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63B1 -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2563B1 KR102282563B1 KR1020210006533A KR20210006533A KR102282563B1 KR 102282563 B1 KR102282563 B1 KR 102282563B1 KR 1020210006533 A KR1020210006533 A KR 1020210006533A KR 20210006533 A KR20210006533 A KR 20210006533A KR 102282563 B1 KR102282563 B1 KR 102282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docking
- panel
- support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1—Photovolta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를 거치하여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모빌리트 운영서버와 대중교통 서버가 통신하여, 킥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트 이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되면 대중교통 비용을 할인하는 혜택을 제공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충전 수단 구조를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의 일부분으로 스마트 모빌리티가 자리잡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킥보드, 자전거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다만 스마트 모빌리티는 장거리 이동에 제한이 있기에,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까지 이동후, 다른 대중교통수단으로 갈아탈 필요가 있다.
이때,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타 대중교통수단으로 환승시 이에 따른 비용할인이 제공되면 스마트 모빌리티의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가 충전되는 스테이션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들도 더욱 진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 이동하는 전동 킥보드, 전기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를 거치하여 충전하는 구성과 충전거치대의 위치정보와 충전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충전을 위한 다수의 전기제어장치를 팬과 다수의 통풍구를 통해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제공받기 위해 시간정보와 기상청정보와 GPS정보에 따라 태양광패널이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충전이 가능한 홀 구성을 형성하고, 홀에 핸들을 삽입하거나 모빌리티 카드를 삽입하거나, 유선충전단자를 안착시켜 충전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바퀴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하여 충전하며, 자전거 충전시 이동통로 확보를 위해 충전거치대가 벽측으로 밀착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휠의 형상에 맞는 호 형태의 받침대를 형성시켜 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를 거치하여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거치대에 거치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해 지면 상에 형성되는 컨트롤박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박스장치는, 지면 상에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컨트롤케이스;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제어기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케이스 상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덮개; 제어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컨트롤케이스 일측면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문;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유입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상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통풍구; 외부로부터 컨트롤케이스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통풍구마다 부착 형성되는 해충방지망; 제어기기가 컨트롤케이스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중앙으로 형성되는 패널지지대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박스장치는, 컨트롤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배출시키기 위한 자동열방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열방출부는,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컨트롤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환기팬; 하부에서 환기팬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이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컨트롤케이스 내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유로; 패널회전모터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통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개방패널; 패널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으로 개방패널을 회전 개폐시키기 위해 일측이 패널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패널 내부 중앙에 연결 형성되는 패널연결바; 개방패널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지지대 상부로 형성되는 패널회전모터; 패널회전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컨트롤케이스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컨트롤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 또는 킥보드의 이동수단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패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태양광을 제공받도록 패널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태양광패널;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며, 패널지지대와 연결되도록 태양광패널 하면에 형성되는 패널프레임; 태양광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하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패널지지대; 태양광패널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패널지지대 하부로 형성되는 지지대부재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거치되어 충전중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우천시 비가림을 제공하기 위한 차양개폐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개폐패널부는, 태양광패널 양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접혀지거나, 상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작동되는 접이수단; 및 태양광패널 하면에서 양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슬라이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수단은, 패널프레임 양측으로 회동힌지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접이차양패널; 접이차양패널이 패널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패널프레임과 접이차양패널 간의 연결 형성되는 회동힌지; 회동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접이차양패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접이차양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동기어; 회동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동모터; 회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회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모터풀리; 모터풀리의 회전동력을 회동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터풀리와 회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작동벨트;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슬라이드차양패널이 패널프레임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패널프레임 하부 전면과 후면 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가이드; 슬라이드부재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슬라이드가이드 상에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 슬라이드가이드 하측에서 양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차양패널; 슬라이드차양패널이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이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슬라이드차양패널 일측에 고정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 슬라이드부재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부재를 당기거나, 밀어 슬라이드부재와 연결된 슬라이드차양패널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패널프레임 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실린더; 비를 감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분감지센서; 빛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빛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빛의 조사 방향에 따라 태양광패널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패널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회전부는,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패널프레임 중앙으로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판지지대; 원판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회전모터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회전축;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판지지대 중앙 상부로 형성되는 수평회전모터;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원판축; 원판축 상부로 형성되며,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원판; 회전원판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플랜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밀착부재와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플랜지와 결합 형성되는 결합플랜지; 회전원판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플랜지와 대응되는 방향인 회전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플랜지;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둘레에서 서로 밀착 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재; 결합플랜지의 밀착부재와 고정플랜지의 밀착부재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볼트; 회전원판의 회전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고정플랜지 상부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 태양광패널을 빛의 조사 방향 측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이 회전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실린더축이 태양광패널 하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원판실린더; 조도센서로부터 원판실린더와 수평회전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제어기; 빛의 조사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거치대에 거치함에 자전거와 킥보드를 충전하기 위한 스마트도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도킹장치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재;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부재 상면으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안착부재 일측면이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진입면; 도킹부재를 안착부재 상에서 지지하도록 안착부재에서 수직형성되는 도킹지지대;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이 진입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며, 도킹지지대 상부로 형성되는 도킹부재;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전거와 킥보드가 도킹부재로 진입시 감지하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도킹부재 내면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패드; 충전 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도킹부재 상면에 형성되는 충전상태등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도킹장치는, 핸들의 진입시 고정, 카드, 유선을 통해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지도킹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도킹부는, 핸들을 도킹부재에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핸들고정도킹수단; 및 핸들에 연결된 카드를 도킹부재 측으로 삽입하여 카드인식으로 인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드슬롯도킹수단; 및 핸들에 연결된 유선케이블을 도킹부재에 결합시킴에 따라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선도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고정도킹수단은, 도킹부재 내면으로 형성되는 접지홈;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 일측으로 형성되어 접지홈에 밀착 회전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접지돌기; 접지홈에 결합되는 접지돌기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접지돌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돌기밀착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슬롯도킹수단은, 슬롯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킹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롯부재; 슬롯카드가 삽입되도록 슬롯부재 전면으로 형성되는 카드삽입홈; 접촉단자와 접촉되도록 카드삽입홈 내부로 형성되는 접지단자; 핸들에 연결되어 충전을 위해 카드삽입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슬롯카드; 접지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슬롯카드 상에 형성되는 접촉단자; 슬롯카드가 카드삽입홈에 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슬롯카드 전면에 형성되는 삽입센서; 접지단자와 접촉단자의 접촉으로 충전되는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슬롯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롯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유선도킹수단은, 도킹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유선도킹부재; 도킹홈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유선도킹부재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커버; 케이블부재에 형성되는 유선도킹접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유선도킹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도킹홈; 핸들에 연결되어 도킹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케이블부재; 도킹홈에 삽입되어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케이블부재 하면으로 형성되는 유선도킹접지; 케이블부재와 유선도킹부재 간의 결합을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도킹센서; 도킹홈에 결합된 유선도킹접지를 통해 제공받는 전기를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케이블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형성되는 배터리와 연결 형성되는 유선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도킹장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도킹높낮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킹높낮이조절부는, 유동지지대가 승하강되도록 안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대; 유동지지대가 승하강시 흔들림없이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부지지대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조절축; 조절축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부지지대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동지지대; 조절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동지지대 내부로 형성되는 축유동홈; 하부지지대를 기준으로 유동지지대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하부지지대에 복수개 매립되고, 실린더축이 유동지지대 일측면에 연결형성되는 조절실린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안착부재 측으로 진입함을 감지하기 위해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센서; 진입한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감지센서; 진입감지센서로부터 진입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등; 높낮이감지센서로부터 높낮이조절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이감지완료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거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의 진입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바퀴거치대가 거치되는 바퀴의 폭 간격만큼 간격조절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퀴거치대 일측을 형성되는 슬라이드핀; 