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539A -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539A
KR20230114539A KR1020220010825A KR20220010825A KR20230114539A KR 20230114539 A KR20230114539 A KR 20230114539A KR 1020220010825 A KR1020220010825 A KR 1020220010825A KR 20220010825 A KR20220010825 A KR 20220010825A KR 20230114539 A KR20230114539 A KR 2023011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kickboard
module
electric
kickboa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보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이브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브이패스 filed Critical (주)이브이패스
Priority to KR102022001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539A/ko
Priority to PCT/KR2022/002774 priority patent/WO2023146016A1/ko
Publication of KR2023011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동킥보드의 거치와 함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공유 전동킥보드의 편리한 사용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설치와 저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A Mounting Device for Electric Kickboard and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동킥보드의 거치와 함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공유 전동킥보드의 편리한 사용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설치와 저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 킥보드가 취미생활 및 이동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전동킥보드 공유 시스템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데, 상기 전동킥보드 공유 시스템은 QR코드 등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일정 시간 이용한 후 스마트폰 등을 통해 결제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대여하고 반납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980155호(2019. 05. 14. 등록)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다만, 전동킥보드는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사용에 따라 수시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동킥보드의 거치와 함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공유 전동킥보드의 편리한 사용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설치와 저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충전의 개시와 함께 사용자의 인증이 있기 전까지 전동킥보드의 이탈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동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용률이 적고 사용자와 가까운 전동킥보드 거치구역으로 사용자를 유도하여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거치구역의 혼잡도를 완화하고 전동킥보드의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단위지역 내의 전동킥보드 거치구역들에 대한 혼잡도에 따라 거치구역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구역의 혼잡에 따른 불편을 방지하고 전동킥보드 대여에 따른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거치구역의 이용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도출하도록 하고, 거치구역의 이용정도가 낮은 경우 이용정도가 높게 예측되는 지점으로의 거치구역에 대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전동킥보드 바퀴가 안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양측에 상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함과; 상기 배전함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접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대는 일측에 일정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전동킥보드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진입경사부와, 상기 진입경사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거치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전동킥보드의 바퀴가 거치경사부 상에 놓인 상태에서 전동킥보드 접속단자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거치경사부 상에 형성되어 전동킥보드 바퀴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판부를 포함하여, 누름판부를 누름에 따라 단자부를 통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진입경사부 및 거치경사부 상에 전동킥보드 바퀴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지대는 전동킥보드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후 전동킥보드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삽입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접지대 상에 고정되어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밀어 회전시키며, 회전지지부재가 전동킥보드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수단은 좌우 방향으로 입출되는 입출부재와, 상기 입출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거치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누름판부가 눌려지는 정보를 수신하는 누름정보수신모듈과, 누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자부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동킥보드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충전개시모듈과,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입출부재를 삽입부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부재돌출모듈과, 전동킥보드 사용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수신모듈과, 인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입출부재를 외측으로 인입시키는 부재인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은 특정 구역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며, 수용된 전동킥보드를 충전시키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와; 상기 거치장치 및 전동킥보드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전동킥보드의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서버와; 전동킥보드에 대한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전동킥보드를 인식하여 대여·반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각 구역에 남아있는 전동킥보드의 잔여율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동킥보드의 대여 위치를 추천하는 대여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유도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사용자 위치 주변의 전동킥보드 대여가 가능한 구역을 검색하는 가능위치검색모듈과, 검색된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 잔여율을 산출하는 잔여율산출모듈과, 사용자 위치와 각 구역의 거리를 산정하는 거리산정모듈과, 잔여율 및 거리에 따라 각 구역의 유도지수를 산출하는 유도지수산출모듈과, 유도지수가 높은 구역으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유도구역안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잔여율산출모듈은 각 구역의 총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개수를 저장하는 수용대수저장모듈과, 현재 거치장치에 수용중인 전동킥보드의 개수를 수신하는 수용정보수신모듈과, 거치장치 대비 수용중인 전동킥보드 개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율을 계산하는 잔여율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여유도부는 각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거치된 전동킥보드의 잔여 충전량을 대여구역 안내에 반영하는 충전량반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량반영모듈은 각 전동킥보드의 잔여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잔여정보수집모듈과, 사용자의 대여시점까지의 충전량을 예측하는 충전량예측모듈과,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거리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이동거리입력모듈과, 잔여 충전량과 예측 충전량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의 개수를 산정하는 가능대수산정모듈과, 가능대수를 잔여율에 적용하여 유도구역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잔여율적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량예측모듈은 전동킥보드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수집모듈과, 충전이 이루어질 때의 주변 기온정보를 수집하는 기온정보수집모듈과, 주변 기온과 충전량의 상관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분석모듈과, 충전량의 예측이 이루어질 시점의 주변 기온정보를 수신하는 기온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가 대여할 시간까지 