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196B1 -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196B1
KR102589196B1 KR1020210022772A KR20210022772A KR102589196B1 KR 102589196 B1 KR102589196 B1 KR 102589196B1 KR 1020210022772 A KR1020210022772 A KR 1020210022772A KR 20210022772 A KR20210022772 A KR 20210022772A KR 102589196 B1 KR102589196 B1 KR 10258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harging
wheeled vehicl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540A (ko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신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철 filed Critical 신성철
Priority to KR102021002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복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소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system that charges and rents electric motorcycles, and rental service method based on this}
본 발명은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 이륜 차량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전 및 결제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관광지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용이하게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 이륜 차량은 전동 킥보드와 같이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소형의 이륜 바퀴가 전후로 구비된 상태에서 모터가 이륜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작하는 차량들을 일컫는다.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전동 스쿠터라고도 한다.
최근에 전동 이륜 차량은 경량화로 인한 휴대의 간편함과 경사를 오르는 등판력, 속력 및 주행거리가 우수하여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로써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단순히 취미를 위한 사용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이동수단으로 간주하여 수 km 내의 거리를 출퇴근 하는데 사용하는 등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전동 이륜 차량은 관광지나 공원, 주택가, 사무실이 밀집된 지역 등 공공장소에서 다양하게 사용자들이 대여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공공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전동 이륜 차량을 대여할 시 단순히 역 앞이나 길거리에 위치한 상태로 구비되어 항상 충전이 된 상태가 아닐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사용 상태나 충전 상황 등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하는 충전소가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충전소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며, 더불어 전동 이륜 차량의 사용에 대한 결제 서비스도 필요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통합 교통 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를 달성하기 위해 전동 이륜 차량을 공공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충전 및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71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들에게 전동 이륜 차량을 대여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시스템 및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복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소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복수의 충전 유닛의 정상 유무에 관한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 현재 점유 중인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 중에서 현재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점유하고 있는 충전 유닛의 식별정보와 현재 미점유 중인 충전 유닛의 식별정보를 표시함에 의해, 현재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현재 점유 중인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과 상기 충전량에 따라 현재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는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있는 충전 유닛의 충전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배터리가 완충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충전소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제 2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 중 교체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상기 제 2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특정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수납 중인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 중에, 현재 충전 중이거나 충전이 더 필요한 전동 이륜 차량 및 미리 예약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을 제외한 현재 사용이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에 잔여 배터리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전동 이륜 차량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전동 이륜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신청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하나에 상기 교체 신청 정보의 수신 이후로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충전 상태임을 상기 인증 수행부가 인증할 시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마일리지 정보를 관리하는 마일리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일리지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하나에 포함된 충전 유닛에 전동 이륜 차량을 수납하여 충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사용에 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결제 관리부에 의해 수행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 수납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사용을 위한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약 관리부는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충전소에 수납된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예약을 처리하고,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충전소에 수납된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며, 상기 제1 충전소가 상기 예약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사용 또는 예약을 차단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을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예약을 처리하고, 상기 예약은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이 완료된 시점부터 소정의 임계 시간 동안 유효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차량 정보는 개별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장소에 위치한 상기 개별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충전소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데이터 송수신부가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및 충전소 관리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전동 이륜 차량을 수납하여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이하게 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하여 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광지나 주택, 사무실이 밀집한 지역에서 언제든 전동 이륜 차량을 대여하여 놀이기구나 출퇴근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 이륜 차량마다 식별번호와 사용자 정보가 대응되어 관리된다. 이에 따라, 전동 이륜 차량의 추적 및 이동경로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하도록 독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고 나서 충전소에 충전할 시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소정의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에게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하는 수고를 경감시키고, 사용자에게는 충전에 대한 보상을 획득하도록 독려하여 전동 이륜 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 구비된 충전구에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충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수납부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가 충전구와 마주 보는 면에 마주 보는 면에 구비되어 킥보드에 구비된 킥보드 단자부와 접촉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구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가 킥보드가 수납되는 충전 수납부의 옆면에 구비되어 킥보드에 구비된 킥보드 단자부와 접촉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킥보드가 충전구 통과하여 수납될 시 충전구 내부로 가이드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전동 이륜 차량이 충전 수납부에 수납됨에 따라 충전 단자부가 돌출되어 충전 단자부 및 차량 단자부가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수납된 킥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고정 해제 버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가 모듈 방식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충전 유닛이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가 모듈 방식으로 구비되어 공간에 따라 크기 조절을 위해 조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배수구 및 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배수구 및 배수로를 통해 전동 이륜 장치의 바퀴에서 물기가 떨어져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과 전동 이륜 차량의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동 이륜 차량에 의해 충전구가 밀폐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전동 이륜 차량에서 차량 단자부의 돌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단자부가 외부 표면에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서버가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지도상의 충전소에서 점유 및 미점유 현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지도상에 전동 이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를 표시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특정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다른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복수의 충전소에 관한 잔여 배터리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배터리 충전을 공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충전기 본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는 충전기 본체(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기 본체(10)는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전동 이륜 차량(20)은 손잡이 부분이 뒷바퀴 부근으로 접힌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 이륜 차량(20)이라 함은 예를 들어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쿠터와 같이 앞바퀴와 뒷바퀴의 두 바퀴 사이에 사용자가 올라서는 플레이트(210)가 구비되어 있고, 앞바퀴에는 소정의 길이로 손잡이가 연장된 차량에 전동모터가 구동하여 작동시키는 차량을 일컫는다.
충전기 본체(10)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며,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충전기 본체(10)의 형상은 육면체에 한정하지 않고 사면체, 오면체, 팔면체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충전기 본체(10)에는 충전구(100), 충전 수납부(110), 충전 단자부(120), 결제부(130), 충전 알림부(140), 디스플레이, 배터리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구(100)는 충전기 본체(10)에서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구(1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수납부(110)는 충전구(100)를 기점으로 충전기 본체(10)의 내부 방향을 향해 소정의 크기 및 길이로 연장된 공간으로써, 전동 이륜 차량(20)은 충전구(100)를 통과하여 수납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 수납부(11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 단자부(120)는 충전 수납부(1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될 시 전동 이륜 차량(20)에 구비된 차량 단자부(200)와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충전 단자부(120)를 통해 전동 이륜 차량(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단자부(120)는 충전 수납부(110)에서 충전구(100)와 마주보는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단자부(120)는 차량 단자부(200)와 단순히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접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의 앞쪽에 차량 단자부(200)가 마련되면,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될 때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단자부(120)가 접촉되어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될 수 있다.
결제부(130)는 충전기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시 결제를 위한 구성이다. 또는, 충전되어 있는 공용의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결제부(130)는 실물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나 실물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이 접촉하는 구성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NFC 모듈이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결제 서비스도 가능하다.
