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854A -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 Google Patents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854A
KR20230114854A KR1020220010933A KR20220010933A KR20230114854A KR 20230114854 A KR20230114854 A KR 20230114854A KR 1020220010933 A KR1020220010933 A KR 1020220010933A KR 20220010933 A KR20220010933 A KR 20220010933A KR 20230114854 A KR20230114854 A KR 2023011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ercing
unit
torsion beam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빈
김정섭
김진성
송윤건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854A/ko
Publication of KR2023011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29Combination with non-interferometric systems, i.e. for measuring the object
    • G01B9/0203With im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풀프레임에 토션빔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프레임에 결합된 외측부재와 내측부재 사이공간에 설치되며 일측 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피어싱 받침블록;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기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 가공된 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홀 위치 측정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유니트; 및 상기 홀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어싱 유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Apparatus and method for piercing hole of full frame torsion beam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풀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풀프레임은 차량 하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진동 및 하중을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샤시 부품인 풀프레임은 복수의 암류 및 리어 토션빔과 취부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프레임(1)에 체결되는 토션빔(2)은 프레임과 타이어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주행 중 자동차가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풀프레임의 리어 토션빔 체결부 측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a는 토션빔 체결부의 외측부재의 사시도, 도 3b는 토셤빔 체결부의 내측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리어 토션빔 체결부(10)는 프레스 금형에서 홀 피어싱 공정을 거쳐 단품 상태로 풀프레임(1)에 용접된다. 종래 프레스 공정에 의한 체결부(10)의 가공은 블랭킹, 1차 포밍, 2차 포밍, 밴딩, 홀 피어싱 순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체결부(10)에는 토셤빔(2) 부시(20)가 압입된 상태로 볼트(22)와 너트(23)로 체결하여, 이때 체결부(10) 홀간 직진도가 중요하다. 즉 체결부 외측부재(11)에는 외측홀(12)이 구비되며, 체결부 내측부재(13)에도 내측홀(14)이 구비되며 부시(20)가 압입된 상태로 볼트(22)와 너트(23)를 체결시 내측홀(14)과 외측홀(12)의 직진도가 중요하다.
도 4는 토션빔 체결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풀프레임(1)의 경우 과도한 용접으로 인한 열변형량이 크다. 리어 토션빔(2) 체결에 있어서, 체결부 내측부재(13)와 외측부재(11) 간의 홀 직진도가 중요하며, 용접 변형이 과도할시 체결이 불가하다.
체결이 불가한 풀프레임(1)은 폐기 처리되거나, 홀부를 수정하여 사용하는데, 수정에 따른 리어측 얼라이먼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어지는 너트(23)가 내측 부재(13)에 용접이 된 경우, 체결부(10) 직진도가 더욱 중요해지며, 체결 공차 내에 만족하더라도 공차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7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9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2195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변형에 따른 불량률 개선 및 제조손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유압피어싱 가공으로 풀프레임과 토션빔의 조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리어 토션빙의 취부홀 위치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풀프레임에 토션빔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풀프레임에 결합된 외측부재와 내측부재 사이공간에 설치되며 일측 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피어싱 받침블록;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기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 가공된 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홀 위치 측정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유니트; 및 상기 홀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어싱 유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이드 유니트의 서보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피어싱 유니트가 상기 기 가공된 홀 위치와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홀이 가공되지 않은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어싱 유니트는 유압 피어싱 유니트이고, 서보모터 LM 가이드 유니트에 체결하여 2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위치 측정부는 비젼카메라 또는 접촉식 게이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풀프레임에 토션빔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토션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홀이 가공된 내측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사이 공간에, 외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피어싱 받침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홀 위치 측정부가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내측홀의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가 LM 가이드 유니트의 서보모터를 구동모터로 이용하여 유압 피어싱 유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유압 피어싱 유니트를 전진하여 외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공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따르면, 용접 변형에 따른 불량률 개선 및 제조손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따르면,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유압피어싱 가공으로 풀프레임과 토션빔의 조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리어 토션빙의 취부홀 위치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풀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풀프레임의 리어 토션빔 체결부 측의 확대 사시도,
도 3a는 토션빔 체결부의 외측부재의 사시도,
도 3b는 토셤빔 체결부의 내측부재의 사시도,
도 4는 토션빔 체결부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받침블록이 장착된 체결부를 내측에 바라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 카메라의 예,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받침블록과 피어싱 유니트가 장착된 체결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보 모터 제어 LM 가이드 유니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의 구성, 기능 및 홀 피어싱 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받침블록이 장착된 체결부를 내측에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 카메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받침블록과 피어싱 유니트가 장착된 체결부를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보 모터 제어 LM 가이드 유니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100)는, 풀프레임(1)에 토션빔(2)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10)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11)와 내측부재(13)에 홀을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정확히 피어싱하기 위한 장치이다.