남아있는 시간정보를 입력하는 시간정보입력모듈과, 주변 기온 및 시간을 상관관계에 입력하여 사용자가 대여할 때까지 충전될 충전량을 산정하는 충전량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일정 단위지역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구역들에 대한 혼잡 정도에 따라 구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구역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조정부는 혼잡도를 조정할 단위 지역을 설정하는 단위지역설정모듈과, 단위 기간을 설정하는 단위기간설정모듈과, 단위 지역의 단위 기간에 대한 혼잡정도를 산정하는 지역혼잡도산정모듈과, 지역혼잡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지역혼잡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초과횟수저장모듈과, 초과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 연속되거나 또는 일정 빈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단위 지역이 혼잡한 것으로 판단하는 혼잡판단모듈과, 혼잡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추가적인 구역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역추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역혼잡도산정모듈은 각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단위기간 동안의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을 산정하는 이용시간산정모듈과, 단위지역 내 각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을 합산하는 이용시간합산모듈과, 단위기간에 전체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개수를 곱하여 총 가능 이용시간을 계산하는 전체시간연산모듈과, 전체시간연산모듈에 의해 연산된 전체 이용가능시간에 대한 이용시간합산모듈에 의해 합산된 이용시간의 비율에 따라 단위 지역의 혼잡도를 결정하는 혼잡도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전동킥보드의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이용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이용도분석부와, 복수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구역의 이용정도가 일정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주변의 위치별 이용정도를 예측하여 구역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도분석부는 전동킥보드의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저장하는 변수정보저장모듈과, 기준시간별로 각 구역에 대한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의 비율에 따라 이용지수를 산정하여 저장하는 이용지수저장모듈과, 변수와 이용지수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상관도출모듈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관관계를 갱신하는 상관갱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은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정류장을 포함한 교통수단의 정류장과의 거리, 이용자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저장모듈과, 주변 건물의 거리, 층수, 면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정보저장모듈과, 불특정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중이용 시설물의 거리, 이용자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정보저장모듈과, 일정거리 내 구역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역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기준시간 간격으로 각 구역에 대한 이용지수를 모니터링하는 이용지수감시모듈과, 이용지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이용지수비교모듈과, 이용지수가 기준값 이하에서 일정횟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조정필요판단모듈과,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주변 대체 가능한 위치를 선정하는 대체위치선정모듈과, 선정된 대체 위치들에 대한 이용지수를 상기 이용도분석부에 의해 예측하는 이용지수예측모듈과, 예측된 이용지수가 높은 위치로 구역을 변경하는 구역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동킥보드의 거치와 함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공유 전동킥보드의 편리한 사용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설치와 저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충전의 개시와 함께 사용자의 인증이 있기 전까지 전동킥보드의 이탈이 차단되도록 하여 전동킥보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용률이 적고 사용자와 가까운 전동킥보드 거치구역으로 사용자를 유도하여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거치구역의 혼잡도를 완화하고 전동킥보드의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단위지역 내의 전동킥보드 거치구역들에 대한 혼잡도에 따라 거치구역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구역의 혼잡에 따른 불편을 방지하고 전동킥보드 대여에 따른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거치구역의 이용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도출하도록 하고, 거치구역의 이용정도가 낮은 경우 이용정도가 높게 예측되는 지점으로의 거치구역에 대한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전동킥보드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거치경사부의 확대도
도 4는 거치경사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삽입부의 확대도
도 6은 삽입부에 전동킥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고정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작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베이스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의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의 대여유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의 잔여율산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3의 충전량반영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5의 충전량예측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도 12의 구역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8은 도 17의 지역혼잡도산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도 12의 이용도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도 19의 변수정보저장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도 12의 위치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전동킥보드 바퀴(101)가 안착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 양측에 상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다리(12)와; 상기 지지다리(12)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함(13)과; 상기 배전함(13)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접지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공유되어 사용되는 전동킥보드(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킥보드(100)의 거치와 함께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동킥보드(100)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사용자의 이용률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특유의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거치와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한 설치와 저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은 바닥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일정 너비를 갖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동킥보드의 바퀴(101)가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특히, 전동킥보드(100)는 상기 접지대(14)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접지대(14) 내의 후술할 단자부(142)에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102)가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단자부(142)와 접속단자(102)의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에 전동킥보드(100)의 바퀴가 안착된 상태에서 단자부(142)와 접속단자(102)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전동킥보드(100)를 거치장치(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전이 개시되면서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충전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은 전동킥보드(100) 바퀴(101)가 안착된 상태에서 눌러지는 구성을 포함하도록 하여 바퀴(101)가 안착되는 것을 인지함과 함께 충전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경사부(111), 거치경사부(112), 누름판부(113),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입경사부(111)는 전동킥보드(100)가 진입하는 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10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100)가 진입하면서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한다.