충전 알림부(140)는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 알림부(140)는 충전구(10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다양한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알림부(140)는 충전구(100)의 테두리에 LED로 구비될 수 있고, LED는 충전 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즉,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중이면 빨강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되면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충전 알림부(140)는 충전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충전 상태를 6가지로 구분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상태가 0%부터 20% 사이이면 빨강색, 20%부터 40% 사이이면 주황색, 40%부터 60% 사이이면 보라색, 60%부터 80% 사이이면 파랑색, 80%부터 99%이면 노랑색, 100%이면 초록색 등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색상에 따른 충전 상태의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색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리로도 충전을 공지할 수 있다. 이는 충전 알림부가 별도의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충전 상태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서로 상이한 소리로 충전을 공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충전 수납부(110)의 수납 현황, 각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상태, 사용자 결제에 관한 안내, 광고 등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0)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충전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에 충전 단자부(12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터리부(160)는 충전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되는 전원은 AC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부(160)는 외부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미리 충전되어 있는 용량을 완전히 소모하면 외부에서 현장 인력이 투입되어 충전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 구비된 충전구(100)에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되어 충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수납부(110)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120)가 충전구(100)와 마주 보는 면에 구비되어 킥보드에 구비된 킥보드 단자부와 접촉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기 본체(10)에 마련된 복수의 충전 수납부(110)에 각각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될 시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20)은 부피의 감소를 위해 손잡이 부분이 뒷바퀴 부분으로 대략 90도 접힌 상태로 뒷바퀴부터 수납될 수 있다. 또는 앞바퀴부터 수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충전기 본체(10)에 충전구(100) 및 충전 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충전 수납부(110)에는 충전구(100)와 마주보는 면에 충전 단자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차량 단자부(200)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손잡이 부분에서 밑단에 구비되어 있다. 또는, 뒷바퀴 부근의 플레이트(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차량 단자부(200)는 전동 이륜 차량(20)에서 앞쪽 및/또는 뒤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은 전동 이륜 차량(20)에 마련된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수납부(110)에 마련된 충전 단자부(120)가 접촉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작하여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 충전을 요청하고, 결제부(130)를 통해 충전에 관한 요금을 결제함으로써 충전시킬 수 있다.
만약, 충전 수납부(110)에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단자부(120)가 제대로 접촉되지 않았을 때에는 충전 알림부(140)에서 정확한 접촉을 위한 색상이나 소리가 표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도 정확한 접촉을 위한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된 공용의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작하여 사용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부(130)를 통해 결제할 수도 있다.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단자부(120)가 접촉하여 배터리 충전이 시작되면, 충전구(100)의 테두리에 마련된 충전 알림부(140)가 색상 및/또는 소리 등으로 충전 상태를 공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공지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 알림부(140)가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이동식 충전을 위해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트럭과 같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차량에 충전기 본체(10)가 설치되어 충전이 필요한 지역에 충전기 본체(10)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는 충전 단자부(120) 및 차량 단자부(200)가 단자 간 접촉하는 방식으로 충전되는 것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충전 단자부(120)에는 제1코일이 구비되고, 차량 단자부(200)는 제2코일이 구비되어 서로 간의 자기유도 방식, 자기공진 방식 또는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상태는 충전 단자부(120) 및 차량 단자부(200)가 접촉된 상태일 수도 있고, 접촉되지 않고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일 수도 있다.
<충전 단자부의 다른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충전 단자부(12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구(100)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120)가 킥보드가 수납되는 충전 수납부(110)의 옆면에 구비되어 킥보드에 구비된 킥보드 단자부와 접촉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 수납부(110)의 양쪽 벽면으로 충전 단자부(1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차량 단자부(200)가 앞쪽 부분이 아닌 양 옆쪽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단자부(120)는 충전 수납부(110)의 양쪽 벽면으로 충전 단자부(120)가 구비된 상태에서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되면,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로 완전히 진입하였을 시 충전 수납부(110)의 양쪽 벽면에 구비된 충전 단자부(120)에 전동 이륜 차량(20)의 양 옆쪽 부분에 구비된 차량 단자부(20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에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충전 가이드레일 형성>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170)이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170)이 구비되어 킥보드가 충전구(100)를 통과하여 수납될 시 충전구(100) 내부로 가이드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에는 충전 수납부(110)가 형성된 양쪽 벽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예를 들어 리브 형태와 같이 양쪽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가이드레일(170)은 충전 수납부(110)의 양쪽 벽면을 따라 충전 수납부(110)가 충전기 본체(10)에서 형성된 깊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될 때 전동 이륜 차량(20)의 양쪽 측면이 돌출된 충전 가이드레일(170) 위에 얹혀서 지지될 수 있고, 지지된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 수납부(1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충전 단자부(120)와 차량 단자부(200)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충전 가이드레일(170)은 전동 이륜 차량(20)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여도 충전 단자부(120)와 차량 단자부(200) 간의 접촉을 유지시켜 안정적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 가이드레일(170)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이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레일(170)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가이드 레일은 한 쌍의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가이드레일(170)은 충전 수납부(110)의 양쪽 벽면을 따라 한 쌍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가이드레일(170)은 전동 이륜 차량(20)의 플레이트(210)를 상단과 하단에서 구속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접은 상태에서 플레이트(210)를 한 쌍의 충전 가이드레일(170)의 상단 레일(171)과 하단 레일(17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위치시키고 충전 수납부(110)가 형성된 공간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동 이륜 차량(20)의 플레이트(210)라 함은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사용자가 서있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받침대를 일컫는다.
따라서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될 시 상단 레일(171)과 하단 레일(172)이 플레이트(210)의 위와 아래에서 지지해주기 때문에 충전 단자부(120)와 차량 단자부(200)는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충전 단자부 돌출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됨에 따라 충전 단자부(120)가 돌출되어 충전 단자부(120) 및 차량 단자부(200)가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 수납부(110)의 한쪽 측면 벽체로 단자부 돌출 버튼(121)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수납부(110)의 한쪽 측면 벽체에는 도어(door)의 래치와 같은 형태로 단자부 돌출 버튼(121)이 구비되어 충전 단자부(120)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 돌출 버튼(121)은 소정의 면적이 기울어져 충전구(100)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충전 단자부(120)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 돌출 버튼(121)의 면적을 가압하게 되면, 충전 단자부(120)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 돌출 버튼(121)은 회전부재(122)의 한쪽과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부재(122)가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22)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부분은 고정되되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회전부재(122)의 다른 한쪽에는 스프링부재(123) 및 충전 단자부(120)가 연결되어 회전부재(122)가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스프링부재(123)가 전달하는 탄성복원력을 회전부재(122)가 받을 수 있다.
충전 단자부(120)가 충전 수납부(11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인입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로 수납되기 위해 인입되면, 전동 이륜 차량(20)의 옆 부분이 단자부 돌출 버튼(12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자부 돌출 버튼(121)의 경사진 면이 힘을 받게 된다.
