절되는 가열 용기에 넣고,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단계이다.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양건 과정을 통해, 반 건조 상태의 귤피는 완전 건조되는데, 완전 건조 과정에서 약간의 메리 골드 향과 귤피 향 손실이 발생한다.
상기 제4-3 단계(S430)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되면,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와 미 발열 상태로 2~3시간 유지 시켜, 밀폐 상태에서 서서히 식어가는 가열 용기 내부에 있는 완전 건조 상태의 매리 골드와 귤피 내부에 고유의 향이 갇히도록 향 메김 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제4-2 단계(S420)는 건조 과정(덖음 과정)이고 상기 제4-3 단계(S430)는 향 메김(또는 향 가두기라고도 함) 과정이다.
상술한 제4-2 단계(S420)의 건조 과정(덖음 과정)을 통해 반 건조 상태의 귤피는 완전 건조 상태가 되지만, 굴피와 메리 골드에는 약간의 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즉, 건조를 위해 증발하는 수분에 향이 포함되 증발된다.
만일, 귤피가 완전 건조되어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와 미 발열 상태로 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향 손실이 더욱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와 미 발열 상태로 2~3시간 유지 시킨다.
즉, 가열이 중단되고 밀폐 상태인 가열 용기 내부에 있는 완전 건조 상태인 귤피와 메리 골드는 서서히 식어가는 밀폐된 가열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5~10℃에서 5~10℃ 이하인 온도로 식는 변화) 과정에서 각자의 고유 향이 귤피와 메리 골드에 갇히게 되어 꽃차 음용 시, 보다 진한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귤 알맹이가 제거된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완전 건조 상태로 귤피(100)와 일체화 되어 있는 메리 골드(2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일체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를 싸매고 있는 실(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들어 있는 상기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는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반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 건조 과정을 거쳐 완전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는 음용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뜨건운 물에 담겨져 향, 맛 및 유효 성분이 우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는 상술한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세부적 특징은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부분에서 설명된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
200 :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
300 : 실

Claims (7)

  1.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에 있어서,
    귤과 메리 골드를 세척하는 제1 단계(S100)와;
    세척된 메리 골드를 덖음 과정을 통해 완전 건조 시키는 제2 단계(S200)와;
    세척된 귤을 이용해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획득하는 제3 단계(S3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덖음 과정을 통해 일체화시켜, 귤피 유효 성분과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를 획득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0)는,
    귤과 메리 골드에 묻어 있는 잔류 농약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귤과 메리 골드를 각각 소독수에 30분 이상 담가둔 후, 소금물에 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세척된 메리 골드를 꽃잎이 위로 가게 하여 온도가 조절되는 가열 용기에 넣고,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로 한 후,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4~6분간 유지 시켜 생 매리 골드에 들어있는 씁쓸한 맛 성분을 제거한 후,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메리 골드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S300)는,
    세척된 귤에서 귤 알맹이를 제거하여 귤피를 획득하고, 획득된 귤피를 건조기를 이용해 반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S400)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를 넣고,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실로 싸매는 제4-1 단계(S41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가 내부에 들어있는 실로 싸매진 반건조 상태의 귤피를 온도가 조절되는 가열 용기에 넣고, 가열 용기를 오픈 상태로 한 후,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될 때까지 가열 용기 온도를 5~10℃로 유지 시키는 제4-2 단계(S420)와,
    반건조 상태의 귤피가 완전건조되면, 가열 용기를 밀폐 상태와 미 발열 상태로 2~3시간 유지 시켜, 밀폐 상태에서 서서히 식어가는 가열 용기 내부에 있는 완전 건조 상태의 매리 골드와 귤피 내부에 고유의 향이 갇히도록 향 메김 하는 제4-3 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제조방법.
  6.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에 있어서,
    귤 알맹이가 제거된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완전 건조 상태로 귤피(100)와 일체화 되어 있는 메리 골드(200)와;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서 일체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를 싸매고 있는 실(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내부에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들어 있는 상기 완전 건조 상태의 귤피(100)는,
    완전 건조 상태의 메리 골드(200)가 반건조 상태의 귤피(100)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 건조 과정을 거쳐 완전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
KR1020220011828A 2022-01-26 2022-01-26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KR20230115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28A KR20230115160A (ko) 2022-01-26 2022-01-26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28A KR20230115160A (ko) 2022-01-26 2022-01-26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60A true KR20230115160A (ko) 2023-08-02

Family

ID=8756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828A KR20230115160A (ko) 2022-01-26 2022-01-26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1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982A (ko) 2018-11-27 2020-06-04 양승우 기능성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2827A (ko) 2020-04-28 2021-11-05 김영애 메리골드 꽃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982A (ko) 2018-11-27 2020-06-04 양승우 기능성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2827A (ko) 2020-04-28 2021-11-05 김영애 메리골드 꽃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3026B (zh) 一种玫瑰酱的制备方法
KR100863817B1 (ko) 연잎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9865B1 (ko) 기능성 숙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7927243A (zh) 一种天然抗衰老的油茶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922894A (zh) 一种平卧菊三七茶及其制备方法
KR100874020B1 (ko) 연녹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528B1 (ko) 과실 추출물과 식용꽃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음료 및 그 사용방법
KR20060087347A (ko) 다양한 종류의 꽃을 포함하는 꽃차
KR101281035B1 (ko) 줄풀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15160A (ko) 귤피와 메리 골드 유효 성분이 포함된 꽃차와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1015A (ko) 허브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09329426A (zh) 一种茉莉花红茶奶茶及其制作方法
CN105010543A (zh) 一种适宜美容调理的醋蛋液饮品的制备方法
CN108541852A (zh) 一种山楂汁饮料及其加工工艺
KR101921721B1 (ko) 침출식 구아바 과실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6776A (ko) 분말을 이용한 식품의 환 제조방법
CN112056434A (zh) 一种长果桑嫩芽茶杀青处理方法
CN106924146A (zh) 一种食品级化妆品的生产方法
CN108935847A (zh) 一种功能紫米茶的制作方法及其冲泡方法
CN105521194A (zh) 一种护眼药包
KR20090130947A (ko) 동결 꽃차의 제조방법
KR101426749B1 (ko) 헛개나무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헛개나무 잎 차
CN107616282A (zh) 具有保健功能野菊花茶的加工方法
CN108013192A (zh) 火龙果花茶的制作方法
KR20090005761A (ko) 뽕나무가지를 이용한 음료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