상기 거치경사부(112)는 상기 진입경사부(111)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100)가 진입되면서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동킥보드(100)는 거치경사부(112) 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접지대(14)의 후술할 삽입부(14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접속단자(102)가 단자부(142)에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동킥보드(100)가 하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접속단자(102)가 단자부(142)에 접촉되도록 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부(113)는 전동킥보드 바퀴(101)에 의해 눌려지는 구성으로, 거치경사부(112) 상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부(11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바퀴(101)에 의해 눌려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탄성체(11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부(113)는 바퀴(101)에 의해 눌려지는 충격을 줄이도록 할 수 있으며, 바퀴(101)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누름판부(113)가 눌려짐과 함께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충전이 자동으로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름판부(113)는 지지탄성체(113a)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거나 누름판부(113)의 회전을 감지하여 누름판부(113) 상에 바퀴(101)가 올려지는 것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동킥보드(100)가 거치장치(1)에 거치됨과 함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부(113)는 하측으로 경사지는 거치경사부(112) 상에 형성되어 전동킥보드 바퀴(101)에 의해 눌려짐으로 전동킥보드(100)를 접지대(14)의 삽입부(141)에 넣는 것만으로도 전동킥보드 바퀴(101)가 누름판부(113)를 누른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 전동킥보드(100)의 거치와 충전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4)는 전동킥보드 바퀴(1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진입경사부(111) 및 거치경사부(112)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4)는 진입경사부(111) 및 거치경사부(112)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퀴(101)가 진입하는 방향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전동킥보드(100)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거치장치(1)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누름판부(113)의 양측에 가이드부(114)가 형성되어 바퀴(101)가 누름판부(113) 상에 정확하게 거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2)는 베이스판(1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베이스판(11)에 고정되어 상부의 배전함(13) 및 접지대(14)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2)는 진입경사부(111) 및 거치경사부(112) 각각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삼각다리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전함(13)은 전동킥보드(10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다리(12) 상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전함(13) 내에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다양한 회로 등의 구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동킥보드(1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또는 내부에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등의 구성을 내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배전함(13) 내의 전력 공급을 위한 구성들은 상기 접지대(14)의 후술할 단자부(14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자부(142)로 전력을 공급하여 단자부(142)와 접촉되는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102)를 통해 전동킥보드(1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지대(14)는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배전함(13) 상부에서 지지다리(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대(14)는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동킥보드(100)와 접촉되어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지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1), 단자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41)는 접지대(14)의 일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41)는 전동킥보드(100)의 배터리측이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상기 단자부(142)가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102)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142)는 삽입부(141)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102)와 접촉되는 구성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102)를 통해 전동킥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142)는 배전함(13) 내의 전력 공급을 위한 구성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으며, 금속재로 형성되어 접속단자(102)를 통해 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전동킥보드의 바퀴(101)가 누름판부(113)를 누르는 경우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며, 단자부(142)와 접속단자(102)의 접촉을 통해 전동킥보드(100)로 전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동킥보드(100)를 거치장치(1)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조작없이도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충전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거치장치(1')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베이스판(11), 지지다리(12), 배전함(13), 접지대(1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접지대(14)에 형성되는 고정지지부(143)와, 거치장치(1')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5)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추가되는 고정지지부(143) 및 작동조절부(15)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143)는 거치장치(1')에 거치된 전동킥보드(100)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141) 상에 형성되어 삽입부(141) 내에 삽입되는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부(14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143)는 삽입부(141) 내에 전동킥보드(100)가 삽입되어 전동킥보드(100)의 충전이 개시됨과 함께 작동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100)를 고정시킴으로써 이탈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고, 전동킥보드(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완료될 때에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이 해제되어 전동킥보드(100)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43)는 삽입부(141)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전동킥보드(10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지지부(1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재(143a), 회전축(143b), 누름수단(14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는 삽입부(141)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삽입부(141)에 삽입된 전동킥보드(100)에 밀착되어 전동킥보드(100)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1) 양측에서 삽입부(141)에 삽입된 전동킥보드(100)에 밀착되도록 하며, 사용자 인증시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전동킥보드(100)를 삽입부(14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는 전동킥보드(100)의 이탈 차단시 전동킥보드(100)에 밀착되어 지지됨에 따라 전동킥보드(100)를 눌러 접속단자(102)가 단자부(14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3b)은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상기 접지대(14)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지지부재(143a)가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43b) 상에는 토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는 탄성체(143b-1)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지지부재(143a)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43b-1)는 회전지지부재(143a)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누름수단(143c)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자동으로 펼쳐져 삽입부(141)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는 누름수단(143c)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전동킥보드(100)를 다시 삽입부(141)에 넣을 때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수단(143c)을 상기 회전지지부재(143a)를 회전시키며 회전지지부재(143a)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삽입부(141)에 삽입된 전동킥보드(100)의 고정시에는 회전지지부재(143a)의 회전을 차단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하고, 전동킥보드(100)의 고정 해제시에는 회전지지부재(143a)의 회전차단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수단(143c)은 입출부재(143c-1), 구동실린더(143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부재(143c-1)는 삽입부(141)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구동실린더(143c-2)의 작동에 따라 구동실린더(143c-2)로 입출되도록 한다. 