이후 단자부 돌출 버튼(121)은 충전 수납부(110) 내부에 있는 회전부재(122)의 한쪽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다른 한쪽과 연결된 스프링부재(123) 및 충전 단자부(12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스프링부재(123) 및 충전 단자부(120)에 힘을 가하게 되면, 충전 단자부(120)가 충전 수납부(11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마치 볼펜심을 돌출시키는 원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단자부(120)가 접촉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단자부 돌출 버튼(121)은 일부분 다시 돌출된다.
이후 단자부 돌출 버튼(121)을 다시 전동 이륜 차량(20)이 가압하면 볼펜심이 다시 인입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스프링부재(123)에 의해 회전부재(12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122)가 단자부 돌출 버튼(121)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 충전 수납부(110)에서 이탈하게 되면, 단자부 돌출 버튼(121) 또한 충전 수납부(11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단자부 돌출 버튼(121)은 충전 수납부(110)의 한쪽 벽면에 구비되는 것뿐만 아니라 양쪽 벽면에도 구비되어 충전 단자부(120)의 (+)극 단자 및 (-)극 단자를 각각 돌출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충전 단자부(120)가 다시 인입되는 방식은 앞서 볼펜심의 원리를 이용한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충전 단자부(120)는 충전이 필요할 때에만 돌출되어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충전 단자부(1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수납된 킥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80) 및 고정 해제 버튼(19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80)는 충전 수납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즉, 고정부(180)는 도어의 래치와 같은 형태로 소정의 면적 및 길이를 갖으며, 밑 부분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충전 수납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80)는 외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충전 수납부(110)로 전동 이륜 차량(20)이 진입할 시 바퀴가 경사면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후 경사면으로 가해진 힘에 의해 고정부(180)가 바닥면 내부로 인입하게 되고, 전동 이륜 차량(20)의 앞바퀴가 완전히 충전 수납부(110)로 진입하게 되면 고정부(18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므로 스프링에 의해 고정부(180)가 다시 충전 수납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앞바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 이륜 차량(20)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되는 형태는 앞바퀴가 먼저 진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뒷바퀴가 먼저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충전이 완료된 후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 수납부(110)로부터 꺼내게 될 때는 고정부(180)가 지지하고 있는 것을 해제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해제 버튼(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해제 버튼(190)은 각각의 충전구(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 해제 버튼(190)을 누른 상태로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 수납부(110)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충전 유닛의 조립>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가 모듈 방식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충전 유닛이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가 모듈 방식으로 구비되어 공간에 따라 크기 조절을 위해 조립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기 본체(10)가 각각의 충전구(100)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복수의 충전 유닛(190)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 본체(10)는 각각의 충전 수납부(110)로 이루어진 충전 유닛(190)이 모듈 방식으로 구비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하나의 충전 유닛(190)에 다른 충전 유닛(190)이 용이하게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충전 유닛(190)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관리자가 다양하게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8개의 충전 유닛(190)이 육면체로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 4개의 충전 유닛(190)이 조립되어 사용되거나 2개의 충전 유닛(190)이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충전 유닛(190)은 각각의 충전 수납부(110)가 분리된 하나의 모듈을 의미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서로 분리되지 않더라도 하나의 충전구(100) 및 충전 수납부(110)를 포함하여 하나의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되는 구성의 일체를 충전 유닛(190)으로도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유닛(190)은 육면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도 조립이 가능하다. 즉, 충전 유닛(190)은 T자 형으로 조립이 되거나 피라미드 형태로도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충전기 본체(10)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는 본연의 목적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심미적 관점에서도 공공 구조물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충전 유닛(190)은 각각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60)에서는 충전 유닛(190)을 모니터링 하여 충전 유닛(19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는 충전 유닛(190)을 현재 점유 또는 미점유 하는지에 관한 정보, 충전 유닛(19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충전 유닛(190)의 현재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 충전 유닛(190)에 남아 있는 배터리 정보 및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낱개로 설치된 충전 유닛(190)은 이동식 충전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반면, 충전 유닛(190)이 2x2, 3x3, NxN 등 복수로 조립될 때는 조립된 모든 충전 유닛(190)을 서버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통신이 가능한 하나의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엣지 디바이스는 조립된 충전 유닛(19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조립된 충전 유닛(190)의 정보를 처리 및 종합하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기반으로 한 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즉, 엣지 디바이스는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처리유닛과 메모리를 담당하는 기억유닛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엣지 디바이스 내부에서 각각의 충전 유닛(190)에 관해 수집된 정보를 보존하고, 수집된 정보를 연산하여 중앙에 구비된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가공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충전 유닛(190)에 관해 현재 점유 또는 미점유 하는지에 관한 정보, 충전 유닛(19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충전 유닛(190)의 현재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 충전 유닛(190)에 남아 있는 배터리 정보 및 기타 정보 등 설치된 충전 유닛(190)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엣지 디바이스는 복수로 구비된 충전 유닛(19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서버의 연산부담을 일부분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엣지 디바이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모든 충전 유닛(190)의 정보가 서버로 몰리게 되고, 이에 따라 서버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여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여 시스템에 한계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하나의 시, 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구역에 설치된 충전 유닛(190)의 개수가 보통 수십 개 정도로 될 것이고, 설치된 구역이 다수의 구역으로 확장되면 충전 유닛(190)의 개수는 수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확장될 것이다. 