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572A - 부품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부품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572A
KR20210067572A KR1020190157338A KR20190157338A KR20210067572A KR 20210067572 A KR20210067572 A KR 20210067572A KR 1020190157338 A KR1020190157338 A KR 1020190157338A KR 20190157338 A KR20190157338 A KR 20190157338A KR 20210067572 A KR20210067572 A KR 2021006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mounting unit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형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572A/ko
Priority to US16/892,570 priority patent/US11230324B2/en
Priority to CN202010631154.6A priority patent/CN112874659A/zh
Priority to DE102020121115.5A priority patent/DE102020121115A1/de
Publication of KR2021006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부품 마운팅 유닛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은, 폐 단면을 지닌 프레임에 부품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 홀을 가지며, 프레임에 평면 방향으로 접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ⅱ)볼트 체결 홀과 연결되는 너트 홀을 가지며, 마운팅 플레이트에 용접되고, 프레임에 구비된 장착 홀에 끼워지는 웰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마운팅 유닛 {PARTS MOUN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부품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또는 수소 차량에 적용되는 전장 부품들을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는 결합용 기계요소로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는 자동차 제조 분야를 비롯하여 여러 기계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생산 공정 중 의장부품을 차체에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대상 파트로서의 의장부품을 상관 파트로서의 차체에 체결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정부의 친 환경 차 보급 정책에 따라 국내에서도 전기 또는 수소 버스 개발이 진행 중이다. 전기 또는 수소 버스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 및 관리하고,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각종 전장 부품들이 장착된다. 이러한 전장 부품들은 조립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상관 파트에 모듈화(일체화) 형태로 장착된다.
종래에는 전장 부품들을 모듈화 형태로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모듈 프레임으로서, 각형 강관(square tube)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모듈 프레임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장 부품들의 조립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충격 등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일 예로서, 모듈 프레임의 각형 강관 한쪽 면에 홀을 가공하고, 그 홀에 너트를 인서트 결합하며, 그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로서 체결 대상 부품을 모듈 프레임에 장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체결 방식은 각형 강관에 홀을 가공하고 그 홀에 너트를 인서트 결합함에 따라, 강도의 부족으로 고 토크 조건에서 체결 대상 부품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예로는 모듈 프레임의 각형 강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가공하고, 그 홀에 칼라(collar)를 결합하며, 그 칼라에 볼트를 끼우고, 그 볼트를 체결 대상 부품의 장착 브라켓에 관통시키며, 그 볼트의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체결 방식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체결 대상 부품의 크기가 과다한 경우, 작업자에 의한 너트 체결 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듈 프레임에 대한 체결 대상 부품의 장착 강도 및 토크를 보증할 수 있으며, 볼트 체결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부품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은, 폐 단면을 지닌 프레임에 부품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 홀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평면 방향으로 접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ⅱ)상기 볼트 체결 홀과 연결되는 너트 홀을 가지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용접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장착 홀에 끼워지는 웰드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은, 상기 볼트 체결 홀을 통하여 상기 웰드 너트의 너트 홀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프레임의 상면 측에서 상기 웰드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하 면을 가진 장방형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서, 상기 상면은 상기 부품 조립체의 장착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 보강 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면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는 상하 면을 가진 장방형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하면에서의 상기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부에 상단을 통하여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의 너트 홀은 상기 볼트 체결 홀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장공 형태의 노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노치 홀의 가장자리 단을 상기 프레임에 용접한 제1 용접부와, 양단을 상기 프레임에 용접한 제2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며, 상기 웰드 너트를 지지하는 부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전기 또는 수소 차량의 전장 부품들을 포함하는 상기 부품 조립체가 장착 브라켓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레임에 대해 부품 조립체의 안정적인 마운팅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프레임에 대한 부품 조립체의 장착 강도 및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프레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웰드 너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100)은 자동차 생산 공장에서 각종 부품 조립체(1)를 차체에 장착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100)은 전기 버스 또는 수소 버스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전장 부품들의 부품 조립체(1)를 차체에 모듈 형태로 장착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조립체(1)는 차체에 구성된 모듈 프레임(3)(이하에서는 편의 상 "프레임"이라고 한다.)