상기 입출부재(143c-1)는 전동킥보드(100)의 이탈 차단시 내측으로 돌출되어 전동킥보드(100)를 밀착, 지지하도록 하고, 전동킥보드(100)의 차단 해제시에는 외측으로 인입되어 회전지지부재(143a)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동실린더(143c-2)는 입출부재(143c-1)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입출부재(143c-1)의 이동에 따라 전동킥보드(100)의 이탈을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조절부(15)는 거치장치(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 바퀴(101)가 누름판부(113)를 누름에 따라 자동으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어 전동킥보드(1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고정지지부(143)를 작동시켜 전동킥보드(100)의 이탈이 차단되도록 하고, 사용자 인증시 고정지지부(143)에 의한 차단을 해제시켜 전동킥보드(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조절부(15)는 누름정보수신모듈(151), 충전개시모듈(152), 부재돌출모듈(153), 인증정보수신모듈(154), 부재인입모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정보수신모듈(151)은 누름판부(113)가 전동킥보드 바퀴(101)에 의해 눌려지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지지탄성체(113a)의 누름정도 또는 누름판부(113)의 회전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누름판부(113)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개시모듈(152)은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누름정보수신모듈(151)에 의해 누름판부(113)가 눌려지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력의 공급을 개시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동킥보드 바퀴(101)가 누름판부(113)를 누르는 경우 단자부(142)와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102)는 밀착되며, 전력 공급의 개시와 함께 단자부(142), 접속단자(102)를 통과하여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부재돌출모듈(153)은 충전개시와 동시에 상기 입출부재(143c-1)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회전지지부재(143a)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회전지지부재(143a)의 회전을 차단하여 회전지지부재(143a)가 전동킥보드(100)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증정보수신모듈(154)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5)를 통한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부재인입모듈(155)은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입출부재(143c-1)를 외측으로 인입시켜 회전지지부재(143a)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회전지지부재(143a)가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을 마친 사용자는 삽입부(141)로부터 전동킥보드(100)를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를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는 삽입부(141)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판(11)의 누름판부(113) 및 가이드부(114)도 이에 맞추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입경사부(111)를 따라 올라가던 전동킥보드(100)가 거치경사부(112)를 따라 내려갈 때 삽입부(141)가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함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동킥보드(100)가 절곡된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거치경사부(112) 상의 누름판부(113)를 누르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일정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삽입부(141)에 삽입된 전동킥보드(100)가 이탈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을 도 1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은 특정 구역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전동킥보드(100)를 수용하며, 수용된 전동킥보드(100)를 충전시키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와; 상기 거치장치(1) 및 전동킥보드(100)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전동킥보드(100)의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서버(3)와;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전동킥보드(100)를 인식하여 대여·반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5);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에 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운영서버(3)는 전동킥보드(100)의 운영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거치장치(1) 각각에 전동킥보드(100)가 장착되어 일정 구역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역에 설치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 및 전동킥보드(100)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운영서버(3)는 각 구역에 설치되는 전동킥보드(100)의 잔여 정도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로 사용자를 안내하도록 하고,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가 설치되는 구역들에 대해 혼잡도가 높은 경우 구역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이용률이 낮은 경우에는 그 위치를 조정하여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전동킥보드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과 이용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높은 이용정도가 예측되는 위치로 구역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운영서버(3)는 대여유도부(31), 구역조정부(32), 이용도분석부(33), 위치조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여유도부(31)는 전동킥보드(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대여 위치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가 설치되는 다수의 구역 중 하나를 추천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대여유도부(31)는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잔여정도, 그리고 사용자와 구역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정도가 높으면서 사용자와 가까운 구역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대여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대여유도부(31)는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잔여정도의 산출시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에 수용되어 충전중인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충전량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를 운행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만을 잔여정도에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대여유도부(31)는 위치정보수신모듈(311), 가능위치검색모듈(312), 잔여율산출모듈(313), 거리산정모듈(314), 충전량반영모듈(315), 유도지수산출모듈(316), 유도구역안내모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311)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대여하고자 하는 전동킥보드(100)를 검색하는 사용자단말기(5)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가능위치검색모듈(312)은 사용자가 대여 가능한 전동킥보드 거치장치(1)가 설치된 구역을 검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거치장치(1)들을 검색하도록 한다.
상기 잔여율산출모듈(313)은 검색된 각 구역에 대한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각 구역에 설치되는 거치장치(1) 숫자 대비 현재 거치장치(1)에 수용중인 전동킥보드(100) 개수의 비율로 잔여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잔여율산출모듈(313)은 수용대수저장모듈(313a), 수용정보수신모듈(313b), 잔여율연산모듈(3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대수저장모듈(313a)은 각 구역에 수용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의 개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각 구역별 거치장치(1)의 개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정보수신모듈(313b) 현재 거치장치(1)에 수용된 전동킥보드(100)의 개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단자부(142)에 접촉되는 접속단자(102) 등을 감지하여 전동킥보드(100)의 수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각 구역에 수용중인 전동킥보드(100)의 개수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잔여율연산모듈(313c)은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잔여정도를 계산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대수저장모듈(313a)에 의해 저장된 각 구역의 전체 거치장치(1) 개수에 대한 수용정보수신모듈(313b)에 의해 수신된 각 구역에 수용중인 전동킥보드(100) 개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정도를 산출해내도록 한다.