이러한 충전 유닛(190)의 정보를 모두 하나의 중앙에 구비된 서버에서 처리한다면, 정보가 한 곳으로 몰려 송수신 할 때 과부하가 발생하기도 하고, 시스템 자체에서도 처리하는데 과부하가 발생되어 동작 효율이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및 관리자가 정보를 수신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엣지 디바이스는 조립된 충전 유닛(19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된 충전 유닛(190)들의 정보를 분산하여 각각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가공하여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시스템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충전기 본체의 배수구 및 배수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충전기 본체(10)에 배수구(111) 및 배수로(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배수구 및 배수로가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배수구 및 배수로를 통해 전동 이륜 장치의 바퀴에서 물기가 떨어져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는 충전 수납부(110)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구(111)는 충전 수납부(110)의 면적 내에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11)의 하단 방향으로는 충전구(100)와 반대방향을 향해 하강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배수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로(112)는 충전기 본체(10) 내부에 소정의 폭을 가지며, 길이는 충전기 본체(10)의 모서리 부분까지 연장되어 배수로(112)를 따라 이동하는 수분이 충전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할 시 비가 오거나 비가 온 뒤에 웅덩이가 발생하면 전동 이륜 차량(20)의 앞바퀴 및 뒷바퀴에는 수분이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된다면, 수분으로 인해 충전 수납부(110)의 내부에는 다량으로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을 적절하게 제거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만약 이것이 수행되지 않는다면 전자기기인 충전기 본체(10)는 누전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충전기 본체(10)의 유지보수 주기를 단축시킬 수도 있고, 심하면 누전에 의한 충전기 본체(10)의 손상과 화재 등의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수분에 의한 누전 사고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충전 수납부(110)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11)를 형성하고, 배수구(111)의 하단으로는 배수로(112)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될 시 앞바퀴 및 뒷바퀴에 포함된 수분은 중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수분은 다수의 배수구(111)를 통해 배수로(112)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배수로(112)는 충전구(100)와 반대방향으로 하강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배수로(112)에 안착한 수분은 화살표 방향과 같이 경사진 배수로(11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된 수분은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장치는 충전 시에 수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유지보수의 수고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도 전동 이륜 차량(20)의 수분을 따로 제거해주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충전구 밀폐>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을 수납할 시 충전구(100)가 밀폐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과 전동 이륜 차량의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동 이륜 차량에 의해 충전구가 밀폐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은 접이모듈(220)에 손잡이부(230)가 설치되어 접힐 수 있다. 접이모듈(220)은 대략 충전구(100)의 넓이만큼으로 육면체로 형성되어 플레이트(210)에서 앞바퀴 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높이는 대략 충전구(100)의 높이만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접이모듈(230)의 정면에는 차량 단자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이모듈(220)의 내부에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전동 모터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접이모듈(220)에서 차량 단자부(200)의 반대쪽 면에는 손잡이부(230)가 접히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손잡이부(2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접힐 수 있다. 손잡이부(230)가 접히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30)가 접힌 전동 이륜 차량(20)은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될 때 충전구(100)를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하여 충전할 시 전동 이륜 차량(20)의 앞바퀴 부분부터 수납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충전 단자부(120)가 도 4와 같이 충전구(10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접이모듈(220)의 정면에 형성된 차량 단자부(200)와 충전 단자부(120)와 접촉하게 되어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부(230)가 접힌 전동 이륜 차량(20)의 접이모듈(220)은 충전 수납부(110)의 가로 폭 넓이와 대략 동일하고, 세로 높이도 충전 수납부(110)의 천장까지 커버하기 때문에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된 후에는 접이모듈(220)에 의해 충전구(100)가 밀폐될 수 있다. 충전구(110)가 밀폐됨에 따라 충전 단자부(120)와 차량 단자부(200)는 외부와 차단되어 외부 이물질의 접근이 차단되어 안전하게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충전구(100)를 밀폐하는 것은 이중으로도 가능하다. 즉, 충전구(100)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접었을 때 수납될 수 있는 크기만큼으로 형성되고, 전동 이륜 차량(20)의 손잡이 부분은 그 면적이 양쪽 합하여 충전구(100)의 크기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전 수납부(110)에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한다면, 전동 이륜 차량이 충전구(100)를 통과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양쪽 손잡이가 각각 충전구(100)의 반씩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접이모듈(220)이 충전구(100)를 밀폐하고, 2차로 손잡이 부분이 충전구(100)를 밀폐하여 충전 수납부(110)가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충전 수납부(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 본체(10)에는 충전구(100)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밀폐수단은 충전구(100)의 테두리 안쪽으로 슬라이딩 도어 방식이 적용되어 충전구(100)의 안쪽 면적을 슬라이딩 하는 방식으로 밀폐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230)가 접히게 됨에 따라 접이모듈(220)로부터 차량 단자부(200)가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이를 도 17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전동 이륜 차량에서 차량 단자부의 돌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손잡이부(230)가 접히지 않은 상태, 즉 기립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230)가 가하는 힘에 의해 접이모듈(220)의 내부에서 차량 단자부(200)가 인입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단자부(200)는 돌출바(250)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돌출바(250)는 다른 끝단이 스프링(240)과 연결되어 스프링(240)의 압축이나 압축해제에 따라 횡이동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바(250)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로 부분이 손잡이부(230)의 끝단과 맞닿을 수 있다. 이 때 손잡이부(230)도 대략 'ㄴ'자로 형성되며, 손잡이 고정수단(260)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230)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시켜 접게 되면, 손잡이부(230)의 끝단도 회전하게 되고, 이 때 손잡이부(230)가 돌출바(250)를 밀고 있던 힘도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240)을 압축시킨 힘이 소멸하게 되어 스프링(240)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고, 이에 따라 돌출바(250) 또한 스프링(240)의 힘에 의해 횡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단자부(200) 또한 돌출바(250)를 따라 외부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 단자부(200)가 돌출하고 인입하는 것은 차량 단자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차량 단자부(200)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만 필요할 뿐, 일반적인 사용 중에는 필요하지 않다. 만약 차량 단자부(20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거나 외부와 접촉이 가능한 상태이면, 외부에서 가하는 힘에 의해 차량 단자부(200)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단자부(200)의 돌출구조를 마련하여 차량 단자부(200)를 필요할 때만 접촉시키기 도록 할 수 있다.
<충전 단자부의 다른 실시예>
한편, 본 발명에서 충전 단자부(120)는 충전구(100) 주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장치에서 충전 단자부가 외부 표면에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100)의 양측으로 충전 단자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전동 이륜 차량(20)에서 차량 단자부(200)는 접이모듈(220)의 정면에서 보았을 시 좌우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상황을 설명해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수납부(110)에는 전동 이륜 차량(20)이 접힌 상태에서 뒷바퀴가 먼저 진입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동 이륜 차량(20)이 완전히 충전 수납부(110)로 수납되면, 접이모듈(220)이 충전구(100)와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접이모듈(220)의 양 측으로 구비된 차량 단자부(200)는 충전구(100)의 양측으로 형성된 충전 단자부(12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단자부(120)와 차량 단자부(200)가 서로 맞닿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충전 및 대여 시스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이륜 장치의 충전 장치를 기반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전동 이륜 차량(20), 충전소(30), 사용자 단말(50), 관리자 단말(40) 및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20)은 예를 들어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쿠터와 같이 앞바퀴와 뒷바퀴의 두 바퀴 사이에 사용자가 올라서는 플레이트(210)가 구비되어 있고, 앞바퀴에는 소정의 길이로 손잡이가 연장된 차량에 전동모터가 구동하여 작동시키는 차량을 일컫는다. 이러한 전동 이륜 차량(20)은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20)은 내부에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서버(6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은 현재 작동 상태 에 관한 정보,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 잔여 배터리로 주행 가능한 거리에 관한 정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현재 수납되어 충전 중인 충전소(30)에 대한 정보 등을 차량 정보로 생성하여 서버(60)에 송신할 수 있다.