에 장착 브라켓(5)을 통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3)은 부품 조립체(1)의 전장 부품들을 구획하며, 그 부품 조립체(1)를 지지하는 프레임 조립체로서, 상하 면과 폐 단면을 지닌 각형 강관(square tube)(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체결 대상 부품으로서 전장 부품들의 부품 조립체(1)를 프레임(3)에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의장 부품들을 차체 구조물에 장착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3)의 상면에 부품 조립체(1)를 장착하는 예를 기준으로 하여, 부품 조립체(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단부, 상부, 상단 및 상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단부, 하부, 하단 및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프레임(3)에 대한 부품 조립체(1)의 장착 방향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방향이 본 실시 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일측 단, 다른 일측 단, 일단, 타단 등)"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일측 단부, 다른 일측 단부, 일단 부, 타단 부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100)은 프레임(3)에 대한 부품 조립체(1)의 장착 강도 및 토크를 보증할 수 있으며, 볼트 체결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부품 마운팅 유닛(100)은 기본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0), 웰드 너트(30), 그리고 체결 볼트(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부품 조립체(1)의 장착 브라켓(5)이 장착되는 플레이트로서, 상면과 하면을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 홀(11)을 가지며, 하면을 통해 프레임(3)의 상면에 평면 방향으로 접합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용접(예를 들면, CO2 용접)으로 프레임(3)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상면은 부품 조립체(1)의 장착 브라켓(5)을 지지하는 제1 보강 면(13)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하면은 프레임(3)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 면(15)으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볼트 체결 홀(11)과 별개로 길이 방향을 따른 장공 형태의 노치 홀(1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노치 홀(17)은 프레임(3)에 대한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 홀(17)의 가장자리 단을 프레임(3)에 용접한 제1 용접부(21) 및 양단을 프레임(3)에 용접한 제2 용접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웰드 너트(30)는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과 연결되는 너트 홀(31)을 가지며 그 마운팅 플레이트(10)의 하면에 용접된다.
상기 웰드 너트(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레이트(10) 하면에서의 볼트 체결 홀(11) 가장자리 부에 상단을 통하여 용접된다. 여기서, 상기 웰드 너트(30)의 너트 홀(31)은 볼트 체결 홀(11)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웰드 너트(30)는 마운팅 플레이트(10) 하면에 용접된 상태로, 프레임(3)에 구비된 장착 홀(7)에 끼워진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제2 보강 면(15)이 프레임(3)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웰드 너트(30)는 프레임(3)의 장착 홀(7)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는 제2 보강 면(15)을 통해 프레임(3)의 상면에 접촉되며, 웰드 너트(30)가 장착 홀(7)에 끼워진 상태로, 그 프레임(3)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 볼트(50)는 마운팅 플레이트(10) 및 웰드너트(30)를 통해 부품 조립체(1)를 프레임(3)에 실질적으로 체결하는 체결수단이다. 상기 체결 볼트(50)는 부품 조립체(1)의 장착 브라켓(5)을 관통하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을 통해 웰드 너트(30)의 너트 홀(31)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볼트(50)는 프레임(3)의 상면 측에서 장착 브라켓(5)을 관통하여 웰드 너트(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100)의 조립 과정 및 그 부품 마운팅 유닛(100)을 이용한 부품 장착 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3)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복수 개)의 장착 홀(7)을 가공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복수 개)의 볼트 체결 홀(11)과,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복수 개)의 노치 홀(17)을 가진 장방형의 마운팅 플레이트(10)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과 연결되는 너트 홀(31)을 가진 웰드 너트(30)가 용접되어 있다. 