외측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거치대의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판;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의 폭 조절시 내측스프링의 팽창으로 인한 끈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판; 바퀴거치대와 외측이탈방지판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외측스프링;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판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팽창과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내측스프링; 외측이탈방지판과 내측이탈방지판과 외측스프링과 내측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바퀴거치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조절축; 슬라이드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거치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 슬라이드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 상에 형성되는 간격조절홈; 바퀴거치대에 거치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벽측으로 밀착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부재; 힌지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힌지결합부재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형성되는 벽면고정부재; 힌지부재와 결합되도록 벽면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재; 힌지부재와 힌지결합부재의 결합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힌지핀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거치되는 바퀴의 폭 크기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폭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폭조절부는, 바퀴거치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바퀴안착판; 레일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안착판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 레일홈에 삽입되어 바퀴거치대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거치대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 레일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일부재와 결합되도록 바퀴안착판 내부로 형성되는 간격스크류; 간격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바퀴안착판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모터축이 간격스크류와 연결 형성되는 간격모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퀴거치대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에 밀착시 바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바퀴거치대 일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간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간격조절센서; 양측의 바퀴거치대가 바퀴의 압착시 기설정되는 압력만큼 간격모터가 작동되도록 바퀴거치대와 밀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바퀴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휠받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휠받침장치는, 바퀴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휠안착플레이트; 휠안착플레이트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고정앵커; 휠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바퀴에 묻은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휠안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물배출홀; 휠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바퀴 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휠이탈방지단; 바퀴 휠의 안착시 휠안착플레이트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휠안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휠이탈방지홈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휠받침장치는, 휠안착플레이트에 고이는 빗물을 제거하여 휠안착플레이트 상의 얼룩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빗물제거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조절부는, 휠안착플레이트가 지면에 매립된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휠안착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힌지고리; 휠안착플레이트의 일측 상승시 타측이 지면 접촉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힌지고리와 휠안착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 힌지고리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회전부재; 바퀴 휠이 안착되는 위치의 휠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키기 위해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상승실린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빗물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를 거치하여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되고 있는 위치와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를 알수 있도록 하여 분실방지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충전을 위한 다수의 전기제어장치를 팬과 다수의 통풍구를 통해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충전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제공받기 위해 시간정보와 기상청정보와 GPS정보에 따라 태양광패널이 회전하도록 하여 전기충전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충전이 가능한 홀 구성을 형성하고, 홀에 핸들을 삽입하거나 모빌리티 카드를 삽입하거나, 유선충전단자를 안착시켜 충전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충전형태의 스마트 모빌리티도 충전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바퀴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하여 충전하며, 자전거 충전시 이동통로 확보를 위해 충전거치대가 벽측으로 밀착회전되도록 하여 인도를 보행하는 사용자 또는 통로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한다.
또한, 휠의 형상에 맞는 호 형태의 받침대를 형성시켜 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충전시 외부에서 작용되는 외력 또는 바람 등에 의한 외력에 넘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컨트롤박스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컨트롤박스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열방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태양광패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태양광패널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개폐패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태양광패널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패널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도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스마트도킹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도킹접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스마트도킹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도킹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거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자전거받침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거치대폭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휠받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휠받침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빗물제거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더 포함되는 또다른 실시예인 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컨트롤박스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컨트롤박스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열방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태양광패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태양광패널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개폐패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태양광패널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패널회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도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스마트도킹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도킹접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스마트도킹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도킹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거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자전거받침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거치대폭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휠받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휠받침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빗물제거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더 포함되는 또다른 실시예인 기립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합관리서버(11)에서 단말기관리서버(13)에 접속하여 단말기관리서버(13)로부터 해당 거치단말기(12)의 스마트모빌리티의 충전상태정보와 사용상태정보와 사용되는 위치정보와 사용고객정보 등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관리서버(11)와 단말기관리서버(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스마트폰(15)과 단말기관리서버(13) 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거나, 네트워크를 통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스마트폰(15)을 통해 충전 및 사용에 관련한 결제를 할수 있으며, 결제는 거치단말기(12)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단말기관리서버(13)에 접속되며, 단말기관리서버(13)에서 통합관리서버(11)에 접속되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말기관리서버(13)에는 대중교통서버(14)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사용자가 단말기관리서버(13)를 통해 대중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스마트 모빌리트 운영서버인 통합관리서버(11)와 대중교통 서버(14)가 통신하여, 킥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트 이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되면 대중교통 비용을 할인하는 혜택을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스마트폰(15)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단말기관리서버(13)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마트모빌리티를 선택하여 예약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컨트롤박스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장치(100)는 거치대에 거치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박스장치(100)는 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박스장치(100)는 컨트롤케이스(110), 케이스덮개(111), 개폐문(112), 통풍구(113), 해충방지망(114), 패널지지대(115)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케이스(110)는 지면 상에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덮개(111)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의 제어기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덮개(111)는 상기 컨트롤케이스(110) 상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문(112)은 제어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문(112)은 컨트롤케이스(110) 일측면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풍구(113)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풍구(113)는 컨트롤케이스(110) 상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충방지망(114)은 외부로부터 컨트롤케이스(110)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해충방지망(114)은 통풍구(113)마다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지지대(115)는 제어기기가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지지대(115)는 컨트롤케이스(110)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컨트롤박스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열방출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열방출부(150)는 컨트롤박스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열방출부(150)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배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열방출부(150)는 환기팬(151), 공기유로(152), 개방패널(153), 패널연결바(154), 패널회전모터(155), 모터지지대(156), 온도센서(157)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팬(151)은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팬(151)은 컨트롤케이스(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로(152)는 하부에서 환기팬(151)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이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113) 측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유로(152)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패널(153)은 패널회전모터(155)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통풍구(11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패널(153)은 컨트롤케이스(110)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연결바(154)는 패널회전모터(155)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으로 개방패널(153)을 회전 개폐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연결바(154)는 일측이 패널회전모터(155)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패널(153) 내부 중앙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회전모터(155)는 개방패널(153)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회전모터(155)는 모터지지대(156)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156)는 패널회전모터(155)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대(156)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157)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157)는 컨트롤케이스(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태양광패널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패널장치(20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의 이동수단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충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200)는 태양광패널(210), 패널프레임(211), 광패널지지대(212), 지지대부재(213)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패널(210)은 태양광을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패널(210)은 광패널지지대(2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프레임(211)은 태양광패널(210)을 지지하며, 광패널지지대(2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프레임(211)은 태양광패널(210)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패널지지대(212)는 태양광패널(210)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광패널지지대(212)는 패널프레임(211) 하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부재(213)는 태양광패널(210)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부재(213)는 광패널지지대(212)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는 태양광패널장치(2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개폐패널부(2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개폐패널부(250)는 태양광패널장치(2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양개폐패널부(250)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거치되어 충전중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우천시 비가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개폐패널부(250)는 접이수단(251)을 포함한다.