충전소(30)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하고, 사용자가 충전된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 전후로 보관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소(30)는 넓게는 충전 장치가 구비된 구역을 의미하는 것이고, 좁게는 충전 장치 또는 하나의 충전 유닛(190)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30)는 앞서 설명한 충전 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충전소(30)는 소정의 용량으로 배터리를 구비하고, 복수로 구비된 충전 수납부(110) 또는 충전 유닛(190)에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소(30)는 각각 엣지 디바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엣지 디바이스는 NFC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서버(60)(60)에서는 충전소(30)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유닛(19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라 함은 특정 충전소(30)에 관한 위치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현황 및 이상 유무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서 현재 점유되어 충전 중인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 복수의 충전 유닛(190)에서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된 충전량에 관한 정보, 복수의 충전 유닛(190)이 각각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자가 사용 또는 대여하기 위해 요청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5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및 소셜 메시징 시스템 및 서버(60)에 액세스하기 위한 네트워크와의 통신 능력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은 원격 디바이스,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범용 컴퓨터,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휴대형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터, 셀룰러 또는 모바일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 태블릿, 울트라북, 넷북, 랩탑, 데스크탑,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가전제품, 게임 콘솔, 셋톱박스,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사람, 머신, 또는 사용자 단말(50)과 상호작용하는 기타의 수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소셜 메시징 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는 네트워킹된 환경의 일부가 아닐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50)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시스템에 접속하여 충전소(30)에 보관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을 요청하거나 예약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50)에는 특정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토큰이나 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별도의 인증수단을 서버(60)에 송신하고, 서버(60)는 수신된 인증수단을 인증하여 특정 사용자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수단은 사용자 단말(50)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서버(60)는 충전소(30) 및 사용자 단말(50)과 연결되어, 복수의 충전소(30)의 관리와 사용자에게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을 위해 대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서버(60)는 충전소(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각각의 식별번호가 구비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충전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에 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60)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시키는 사용자에게 충전에 대한 마일리지 지급과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한 예약을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서버(60)와 연결되어 서버(60)와 연결된 충전소(30)의 정보 및 사용자 단말(50)의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60)를 유지 및 보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은 충전소(30)의 잔여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로 내려갈 시 서버(60)로부터 이를 수신하여 충전소(3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은 앞서 사용자 단말(50)을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디스플레이, 및 소셜 메시징 시스템 및 서버(60)에 액세스하기 위한 네트워크와의 통신 능력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원격 디바이스,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범용 컴퓨터,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휴대형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터, 셀룰러 또는 모바일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 태블릿, 울트라북, 넷북, 랩탑, 데스크탑,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가전제품, 게임 콘솔, 셋톱박스,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의 구성>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는 데이터 송수신부(600), 인증 수행부(610), 결제 관리부(620), 충전소 관리부(630), 예약 관리부(640), 데이터베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600)는 충전소(30), 사용자 단말(50) 및 관리자 단말(4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부(600)는 복수의 충전소(30)에서 송신하는 각각의 충전소(3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0)이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에게 충전소 정보 또는 예약과 관련과 관련되어 처리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 단말(40)이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40)에게 충전소 정보,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50)이 요청하는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30)에도 예약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충전소(30)가 전송하여 수신된 상태 정보는 실시하기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돌발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한 일정한 주기를 설정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주기는 초 단위 또는 분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인증 수행부(610)는 사용자 또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고유한 식별번호를 인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증 수행부(610)는 사용자가 로그인이나 별도의 인증방식 등을 통해 서버(60)에 접속을 시도할 시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사용자를 매칭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여 대여할 시에도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를 인증하여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였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620)는 사용자가 충전소(30)에서 결제부(130)를 통해 전동 이륜 차량(20)에 관한 사용 요금을 결제할 시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 등의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도 있고, 현금을 결제부(130)에 투입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실물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앱카드와 같은 모바일 결제수단도 가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적립한 마일리지로도 결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제 방식은 예시일 뿐, 통상적으로 결제에 사용되는 수단은 모두 가능함을 밝혀둔다.
충전소 관리부(630)는 복수의 충전소(30)에 관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소 관리부(63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50)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50)에서 검색한 충전소(30)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복수의 충전소 중 하나의 충전소(30)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서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 가능한 개수에 관한 정보, 전동 이륜 차량(20)의 교체 사용 가능한 개수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나 배터리가 충전 중인 정보 및 충전소(3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충전소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충전소(30)에 남아 있는 잔여 배터리를 판단하여 잔여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일 시 관리자 단말(40)에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공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와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를 대응시켜 현재 사용 중인 사용자와 특정 전동 이륜 차량(20)을 관리할 수 있다.
예약 관리부(640)는 결제 관리부(620)에 의해 수행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을 위한 예약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가 충전소(30)에서 디스플레이부(15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터치 등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 전동 이륜 차량(20)을 선택한 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예약 관리부(6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약 관리부(640)는 사용자가 충전소(30)에서 예약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미리 선택할 시에도 예약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수신된 충전소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충전소(30)에 수납 중인 특정 전동 이륜 차량(20)을 선택하여 예약을 요청하고, 사용 요금을 결제하면, 예약 관리부(640)는 결제 관리부(620)가 전달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이 처리됨을 충전소 관리부(630)에 전달함에 따라 예약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 이륜 차량(20)을 예약하는 것은 1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수의 횟수를 예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전동 이륜 차량(20)을 지정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을 예약할 수도 있고, 단순히 횟수만을 선택하여 예약할 수도 있다. 또한, 횟수뿐만 아니라 기간을 설정하여 예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시간, 1주일, 1개월, 1년 단위로 구독 서비스를 신청하여 특정 충전소(30)에서 특정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해 예약을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약 관리부(6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예약을 처리하고, 예약된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 중인 충전소(30)에서는 예약 정보를 저장하며, 충전소 관리부(630)는 예약 관리부(640)가 처리한 예약 정보를 사용자와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를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약이 완료되면, 사용자 정보와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가 대응되어 예약된 전동 이륜 차량(20)에 대해서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이나 예약할 수 없도록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된 충전소(30)에서 다른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50)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활용된 모든 정보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650)는 서버(6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서버(6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50)에 저장되는 정보는 앞서 언급한 상태 정보, 충전소 정보 및 차량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50)의 정보, 사용자 정보,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에 관한 정보,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 정보, 예약 정보 및 결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마일리지 관리부(660)는 마일리지 정보를 부여 및 관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일리지 관리부(660)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써 사용 요금을 결제한 것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사용자마다 적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소(30)에 수납하여 충전시킨 사용자에게 마일리지가 부여될 수 있다.
아울러, 마일리지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시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충전소(30)에 수납하여 충전시키는 것에 관한 수고를 보상하기 위해 부여될 수 있다.