먼저, 체결부의 외측부재(11), 내측부재(13) 중 어느 하나에는 기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진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재(13)에는 내측홀(14)이 기 가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측홀(14) 부분에 너트(23)가 용접되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100)는 이러한 내측홀(14)과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정확하게 외측부재(11)에 외측홀(12)을 피어싱하기 위한 장치이다.
피어싱 받침블록(30)은 풀프레임(1)에 결합된 외측부재(11)와 내측부재(13) 사이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피어싱 받침블록(30)의 외측면(33)에는 후에 설명되는 피어싱 유니트(30)가 전진하여 외측홀(12)이 가공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 위치 측정부는 기 가공된 내측홀(14)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 위치 측정부는 비젼 카메라(32) 또는 접촉식 게이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어싱 유니트(50)는 홀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부재(11)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외측홀(12)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유니트(40)는 홀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어싱 유니트(5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PLC)는 홀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이드 유니트(40)의 서보모터를 제어하여, 피어싱 유니트(50)가 내측홀(14) 위치와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외측부재(11)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유니트(50)는 유압 피어싱 유니트이고, 서보모터 LM 가이드 유니트(40)에 체결하여 2축으로 구성된다. 홀 위치 측정부가 비전카메라(32)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는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내측홀(14)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이러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이드 유니트(40)의 서보모터를 구동하여, 유압 피어싱 유니트(50)가 내측홀(14)과 직진도에 부합하는 위치에서 피어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유압 가이드 유니트(40)의 위치 세팅이 완료되면 유압 가이드 유니트(50)를 통해 외측부재(11)에 외측홀(12)을 피어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공법은, 풀프레임(1)에 토션빔(2)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10)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11)와 내측부재(13)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공법이다.
먼저, 토션빔 체결부 외측부재(11)와, 내측홀(14)이 가공된 내측부재(12)를 풀프레임(1)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외측부재(11)와 내측부재(13) 사이 공간에 피어싱 받침블록(30)을 설치한다. 이러한 피어싱 받침블록(30)의 외측면(33)에는 가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홀 위치 측정부는 내측부재(13)의 내측홀(14)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홀 위치 측정부는 비젼카메라(32) 또는 접촉식 게이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 위치 측정후 제어부(PLC)로 위치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내측홀(14)의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LM 가이드 유니트(40)의 서보모터를 구동모터로 이용하여 유압 피어싱 유니트(5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유압 피어싱 유니트(50)는 LM 가이드 유니트에 체결하여 2축으로 구성된다. 제어부(PLC)는 홀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이드 유니트(40)의 서보모터를 제어하여, 피어싱 유니트(50)가 내측홀(14) 위치와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외측부재(11)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압 피어싱 유니트(50)의 위치 세팅이 완료되면, 유압 피어싱 유니트(50)를 전진하여 외측부재(11)에 외측홀(12)을 피어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따르면, 용접 변형에 따른 불량률 개선 및 제조손실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에 따르면,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유압피어싱 가공으로 풀프레임과 토션빔의 조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리어 토션빙의 취부홀 위치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풀프레임
2:리어 토션빔
10:토션빔 체결부
11:외측부재
12:외측홀
13:내측부재
14:내측홀
20:부시
21:부시홀
22:볼트
23:너트
30:피어싱 받침블록
31:내측면
32:비젼카메라
33:외측면
34:가이드홈
40:가이드유니트
50:피어싱유니트
100: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Claims (5)

  1. 풀프레임에 토션빔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풀프레임에 결합된 외측부재와 내측부재 사이공간에 설치되며 일측 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피어싱 받침블록;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기 가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 가공된 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홀 위치 측정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의 측면에 설치되어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유니트; 및