상기 접이수단(251)은 태양광패널(210) 양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접혀지거나, 상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이수단(251)은 접이차양패널(252), 회동힌지(253), 회동기어(254), 회동모터(255), 모터풀리(256), 작동벨트(257)를 포함한다.
상기 접이차양패널(252)은 패널프레임(211) 양측으로 회동힌지(253)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이차양패널(252)은 수분감지센서(268)에 의해 설정되는 수분값과 측정되는 수분값이 동일하거나 높게 나타나는 경우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힌지(253)는 접이차양패널(252)이 패널프레임(211)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힌지(253)는 패널프레임(211)과 접이차양패널(252)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기어(254)는 회동모터(255)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접이차양패널(25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기어(254)는 접이차양패널(25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모터(255)는 회동기어(254)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모터(255)는 패널프레임(211) 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풀리(256)는 회동모터(255)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풀리(256)는 회동모터(255)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벨트(257)는 모터풀리(256)의 회전동력을 회동기어(254)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벨트(257)는 모터풀리(256)와 회동기어(254) 간의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개폐패널부(250)는 수분감지센서(268), 빛감지센서(269)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감지센서(268)는 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분감지센서(268)는 패널프레임(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분감지센서(268)는 입력되는 설정값과 동일하거나 이상일 경우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빛감지센서(269)는 빛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빛감지센서(269)는 패널프레임(211)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b는 태양광패널장치(2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패널회전부(27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회전부(270)는 태양광패널장치(2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패널회전부(270)는 빛의 조사 방향에 따라 태양광패널(210)을 회전 및 승하강시켜 다량의 빛을 획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회전부(270)는 회전판지지대(271), 회전축(272), 수평회전모터(285), 원판축(273), 회전원판(274), 결합플랜지(277), 고정플랜지(278), 밀착부재(279), 고정볼트(280), 회전플레이트(281), 원판실린더(284), 회전제어기(282), 조도센서(28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지지대(271)는 회전축(27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지지대(271)는 패널프레임(211) 중앙으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72)은 원판축(27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72)은 수평회전모터(285)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회전모터(285)는 회전축(272)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회전모터(285)는 회전판지지대(271) 중앙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판축(273)은 회전축(272)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판축(273)은 일측이 회전원판(274) 하부에 형성되어 원판축(273)의 회전시 회전원판(274)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원판(274)은 원판축(273) 상부로 형성되며, 결합플랜지(277)와 고정플랜지(278)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플랜지(277)는 회전원판(274)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플랜지(277)는 고정플랜지(278)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밀착부재(279)와 고정볼트(280)를 통해 고정플랜지(278)와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랜지(278)는 회전원판(274)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랜지(278)는 결합플랜지(277)와 대응되는 방향인 회전플레이트(281)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279)는 결합플랜지(277)와 고정플랜지(278)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279)는 결합플랜지(277)와 고정플랜지(278)의 둘레에서 서로 밀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트(280)는 결합플랜지(277)의 밀착부재(279)와 고정플랜지(278)의 밀착부재(279)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81)는 회전원판(274)의 회전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281)는 고정플랜지(278)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판실린더(284)는 태양광패널(210)을 빛의 조사 방향 측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판실린더(284)는 일측이 회전플레이트(281)에 고정되고, 실린더축이 태양광패널(210) 하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제어기(282)는 조도센서(283)로부터 원판실린더(284)와 수평회전모터(285)를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제어기(282)는 회전플레이트(28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제어기(282)에는 GPS정보와 시간정보가 입력되어 GPS정보를 제공받아 워
상기 조도센서(283)는 빛의 조사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도센서(283)는 회전플레이트(28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도킹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도킹장치(300)는 거치대에 거치함에 자전거와 킥보드를 충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도킹장치(300)는 안착부재(310), 진입면(311), 도킹지지대(312), 도킹부재(313), 무선충전패드(314), 충전상태등(315)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재(310)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부재(310)는 지면에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면(311)은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부재(310) 상면으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면(311)은 안착부재(310) 일측면이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지지대(312)는 도킹부재(313)를 안착부재(310) 상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지지대(312)는 안착부재(310)에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부재(313)는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이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재(313)는 "∩" 형태로 형성되며, 도킹지지대(312)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충전패드(314)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전거와 킥보드가 도킹부재(313)로 진입시 감지하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선충전패드(314)는 도킹부재(313) 내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상태등(315)은 충전 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충전상태등(315)은 도킹부재(313)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도킹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도킹장치(300)는 접지도킹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접지도킹부(350)는 핸들의 진입시 고정, 카드, 유선을 통해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도킹부(350)는 핸들고정도킹수단(351)과 카드슬롯도킹수단(355)과 유선도킹수단(363)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고정도킹수단(351)은 핸들을 도킹부재(313)에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고정도킹수단(351)은 접지홈(352), 접지돌기(353), 돌기밀착센서(354)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홈(352)은 도킹부재(313) 내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지홈(352)에 접지돌기(353)가 접촉됨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돌기(353)는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 일측으로 형성되어 접지홈(352)에 밀착 회전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밀착센서(354)는 접지홈(352)에 결합되는 접지돌기(353)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밀착센서(354)는 접지돌기(35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슬롯도킹수단(355)은 핸들에 연결된 카드를 도킹부재(313) 측으로 삽입하여 카드인식으로 인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슬롯도킹수단(355)은 슬롯부재(356), 카드삽입홈(357), 접지단자(358), 슬롯카드(359), 접촉단자(360), 삽입센서(361), 슬롯케이블(362)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부재(356)는 슬롯카드(35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롯부재(356)는 도킹부재(3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삽입홈(357)은 슬롯카드(359)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카드삽입홈(357)은 슬롯부재(356) 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단자(358)는 접촉단자(36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지단자(358)는 카드삽입홈(357)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카드(359)는 핸들에 연결되어 충전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롯카드(359)는 카드삽입홈(357)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단자(360)는 접지단자(358)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단자(360)는 슬롯카드(359)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센서(361)는 슬롯카드(359)가 카드삽입홈(357)에 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센서(361)는 슬롯카드(359)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케이블(362)은 접지단자(358)와 접촉단자(360)의 접촉으로 충전되는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롯케이블(362)은 슬롯카드(35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선도킹수단(363)은 핸들에 연결된 유선케이블(370)을 도킹부재(313)에 결합시킴에 따라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선도킹수단(363)은 유선도킹부재(364), 부재커버(365), 도킹홈(366), 케이블부재(367), 유선도킹접지(368), 도킹센서(369), 유선케이블(370)을 포함한다.