상기 거리산정모듈(314)은 사용자와 각 구역의 거리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치정보수신모듈(311)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구역과의 거리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량반영모듈(315)은 각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충전량을 반영하여 잔여정도 및 대여위치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만을 잔여정도의 산정에 반영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충전량반영모듈(315)은 사용자가 대여할 시점까지 각 전동킥보드(100)에 충전될 충전량을 예측하도록 하며, 예측되는 충전량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량반영모듈(315)은 잔여정보수집모듈(315a), 충전량예측모듈(315b), 이동거리입력모듈(315c), 가능대수산정모듈(315d), 잔여율적용모듈(315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여정보수집모듈(315a)은 각 전동킥보드(100)로부터 잔여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전동킥보드(100)의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량의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량예측모듈(315b)은 사용자의 대여 시점까지 각 전동킥보드(100)에 충전될 충전량을 예측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사용자의 대여 시점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각 구역의 거리를 이용하여 대여 시점을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충전량예측모듈(315b)은 각 전동킥보드(100)의 충전 특성과 주변 기온을 반영하여 충전량의 예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전동킥보드(100)의 충전정보들을 수집하여 기온과 충전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충전량의 예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충전량예측모듈(315b)은 충전정보수집모듈(315b-1), 기온정보수집모듈(315b-2), 상관분석모듈(315b-3), 기온정보입력모듈(315b-4), 시간정보입력모듈(315b-5), 충전량산정모듈(315b-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정보수집모듈(315b-1)은 각 전동킥보드(100)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각 전동킥보드(100)의 식별정보, 충전하는 시간, 충전되는 전략의 양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상기 기온정보수집모듈(315b-2)은 충전시 주변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으로, 거치장치(1) 또는 전동킥보드(100)를 통해 주변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거나 각 구역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관분석모듈(315b-3)은 각 전동킥보드(100)에서 온도와 충전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온도에 따른 단위시간에 대한 충전량을 기계적 학습 등의 방식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상관분석모듈(315b-3)은 각 전동킥보드(100)의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적인 상관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 전동킥보드(100)의 충전 특성을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온정보입력모듈(315b-4)은 충전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시점의 기온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거치장치(1) 등에서 측정되는 해당 구역의 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시간정보입력모듈(315b-5)은 충전이 이루어질 시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잔여정보수집모듈(315a)에 의해 각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충전량이 수집된 시점부터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할 시점까지의 시간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량산정모듈(315b-6)은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할 시점에 예측되는 각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충전량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현재 기온을 각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상관관계에 입력하여 단위시간당 충전량을 도출하도록 하고, 단위시간당 충전량에 상기 시간정보입력모듈(315b-5)에 의해 입력되는 시간을 곱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전력량을 예측하도로 하며, 예측된 충전량을 기존 잔여충전량에 더하여 최종 남아있는 충전량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거리입력모듈(315c)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거리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하여 운행하고 싶은 거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능대수산정모듈(315d)은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의 숫자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전량예측모듈(315b)에 의해 예측되는 각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충전량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를 선정하여 각 구역별로 그 숫자를 연산하도록 한다.
상기 잔여율적용모듈(315e)은 상기 가능대수산정모듈(315d)에 의해 산정되는 가능대수를 상기 잔여율산출모듈(313)에 의한 각 구역별 잔여정도의 산출에 적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구역별 거치장치(1)에 수용되어 있는 전동킥보드(100) 중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100)를 선택하여 잔여 정도의 연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도지수산출모듈(316)은 가능위치검색모듈(312)에 의해 검색된 각 구역별로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하기에 적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도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100)의 잔여 정도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가까울수록 높은 유도지수를 갖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유도지수산출모듈(316)은 전동킥보드(100)의 잔여 정도에 거리의 역수를 곱하여 유도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구역안내모듈(317)은 유도지수가 높은 구역으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구성으로, 유도지수가 높은 구역의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5)로 제공하여 해당 구역에서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동킥보드(100)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공유 전동킥보드로, 사용자가 거치장치(1)가 설치된 구역까지 이동하는 동안 다른 사용자가 먼저 전동킥보드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구역안내모듈(317)은 전동킥보드(100)의 잔여율이 높으면서도 사용자와 가까운 구역으로 사용자를 유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동킥보드(100)를 대여할 수 있는 확률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역조정부(32)는 복수의 구역이 형성되는 일정 지역의 혼잡도에 따라 거치장치(1)가 설치되는 구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일정 지역 내의 구역들에 대해 일정 단위기간 동안의 혼잡 정도를 산정하도록 하고, 혼잡한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 구역의 개수를 추가하도록 하여 혼잡도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역조정부(32)는 일정 지역 단위로 구역들의 혼잡 정도를 조절하여 구역의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며, 전동킥보드 운영자의 수익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역조정부(32)는 단위지역설정모듈(321), 단위기간설정모듈(322), 지역혼잡도산정모듈(323), 기준값비교모듈(324), 초과횟수저장모듈(325), 혼잡판단모듈(326), 구역추가모듈(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역설정모듈(321)은 전동킥보드의 혼잡도를 관리할 지역 기준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동 등의 행정구역 단위 또는 면적 단위로 단위 지역을 설정하여 혼잡 정도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위기간설정모듈(322)은 혼잡 정도를 산정할 단위 기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하루 단위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역혼잡도산정모듈(323)은 단위 지역별로 혼잡 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단위 기간 동안의 혼잡 정도를 단위 기간 간격으로 지속적인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역혼잡도산정모듈(323)은 단위 기간동안 각 거치장치(1)에 거치된 전동킥보드(100)의 사용시간을 합산하여 기 비율에 따라 지역의 혼잡도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정된 혼잡도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계속되는 경우 구역의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역혼잡도산정모듈(323)은 이용시간산정모듈(323a), 이용시간합산모듈(323b), 전체시간연산모듈(323c), 혼잡도결정모듈(32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시간산정모듈(323a)은 단위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100)들에 대한 이용시간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단위 기간동안 거치장치(1)로부터 전동킥보드(100)가 분리되는 시간에 따라 이용시간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용시간합산모듈(323b)은 상기 이용시간산정모듈(323a)에 의해 산정되는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이용시간을 합산하는 구성으로, 합산을 통해 단위기간동안 단위구역의 전동킥보드(100) 이용시간이 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체시간연산모듈(323c)은 단위기간 동안 단위 지역에서 모든 전동킥보드(100)가 이용될 수 있는 시간을 연산하는 구성으로, 단위 지역의 전동킥보드 대수에 전체 시간을 곱하여 전체 이용 가능 시간이 산정되도록 한다.