즉, 상기 웰드 너트(30)는 마운팅 플레이트(10) 하면에서의 볼트 체결 홀(11) 가장자리 부에 상단을 통하여 용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운팅 플레이트(10)를 제공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3)의 상면 측에서 웰드 너트(30)를 장착 홀(7)에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웰드 너트(30)는, 마운팅 플레이트(10)의 하면인 제2 보강 면(15)이 프레임(3)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장착 홀(7)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를 프레임(3)의 상면에 용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노치 홀(17) 가장자리 단과 프레임(3)을 용접하며 제1 용접부(21)를 형성하고,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양단과 프레임(3)을 용접하며 제2 용접부(2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상면에 부품 조립체(1)의 장착 브라켓(5)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5)은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상면인 제1 보강 면(13)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브라켓(5)에 구비된 볼트 삽입 홀(9)은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과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장착 브라켓(5)의 볼트 삽입 홀(9)에 체결 볼트(50)를 결합하며, 그 체결 볼트(50)를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을 통해 웰드 너트(30)의 너트 홀(31)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3)의 상면 측에서 체결 볼트(50)를 장착 브라켓(5)의 볼트 삽입 홀(9) 및 마운팅 플레이트(10)의 볼트 체결 홀(11)을 통해 웰드 너트(30)에 체결함으로써, 부품 조립체(1)를 프레임(3)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100)에 의하면, 웰드 너트(30)를 가지며 각형 강관(3a)의 프레임(3)에 용접된 마운팅 플레이트(10)를 통하여 부품 조립체(1)를 프레임(3)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레임(3)에 대해 부품 조립체(1)의 안정적인 마운팅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프레임(3)에 대한 부품 조립체(1)의 장착 강도 및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 볼트(50)의 다양한 치수(볼트 직경)에 대응하는 웰드 너트(30)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볼트 체결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운팅 플레이트(10)에 웰드 너트(30)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조립체(1)의 크기에 관계 없이 부품 조립체(1)의 상부에서 볼트 체결 작업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200)은 전기 실시 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프레임(3)의 장착 홀(7)에 삽입되며 웰드 너트(30)를 지지하는 부시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시부재(70)는 웰드 너트(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하 단이 개방된 원통 형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부시부재(70)는 프레임(3)의 장착 홀(7)에 억지 끼워 맞춤 식으로 끼워지며 고정될 수 있고, 그 장착 홀(7)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부시부재(70)는 웰드 너트(30)에 억지 끼워 맞춤 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3)의 장착 홀(7)에 끼워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부시부재(70)는 웰드 너트(30)에 결합되며 용접된 상태로 프레임(3)의 장착 홀(7)에 끼워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웰드 너트(30)를 지지하는 부시부재(70)를 구비함에 따라, 프레임(3)에 대한 부품 조립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장착 강도 및 토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마운팅 유닛(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부품 조립체 3: 프레임
3a: 각형 강관 5: 장착 브라켓
7: 장착 홀 9: 볼트 삽입 홀
10: 마운팅 플레이트 11: 볼트 체결 홀
13: 제1 보강 면 15: 제2 보강 면
17: 노치 홀 21: 제1 용접부
22: 제2 용접부 30: 웰드 너트
31: 너트 홀 50: 체결 볼트
70: 부시부재 100, 200: 부품 마운팅 유닛

Claims (11)

  1. 폐 단면을 지닌 프레임에 부품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부품 마운팅 유닛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볼트 체결 홀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에 평면 방향으로 접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볼트 체결 홀과 연결되는 너트 홀을 가지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용접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장착 홀에 끼워지는 웰드 너트;
    를 포함하는 부품 마운팅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 홀을 통하여 상기 웰드 너트의 너트 홀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
    를 더 포함하는 부품 마운팅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프레임의 상면 측에서 상기 웰드 너트에 체결되는 부품 마운팅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하 면을 가진 장방형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서,
    상기 상면은 상기 부품 조립체의 장착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 보강 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면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보강 면으로 구비되는 부품 마운팅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는,
    상하 면을 가진 장방형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하면에서의 상기 볼트 체결 홀 가장자리 부에 상단을 통하여 용접되는 부품 마운팅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웰드 너트의 너트 홀은 상기 볼트 체결 홀의 내경 보다 작은 내경으로 구비되는 부품 마운팅 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장공 형태의 노치 홀을 형성하는 부품 마운팅 유닛.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노치 홀의 가장자리 단을 상기 프레임에 용접한 제1 용접부와, 양단을 상기 프레임에 용접한 제2 용접부를 형성하는 부품 마운팅 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착 홀에 삽입되며 상기 웰드 너트를 지지하는 부시부재
    를 더 포함하는 부품 마운팅 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부품 마운팅 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전기 또는 수소 차량의 전장 부품들을 포함하는 상기 부품 조립체가 장착 브라켓을 통해 장착되는 부품 마운팅 유닛.