상기 유선도킹부재(364)는 도킹부재(3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커버(365)는 도킹홈(366)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커버(365)는 유선도킹부재(364)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홈(366)은 케이블부재(367)에 형성되는 유선도킹접지(368)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홈(366)은 유선도킹부재(364)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부재(367)는 핸들에 연결되어 도킹홈(366)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선도킹접지(368)는 도킹홈(366)에 삽입되어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선도킹접지(368)는 케이블부재(367) 하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센서(369)는 케이블부재(367)와 유선도킹부재(364) 간의 결합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센서(369)는 케이블부재(36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선케이블(370)은 도킹홈(366)에 결합된 유선도킹접지(368)를 통해 제공받는 전기를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선케이블(370)은 일측이 케이블부재(367)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형성되는 배터리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스마트도킹장치(3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도킹높낮이조절부(39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킹높낮이조절부(390)는 스마트도킹장치(3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킹높낮이조절부(39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높낮이조절부(390)는 하부지지대(391), 조절축(392), 유동지지대(393), 축유동홈(394), 조절실린더(395), 진입감지센서(396), 높낮이감지센서(397), 진입감지등, 높이감지완료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대(391)는 유동지지대(393)가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대(391)는 안착부재(3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축(392)은 유동지지대(393)가 승하강시 흔들림없이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축(392)은 하부지지대(391)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지지대(393)는 조절축(392)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지지대(393)는 하부지지대(391)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유동홈(394)은 조절축(39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유동홈(394)은 유동지지대(393)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실린더(395)는 하부지지대(391)를 기준으로 유동지지대(393)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거으로, 상기 조절실린더(395)는 하부지지대(391)에 복수개 매립되고, 실린더축이 유동지지대(393)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감지센서(396)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안착부재(310) 측으로 진입함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감지센서(396)는 유동지지대(39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감지센서(397)는 진입한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높낮이감지센서(397)는 유동지지대(39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감지등은 진입감지센서(396)로부터 진입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감지등은 유동지지대(39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감지완료등은 높낮이감지센서(397)로부터 높낮이조절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감지완료등은 유동지지대(39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스마트거치장치(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거치장치(40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거치장치(400)는 바퀴거치대(410), 슬라이드핀(411), 외측이탈방지판(412), 내측이탈방지판(413), 외측스프링(414), 내측스프링(415), 간격조절축(416), 간격조절부재(417), 간격조절홈(418), 힌지부재(419), 벽면고정부재(420), 힌지결합부재(421), 힌지핀(422)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거치대(41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의 진입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거치대(410)는 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거치대(410)는 바퀴의 크기와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하도록 측면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핀(411)은 바퀴거치대(410)가 거치되는 바퀴의 폭 간격만큼 간격조절홈(418)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핀(411)은 바퀴거치대(410) 일측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이탈방지판(412)은 외측스프링(4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이탈방지판(412)은 바퀴거치대(410)의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이탈방지판(413)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410)의 폭 조절시 내측스프링(415)의 팽창으로 인한 끈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이탈방지판(413)은 일측의 바퀴거치대(410)와 타측의 바퀴거치대(4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스프링(414)은 바퀴거치대(410)와 외측이탈방지판(412)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스프링(414)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410)가 중앙을 중심으로 넓어지는 경우 압축되며, 좁아지는 경우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스프링(415)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410)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판(413)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팽창과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축(416)은 외측이탈방지판(412)과 내측이탈방지판(413)과 외측스프링(414)과 내측스프링(415)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축(416)은 바퀴거치대(41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417)는 슬라이드핀(411)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부재(417)는 바퀴거치대(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홈(418)은 슬라이드핀(4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홈(418)은 간격조절부재(417)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재(419)는 바퀴거치대(410)에 거치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벽측으로 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재(419)는 간격조절부재(4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면고정부재(420)는 힌지부재(419)를 결합하기 위한 힌지결합부재(421)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면고정부재(420)는 힌지결합부재(421) 일측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421)는 힌지부재(419)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결합부재(421)는 벽면고정부재(4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핀(422)은 힌지부재(419)와 힌지결합부재(421)의 결합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스마트거치장치(4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거치대폭조절부(4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폭조절부(450)는 스마트거치장치(4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대폭조절부(450)는 거치되는 바퀴의 폭 크기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폭조절부(450)는 바퀴안착판(451), 레일홈(452), 레일부재(453), 간격스크류(454), 간격모터(455), 밀착패드(456), 간격조절센서(457), 압착센서(458)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안착판(451)은 바퀴거치대(4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안착판(451)은 지면에 형성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레일홈(452)은 레일부재(453)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홈(452)은 바퀴안착판(451)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453)는 레일홈(452)에 삽입되어 바퀴거치대(41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453)는 바퀴거치대(410)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스크류(454)는 레일부재(45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스크류(454)는 레일부재(453)와 결합되도록 바퀴안착판(45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모터(455)는 간격스크류(45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모터(455)는 바퀴안착판(45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모터축이 간격스크류(454)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456)는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퀴거치대(410)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에 밀착시 바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456)는 바퀴거치대(410)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밀착패드(456)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센서(457)는 일측의 바퀴거치대(410)와 타측의 바퀴거치대(410) 간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센서(457)는 일측의 바퀴거치대(410)와 타측의 바퀴거치대(410) 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센서(458)는 양측의 바퀴거치대(410)가 바퀴의 압착시 기설정되는 압력만큼 간격모터(455)가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센서(458)는 바퀴거치대(410)와 밀착부재(27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휠안착장치(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휠안착장치(50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바퀴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안착장치(500)는 휠안착플레이트(510), 지면고정앵커, 물배출홀, 휠이탈방지단(513), 휠이탈방지홈(514)을 포함한다.