<상태 정보의 수신>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가 복수의 충전소(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는 데이터 송수신부(600)를 통해 복수의 충전소(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충전소(30)에는 각각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되어 충전되고 있으며, 충전이 진행되면서 사용자에게 대여해주기 위해 보관중이다. 이 때 복수의 충전소(30)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여 각각의 충전소(30)에 관한 상태 정보가 가공되어 서버(60)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정보에는 하나의 충전소(30)에 관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서버(60)가 제공하는 지도상에서 어느 위치에 충전소(30)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상태 정보에는 충전소(30)에서 점유되어 충전 중인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충전소(30)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유닛(190)는 서로 다른 식별번호를 가지며, 이 중에서 현재 전동 이륜 차량(20)이 수납되어 점유하고 있는 충전 유닛(190)의 식별번호와 현재 미점유 중인 충전 유닛(190)의 식별번호를 표시함에 따라 현재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190)을 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태 정보에는 현재 점유 중인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충전소(30)에서 충전 중인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에 관해 현재 충전 상태와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상태라 함은 충전소(30)에서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이 보유한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이다. 따라서 복수의 충전 유닛(190)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량에 따라 현재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어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에는 충전소(30)에서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정상 유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충전 유닛(190)이 전동 이륜 차량을 정상적으로 충전하도록 동작하는지에 관한 것이 포함되며, 만약 특정 충전 유닛(190)에 이상이 있다면, 충전소(30)는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는 표시 또는 신호를 상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상태 정보에는 복수의 충전 유닛(190)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충전 유닛(190) 중에서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있는 충전 유닛(190)은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 때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는 시간은 모두 상이할 수 있으며, 이렇게 완전히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상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유닛(190)의 충전 속도를 기반으로 충전소(30)에서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가 완충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충전 유닛(190)이 외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을 시 복수의 충전 유닛(190)에 남아있는 배터리에 관한 정보가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에는 예약된 전동 이륜 차량(20)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충전소(30)에 수납되어 충전 중인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에 대해 사용자가 예약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가 사용자 정보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을 복수의 충전소(30)가 각각 상태 정보로 생성 및 가공하여 서버(60)로 전달하면, 서버(60)에서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와 대응되는 충전소(3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전달하여 공지할 수 있다.
<충전소 정보 제공>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가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에서 사용자 단말(50)에 지도상의 충전소(30)에서 점유 및 미점유 현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소 관리부(630)가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소 정보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내용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50)에 제공하는 정보이다.
먼저 충전소 정보는 사용자 단말(50)에서 검색한 충전소(30)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하나의 충전소(30)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대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서버(60)에 접속하여 충전소(30)를 검색하게 되면, 충전소 관리부(630)는 사용자 단말(50)의 GPS 정보를 기준으로 충전소 관리부(630)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충전소(30)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3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부(60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소(3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충전소 관리부(630)는 사용자 단말(5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충전소(30)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충전소(30)의 위치를 제공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특정 지역에 위치한 충전소(30)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충전소(30)의 위치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30)에서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충전소(30)에서 수납 중인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에 대해 현재 충전 중이거나 충전이 더 필요한 전동 이륜 차량(20) 및 다른 사용자로부터 미리 예약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 등을 제외하고, 현재 사용이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30)의 충전 유닛(190)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점유 및 미점유 현황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유닛(190)을 점유하고 있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다 하더라도, 잔여 배터리가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충분한 충전량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 정보에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에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와 사용 가능한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보다 부합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되는 지도상에서 특정 충전소(30)를 선택하면, 특정 충전소(30)에서 충전 유닛(190)의 점유 현황이 탑다운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특정 충전소(30)에서 점유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가 100%로 완전히 충전되어 있으면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것과 더불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초록색이 아닌 특정 색상으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바로 사용이 가능한 상태라는 문구가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에 따라, 사용자는 바로 사용이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점유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가 100%가 아니면 빨강색으로 표시되어 충전 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정보는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 중 교체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 중일 때는 전동 이륜 차량(20)이 파손되거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등의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현재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소 정보에는 특정 충전소(30)에서 교체할 수 있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교체 사용 가능한 개수에는 미리 예약되어 있는 전동 이륜 차량(20), 현재 배터리 충전이 더 필요한 전동 이륜 차량(20), 사용 요청이 접수되어 대여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제외한 나머지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3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충전소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가 거의 방전되는 상태라면, 사용자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여 계속 사용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소(30)에 수납시켜 충전한다면, 충전소 관리부(630)는 해당 충전소(30)에서 전달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이를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마일리지 관리부(660)에 전달하고, 마일리지 관리부(660)는 해당 사용자에게 충전의 수고에 대한 소정의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 관리부(630)는 충전소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충전소(30)의 잔여 배터리가 충분한지를 파악하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시키도록 독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교체 없이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소(30)에 충전하도록 수납만 하더라도 마일리지 관리부(660)는 해당 사용자에게 충전의 수고에 대한 소정의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의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최초에 데이터 송수신부(600)가 복수의 충전소(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충전소(30)는 충전소(30)의 위치에 관한 정보, 충전소(30) 내의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정상 유무에 관한 정보, 충전소(30) 내의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 현재 점유 중인 복수의 충전 유닛(190)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충전 유닛(190)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6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60)에서는 데이터 송수신부(600)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소 관리부(6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 수행부(610)가 사용자의 인증이나 전동 이륜 차량(2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24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서버(60)에 접속할 시 인증 수행부(610)는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베이스(650)에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이륜 차량(20)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어, 인증 수행부(6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선택한 전동 이륜 차량(20)을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전동 이륜 차량(20)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인증 수행부(610)가 이를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50)에 구비된 QR코드 인식기로 전동 이륜 차량(20)에 구비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인증 수행부(610)가 이를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충전소 관리부(630)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242>
충전소 관리부(630)는 접속된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고자 할 시 충전소 정보를 사용자 단말(5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충전소 관리부(630)는 사용자 단말(50)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30)까지의 정보 혹은 검색한 충전소(30)와 관련하여 사용자 다말(50)의 위치로부터 하나의 충전소(30)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서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에 관한 정보, 전동 이륜 차량(20)의 교체 사용 가능한 개수에 관한 정보, 충전소(30)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 충전소(3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 및 수납된 충전소(30)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 중 교체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20)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 위한 예약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제 관리부(620)가 충전소(30)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사용에 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243>
사용자가 특정 충전소(30)에서 특정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면,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을 선택하여 사용 요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 등의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도 있고, 현금을 결제부(130)에 투입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실물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앱카드와 같은 모바일 결제수단도 가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적립한 마일리지로도 결제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일리지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써 사용 요금을 결제한 것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적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소(30)에 충전하도록 수납할 시 마일리지 관리부(660)는 해당 사용자에게 충전의 수고에 대한 소정의 마일리지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일리지는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할 시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충전소(30)에 수납하여 충전시키는 것에 관한 수고를 보상하기 위해 적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5를 통해 충전소(30)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대여하는 것이 아닌 통상의 거리나 관광지 등 곳곳에 위치한 전동 이륜 차량(20)을 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에서 지도상에 전동 이륜 차량(20)의 위치를 표시하고,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를 표시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에서는 충전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충전소(30)의 위치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에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동 이륜 차량(20)이 충전소(30)에 수납되어 충전된 상태가 아니라 통상의 거리 곳곳에 전동 이륜 차량(20)이 주차된 상태이다.