상기 혼잡도결정모듈(323d)은 단위 기간에 대한 단위 지역의 혼잡도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체시간연산모듈(323c)에 의해 산정된 전체 시간에 대한 이용시간합산모듈(323b)에 의해 합산된 실제 이용시간의 비율에 따라 혼잡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324)은 상기 혼잡도결정모듈(323d)에 의해 결정된 단위 지역의 단위 기간에 대한 혼잡도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구역을 추가가 필요할 정도의 혼잡도를 기준값으로 설정되도록 하며, 단위기간마다 기준값과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초과횟수저장모듈(325)은 기준값비교모듈(324)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각 단위지역의 혼잡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기준값을 초과하는 단위기간의 횟수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혼잡판단모듈(326)은 상기 초과횟수저장모듈(325)에 의해 저장되는 초과 횟수에 따라 단위지역이 혼잡한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초과하는 횟수가 열정횟수 이상 연속되거나 또는 일정빈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혼잡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구역추가모듈(327)은 상기 혼잡판단모듈(326)에 의해 단위지역이 혼잡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위지역에 구역을 추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용도분석부(33)에 의해 이용지수를 예측하여 적절한 구역의 추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역추가모듈(327)은 단위 지역별로 구역들에 대한 혼잡도를 완화하고 적절한 수준의 이용률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용도분석부(33)는 구역들에 대한 이용 정도와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기준시간 동안의 구역에 대한 이용정도와 변수들의 정보를 저장하여 인공신경망 등의 기계적 학습 방식에 의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상관관계가 분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용도분석부(33)는 일정 기준시간 동안 전동킥보드가 이용되는 시간의 비율(이하 '이용지수'라 함)을 이용하여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월별, 주간별, 요일별, 일자별, 시간대별 등으로 상관관계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용도분석부(33)에 의해 도출되는 상관관계는 상기 위치조정부(34)에 의한 구역 위치의 조정, 상기 구역추가모듈(327)에 의한 구역의 추가 등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용도분석부(33)는 변수정보저장모듈(331), 이용지수저장모듈(332), 상관도출모듈(333), 상관갱신모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331)은 구역의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구역 주변의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건물, 다수의 불특정인들이 이용하는 시설물, 주변 구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331)은 지하철, 전철, 기차역,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이용자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저장모듈(331a), 건물의 층수, 면적,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정보저장모듈(331b), 시설물의 이용자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정보저장모듈(331c), 일정 거리내에 존재하는 구역의 숫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역정보저장모듈(33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331)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 및 민간 건물, 시설물 등에서 제공하는 방문이용자수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지속적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 정도에 관한 상관관계가 분석되고 지속적인 상관관계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용지수저장모듈(332)은 구역 각각에 대한 이용지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기준시간동안 전동킥보드(100)가 이용될 수 있는 시간 대비 실제 전동킥보드(100)가 사용된 시간의 비율로 이용지수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각 구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거치장치(1)에 대해 전동킥보드(100)가 분리되는 시간에 따라 이용시간을 산정하여 이용지수를 산출·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관도출모듈(333)은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331)에 의해 저장되는 변수들과 이용지수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기준시간별로 인공신경망 등의 기계적 학습 방식에 의해 상관관계의 도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관도출모듈(333)은 구역 주변의 지하철역 등에 대한 거리 및 이용자수,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및 이용자수, 일정범위 내 건물의 층수, 면적, 거리, 일정 범위 내 다중이용 시설물의 이용자수, 거리, 일정범위 내 구역의 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이용지수와의 상관관계가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관갱신모듈(334)은 상관도출모듈(333)에 의한 상관관계의 도출 후 새로운 변수 및 이용지수에 관한 데이터가 반영되어 상관관계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관관계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신 데이터의 반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관관계의 정확성이 시간이 갈수록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부(34)는 특정 구역에 대한 이용지수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 구역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용지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조정 가능한 대체 위치를 선정하여 이용지수가 높게 예측되는 위치로의 구역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조정부(34)는 이용지수감시모듈(341), 이용지수비교모듈(342), 조정필요판단모듈(343), 대체구역선정모듈(344), 이용지수예측모듈(345), 구역변경모듈(3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지수감시모듈(341)은 각 구역에 대한 이용지수를 감시하는 구성으로, 기준시간마다 이용지수를 산출하여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용지수비교모듈(342)은 기준시간마다 산출되는 이용지수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구역에 대한 이용정도가 과도하게 낮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기준값을 설정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정필요판단모듈(343)은 구역의 이용지수가 기준값 이하에서 일정횟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용정도가 너무 낮은 구역에 대해서는 다른 위치로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역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조정필요판단모듈(343)은 일정횟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구역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시적인 이용 정도 저하에 따른 잦은 구역의 조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체구역선정모듈(344)은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대체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는 구성으로, 주변의 일정범위 내에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대체할 수 있는 복수개의 