상기 휠안착플레이트(510)는 바퀴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휠안착플레이트(510)는 지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면고정앵커는 휠안착플레이트(5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면고정앵커는 휠안착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배출홀은 휠안착플레이트(510)에 안착되는 바퀴에 묻은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배출홀은 휠안착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이탈방지단(513)은 휠안착플레이트(510)에 안착되는 바퀴 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휠이탈방지단(513)은 휠안착플레이트(510)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이탈방지홈(514)은 바퀴 휠의 안착시 휠안착플레이트(5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휠이탈방지홈(514)은 휠안착플레이트(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휠안착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빗물제거조절부(5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제거조절부(550)는 휠안착장치(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빗물제거조절부(550)는 휠안착플레이트(510)에 고이는 빗물을 제거하여 휠안착플레이트(510) 상의 얼룩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제거조절부(550)는 힌지고리(551), 탄성스프링(552), 회전부재(553), 상승실린더(554), 빗물감지센서(555)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고리(551)는 휠안착플레이트(510)가 지면에 매립된 회전부재(553)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고리(551)는 휠안착플레이트(51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552)은 휠안착플레이트(510)의 일측 상승시 타측이 지면 접촉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형성된느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552)은 힌지고리(551)와 휠안착플레이트(5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553)는 힌지고리(551)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553)는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실린더(554)는 바퀴 휠이 안착되는 위치의 휠안착플레이트(510)를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실린더(554)는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감지센서(555)는 빗물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빗물감지센서(555)는 휠안착플레이트(5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더 포함되는 또다른 실시예인 기립장치(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립장치(600)는 도 2 내지 도 11b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장치(60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거치함과 동시에 앞바퀴를 고정하여 상승시킴으로 주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장치(600)는 기립부재(610), 가이드홈(611), 모터지지대(612), 하강권취모터(613), 하강권취롤러(614), 상승권취모터(615), 상승권취롤러(616), 승하강와이어(617), 가이드롤러(618), 실린더고정바(619), 이동부재(620), 밀착실린더(621), 밀착패널(622), 밀착패드(623), 와이어고정부재(624)를 포함한다.
상기 기립부재(610)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립부재(610)는 바퀴의 양측방향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611)은 실린더고정바(619)에 형성된 이동부재(620)가 삽입되어 하측에서 상측방향,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611)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612)는 하강권취모터(613)를 지지하며, 상승권취모터(615)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대(612)는 기립부재(610) 하부 일측과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강권취모터(613)는 실린더고정바(619)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권취모터(613)는 기립부재(610) 하부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612)에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강권취롤러(614)는 승하강와이어(617)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권취롤러(614)는 하강권취모터(613)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권취모터(615)는 실린더고정바(619)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권취모터(615)는 기립부재(610) 상부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612)에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권취롤러(616)는 승하강와이어(617)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권취롤러(616)는 상승권취모터(615)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와이어(617)는 와이어고정부재(624)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와이어(617)는 일측이 상승권취롤러(616)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측권취롤러에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618)는 승하강와이어(617)의 권취 및 권출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롤러(618)는 기립부재(610) 일측면에 가이드홈(611)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바(619)는 밀착실린더(621)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바(619)는 가이드홈(611)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620)는 실린더고정바(619)가 기립부재(610) 상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620)는 실린더고정바(619) 일측으로 형성되어 타측이 가이드홈(6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621)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고정바(619) 상부로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621)는 실린더고정바(619)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널(622)은 바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널(622)은 밀착실린더(621)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623)는 바퀴 밀착시 바퀴의 손상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623)는 밀착패널(622)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재(624)는 승하강와이어(617) 상에 실린더고정바(619)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고정부재(624)는 실린더고정바(619)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스토퍼(625)는 바퀴의 폭에 따라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부재이동레일(627) 상에 형성된 핀홈(628)에 핀을 전진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스토퍼(625)는 기립부재(610) 하측에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결합부재(626)는 이동축(629)에 결합되어 기립부재(6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결합부재(626)는 기립부재(610)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이동레일(627)은 기립부재(610)가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이동레일(627)은 지면에 고정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홈(628)은 고정스토퍼(625)의 작동시 고정스토퍼(625)에서 전진되는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홈(628)은 부재이동레일(627) 상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축(629)은 축결합부재(626)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축(629)은 지면에 형성되는 축지지대(630)와 축이동모터(63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지지대(630)는 이동축(629)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지지대(630)는 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지지대(630)에 결합된 이동축(629)은 공회전되도록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이동모터(631)는 이동축(629)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이동모터(631)는 이동축(629)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충전시스템
11 : 통합관리서버 12 : 거치단말기
13 : 단말기관리서버 14 : 대중교통서버
15 : 사용자스마트폰
100 : 컨트롤박스장치
110 : 컨트롤케이스 111 : 케이스덮개
112 : 개폐문 113 : 통풍구
114 : 해충방지망 115 : 패널지지대
150 : 자동열방출부
151 : 환기팬 152 : 공기유로
153 : 개방패널 154 : 패널연결바
155 : 패널회전모터 156 : 모터지지대
157 : 온도센서
200 : 태양광패널장치
210 : 태양광패널 211 : 패널프레임
212 : 패널지지대 213 :지지대부재
250 : 차양개폐패널부
251 : 접이수단 252 : 접이차양패널
253 : 회동힌지 254 : 회동기어
255 : 회동모터 256 : 모터풀리
257 : 작동벨트
268 : 수분감지센서 269 : 빛감지센서
270 : 패널회전부
271 : 회전판지지대 272 : 회전축
273 : 원판축 274 : 회전원판
277 : 결합플랜지 278 : 고정플랜지
279 : 밀착부재 280 : 고정볼트
281 : 회전플레이트 282 : 회전제어기
283 : 조도센서 284 : 원판실린더