이 때 차량 정보에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위치와 함께 잔여 배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전동 이륜 차량(20)의 위치는 GPS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표시되며, 현재 사용자 단말(50)에서부터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20)의 거리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잔여 배터리는 남아있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잔여 배터리의 남아있는 정도가 임계값 이하라면, 배터리 모양의 표시 색상이 빨강색으로 표시되어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은 현재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또한, 잔여 배터리의 남아있는 정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배터리 모양의 표시 색상이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은 현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또, 잔여 배터리의 남아있는 정도가 임계값 이상이긴 하나, 임계값에 근접한 상태이면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위치와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를 확인하고, 잔여 배터리에 의한 해당 전동 이륜 차량(20)의 주행 가능한 거리를 파악하여 사용 목적에 부합하게 전동 이륜 차량(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예약하는 것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전동 이륜 차량의 교체>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에서 특정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다른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이 파손되거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등의 돌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현재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을 교체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인증을 통해 사용자가 계속 전동 이륜 차량(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때 현재 사용 중인 전동 이륜 차량(20)을 편의상 제1 전동 이륜 차량(270), 교체하여 사용하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이라 칭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사용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교체하기 위해 교체 신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체 신청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결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 충전소(30)를 검색하여 특정 충전소(30)에 수납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하기 위해 미리 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 신청 정보에는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의 식별번호도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직접 특정 충전소(30)에서 도착해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동 이륜 차량(20)을 타고 있는 와중에 잔여 배터리가 모자랄 시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에서 차량 정보를 서버(60)로 전송하고, 서버(60)에서는 사용자 단말(50)로 충전소 정보를 전달하여 충전소(30)의 위치를 안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교체 신청 정보를 서버(60)에 전달하여 특정 충전소(30)에 수납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하기 위한 예약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이 선택된 후에는 인증 수행부(610)가 사용자 정보를 다시 한 번 인증하고, 아울러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의 식별번호 또한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교체되는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은 특정 충전소(30)에 수납된 충전 상태인 것이 인증되어야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의 교체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정상적으로 충전시키고, 제1 전동 이륜 차량(270)가 정상적으로 충전되고 있음을 특정 충전소(30)가 상태 정보로 서버(60)로 전달하며, 전달된 상태 정보를 인증 수행부(610)가 인증하고 나서야 사용자는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교체 프로세스는 교체 신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50)이 서버(60)로 송신하여 서버(60)가 교체 신청 정보를 수신한 이후로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이 일정 시간 내에 특정 충전소(60)에 수납되어 충전이 되고 있음이 인증되어야 진행될 수 있다.
만약 일정 시간 내에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이 특정 충전소(60)에 수납되지 않으면 무한정 대기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체 프로세스가 초기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의 유효한 범위는 5분 내지 10분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충전소 관리부(630)는 해당 사용자 정보와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의 식별번호를 추가로 대응시킴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에 이어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결제한 사용 요금은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을 사용하는 것으로 연결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에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사용을 변경한 이력은 사용자 정보에 업데이트 되어 데이터베이스(650)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교체하기 위해 예약할 시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충전하기 위한 예약도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충전소(30)에서 점유 또는 미점유 된 충전 유닛(190)을 선택하여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예약을 진행하고, 이를 예약 관리부(640)가 수행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점유된 충전 유닛(190)의 경우 현재 전동 이륜 차량(190)이 충전 완료되는 시간이 공지되며, 이후로 충전하기 위한 예약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미점유 된 충전 유닛(190)의 경우 사용자가 도착 전 미리 미점유 된 충전 유닛(190)을 충전시키기 위한 예약을 요청하여 예약이 완료되면, 이후 예약 관리부(640)는 다른 사용자의 예약 및 사용을 차단하며, 마지막으로 미점유 된 충전 유닛(190)을 예약한 사용자가 현장에 도착하여 자신이 타고 있던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점유 또는 미점유 된 충전 유닛(190)에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충전하기 위한 예약은 소정의 임계 시간동안만 유효하다. 즉, 사용자가 예약을 요청하고, 예약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충전하는 것을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에 소정의 임계 시간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충전 예약을 관리한다. 이러한 임계 시간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충전소(30)에서 하나의 충전 유닛(190)을 선택한 이후 예약이 완료된 시점부터 임계 시간 동안만 유효하다. 이 때 임계 시간은 10분 내지 15분 사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타고 있던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소(30)에 수납된 다른 전동 이륜 차량(20)으로 교체하는 것뿐만 아니라 통상의 거리 곳곳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전동 이륜 차량 교체(20)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교체는 특정 상황에서만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배터리가 모자란 상황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교체에 대해서 사용자들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이지만, 잔여 배터리가 모자란 상황 이외에는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용자들에게 악용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거리 곳곳에 위치한 전동 이륜 차량(20)에 대해 잔여 배터리가 모자란 상황에 한정하여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을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결제한 사용 요금은 제1 전동 이륜 차량(270)에서 제2 전동 이륜 차량(280)을 사용하는 것으로 연결되어 변경될 수 있다.