후보 위치를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용지수예측모듈(345)은 상기 대체구역선정모듈(344)에 의해 선정된 위치들에 대해 이용지수를 예측하는 구성으로, 현재 시점의 변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도분석부(33)에 의해 도출된 상관관계를 통해 이용지수의 예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역변경모듈(346)은 구역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용지수가 높은 대체구역으로 거치장치(1)가 설치되는 구역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는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전동킥보드(100)를 인식하여 대여·반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5)에는 전동킥보드(10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3)와 통신하여 전동킥보드(100)의 대여,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5)를 통해 거치장치(1)에 설치된 전동킥보드(100)에 대한 사용자인증, 반납 및 결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거치장치 11: 베이스판 111: 진입경사부
112: 거치경사부 113: 누름판부 113a: 지지탄성체
114: 가이드부 12: 지지다리 13: 배전함
14: 접지대 141: 삽입부 142: 단자부
143: 고정지지부 143a: 회전지지부재 143b: 회전축
143b-1: 탄성체 143c: 누름수단 143c-1: 입출부재
143c-2: 구동실린더 15: 작동조절부 3: 운영서버
31: 대여유도부 32: 구역조정부 33: 이용도분석부
34: 위치조정부 5: 사용자단말기
100: 전동킥보드 101: 바퀴 102: 접속단자

Claims (12)

  1. 바닥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전동킥보드 바퀴가 안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양측에 상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함과;
    상기 배전함 상부에 고정되며, 전동킥보드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접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대는 일측에 일정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의 접속단자에 접촉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전동킥보드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진입경사부와, 상기 진입경사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거치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전동킥보드의 바퀴가 거치경사부 상에 놓인 상태에서 전동킥보드 접속단자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거치경사부 상에 형성되어 전동킥보드 바퀴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판부를 포함하여, 누름판부를 누름에 따라 단자부를 통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진입경사부 및 거치경사부 상에 전동킥보드 바퀴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대는
    전동킥보드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후 전동킥보드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삽입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동킥보드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접지대 상에 고정되어 회전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밀어 회전시키며, 회전지지부재가 전동킥보드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수단은,
    좌우 방향으로 입출되는 입출부재와, 상기 입출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거치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조절부는,
    상기 누름판부가 눌려지는 정보를 수신하는 누름정보수신모듈과, 누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자부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동킥보드의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충전개시모듈과,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입출부재를 삽입부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부재돌출모듈과, 전동킥보드 사용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수신모듈과, 인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실린더를 작동시켜 입출부재를 외측으로 인입시키는 부재인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8. 특정 구역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전동킥보드를 수용하며, 수용된 전동킥보드를 충전시키는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와;
    상기 거치장치 및 전동킥보드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전동킥보드의 운영을 관리하는 운영서버와;
    전동킥보드에 대한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전동킥보드를 인식하여 대여·반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각 구역에 남아있는 전동킥보드의 잔여율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동킥보드의 대여 위치를 추천하는 대여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유도부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모듈과, 사용자 위치 주변의 전동킥보드 대여가 가능한 구역을 검색하는 가능위치검색모듈과, 검색된 각 구역의 전동킥보드 잔여율을 산출하는 잔여율산출모듈과, 사용자 위치와 각 구역의 거리를 산정하는 거리산정모듈과, 잔여율 및 거리에 따라 각 구역의 유도지수를 산출하는 유도지수산출모듈과, 유도지수가 높은 구역으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유도구역안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잔여율산출모듈은,
    각 구역의 총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개수를 저장하는 수용대수저장모듈과, 현재 거치장치에 수용중인 전동킥보드의 개수를 수신하는 수용정보수신모듈과, 거치장치 대비 수용중인 전동킥보드 개수의 비율에 따라 잔여율을 계산하는 잔여율연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유도부는
    각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에 거치된 전동킥보드의 잔여 충전량을 대여구역 안내에 반영하는 충전량반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량반영모듈은,
    각 전동킥보드의 잔여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잔여정보수집모듈과, 사용자의 대여시점까지의 충전량을 예측하는 충전량예측모듈과,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거리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이동거리입력모듈과, 잔여 충전량과 예측 충전량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의 개수를 산정하는 가능대수산정모듈과, 가능대수를 잔여율에 적용하여 유도구역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잔여율적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량예측모듈은,
    전동킥보드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수집모듈과, 충전이 이루어질 때의 주변 기온정보를 수집하는 기온정보수집모듈과, 주변 기온과 충전량의 상관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분석모듈과, 충전량의 예측이 이루어질 시점의 주변 기온정보를 수신하는 기온정보입력모듈과, 사용자가 대여할 시간까지 남아있는 시간정보를 입력하는 시간정보입력모듈과, 주변 기온 및 시간을 상관관계에 입력하여 사용자가 대여할 때까지 충전될 충전량을 산정하는 충전량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일정 단위지역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구역들에 대한 혼잡 정도에 따라 구역의 개수를 조정하는 구역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역조정부는,