285 : 수평회전모터
300 : 스마트도킹장치
310 : 안착부재 311 : 진입면
312 : 도킹지지대 313 : 도킹부재
314 : 무선충전패드 315 : 충전상태등
350 : 접지도킹부
351 : 핸들고정도킹수단 352 : 접지홈
353 : 접지돌기 354 : 돌기밀착센서
355 : 카드슬롯도킹수단 356 : 슬롯부재
357 : 카드삽입홈 358 : 접지단자
359 : 슬롯카드 360 : 접촉단자
361 : 삽입센서 362 : 슬롯케이블
363 : 유선도킹수단 364 : 유선도킹부재
365 : 부재커버 366 : 도킹홈
367 : 케이블부재 368 : 유선도킹접지
369 : 도킹센서 370 : 유선케이블
390 : 도킹높낮이조절부
391 : 하부지지대 392 : 조절축
393 : 유동지지대 394 : 축유동홈
395 : 조절실린더 396 : 진입감지센서
397 : 높낮이감지센서
400 : 스마트거치장치
410 : 바퀴거치대 411 : 슬라이드핀
412 : 외측이탈방지판 413 : 내측이탈방지판
414 : 외측스프링 415 : 내측스프링
416 : 간격조절축 417 : 간격조절부재
418 : 간격조절홈 419 : 힌지부재
420 : 벽면고정부재 421 : 힌지결합부재
422 : 힌지핀
450 : 거치대폭조절부
451 : 바퀴안착판 452 : 레일홈
453 : 레일부재 454 : 간격스크류
455 : 간격모터 456 : 밀착패드
457 : 간격조절센서 458 : 압착센서
500 : 휠안착장치
510 : 휠안착플레이트 511 : 지면고정앵커
512 : 물배출홀 513 : 휠이탈방지단
514 : 휠이탈방지홈
550 : 빗물제거조절부
551 : 힌지고리 552 : 탄성스프링
553 : 회전부재 554 : 상승실린더
555 : 빗물감지센서
600 : 기립장치
610 : 기립부재 611 : 가이드홈
612 : 모터지지대 613 : 하강권취모터
614 : 하강권취롤러 615 : 상승권취모터
616 : 상승권취롤러 617 : 승하강와이어
618 : 가이드롤러 619 : 실린더고정바
620 : 이동부재 621 : 밀착실린더
622 : 밀착패널 623 : 밀착패드
624 : 와이어고정부재
11 : 통합관리서버 12 : 거치단말기
13 : 단말기관리서버 14 : 대중교통서버
15 : 사용자스마트폰
100 : 컨트롤박스장치
110 : 컨트롤케이스 111 : 케이스덮개
112 : 개폐문 113 : 통풍구
114 : 해충방지망 115 : 패널지지대
150 : 자동열방출부
151 : 환기팬 152 : 공기유로
153 : 개방패널 154 : 패널연결바
155 : 패널회전모터 156 : 모터지지대
157 : 온도센서
200 : 태양광패널장치
210 : 태양광패널 211 : 패널프레임
212 : 패널지지대 213 :지지대부재
250 : 차양개폐패널부
251 : 접이수단 252 : 접이차양패널
253 : 회동힌지 254 : 회동기어
255 : 회동모터 256 : 모터풀리
257 : 작동벨트
268 : 수분감지센서 269 : 빛감지센서
270 : 패널회전부
271 : 회전판지지대 272 : 회전축
273 : 원판축 274 : 회전원판
277 : 결합플랜지 278 : 고정플랜지
279 : 밀착부재 280 : 고정볼트
281 : 회전플레이트 282 : 회전제어기
283 : 조도센서 284 : 원판실린더
285 : 수평회전모터
300 : 스마트도킹장치
310 : 안착부재 311 : 진입면
312 : 도킹지지대 313 : 도킹부재
314 : 무선충전패드 315 : 충전상태등
350 : 접지도킹부
351 : 핸들고정도킹수단 352 : 접지홈
353 : 접지돌기 354 : 돌기밀착센서
355 : 카드슬롯도킹수단 356 : 슬롯부재
357 : 카드삽입홈 358 : 접지단자
359 : 슬롯카드 360 : 접촉단자
361 : 삽입센서 362 : 슬롯케이블
363 : 유선도킹수단 364 : 유선도킹부재
365 : 부재커버 366 : 도킹홈
367 : 케이블부재 368 : 유선도킹접지
369 : 도킹센서 370 : 유선케이블
390 : 도킹높낮이조절부
391 : 하부지지대 392 : 조절축
393 : 유동지지대 394 : 축유동홈
395 : 조절실린더 396 : 진입감지센서
397 : 높낮이감지센서
400 : 스마트거치장치
410 : 바퀴거치대 411 : 슬라이드핀
412 : 외측이탈방지판 413 : 내측이탈방지판
414 : 외측스프링 415 : 내측스프링
416 : 간격조절축 417 : 간격조절부재
418 : 간격조절홈 419 : 힌지부재
420 : 벽면고정부재 421 : 힌지결합부재
422 : 힌지핀
450 : 거치대폭조절부
451 : 바퀴안착판 452 : 레일홈
453 : 레일부재 454 : 간격스크류
455 : 간격모터 456 : 밀착패드
457 : 간격조절센서 458 : 압착센서
500 : 휠안착장치
510 : 휠안착플레이트 511 : 지면고정앵커
512 : 물배출홀 513 : 휠이탈방지단
514 : 휠이탈방지홈
550 : 빗물제거조절부
551 : 힌지고리 552 : 탄성스프링
553 : 회전부재 554 : 상승실린더
555 : 빗물감지센서
600 : 기립장치
610 : 기립부재 611 : 가이드홈
612 : 모터지지대 613 : 하강권취모터
614 : 하강권취롤러 615 : 상승권취모터
616 : 상승권취롤러 617 : 승하강와이어
618 : 가이드롤러 619 : 실린더고정바
620 : 이동부재 621 : 밀착실린더
622 : 밀착패널 623 : 밀착패드
624 : 와이어고정부재
Claims (2)
- 스마트 모빌리티를 거치하여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은,
자전거 또는 킥보드의 이동수단을 태양광을 이용하여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패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태양광을 제공받도록 패널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태양광패널과,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며, 패널지지대와 연결되도록 태양광패널 하면에 형성되는 패널프레임과,
태양광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하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패널지지대와,
태양광패널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패널지지대 하부로 형성되는 지지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거치되어 충전중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우천시 비가림을 제공하기 위한 차양개폐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양개폐패널부는,
태양광패널 양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접혀지거나, 상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작동되는 접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수단은, 패널프레임 양측으로 회동힌지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접이차양패널과,
접이차양패널이 패널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패널프레임과 접이차양패널 간의 연결 형성되는 회동힌지와,
회동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접이차양패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접이차양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동기어와,
회동기어 측으로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동모터와,
회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도록 회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모터풀리와,
모터풀리의 회전동력을 회동기어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터풀리와 회동기어 간의 연결 형성되는 작동벨트와,
비를 감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분감지센서와,
빛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패널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빛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장치는,
빛의 조사 방향에 따라 태양광패널을 회전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패널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회전부는,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패널프레임 중앙으로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판지지대와,
원판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회전모터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판지지대 중앙 상부로 형성되는 수평회전모터와,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원판축과,
원판축 상부로 형성되며,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원판과,
회전원판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플랜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밀착부재와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플랜지와 결합 형성되는 결합플랜지와,
회전원판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플랜지와 대응되는 방향인 회전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둘레에서 서로 밀착 되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결합플랜지의 밀착부재와 고정플랜지의 밀착부재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볼트와,
회전원판의 회전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고정플랜지 상부로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와,
태양광패널을 빛의 조사 방향 측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이 회전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실린더축이 태양광패널 하면에 고정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원판실린더와,
조도센서로부터 원판실린더와 수평회전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제어기와,
빛의 조사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에는,
거치대에 거치함에 자전거와 킥보드를 충전하기 위한 스마트도킹장치; 또는
거치대에 거치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해 지면 상에 형성되는 컨트롤박스장치; 또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거치장치; 또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바퀴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휠받침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되,
상기 스마트도킹장치는,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자전거와 킥보드가 안착부재 상면으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안착부재 일측면이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진입면과, 도킹부재를 안착부재 상에서 지지하도록 안착부재에서 수직형성되는 도킹지지대와,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이 진입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며, 도킹지지대 상부로 형성되는 도킹부재와, 무선충전이 가능한 자전거와 킥보드가 도킹부재로 진입시 감지하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도킹부재 내면으로 형성되는 무선충전패드와, 충전 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도킹부재 상면에 형성되는 충전상태등을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도킹장치에는,