<충전소 유지보수>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이륜 차량(20)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60)에서 복수의 충전소(30)에 관한 잔여 배터리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배터리 충전을 공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충전소 관리부(630)가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충전소(30)에 관한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즉, 상태 정보에는 충전소(3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현황 및 이상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충전소 관리부(630)는 복수의 충전소(30) 또는 복수의 충전소(30)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유닛(190) 중에서 이상이 있음을 감지하여 충전소 정보를 관리자 단말(40)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충전소(30) 중에서 이상이 있는 충전소(30)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충전소(30)의 위치와 충전소 정보를 관리자 단말(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30)에 남아있는 잔여 배터리에 관한 것, 충전소(30)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유닛(190)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것,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의 파손 상태,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의 파손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 정보를 수신한 관리자 단말(40)에서는 관리자가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을 투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의 잔여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로 감소한 상태라면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이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을 충전할 수 있는 별도의 이동수단이나 직접 이동을 통해 현장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하고,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은 배터리가 임계값 이상으로 충전되었음을 관리자 단말(40)로 피드백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은 지속적으로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충전소 관리부(630)는 충전소(30) 또는 충전 유닛(190)이 파손되어 이상이 생겼을 시에도 이를 관리자 단말(40)에 공지하고, 관리자 단말(40)에서는 동일하게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을 투입하여 유지보수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소(30)뿐만 아니라 전동 이륜 차량(20)에 대해서도 배터리를 충전하는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 즉, 전동 이륜 차량(20)은 차량 정보에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서버(60)로 송신하고, 서버(60)에서는 전동 이륜 차량(20)의 잔여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로 감소한 상태라면 관리자 단말(40)로 이를 공지하며, 관리자 단말(40)은 관리 인력 또는 현장 인력에게 공지하여 투입함으로써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만의 충전>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동 이륜 차량(20)을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하여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동 이륜 차량(20)으로부터 배터리를 탈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동 이륜 차량(20)에는 배터리가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탈착함으로써 전동 이륜 차량(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으로부터 탈착시킨 배터리만을 충전 수납부(110)에 수납시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충전 수납부(110)에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시켜 전동 이륜 차량(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추가적으로 마련된 배터리 충전 장치(미도시)에 배터리만을 수납하여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충전기 본체(10)는 충전기 본체(10)의 한쪽 옆, 양쪽 옆 또는 양쪽 옆과 뒤쪽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진 배터리 충전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장치는 충전기 본체(10)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수납 충전구(미도시) 및 배터리 수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수납 충전구 및 배터리 수납부는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이륜 차량(20)으로부터 탈착된 배터리는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즉, 전동 이륜 차량(20)을 수납하여 충전할 수도 있고, 배터리만을 수납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충전기 본체
100 : 충전구
110 : 충전 수납부
111 : 배수구
112 : 배수로
120 : 충전 단자부
121 : 단자부 돌출 버튼
122 : 회전부재
123 : 스프링부재
130 : 결제부
140 : 충전 알림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배터리부
170 : 충전 가이드레일
171 : 상단 레일
172 : 하단 레일
180 : 고정부
190 : 충전 유닛
20 : 전동 이륜 차량
200 : 차량 단자부
210 : 플레이트
220 : 접이모듈
230 : 손잡이부
240 : 스프링
250 : 돌출바
260 : 손잡이 고정수단
270 : 제1 전동 이륜 차량
280 : 제2 전동 이륜 차량
30 : 충전소
40 : 관리자 단말
50 : 사용자 단말
60 : 서버
600 : 데이터 송수신부
610 : 인증 수행부
620 : 결제 관리부
630 : 충전소 관리부
640 : 예약 관리부
650 : 데이터베이스
660 : 마일리지 관리부

Claims (20)

  1.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복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및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소 관리부;를 포함하되,
    전동 이륜 차량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신청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대응시키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제 1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복수의 충전 유닛의 정상 유무에 관한 정보,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
    현재 점유 중인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소 내의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의 현재 점유 현황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 중에서 현재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점유하고 있는 충전 유닛의 식별정보와 현재 미점유 중인 충전 유닛의 식별정보를 표시함에 의해, 현재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점유 중인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량과 상기 충전량에 따라 현재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유닛이 각각 대응하는 전동 이륜 차량을 충전 완료하는데 필요한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는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있는 충전 유닛의 충전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배터리가 완충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출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제 2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 중 교체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상기 제 2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특정 충전소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상기 사용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충전소에서 수납 중인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 중에, 현재 충전 중이거나 충전이 더 필요한 전동 이륜 차량 및 미리 예약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을 제외한 현재 사용이 가능한 전동 이륜 차량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소에 수납된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에 잔여 배터리를 기반으로 사용 가능한 주행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하나에 상기 교체 신청 정보의 수신 이후로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이 수납되어 충전 상태임을 상기 인증 수행부가 인증할 시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마일리지 정보를 관리하는 마일리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일리지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 중 하나에 포함된 충전 유닛에 전동 이륜 차량을 수납하여 충전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서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사용에 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리부에 의해 수행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 수납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사용을 위한 예약을 수행하는 예약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충전소에 수납된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예약을 처리하고,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충전소에 수납된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며,
    상기 제1 충전소가 상기 예약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사용 또는 예약을 차단하도록 야기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서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을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예약을 처리하고,
    상기 예약은 상기 복수의 충전소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이 완료된 시점부터 소정의 임계 시간 동안 유효한 것인,
    서버.
  18.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차량 정보는 개별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장소에 위치한 상기 개별 전동 이륜 차량의 잔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충전소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상기 복수의 전동 이륜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신청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대응시키는,
    서버.
  19. 서버에서의,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가 복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및
    충전소 관리부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동 이륜 차량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신청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대응시키는,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 이륜 차량을 수납하여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을 포함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충전소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충전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전동 이륜 차량에 각각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인증이나 상기 전동 이륜 차량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부;를 더 포함하며,
    충전소 관리부는 제1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제1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대응시키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교체하여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신청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관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전동 이륜 차량을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으로 교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제2 전동 이륜 차량의 식별번호를 대응시키는,
    시스템.
KR1020210022772A 2021-02-19 2021-02-19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89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72A KR102589196B1 (ko) 2021-02-19 2021-02-19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72A KR102589196B1 (ko) 2021-02-19 2021-02-19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40A KR20220119540A (ko) 2022-08-30
KR102589196B1 true KR102589196B1 (ko) 2023-10-17

Family

ID=8311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72A KR102589196B1 (ko) 2021-02-19 2021-02-19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1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183B1 (ko) * 2020-02-03 2020-11-25 주식회사 인에이블인터내셔널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이동수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039A (ko) * 2011-10-31 2013-05-08 (주)베텍이엠 전기 자전거의 배터리 교환 방법
KR20200065914A (ko) * 2018-11-30 2020-06-09 유수호 퍼스널모빌리티 대여 및 반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04036A (ko) * 2019-02-26 2020-09-03 퍼스트마일 주식회사 전동 킥보드의 관리 시스템
KR20200117134A (ko) 2019-04-03 2020-10-14 강신준 배터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배터리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183B1 (ko) * 2020-02-03 2020-11-25 주식회사 인에이블인터내셔널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이동수단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40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5981B2 (en)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20190228466A1 (e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5119328B (zh) 数码便利充电系统
KR101800287B1 (ko) 쉐어링 전기차 반납 관리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쉐어링 전기차 관리 시스템
CN108140227A (zh) 用于电动载具共享的装置、方法和物品
CN108351993A (zh) 用于电动载具共享的装置、方法和物品
KR20200027335A (ko)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US20120078413A1 (en) Secured electrical recharging facility method and apparatus
US20100280700A1 (en) User-distributed shared vehicle system
CA2648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electric cars and/or electric car batteries and/or improved infrastructures for recharging electric cars
US20100228405A1 (en) Shared vehicle management system
AU2008264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electric cars and/or electric car batteries and/or improved infrastructures for recharging electric cars.
US11967233B2 (en) Management device, shared vehicle, vehicle sha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295463A (zh) 一种非机动车停放管理方法及系统
KR20210086278A (ko) 퍼스널 모빌리티 쉐어링 방법 및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시스템
US20220376532A1 (en) Rechargeable battery kiosk for light electric vehicles
US10647370B2 (en) Electric scooter storage method based on scooter storage box
KR20110007553A (ko) 자전거 잠금 장치
JP2014211077A (ja) 二輪車の自動保管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のバッテリ
KR20180034812A (ko) 자전거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89196B1 (ko) 전동 이륜 차량의 충전 및 대여를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한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823004A (zh) 一种折叠共享车辆运营的方法及系统
CN107798758A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19995A (ko) 자전거용 다기능 정보단말기
KR20220112884A (ko)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