    상기 홀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피어싱 유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가이드 유니트의 서보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피어싱 유니트가 상기 기 가공된 홀 위치와 직진도에 부합되도록 홀이 가공되지 않은 외측부재 또는 내측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유니트는 유압 피어싱 유니트이고, 서보모터 LM 가이드 유니트에 체결하여 2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 위치 측정부는 비젼카메라 또는 접촉식 게이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5. 풀프레임에 토션빔의 양단 각각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토션빔 체결부 외측부재와, 내측홀이 가공된 내측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외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 사이 공간에, 외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피어싱 받침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홀 위치 측정부가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내측홀의 위치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가 LM 가이드 유니트의 서보모터를 구동모터로 이용하여 유압 피어싱 유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유압 피어싱 유니트를 전진하여 외측부재에 홀을 피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공법.
KR1020220010933A 2022-01-25 2022-01-25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KR20230114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933A KR20230114854A (ko) 2022-01-25 2022-01-25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933A KR20230114854A (ko) 2022-01-25 2022-01-25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854A true KR20230114854A (ko) 2023-08-02

Family

ID=8756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933A KR20230114854A (ko) 2022-01-25 2022-01-25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85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59A (ko) 2006-06-23 2007-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허브베어링결합구조
KR101338967B1 (ko) 2012-09-28 2013-12-10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현가장치
KR101611752B1 (ko) 2014-11-25 2016-04-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의 ctba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59A (ko) 2006-06-23 2007-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허브베어링결합구조
KR101338967B1 (ko) 2012-09-28 2013-12-10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현가장치
KR101611752B1 (ko) 2014-11-25 2016-04-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의 ctba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0387B1 (en) Method for assemblying vehicle body
CA26654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exterior automotive vehicle body components onto an automotive vehicle body
US7771137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hollow member or half hollow member
US7143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exterior automotive vehicle body components onto an automotive vehicle body
EP3540402B1 (en) Apparatus for testing endurance of brake hose
KR20230114854A (ko) 풀프레임 토션빔 체결부 홀 피어싱 장치 및 홀 피어싱 공법
US11732758B2 (en) Assembly method and assembly apparatus for cross shaft universal joint
KR920005428B1 (ko) 차체조립방법
US8302918B2 (en) Fastening bracket of deck cross member
JPH06109056A (ja) アブソーバ締結構造
KR100692534B1 (ko)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US11591004B2 (en) Bracket and steering apparatus
KR20040101824A (ko) 프레임리스 도어 글라스 조정장치
JP5151508B2 (ja) 光学ミラー装置、および光学ミラーの固定方法
JP4919424B2 (ja) 車体部品の検査用治具
EP1297912B1 (en) Preliminary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vehicle body component parts
US6161286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vehicle body shell
KR20210067572A (ko) 부품 마운팅 유닛
JP2002019636A (ja) 車体構造
US20220242052A1 (en) Vibration welded article, vibration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ibration welded article
JPH11270607A (ja) ブッシュ装着用部材
JPH09193640A (ja) サスペンション
KR20240015808A (ko) 박싱 가이드 포밍을 갖는 일체형 서브프레임
KR101874295B1 (ko) 스템핑 요크 압입기의 니들핀 누락 검출 장치
CA250731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exterior automotive vehicle body components onto an automotive vehicle body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