핸들의 진입시 고정, 카드, 유선을 통해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접지도킹부; 또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도킹높낮이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되,
상기 접지도킹부는, 핸들을 도킹부재에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핸들고정도킹수단; 및 핸들에 연결된 카드를 도킹부재 측으로 삽입하여 카드인식으로 인한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드슬롯도킹수단; 및 핸들에 연결된 유선케이블을 도킹부재에 결합시킴에 따라 도킹이 완료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선도킹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고정도킹수단은, 도킹부재 내면으로 형성되는 접지홈과, 자전거와 킥보드의 핸들 일측으로 형성되어 접지홈에 밀착 회전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접지돌기와, 접지홈에 결합되는 접지돌기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접지돌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돌기밀착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드슬롯도킹수단은, 슬롯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킹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롯부재와, 슬롯카드가 삽입되도록 슬롯부재 전면으로 형성되는 카드삽입홈와, 접촉단자와 접촉되도록 카드삽입홈 내부로 형성되는 접지단자와, 핸들에 연결되어 충전을 위해 카드삽입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슬롯카드와, 접지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슬롯카드 상에 형성되는 접촉단자와, 슬롯카드가 카드삽입홈에 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슬롯카드 전면에 형성되는 삽입센서와, 접지단자와 접촉단자의 접촉으로 충전되는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슬롯카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롯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선도킹수단은, 도킹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유선도킹부재와, 도킹홈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유선도킹부재 상부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커버와, 케이블부재에 형성되는 유선도킹접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유선도킹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도킹홈과, 핸들에 연결되어 도킹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케이블부재와, 도킹홈에 삽입되어 전기를 제공받기 위해 케이블부재 하면으로 형성되는 유선도킹접지와, 케이블부재와 유선도킹부재 간의 결합을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도킹센서와, 도킹홈에 결합된 유선도킹접지를 통해 제공받는 전기를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케이블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전거와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형성되는 배터리와 연결 형성되는 유선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킹높낮이조절부는, 유동지지대가 승하강되도록 안착부재 상부로 형성되는 하부지지대와, 유동지지대가 승하강시 흔들림없이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부지지대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조절축과, 조절축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부지지대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동지지대와, 조절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동지지대 내부로 형성되는 축유동홈과, 하부지지대를 기준으로 유동지지대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하부지지대에 복수개 매립되고, 실린더축이 유동지지대 일측면에 연결형성되는 조절실린더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안착부재 측으로 진입함을 감지하기 위해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센서와, 진입한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도킹 높낮이를 감지하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낮이감지센서와, 진입감지센서로부터 진입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감지등과, 높낮이감지센서로부터 높낮이조절완료정보를 제공받음에 사용자에게 표시해도록 유동지지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높이감지완료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박스장치는,
지면 상에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컨트롤케이스와,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제어기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케이스 상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덮개와,제어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컨트롤케이스 일측면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문와,컨트롤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유입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상부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통풍구와,외부로부터 컨트롤케이스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통풍구마다 부착 형성되는 해충방지망과,제어기기가 컨트롤케이스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중앙으로 형성되는 패널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장치는,
컨트롤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배출시키기 위한 자동열방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열방출부는,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컨트롤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환기팬과, 하부에서 환기팬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이 상부에 형성된 통풍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컨트롤케이스 내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유로와, 패널회전모터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통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컨트롤케이스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개방패널과, 패널회전모터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으로 개방패널을 회전 개폐시키기 위해 일측이 패널회전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패널 내부 중앙에 연결 형성되는 패널연결바와, 개방패널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지지대 상부로 형성되는 패널회전모터와, 패널회전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컨트롤케이스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모터지지대와, 컨트롤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컨트롤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의 진입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바퀴거치대가 거치되는 바퀴의 폭 간격만큼 간격조절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퀴거치대 일측을 형성되는 슬라이드핀과, 외측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거치대의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이탈방지판과,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의 폭 조절시 내측스프링의 팽창으로 인한 끈어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판과, 바퀴거치대와 외측이탈방지판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외측스프링과, 양측으로 형성되는 바퀴거치대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이탈방지판 사이에서 바퀴의 폭에 의한 팽창과 완충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내측스프링과, 외측이탈방지판과 내측이탈방지판과 외측스프링과 내측스프링을 지지하도록 바퀴거치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조절축과, 슬라이드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거치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와, 슬라이드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 상에 형성되는 간격조절홈과, 바퀴거치대에 거치되는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벽측으로 밀착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부재와, 힌지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힌지결합부재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 형성되는 벽면고정부재와, 힌지부재와 결합되도록 벽면고정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재와, 힌지부재와 힌지결합부재의 결합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힌지핀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거치장치는, 거치되는 바퀴의 폭 