KR1020190157338A 2019-11-29 2019-11-29 부품 마운팅 유닛 KR20210067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38A KR20210067572A (ko) 2019-11-29 2019-11-29 부품 마운팅 유닛
US16/892,570 US11230324B2 (en) 2019-11-29 2020-06-04 Vehicle component mounting unit
CN202010631154.6A CN112874659A (zh) 2019-11-29 2020-07-03 车辆部件安装单元
DE102020121115.5A DE102020121115A1 (de) 2019-11-29 2020-08-11 Fahrzeugkomponente-befestigungseinhe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38A KR20210067572A (ko) 2019-11-29 2019-11-29 부품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72A true KR20210067572A (ko) 2021-06-08

Family

ID=7589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38A KR20210067572A (ko) 2019-11-29 2019-11-29 부품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30324B2 (ko)
KR (1) KR20210067572A (ko)
CN (1) CN112874659A (ko)
DE (1) DE102020121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5925B (zh) * 2022-05-18 2024-01-23 南京强思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地污水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5368B1 (en) * 2002-10-31 2004-02-24 Shape Corporation Bumper mount forming corner on end of beam
JP2011098645A (ja) * 2009-11-06 2011-05-19 Ud Trucks Corp キャブマウントブラケットの締結構造及び締結方法
US9150253B2 (en) * 2012-05-18 2015-10-06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for automobile
JP6867624B2 (ja) * 2017-05-17 2021-04-28 豊田鉄工株式会社 閉断面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0324B2 (en) 2022-01-25
CN112874659A (zh) 2021-06-01
DE102020121115A1 (de) 2021-06-02
US20210163077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564A (en) Vehicle body side sill reinforcing bulkhead
EP3483041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le high-voltage unit and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US20060278463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hollow member or half hollow member
CN109291997B (zh) 用于车辆特别是电动车辆的副车架
US20130300152A1 (en) Front end for a motor vehicle
CN110949518B (zh) 前副车架结构
KR20210067572A (ko) 부품 마운팅 유닛
JPS63270223A (ja) ドアインパクトビ−ム取付方法
CN116141886A (zh) 牵引管连接结构
KR20000073293A (ko) 차량용도어의 보강부재장착구조
US20210171114A1 (en) Vehicle Body for Vehicles
JP2004338706A (ja) 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自動車及び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の製造方法
CN113942584A (zh) 一种梁搭接加强结构和后围白车身梁
CN103273814B (zh) 拖车钩安装装置
KR101705148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KR100302023B1 (ko) 차체의루우프어셈블리와사이드어셈블리의연결구조
US20230097065A1 (en) Member joint device for vehicle
US11945504B2 (en) Vehicle
CN212766088U (zh) 汽车前横梁总成
US20220315108A1 (en) Subframe
KR100387440B1 (ko) 차량의 루프패널과 사이드패널의 결합구조
KR100273581B1 (ko) 로어암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100380490B1 (ko) 자동차용 브라켓 어셈블리
KR101762267B1 (ko) 전방 차체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0397831B1 (ko) 자동차 사이드 실의 횡방향 강성 증대 단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