    혼잡도를 조정할 단위 지역을 설정하는 단위지역설정모듈과, 단위 기간을 설정하는 단위기간설정모듈과, 단위 지역의 단위 기간에 대한 혼잡정도를 산정하는 지역혼잡도산정모듈과, 지역혼잡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지역혼잡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초과횟수저장모듈과, 초과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 연속되거나 또는 일정 빈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단위 지역이 혼잡한 것으로 판단하는 혼잡판단모듈과, 혼잡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추가적인 구역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역추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역혼잡도산정모듈은,
    각 전동킥보드 거치장치의 단위기간 동안의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을 산정하는 이용시간산정모듈과, 단위지역 내 각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을 합산하는 이용시간합산모듈과, 단위기간에 전체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개수를 곱하여 총 가능 이용시간을 계산하는 전체시간연산모듈과, 전체시간연산모듈에 의해 연산된 전체 이용가능시간에 대한 이용시간합산모듈에 의해 합산된 이용시간의 비율에 따라 단위 지역의 혼잡도를 결정하는 혼잡도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전동킥보드의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이용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이용도분석부와, 복수의 전동킥보드 거치장치가 설치되는 구역의 이용정도가 일정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주변의 위치별 이용정도를 예측하여 구역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도분석부는,
    전동킥보드의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저장하는 변수정보저장모듈과, 기준시간별로 각 구역에 대한 전동킥보드 이용시간의 비율에 따라 이용지수를 산정하여 저장하는 이용지수저장모듈과, 변수와 이용지수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상관도출모듈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관관계를 갱신하는 상관갱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변수정보저장모듈은,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정류장을 포함한 교통수단의 정류장과의 거리, 이용자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저장모듈과, 주변 건물의 거리, 층수, 면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건물정보저장모듈과, 불특정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중이용 시설물의 거리, 이용자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정보저장모듈과, 일정거리 내 구역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역정보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정부는,
    기준시간 간격으로 각 구역에 대한 이용지수를 모니터링하는 이용지수감시모듈과, 이용지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이용지수비교모듈과, 이용지수가 기준값 이하에서 일정횟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조정필요판단모듈과, 구역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주변 대체 가능한 위치를 선정하는 대체위치선정모듈과, 선정된 대체 위치들에 대한 이용지수를 상기 이용도분석부에 의해 예측하는 이용지수예측모듈과, 예측된 이용지수가 높은 위치로 구역을 변경하는 구역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KR1020220010825A 2022-01-25 2022-01-25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KR20230114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25A KR20230114539A (ko) 2022-01-25 2022-01-25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PCT/KR2022/002774 WO2023146016A1 (ko) 2022-01-25 2022-02-25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25A KR20230114539A (ko) 2022-01-25 2022-01-25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539A true KR20230114539A (ko) 2023-08-01

Family

ID=8747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25A KR20230114539A (ko) 2022-01-25 2022-01-25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4539A (ko)
WO (1) WO20231460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6827A (zh) * 2015-06-11 2015-11-11 北京摩拜科技有限公司 自行车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09961342A (zh) * 2017-12-25 2019-07-02 吴东辉 基于算法的共享单车管理方法及系统
KR20200027335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KR20210092599A (ko) * 2020-01-16 2021-07-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 킥보드 주차장치
KR102256807B1 (ko) * 2020-08-18 2021-05-28 (주)그린파워 무선충전 시스템
KR102282563B1 (ko) * 2021-01-18 2021-07-29 임정빈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016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92101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10078434A1 (en) Automated 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a network of charging stations
US11340083B2 (en) Assignment of motor vehicles to charging stations
WO2013080211A1 (en) Battery selection system and method
CN103875154B (zh) 用于在收集、充电及分配机之间重新分配诸如电池的电能存储设备的装置、方法及物品
US20180032920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haring service
KR101271412B1 (ko) 주차장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5957260B (zh) 一种电动汽车分时租赁预约充电系统及方法
US10587132B2 (en) System for charging mobile device using an ad-hoc infrastructure with energy harvesting capabilities
CN111598481A (zh) 共享单车流动系统、基于子区划分的自动调度系统及方法
WO2018154594A1 (en) A modular and scalable battery swap station
KR20230114539A (ko) 전동킥보드 충전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US8841846B2 (en) Method of controlling lights and system for managing lights using the same
CN111779336A (zh) 智能升降车库预约管理系统
KR20230116104A (ko) 공동시설의 유휴전력 기반 전기차 충전 장치
Coulibaly et al. Development of a demonstrator «smart-parking»
JP2004234275A (ja) 巡回システム
KR20200060580A (ko) 전력설비를 활용한 드론 충전 시스템,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282564B1 (ko) 컨트롤박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KR102282566B1 (ko) 스마트도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KR102589196B1 (ko)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CN220122997U (zh) 可移动智能机器人的基站及跨楼层运送系统
KR102269690B1 (ko) 휠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KR102588083B1 (ko) 무선충전 및 주차관리를 위한 스마트 서비스 시스템
KR102498464B1 (ko) 전기차량 무선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