크기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폭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폭조절부는, 바퀴거치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면에 형성되는 바퀴안착판과, 레일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안착판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홈과, 레일홈에 삽입되어 바퀴거치대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거치대 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일부재와 결합되도록 바퀴안착판 내부로 형성되는 간격스크류와, 간격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바퀴안착판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모터축이 간격스크류와 연결 형성되는 간격모터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퀴거치대가 자전거 또는 킥보드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의 바퀴에 밀착시 바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바퀴거치대 일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와,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간의 간격을 감지하도록 일측의 바퀴거치대와 타측의 바퀴거치대 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간격조절센서와, 양측의 바퀴거치대가 바퀴의 압착시 기설정되는 압력만큼 간격모터가 작동되도록 바퀴거치대와 밀착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휠받침장치는,
바퀴가 안착되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휠안착플레이트와, 휠안착플레이트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고정앵커와, 휠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바퀴에 묻은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휠안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물배출홀과, 휠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바퀴 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 상면 둘레로 복수개 형성되는 휠이탈방지단과, 바퀴 휠의 안착시 휠안착플레이트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휠안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휠이탈방지홈를 포함하되,
상기 휠받침장치는,
휠안착플레이트에 고이는 빗물을 제거하여 휠안착플레이트 상의 얼룩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빗물제거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제거조절부는, 휠안착플레이트가 지면에 매립된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휠안착플레이트 하측으로 형성되는 힌지고리와, 휠안착플레이트의 일측 상승시 타측이 지면 접촉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힌지고리와 휠안착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과, 힌지고리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바퀴 휠이 안착되는 위치의 휠안착플레이트를 상승시키기 위해 지면에 매립 형성되는 상승실린더와, 빗물을 감지하기 위해 휠안착플레이트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빗물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533A KR102282563B1 (ko) | 2021-01-18 | 2021-01-18 |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533A KR102282563B1 (ko) | 2021-01-18 | 2021-01-18 |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2563B1 true KR102282563B1 (ko) | 2021-07-29 |
Family
ID=7712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533A KR102282563B1 (ko) | 2021-01-18 | 2021-01-18 |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256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46016A1 (ko) * | 2022-01-25 | 2023-08-03 | (주)이브이패스 |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
KR102571894B1 (ko) | 2023-04-21 | 2023-08-28 | 박현열 | 위치기반의 경로 정보 수집을 활용한 모빌리티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 |
CN117491761A (zh) * | 2023-09-04 | 2024-02-02 | 吉事励电子(苏州)有限公司 | 一种直流充电桩测试装置以及测试方法 |
CN118438903A (zh) * | 2024-03-25 | 2024-08-06 | 雷邦电气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的户外换电充电桩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6262A (ko) * | 2011-02-01 | 2011-05-26 |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 자전거 장착형 단말기 및 그를 포함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
KR20120042460A (ko) * | 2010-10-25 | 2012-05-03 | 주식회사 씨앤쏠라 |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 충전시스템이 구성된 주차대 |
KR20120108427A (ko) * | 2011-03-24 | 2012-10-05 | 원일산업 주식회사 | 자전거 거치대 |
KR101197997B1 (ko) | 2010-09-03 | 2012-11-09 | 유경숙 | 회전식 자전거 거치장치 |
WO2019010582A1 (en) * | 2017-07-14 | 2019-01-17 | Pbsc Urban Solutions Inc. |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RECHARGING AND OPERATING AN ELECTRICAL BICYCLE |
KR20200027335A (ko) * | 2018-09-04 | 2020-03-12 | 주식회사 씨에스 |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
-
2021
- 2021-01-18 KR KR1020210006533A patent/KR1022825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997B1 (ko) | 2010-09-03 | 2012-11-09 | 유경숙 | 회전식 자전거 거치장치 |
KR20120042460A (ko) * | 2010-10-25 | 2012-05-03 | 주식회사 씨앤쏠라 | 전기자동차, 전기자전거 충전시스템이 구성된 주차대 |
KR20110056262A (ko) * | 2011-02-01 | 2011-05-26 |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 자전거 장착형 단말기 및 그를 포함하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 |
KR20120108427A (ko) * | 2011-03-24 | 2012-10-05 | 원일산업 주식회사 | 자전거 거치대 |
WO2019010582A1 (en) * | 2017-07-14 | 2019-01-17 | Pbsc Urban Solutions Inc. |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RECHARGING AND OPERATING AN ELECTRICAL BICYCLE |
KR20200027335A (ko) * | 2018-09-04 | 2020-03-12 | 주식회사 씨에스 | 전기자전거 거치대와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전거 대여 및 충전 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46016A1 (ko) * | 2022-01-25 | 2023-08-03 | (주)이브이패스 | 전동킥보드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운영시스템 |
KR102571894B1 (ko) | 2023-04-21 | 2023-08-28 | 박현열 | 위치기반의 경로 정보 수집을 활용한 모빌리티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 |
CN117491761A (zh) * | 2023-09-04 | 2024-02-02 | 吉事励电子(苏州)有限公司 | 一种直流充电桩测试装置以及测试方法 |
CN118438903A (zh) * | 2024-03-25 | 2024-08-06 | 雷邦电气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的户外换电充电桩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2563B1 (ko) | 스마트 모빌리티 운영 및 관리 시스템 | |
KR102269688B1 (ko) |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충전시스템 | |
KR102282565B1 (ko) | 스마트모빌리티 충전 및 거치 시스템 | |
KR102282562B1 (ko) | 스마트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 |
KR102282564B1 (ko) | 컨트롤박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 |
US10371328B2 (en) | Solar powered lighting system | |
US20170080813A1 (en) | Vehicle Charging Arrangement | |
KR102121892B1 (ko) | 태양광 패널 청소 장치 | |
KR102282566B1 (ko) | 스마트도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 |
KR101614400B1 (ko) | 발전 및 세척 기능을 갖는 배전반 | |
WO2023115727A1 (zh) | 一种充电桩车位防占用监测系统及使用方法 | |
KR102269690B1 (ko) | 휠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시스템 | |
CN211978808U (zh) | 一种基于物联网的空气品质监测装置 | |
CN214176651U (zh) | 一种便于移动的箱式变电站 | |
CN108729702B (zh) | 一种基于物联网的防盗性能良好的智能型通讯基站 | |
CN210469424U (zh) | 一种带显示屏的户外摄影手机支撑固定架 | |
CN210899060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光伏太阳板发电装置 | |
CN212176693U (zh) | 一种背阳的晴雨两用公交站台 | |
CN221467617U (zh) | 一种光伏发电户外共享充电装置 | |
CN206942272U (zh) | 一种立体车库的防坠装置 | |
CN115751246B (zh) | 一种基于滑动模块安装结构的智慧路灯 | |
CN213683169U (zh) | 一种安全性能高的电动吊篮 | |
CN215850805U (zh) | 一种汽车充电桩降温保护装置 | |
KR102455082B1 (ko) | 파트별 자동 개폐식 지붕 구조체 | |
US9916566B2 (en) | Mobile wireless order point and pick-up 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